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461B1 -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461B1
KR102595461B1 KR1020230032423A KR20230032423A KR102595461B1 KR 102595461 B1 KR102595461 B1 KR 102595461B1 KR 1020230032423 A KR1020230032423 A KR 1020230032423A KR 20230032423 A KR20230032423 A KR 20230032423A KR 102595461 B1 KR102595461 B1 KR 102595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present
composition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자복
Original Assignee
(주)엘파운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파운더 filed Critical (주)엘파운더
Priority to KR1020230032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 피부 내 산화물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탁월하며, 피부 세포 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apaver rhoeas having the effects of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먼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각종 화장품을 제조하여 사용하여 왔다. 최근까지 다양한 화장료, 특히 미백, 보습,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들이 제품으로 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화학물질들은 독성, 저활성, 용도의 한계성 및 과량복용에 따른 부작용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으므로, 부작용 가능성이 적은 소재를 개발하려는 일환으로 천연 식물에서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개양귀비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그 학명이 'Papaver rhoeas'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양귀비과 양귀비속에 속하는 식물로 개양귀비, 꽃양귀비로 불리며 원산지는 유럽이며 세계적으로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되며 마약 성분이 없는 안전한 식물로 알려져 있다. 양귀비과는 주로 북반구의 아열대와 한대에 약 30속 500여 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6속 23종이 분포되어 있다. 2년생 초본 식물로서 줄기의 길이는 30~90cm이다. 꽃은 지름이 5cm 이상이고 가지 끝에 달리며 피지 않는 꽃봉오리는 아래로 향한다. 꽃의 색은 적갈색이거나 심자색, 적색 등이지만 백색이거나 연한 홍색인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짙은 반점이 있는 것도 있다. 마주 보고 있는 2개의 꽃잎은 다른 2개의 꽃잎보다 조금 크며, 수술은 많고, 중앙에 암술이 있고 씨방은 거꿀달걀꼴이며 길이는 1.3cm 가량으로, 암술 머리는 방사상이고 씨방 꼭대기에 덮여 있다.
개양귀비의 잎에 항암, 항염, 항진통은 물론 항산화에도 효과가 있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꽃양귀비 잎에 암세포를 억제하고 경련을 가라앉히는 켈리도닌(chelidonine), 항암, 소염, 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프로토핀(protopine), 최면제나 진통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크립토핀(cryptopine) 등과 같은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최근에는 천연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 활성 물질을 화장료에 도입하여 피부 자체의 고유 방어 기능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피부에 작용하는 기능성을 증가시키는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추세이며,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의 피부 미백, 피부 주름 개선, 보습,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더욱 우수한 천연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개양귀비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노력을 계속했고, 연구를 계속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특허문헌 1 : KR 10-2221033 B1 (2021.02.22)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문헌 2 : KR 10-2171133 B1 (2020.10.22)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특허문헌 3 : KR 10-1081059 B1 (2011.11.01)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로서, 유효성분으로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흰색 또는 붉은색 개양귀비 꽃잎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붉은색 개양귀비 꽃잎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식물에 있어 꽃은 종족 보존의 기능을 우선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꽃에는 각각의 색깔별로 안토시아닌계, 카로티노이드계 및 플라보노이드계의 다양한 색소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들은 그 종류만큼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식물의 꽃에 대표적으로 함유되어 있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은 화청소(花靑素)라 하며 Anthocyan과 그 aglycon인 anthocyanidin을 말한다. 기본적으로 세포 내에서는 모두 배당체로 존재하여 적색, 청색, 보라색을 나타내며 산으로 가수분해하면 적색부분(Anthocyanidin)과 당부분으로 나누어지는 수용성 색소로서, 세포의 노화를 촉진시키고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 발암물질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변이원성 작용,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 심혈관계질환을 일으키는 변화요소 억제작용 및 체내의 콜레스테롤 제거 작용, 간의 기능을 활성시켜 간기능 개선으로 지방간, 간경화 및 알콜성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 혈액순환촉진으로 뇌 대사기능 증진 및 치매 예방 등의 다양한 효능이 밝혀지고 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Vit P 또는 Vit C2(Vit C 상승제)라고 하며 황색 계열의 식물 색소이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Flavone을 기본구조로 갖는 식물색소로 Anthoxanthin을 뜻하며 산성에서 안정한 수용성 색소로 항균작용, 항암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항알러지 작용 등 많은 효과를 나타낸다.
개양귀비는 크게 흰색, 노란색, 붉은색 등이 있으며, 노란색의 경우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흰색과 붉은색 모두 생물 소재로서 유용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식물에서 색과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안토시아닌 성분이 붉은색 꽃에 더욱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붉은색 개양귀비 꽃잎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주름 개선의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상온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증기 추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 또는 냉침추출에 의한다.
특히, 개양귀비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토핀은 세포독성으로 인해 섭취시 주의가 필요한 성분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해당 성분이 잘 녹지 않는 물로 추출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개양귀비 꽃잎을 채취한 뒤 건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한 후 사용한다. 상기 건조된 꽃잎은 1:100의 비율로 30 내지 80℃로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물을 이용하여 30분 동안 열수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침 추출은 10 내지 25℃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침출·교반하여 냉침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추출물은 추출 단계, 여과 단계, 동결건조 단계를 거쳐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개양귀비 추출물은 1 내지 1000 μg/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일반식품, 식품첨가물, 기능성식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또는 의약품이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에어로졸, 용액, 현탁액, 타블렛, 그래뉼 또는 파우더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 내 산화물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노화를 예방하여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 및 피부 세포 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여 미백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월등하고, 상기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등도 피부 미백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별 개양귀비 추출물의 추출된 색소의 양을 나타낸 사진이다(B1, 30℃; B2, 40℃; B3, 50℃; B4, 60℃; C1, 70℃; C2, 80℃).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B16F10에 대한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멜라닌 감소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른, B16F10에 대한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른, 콜라겐 합성 촉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서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다.
[실시예 1] 개양귀비 추출물 제조
개양귀비 꽃잎은 채취한 뒤 건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꽃잎은 1:100의 비율로 30 내지 80℃로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30분간 추출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 결과 30 내지 60℃ 구간에서는 온도에 따라 추출된 색소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그 이상의 구간에서는 온도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량 역시 증가하며 80℃에서 최고 추출량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세포독성평가
독성 시험에 사용될 RAW 264.7 세포에 대한 개양귀비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DMEM broth 445 mL, FBS 50 mL, Antibiotics (×100) 5 mL를 혼합하여 전배양을 실시하였다. 전배양이 끝난 세포는 96 well plate에 200 μL, 2×104 cell/well 로 분주하여 24시간, 37℃, CO2 5% 조건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후 다양한 온도에서 추출한 개양귀비 추출물을 12.5~100 μg/mL 농도로 처리한 뒤 24시간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체하여 5 mg/mL MTT solution을 20 μL 분주하여 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보라색 결정에 주의하며 배양 상층액을 제거한 뒤 DMSO로 결정을 재용해 시킨 뒤 56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모든 시료 100 μg/mL 농도에서 80% 기준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실험예 2] 미백 활성 평가
1. B16F10에 대한 독성 평가
미백 활성 및 독성 시험에 사용될 B16F10 세포에 대한 개양귀비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B16F10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DMEM broth 470 mL, FBS 25 mL, Antibiotics (×100) 5 mL를 혼합하여 전배양을 실시하였다. 전배양이 끝난 세포는 96 well plate에 5×103 cell/well 로 분주하여 24시간, 37℃, CO2 5% 조건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후 200nM α-MSH와 개양귀비 추출물이 농도별로 첨가된 배지로 교환하고 동시에 다양한 온도에서 추출한 개양귀비 추출물을 12.5-100 μg/mL 농도로 처리한 뒤 96 시간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체하여 5 mg/mL MTT solution을 20 μL 분주하여 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보라색 결정에 주의하며 배양 상층액을 제거한 뒤 DMSO으로 결정을 재용해 시킨 뒤 56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높은 세포독성을 보이는 성분의 경우 제품으로 사용에 있어 피부의 자극 및 염증 유도 등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확인이 필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80%를 기준으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으며, 도 2에 그 결과를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추출물 및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 멜라닌 감소 평가
미백 활성 및 독성 시험에 사용될 B16F10 세포에 대한 개양귀비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B16F10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DMEM broth 470 mL, FBS 25 mL, Antibiotics (×100) 5 mL를 혼합하여 전배양을 실시하였다. 전배양이 끝난 세포는 96 well plate에 5×103 cell/well 로 분주하여 24시간, 37℃, CO2 5% 조건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후 200nM α-MSH와 개양귀비 추출물이 농도별로 첨가된 배지로 교환하고 동시에 다양한 온도에서 추출한 개양귀비 추출물을 12.5-100 μg/mL 농도로 처리한 뒤 96 시간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배양이 끝난 상층액을 각 well 당 200 μL 씩 넣고 37℃에서 3 시간 동안 반응 시킨 후 PBS buffer로 수세하였다. 그 후 DMSO를 각 well 당 200 μL 씩 첨가한 후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49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B16F10은 멜라닌을 생성하는 주요 세포이다.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조직을 보호하는 물질이지만 활성산소, 호르몬 이상, 자외선 등에 의해 과도한 멜라닌을 생성하여 피부의 미적 가치를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본 실험에서는 α-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과 개양귀비 추출물에 의한 미백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70℃ 추출물에서 최대 21.3%의 멜라닌을 억제하였으며, arbutin과 유사한 수준의 미백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3] 주름 개선효과 평가
1. B16F10에 대한 독성 평가
주름 개선 효과 및 독성 시험에 사용될 CCD-986sk 세포에 대한 개양귀비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CCD-986sk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DMEM broth 445 mL, FBS 50 mL, Antibiotics (×100) 5 mL를 혼합하여 전배양을 실시하였다. 전배양이 끝난 세포는 96 well plate에 1×104 cell/well 로 분주하여 24시간, 37℃, CO2 5% 조건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후 10 μM H2O2 첨가 배지로 교환하고 동시에 다양한 온도에서 추출한 개양귀비 추출물을 12.5-100 μg/mL 농도로 처리한 뒤 24 시간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체하여 5 mg/mL MTT solution을 20 μL 분주하여 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보라색 결정에 주의하며 배양 상층액을 제거한 뒤 DMSO으로 결정을 재용해 시킨 뒤 56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5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활성 라디칼은 세포의 에너지 대사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적정량이 유지되는 경우 면역반응, 물질 대사 반응 등 세포의 화학적 반응에 사용되며 소거되지만, 염증이나 자외선 조사, 과도한 물질대사에 의해 과도하게 발생된 경우 세포를 사멸시킨다.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활성 라디칼로서 H2O2를 첨가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H2O2 를 첨가한 경우 21.2%의 CCD-986sk이 사멸하였으나, 70℃ 추출물에서 최대 102.7%의 세포 생존력을 보여, H2O2를 소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콜라겐 합성 촉진 평가
주름 개선 효과 및 독성 시험에 사용될 CCD-986sk 세포에 대한 개양귀비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CCD-986sk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DMEM broth 445 mL, FBS 50 mL, Antibiotics (×100) 5 mL를 혼합하여 전배양을 실시하였다. 전배양이 끝난 세포는 96 well plate에 1×104 cell/well 로 분주하여 24시간, 37℃, CO2 5% 조건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후 다양한 온도에서 추출한 개양귀비 추출물을 12.5-100 μg/mL 농도로 처리한 뒤 24 시간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콜라겐 농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콜라겐 농도 측정은 procollagen type-1 C-peptide EIA kit (Takara, Japan)를 이용하였다. 배양이 끝난 뒤 anti pip antibody coated 96 well plate에 시료 20μL 및 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 100 μL을 넣고 3 시간 배양 후 PBS로 4회 세척 후 substrate solution 100 μL을 첨가해 준 뒤 15분간 반응을 지켜보며 시료간 적절한 차이가 나타났을 때 H2SO4 용액 100 μL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뒤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6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CCD-986sk은 콜라겐을 생성하는 주요 세포이다. 콜라겐은 피부 조직을 구성하는 물질로,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 주름의 주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킴으로서 이러한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개양귀비 추출물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70℃ 추출물에서 최대 23.1%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붉은색 개양귀비 꽃잎의 70℃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물로 추출하여 프로토핀(protopine)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세포독성이 없으며, α-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32423A 2023-03-13 2023-03-13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595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423A KR102595461B1 (ko) 2023-03-13 2023-03-13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423A KR102595461B1 (ko) 2023-03-13 2023-03-13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461B1 true KR102595461B1 (ko) 2023-10-31

Family

ID=8854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423A KR102595461B1 (ko) 2023-03-13 2023-03-13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4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812A (ja) * 2006-08-08 2008-02-21 Croda Japan Kk 化粧料組成物
KR20110001538A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229145B1 (fr) * 2007-12-11 2015-05-27 Societe De Recherche Cosmetique Utilisation d'un extrait de petales de coquelicot pour la nutrition de l'epiderme
KR102171133B1 (ko) 2019-01-14 2020-10-28 유씨엘 주식회사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21033B1 (ko) 2019-07-17 2021-02-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812A (ja) * 2006-08-08 2008-02-21 Croda Japan Kk 化粧料組成物
EP2229145B1 (fr) * 2007-12-11 2015-05-27 Societe De Recherche Cosmetique Utilisation d'un extrait de petales de coquelicot pour la nutrition de l'epiderme
KR20110001538A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1059B1 (ko)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1133B1 (ko) 2019-01-14 2020-10-28 유씨엘 주식회사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21033B1 (ko) 2019-07-17 2021-02-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lecules, 2021, 26, 2809, pp. 1-25* *
인터넷 기사(2018.12.14.)* *
인터넷 기사(2022.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040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27B1 (ko) 피부탄력,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20150143375A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8095A (ko)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CN106413687B (zh) 含有红景天提取物和银杏提取物的产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595461B1 (ko) 개양귀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041419B1 (ko)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69641B1 (ko) 해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1506602B1 (ko)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030450B2 (ja) 白米蒸法を利用した漢方成分抽出方法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16113B1 (ko) 항여드름 효능 및 주름개선 효능을 가지며 향취가 개선된 프로폴리스 가용 분획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70238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0411A (ko) 와송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8173A (ko)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79984B1 (ko)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20118946A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