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505B1 -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505B1
KR100785505B1 KR1020060060382A KR20060060382A KR100785505B1 KR 100785505 B1 KR100785505 B1 KR 100785505B1 KR 1020060060382 A KR1020060060382 A KR 1020060060382A KR 20060060382 A KR20060060382 A KR 20060060382A KR 100785505 B1 KR100785505 B1 KR 100785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cosmetic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준
강세훈
한창규
김남향
김동걸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방 약재로서 정향, 백강잠, 견우자, 백질려, 백급, 백지, 복령 및 녹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백부자 또는 조각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방 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가지며, 각각의 약재들을 적절히 파쇄시킨 후, 적정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한방 약재 추출물을 0.0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통상의 화장료 베이스에 첨가하였을 경우, 우수한 항산화효과와 멜라닌 생성 억제 등의 미백효과를 나타낸다.
한방 약재 추출물, 항산화효과, 미백효과, 화장료

Description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Oriental medicine material extract having antioxidation effect and whitening effect, manufacturing method of those extract and cosmetics comprising the oriental medicine material}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 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화 를 억제하여 피부 세포의 손상 및 노화를 예방하고, 피부 미백 기능이 뛰어난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한방 약재 추출물은 뛰어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며, 체내 유해한 산화물질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멜라닌 합성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저해하고, B16F10 멜라노마(melanoma)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활성물질을 효율적으로 추출, 분리하여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시켜 그 효과를 나타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자외선, 인스턴트 가공식품, 공해 등의 유해물질,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체내 발생하는 산화물질로 각종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손상은 피부노화, 흑반 등을 일으켜, 미용상의 불편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위축감을 가져와 사회생활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심하게는 피부암과 같은 질환에 이르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화장료의 사용 이외에도 자외선으로부터 생성되는 산화물질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의 손상을 억제하고,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차단하는 물질의 사용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한 신규 원료 및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피부 현상 중 직접적인 영향으로 인한 화상 등의 피부손상 이외에도 자외선으로 인해 체내 생성되는 산화물질, 즉 활성산소에 의한 2차적인 현상들이 지속적으로 체내에서 이루어질 경우, 더 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피부 내 형성된 활성산소는 세포의 DNA 손상 및 이에 따른 면역세포의 손 상, DNA 복제 및 회복 기능의 손상으로 인한 돌연변이 세포의 발생, 홍반 반응으로 인한 각질세포 변형을 일으키며, 결과적으로 피부 세포의 사멸과 광노화 진행을 발생시킨다. 또한 색소 생성 세포를 자극하여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여 색소 침착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피부 세포 내의 신호 전달 물질의 발현으로 나타나는 멜라닌 형성과정에 있어서, 자외선에 의해 발생된 활성산소에 의해 비정상적인 염증 물질이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서 발현되며, 발현된 염증유발 물질은 멜라닌 생성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를 활성화시켜 멜라노좀(Melanosome) 내 멜라닌의 합성을 촉진시킨다(N. Agar, A. R. Young, Mutation research 571, 121-132, 2005). 또한 티로시나제(Tyrosinase) 및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 효소와 이들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짐에 따라 멜라닌 합성에서 이들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V. del Marmol, F. Beermann, FEBS Letters 381, 165-168, 1996). 따라서 최근의 자외선과 관련되어 피부에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노력들은 이러한 활성산소의 작용을 얼마나 억제시키는가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아직 뚜렷한 대안이 제시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현재 미백 화장료로 사용되고 있는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코직산 등의 경우,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의 활성 억제가 아닌 멜라닌 색소의 생성 억제 또는 제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될 수 없을뿐더러, 그 사용에 있어 효능 및 안전성에 문제를 나타내거나, 제품 내에서의 그 효능의 유지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아스코르빈산의 경우, 제품 적용 시 제품 안정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사용에 있어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피부에 손상을 주는 근본적인 원인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두루 가지면서 안전한 신규 원료 및 이를 이용한 제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천연물은 안전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활성성분을 가지는 여러 가지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종래에 사용되었던 원료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적합하기에 이들로부터 유효한 성분을 추출하여 이를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효과 및 피부 미백에 효능을 가지는 천연유래물질을 찾고자 다양한 동식물추출물 및 한방 약재 혼합추출물을 연구한 결과, 정향, 백강잠, 견우자, 백질려, 백급, 백지, 복령, 녹두 및 경우에 따라 백부자, 조각자를 첨가한 한방 약재 추출물에서 활성산소의 제거 및 세포보호 효과를 가지며, 한편으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안전한 추출물을 얻고, 이를 제형화함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피부 내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하며 이를 통해 보다 우수한 미백작용을 나타내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피부 내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하며 이를 통해 보다 우수한 미백작용을 나타내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피부 내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하며 이를 통해 보다 우수한 미백작용을 나타내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방 약재로서 정향, 백강잠, 견우자, 백질려, 백급, 백지, 복령 및 녹두를 포함하는 한방 약재들의 추출물들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백부자 또는 조각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재들의 추출물들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은, 정향 10 내지 30중량부, 백강잠 10 내지 30중량부, 견우자 10 내지 30중량부, 백질려 10 내지 30중량부, 백급 10 내지 30중량부, 백지 10 내지 30중량부, 복령 1 내지 5중량부 및 녹두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한방 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약재 혼합물이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 또는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 또는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와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의 혼합물을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한방 약재 혼합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한방 약재 추출물은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키는 것으로 수행되어서 수득되는 것 이 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CH2Cl2) 또는 글리세린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1) 정향 10 내지 30중량부, 백강잠 10 내지 30중량부, 견우자 10 내지 30중량부, 백질려 10 내지 30중량부, 백급 10 내지 30중량부, 백지 10 내지 30중량부, 복령 1 내지 5중량부 및 녹두 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는 혼합단계; (2) 상기 한방 약재 혼합물을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약재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 및 (3)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되는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시키는 동결건조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방 약재 혼합물에는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 또는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 또는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와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의 혼합물을 더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단계는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열추출과정, 또는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추출하는 침적추출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지추출과정에 의해 추출되는 한방 약재 추출액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시키는 분획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중량% 및 잔량으로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장료 베이스는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영양화장수(영양로션), 에센스, 크림, 바디크림 또는 팩을 조성하는 화장료 베이스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은, 정향 10 내지 30중량부, 백강잠 10 내지 30중량부, 견우자 10 내지 30중량부, 백질려 10 내지 30중량부, 백급 10 내지 30중량부, 백지 10 내지 30중량부, 복령 1 내지 5중량부 및 녹두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허브 혼합물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향은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의 꽃봉오리로, 몰루카 섬 원산이며, 꽃봉오리를 8 내지 9월에 따서 말린다. 꽃봉오리에 16 내지 19%의 정유가 있으며, 정유에는 에우게놀 78 내지 95%, 아세틸-에우게놀 3% 및 미량의 카리오필렌, 메틸아밀케톤 등이 함유되어 있다(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754, 1984).
상기 백강잠(Bombyx cum Batryte)은 백강균(Beauveria bassiana)에 의하여 죽은 누에 새끼벌레를 석회로 물기를 없애고, 말린 것으로, 강잠, 강충, 백강충, 천충이라고도 한다. 회분 6%, 단백질 67%, 수분 11%, 기름 4%가 함유되어 있다(문 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94-95, 1984).
상기 견우자는 나팔꽃(Pharbitis nil Choisy)의 열매로, 가을에 열매가 익을 때 줄기를 거두어 말린 다음, 털어서 씨를 모은다. 씨가 검은색인 것을 흑축, 잿빛에 연한 밤색을 띤 것을 백출이라 한다. 예로부터 씨의 약효가 특출하여 집에서 기르던 소를 끌고 가서 이 약을 바꾸어 왔다는 전설로부터 견우자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씨에는 파르비틴이라는 수지 배당체가 2% 함유되어 있으며, 올레인, 팔미틴, 스테아린으로 된 기름이 11% 있다(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589, 1984).
상기 백질려는 납가새(Tribulus terrestris L.)의 열매로, 한해살이 풀이며, 줄기는 길이 1m에 이르는데, 땅에 붙어 자라며, 털이 있다. 잎은 타원형의 쪽잎으로 된 겹잎이다. 여름철에 노란 꽃이 피며, 열매는 가시가 있는 다각형이다. 열매에는 사포닌 1.47%, 정유, 알칼로이드, 수지, 기름이 있다(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429, 1984).
상기 백급(Bletilla striata Reichb.fil)은 자란, 대왐풀이라고도 하며, 덩이뿌리를 증기에 쪄서 말린 것을 백급이라고 한다. 아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며, 잎은 뿌리에서 4 내지 5개가 자라는데, 넓은 버들잎 모양이고, 세로줄이 많이 갔다. 뿌리는 둥글고 희다(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835, 1984).
상기 백지는 구리때(Angelica dahurica Bent. et Hooker)의 뿌리로, 가을에 꽃대가 나오지 않은 어린 식물의 뿌리를 캐어, 겉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린다. 뿌리에는 22종 이상의 쿠마린이 총 0.3 내지 0.9%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는 0.2% 이상 있다(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513-515, 1984).
상기 복령(Poria cocos)은 솔뿌리혹 또는 솔풍령이라고 하며, 벌목한 지 3 내지 4년 지난 소나무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란 균핵이다. 흔히 땅 속 20 내지 50cm 깊이에 있다. 흰 것을 흰솔뿌리혹(백복령), 분홍색인 것을 붉은솔 뿌리혹(적복령), 소나무뿌리가 가운데 있는 것을 복신이라고 한다. 다당류인 파키만이 약 94% 있다(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100, 1984).
상기 녹두(Phaseolus radiatus L.)는 높이 20 내지 50cm 되는 한해살이 풀이다. 잎은 3개의 달걀 모양의 쪽잎으로 된 겹잎이다. 노란색 꽃이 핀다. 씨에는 비타민, 탄수화물 53.6%, 단백질 25.6%, 기름 0.7%가 들어 있다. 비타민으로는 프로비타민 A, B1, B2, PP가 있다. 탄수화물로는 66%의 녹말, 5.3%의 펜토산, 1%의 갈락탄과 이 밖에 포도당, 라피노오스, 덱스트린 등이 있다(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401, 1984).
상기 정향, 백강잠 견우자, 백질려, 백급, 백지, 복령, 녹두는 각각 허브 혼합물 중에 10 내지 3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약이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유효한 성분을 얻기 힘든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추출물의 성상에서 본연의 향과 색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한방 약재 혼합물에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 또는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 또는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와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의 혼합물을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백부자는 노랑돌쩌귀(Aconitum koreanum Raym)의 덩이뿌리로, 높이 60 내지 90cm 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덩이뿌리에는 디테르펜계 알칼로이드가 있으며, 지금까지 밝혀진 종류는 약 20여종에 이른다 (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269-271, 1984). 상기 백부자는 약재 혼합물 중에 1 내지 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백부자가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그 유효성분을 적절하게 얻을 수 없으며, 반대로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 자극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조각자는 주엽나무(Cleditschia horrida Makino)의 가시로, 높이 12m에 이르는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줄기에 가지 친 가시가 있고, 잎은 타원형 쪽잎이 모인 긴 겹잎이다. 여름에 풀색을 띤 노란 꽃이 핀다(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376, 1984). 상기 조각자는 약재 혼합물 중에 20 내지 3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조각자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역시 유효성분을 얻기가 어려우며, 반대로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약재로부터의 유효성분을 획득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덟 가지의 한방 약재 추출물 또는 거기에 백부자 또는 조각자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이를 일정 비율 내에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이 각각의 추출물보다 그 효능에 있어 더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 한방 약재 혼합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한방 약재 추출물은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열추출이나,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키는 침적추출로 수행되어 서 수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가열추출에서 추출온도가 50℃ 미만으로 되거나, 1시간 미만으로 추출하는 경우, 추출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0℃를 초과하거나 20시간을 초과하는 것은 생산성의 저하 및 에너지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CH2Cl2) 또는 글리세린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1) 정향 10 내지 30중량부, 백강잠 10 내지 30중량부, 견우자 10 내지 30중량부, 백질려 10 내지 30중량부, 백급 10 내지 30중량부, 백지 10 내지 30중량부, 복령 1 내지 5중량부 및 녹두 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는 혼합단계; (2) 상기 약재 혼합물을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한방 약재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 및 (3)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되는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시키는 동결건조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단계에서의 추출방법은 순환냉각장치가 있는 추출기에서 상압, 50 내지 100℃의 조건에서 1 내지 2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방법과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용매에 침적시켜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득된 추출물은 동결건조법 또는 분무건조법을 이용하여 건조분말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으며, 또한, 저급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메틸 렌클로라이드와 같은 유기용매의 경우, 이를 감압 농축하여 증류수를 가한 후, 이를 증류수를 이용한 추출물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얻은 추출물은 저마다 높은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내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며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을 낮추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한방 약재 혼합물에는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 또는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 또는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와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의 혼합물을 더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지추출과정에 의해 추출되는 약재 추출액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시키는 분획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중량% 및 잔량으로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장료 베이스는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영양화장수(영양로션), 에센스, 크림, 바디크림 또는 팩을 조성하는 화장료 베이스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료에의 건조분말 형태의 추출물의 함량은 0.0001 내지 5중량%, 액상의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과 그 혼합액의 경우 0.001% 내지 50중량%, 각기 바람직하게는 전자의 경우 0.01 내지 1중량%, 그리고 후자의 경우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이 추출물을 화장료, 다시 말하면 유연화장수(스킨), 영양화장수(로션), 에센스, 영양크림, 팩, 바디로션, 바디오일 등에 첨가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며 그에 따른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정향, 백강잠, 견우자, 백질려, 백급, 백지, 복령, 녹두를 혼합한 것에 경우에 따라 백부자, 조각자를 추가한 한방 약재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추출법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실시에에 의하여 본 발병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1. 물 가용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정향 16.5g, 백강잠 16.5g, 견우자 16.5g, 백질려 16.5g, 백급 16.5g, 백지 6.6g, 복령 3.3g, 녹두 6.6g의 8가지 약재를 혼합한 한방 약재 혼합물 99g에 증류수 990g를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80메쉬(mesh) 여과포로 약재를 거르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0.1㎛ 중공사 여과장치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증류장치에서 40℃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5.5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물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약재 혼합물 99g에 백부자 3.3g을 더 혼합하고, 증류수를 1,023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7.9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물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약재 혼합물 99g에 백부자 3.3g, 조각자 33g을 더 혼합하고, 증류수 135.3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12.7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1. 저급 알코올 추출물의 제조(가열추출)
건조된 정향 16.5g, 백강잠 16.5g, 견우자 16.5g, 백질려 16.5g, 백급 16.5g, 백지 6.6g, 복령 3.3g, 녹두 6.6g의 8가지 약재를 혼합한 약재 혼합물 99g에 95% 에탄올 990g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80메쉬(mesh) 여과포로 약재를 거르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와트만(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증류장치에서 40℃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11.2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2. 저급 알코올 추출물의 제조(에탄올 침지추출)
상기 실시예 2-1의 약재 혼합물 99g에 95% 에탄올 990g을 넣고, 상온에서 7일간 침지시켜 추출한 후, 380메쉬(mesh) 여과포로 약재를 거르고, 와트만(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증류장치에서 40℃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5.8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3. 저급 알코올 추출물의 제조(메탄올 침지추출)
에탄올 대신 80%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7.7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1. 분획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정향 16.5g, 백강잠 16.5g, 견우자 16.5g, 백질려 16.5g, 백급 16.5g, 백지 6.6g, 복령 3.3g, 녹두 6.6g의 8가지 약재를 혼합한 혼합물 99g에 70% 에탄올 279g을 넣고, 상온에서 3일간 침지시켜 추출한 후, 380메쉬(mesh) 여과포로 약재를 거르고, 다시 70% 에탄올 279g을 넣고, 동일하게 2차 추출을 하였다. 이와 같은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물을 와트만(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증류장치에서 40℃로 감압 농축한 뒤, 50g을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1.5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2. 분획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1에서 감압 농축된 추출물 농축액 500g에 n-헥산을 1:1로 첨가하여 분획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이를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증류장치에서 40℃로 감압 농축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과 무수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순차대로 물층을 제거하고, 와트만(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를 다시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증류장치에서 40℃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1.26g의 액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3. 분획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2에서 분획추출 후, 남은 추출물 농축액 450g에 에틸아세테이트를 1:1로 첨가하여 분획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이를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증류장치에서 40℃로 감압 농축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과 무수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순차대로 물층을 제거하고, 와트만(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를 다시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증류장치에서 40℃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0.1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4. 분획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3에서 분획추출 후 남은 추출물 농축액 420g에 부탄올을 1:1로 첨가하여 분획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이를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증류장치에서 40℃로 감압 농축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과 무수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순차대로 물층을 제거하고, 와트만(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를 다시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증류장치에서 40℃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0.33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5. 분획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4에서 분획추출 후 남은 추출물 농축액 310g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감압증류장치에서 40℃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9.5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1. 부틸렌 글리콜 가용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정향 10g, 백강잠 10g, 견우자 10g, 백질려 10g, 백급 10g, 백지 4g, 복령 2g, 녹두 4g의 8가지 약재를 혼합한 혼합물 60g에 50% 1,3-부틸렌글리콜 1.2㎏을 넣고, 상온에서 5일간 침지시켜 추출한 후, 380메쉬(mesh) 여과포로 약재를 거르고, 와트만(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추출액 94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2. 프로필렌 글리콜 가용 추출물의 제조
50% 1,3-부틸렌글리콜 대신 50% 프로필렌글리콜 1.2㎏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추출액 972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3. 디프로필렌 글리콜 가용 추출물의 제조
50% 1,3-부틸렌글리콜 대신 50% 디프로필렌글리콜 1.2㎏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추출액 962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4. 글리세린 가용 추출물의 제조
50% 1,3-부틸렌글리콜 대신 50% 글리세린 1.2㎏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추출액 796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각각의 시료를 이용하여 백부자 및 조각자의 첨가 유무에 따른 세포 독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1-1. 실험 방법
CCK-986sk 인간피부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에 대한 세포독성 측 정은 소량의 세포의 생세포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 알려진 염색법의 일종인 중성적색분석법(neutral red assay)을 실시하였다. 즉, CCK-986sk(Human dermal skin fibroblast)을 10% FBS-MEME에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2.5×104cell/㎖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한 후, 이를 96well-plate에 200㎕씩 분주하고, 이를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후, 10% FBS-MEME로 조제한 농도별 추출물 100㎕과 10% FBS-MEME 100㎕를 다시 첨가하여 동일 조건에서 7일간 배양시켰다. 이 때 10% FBS-MEME만를 사용한 실험구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7일간 배양한 후, 배지 및 용액을 제거하고, 50㎍/㎖ 중성적색소(neutral red)(in 10% FBS-MEME)를 200㎕씩 넣은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중성적색소 용액을 제거한 후, 1% CaCl2, 1%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in D.W(탈이온수)) 용액을 100㎕씩 넣고, 1분간 교반시킨 후, 용액을 제거하고, 이에 1% 아세트산, 50% 에탄올(in D.W)을 다시 100㎕씩 넣고, 15분간 교반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고 도 1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10,000 93.62% 98.91% 92.95%
5,000 95.90% 102.09% 96.84%
2,500 99.50% 106.82% 101.74%
1,250 101.07% 105.13% 101.11%
625 104.59% 105.47% 98.53%
312.5 100.55% 109.05% 96.29%
156.2 96.46% 101.47% 99.44%
78.125 100.81% 104.88% 97.63%
39.0625 95.79% 100.68% 103.79%
독성 실험 결과,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각자 및 백부자의 첨가 유무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그 유의성을 찾기는 힘들었으며, 따라서 조각자 및 백부자의 첨가에 의한 독성의 발현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2, 3 및 4에서 얻어진 각각의 시료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2-1. 실험 방법
상기 실험예 1에서 진행되었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취하여 진행하였다.
2-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하고 도 2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 1%(100%) 0.5%(50%) 0.25%(25%) 0.125%(12.5%)
실시예 2-1 88.4% 102.5% 99.4% 106.5%
실시예 2-2 98.4% 102.5% 103.4% 99.5%
실시예 2-3 64.0% 94.6% 112.5% 105.4%
실시예 3-1 98.1% 103.6% 99.9% 100.4%
실시예 3-2 124.0% 134.6% 112.5% 105.4%
실시예 3-3 68.1% 93.6% 94.9% 103.4%
실시예 3-4 73.9% 89.2% 101.2% 104.6%
실시예 3-5 101.9% 108.4% 131.4% 143.4%
실시예 4-1 98.1% 103.6% 99.9% 103.4%
실시예 4-2 124.0% 134.6% 112.5% 105.4%
실시예 4-3 94.6% 103.7% 99.7% 100.5%
실시예 4-4 99.5% 99.4% 101.8% 102.0%
시료 0.0625% (6.25%) 0.03125% (3.125%) 0.015625% (1.5625%) 0.0078125% (0.78125%)
실시예 2-1 105.4% 96.9% 97.9% 100.9%
실시예 2-2 96.4% 101.3% 103.9% 101.3%
실시예 2-3 100.7% 102.9% 103.6% 103.0%
실시예 3-1 99.0% 102.5% 101.3% 99.9%
실시예 3-2 100.7% 102.9% 103.6% 103.0%
실시예 3-3 101.9% 101.5% 101.2% 99.1%
실시예 3-4 99.4% 98.7% 103.4% 102.9%
실시예 3-5 127.0% 128.1% 127.2% 119.0%
실시예 4-1 101.0% 102.1% 101.2% 99.1%
실시예 4-2 100.7% 102.9% 103.6% 103.0%
실시예 4-3 107.1% 112.4% 125.5% 100.8%
실시예 4-4 104.2% 100.5% 99.9% 99.5%
실시예 4의 경우, ()의 농도로 진행하였음
상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3, 3-3, 3-4의 경우, 1% 농도에서 약한 독성을 나타내었으나, 0.5%부터는 모든 실시예들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그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 2, 3 및 4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다.
3-1. 프리라디칼 소거능 측정
3-1-1. 실험방법
시료에 대한 전자공여능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각 추출물의 용액 100㎕에 5×10-4M의 DPPH(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100㎕를 넣고, 1분간 교반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동일농도의 일-아스코르빈산(L-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3-1-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하고 도 3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 (100ppm) 프리라디칼 소거능
아스코르빈산 88.95%
실시예 1-1 59.32%
실시예 1-2 60.18%
실시예 1-3 67.34%
실시예 2-1 77.95%
실시예 2-2 70.47%
실시예 2-3 81.49%
실시예 3-1 77.56%
실시예 3-2 75.93%
실시예 3-3 86.20%
실시예 3-4 87.93%
실시예 3-5 66.71%
실시예 4-1 49.28%
실시예 4-2 41.39%
실시예 4-3 43.76%
실시예 4-4 35.49%
표 3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3의 경우, 대조구인 아스코르빈산과 유사한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의 경우, 조각자, 백부자를 첨가할수록 그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측정
3-2-1. 실험 방법
SOD 유사활성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각 추출물 당 100ppm의 농도별 시료용액 20㎕에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분석 키트(SOD assay kit-WST) 내 더블류에스티 작업용액(WST working solution) 200㎕을 넣어 교반한 후, 다시 효소작업용액(Enzyme working solution) 20㎕를 넣어 혼합한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동일 농도의 엘-아스코르빈산을 사용하였으며,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3-2-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4에 기재하고, 도 4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100ppm)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
아르코르빈산 61.39%
실시예 1-1 49.32%
실시예 1-2 60.18%
실시예 1-3 67.34%
실시예 2-1 50.34%
실시예 2-2 52.67%
실시예 2-3 64.87%
실시예 3-1 59.13%
실시예 3-2 19.87%
실시예 3-3 87.01%
실시예 3-4 69.18%
실시예 3-5 28.75%
실시예 4-1 45.16%
실시예 4-2 40.38%
실시예 4-3 47.39%
실시예 4-4 28.97%
상기 표 4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경우, 대조구인 아스코르빈산과 유사한 활성을 보였으며, 실시예 3의 경우는 오히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실험예 3-1과 같이 백부자 및 조각자를 첨가할수록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 2, 3 및 4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4-1. 실험 방법
과산화물에 의한 CCK-986sk(Human skin dermal fibroblast)의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즉, CCK-986sk(Human dermal skin fibroblast)을 10% FBS-MEME에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2.0×105cell/㎖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한 후, 이를 96well-plate에 200㎕씩 분주하고, 이를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후, 얼용액(Earle' solution(0.12M NaCl, 5mM KCl, 0.83mM MgSO4?7H2O, 5.5mM glucose, 1.8mM CaCl2, 1mM NaH2PO4?2H2O, 26.2mM NaHCO3 in D.W) 내의 1.5mM H2O2 용액으로 조제한 추출물 200㎕을 다시 첨가하여 동일 조건에서 90분간 반응시켰다. 이 때 얼용액 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실험구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90분간 반응시킨 후, 배지 및 용액을 제거하고, 50㎍/㎖ 중성적색소(in 10% FBS-MEME)를 200㎕씩 넣은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중성적색소 용액을 제거한 후, 1% CaCl2, 1% 포름알데히드(in D.W) 용액을 100㎕씩 넣고, 1분간 교반시킨 후, 용액을 제거하고, 이에 1% 아세트산, 50% 에탄올(in D.W)을 다시 100㎕씩 넣고, 15분간 교반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5에 기재하고, 도 5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100ppm) 세포생존율(%)
대조구 100.00%
실시예 1-1 113.31%
실시예 1-2 134.99%
실시예 1-3 189.21%
실시예 2-1 100.43%
실시예 2-2 102.52%
실시예 2-3 94.98%
실시예 3-1 156.23%
실시예 3-2 119.70%
실시예 3-3 137.02%
실시예 3-4 169.18%
실시예 3-5 246.37%
실시예 4-1 155.08%
실시예 4-2 148.38%
실시예 4-3 147.96%
실시예 4-4 119.11%
상기 표 5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어 실시예 3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로써 조각자 및 백부자를 첨가할 경우, 그 효과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1, 2, 3 및 4에 대한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5-1.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 활성 효과 측정
5-1-1. 실험 방법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티로시나제의 작용 결과 생성되는 도파크롬(DOPA chrome)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는 야기(Yagi)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96well plate 내 0.1M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pH6.5)) 110㎕에 1.5mM 엘-티로신(L-Tyrosine) 용액(in 0.1M 인산완충액(pH 6.5) 40㎕ 및 시료용액 10㎕을 넣은 후, 머쉬룸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2000unit/㎖) 10㎕을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도파크롬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90㎚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결과의 비교를 위해 양성대조구로 동일 농도의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다.
5-1-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6에 기재하고, 도 6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100ppm)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알부틴 77.18%
실시예 1-1 57.18%
실시예 1-2 46.67%
실시예 1-3 39.28%
실시예 2-1 80.35%
실시예 2-2 70.52%
실시예 2-3 84.41%
실시예 3-1 65.64%
실시예 3-2 93.85%
실시예 3-3 40.51%
실시예 3-4 69.83%
실시예 3-5 80.37%
실시예 4-1 51.23%
실시예 4-2 49.88%
실시예 4-3 36.89%
실시예 4-4 40.19%
상기 표 6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며, 실시예 3-2와 3-5는 뛰어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실시예 1에서 나타나듯이 백부자 및 조각자의 첨가로 인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는 오히려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2. B16F10 멜라노마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측정
5-2-1. 실험 방법
마우스 유래 B16F10 멜라노마(melanoma) 내 멜라민(melanin)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즉, B16F10(melanoma)을 10% FBS-MEME에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5.0×104cell/㎖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한 후, 이를 지름 60㎜의 플레이트에 5㎖씩 분주하고, 이를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후, 10% FBS-MEME로 조제한 500ppm 농도의 시료 1㎖과 5% 테오필라인(Theophylline)(0.05M)(in 10% FBS-MEME) 4㎖를 다시 첨가하여 동일 조건에서 72시간 배양시켰다. 이 때 10% FBS-MEME 만을 사용한 실험구를 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구는 동일 농도의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72시간 배양한 후, 각 플레이트 내의 용액 내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용액을 1㎖씩 마이크로튜브(microtube)에 옮기고, 이를 200㎕씩 취하여 96-well plate에 분주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 내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선 플레이트 내 나머지 배지를 제거하고, 1× PBS(-)로 1회 세척하였다. 다시 0.85N 수산화칼륨 용액을 0.5㎖씩 넣은 후, 30분 내지 1시간 가량 반응시켜 세포 내 멜라닌을 취하여 마이크로튜브에 옮기고, 다시 1× PBS(-) 0.5㎖을 넣고 잔량의 멜라닌을 취하여 혼합한 뒤, 역시 이로부터 200㎕씩 취하여 96-well plate에 옮겨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2-2. 실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7에 기재하고, 도 7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 (100ppm) 멜라닌 생성 억제율(%)
알부틴 32.83%
실시예 1-1 27.12%
실시예 1-2 26.35%
실시예 1-3 19.82%
실시예 2-1 30.25%
실시예 2-2 30.09%
실시예 2-3 34.29%
실시예 3-1 25.34%
실시예 3-2 54.64%
실시예 3-3 36.97%
실시예 3-4 49.69%
실시예 3-5 40.26%
실시예 4-1 20.14%
실시예 4-2 29.78%
실시예 4-3 16.11%
실시예 4-4 20.66%
상기 표 7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하는 각 화장품 제형에 있어서 본 한방 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미백에 효과를 나타내는 제형으로서의 화장물 조성료의 예를 보여주며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사용된 추출물은 실시예 3-5의 추출액이다.
처방예 1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 추출물(실시예 3-5)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한방 약재 추출물(실시예 3-5) 0.05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5
글리신 3.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1,3-부틸렌 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에탄올 5.0
항산화제 0.1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2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 추출물(실시예 3-5)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한방 약재 추출물 0.1
글리세린 7.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미네랄 오일 4.0
트리옥타노인 1.0
스테아릭에씨드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디메치콘 0.5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카보머 0.2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3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 추출물(실시예 3-5)을 함유한 화장료 중 항산화 및 미백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한방 약재 추출물 0.2
글리세린 5.0
1,3-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에칠렌 글리콜 2.0
카보머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히드록시에칠셀룰로이즈 0.2
에탄올 3.0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1.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4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 추출물(실시예 3-5)을 함유한 화장료 중 항산화 및 미백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한방 약재 추출물 0.5
1,3-부틸렌글리콜 3.0
글리세린 3.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1.0
옥틸도데카놀 3.0
트리옥타노인 2.0
스테아릭에씨드 1.5
세토스테아릴알콜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디메치콘 3.0
항산화제 0.3
산탄검 0.2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5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 추출물(실시예 3-5)을 함유한 화장료 중 바디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한방 약재 추출물 0.2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소듐세틸설페이트 0.1
판테놀 1.0
산탄검 1.0
카보머 0.1
비스왁스 0.3
세탄올 2.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5
미네랄오일 5.0
스쿠알렌 2.0
항산화제 0.3
디메치콘 1.0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6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 추출물(실시예 3-5)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한방 약재 추출물 0.2
글리세린 7.0
1,3-부틸렌 글리콜 3.0
스쿠알렌 3.0
디메치콘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2.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5.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 실시예들 및 실험예들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약재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효과 및 티로시나제 활성과 멜라닌 생성를 억제하는 뛰어난 작용을 지니고 있으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화장료 역시 항산화 및 피부 미백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산화를 억제하여 피부 세포의 손상 및 노화를 예방하고, 피부 미백 기능이 뛰어난 한방 약재 추출물과, 이러한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정향 10 내지 30중량부, 백강잠 10 내지 30중량부, 견우자 10 내지 30중량부, 백질려 10 내지 30중량부, 백급 10 내지 30중량부, 백지 10 내지 30중량부, 복령 1 내지 5중량부 및 녹두 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한방 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 혼합물이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 또는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 또는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와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 혼합물이 물 또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로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약재 추출물이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키는 것으로 수행되어서 수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
  5. 삭제
  6. (1) 정향 10 내지 30중량부, 백강잠 10 내지 30중량부, 견우자 10 내지 30중량부, 백질려 10 내지 30중량부, 백급 10 내지 30중량부, 백지 10 내지 30중량부, 복령 1 내지 5중량부 및 녹두 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한방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는 혼합단계;
    (2) 상기 약재 혼합물을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한방 약재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 및
    (3)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되는 한방 약재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시키는 동결건조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 혼합물에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 또는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 또는 백부자 1 내지 5중량부와 조각자 20 내지 30중량부의 혼합물을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가 50 내지 10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열추출과정, 또는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 추출하는 침적추출과정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추출과정에 의해 추출되는 한방 약재 추출액을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로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시키는 분획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중량% 및 잔량으로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장료 베이스가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영양화장수(영양로션), 에센스, 크림, 바디크림 또는 팩을 조성하는 화장료 베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중량% 및 잔량으로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장료 베이스가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영양화장수(영양로션), 에센스, 크림, 바디크림 또는 팩을 조성하는 화장료 베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60382A 2006-06-30 2006-06-30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5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382A KR100785505B1 (ko) 2006-06-30 2006-06-30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382A KR100785505B1 (ko) 2006-06-30 2006-06-30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505B1 true KR100785505B1 (ko) 2007-12-12

Family

ID=3914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382A KR100785505B1 (ko) 2006-06-30 2006-06-30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50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070B1 (ko) * 2015-12-07 2016-08-29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질려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볼륨 증진 또는 주름, 탄력 개선용 조성물
CN106562913A (zh) * 2015-10-10 2017-04-19 孟宏 具有美白功效的外用组合物、化妆品制剂及其制备方法
CN109498529A (zh) * 2017-09-15 2019-03-22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白芨提取物的应用
KR20200008382A (ko) * 2018-07-16 2020-01-28 김미녀 천연 한방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3095B1 (ko) * 2020-11-06 2021-05-17 주식회사 허브테라피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CN112931747A (zh) * 2021-02-05 2021-06-11 西南科技大学 一种白芷的高能电子束辐照储藏工艺
KR102663826B1 (ko) * 2023-04-27 2024-05-03 송용문 한방 재료로 제조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3932A (ko) * 1989-03-22 1990-10-22 박효철 한방생약성분의 화장료용 분말 및 액기스 제조방법
KR20010000396A (ko) * 2000-09-26 2001-01-05 이봉석 미백 화장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3932A (ko) * 1989-03-22 1990-10-22 박효철 한방생약성분의 화장료용 분말 및 액기스 제조방법
KR20010000396A (ko) * 2000-09-26 2001-01-05 이봉석 미백 화장료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2913A (zh) * 2015-10-10 2017-04-19 孟宏 具有美白功效的外用组合物、化妆品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652070B1 (ko) * 2015-12-07 2016-08-29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질려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볼륨 증진 또는 주름, 탄력 개선용 조성물
CN109498529A (zh) * 2017-09-15 2019-03-22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白芨提取物的应用
KR20200008382A (ko) * 2018-07-16 2020-01-28 김미녀 천연 한방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00630B1 (ko) 2018-07-16 2021-01-11 김미녀 천연 한방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3095B1 (ko) * 2020-11-06 2021-05-17 주식회사 허브테라피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CN112931747A (zh) * 2021-02-05 2021-06-11 西南科技大学 一种白芷的高能电子束辐照储藏工艺
KR102663826B1 (ko) * 2023-04-27 2024-05-03 송용문 한방 재료로 제조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040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785505B1 (ko)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155714B1 (ko) 비자나무의 미성숙 열매 또는 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8078A (ko) 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4314A (ko)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4517A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604073B1 (ko) 삼칠 추출물, 첨과 추출물 및 석곡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 종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1275B1 (ko)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5929B1 (ko)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추출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26036A (ko)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5122A (ko) 보리 추출물 또는 에리오딕티올을 포함하는 콜라겐 분해 방지 또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5925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4485B1 (ko)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87655B1 (ko) 새싹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100546735B1 (ko) 피부미백제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1722B1 (ko) 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883773B1 (ko)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379984B1 (ko)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2171472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