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645B1 -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645B1
KR102381645B1 KR1020210138427A KR20210138427A KR102381645B1 KR 102381645 B1 KR102381645 B1 KR 102381645B1 KR 1020210138427 A KR1020210138427 A KR 1020210138427A KR 20210138427 A KR20210138427 A KR 20210138427A KR 102381645 B1 KR102381645 B1 KR 102381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fermented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규
김선희
Original Assignee
박선규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규, 김선희 filed Critical 박선규
Priority to KR102021013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연줄기발효액 75~85중량%, 복령발효추출물 1~5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3~7중량%, 글리세린(Glycerin) 3~7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1중량%,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0.1~0.5중량%,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 0.1~0.5중량%, 알지닌(Arginine) 0.01~0.1중량%,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0.01~0.1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1~5중량%, 메틸파라벤 (Methyl Paraben) 0.1~1중량%, 카보머(Carbomer) 0.1~1중량%,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1중량%,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0.01~0.1중량%, 스쿠알란(Squalane) 3~7중량%, 비즈왁스(BeesWax) 1~3중량%,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1~3중량%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1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항산화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피부 미백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oria cocos Fermentation Extract}
본 발명은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산화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미백효과가 우수한,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복령(Poria cocos)은 소나무 뿌리에서 자라난 균핵으로, 지름 5 내지 7㎝의 공모양 혹은 타원형을 띄며, 땅 위에서는 나무껍질 조각과 함께 밤색 또는 더러운 흑색을 띤다. 코르크화되어 단단하고 0.2 내지 0.5㎜의 두께로 덮여 있다. 내용물은 하얗거나 분홍색이고, 방사상으로 균열이 생긴다. 거의 맛과 냄새가 없으나, 때로는 연한 점액과 함께 펴지며 요오드에 양성 반응을 나타낸다.
복령은 예로부터, 지라를 건강하게 하고, 안정제로 쓰이며, 태열안정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몸을 따뜻하게 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소화성 궤양, 근육경련, 갈증, 현훈, 정신불안, 실면증에 효과적이며, 한약재로 강장, 이뇨, 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 방광염, 요도염에 이용되었다. 또한 접촉성 피부염 억제작용 효과가 밝혀져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46738호(2008.07.16.)에는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피부 자극이 큰 단점이 있다.
KR 10-0846738 B1 2008.07.16.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미백효과가 우수한,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줄기발효액 75~85중량%, 복령발효추출물 1~5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3~7중량%, 글리세린(Glycerin) 3~7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1중량%,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0.1~0.5중량%,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 0.1~0.5중량%, 알지닌(Arginine) 0.01~0.1중량%,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0.01~0.1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1~5중량%, 메틸파라벤 (Methyl Paraben) 0.1~1중량%, 카보머(Carbomer) 0.1~1중량%,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1중량%,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0.01~0.1중량%, 스쿠알란(Squalane) 3~7중량%, 비즈왁스(BeesWax) 1~3중량%,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1~3중량%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1중량%를 포함하는,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연줄기발효액은, 연줄기를 아로니아식초에 20~30℃에서 5~1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아로니아식초에 침지된 연줄기를 110~120℃에서 20~3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된 연줄기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120~13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연줄기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연줄기추출액 100중량부에 플루라나제 1중량부를 가하고 45℃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한 연줄기추출액 100중량부에 아로니아 발효액 1~5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24~26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아로니아식초는, 현미추출액 100중량부에 아로니아 30~40중량부를 가하고 95~105℃에서 50~60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아로니아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액화효소 3~4중량부를 첨가하고 60℃에서 20~30분 동안 액화시키는 단계; 상기 액화된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당화효소 3~4중량부를 첨가하고 60℃에서 50~60분 동안 당화시키는 단계; 상기 당화된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1~3중량부를 가하고 30~35℃에서 3~4일 동안 알코올 발효시켜 알코올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발효액 100중량부에 초산균 1~5중량부를 가하고 30~35℃에서 10~13일 동안 초산 발효시켜 초산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초산발효액을 10~20℃에서 10~3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현미추출액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현미 10~15중량부, 머위 1~5중량부, 우엉 1~5중량부 및 유근피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아로니아 발효액은 아로니아 45~50중량%, 프락토올리고당 45~50중량% 및 자일로스 1~6중량%를 혼합한 후 20~25℃에서 30~32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복령발효추출물은, 복령을 1.5%(w/v) 농도의 자염수에 20~30℃에서 20~3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자염수에 침지된 복령 100중량부에 정제수 300~400중량부를 가한 혼합물을 2,450MHz의 마이크로파로 10분 동안 조사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파 처리된 혼합물을 가하고 1.2~1.6기압, 80~90℃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여 복령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복령추출액 100중량부에 알파-아밀라제 1중량부를 가하고 45℃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한 복령추출액 100중량부에 연자방종균 1~5중량부를 가하고 20~25℃에서 12~14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연자방종균은, 연자방 100g에 100㎖의 멸균수를 가하고 마쇄기로 분쇄한 다음 착즙한 후 여과하여 연자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옥수수가루 및 갈락토오스를 중량비 1:1로 배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 100중량부에 상기 연자방 추출액 50중량부를 가하고 20~22℃에서 20~22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항산화 효과 향상제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항산화 효과 향상제는 연근발효액 70~80중량%, 대봉감추출액 15~25중량% 및 산돌배추출액 1~6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연근발효액은, 연근을 까마중추출액에 20~30℃에서 5~1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까마중추출액에 침지된 연근을 50~60℃에서 20~22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연근 100중량부에 정제수 200~300중량부를 가하고 55~60㎝Hg, 7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연근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연근추출액 100주양부에 셀룰라제 1중량부를 가하고 45℃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한 연근추출액 100중량부에 복분자 발효액 1~5중량부를 가하고 30~32℃에서 48~50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까마중추출액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까마중 10~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복분자 발효액은 복분자착즙액 45~50중량%, 알룰로스 45~50중량% 및 진피추출액 1~6중량%를 혼합한 후 25~27℃에서 10~12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진피추출액은 진피 100중량부에 95%(v/v) 에탄올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25~27℃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대봉감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머위 1~5중량부, 우엉 1~5중량부 및 유근피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대봉감을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된 대봉감 100중량부에 상기 제1 추출액 500~600중량부, 탈지분유 1~5중량부, 구연산 1~3중량부 및 이소말토올리고당 1~3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40~50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대봉감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봉감추출액 100중량부에 아밀로글루코시다제 2중량부를 가하고 65℃에서 1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산돌배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1~5중량부, 블랙베리 1~5중량부 및 마키베리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산돌배를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산돌배 100중량부에 상기 제2 추출액 500~600중량부, 루틴 1~5중량부 및 셀룰라아제 1~3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40~50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피부 미백 향상제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피부미백 향상제는 부추 추출물 60~70중량%, 왕모시풀 추출물 20~30중량% 및 인삼발효물 5~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부추 추출물은 부추 100중량부에 95%(v/v) 에탄올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3~4일 동안 추출한 후에 여과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왕모시풀 추출물은 왕모시풀 100중량부에 정제수 200~300중량부를 가하고 55~60㎝Hg, 7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인삼발효물은 인삼 100중량부에 100%(v/v) 에탄올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75~80℃에서 9~10시간 동안 추출한 인삼추출액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발효액 1~5중량부를 가하고 25~28℃에서 40~42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블로베리발효액은 블루베리착즙액 100중량부에 효모 1~5중량부를 가하고 20~24℃에서 48~50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연줄기발효액 75~85중량%, 복령발효추출물 1~5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3~7중량%, 글리세린(Glycerin) 3~7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1중량%,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0.1~0.5중량%,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 0.1~0.5중량%, 알지닌(Arginine) 0.01~0.1중량%,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0.01~0.1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1~5중량%, 메틸파라벤 (Methyl Paraben) 0.1~1중량%, 카보머(Carbomer) 0.1~1중량%,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1중량%,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0.01~0.1중량%, 스쿠알란(Squalane) 3~7중량%, 비즈왁스(BeesWax) 1~3중량%,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1~3중량%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1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제수 대신에 연줄기발효액을 사용하므로써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증진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연줄기발효액은,
연줄기를 아로니아식초에 20~30℃에서 5~1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아로니아식초에 침지된 연줄기를 110~120℃에서 20~3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된 연줄기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120~13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연줄기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연줄기추출액 100중량부에 플루라나제 1중량부를 가하고 45℃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한 연줄기추출액 100중량부에 아로니아 발효액 1~5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24~26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아로니아식초는,
현미추출액 100중량부에 아로니아 30~40중량부를 가하고 95~105℃에서 50~60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아로니아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액화효소 3~4중량부를 첨가하고 60℃에서 20~30분 동안 액화시키는 단계;
상기 액화된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당화효소 3~4중량부를 첨가하고 60℃에서 50~60분 동안 당화시키는 단계;
상기 당화된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1~3중량부를 가하고 30~35℃에서 3~4일 동안 알코올 발효시켜 알코올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발효액 100중량부에 초산균 1~5중량부를 가하고 30~35℃에서 10~13일 동안 초산 발효시켜 초산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초산발효액을 10~20℃에서 10~3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현미추출액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현미 10~15중량부, 머위 1~5중량부, 우엉 1~5중량부 및 유근피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아로니아 발효액은 아로니아 45~50중량%, 프락토올리고당 45~50중량% 및 자일로스 1~6중량%를 혼합한 후 20~25℃에서 30~32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복령추출물 대신에 복령발효추출물을 사용하므로써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복령발효추출물은,
복령을 1.5%(w/v) 농도의 자염수에 20~30℃에서 20~3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자염수에 침지된 복령 100중량부에 정제수 300~400중량부를 가한 혼합물을 2,450MHz의 마이크로파로 10분 동안 조사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파 처리된 혼합물을 가하고 1.2~1.6기압, 80~90℃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여 복령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복령추출액 100중량부에 알파-아밀라제 1중량부를 가하고 45℃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한 복령추출액 100중량부에 연자방종균 1~5중량부를 가하고 20~25℃에서 12~14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연자방종균은,
연자방 100g에 100㎖의 멸균수를 가하고 마쇄기로 분쇄한 다음 착즙한 후 여과하여 연자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옥수수가루 및 갈락토오스를 중량비 1:1로 배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 100중량부에 상기 연자방 추출액 50중량부를 가하고 20~22℃에서 20~22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각 성분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유기용매로 사용된다.
상기 글리세린은 유지성분을 포함하는 습윤제로서,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피부에 수분을 보급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건조한 피부를 윤기있게 보습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글리세린은 피부의 활력을 증진시켜주는 스킨 컨디셔닝 효과와 혐기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며, 탈취 효과를 발현한다.
상기 다이소듐이디티에이는 각 성분이 제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안정화제로서, 특히 미생물이 번식하거나 납이나 중금속 등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화제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시트릭애씨드는 pH 조절제로 사용된다.
상기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역할을 수행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입자 최외각의 계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입체 장애를 극대화하여 입자와 입자간의 합일을 막아 입자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저온 및 고온에서도 안정하게 다중에멀젼 상의 형태를 유지하고 수용성 및 유용성 유효성분들을 안정화하여 피부 속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정화는 수용성 유효성분들 및 중간상인 유용성 유효성분들의 유리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강력한 입체장애 효과에 기인한다.
상기 알지닌(Arginine)은 천연에 존재하는 알칼리성 필수 아미노산으로 피부의 노화방지와 상처 치유 등의 재생효과를 향상시키고, 피부에 작용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은 방부제로 포함된다.
상기 1,2-헥산다이올는 방부제로 포함된다.
상기 메틸파라벤은 화장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습제의 하나로 다양한 미생물에 효과적이며 상대적으로 자극이 적고 독성이 적다. 대부분의 화장품의 산도에서 안정적이며 물에 잘 녹아 워터베이스 제품에 충분한 량을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카보머는 피부에 청량감을 주기 위해 첨가된다.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은 산도를 조절하는 pH 조절제로 포함된다.
상기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는 황산콘드로이틴 등과 함께 주요한 뮤코다당류로 알려져 있다. N-아세틸 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이 교대로 사슬 모양으로 결합한 분자량이 20만~40만 되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눈의 초자체나 탯줄 등에 존재하며, 점성이 크고 세균의 침입이나 독물의 침투를 막는 데 중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식물의 펙틴질과 비슷하며, 히알루로니다아제에 의하여 가수분해된다. 1934년 소의 초자체막으로부터 마이어가 처음으로 얻었고, 초자체막(hyaloid)의 우론산이라는 뜻으로 이름을 붙였다.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매우 강력한 친수성과 높은 점성을 가지며, 뛰어난 수분함유능력으로 수분 균형을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또한 분자에 카르복실기(COO-)와 같은 음전하를 띠는 부분이 끊임없이 반복되기 때문에 물분자와 결합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난 것이 특징으로,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인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이라는 또 다른 특징을 갖는다.
상기 스쿠알란(Squalane), 비즈왁스(BeesWax) 및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는 화장료에 사용되는 유상 성분으로 포함된다.
상기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는 지용성 화합물로 비타민 E 아세테이트(vitamin E acetate)로도 불리며, 유해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세포막을 구성하는 불포화지방산의 산화를 억제하는 등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항산화 효과 향상제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효과 향상제는 연근발효액 70~80중량%, 대봉감추출액 15~25중량% 및 산돌배추출액 1~6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연근발효액은,
연근을 까마중추출액에 20~30℃에서 5~1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까마중추출액에 침지된 연근을 50~60℃에서 20~22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연근 100중량부에 정제수 200~300중량부를 가하고 55~60㎝Hg, 7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연근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연근추출액 100주양부에 셀룰라제 1중량부를 가하고 45℃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한 연근추출액 100중량부에 복분자 발효액 1~5중량부를 가하고 30~32℃에서 48~50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까마중추출액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까마중 10~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복분자 발효액은 복분자착즙액 45~50중량%, 알룰로스 45~50중량% 및 진피추출액 1~6중량%를 혼합한 후 25~27℃에서 10~12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진피추출액은 진피 100중량부에 95%(v/v) 에탄올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25~27℃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대봉감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머위 1~5중량부, 우엉 1~5중량부 및 유근피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대봉감을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된 대봉감 100중량부에 상기 제1 추출액 500~600중량부, 탈지분유 1~5중량부, 구연산 1~3중량부 및 이소말토올리고당 1~3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40~50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대봉감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봉감추출액 100중량부에 아밀로글루코시다제 2중량부를 가하고 65℃에서 1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산돌배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1~5중량부, 블랙베리 1~5중량부 및 마키베리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산돌배를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산돌배 100중량부에 상기 제2 추출액 500~600중량부, 루틴 1~5중량부 및 셀룰라아제 1~3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40~50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피부 미백 향상제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미백 향상제는 부추 추출물 60~70중량%, 왕모시풀 추출물 20~30중량% 및 인삼발효물 5~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부추 추출물은 부추 100중량부에 95%(v/v) 에탄올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3~4일 동안 추출한 후에 여과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왕모시풀 추출물은 왕모시풀 100중량부에 정제수 200~300중량부를 가하고 55~60㎝Hg, 7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인삼발효물은 인삼 100중량부에 100%(v/v) 에탄올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75~80℃에서 9~10시간 동안 추출한 인삼추출액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발효액 1~5중량부를 가하고 25~28℃에서 40~42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블로베리발효액은 블루베리착즙액 100중량부에 효모 1~5중량부를 가하고 20~24℃에서 48~50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령을 1.5%(w/v) 농도의 자염수에 20℃에서 30분 동안 침지하고, 상기 자염수에 침지된 복령 100중량부에 정제수 400중량부를 가한 혼합물을 2,450MHz의 마이크로파로 10분 동안 조사하고, 상기 마이크로파 처리된 혼합물을 가하고 1.2기압, 9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복령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복령추출액 100중량부에 알파-아밀라제 1중량부를 가하고 45℃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하고, 상기 효소처리한 복령추출액 100중량부에 연자방종균 5중량부를 가하고 25℃에서 14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복령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연자방종균은, 연자방 100g에 100㎖의 멸균수를 가하고 마쇄기로 분쇄한 다음 착즙한 후 여과하여 연자방 추출액을 제조하고, 옥수수가루 및 갈락토오스를 중량비 1:1로 배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상기 배지 100중량부에 상기 연자방 추출액 50중량부를 가하고 22℃에서 2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백복령 시료 1㎏에 대한 3배의 추출용매(7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3회 추출후, 여과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로 농축하고 그 일부를 취하여 동결 건조하여 백복령 추출물 7.1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령발효추출물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백복령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다.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각 추출물 당 100ppm의 농도별 시료용액 20㎕에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분석 키트(SOD assay kit-WST) 내 더블류에스티 작업용액(WST working solution) 200㎕을 넣어 교반한 후, 다시 효소작업용액(Enzyme working solution) 20㎕를 넣어 혼합한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동일 농도의 엘-아스코르빈산을 사용하였으며,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시료(250ppm)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
실시예 1 62.8
비교예 1 34.4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령발효추출물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백복령추출물에 비하여 슈퍼옥사이드 디스큐타제 유사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연줄기발효액 75중량%, 실시예 1의 복령발효추출물 5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3중량%, 글리세린(Glycerin) 3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1중량%,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0.3중량%,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 0.3중량%, 알지닌(Arginine) 0.1중량%,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0.1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3중량%, 메틸파라벤 (Methyl Paraben) 1중량%, 카보머(Carbomer) 1중량%,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1중량%,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0.1중량%, 스쿠알란(Squalane) 3중량%, 비즈왁스(BeesWax) 1중량%,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2중량%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1중량%를 20rpm으로 40분 동안 교반하여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연줄기발효액은, 연줄기를 아로니아식초에 30℃에서 10분 동안 침지하고, 상기 아로니아식초에 침지된 연줄기를 110℃에서 30분 동안 증숙하고, 상기 증숙된 연줄기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600중량부를 가하고 12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연줄기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연줄기추출액 100중량부에 플루라나제 1중량부를 가하고 45℃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하고, 상기 효소처리한 연줄기추출액 100중량부에 아로니아 발효액 5중량부를 가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아로니아식초는, 현미추출액 100중량부에 아로니아 40중량부를 가하고 95℃에서 60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아로니아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액화효소 4중량부를 첨가하고 60℃에서 30분 동안 액화시키고, 상기 액화된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당화효소 4중량부를 첨가하고 60℃에서 60분 동안 당화시키고, 상기 당화된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3중량부를 가하고 30℃에서 4일 동안 알코올 발효시켜 알코올발효액을 수득하고, 상기 알코올발효액 100중량부에 초산균 5중량부를 가하고 30℃에서 10일 동안 초산 발효시켜 초산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초산발효액을 10℃에서 10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현미추출액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현미 15중량부, 머위 5중량부, 우엉 5중량부 및 유근피 5중량부를 가하고 105℃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아로니아 발효액은 아로니아 50중량%, 프락토올리고당 45중량% 및 자일로스 5중량%를 혼합한 후 25℃에서 3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서 연줄기발효액 75중량% 대신에 정제수 75중량%를 사용한 것과 실시예 1의 복령발효추출물 5중량% 대신에 비교예 1의 백복령추출물 5중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현재 피부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20 내지 30대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완의 안쪽 부위에 테입 스트리핑 법(Tape Stripping Method)을 통한 피부자극을 유발한 후,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유발된 자극이 진정되는 정도를 상대평가 하였다. 먼저 하완의 안쪽 부위 두 곳에 일반 스카치 테잎으로 30회 테이핑을 하여 피부 홍반을 유발하였다. 홍반 유발된 후,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였으며,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도포 후 3시간 후 피부자극 정도를 평가하여 표2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피부자극정도
실시예 2 0 0
비교예 2 3 3
<피부자극정도(홍반) 평가>
0: 무반응 1: 매우 경미한 홍반흔적 2: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3: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4: 뚜렷한 홍반 5: 심한 홍반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피부미백 향상제 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였다.
상기 피부미백 향상제는 부추 추출물 70중량%, 왕모시풀 추출물 25중량% 및 인삼발효물 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부추 추출물은 부추 100중량부에 95%(v/v) 에탄올 600중량부를 가하고 30℃에서 3일 동안 추출한 후에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왕모시풀 추출물은 왕모시풀 100중량부에 정제수 300중량부를 가하고 60㎝Hg, 75℃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인삼발효물은 인삼 100중량부에 100%(v/v) 에탄올 600중량부를 가하고 8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한 인삼추출액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발효액 5중량부를 가하고 28℃에서 40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블로베리발효액은 블루베리착즙액 100중량부에 효모 5중량부를 가하고 24℃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실시예 2, 3의 화장료 조성물 및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피부 미백효과의 지속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실험참가자(30대 성인 여성 30명)를 대상으로 1일 3회씩 10일간 세안 후 화장료 로션을 2g씩 얼굴에 도포하게 하고 10일째 되는날 피부미백 개선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11째되는 날부터 5일간 상기 화장료 로션을 도포하지 않게 하였으며, 매일 피부의 미백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미백측정은 실험개시 직전에 30명 성인여자를 대상으로 세안후 측정된 피부색의 톤의 평균값을 100으로 기준을 정하고, 피부톤의 밝아진 정도를 수치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실험전 10일째 11일째 12일째 13일째 14일째 15일째
실시예 2 100 155 150 149 146 141 139
실시예 3 100 168 159 155 153 152 149
비교예 2 100 115 108 105 102 100 100
표 3에 의하면 실시예 2, 3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피부미백효과가 우수하며, 피부미백지속효과 또한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연줄기발효액 75~85중량%, 복령발효추출물 1~5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3~7중량%, 글리세린(Glycerin) 3~7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1~0.1중량%,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0.1~0.5중량%,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Sodium Stearoyl Glutamate) 0.1~0.5중량%, 알지닌(Arginine) 0.01~0.1중량%,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0.01~0.1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1~5중량%, 메틸파라벤 (Methyl Paraben) 0.1~1중량%, 카보머(Carbomer) 0.1~1중량%,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1중량%,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0.01~0.1중량%, 스쿠알란(Squalane) 3~7중량%, 비즈왁스(BeesWax) 1~3중량%,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1~3중량%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1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연줄기발효액은,
    연줄기를 아로니아식초에 20~30℃에서 5~1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아로니아식초에 침지된 연줄기를 110~120℃에서 20~3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된 연줄기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120~13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연줄기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연줄기추출액 100중량부에 플루라나제 1중량부를 가하고 45℃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한 연줄기추출액 100중량부에 아로니아 발효액 1~5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24~26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아로니아식초는,
    현미추출액 100중량부에 아로니아 30~40중량부를 가하고 95~105℃에서 50~60분 동안 가열한 후에 여과하여 아로니아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액화효소 3~4중량부를 첨가하고 60℃에서 20~30분 동안 액화시키는 단계;
    상기 액화된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당화효소 3~4중량부를 첨가하고 60℃에서 50~60분 동안 당화시키는 단계;
    상기 당화된 아로니아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1~3중량부를 가하고 30~35℃에서 3~4일 동안 알코올 발효시켜 알코올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발효액 100중량부에 초산균 1~5중량부를 가하고 30~35℃에서 10~13일 동안 초산 발효시켜 초산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초산발효액을 10~20℃에서 10~3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현미추출액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현미 10~15중량부, 머위 1~5중량부, 우엉 1~5중량부 및 유근피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아로니아 발효액은 아로니아 45~50중량%, 프락토올리고당 45~50중량% 및 자일로스 1~6중량%를 혼합한 후 20~25℃에서 30~32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하는,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령발효추출물은,
    복령을 1.5%(w/v) 농도의 자염수에 20~30℃에서 20~3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자염수에 침지된 복령 100중량부에 정제수 300~400중량부를 가한 혼합물을 2,450MHz의 마이크로파로 10분 동안 조사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파 처리된 혼합물을 가하고 1.2~1.6기압, 80~90℃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여 복령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복령추출액 100중량부에 알파-아밀라제 1중량부를 가하고 45℃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한 복령추출액 100중량부에 연자방종균 1~5중량부를 가하고 20~25℃에서 12~14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연자방종균은,
    연자방 100g에 100㎖의 멸균수를 가하고 마쇄기로 분쇄한 다음 착즙한 후 여과하여 연자방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옥수수가루 및 갈락토오스를 중량비 1:1로 배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 100중량부에 상기 연자방 추출액 50중량부를 가하고 20~22℃에서 20~22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항산화 효과 향상제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항산화 효과 향상제는 연근발효액 70~80중량%, 대봉감추출액 15~25중량% 및 산돌배추출액 1~6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연근발효액은,
    연근을 까마중추출액에 20~30℃에서 5~10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까마중추출액에 침지된 연근을 50~60℃에서 20~22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연근 100중량부에 정제수 200~300중량부를 가하고 55~60㎝Hg, 7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연근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연근추출액 100주양부에 셀룰라제 1중량부를 가하고 45℃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한 연근추출액 100중량부에 복분자 발효액 1~5중량부를 가하고 30~32℃에서 48~50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까마중추출액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까마중 10~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복분자 발효액은 복분자착즙액 45~50중량%, 알룰로스 45~50중량% 및 진피추출액 1~6중량%를 혼합한 후 25~27℃에서 10~12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진피추출액은 진피 100중량부에 95%(v/v) 에탄올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25~27℃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대봉감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머위 1~5중량부, 우엉 1~5중량부 및 유근피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제1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대봉감을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된 대봉감 100중량부에 상기 제1 추출액 500~600중량부, 탈지분유 1~5중량부, 구연산 1~3중량부 및 이소말토올리고당 1~3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40~50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대봉감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대봉감추출액 100중량부에 아밀로글루코시다제 2중량부를 가하고 65℃에서 1시간 동안 효소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산돌배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1~5중량부, 블랙베리 1~5중량부 및 마키베리 1~5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제2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산돌배를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산돌배 100중량부에 상기 제2 추출액 500~600중량부, 루틴 1~5중량부 및 셀룰라아제 1~3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40~50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피부 미백 향상제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피부미백 향상제는 부추 추출물 60~70중량%, 왕모시풀 추출물 20~30중량% 및 인삼발효물 5~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부추 추출물은 부추 100중량부에 95%(v/v) 에탄올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3~4일 동안 추출한 후에 여과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왕모시풀 추출물은 왕모시풀 100중량부에 정제수 200~300중량부를 가하고 55~60㎝Hg, 7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인삼발효물은 인삼 100중량부에 100%(v/v) 에탄올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75~80℃에서 9~10시간 동안 추출한 인삼추출액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발효액 1~5중량부를 가하고 25~28℃에서 40~42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블로베리발효액은 블루베리착즙액 100중량부에 효모 1~5중량부를 가하고 20~24℃에서 48~50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하는,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38427A 2021-10-18 2021-10-18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81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427A KR102381645B1 (ko) 2021-10-18 2021-10-18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427A KR102381645B1 (ko) 2021-10-18 2021-10-18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645B1 true KR102381645B1 (ko) 2022-04-01

Family

ID=8118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427A KR102381645B1 (ko) 2021-10-18 2021-10-18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46B1 (ko) * 2023-06-21 2024-04-17 나주곰탕하얀집 유한회사 곰탕용 수육 제조를 위한 소고기 전처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738B1 (ko) 2006-11-09 2008-07-16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5047A (ko) * 2010-04-14 2011-10-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3371A (ko) * 2018-03-28 2019-10-08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738B1 (ko) 2006-11-09 2008-07-16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5047A (ko) * 2010-04-14 2011-10-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3371A (ko) * 2018-03-28 2019-10-08 재단법인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46B1 (ko) * 2023-06-21 2024-04-17 나주곰탕하얀집 유한회사 곰탕용 수육 제조를 위한 소고기 전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43411B (zh)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应用
CN109350579B (zh) 美白化妆品添加剂和美白醒肤露及其制备方法
CN113081890A (zh) 一种具有抗糖抗氧化功能的精华液及其制作方法
CN111603434A (zh) 一种改善皮肤皱纹的组合物及其化妆品
CN114099393B (zh) 一种具有紧致与抗衰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317417A (zh) 一种含愈创木提取物的修护痘敏肌的组合物及其护肤品
CN115300432A (zh) 一种晒后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381645B1 (ko)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JP3435181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外用剤
CN115414308B (zh) 一种祛痘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CN110179728A (zh) 一种可食用冻干粉制剂及其制备方法
CN115813774A (zh) 具有美白效果的水油双层精粹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607476A (zh) 一种具有保湿抗氧化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
CN115137675A (zh) 一种具有保湿功效的复方植物提取物及应用
CN112274453B (zh) 一种具有美白、抗敏、抗衰老的护肤基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728901A (zh) 一种抗衰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842976A (zh) 酵母菌发酵的桦树汁及其在抗炎化妆品组合物中的应用
KR20050097578A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CN108653149B (zh) 一种美白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CN115252504B (zh) 一种舒缓组合物及其应用
CN113143841B (zh) 含有金盏菊提取物的美白保湿凝胶面膜及其制备与应用
CN111671691B (zh) 胶原酶抑制剂组合物、抗衰面霜及其制备方法
CN115778853A (zh) 一种含林蛙油酶解肽的抗衰精华及其制备方法
KR20220036434A (ko) 발효 저분자 수용성 키토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