KR20110115047A -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047A
KR20110115047A KR1020100034504A KR20100034504A KR20110115047A KR 20110115047 A KR20110115047 A KR 20110115047A KR 1020100034504 A KR1020100034504 A KR 1020100034504A KR 20100034504 A KR20100034504 A KR 20100034504A KR 20110115047 A KR20110115047 A KR 20110115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us
root
stem
leaf
lotus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045B1 (ko
Inventor
강환열
백현
윤성준
전혜영
김보영
김동욱
강재선
김타곤
김희진
노화정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찬기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04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을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을 각각 열수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 추출 방법과 상기 열수 추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EXTRACTING METHOD OF NELUMBO NUCIFERA FLOWER, LEAF, STEM, ROOT, SEED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CONTAINING EXTRACTS THEREBY}
본 발명은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급속히 고령화가 진행되는 대표적인 국가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추후 고령자용 물품의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이 확실시된다. 미국, 일본 등에서는 고령자들을 목표로 한 다양한 화장품들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화장품 분야에서는 딱히 고령자용 화장품이라고 하는 품목들이 출시되고 있지 않다.
피부 노화는 태양광선에 노출되지 않는 부위에서 나타나는 연대학적 노화 (chronologic aging)와 태양광선의 노출부에서 일어나는 퇴행성 변화가 연대학적 노화와 복합되어 일어나는 광인성 노화 (actinic ageing)로 구분된다. 연대학적 노화에서는 특징적인 임상 피부소견으로 미세한 주름, 진피의 위축, 피하지방층의 감소 등이 관찰된다. 광노화 과정에서는 거칠고 깊은 주름 (coatse wrinkling and furrowing)이 나타나고 비정상적인 탄력질양 물질 (elastotic material)이 축적되어 피부가 가죽같이 두터워지며 느슨해진다.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에서는 피부 노화에 의해 세포활성이 떨어지고, 신호전달체계가 불완전해지면서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콜라겐의 생합성이 감소하여 주름살이 생기고 탄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부여하며 이로 인해 외부의 자극이나 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진피층의 90%를 차지하고 있어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와 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피부 세포를 증식시키거나, 피부를 구성하는 기질물질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를 두껍게 할 수 있는 물질, 피부를 구성하는 기질 물질인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s의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 등이 주름, 탄력 상실, 피부 흑화 등의 피부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러한 물질 중의 하나로 연(蓮, Nelumbo nucifera)이 주목받고 있다. 연은 뿌리, 줄기, 잎, 열매 등 다양한 부위가 식품 또는 한약재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서 그 안전성이 상당히 입증된 식물이며 가격 또한 kg 당 2,000원 정도로 비교적 저렴하여 화장품 소재로는 이상적인 환경을 갖추고 있다. 연은 전국 재배면적이 약 550ha로서 많은 양이 생산되고 있으며 주요산지로는 경남 함안, 칠서, 한림, 하빈과 대구 반야월, 전남 곡성군 등이 알려져 있다.
연의 항노화효과는 다양한 중의학문헌에 소개되고 있으며, 본초강목에서는 연은 기력을 왕성하게 하고 모든 질병을 물리치며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수명을 연장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약성본초에는 연은 오장육부의 기운부족, 특히 심, 비, 신의 기운부족과 속이 상한 것을 낫게 하며 12경맥의 기혈을 크게 보하고, 쌀과 연육으로 죽을 쑤어 먹으면 몸이 가볍고 든든하여지며 또 머리칼을 검게하고 장수하게한다고 쓰여 있다. 연꽃은 주로 관상용으로 애용되고 있으나 용도는 크게 연구되지 않았으며, 특히 잎은 알칼로이드와 탄닌을 함유하고 있어 수렴 및 지혈제로 사용되거나 민간에서는 야뇨증을 치료하는데에 이용되고 있기도 하다. 땅속 줄기는 연근이라 하며 아스파라진이 들어 있어 식용하며 자양 강장약으로 쓰인다. 열매는 연방, 씨를 연자육이라고 하며 부인병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 연꽃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종래 기술에서는 연을 꽃, 줄기, 뿌리 등의 부위로 분리하지 않고 통째로 추출하여 추출 효과가 떨어지고, 연 이외의 다른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효과를 보충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을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부위에 대해 개별적으로 열수 추출을 행하여 얻어지는 열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i)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을 분리하는 단계;
ii)상기 i)단계에서 분리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을 각각 별도로 열수 추출하여 각각 냉각하는 단계;
iii)상기 ii)단계에서 얻어진 냉각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1차 여과하는 단계;
iv)상기 iii)단계에서 얻어진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4℃ 내지 6℃에서 24시간 침지시키는 단계;
v)상기 iv)단계에서 얻어진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2차 여과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i)단계에서의 열수 추출은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 100 g 당 용매 3000 ml 내지 4000 ml를 가하고 100℃ 내지 120℃에서 최초 부피의 50%의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i)단계의 열수 추출 단계를 2회 내지 5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정제수를 포함하는 물, 에탄올을 포함하는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 에탄올,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함수 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열수 추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각각 0.01 중량% 내지 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연의 각 부위를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뛰어난 주름 개선 효과를 통한 피부 노화 방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 추출물의 안전성 시험(MTT assay)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은
i)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을 분리하는 단계,
ii)상기 i)단계에서 분리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을 각각 별도로 열수 추출하여 각각 냉각하는 단계,
iii)상기 ii)단계에서 얻어진 냉각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1차 여과하는 단계,
iv)상기 iii)단계에서 얻어진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4℃ 내지 6℃에서 24시간 침지시키는 단계 및
v)상기 iv)단계에서 얻어진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 각각 2차 여과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은 먼저, 연을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부위별로 분리시킨다.
그 다음, 분리시킨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 100 g 당 용매 3000 ml 내지 4000 ml 를 가하고 100℃ 내지 120℃에서 최초 부피의 50% 의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열수 추출). 이 때, 열수 추출 단계를 2회 내지 5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단계를 수회 반복할수록 추출 효과가 높아지나, 5회 이상 실시할 경우 잔여 추출 성분이 미미하여 반복 추출의 의미가 낮아진다.
추출시 사용되는 상기 용매는 정제수를 포함하는 물, 에탄올을 포함하는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 에탄올,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함수 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잎, 연꽃, 연근, 연자육 또는 연줄기를 건조하여 그 중량의 약 1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30배 부피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글리세린,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 상기 추출물을 상온까지 냉각하고 방부 처리한 후, 상기 열수 추출물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를 하고, 1차 여과를 마치면 24시간 동안 냉장에서 4℃ 내지 6℃로 침지시킨다.
상기 여과지는 0.1 내지 1.5㎛ 필터인 것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필터가 초정밀하여 초고가이므로(한외여과법)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1.5㎛를 초과하는 경우는 제균력이 없어 진균이나 세균의 원물에 포함되어 유통 중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24시간 침지시킨 후 상온에서 최종적으로 여과지로 2차 여과하여 보관한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은 감압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하여 분말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추출된 연 추출물 각각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 로 배합된다.
연잎, 연꽃, 연근, 연자육 또는 연줄기로부터 선택되는 연 추출물이 총 중량에 비해 0.01중량% 이하로 포함되면 주름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 이상이면 하기 실험예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세포 독성에 의하여 안전성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제조된 연 추출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연근 추출물의 제조
연근 50g을 정제수 2000ml에 첨가하여 약 100℃에서 50%중량이 되도록 열수 추출하였다(1회 추출). 그 다음, 물 2000ml를 다시 넣고 100℃에서 50% 중량이 되도록 열수 추출하였다(2회 추출). 물 2000ml를 다시 넣고 100℃에서 50% 중량이 되도록 열수 추출하였다(3회 추출). 그 후, 상온까지 냉각 후 방부 처리하였다. (부틸렌글라이콜 20%, 페노닙(Phenonip) 0.5%). 그리고나서 200mesh(0.75㎛)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를 하고, 1차 여과를 마치면 24시간 동안 냉장에서 침지하였다. 1일 경과 후 상온에서 혼합막여과지(Mixde Cellulose Ester Filter)(0.45㎛)로 최종 여과하여 보관하였다.
그 결과 노란색이고, pH 5.30, 비중(Specific gravity) 1.020인 연근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2> 연잎 추출물의 제조
연잎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노랑 및 갈색을 띄는 pH 5.81, 비중(Specific gravity) 1.020인 연잎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3> 연줄기 추출물의 제조
연줄기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밝은 노란색이고, pH 5.41, 비중(Specific gravity) 1.020인 연줄기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4> 연꽃 추출물의 제조
연꽃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어두운 노란색이고, pH 5.33, 비중(Specific gravity) 1.022인 연꽃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5> 연자육 추출물의 제조
연자육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갈색이고, pH 5.4, 비중(Specific gravity) 1.02인 연자육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6> 연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
연근, 연잎, 연줄기, 연자육 및 연꽃 추출물을 각각 5:1:1:1:1% 함유한 연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중금속 분석 시험
실시예 1 내지 5에 의한 추출물 각각에 대한 중금속 시험을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 기준 및 시험방법을 따랐다.
실시예 1 내지 5의 추출물을 네슬러관에 취하여 물 적당량을 넣어 녹여 40㎖로 한 후 묽은초산 2㎖ 및 물을 넣어 50㎖로 하여 검액으로 했다. 비교를 위한 비교액으로서 납표준액을 네슬러관에 취하여 묽은초산 2㎖ 및 물을 넣어 50㎖로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검액 및 비교액에 황화나트륨시액 1방울씩을 넣어 흔들어 섞고, 5분간 방치한 다음 각 관을 백색 배경으로 위 또는 옆에서 관찰하여 액의 색을 비교하였다.  검액이 나타내는 색은 비교액이 나타내는 색보다 진하지 않아야 하였다.
실험 결과, 납, 비소, 수은, 메탄올이 검출되지 않아 중금속은 불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2> 미생물 시험
실시예 1 내지 5에 의한 추출물을 각각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청 미생물 한도 기준 및 시험방법 가이드라인에 준해 시험하였다.
총 생균수를 검사하기 위하여, 직경 9-10 cm 페트리 접시 내에 미리 굳힌 변형레틴 한천배지 표면에 실시예 1 내지 5에 의한 추출물 각각의 전처리 검액 1 mL를 도말한다. 또는 검액 1 mL를 같은 크기의 페트리접시에 넣고 그 위에 멸균 후 45℃로 식힌 15mL의 배지를 넣어 잘 혼합한다. 검체당 최소 2개의 평판을 준비하고 30-35℃에서 적어도 48시간 배양하는데 이때 최대 균 집락수를 갖는 평판을 사용하되 평판당 300 개 이하의 균집락을 최대치로 하여 총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생균수≤100cfu/g 이하로 불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장균 등의 병원균을 검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5에 의한 추출물 각각의 검체 1g 또는 1mL를 달아 유당액체배지를 사용하여 10mL로 하여 30-35℃에서 24-72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가볍게 흔든 다음 백금이 등으로 취하여 맥콘키한천배지위에 도말하고 30-35℃에서 18-24 시간 배양하였다. 주위에 적색의 침강선띠를 갖는 적갈색의 그람음성균의 집락이 검출되지 않으면 대장균 음성으로 판정할 수 있는바, 실험 결과 대장균 및 병원균은 음성 판정되어 불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3> 온도에 따른 저장 안정성 시험
일반적으로 화장품원료의 경우에는 실온(1~30℃) 또는 상온(15~25℃)에서 1년간 외관성상 등에 변화가 없이 유지되어야 하며, 실온이나 상온의 안정도가 떨어지는 경우라도 냉장의 조건에서 최소 6개월에서 1년간 유지되어야 원료로서의 상품성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해 온도에 따른 저장 안정성을 실험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에 의한 추출물을 각각 상온, 40℃, 50℃, 냉장에서 보관하면서 외관성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아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0일간 저장하였을 경우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일차 2일차 3일차 4일차 5일차 6일차 7일차
상온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40℃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50℃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냉장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10일차 13일차 15일차 20일차 23일차 27일차 30일차
상온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40℃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50℃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냉장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변화없음
< 실험예 4> 안정성 시험 - 피부 첩포 시험(Patch Test)
본 발명의 연 추출물의 피부 자극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부 첩포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 20명(하기 표 2)을 대상으로 추출물 원액,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 의한 추출물 및 증류수를 혼합하여 전체 중량 대비 1%, 3%, 5% 농도로 만들고, 왼쪽 팔 안쪽에 Haye's test Chamber에 패치를 24시간 동안 부착 후 떼어내어 blank와 시험품의 피부반응(홍반, 부종 등)상태를 관찰해 평가하였다(Closed patch test using Haye's test Chamber). 시험은 총 2회 반복되었다. 판정은 패치 제거 후 30분, 1일, 2일, 3일 후에 걸쳐 총 4회 이루어졌으며, Draize의 P.I.I법을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피부 첩포 시험 대상
번 호 나 이 성 별 피부 유형
1 38 건성
2 29 복합성
3 43 지성
4 37 중성
5 33 지성
6 32 지성
7 37 민감성
8 31 지성
9 31 건성
10 38 건성
11 39 민감성
12 34 중성
13 53 중성
14 29 중성
15 41 지성
16 36 건성
17 37 민감성
18 29 건성
19 28 중성
20 62 건성
① 연근
40명 중 2명에게 5% 추출물 희석액에서 가려움과 5% 추출물 희석에서 가벼운 홍반이 발생하였으나, 매우 가벼운 증상이었다.
② 연꽃
40명 중 전원 이상 없음이 확인되었다.
③ 연잎
40명 중 전원 이상 없음이 확인되었다.
④ 연줄기
40명 중 전원 이상 없음이 확인되었다.
⑤ 연자육
40명 중 전원 이상 없음이 확인되었다.
< 실험예 5> 연 추출물의 세포 독성에 대한 안전성 시험 (MTT assay)
실시예 1 내지 5에 의한 연 추출물에 대한 안전성 시험이 사람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cell)을 이용한 MTT로 측정되었다. 이 정량법은 Mosmann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한 것으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디하이드로게나아제(mitochondria dehydrogenase)에 의해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가 진청색의 비수용성인 포르마잔(formazan)으로 환원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DMEM 배지에 배양된 사람섬유아세포를 배양액과 함께 96 웰(well)에 180㎕를 넣고 2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부착시킨 후 시료를 20㎕씩 넣은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미리 조제한 MTT (5mg/㎖ in PBS)를 200㎕ 첨가하여 다시 4시간 배양하였다. 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이때 형성된 어두운 파란색 결정(dark blue crystal)을 DMSO 200㎕로 용해시켜 보라색으로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의 양을 정량하였다.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의 양은 살아있는 세포수에 비례하므로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할 수 있다.
세포 생존율 측정에 사용된 세포주는 human fibroblast cell line CCD-986sk 로, Korean Cell Line Bank(KCLB)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 시약은 Dimethylsulphoxide(DMSO)는 sigma chemical Co.(USA)에서 구입하였으며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0% 페탈보닌세럼(Fetal Bovine Serum, FBS, JRS Inc.), 100U/mL 페니실린 및 100μg/mL 스트렙토마이신(Lonza, USA)을 혼합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Lonza) 배지를 사용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전체 중량 대비 0.1-1% 포함하는 조성물에서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5%에서 약간의 독성을 나타내었고 10%에서는 매우 강한 독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실험으로부터 연 추출물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중량 대비 5% 함유할 때까지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연 추출물 중에서는 잎 추출물의 독성이 비교적 낮았다.
이상의 결과, 각각의 추출물은 전체 중량 대비 5% 함유할 때 연줄기, 연꽃, 연근, 연자육, 연잎의 순서로 세포 독성이 낮아짐을 확인하였고, 5% 이상에서는 모든 추출물에서 급격히 세포 독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6> 연 추출물의 주름개선효과 시험
<실험예 6-1> 엘라스타제 억제효과시험(Elastase inhibition assay)
본 발명의 연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아래와 같은 엘라스타제 활성저해 효과로 테스트하였다.
엘라스타제는 피부진피에 존재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엘라스타제 저해 물질로 알려진 아데노신(Adenosine) 0.04%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본 발명의 연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0.2M 트리스-HCl(pH 8.0) 80㎕에 3.2 mM의 Succ-Ala-Ala-Ala-p-nitroanilide 120㎕,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연추출물 100 ㎕를 혼합하였다. 여기에 1U의 사람 백혈구 엘라스타제(Human Leukocytes Elastase)를 1㎖의 0.2M 트리스-HCl(pH 8.0)로 용해시킨 뒤 50㎕(50 mU)를 넣었다. 25℃에서 15분간 효소 활성화 반응을 시켰다. 반응 후 ELISA 판독기를 사용하여 415㎚에서 대조군과 각 시료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를 상호비교하기 위해 100% 추출물(원액)까지 시험하였다.
그 결과 전체 중량 대비 1-5%의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농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근, 연꽃, 연자육은 대조군인 0.04% 아데노신보다 비슷하거나 더 좋은 주름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 각각의 추출물은 1 내지 5%에서 연자육, 연꽃, 연근, 연잎, 연줄기의 순서로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2> 콜라겐 합성효과시험(Collagen synthesis assay)
본 발명의 연 추출물의 주름 개선 물질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콜라겐 생합성 증가를 확인할 수 있는 Procollagen Type Ⅰ C-peptide EIA kit(Takara Bio Inc. MK101)를 이용하여 콜라겐 생합성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항체-POD(horseradish peroxidase) 컨쥬게이트 용액 100㎕를 넣고 1/2씩 미리 희석해둔 표준물질(PIP 640 ng/㎖)과 동일한 양의 상기 연 추출물을 넣고 잘 혼합한 후,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3시간 후 안의 반응물을 제거한 웰에 PBS 400㎕를 첨가하여 4회 정도 세척하고, 기질을 100㎕씩 첨가한 후 20~30℃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정지용액(stop solution, 1N H2SO4)을 100㎕씩 첨가하여 청록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한 반응물의 흡광도를 450㎚에서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아데노신을 사용하였으며, 0.04%에서 처리하였다.
시험 농도범위는 0.1-5%를 사용하였으며,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콜라겐 합성효과는 0.5-1% 연자육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연꽃, 연줄기, 연근에서도 대조군인 0.04% 아데노신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5%의 농도에서는 그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연자육, 연꽃, 연줄기를 1% 함유한 추출물이 주름개선 화장품소재로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7> 화장품 제형의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6에 의한 연 추출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제형, 즉 수분크림, 에센스, 크림의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Haye's test Chamber에 증류수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연 추출물 혼합물 원액, 1%, 3%, 5% 농도로 조정하고 왼쪽 팔 안쪽에 패치를 24시간 동안 부착 후 떼어내어 blank와 시험품의 피부반응(홍반, 부종 등)상태를 관찰해 평가하였다(Closed patch test using Haye's test Chamber). 시험은 총 2회 반복되었다.
판정은 패치 제거 후 30분, 1일, 2일, 3일 후에 걸쳐 총 4회 이루어졌으며, Draize의 P.I.I법을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시험 대상은 표 2와 동일하다.
① 수분크림
40명 중 전원 이상 없음이 확인되었다.
② 에센스
40명 중 전원 이상 없음이 확인되었다.
③ 크림
40명 중 전원 이상 없음이 확인되었다.

Claims (7)

  1. i)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을 분리하는 단계;
    ii)상기 i)단계에서 분리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을 각각 별도로 열수 추출하여 각각 냉각하는 단계;
    iii)상기 ii)단계에서 얻어진 냉각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1차 여과하는 단계;
    iv)상기 iii)단계에서 얻어진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4℃ 내지 6℃에서 24시간 침지시키는 단계;
    v)상기 iv)단계에서 얻어진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각각 2차 여과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i)단계에서의 열수 추출은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 100 g 당 용매 3000 ml 내지 4000 ml를 가하고 100℃ 내지 120℃에서 최초 부피의 50%의 부피가 될 때까지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ii)단계의 열수 추출 단계를 2회 내지 5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정제수를 포함한 물, 에탄올을 포함하는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 에탄올,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함수 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열수 추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각각 0.01 중량% 내지 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34504A 2010-04-14 2010-04-14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9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504A KR101229045B1 (ko) 2010-04-14 2010-04-14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504A KR101229045B1 (ko) 2010-04-14 2010-04-14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047A true KR20110115047A (ko) 2011-10-20
KR101229045B1 KR101229045B1 (ko) 2013-02-04

Family

ID=4502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504A KR101229045B1 (ko) 2010-04-14 2010-04-14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0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92B1 (ko) * 2012-05-07 2014-08-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자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유발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60092165A (ko)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대한바이오위드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2054100B1 (ko) * 2019-03-06 2020-01-22 휘조우 맨내이 바이오로지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1645B1 (ko) * 2021-10-18 2022-04-01 박선규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63959A (ko) * 2020-11-11 2022-05-1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물고사리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8247B1 (ko) * 2022-02-08 2022-07-06 박성아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여 슬로우에이징과 맑고 투명한 피부에 효능이 있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960B1 (ko) * 2015-09-18 2018-03-13 유씨엘 주식회사 연근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 또는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5348A (en) 1996-02-23 1999-07-20 Medical Doctor's Research Institute, Inc. Methods utilizing compositions containing sacred lotus (methyltransferase) to treat aging skin
US6602526B2 (en) * 1996-02-23 2003-08-05 Medical Doctors Research Institute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lotus
KR100678869B1 (ko) 2005-09-27 2007-02-05 함양 지리산 영농조합법인 지구자나무를 포함한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의제조방법
KR100828193B1 (ko) * 2006-11-06 2008-05-08 박영준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92B1 (ko) * 2012-05-07 2014-08-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자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유발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60092165A (ko)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대한바이오위드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2054100B1 (ko) * 2019-03-06 2020-01-22 휘조우 맨내이 바이오로지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63959A (ko) * 2020-11-11 2022-05-1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물고사리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1645B1 (ko) * 2021-10-18 2022-04-01 박선규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8247B1 (ko) * 2022-02-08 2022-07-06 박성아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여 슬로우에이징과 맑고 투명한 피부에 효능이 있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045B1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225B1 (ko) 독일붓꽃, 병풀, 캐모마일, 달맞이꽃 및 어성초 추출물을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1944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6240A (ko)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9263B1 (ko) 마유의 정제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정제마유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8603A (ko) 미생물 발효물이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KR102111085B1 (ko) 누룩을 이용한 쪽 발효방법 및 이에 얻은 쪽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706285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활성을 갖는 백량금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KR1007130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작두콩 추출물의 정제방법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3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267765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하고초 pse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702891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659125B1 (ko) 도고온천수를 이용하여 배양된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17579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KR102618301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2855B1 (ko) 나노화된 락토바실러스 속 사균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203273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7895B1 (ko) 타임 추출물과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0304A (ko) 바이오셀룰로오스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감소 및 예방용 피부외용 조성물
KR100538142B1 (ko)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조성물
KR20160079979A (ko) 전복 점질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