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738B1 -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738B1
KR100846738B1 KR1020060110358A KR20060110358A KR100846738B1 KR 100846738 B1 KR100846738 B1 KR 100846738B1 KR 1020060110358 A KR1020060110358 A KR 1020060110358A KR 20060110358 A KR20060110358 A KR 20060110358A KR 100846738 B1 KR100846738 B1 KR 100846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extraction
effect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2230A (ko
Inventor
김동걸
강세훈
한창규
김남향
박병준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7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4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령(Poria cocos Wolf)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복령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 보호효과를 가지며, 약재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복령추출물을 0.00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통상의 화장료 베이스에 첨가하였을 경우,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피부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복령(Poria cocos) 추출물, 항산화, 세포 보호,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Poria cocos extracts having antioxidant and protection effect for human cel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smetics comprising the Poria cocos extracts}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의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의 지질산패 억제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복령(Poria cocos) 항산화 효과를 지니는 추출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복령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령으로부터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항산화효과가 있는 복령추출물 및 그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령(Poria cocos)은 소나무 뿌리에서 자라난 균핵으로, 지름 5 내지 7㎝의 공모양 혹은 타원형을 띄며, 땅 위에서는 나무껍질 조각과 함께 밤색 또는 더러운 흑색을 띤다. 코르크화되어 단단하고 0.2 내지 0.5㎜의 두께로 덮여 있다. 내용물은 하얗거나 분홍색이고, 방사상으로 균열이 생긴다. 거의 맛과 냄새가 없으나, 때로는 연한 점액과 함께 펴지며 요오드에 양성 반응을 나타낸다.
복령은 예로부터, 지라를 건강하게 하고, 안정제로 쓰이며, 태열안정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몸을 따뜻하게 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소화성 궤양, 근육경련, 갈증, 현훈, 정신불안, 실면증에 효과적이며, 한약재로 강장, 이뇨, 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 방광염, 요도염에 이용되었다. 또한 접촉성 피부염 억제작용 효과가 밝혀져 있다.
복령(Poria cocos)에 관한 연구는 황람 등의 복령의 품질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탐색 및 정량법 개발[한국생약학회지, Vol. 36, No.3, 177p, 2005], 지재형 등의 건조방법에 따른 복령의 색도 및 화학성분의 변화[한국식품과학회, 1999], 최옥범 등의 인공재배 복령 (茯笭)의 성분조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Vol.9, No.4, 438p, 1996]등 복령의 성분 등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었으나, 복령(Poria cocos)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복령을 다양한 용매로 추출하고 분획한 후, 각 추출물의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측정방법 등을 통한 항산화 효과 및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 또한 복령 추출물을 화장품 조성물로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령으로부터 추출한 항산화성 있는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복령에 여러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다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등으로 분획하여 획득한 분획물의 DPPH측정, SOD측정을 통한 항산화효과 및 과산화물질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은 복령 1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3.5중량부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수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복령 추출물은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다. 여기에서 복령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용매가 2.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추출용매의 낭비 및 농축이나 후처리 등에서 과량의 추출용매를 제거 또는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역시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며, 생산비의 상승 등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은 복령 1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3.5중량부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시키는 가열추출에 의하 여 수득되는 것이거나, 또는 복령 1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3.5중량부 중량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키는 침적추출에 의하여 수득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추출에서 가열온도가 50℃ 미만이거나 시간이 1시간 미만인 경우, 역시 충분한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0℃를 초과하거나, 2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특별한 효능, 효과의 향상 없이 에너지의 낭비 및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령 추출물은 추출 후, 분획용매에 의해 더 분획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분획용매로는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복령 1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3.5중량부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되, 상기 추출이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에 투입하고,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는 가열추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복령에 대한 추출용매의 사용량 및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의 선정 및 제한의 사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복령 1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5배 중량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되, 상기 추출이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 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에 투입하고,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복령에 대한 추출용매의 사용량 및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의 선정 및 제한의 사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는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되는 복령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키는 동결건조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동결건조는 당업자에게는 상용화된 동결건조기를 구입하여, 그 사용절차에 따라 통상의 식품제조에서 널리 알려진 바 대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는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되는 복령 추출액 3배의 분획 용매를 사용하여 복령 추출액을 분획시키는 분획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 분획용매로는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복령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중량% 및 잔량으로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복령 추출물의 사용량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복령 추출물에 의해 기대되는 항산화효과 등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화장품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화장품으로서 적절치 못한 제형을 갖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장료 베이스로는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영양화장수(영양로션), 에센스, 크림, 바디크림 또는 팩을 조성하는 화장료 베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화장료 베이스들은 장업계에서 널리 공지된 처방들로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95% EtOH 추출한 복령 추출물 제조
각각 적복령, 백복령 시료 1㎏에 대한 3배의 추출용매(95%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3회 추출 후, 여과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각각 적복령 추출물 10.5g(건조중량)과 백복령 추출물 8.4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2 :
실시예 2-1 : 70% EtOH 추출한 복령 조추출물 제조
각각 적복령, 백복령 시료 1㎏에 대한 3배의 추출용매(7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3회 추출 후, 여과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그 일부를 취하여 동결 건조하여 각각 적복령 추출물 6.5g(건조중량)과 백복령 추출물 7.1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2-2 : 복령 조추출물에서 헥산 분획물 제조
실시예 2-1에서 획득한 농축액 500g에 대하여 동량의 헥산을 가하여 상온에서 수 차례 반복하여 분획 추출 후 이를 감압 농축한 후, 소듐클로라이드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헥산 분획층의 수분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소듐설페이트를 이용한 탈수과정을 거쳐 헥산분획물을 획득하였다. 이 분획물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 각각 적복령 추출물 3.2g(건조중량)과 백복령 2.6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2-3 : 복령 조추출물에서 부탄올 분획물 제조
실시예 2-2 과정을 거친 농축액 400g에 대하여 동량의 부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수차례 반복하여 분획 추출 후 이를 감암 농축한 후, 소듐클로라이드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부탄올 분획층의 수분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소듐설페이트를 이용한 탈수과정을 거쳐 부탄올분획물을 획득하였다. 이 분획물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각각 적복령 추출물 5.8g(건조중량)과 백복령 추출물 9.5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2-4 : 복령 조추출물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제조
실시예 2-3 과정을 거친 농축액 300g에 대하여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상온에서 수차례 반복하여 분획 추출 후 이를 감압 농축한 후, 소듐클로라이드 포화용액을 이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의 수분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소듐설페이트를 이용한 탈수과정을 거쳐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을 획득하였다. 이 분획물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각각 적복령 추출물 9.3g(건조중량)과 백복령 추출물 2.8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2-5 : 복령 조추출물에서 분획물 제조
실시예 2-4 과정을 거친 농축액 100g을 감압농축하여 잔존하는 용매를 제거한 후, 동량의 정제수를 3회 첨가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적복령 추출물 각각 8.1g(건조중량)과 백복령 추출물 5.2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3 : 물 추출한 복령 추출물 제조
각각 적복령, 백복령 시료 1㎏에 대한 5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05℃에서 5시간 동안 가온 추출 후, 여과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각각 적복령 추출물 2.3g(건조중량)과 백복령 추출물 6.4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4 : 50% 1,3- 부틸렌글리콜 추출한 복령 추출물 제조
각각 적복령, 백복령 시료 100g에 대한 3배의 50%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상온에서 5일간 추출 후, 여과하여 각각 적복령 추출물 61.3g과 백복령 추출물 42.7g을 얻었다.
실시예 5 : 50% 프로필렌글리콜 추출한 복령 추출물 제조
각각 적복령, 백복령 시료 100g에 대한 3배의 50% 프로필렌글리콜을 가하여 상온에서 5일간 추출 후, 여과하여 각각 적복령 추출물 77.2g 과 백복령 추출물 97.5g을 얻었다.
실시예 6 : 50% 글리세린 추출한 복령 추출물 제조
각각 적복령, 백복령 시료 100g에 대한 3배의 50% 글리세린을 가하여 상온에서 5일간 추출 후, 여과하여 각각 적복령 추출물 57.4g과 백복령 추출물 64.8g을 얻었다.
실시예 7 : 50% 디프로필렌글리콜 추출한 복령 추출물 제조
각각 적복령, 백복령 시료 100g에 대한 3배의 50% 디프로필렌글리콜을 가하여 상온에서 5일간 추출 후, 여과하여 각각 적복령 추출물 57.4g과 백복령 추출물 64.8g을 얻었다.
실시예 8 : 25% 글리세린 + 25% 디프로필렌글리콜 추출한 복령 추출물 제조
각각 적복령, 백복령 시료 100g에 대한 3배의 25% 글리세린+25% 디프로필렌글리콜 혼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5일간 추출 후, 여과하여 각각 적복령 추출물 63.1g과 백복령 추출물 58.1g을 얻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각각의 시료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1-1. 실험 방법
CCD-986sk 인간피부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에 대한 세포독성 측정은 소량의 세포의 생세포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 알려진 염색법의 일종인 중성적색분석법(neutral red assay)을 실시하였다. 즉, CCD-986sk(Human dermal skin fibroblast)을 10% FBS(fetal bovine serum)-MEME(minimum essential medium eagle)에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2.5×104cell/㎖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한 후, 이를 96-웰플레이트(96-well plate)에 200㎕씩 분주하고, 이를 37℃, 5% 이산화탄소(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후, 10% FBS-MEME로 조제한 농도별 추출물 100㎕과 10% FBS-MEME 100㎕를 다시 첨가하여 동일 조건에서 7일간 배양시켰다. 이 때 10% FBS-MEME 만를 사용한 실험구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7일간 배양한 후, 배지 및 용액을 제거하고, 50㎍/㎖ 중성적색소(neutral red)(in 10% FBS-MEME)를 200㎕씩 넣은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중성적색소 용액을 제거한 후, 1% 염화칼슘(CaCl2,) 1%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in D.W(탈이온수)) 용액을 100㎕씩 넣고, 1분간 교반시킨 후, 용액을 제거하고, 이에 1% 아세트산, 50% 에탄올(in D.W)을 다시 100㎕씩 넣고, 15분간 교반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고 도 1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500ppm 250ppm 125ppm 62.5ppm 31.2ppm 15.6ppm 7.8ppm
실시예 2-1 (백복령) 84.3% 103.6% 106.1% 103.7% 105.9% 106.9% 104.4%
실시예 2-1 (적복령) 104.5% 102.6% 93.9% 102.6% 102.2% 99.4% 109.4%
실시예 2-2 (백복령) 89.0% 78.1% 81.1% 82.3% 94.5% 104.1% 109.6%
실시예 2-2 (적복령) 84.2% 89.8% 89.9% 97.3% 111.2% 106.0% 98.0%
실시예 2-3 (백복령) 89.1% 100.6% 104.1% 102.7% 105.5% 100.9% 104.8%
실시예 2-3 (적복령) 74.3% 99.2% 106.5% 101.4% 99.9% 102.1% 100.9%
실시예 2-4 (백복령) 102.3% 103.6% 106.1% 103.9% 101.2% 100.2% 103.2%
실시예 2-4 (적복령) 94.3% 97.4% 103.9% 103.1% 105.7% 103.2% 100.1%
실시예 2-5 (백복령) 114.9% 113.9% 106.6% 113.7% 110.4% 98.1% 127.2%
실시예 2-5 (적복령) 104.5% 99.1% 100.8% 97.3% 92.2% 97.8% 103.1%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복령의 경우, 실시예 2-1, 2-5는 500ppm이하, 실시예 2-2는 31.2ppm이하, 실시예 2-3, 2-4는 250ppm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백복령의 경우, 실시예 2-1, 2-3은 250ppm이하, 실시예 2-2는 15.6ppm이하, 실시예 2-4와 2-5는 500ppm이하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 내에서 세포 보호 효과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3, 4, 5, 6, 7 및 8에서 얻어진 각각의 시료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2-1. 실험 방법
상기 실험예 1에서 진행되었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취하여 진행하였다.
2-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하고 도 2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500ppm 250ppm 125ppm 62.5ppm 31.2ppm 15.6ppm 7.8ppm
실시예 1 (백복령) 74.9% 89.6% 96.1% 101.4% 103.1% 104.2% 100.3%
실시예 1 (적복령) 84.3% 89.2% 78.8% 97.2% 99.7% 102.1% 100.9%
실시예 3 (백복령) 89.0% 98.3% 101.5% 112.3% 109.1% 104.1% 109.6%
실시예 3 (적복령) 84.7% 89.0% 99.9% 107.3% 111.8% 106.4% 108.0%
실시예 4 (백복령) 71.1% 84.5% 79.1% 96.5% 105.5% 104.9% 105.1%
실시예 4 (적복령) 84.3% 99.5% 102.5% 107.5% 101.9% 100.1% 102.9%
실시예 5 (백복령) 82.4% 73.4% 84.8% 95.9% 107.2% 105.1% 106.8%
실시예 5 (적복령) 94.7% 99.6% 103.4% 103.1% 105.9% 103.3% 102.1%
실시예 6 (백복령) 78.6% 82.4% 94.8% 98.1% 100.2% 103.1% 101.7%
실시예 6 (적복령) 94.7% 99.6% 103.4% 103.1% 105.9% 103.3% 102.1%
실시예 7 (백복령) 94.3% 99.5% 92.4% 107.5% 101.9% 100.1% 102.9%
실시예 7 (적복령) 72.4% 88.4% 104.8% 99.9% 103.2% 100.3% 107.8%
실시예 8 (백복령) 78.3% 82.8% 99.1% 102.5% 105.8% 101.9% 103.1%
실시예 8 (적복령) 94.3% 99.8% 100.5% 103.2% 105.1% 106.2% 102.8%
상기 표2 및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3, 4, 5, 6, 7 및 8 모두 500ppm에서 약한 독성을 나타내었으나, 60ppm부터는 모든 실시예들에서 거의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그 안전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 내에서 세포 보호 효과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2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시예를 대상으로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으나, 그 중 효과가 가장 우수한 실시예 2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3-1.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측정
3-1-1. 실험 방법
SOD 유사활성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각 추출물 당 100ppm의 농도별 시료용액 20㎕에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분석 키트(SOD assay kit-WST) 내 더블류에스티 작업용액(WST working solution) 200㎕을 넣어 교반한 후, 다시 효소작업용액(Enzyme working solution) 20㎕를 넣어 혼합한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동일 농도의 엘-아스코르빈산을 사용하였으며,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3-1-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하고, 도3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 (250ppm)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
아스코르빈산 54.5
실시예2-1 (백복령) 34.4
실시예2-1 (적복령) 28.4
실시예2-2 (백복령) 21.8
실시예2-2 (적복령) 20.2
실시예2-3 (백복령) 47.8
실시예2-3 (적복령) 43.4
실시예2-4 (백복령) 58.3
실시예2-4 (적복령) 38.6
실시예2-5 (백복령) 11.8
실시예2-5 (적복령) 40.4
상기 표3 및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경우, 대부분 슈퍼옥사이드 디스큐타제 유사활성이 우수하였으나, 실시예 2-3의 경우, 대조구인 아스코르빈산과 유사한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 2-4(백복령)의 경우, 대조구인 아스코르빈산보다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지질산패 억제 측정
3-2-1. 실험 방법
지질산패 억제활성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2개의 테스트 튜브(test tube)에 각각 10mM 리놀레인산용액(linoleic acid solution) 3ml씩 넣은 후, 추출물 3㎕를 넣어 교반한 후, 5℃, 40℃에서 각각 7일간 반응시킨다. 7일 반응 시킨 후, 40㎕를 취하여 95% 에탄올 1.88ml을 넣고, 30% 티오시안산암모늄(ammonium thicyanate) 40㎕를 첨가한 후, 최종적으로 염화제일철용액 40㎕를 넣고 3분간 반응시킨 후,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동일 농도의 알파-디-토코페롤을 사용하였으며, 지질산패 억제활성은 5℃ 시료와 40℃ 시료의 흡광도 차이로 나타내었다.
3-2-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4에 기재하고, 도 4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 (100ppm) 지질산패 억제활성(%)
알파-디-토코페롤 56.71
실시예2-1 (백복령) 48.88
실시예2-1 (적복령) 61.52
실시예2-2 (백복령) 32.33
실시예2-2 (적복령) 52.46
실시예2-3 (백복령) 37.44
실시예2-3 (적복령) 18.94
실시예2-4 (백복령) 27.51
실시예2-4 (적복령) 36.97
실시예2-5 (백복령) 65.32
실시예2-5 (적복령) 74.27
상기 표4 및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경우, 대부분 지질산패 억제활성이 우수하였으나, 실시예 2-2(적복령)의 경우, 대조구인 알파-디-토코페롤과 유사한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 2-1(적복령)과 실시예 2-5(백복령)의 경우, 대조구인 알파-디-토코페롤보다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2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시예를 대상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으나, 그중 효과가 가장 우수한 실시예 2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4-1. 실험 방법
과산화물에 의한 CCD-986sk(Human skin dermal fibroblast)의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즉, CCD-986sk(Human dermal skin fibroblast)을 10% FBS-MEME에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2.0×105cell/㎖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한 후, 이를 96-웰플레이트에 200㎕씩 분주하고, 이를 37℃, 5%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후, 얼 용액(Earle' solution ; 0.12M 염화나트륨, 5mM 염화칼륨, 0.83mM 황산마그네슘(MgSO4·7H2O), 5.5mM 글루코스(glucose), 1.8mM 염화칼슘(CaCl2), 1mM 인산이수소나트륨(NaH2PO4·2H2O), 26.2mM 탄산소수나트륨(NaHCO3) in 탈이온수(D.W)) 내의 1.5mM 과산화수소(H2O2) 용액으로 조제한 추출물 200㎕을 다시 첨가하여 동일 조건에서 90분간 반응시켰다. 이 때 얼 용액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실험구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90분간 반응시킨 후, 배지 및 용액을 제거하고, 50㎍/㎖ 중성적색소(in 10% FBS-MEME)를 200㎕씩 넣은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중성적색소 용액을 제거한 후, 1% 염화칼슘(CaCl2), 1% 포름알데히드(in D.W) 용액을 100㎕씩 넣고, 1분간 교반시킨 후, 용액을 제거하고, 이에 1% 아세트산, 50% 에탄올(in D.W)을 다시 100㎕씩 넣고, 15분간 교반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5에 기재하고, 도 5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 세포생존율(%)
대조구 100.0
실시예2-1 (백복령, 250ppm) 122.8
실시예2-1 (적복령, 250ppm) 95.1
실시예2-2 (백복령, 25ppm) 103.1
실시예2-2 (적복령, 25ppm) 93.9
실시예2-3 (백복령, 125ppm) 94.5
실시예2-3 (적복령, 125ppm) 92.7
실시예2-4 (백복령, 67.7ppm) 109.5
실시예2-4 (적복령, 67.7ppm) 99.7
실시예2-5 (백복령, 500ppm) 102.5
실시예2-5 (적복령, 500ppm) 97.9
상기 표5 및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대부분의 시료는 과산화수소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지만, 이중에서 실시예 2-1(백복령)이 가장 우수한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복령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 측정 실험 경우, 실시예 2-4(백복령)의 경우 대조구인 아스코르빈산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났으며, 지질산폐 억제능 측정 실험에서 실시예 2-1(적복령)의 경우 대조구인 알파-디-토코페롤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복령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는 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농도에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시예 2-1(백복령)에서 매우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하는 각 화장품 제형에 있어서 복령 추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지질산패를 억제하며 세포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제형으로서의 화장료 조성의 예를 보여주며 처방에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사용된 복령 추출물은 세포 보호 효과가 가장 우수한 실시예 2-1(백복령)의 것이다.
처방예 1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실시예 2-1, 백복령)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복령 추출물(실시예 2-1, 백복령) 0.02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4
글리신 3.5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1,3-부틸렌 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에탄올 5.0
항산화제 0.1
트리에탄올아민 0.1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2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실시예 2-1, 백복령)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복령 추출물(실시예 2-1, 백복령) 0.02
글리세린 7.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미네랄 오일 4.0
트리옥타노인 1.0
스테아릭에씨드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디메치콘 0.5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카보머 0.2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3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실시예 2-1, 백복령)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복령 추출물(실시예 2-1, 백복령) 0.02
글리세린 5.0
1,3-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에틸렌 글리콜 2.0
카보머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이즈 0.2
에탄올 3.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4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실시예 2-1, 백복령)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복령 추출물(실시예 2-1, 백복령) 0.02
1,3-부틸렌글리콜 3.0
글리세린 3.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1.0
옥틸도데카놀 3.0
트리옥타노인 2.0
스테아릭에씨드 1.5
세토스테아릴알콜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디메치콘 3.0
항산화제 0.3
산탄검 0.2
트리에탄올아민 0.1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5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실시예 2-1, 백복령)을 함유한 화장료 중 바디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복령 추출물(실시예 2-1, 백복령) 0.02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소듐세틸설페이트 0.1
판테놀 1.0
산탄검 1.0
카보머 0.1
비스왁스 0.3
세탄올 2.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5
미네랄오일 5.0
스쿠알렌 2.0
항산화제 0.3
디메치콘 1.0
트리에탄올아민 0.1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6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실시예 2-1, 백복령)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한방 약재 추출물 0.02
글리세린 7.0
1,3-부틸렌 글리콜 3.0
스쿠알렌 3.0
디메치콘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2.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5.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실시예들 및 실험예들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령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효과 및 세포보호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화장료 역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산화를 억제하여 피부 세포의 손상 및 노화를 예방하는 복령 추출물과, 이러한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복령 1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 2.5 내지 3.5중량부를 가하여 추출한 후, 상기 추출물에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한 분획물로 수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이 복령 1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3.5중량부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이 복령 1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3.5중량부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득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
  5. 삭제
  6. 삭제
  7. 복령 1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3.5중량부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되, 상기 추출이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에 투입하고,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는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물에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의 제조방법.
  8. 복령 1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3.5중량부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되, 상기 추출이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에 투입하고,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는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물에 에탄올,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되는 복령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키는 동결건조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령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중량% 및 잔량으로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피부 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장료 베이스가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영양화장수(영양로션), 에센스, 크림, 바디크림 또는 팩을 조성하는 화장료 베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110358A 2006-11-09 2006-11-09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6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358A KR100846738B1 (ko) 2006-11-09 2006-11-09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358A KR100846738B1 (ko) 2006-11-09 2006-11-09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230A KR20080042230A (ko) 2008-05-15
KR100846738B1 true KR100846738B1 (ko) 2008-07-16

Family

ID=3964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358A KR100846738B1 (ko) 2006-11-09 2006-11-09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7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14B1 (ko) * 2008-12-22 2011-04-27 (주)자미원바이오텍 복령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381645B1 (ko) 2021-10-18 2022-04-01 박선규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995A (ko) * 2002-03-14 2003-09-19 유앤아이화장품(주)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995A (ko) * 2002-03-14 2003-09-19 유앤아이화장품(주)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OL.27, NO6, P378-382(199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14B1 (ko) * 2008-12-22 2011-04-27 (주)자미원바이오텍 복령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381645B1 (ko) 2021-10-18 2022-04-01 박선규 복령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230A (ko)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Tannin Components from Vaccinium vitis‐idaea L.
KR100964723B1 (ko) 야생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394635B1 (en) Skin-whitening agent, anti-aging agent, and anti-oxidant agent
KR100785505B1 (ko)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41520B1 (ko)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갖는 황칠나무, 산수유 및 구기자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59954B1 (ko)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2087B1 (ko) 신갈나무잎, 차풀 및 방아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6738B1 (ko)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5418B1 (ko) 천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090131767A (ko)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293418B1 (ko) 한방 약재 복합 추출발효물, 그 제조방법 및 그 한방 약재 복합 추출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6701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 화장료
KR100830851B1 (ko) 미백활성 및 항염활성을 나타내는 비룡추출물
KR10086491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50145704A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339837B1 (ko)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KR100825929B1 (ko)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추출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772190B2 (ja) 皮膚美白剤
KR20080104671A (ko) 초임계 한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73275A (ko) 관화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70530B1 (ko) 철현채 추출물, 유엽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