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984B1 -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984B1
KR100379984B1 KR10-2000-0027909A KR20000027909A KR100379984B1 KR 100379984 B1 KR100379984 B1 KR 100379984B1 KR 20000027909 A KR20000027909 A KR 20000027909A KR 100379984 B1 KR100379984 B1 KR 100379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k
extract
seed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886A (ko
Inventor
정진수
진기홍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984B1/ko
Publication of KR20010106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984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추출용매로 교반추출하여 제조한 본 발명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저해하여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리폭지나제 효소활성 저해능 및 프리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hitening of skin and suppressing of aging containing extract of Zanthoxylum piperitum seed coat}
본 발명은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티로시나제 효소 활성 저해능, 리폭시지나제 효소 활성 저해능 및 프리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억제 효과가 우수한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검어지는 현상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손상을 막기 위해 피부 조직이 행하는 자연스러운 생체반응으로서 이러한 생체반응의 산물은 멜라닌이라는 색소이다. 멜라닌의 주요 기능은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의 흡수와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프리라디칼인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피부노화 역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외부환경에 대한 적응력의 감소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최근, 노화의 메카니즘으로 프리라디칼(Free radical) 이론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 이론은 1950년대 중반 D. Harman에 의해 최초로 주장되어졌고, 현재 의학, 약학, 피부학을 중심으로 연구가 널리 행해지고 있다. 프리라디칼은 활성산소종과 유기 자유라디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들의 생성 원인으로는 자외선, 환경오염, 약물 대사과정 및 생체내 이상과다반응 등이 있다. 생성된 프리라디칼들은 세포내 구성성분들중 지질, 단백질, 당 및 핵산들을 손상시키고 세포막의 파괴를 야기시킴므로서 세포살상, 세포돌연변이, 효소 활성저하, 피부암과 같은 각종 피부질환 등을 유발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궁극적으로 피부노화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된다. 또한 생성된 프리라디칼들은 생체내 지질들을 과산화시킬 수 있는데 프리라디칼과 지질 과산화물은 모두 피부의 염증반응을 야기시킬 수 있다. 계속되는 피부 염증 역시 피부노화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데, 피부 염증의 발생경로는 아래의 두 효소의 활성에 의해 생성된 산물들이 주된 원인물질들로 알려져 있다.
리폭시지나제(Lipoxygenase)와 시클로옥시지나제(Cyclooxygen- ase)는 피부 염증 발생경로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들이며, 특히 리폭시지나제는 염증의 생화학적 반응의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이다. 이 효소는 포유류의 중요 불포화지방산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사용하여 산화적 물질대사를 통해 루코트리엔(Leucotriene)이라는 염증의 중간 매개체를 생성시킨다. 시클로옥시지나제 효소도 프로스타글라딘(Prostaglandins)이라는 지질산화물 생성을 통해 염증 반응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 따라서 만약 상기 효소들의 활성을 저해시킬 수만 있다면 염증의 중간매개체 생성억제를 유도할 수가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피부 노화의 진행을 억제시킬 수가 있다.
종래에는 피부 흑화, 기미 및 주근깨 등의 피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코지산(Kojic acid), 하이드로퀴논, 비타민 C 등과 같은 원료들이 화장품에 첨가되어 사용되었는데, 이들 원료들은 피부 흑화의 주요소인 멜라닌 색소 생성을 억제하는, 다시 말해 멜라닌 합성의 주요 단계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생성된 멜라닌 색소를 환원시키는 기능성 원료 물질들이다. 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을 제공하는 프리라디칼 제거와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억제를 위해서 비타민 C, E, 그리고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을 포함하는 다양한 항산화제가 화장료에 배합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피부 미백제와 항산화제는 원료 자체의 피부 안전성과 화장료 배합시 산화나 변색 등과 같은 원료 안정성에 대한 문제점 때문에 그 사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피부 미백 및 피부 노화억제 효과를 가진 원료들의 위와 같은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자연계의 천연 식물들에서 피부 안전성 및 원료 안정성이 뛰어나며 종래의 미백제, 항산화제 이상의 효능을 가진 천연물을 찾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피부 미백 및 피부 노화억제 능력이 뛰어난 많은 천연 식물 추출물들이 개발되어 화장료에 배합되어 널리 사용되어져 오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피부 미백 및 노화억제 효과를 동시에 가진 천연 식물추출물은 흔하지 않으며 그 효과도 뛰어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추출방법에 있어서도 가열추출이나 침적을 통한 추출방법을 사용하였으므로 추출과정에서 유효성분들을 파괴하거나 수동적 추출로 인해 추출물 내 유효성분들의 함량이 낮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식물의 유효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피부 미백 및 노화억제 능력도 뛰어난 식물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자 자연계의 여러 천연 식물추출물들을 검색함과 동시에 다양한 추출방법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 교반 추출법을 통해 얻어진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이 유효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출물이 티로시나제 효소 활성저해 효과뿐만 아니라, 프리라디칼 소거 및 리폭시지나제 효소에 의한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초피나무는 식물분류 중 운향과에 속하며 한국의 중부 이남 지역의 야산에서 주로 자생하는 종으로서 가시가 크고 잎은 서로 마주보고 자라며 민간에서는 씨앗의 껍질을 음식의 향신료로 사용해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 억제 효과가 있는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반추출에 의한 상기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분쇄된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추출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추출물을 얻고, 이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효소 활성 저해율, 프리라디칼 소거율 및 지질과산화 억제율을 조사하여 본 발명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이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다음의 공정들로 이루어지는 초피나무 씨앗껍질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건조분쇄한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90% 에탄올 추출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건조분쇄한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90% 에탄올 추출용매에 첨가하고 침적하여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건조분쇄한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90% 에탄올 추출용매에 첨가하고 가열하여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3종의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들의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율과 DPPH 프리라디칼 소거율을 조사하여 그 값들을 비교하는 단계;
건조분쇄한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물을 비롯한 추출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본 발명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율을 조사하고 알부틴, 녹차잎 추출 분말, 황금뿌리 추출 분말과 그 값을 비교하는 단계;
본 발명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DPPH 프리라디칼 소거율을 조사하고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 녹차잎 추출 분말, 황금뿌리 추출 분말과 그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본 발명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율을 조사하고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 녹차잎 추출 분말 및 황금뿌리 추출 분말과 그 값을 비교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단계는,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깨끗한 물로 씻은 다음 건조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중량에 대해 추출용매로서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5 내지 20배 중량의 양으로 가한 뒤, 상온에서 24시간동안 자석교반기(Magnetic Stirrer)로 100 내지 500rpm으로 교반하여 유효성분들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3000 내지 7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을 취하고 0.4 내지 100㎛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 다음, 상기 1 단계의 추출여과액을 얻는다. 제 2단계로, 감압 증발기(Heidolph LABOROTA 4002)에서 감압농축하여 피부 미백과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효소 활성저해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프리라디칼 소거 및 강력한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서 매우 우수한 피부 미백 및 피부 노화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인 바,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교반에 의한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 제조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깨끗한 물로 씻고 건조분쇄한 후 분쇄물 건조중량 10g에 90% 에탄올 200g을 넣고 상온에서 4시간동안 자석교반기에서 교반(400rpm)하였다. 추출액을 원심분리(5,000rpm, 10분)하여 상층액만을 취하고 이를 필터(Gelman사, 0.45um)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실시예 1: 침적에 의한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 제조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깨끗한 물로 씻고 건조분쇄한 후 분쇄물 건조중량 10g에 90% 에탄올 200g을 넣고 상온에서 4일동안 침적하였다. 추출액을 원심분리(5,000rpm, 10분)하여 상층액만을 취하고 이를 필터(Gelman사, 0.45um)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실시예 2: 가열에 의한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 제조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깨끗한 물로 씻고 건조분쇄한 후 분쇄물 건조중량 10g에 90% 에탄올 200g을 넣고 80℃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원심분리(5,000rpm, 10분)하여 상층액만을 취하고 이를 필터(Gelman사, 0.45um)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추출법에 따른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 율 조사비교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비교실시예 1, 2에서 얻은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에 대하여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료들을 제외한 모든 시약들은 시그마(Sigma)사의 것으로서, 먼저 0.1M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6.8) 1.15mL를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증류수에 용해된 3mM 티로신 용액 0.1mL와 시료를 포함하는 0.2mL 시료용액을 가하였다(반응용액중 각 시료의 최종농도는 2%(v/v)이였다). 각 시험관에 0.05M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용액에 용해된 2000unit/mL 티로시나제 효소 용액 0.05mL를 넣고 37℃ 항온수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대조군 A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 0.2mL만을 가하였다. 대조군 B에는 티로시나제 효소 용액 대신 0.05mL의 증류수를 넣었다. 반응이 끝난 후 광전분광분석계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율은 상기 흡광도 측정값들을 하기 계산식에 대입하여 구하였다:
실험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 추출법을 통해 얻어진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실시예 1)은 상기 실험농도(2%)에서 침적 또는 가열추출을 통해 얻어진 비교실시예 1, 2보다 훨씬 높은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효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반 추출법이 침적이나 가열 추출법보다 보다 효과적으로 초피나무 씨앗껍질로부터 유효성분들을 파괴없이 다량 추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들의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율
시 료 티로시나제효소 저해율(%)
실시예 1 28.0
비교실시예 1 8.9
비교실시예 2 3.2
실험예 2: 추출법에 따른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DPPH 프리라디칼 소거율 조사비교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 비교실시예 1, 2에서 얻은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에 대하여 DPPH 프리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푸지타(Fujita) 등이 1998년 저널 [Yakugaku Zasshi]에 게재한 실험방법을 약간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즉, 메탄올에 용해된 0.1mM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시그마사) 용액 1mL을 시험관에 넣고 에탄올에 2%(v/v) 농도로 용해된 각 시료 0.1mL를 포함한 에탄올 1mL을 가한 뒤 37℃ 항온수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반응용액중 각 시료의 최종농도는 0.1%(v/v)이였다). 이때 대조군에는 시료가 들어가지 않은 에탄올 1mL를 가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광전분광분석계로 파장 516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프리라디칼 소거율을 하기 계산식에 상기 흡광도 측정값을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 추출법을 통해 얻어진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실시예 1)은 상기 실험농도(0.1%)에서 침적 또는 가열추출을 통해 얻어진 비교실시예 1, 2보다 훨씬 높은 프리라디칼 소거효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시 교반 추출법이 침적이나 가열 추출법보다 보다 효과적으로 초피나무 씨앗껍질로부터 유효성분들을 파괴없이 다량 추출하였음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교반 추출법은 침적 추출법보다 빠른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유효성분들을 추출할 수가 있었고, 가열 추출법과 비교시 열에 의한 유효성분들의 파괴를 막을 수 있었다.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들의 프리라디칼 소거율
시 료 라디칼 소거율(%)
실시예 1 86.0
비교실시예 1 70.6
비교실시예 2 48.7
실시예 2: 교반법에 의해 제조한 본 발명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 제조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깨끗한 물로 씻고 건조분쇄한 후 분쇄물 건조중량 20g에 90% 에탄올 400g을 넣고 상온에서 24시간동안 자석교반기에서 교반(400rpm)하였다. 추출액을 원심분리(5,000rpm, 10분)하여 상층액만(352g)을 취하고 이를 필터(Gelman사, 0.45um)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감압증발기에서 40℃로 감압농축하여 2.5g(건조중량)의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화장료 성분과 본 발명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율 조사비교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에 대하여 티로시나제 효소저해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실험예로 화장료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그마(Sigma)사의 미백제 알부틴(Arbutin)과, 바이오랜드(Bioland)사의 녹차잎 추출분말(Green tea leaf powder), 황금뿌리 추출분말(Scutellaria root powder)을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들을 제외한 모든 시약들은 시그마(Sigma)사의 것으로서, 먼저 0.1M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6.8) 1.15mL를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증류수에 용해된 3mM 티로신 용액 0.1mL와 시료를 포함하는 0.2mL 시료용액을 가하였다(반응용액중 각 시료의 최종농도는 50, 100, 150㎍/mL이였다). 각 시험관에 0.05M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용액에 용해된 2000unit/mL 티로시나제 효소 용액 0.05mL를 넣고 37℃ 항온수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대조군 A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 0.2mL만을 가하였다. 대조군 B에는 티로시나제 효소 용액 대신 0.05mL의 증류수를 넣었다. 반응이 끝난 후, 광전 분광분석계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율을 하기 계산식에 상기 흡광도 측정값을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 추출법을 통해 얻어진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은 상기 실험농도 범위에서 미백제 알부틴(Arbutin)보다는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효능이 다소 떨어지지만 녹차잎 추출분말보다는 높은 저해효능을 보였다. 그리고 황금뿌리 추출분말과 비교해서는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미백 효능이 월등함을 알 수가 있었고, 위 실험농도 범위에서 황금뿌리 추출분말의 미백 효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과 다른 미백제들의 티로시나제 효소 저해율
시료 반응용액중에 포함된시료의 최종농도(㎕/mL) 티로시나제 효소저해율(%)
실시예 2에서 얻은추출물 50 14.6
100 27.5
150 31.4
알부틴 50 22.4
100 36.4
150 39.4
녹차잎 추출분말 50 13.8
100 22.3
150 25.1
황금뿌리 추출분말 50 0.0
100 0.0
150 0.0
실험예 2: 화장료 성분과 본 발명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DPPH 프리라 디칼 소거율 조사비교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2의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에 대하여 DPPH 프리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실험예로 화장료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그마(Sigma)사의 항산화제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과 바이오랜드(Bioland)사의 녹차잎 추출분말(Green tea leaf powder), 황금뿌리 추출분말(Scutellaria root powder)을 사용하였으며 본 실험은 푸지타 (Fujita) 등이 1998년 저널 [Yakugaku Zasshi]에 게재한 실험방법을 약간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즉, 메탄올에 용해된 0.1mM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시그마사) 용액 1mL을 시험관에 넣고 에탄올에 0.1㎎/mL 농도로 용해된 각 시료 0.1mL, 0.2mL를 포함한 에탄올 1mL을 가한 뒤 37℃ 항온수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반응용액중 각 시료의 최종농도는 5㎍/mL, 10㎍/mL이였다). 이때 대조군에는 시료가 들어가지 않은 에탄올 1mL를 가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광전분광분석계로 파장 516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프리라디칼 소거율을 하기 계산식에 상기 흡광도 측정값을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 추출법을 통해 얻어진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은 최종 반응농도 5㎍/mL, 10㎍/mL에서 각각 녹차잎 추출분말보다는 다소 떨어지는 프리라디칼 소거효능을 보였으나, 항산화제로서 식품 및 화장료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보다는 높은 프리라디칼 소거효능을 보였다. 그리고 황금뿌리 추출분말보다 월등하게 프리라디칼들의 소거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우수한 프리라디칼 소거효능은 프리라디칼에 의한 피부 조직의 손상과 파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졌다.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과 여러 항산화제들의 프리라디칼 소거율
시료 반응용액중에 포함된 시료의 최종농도(㎍/mL) 라디칼 소거율(%) SC50(㎍/mL)
실시예 2의추출물 5 48.4 5.2
10 87.4
BHT 5 47.8 5.5
10 70.4
녹차잎추출분말 5 67.4 <5
10 92.5
황금뿌리추출분말 5 13.8 10
10 25.5
[주] SC50은 소거 활성(Scavenging activity) : 생성된 프리라디칼의 50%를 소거하는데 필요한 시료농도(㎍/mL)
실험예 3: 화장료 성분과 본 발명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율 조사비교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2의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에 대하여 생체효소 리폭시지나제(Lipoxygenase)에 의해 유발되는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실험예로 화장료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그마(Sigma)사의 항산화제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과 바이오랜드(Bioland)사의 녹차잎 추출분말(Green tea leaf powder), 황금뿌리 추출분말(Scutellaria root powder)을 사용하였으며 본 실험은 제이. 바우만(J.Baumann) 등이 1980년 저널 [Prostaglandins]에 게재한 실험방법을 약간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즉, 50mM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7.0) 1.2mL를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50mM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용액에 용해된 0.15%(w/v) 시료용액 0.1mL와 6.6mM 아라키돈산(시그마사) 0.1mL를 가하였다. 각 시험관에 50mM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용액에 용해된 리폭시지나제(Soybean Lipoxygenase, 시그마사) 효소 0.1mL을(반응용액 1mL당 최종적으로 효소가 4000 유니트가 되게 함) 넣고 25 ℃ 항온수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각 반응용액에 들어간 시료의 최종농도는 100㎍/mL이였다). 이때 대조군에는 시료용액 대신 50mM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용액 0.1mL를 가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20%(w/v)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 용액 1mL와 0.67%(w/v) 티오바비투르산(Thiobarbituric acid) 용액 2mL를 가하고 끓는 물에서 10분 동안 중탕시켰다. 중탕이 끝난 후 상온까지 식힌 다음 광전분광분석계로 파장 53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지질과산화 억제율은 하기 계산식에 상기 흡광도 측정값을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추출법을 통해 얻어진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은 BHT, 녹차 추출분말, 황금뿌리 추출분말 보다 각각 1.6배, 1.4배, 1.3배나 높은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뛰어난 지질과산화 억제능력은 자외선 및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에 대한 피부의 방어력을 키울 수 있는 훌륭한 항산화제임을 알 수 있었다.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과 여러 항산화제들의 지질과산화 억제율
시료 지질과산화 억제율(%)
실시예 2의 추출물 79.3
BHT 51.1
녹차잎 추출분말 57.6
황금뿌리 추출분말 59.8
상기 실험예 4 및 5의 결과에 따라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의 우수한 프리라디칼 소거능력과 지질과산화 억제능력은 본 발명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이 우수한 피부 노화억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상기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초피나무 씨앗껍질로부터 교반추출하여 제조한 본 발명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저해하여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리폭시지나제 효소활성 저해능 및 프리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2000-0027909A 2000-05-24 2000-05-24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0379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909A KR100379984B1 (ko) 2000-05-24 2000-05-24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909A KR100379984B1 (ko) 2000-05-24 2000-05-24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886A KR20010106886A (ko) 2001-12-07
KR100379984B1 true KR100379984B1 (ko) 2003-04-16

Family

ID=1966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909A KR100379984B1 (ko) 2000-05-24 2000-05-24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168B1 (ko) 2008-07-11 2011-03-22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피부미백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086B1 (ko) * 2005-09-09 2007-08-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초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초피 추출물을 함유한 항충치물질
KR100881008B1 (ko) * 2007-07-30 2009-01-30 강해성 초피과립의 제조방법
ITMI20090247A1 (it) * 2009-02-23 2010-08-24 Indena Spa Metodo di trattamento cosmetico delle rughe basato su un estratto di zanthoxylum bungeanum
KR101250894B1 (ko) * 2010-11-02 2013-04-04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인텐시브 화이트닝 잔톡시럼컴포지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슬리핑 워터마스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4657A (ja) * 1987-12-24 1989-11-28 Wakunaga Pharmaceut Co Ltd 新規アミド化合物及びその製造法
US5411733A (en) * 1992-04-27 1995-05-02 Hozumi; Toyoharu Antiviral agent containing crude drug
JPH0873314A (ja) * 1994-09-05 1996-03-19 Ichimaru Pharcos Co Ltd 皮膚外用剤および浴用剤
CN1171951A (zh) * 1997-07-15 1998-02-04 杨永刚 一种治疗脚癣的浴足液及其配制方法
JPH1179951A (ja) * 1997-09-12 1999-03-23 Shiseido Co Ltd チロシナーゼ活性促進剤
KR20000026529A (ko) * 1998-10-21 2000-05-15 김근기 초피나무로부터 분리한 항균물질 및 그 분리방법
JP2000302636A (ja) * 1999-02-16 2000-10-31 Kanebo Ltd 化粧料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4657A (ja) * 1987-12-24 1989-11-28 Wakunaga Pharmaceut Co Ltd 新規アミド化合物及びその製造法
US5411733A (en) * 1992-04-27 1995-05-02 Hozumi; Toyoharu Antiviral agent containing crude drug
JPH0873314A (ja) * 1994-09-05 1996-03-19 Ichimaru Pharcos Co Ltd 皮膚外用剤および浴用剤
CN1171951A (zh) * 1997-07-15 1998-02-04 杨永刚 一种治疗脚癣的浴足液及其配制方法
JPH1179951A (ja) * 1997-09-12 1999-03-23 Shiseido Co Ltd チロシナーゼ活性促進剤
KR20000026529A (ko) * 1998-10-21 2000-05-15 김근기 초피나무로부터 분리한 항균물질 및 그 분리방법
JP2000302636A (ja) * 1999-02-16 2000-10-31 Kanebo Ltd 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168B1 (ko) 2008-07-11 2011-03-22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피부미백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886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5505B1 (ko)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920650B1 (ko) 다알리아 조성물, 다알리아 조성물 분말,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79984B1 (ko)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2176710B1 (ko) 개나리 꽃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5929B1 (ko)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추출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6305978A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美白化粧品および変色防止剤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5260B1 (ko) 애기마디잘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22043B1 (ko) 블루 로터스 및 아이슬란드 이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3643B1 (ko) 유리코마 롱기폴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53217B1 (ko) 피부미백재
KR102366234B1 (ko) 데스모디움 스컥스(Desmodium sequax Wall) 유래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보이는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KR20010018668A (ko) 육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00045575A (ko)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20020040755A (ko) 화장용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에서 란네아 속 식물의하나 이상의 추출물의 용도
KR20030086933A (ko) 잘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30704B1 (ko) 아카시아 나뭇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70117B1 (ko) 금모구척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KR102579725B1 (ko) 곤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950006064B1 (ko) 감잎플라보노이드의 안정화 방법
KR102595461B1 (ko)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389374B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개선 또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131B1 (ko) 멀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