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142B1 -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142B1
KR100538142B1 KR10-2003-0083416A KR20030083416A KR100538142B1 KR 100538142 B1 KR100538142 B1 KR 100538142B1 KR 20030083416 A KR20030083416 A KR 20030083416A KR 100538142 B1 KR100538142 B1 KR 100538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cid
iris
skin
ac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713A (ko
Inventor
문원국
김동우
이광호
조중희
박태규
Original Assignee
(주)네추럴에프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추럴에프앤피 filed Critical (주)네추럴에프앤피
Priority to KR10-2003-0083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14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한 창포 오일은 여드름균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강한 항진균 작용을 나타내므로 여드름에 의한 피부트러블의 개선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전혀 없으므로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corus calamus oil for improvement of a pimpled skin}
본 발명은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한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의 발명 원인은 아직도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며, 다만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을 배재한다면 세 가지 주요한 원인이 여드름 발병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연구 보고를 통하여 알려져 있다. 그 세 가지 주요한 원인으로는 첫 번째로 과잉으로 분비된 피지라 할 수 있는데, 피지의 형성은 남성 호르몬(Androgenic hormone)의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 남성 호르몬의 비정상적인 증가 또는 이와 관련된 여러 기전을 통하여 피지선의 기능이 항진되고 그 결과 과잉의 피지를 형성하게 된다.
두 번째 원인으로는 모낭의 과각화(Hyperkeratininzation)로 인한 모공의 패쇄 때문으로 설명되어 지는데, 생성된 피지는 피부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어야 하지만 모낭의 과각화로 인하여 모공이 막혀 피지의 원활한 배출이 억제되고, 그 결과 모낭내의 피지가 정체되어 미세면포를 형성하게 된다.
세 번째의 원인으로는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 때문으로, 여드름균은 여드름의 발병 악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설명된다. 모낭 내에 상주하는 여드름균은 모공벽 자극물질을 형성하며, 미세면포는 피지의 과잉 분비가 계속되면서 크기가 점차 증가하여 면포로 발전되고 이로 인하여 모낭벽이 얇아지게 되면, 여드름균에 의하여 생성된 자극성 물질이 얇아진 모낭벽을 자극하여 면포를 점차 염증성 병변으로 악화시키게 된다.
종래 여드름을 치료 또는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피지 과분비 억제를 위해 남성호르몬 억제제인 에스트로겐 등의 여성호르몬을 사용하거나 또는 항균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5α-리덕타아제 억제제를 이용하여 피지 과분비를 억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여성호르몬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여드름 치료 과정 중에, 부작용으로서 피부 염증이 발생할 우려가 높은 외에 여성호르몬의 장기 투여시, 그에 따른 부작용 발생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어 현재는 별로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사용하더라도 의사의 주의 관찰 하에 조심스럽게 극미량을 처방 사용함에 그치고 있다.
또한, 여드름균에 대한 전형적인 항균제로서는 레소르시놀(Resorcinol), 유황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또는 메크로사이클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러한 항균제의 사용은 여드름 치료에 어느 정도의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항생제 특유의 부작용 발생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예컨대, 항균 물질인 레티노익산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은 피부 자극성 및 접촉성 피부염의 발생 우려가 높으며, 테트라사이클린을 포함하는 항생 물질들은 내성균의 출현 및 광과민 작용에 의한 부작용 가능성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창포(Acorus calamus var. angustatus)는 천남성과 (Araceae)에 속하며, 주로 한국, 일본, 중국의 연못가나 도랑가에 서식하는 식물로서 근경, 잎 및 뿌리 등 전체에 방향성 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방향성 정유 물질은 근경(Rhizome)에 3 내지 5%, 잎(Leaf)에 0.1 내지 0.5%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정유의 주요 성분은 아사론(asarone)이 70 내지 80%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 카라메온(calameone), 유게놀(eugenol) 등이 포함되어 있고 비타민(Vitamin C), 탄닌, 알카로이드, 아코틴 등도 대체로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278-280, 1998).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창포 잎이나 창포 뿌리를 삶은 물에 목욕과 머리를 감았으며, 머리가 빠지지 않고 윤기가 나고 매끄러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살균력이 있어 피부병을 방지하고, 피부 관리에 사용하였으며, 그 향기는 남성을 유혹하는 페르몬으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한다. 또한 한방에서는 건위, 진정, 진통, 해소, 거담, 항진균제, 두통, 혈액순환 등에 사용하였고, 구경의 가루는 상처 치유효과도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서양에서도 류마티즘, 구충제, 강장제, 향료의 원료로 사용하였다.
그 외 과학적인 연구에 의해 창포의 에탄올 추출물이 ① 저 지방 활성 효과(Parab RS, Mengi SA., Fitoterapia., 73(6), pp451-455, 2002) ② 항산화 효과(Nishiyama N, et al., Biol. Pharm. Bull., 17(11), pp1481-1484, 1994; Nishiyama N, et al., Biol. Pharm. Bull., 17(12), pp1679-1681, 1994; Zhang Y, et al., Biol. Pharm. Bull., 17(6), pp866-868, 1994; Acuna UM, et al., Phytotherapy Research., 16(1), pp 63-65, 2002) ③ 염증치료 효과(Vaidyaratnam P.S., Oriental Longman Ltd, Arya Vaidya Sala, Kottakal, 9(1), p51, 1994) ④ 정신 질환에 관한 효과(Nishiyama N, et al., Biol. Pharm. Bull., 17(11), pp1481-1484, 1994; Nishiyama N, et al., Biol. Pharm. Bull., 17(12), pp1679-1681, 1994; Vaidyaratnam P.S., Oriental Longman Ltd, Arya Vaidya Sala, Kottakal, 9(1), p51, 1994) ⑤ 항암 효과(Vaidyaratnam P.S., Oriental Longman Ltd, Arya Vaidya Sala, Kottakal, 9(1), p51, 1994) ⑥신경안정 효과(Zanoli P, et al., Phytotheraphy Research., 12(1) , pp114-116, 1998) ⑦혈압을 낮추는 효과(Zhang Y, et al., Biol. Pharm. Bull., 17(6), pp866-868, 1994) ⑧ 세포와 면역의 억제 효과(Mehrotra S, et al., Int. Immunophamacol., 3(1), pp53-61, 2003); ⑨ 항 응고작용(Rubio-Poo C, et al., Proc. West. Pharmacol. Soc., 34, pp107-112, 1991)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창포의 주요 구성성분인 아사론 또는 물 추출물이 ⑩ 불면증, 간질 및 기억상실에 대한 효과(Agarwal SL, J. Am. Pharm. Assoc., 45(9), 655-656, 1956; L. V. Asolkar, et al., CSIR, p18, 1992; Nishiyama N, et al., Biol. Pharm. Bull., 17(11), pp1481-1484, 1994) ⑪ 살충 효과, 항균 효과 및, 항진균 효과(Ciccia G, et al., J. Ethnopharmacol., 72(1-2), pp185-189, 2000; L. V. Asolkar, et al., CSIR, p18, 1992)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학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오일성분에 대한 항균력을 탐색 또는 기전을 밝히는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또한 다수의 천연물질 및 한약원료 성분들을 포함하는 제품들이 시판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과학적인 검증을 거치지 않은 것이 많아 오히려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있다.
최근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티트리(Teatree) 오일 또는 로즈마리 오일 등과 같은 천연 향유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몇몇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여드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 유래의 항균 활성을 갖는 물질을 검색하던 중, 본 발명의 창포 오일 성분이 여드름균을 현저히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전혀 없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세포에 무해하며 여드름균 억제 활성을 갖는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갖는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창포 오일은 수증기 증류법을 포함한 정유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통상의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스킨), 크림, 에멀젼(로션), 에센스, 영양수, 세정액, 팩, 미용액 및 파운데이션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창포 오일은 다양한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특히 수증기 증류법이나 또는 극성 용매를 이용한 직접 추출법 등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창포의 근경 및 뿌리는 3월 초 잎이 나기 전의 것을 채취하여 10일 내지 20일간 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건조하고, 창포 잎은 5월 중순과 7월 말 2회에 걸쳐 자라난 잎을 채취하여 10일 내지 20일간, 바람직하게는 10일 내지 15일간 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건조하여 마쇄기로 마쇄한 다음, 이를 정유(essential oil)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하방으로부터 수증기를 불어넣어 수증기와 함께 비등되어 나오는 향유 성분을 냉각 분리하여 본 발명의 창포 오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포 오일은 건조된 창포의 근경, 뿌리 및 잎을 중량비로 5 내지 10배의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와 같은 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1일 내지 14일간 침적 추출하거나 또는 1시간 내지 5시간 가온 추출하는 극성용매 직접 추출법에 의하여도 수득될 수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창포 오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α-토코페롤, d-α-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α-토코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α-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α-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β-알라닌칼슘, N-라우로일-β-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ε-라우로일-L-리진, Nε-팔미토일리진, Nα-파리토일올니틴, Nα-라우로일아르기닌, Nα-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α-아미노카프릴산, α-아미노라우린산 등의 α-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3 중량 %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창포 오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체예로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세안크림, 세안폼, 클렌징크림, 클렌징밀크, 클렌징로션,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모이스처크림, 팩, 에프터세이빙크림, 썬텐방지크림, 썬텐용 오일, 파운데이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적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비교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비교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창포 냉수 추출물의 제조
창포의 근경 및 뿌리는 3월 초 잎이 나기 전의 것을 충주시 동량면 산유화 자생식물원에서 채취하여, 보름간 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말린 후 사용하였으며, 잎은 5월 중순과 7월 말 2회에 걸쳐 자라난 잎(Leaf)을 충주시 동량면 산유화 자생식물원에서 채취하여 보름간 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말린 다음, 창포 근경, 뿌리 및 잎 시료 건조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여 3일간 침적한 후 여과하였다. 이를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창포 근경(141g/1.5kg), 뿌리(10g/500g) 및 잎(10g/586g) 냉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창포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창포의 근경 및 뿌리는 3월 초 잎이 나기 전의 것을 충주시 동량면 산유화 자생식물원에서 채취하여 보름간 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말린 후 사용하였으며, 잎은 5월 중순 과 7월 말 2회에 걸쳐 자라난 잎(Leaf)을 충주시 동량면 산유화 자생식물원에서 채취하여 보름간 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말린 다음, 창포 근경, 뿌리 및 잎 시료 건조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90% 에탄올을 첨가하여 3일간 침적하여 창포 근경(8.7g/200g), 뿌리(0.1g/200g) 및 잎(0.1g/200g)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추출물을 분말 형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오일 성분을 헥산으로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창포 분말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하기 실험에서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창포 근경 헥산 오일의 제조
창포의 근경은 3월 초 잎이 나기 전의 것을 충주시 동량면 산유화 자생식물원에서 채취하여 보름간 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말린 후, 창포 근경 시료 건조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헥산을 첨가하여 1일 내지 3일간 침적하여 여과한 다음, 헥산 층을 감압 농축하여 창포 근경 (1ml/200g) 헥산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를 하기 실험에서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창포 오일(oil)의 제조
창포의 근경 및 뿌리는 3월 초 잎이 나기 전의 것을 충주시 동량면 산유화 자생식물원에서 채취하여 보름간 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말린 후 사용 하였으며, 잎은 5월 중순 과 7월 말 2회에 걸쳐 자라난 잎(Leaf)을 충주시 동량면 산유화 자생식물원에서 채취하여 보름간 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말린 다음, 마쇄기로 분말화하여 정유(精油, essential oil) 추출장치(동경제작소, 일본)를 이용하여 분말 시료를 추출 장치에 넣은 후, 하방으로부터 수증기를 불어넣어 수증기와 함께 비등되어 나오는 향유 성분을 냉각 분리하여 창포 근경 오일(1.5-2ml/500g) 및 창포 잎 오일(300ul-500ul/40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창포 오일(oil)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유연 화장수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대조 비교예로서 창포 오일 대신에 티트리 오일(비교예 4) 또는 클로버 잎 오일(비교예 5)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그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원료 창포 오일 화장료 조성물(중량 %) 비교예 4(중량 %) 비교예 5(중량 %)
창포 오일 5.0 - -
1,3-부틸렌 글리콜 7.0 7.0 7.0
글리세린 5.0 5.0 5.0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0.2 0.2 0.2
티트리 오일 - 5.0 -
클로버잎 오일 - - 5.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실험예 1. 창포 오일의 항균작용 측정
창포 오일의 항균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여드름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 진균인 칸디다 알비칸(Candida albican), 대장균(E. coil) 및 식중독균인 살모넬라(Salmonella)를 사용하였으며, 항균 측정은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를 사용하였다. 대조구는 창포 근경 헥산 오일, 창포 근경 및 잎 에탄올 추출물과 오일을 희석하는데 사용한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단독을 사용하였다. 양성대조구(positive control)로는 암피실린(ampicillin), 아사론(asarone), 유게놀(Eugenol) 등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창포의 성분 중 하나로 항균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유게놀은 모든 균에 공통적으로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었으며, 창포의 주요 성분이면서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아사론은 항균작용이 대체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시스-아사론만이 여드름균에 약한 항균작용을 나타낸 반면, 창포를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한 창포 오일은 여드름균에만 강력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그 외 창포의 근경 및 잎의 에탄올 추출물은 창포 오일에 비하면 약하지만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 항균작용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여드름균 진균 장내세균 식중독균
창포오일 ++ - - -
시스-아사론 ± - - -
트랜스-아사론 - - - -
근경 에탄올 추출물(비교예 2) ± ± - -
잎 에탄올 추출물(비교예 2) ± - - -
근경 헥산 오일(비교예 3) - ± - -
근경 냉수 추출물(비교예 1) - - - -
유게놀 +++ ++ ++ ++
1-1.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작용 검증
GAM 배양액(broth) 및 GAM 배지(agar)를 사용하여 균주를 스트리킹(streaking)하고, 37℃ 혐기(anaerobic) 조건에서 72시간 배양하여 단일 콜로니(single colony)를 획득한 후, 10㎖의 GAM 배양액에 단일 콜로니를 접종하여 37℃의 혐기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재배양하였다. GAM 배양액에서 10-5으로 희석한 다음 각각의 GAM 배지에 10-5으로 희석한 균을 100㎕씩 접종하고, 접종된 페트리 접시(petri dish)에 각각의 시료를 적신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를 올려놓은 후, 37℃ 혐기조건에서 72시간 배양한 다음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창포 오일(essential oil)이 여드름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유게놀은 창포 오일보다 약 5배 강한 항균작용을 나타냈다. 창포 근경 에탄올 추출물과 시스-아사론(cis-asarone)은 약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었다. 추출용매로 사용한 에탄올, 헥산과 희석액으로 사용한 미네랄 오일(mineral oil)을 음성대조구(negative control)로 사용한 실험에서는 항균작용을 보이지 않았다(도 1 참조; A:창포 오일을 희석하지 않은 실험구, B:창포 오일을 ⑥10-1, ③10-2, ④10 -3, ⑤10-4로 희석한 실험구, C:유게놀을 ②10-1, ④10-2, ⑤10-3 으로 희석한 실험구, D:시스-아사론을 ⑥10-2, ③10-3, ④10-4, ⑤10-5으로 희석한 실험구, E:트랜스-아사론을 ⑥10-1, ③10-2, ④10-3, ⑤10-4으로 희석한 실험구, F:근경 에탄올 추출물을 ⑥원액, ③10-1, ④10-2, ⑤10-3으로 희석 사용한 실험구, G:잎 에탄올 추출물을 ⑥원액, ③10-1, ④10-2, ⑤10-3으로 희석 사용한 실험구, H:시료의 위치는 그림과 같이 임의로 순서를 정함).
1-2. 진균(Candida albican)에 대한 항균작용 검증
YM 배양액 및 YM 배지를 사용하여 균주를 스트리킹(streaking)하여 25℃의 혐기 조건에서 72시간 배양하여 단일 콜로니(single colony)를 획득한 후, 10㎖ YM 배양액에 단일 콜로니를 접종하여 25℃의 혐기 조건에서 72시간 재배양하였다. YM 배양액에 10-5으로 희석한 다음, 각각의 YM 배지에 10-5으로 희석된 균을 100㎕씩 접종하고 접종된 페트리 접시에 각각의 시료를 적신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를 올려놓은 후, 25℃의 혐기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유게놀은 강한 항진균 작용을 가지고 있으나 창포 오일성분은 항진균 작용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창포 근경의 에탄올 추출물 및 창포 근경 헥산오일은 약간의 항진균 작용을 나타내었다(도 2 참조; A:창포 오일을 희석하지 않은 실험구, B:유게놀을 ②10-1, ③10-2, ④10-3으로 희석한 실험구, C:근경 에탄올 추출물을 ⑥원액, ②10-1, ③10-2, ④10-3으로 희석 사용한 실험구, D:암피실린을 ①10-3, ④10-4, ⑤10-5으로 희석한 시료와 ②미네랄 오일, ③근경 에탄올 추출물 원액, ⑥근경 헥산오일을 사용한 실험구).
1-3. 장내세균(E. coli)에 대한 항균작용 검증
LB 배양액 및 LB 배지를 사용하여 균주를 스트리킹하여 37℃의 혐기 조건에서 12시간 배양하여 단일 콜로니를 획득한 후, 10㎖의 LB 배양액에 단일 콜로니를 접종하여 37℃의 혐기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재배양하였다. LB 배양액에 10-5으로 희석한 다음, 각각의 LB 배지에 10-5으로 희석된 균을 100㎕씩 접종하고 접종된 페트리 접시에 각각의 시료를 적신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를 올려놓은 후, 37℃의 혐기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유게놀과 양성 대조구(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암피실린 (ampicillin)에서만 장내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었으며, 그 외 창포 오일, 아사론계 및 창포 근경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 장내세균의 작용이 보이지 않았다(도 3 참조; A:창포 오일의 ⑥원액, ③10-1, ④10-2, ⑤10-3으로 희석한 실험구, B:유게놀을 ⑥원액, ③10-1, ④10-2, ⑤10-3으로 희석한 실험구, C:시스-아사론을 ③원액, ⑥10-1로 희석한 실험구와 트랜스-아사론을 ④원액, ⑤10-1으로 희석한 실험구, D:근경 에탄올 추출물의 ⑥원액, ④10-1으로 희석한 실험구와 잎 에탄올 추출물의 ⑤원액, ④10-1으로 희석한 실험구, E:암피실린을 ⑥10-3, ⑤10-4, ③10-5 , ④10-6으로 희석한 실험구).
1-4. 식중독균(Salmonella)에 대한 항균작용 검증
BHI 배양액 및 BHI 배지를 사용하여 균주를 스트리킹하여 37℃의 혐기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단일 콜로니를 획득한 후, 10㎖의 BHI 배양액에 단일 콜로니를 접종하여 37℃의 혐기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재배양하였다. BHI 배양액에 10-5으로 희석한 다음, 각각의 BHI 배지에 10-5으로 희석된 균을 100㎕씩 접종하고, 접종된 페트리 접시에 각각의 시료를 적신 페이퍼 디스크를 올려놓은 후, 37℃의 혐기 조건에서 12시간 배양한 다음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작용도 유게놀성분에서만 강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으며, 그 외 창포 오일이나 아사론계에서는 항균작용이 보이지 않았다(도 4 참조; A:창포 오일을 ⑥원액, ③10-1, ④10-2, ⑤10-3으로 희석한 실험구, B:유게놀을 ⑥원액, ③10-1, ④10-2, ⑤10-3으로 희석한 실험구, C:시스-아사론을 ③원액, ⑥10-1으로 희석한 실험구와 트랜스-아사론을 ④원액, ⑤10-1으로 희석한 실험구).
실험예 2. 여드름에 대한 개선 효과 비교 실험
실시예 2의 본 발명의 창포 오일 함유 유연 화장수 및 비교예 1, 2를 16 내지 27세의 여성 중 여드름을 가진 15명에 대하여 각 4주간 하루 2회씩 사용하게 한 후, 여드름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효과 양호 효과 약간 효과 없음 악화됨
창포 오일 함유 화장료 조성물 8(53%) 6(40%) 1(6.7%) -
티트리 오일(비교예 4) - 6(40%) 7(47%) 2(13.3%)
클로버 잎 오일(비교예 5) - 7(47%) 8(53%) -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유연 화장수(스킨), 로션, 에센스, 세안제(클렌징 폼)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스킨)
성분 함량(중량 %)
창포 오일 5.0
1,3-부틸렌 글리콜 3.0
글리세린 5.0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 피마자유 0.2
에탄올 8.0
구연산 0.02
구연산 나트륨 0.06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로션(에멀젼)
성분 함량(중량 %)
창포 오일 4.0
부틸렌글리콜 8.0
글리세린 5.0
스쿠알란 10.0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6E.O) 2.0
트리에탄올 아민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아르기닌 0.1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에센스
성분 함량(중량 %)
창포 오일 10.0
시토 스테롤 1.7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세라마이드 0.7
세테아레스-4 1.2
콜레스테롤 1.5
디세틸포스페이트 0.4
농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산탄검 0.2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세안제(클렌징 폼)
성분 함량(중량 %)
창포 오일 20.0
N-아실글루타민산 나트륨 20.0
글리세린 10.0
PEG-400 15.0
프로필렌 글리콜 10.0
POE(15)올레일알코올 에테르 3.0
라우린 유도체 2.0
메틸 파라벤 0.2
EDTA-4Na 0.03
향료 0.2
정제수 잔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포 오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균에 대하여 탁월한 항균 활성을 가짐으로 여드름에 의한 피부트러블의 개선 효과를 가지며, 피부 자극에도 문제가 없으므로 크림, 유연 화장수, 로션, 클렌징(세안제) 등의 다양한 기능성 화장료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창포 오일 및 실험샘플군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검증한 도이며,
도 2는 창포 오일 및 실험샘플군의 진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검증한 도이고,
도 3은 창포 오일 및 실험샘플군의 장내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검증한 도이며,
도 4는 창포 오일 및 실험샘플군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검증한 도이다.

Claims (3)

  1. 항균 활성을 갖는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창포 오일은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추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스킨), 크림, 에멀젼(로션), 에센스, 영양수, 세정액, 팩, 미용액 및 파운데이션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83416A 2003-11-24 2003-11-24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조성물 KR10053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416A KR100538142B1 (ko) 2003-11-24 2003-11-24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416A KR100538142B1 (ko) 2003-11-24 2003-11-24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713A KR20050049713A (ko) 2005-05-27
KR100538142B1 true KR100538142B1 (ko) 2005-12-21

Family

ID=3866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416A KR100538142B1 (ko) 2003-11-24 2003-11-24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315B1 (ko) * 2016-03-18 2019-07-04 (주)셀아이콘랩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713A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225B1 (ko) 독일붓꽃, 병풀, 캐모마일, 달맞이꽃 및 어성초 추출물을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985354B1 (ko) 여드름 병변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0002A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708236B1 (ko) 피부 수렴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90055243A (ko) 현호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디하이드로코리달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12130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79263B1 (ko) 마유의 정제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정제마유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261A (ko) 소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 개선 및치료용 조성물
KR20190098603A (ko) 미생물 발효물이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KR102171924B1 (ko)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38142B1 (ko)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조성물
KR2005004542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3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2234670B1 (ko) 스쿠알렌 및 달팽이알 추출물이 함유된 임신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9516B1 (ko)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발 보호 화장료 조성물
KR102356382B1 (ko)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