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095A -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 Google Patents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095A
KR20190138095A KR1020180064233A KR20180064233A KR20190138095A KR 20190138095 A KR20190138095 A KR 20190138095A KR 1020180064233 A KR1020180064233 A KR 1020180064233A KR 20180064233 A KR20180064233 A KR 20180064233A KR 20190138095 A KR20190138095 A KR 20190138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ours
composition
weight ratio
filt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275B1 (ko
Inventor
문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익스플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익스플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익스플즌
Priority to KR102018006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27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시마 추출물,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 감태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되어 세정 기능을 갖는 제1조성물(A)과,
해삼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보습 기능을 갖는 제1혼합조성물; 아마씨추출물과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항산화 기능을 갖는 제2혼합조성물; 흑마늘 추출물과 익모초 추출물을 동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피부보호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제3혼합조성물; 감잎 추출물과 승마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미백 조성물; 밤나무잎 추출물과 아카시아 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항노화 기능을 갖는 제4혼합조성물;의 혼합으로 조성되어 보습, 항산화, 피부보호 및 주름개선, 미백 및 항노화 기능성을 갖는 제2조성물(B)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COSMETICS COMPOSITION HAVING AN EXCELLENT SKIN CLEANING EFFECT AND COSMETIC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시마 추출물,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 감태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되어 세정 기능을 갖는 제1조성물(A)과,
해삼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보습 기능을 갖는 제1혼합조성물; 아마씨추출물과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항산화 기능을 갖는 제2혼합조성물; 흑마늘 추출물과 익모초 추출물을 동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피부보호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제3혼합조성물; 감잎 추출물과 승마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미백 조성물; 밤나무잎 추출물과 아카시아 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항노화 기능을 갖는 제4혼합조성물;의 혼합으로 조성되어 보습, 항산화, 피부보호 및 주름개선, 미백 및 항노화 기능성을 갖는 제2조성물(B)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화장을 한 상태로 활동하며 많은 시간을 보내는데 색조화장품은 피부표면에 부착되어 피부자체 생리기능으로 분비되는 땀, 피지, 각질, 노폐물등과 어우러져 피부가 더러워진다.
특히 립스틱, 파운데이션등 대부분의 메이크업 화장품에 지방성분이 첨가되며, 이는 시간이 지나면 냄새가 나고 변색이 되어 산화반응이 빨리 진행되어 피부표면에 과산화물이 생성된다. 또한 색조화장품에 다량 포함되는 안료 및 색소도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더러움은 피부의 정상적인 분비작용과 신진대사등의 생리기능을 방해하여 여드름, 피부노화, 색소이상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피부관리에서 세안은 가장 필수적이면서도 중요한 과정이라 할수 있다. 세안은 ‘깨끗하게 씻는다’는 의미로 피부표면의 피지와 그 산화물, 땀, 때 등의 내인성 오염과 먼지와 색조화장등의 외인성 오염을 깨끗하게 제거해서 피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특허 최근 미세먼지, 황사 등에 의한 대기오염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대기오염은 인체의 피부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미세먼지에 피부 노출시 피부의 주름과 색소 반점이 증가하는 피부 노화와 염증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 상태인 아토피 피부염, 습진, 여드름 등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미세먼지에 노출된 피부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68845(공개일자 2003.08.25) '쌀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61762(공개일자 2003.07.22) '천연카페인 및 루이보스추출물을 이용한 영양오일과세안용 화장품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7-0020095(공개일자 1997.05.28) '녹두 단백질과 녹두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세안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95607(등록일자 2007.03.08) '실리콘중 수 타입의 세안용 화장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9512(등록일자 2006.12.13) '세안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 개시된 화장료 또는 화장품은 피부 세정효과와 동시에 보습, 항산화, 피부보호 및 주름개선, 미백, 항노화의 복합 기능을 갖기에는 제한적이라는 단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68845(공개일자 2003.08.25)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61762(공개일자 2003.07.22)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7-0020095(공개일자 1997.05.2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95607(등록일자 2007.03.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59512(등록일자 2006.12.13)
본 발명은 다시마 추출물,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 감태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되어 세정 기능을 갖는 제1조성물(A)과,
해삼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보습 기능을 갖는 제1혼합조성물; 아마씨추출물과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항산화 기능을 갖는 제2혼합조성물; 흑마늘 추출물과 익모초 추출물을 동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피부보호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제3혼합조성물; 감잎 추출물과 승마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미백 조성물; 밤나무잎 추출물과 아카시아 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항노화 기능을 갖는 제4혼합조성물;의 혼합으로 조성되어 보습, 항산화, 피부보호 및 주름개선, 미백 및 항노화 기능성을 갖는 제2조성물(B)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시마를 58 ~ 62 ℃에서 열풍건조기로 10 ~ 1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한 건조 분말과 증류수를 1 : 1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 ~ 90 ℃에서 1 ~ 3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다시마 추출물(a1) 5.0 ~ 45.0 wt%,
건조 잘피(Zostera marina)를 분쇄한 미분말과 70 % 에탄올을 1 : 8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0 ~ 30 시간 동안 침지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a2) 5.0 ~ 45.0 wt%,
감태를 58 ~ 62 ℃에서 열풍건조기로 10 ~ 1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한 건조 분말과 증류수를 1 : 1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 ~ 90 ℃에서 1 ~ 3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감태 추출물(a3) 5.0 ~ 45.0 wt%,
어성초와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어성초 추출물(a4) 5.0 ~ 45.0 wt%의 혼합(a1+a2+a3+a4)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1조성물(A) 10.0 ~ 50.0 wt%와,
해삼과 에탄올을 1 : 10 ~ 12 중량비로 혼합한 후, 24 ~ 26 ℃, 65 ~ 75 시간 동안 120 ~ 160 rpm으로 진탕배양기에서 추출하고,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7,500 ~ 8,500 rpm으로 15 ~ 2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해삼추출물과,
황금과 메탄올을 1 : 4 ~ 6 중량비로 혼합한 후, 65 ~ 75℃에서 20 ~ 30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물을 4 ~ 6 분 동안 3,500 ~ 4,5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황금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1혼합조성물(b1) 0.5 ~ 60.0 wt%;
아마씨 분말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50 ~ 80 ℃에서 2 ~ 10 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아마씨추출물,
비타민나무잎과 에탄올을 1 : 15 ~ 2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징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2혼합조성물(b2) 0.5 ~ 60.0 wt%;
흑마늘과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흑마늘 추출물,
익모초와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익모초 추출물을 동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3혼합조성물(b3) 0.5 ~ 60.0 wt%;
감잎과 에탄올을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42 ~ 48 ℃에서 2 ~ 6 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11,000 ~ 13,000 rpm으로 20 ~ 4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감잎 추출물,
승마꽃과 70 % 에탄올을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23 ~ 28 ℃, 80 ~ 150 rpm으로 40 ~ 55 시간 동안 진탕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승마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4혼합조성물(b4) 0.5 ~ 60.0 wt%;
밤나무 잎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징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밤나무잎 추출물,
아카시아(Robiniapseudoacacia) 꽃을 건조 후 분쇄한 분말과 정세수를 1 : 35 ~ 45 중량비로 혼합한 후, 85 ~ 99 ℃에서 5 ~ 7 시간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아카시아 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5혼합조성물(b5) 0.5 ~ 60.0 wt%;의 혼합(b1+b2+b3+b4+b5)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2조성물(B) 50.0 ~ 9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품 전체 중량에 대해 0.1 ~ 50.0 wt%로 첨가하여 제조한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은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다시마 추출물,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 감태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제1조성물에 의한 세정 효과를 갖는다.
둘째. 해삼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보습 기능을 갖는 제1혼합조성물; 아마씨추출물과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항산화 기능을 갖는 제2혼합조성물; 흑마늘 추출물과 익모초 추출물을 동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피부보호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제3혼합조성물; 감잎 추출물과 승마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미백 조성물; 밤나무잎 추출물과 아카시아 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되어 항노화 기능을 갖는 제4혼합조성물;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제2조성물에 의한 보습, 항산화, 피부보호 및 주름개선,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다.
셋째.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자극이 없고 피부에 안정적이며,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제1조성물과 제2조성물에 의한 피부에 유용한 복합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산초 추출물; 이끼 추출물; 백두옹 추출물; 자몽씨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제3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부가적으로 첨가함으로써, 항균, 항산화 기능성이 뛰어난 제3조성물에 의한 세균 감염 등의 차단으로 인해 보다 청결하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며 보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다시마를 58 ~ 62 ℃에서 열풍건조기로 10 ~ 1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한 건조 분말과 증류수를 1 : 1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 ~ 90 ℃에서 1 ~ 3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다시마 추출물(a1) 5.0 ~ 45.0 wt%,
건조 잘피(Zostera marina)를 분쇄한 미분말과 70 % 에탄올을 1 : 8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0 ~ 30 시간 동안 침지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a2) 5.0 ~ 45.0 wt%,
감태를 58 ~ 62 ℃에서 열풍건조기로 10 ~ 1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한 건조 분말과 증류수를 1 : 1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 ~ 90 ℃에서 1 ~ 3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감태 추출물(a3) 5.0 ~ 45.0 wt%,
어성초와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어성초 추출물(a4) 5.0 ~ 45.0 wt%의 혼합(a1+a2+a3+a4)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1조성물(A) 10.0 ~ 50.0 wt%와,
해삼과 에탄올을 1 : 10 ~ 12 중량비로 혼합한 후, 24 ~ 26 ℃, 65 ~ 75 시간 동안 120 ~ 160 rpm으로 진탕배양기에서 추출하고,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7,500 ~ 8,500 rpm으로 15 ~ 2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해삼추출물과,
황금과 메탄올을 1 : 4 ~ 6 중량비로 혼합한 후, 65 ~ 75℃에서 20 ~ 30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물을 4 ~ 6 분 동안 3,500 ~ 4,5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황금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1혼합조성물(b1) 0.5 ~ 60.0 wt%;
아마씨 분말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50 ~ 80 ℃에서 2 ~ 10 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아마씨추출물,
비타민나무잎과 에탄올을 1 : 15 ~ 2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징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2혼합조성물(b2) 0.5 ~ 60.0 wt%;
흑마늘과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흑마늘 추출물,
익모초와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익모초 추출물을 동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3혼합조성물(b3) 0.5 ~ 60.0 wt%;
감잎과 에탄올을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42 ~ 48 ℃에서 2 ~ 6 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11,000 ~ 13,000 rpm으로 20 ~ 4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감잎 추출물,
승마꽃과 70 % 에탄올을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23 ~ 28 ℃, 80 ~ 150 rpm으로 40 ~ 55 시간 동안 진탕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승마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4혼합조성물(b4) 0.5 ~ 60.0 wt%;
밤나무 잎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징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밤나무잎 추출물,
아카시아(Robiniapseudoacacia) 꽃을 건조 후 분쇄한 분말과 정세수를 1 : 35 ~ 45 중량비로 혼합한 후, 85 ~ 99 ℃에서 5 ~ 7 시간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아카시아 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5혼합조성물(b5) 0.5 ~ 60.0 wt%;의 혼합(b1+b2+b3+b4+b5)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2조성물(B) 50.0 ~ 9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 제1조성물 >
상기 제1조성물은 다시마 추출물 5.0 ~ 45.0 wt%,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 5.0 ~ 45.0 wt%, 감태 추출물 5.0 ~ 45.0 wt%, 어성초 추출물 5.0 ~ 4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다시마 추출물 10.0 wt% 20.0 wt% 40.0 wt% 30.0 wt% 25.0 wt%
잘피 추출물 30.0 wt% 10.0 wt% 20.0 wt% 40.0 wt% 25.0 wt%
감태 추출물 40.0 wt% 30.0 wt% 10.0 wt% 20.0 wt% 25.0 wt%
어성초 추출물 20.0 wt% 40.0 wt% 30.0 wt% 10.0 wt% 25.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 다시마 추출물
해조류는 다른 유기체와 경쟁에 이용하기 위해 독성 또는 성장제한 물질을 생산하고 표면에 붙어 살아가는 착생 동물에 대한 자기방어수단의 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천연항생제 개발 물질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많은 연구를 통해 해조류의 항산화, 항균, 항암, 항염증, 항혈액응고 등의 생리활성에 대한 결과가 밝혀졌다.
본 발명에서는 해조류 중 다시마를 사용한다.
상기 다시마 추출물은 다시마를 58 ~ 62 ℃에서 열풍건조기로 10 ~ 1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한 건조 분말과 증류수를 1 : 1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 ~ 90 ℃에서 1 ~ 3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다시마를 60 ℃에서 열풍건조기로 12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건조시킨 미역, 다시마, 곰피, 대황을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건조 분말 1, 000 g을 증류수 15 L와 혼합한 후, 100 ℃에서 2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다.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2.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
잘피(Zostera Marina)는 바다식물 가운데 유일하게 뿌리로 영양을 흡수하고 햇볕을 받아 꽃을 피우는 해초이다. 해조류(algae, seaweed)와는 달리 뿌리, 지하경, 잎과 꽃의 구분이 명확하며, 초지(meadow)를 형성한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잘피류는 잘피(거머리말, Zostera marina)를 포함하는 거머리말속 식물 6종과 게바다말(Phyllospadix japonicus), 새우말(Phyllospadix iwatensis), 최근 국내 서식이 확인된 해호말(Halophila nipponica)을 포함하여 총 9종이 생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잘피(Zostera marina)는 항산화 효능, 항염증 효능 및 미백효능을 갖는다.
상기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은 건조 잘피(Zostera marina)를 분쇄한 미분말과 70 % 에탄올을 1 : 8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0 ~ 30 시간 동안 침지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조 잘피(Zostera marina) 미분말과 70 % 에탄올을 1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5 시간 동안 침지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것을 사용한다.
3. 감태 추출물
감태는 갈조 식물 다시마목 미역과의 식물로 제주연안 수심 10m 내외에서 서식한다. 감태는 식품으로서의 기능외에 항산화, 항암, 항고혈합성 등의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갖는다. 감태의 주요 성분인 phlorotannin은 phloroglucinol을 기본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페놀 화합물로 phlorotannin 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혈전생성 저해활성, 항산화활성, 심혈관 보호효과, 항바이러스활성 등의 결과가 발표되어 있다.
상기 감태 추출물은 감태를 58 ~ 62 ℃에서 열풍건조기로 10 ~ 1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한 건조 분말과 증류수를 1 : 1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 ~ 90 ℃에서 1 ~ 3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감태를 60 ℃에서 열풍건조기로 10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한 건조 분말과 증류수를 1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85 ℃에서 2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추출물을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것을 사용한다.
4. 어성초 추출물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Sauru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베트남 등에 자생하며 특유의 생선 비린내가 난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어성초는 항산화, 항균, 항알러지, 면역력 증진 등의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어성초와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어성초와 증류수를 1 : 10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 ℃, 120 rpm의 조건으로 3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3,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여과한 여액을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것을 사용한다.
< 제2조성물 >
상기 제2조성물은 제1혼합조성물 0.5 ~ 60.0 wt%; 제2혼합조성물 0.5 ~ 60.0 wt%; 제3혼합조성물 0.5 ~ 60.0 wt%; 제4혼합조성물 0.5 ~ 60.0 wt%; 제5혼합조성물 0.5 ~ 6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제1혼합조성물 10.0 wt% 25.0 wt% 15.0 wt% 30.0 wt% 20.0 wt%
제2혼합조성물 20.0 wt% 10.0 wt% 25.0 wt% 15.0 wt% 20.0 wt%
제3혼합조성물 30.0 wt% 20.0 wt% 10.0 wt% 25.0 wt% 20.0 wt%
제4혼합조성물 15.0 wt% 30.0 wt% 20.0 wt% 10.0 wt% 20.0 wt%
제5혼합조성물 25.0 wt% 15.0 wt% 30.0 wt% 20.0 wt% 20.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 제1혼합조성물
해삼은 극피동물 해삼강에 속하는 해삼류의 총칭이다. 한국에서 서식하는 해삼은 홍삼, 청삼, 흑삼의 3종이 있다. 해삼은 시스테인(cysteine), 히스티딘(histidine), 루이신(lysine) 등 아미노산(amino acid)과 철(Fe), 인(P), 담즙 성분인 빈혈 방지, 간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준다. 타우린(Taurine)을 함유하고 있어 담석용해 및 간장의 해독 기능을 강화하고 콜레스테롤의 저하와 심장 기능의 향상 및 시력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생해삼은 수분, 단백질, 당질, 회분, 칼슘, 인, 철분, 라이신, 비타민1, B2, 필수아미노산, 이로소이신테티오닌, 글루탐산, 글리신, 트립토판, 타우린이 함유되어 있다. 해삼으로부터 얻어진 해삼추출물에는 뮤코다당체의 한형태인 콘드로이친이 함유되어 있다. 콘드로이친은 피부의 수분과 영양분을 축적해 주는 역할을 한다. 황산 콘드로이친은 점질 다당체의 주성분으로 동물 등의 연골조직, 신경조직과 세포 간 조직에서 발견되는 뮤코다당체이다. 콘드로이친황산은 생체 내에서는 유리되어 존재하지 않고 단백질과 결합하여 콘드로이친황산 단백 복합체를 형성하며,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등과 같이 생체의 체세포가 정상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토대가 되고, 조직에 보수성, 윤활성, 탄력성을 준다. 해삼추출물이 함유한 콘드로이친황산은 피부에 수분을 저장하여 보습 기능을 하고, 또 아미노산 및 단백질, 요오드성분을 다량 존재, 저장해서 피부의 주름 완화와 노화예방 및 피부 미백 효능, 청정화, 피부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해삼추출물은 해삼과 에탄올을 1 : 10 ~ 12 중량비로 혼합한 후, 24 ~ 26 ℃, 65 ~ 75 시간 동안 120 ~ 160 rpm으로 진탕배양기에서 추출하고,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7,500 ~ 8,500 rpm으로 15 ~ 2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해삼추출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해삼 1,000 g을 50 % 에탄올 10 L에 넣고,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26 ℃, 70 시간 동안 160 rpm의 조건에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7,000 rpm으로 30 분간 원심 분리한다.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필터페이퍼(Whatman No 3. filterpaper)로 여과한다.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식물분류학상 속씨식물계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꿀풀과 골무꽃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자금, 조금, 편금 등으로 불리며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갑고 무독성이다. 주로 뿌리를 약용한다. 황금은 강력한 약리작용을 발휘하는 작물로 알려져 있으며, 항염증, 항암 및 진정 효과를 위한 대체의학의 재료로 활용되어 왔다.
황금추출물은 황금과 메탄올을 1 : 4 ~ 6 중량비로 혼합한 후, 65 ~ 75℃에서 20 ~ 30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물을 4 ~ 6 분 동안 3,500 ~ 4,5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황금추출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건조시킨 황금을 미분쇄한 후, 황금 미분말 1,000 g과 70 % 에탄올 5 L를 혼합하여, 72 ℃에서 15 시간 동안 환류추출한다.
추출물을 3,500 rpm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얻어 필터페이퍼(Whatman No 3. filterpaper)로 여과한다.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2. 제2혼합조성물
아마씨 학명은 Linum usitatissimum이고, 아마과(Linaceae) 식물의 종자이다. 아마씨에는 비타민과 필수아미노산이 대량 함유되어 있다. 하지만 대표적으로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유익한 성분을 세가지만 꼽자면 오메가-3 지방산, 리그난(Lignan), 식이섬유가 있다.
리그난은 항산력을 갖고 있어 인체에서 아주 유용한 항산화 생리활성 작용들을 한다. 항암, 항분열, 항독성이 우수하고 이미 형성된 종양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기능을 가졌다.
상기 아마씨 추출물은 아마씨 분말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50 ~ 80 ℃에서 2 ~ 10 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아마씨 추출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건조 후 분쇄한 아마씨 가루 1,000 g을 95 % 에탄올 10 L에 침지한 후, 62 ℃로 3 시간 동안 가열한다.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비타민나무 (Hippophae rhamnoides L.)는 중국, 몽골 등이 원산지인 보리수과 (Elaeagnaceas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이다. 비타민나무의 잎과 열매에는 비타민과 아미노산 등이 포함되어있으며, 면역강화, 항염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열매에는 폴리페놀류,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quercetin, gallic acid, tannin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기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은 타민나무잎과 에탄올을 1 : 15 ~ 2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징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타민나무잎 1,000 g을 50 % 에탄올 10 L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25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상층액과 침전물을 분리한다. 동일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여액을 모두 혼합한 후, 그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3. 제3혼합조성물
통마늘을 고온 항온기에 일정시간 숙성 시킬 경우 마늘의 자체 성분과 효소 등에 의해 마늘이 내부까지 모두 흑색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것을??흑마늘??이라 부른다.
생마늘이 흑마늘로 변하는 동안 생마늘의 불안정하고 냄새나는 성분들이 보다 안정되고 냄새가 없는 수용성 물질로 변화하여 S-allylcysteine(SAC), S-allylmercaptocystein(SAMC), tetrahydro-β-carboline과 같은 유기 황화합물과, diallyl sulfide(DAS), tri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DADS), diallyl polysulfides 등의 지용성 물질을 함유하게 된다. 흑마늘로부터 분리된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은 S-allylcystein이며, 갈변화합물로는 fructosyl-arginine이 있는데, fructosyl-arginine은 간에서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의 생성을 억제하며, 산화된 LDL에 의한 세포 손상을 억제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상기 흑마늘 추출물은 흑마늘과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흑마늘 1,000 g을 증류수 10 L에 첨가하여 100 ℃, 120 rpm 조건에서 2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한다.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 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익모초(Leonurus japonicus H.)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2년생 초본이다. 주성분으로는 전초에 alkaloid로서 leonurine, leonuridine, stachynose, stachydrine, flavonoid로서 rutin 외에 protocatechol, benzoic acid 를 비롯해 비타민 A 와 지방유등의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져있다.
본초강목에서도 익모초즙은 혈액을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체내 유독한 피를 제거해주며, 아울러 경맥(硬脈) 즉, 혈압이 높아서 긴장정도가 센 맥박을 조절하고 해독작용을 함으로 산후어혈이 계속 나올 때, 어혈로 인해 어지럽고 고열이 나며 통증이 심할 때, 자궁출혈과, 혈뇨, 혈변, 치질, 대.소변 불통(不通)등을 치료하는데 이용한다고 되어 있다.
상기 익모초 추출물은 익모초와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조 익모초 분말 1,000 g을 증류수 15 L에 첨가하여 100℃에서 2 시간 동안 진탕한 후 3,000 rpm에서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상층액을 수득한다. 상기 상층액을 필터 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4. 제4혼합조성물
감잎의 생리활성 물질인 탄닌은 여러 가지 축합형 탄닌의 혼합물로 (-)-epicatechin, (+)-catechin, phloroglucinol, (+)-catechin-3-gallate, (+)-gallocatechin, (+)-gallocatechin-3-gallate 등과 같은 falvan-3-ol 화합물과 proantocyanidin에 속하는 축합형 tannin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잎의 탄닌화합물은 혈압상승의 억제효과가 있고, 축합형 탄닌이 활성산소의 free radical 억제 효과가 있다. 또한 항산화 활성, 항암 및 항돌연변이효과가 있다.
감잎 추출물은 감잎과 에탄올을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42 ~ 48 ℃에서 2 ~ 6 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11,000 ~ 13,000 rpm으로 20 ~ 4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조 감잎을 분쇄하여 분말화한 감잎 분말 1,000 g을 80 % 에탄올 10 L에 첨가하여 45 ℃에서 6 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한다.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1,000 rpm에서 4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다. 상기 상층액을 필터 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승마(Cimicifugae Rhizoma)는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 또는 동속식물의 뿌리줄기를 말하며,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쬐어 말린 것을 쓰며 우리나라에서 자생한다. 다양한 종류의 9,19-cyclolanostane 배당체가 승마에서 발견되었으며 Acetylshengmanol xyloside와 cimicifugoside H-1도 승마에서 발견된 배당체다. 그 외에 cimicifugin, khellol, amminol, caffeic acid, ferulic acid 등의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상기 승마 추출물은 승마꽃과 70 % 에탄올을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23 ~ 28 ℃, 80 ~ 150 rpm으로 40 ~ 55 시간 동안 진탕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쇄한 승마 분말 1,000 g을 20 L의 70 % 에탄올에 첨가하여 26 ℃, 120 rpm으로 50 시간 동안 진탕추출한다.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 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5. 제5혼합조성물
밤나무(Castanea crenata)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밤나무(Castanea crenata)잎에 대한 연구는 현재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그 범위는 그리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상기 밤나무잎 추출물은 밤나무 잎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징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밤나무잎 추출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밤나무잎 1,000 g을 70% 에탄올 10 L에 첨가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한다. 상층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2회 반복한다. 상층액을 모두 혼합하여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다.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아카시아(Robinia pseudoacacia)는 장미목 콩고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아카시아 꽃잎의 수분 함유량은 86.60 %이며, 건조시켰을 경우 조단백질(crude protein)은 24.55 %, 조회분(crude ash)은 8.51 %, 총 당분(total sugar)은 30.97 %,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은 약 16 %, 탄닌산(tannic acid)은 약 15 %로 당, 단백질 및 아스코르빈산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아카시아 꽃 추출물은 아카시아(Robiniapseudoacacia) 꽃을 건조 후 분쇄한 분말과 정세수를 1 : 35 ~ 45 중량비로 혼합한 후, 85 ~ 99 ℃에서 5 ~ 7 시간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조시킨 아카시아 꽃 1,000 g을 잘게 자른 후 50 % 에탄올 10 L와 혼합하여 25 ℃에서 4 시간 단위로 3 회 반복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다.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제1조성물은 다시마 추출물 5.0 ~ 45.0 wt%,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 5.0 ~ 45.0 wt%, 감태 추출물 5.0 ~ 45.0 wt% 및 어성초 추출물 5.0 ~ 4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시마 추출물 25.0 wt%,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 25.0 wt%, 감태 추출물 25.0 wt% 및 어성초 추출물 2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제2조성물은 해삼추출물과 황금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1혼합조성물 0.5 ~ 60.0 wt%; 아마씨추출물과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2혼합조성물 0.5 ~ 60.0 wt%; 흑마늘 추출물과 익모초 추출물을 동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3혼합조성물 0.5 ~ 60.0 wt%; 감잎 추출물과 승마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4혼합조성물 0.5 ~ 60.0 wt%; 밤나무잎 추출물과 아카시아 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5혼합조성물 0.5 ~ 6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혼합조성물 20.0 wt%; 제2혼합조성물 20.0 wt%; 제3혼합조성물 20.0 wt%; 제4혼합조성물 20.0 wt%; 제5혼합조성물 2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세안 기능성을 갖는 제1조성물(A) 10.0 ~ 50.0 wt%; 보습, 항산화, 피부보호 및 주름개선, 미백 및 항노화 기능성을 갖는 제2조성물(B) 50.0 ~ 9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예 1의 제1조성물(A) 30.0 wt%와 상기 실시예 2의 제2조성물(B) 7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조성물(B)의 전체 중량에 대해 오미자 씨앗 추출물을 0.1 ~ 10.0 wt%를 더 첨가하여 조성할 수 있다.
제2조성물(B) 90.0 ~ 99.9 wt%와 오미자 씨앗 추출물을 0.1 ~ 1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조성물(A) 95.0 wt%와 오미자 씨앗 추출물을 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오미자 씨앗 추출물은 오미자 씨앗을 미분쇄한 미분가루와 증류수를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2 ~ 4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2,500 ~ 3,500 rpm에서 5 ~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 후,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다음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오미자 씨앗을 미분쇄한 미분가루와 증류수를 1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2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3,500 rpm에서 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 후,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다음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오미자(SchizandrachinensisBaillon)는 오미자 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의 덩굴성 관목이다.
오미자는 단맛, 신맛, 쓴맛, 매운맛, 짠맛의 다섯 가지 맛을 가진 열매로서 피(皮)와 육(肉)을 씹으면 달고 시다. 씨는 쓰고 매운 맛이 있으며 짜다. 이중 가장 주된 맛은 신맛으로서 높은 유기산에 기인한다. 오미자의 부위에 따른 일반성분 및 무기질함량과 관련하여, 탄수화물은 과육에, 조단백과 조지방은 종자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과실, 과육, 종자 모두의 무기질 함량 중에서 K와 Mn은 높은 수준이며, 과육이 종자에 비해 K, Zn 이온이 3.4 배, Na, Ca, Cu 이온이 1.50 ~ 1.75 배 정도 많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조성물(B)의 전체 중량에 대해 진피 추출물을 0.1 ~ 10.0 wt%를 더 첨가하여 조성할 수 있다.
제2조성물(B) 90.0 ~ 99.9 wt%와 진피 추출물을 0.1 ~ 1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조성물(A) 95.0 wt%와 진피 추출물을 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진피 추출물은 진피(秦皮)와 70 % 에탄올을 1 : 8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0 ~ 30시간 교반, 침출시켜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진피(秦皮)와 70 % 에탄올을 1 : 10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5 시간 교반, 침출시켜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진피(秦皮)는 물푸레나무과의 물푸레나무의 가지 혹은 줄기의 껍질을 말한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눈병과 이질, 여성의 대하, 냉증 등에 특효약으로 사용 되었고, 소염, 수렴, 해열 등의 효능과 더불어 천연염료의 원료로 사용되었다.
진피의 주요 성분에는 coumarin, secoiridoid, phenylethanoid glycosid, lignans, flavonoids, triterpenes 등이 있으며, 이 성분들은 주로 항염, 항알러지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조성물(B)의 전체 중량에 대해 복령 추출물을 0.1 ~ 10.0 wt%를 더 첨가하여 조성할 수 있다.
제2조성물(B) 90.0 ~ 99.9 wt%와 복령 추출물을 0.1 ~ 1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조성물(A) 95.0 wt%와 복령 추출물을 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복령 추출물은 복령 미분말과 에탄올(ethanol)을 1 : 9 ~ 12 중량비로 혼합한 후, 초음파(Sonication)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더욱 구체적으로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한 복령 1,000 g을 70 % ethanol 10 L에 넣고 초음파(sonication) 추출한다. 추출 후 필터페이퍼(Whatman No 3. filterpaper)로 여과한다. 여과된 추출물은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때, 초음파(Sonication) 추출은 초음파 분산기를 사용하여 30 분간 60 kHz의 초음파를 발생시킨 후 72 시간 동안 암 상태로 실온에 보관하여 추출한다.
복령은 담자균아강 다공균목 구멍장이버석과에 속하는 버섯의 일종으로, 소나무를 벌채한 뒤 3 ~ 10 년이 지난 뒤 뿌리에서 기생하여 성장하는 균핵이다. 복령의 주성분으로는 탄수화물, 수분, 조섬유질, 무기질 및 미량의 단백질이 있으며 탄수화물 중 복령다당체(pachyman)가 가장 많고 그 외 pachymic acid, tumulosic acid, dehydrotumulosic acid, ergosterol, eburicoic acid, dehydroeburicoic acid, trametenolic aicd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세정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조성물(B)의 전체 중량에 대해 삼백초 추출물을 0.1 ~ 10.0 wt%를 더 첨가하여 조성할 수 있다.
제2조성물(B) 90.0 ~ 99.9 wt%와 삼백초 추출물을 0.1 ~ 1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조성물(A) 95.0 wt%와 삼백초 추출물을 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삼백초 추출물은 삼백초와 에탄올을 1 : 20 ~ 22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7 ~ 8 일 동안 침지시키고, 그 상층액을 분리 여과하는 과정을 3회에 걸쳐 반복 수행하고,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삼백초와 에탄올을 1 : 20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7 일 동안 침지시키고, 그 상층액을 분리 여과하는 과정을 3회에 걸쳐 반복 수행하고,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삼백초(Saururus chinensis)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초이다. 삼백초는 flavonoid의 일종인 tannin 및 quercetrin, quercetin 등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부위별 유효 성분은 줄기나 뿌리보다 잎에서 tannin 및 quercetrin, quercetin의 함유량이 높다. quercetin은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혈압강하 및 모세혈관 강화작용 등의 효과들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보존 기간을 더 연장하기 위하여, 제2조성물(B)의 전체 중량에 대해 제3조성물 0.1 ~ 10.0 wt%를 더 첨가하여 조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2조성물(B) 99.0 wt%와 제3조성물 1.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이때 상기 제3조성물은 산초 추출물 0.01 ~ 50 wt%, 이끼 추출물 0.01 ~ 50 wt%, 백두옹 추출물 0.01 ~ 50 wt%, 자몽씨 추출물 0.01 ~ 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배합예로는, 산초 추출물 25.0 wt%, 이끼 추출물 25.0 wt%, 백두옹 추출물 25.0 wt%, 자몽씨 추출물 2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3조성물은 산초 추출물, 이끼 추출물, 백두옹 추출물, 자몽씨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천연방부제로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의 보존기간을 연장 기능을 갖는다.
산초나무 (Zanthoxylum schinfolium)는 우리나라 전역의 표고 1,000m 이하 산야에 자생하는 수종으로서 그 열매는 식용유 자원과 여러 가지 조미료로 이용되며 종실유는 물레씨아 등 기구의 윤활유로도 사용된다.
산초는 산초나무의 열매로서, 열매 껍질에 정유가 2 ~ 4 % 함유 되어있고 주성분은 디펜텐(㎗-리모넨), 시트로넬랄, ℓ-β-펠란드렌, 게라니올, 시트로넬롤 등으로 이루어 졌다. 열매에는 성련독인 크산톡신, 마비성분인 크산톡신산, 스테롤로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산초 추출물은 산초와 메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산초 추출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초 1,000 g와 메탄올(methanol) 10 L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한다. 추출물을 Filter paper No. 2로 여과하고,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끼는 항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끼류를 물에 넣을 경우 이끼류의 체내물질 대상에 의해 주변의 물의 산도가 높아져 세균의 활성이 줄어들고 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태류에는 이끼류(선류, moss, Musci), 우산이끼류(태류, liverwort, Hepaticae), 그리고 뿔이끼류(각태류, hornwort, Anthocerotae)가 있다. 이러한 이끼류는 미생물 번식을 억제하고 항산화 작용에 의해 천연 보존제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다.
상기 이끼 추출물은 이끼를 수세한 후 55 ~ 65 ℃에서 열풍건조 후 분쇄하고, 분쇄한 이끼와 100 % 메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냉각관이 부착된 환류냉각장치에서 58 ~ 62 ℃에서 5 ~ 7 시간 동안 환류냉각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이끼 추출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솔이끼, 큰깃털이끼, 털깃털 이끼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이끼혼합물을 수세하여 탈수한 다음 62 ℃에서 6 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여 분쇄한다. 분쇄한 건시료 1,000 g과 100 % 메탄올 10 L을 냉각관이 부착된 환류냉각장치에 담아 혼합한 후 58 ℃에서 7 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한다.
추출물은 5 ㎛ 기공크기를 갖는 필터페이퍼(pore size filter paper)로 여과하고,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백두옹(P ulsatilla k oreana N akai et M ori)은 미나리제재과 (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우리나라 각지에 야생하며 중국 동북에도 분포한다. 이 생약은 통상적으로 치통, 해열, 수종에 응용되었고, 소염, 수렴, 지혈,이질, 청열해독, 음낭대하, 항균, 진정, 항암 등에 사용되어왔다. 예로부터 우리 민간에서는 이 물질을 소염, 진통, 해열, 해독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항균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어왔다.
상기 백두옹 추출물은 백두옹을 수세하여 동결건조기로 건조한 후 파우더(powder) 형태로 가공하고, 파우더 형태의 백두옹과 증류수를 1 : 10 ~ 12 배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75 ~ 85 ℃에서 2 ~ 4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백두옹 추출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파우더(powder) 형태의 백두옹 1,000 g을 증류수 10 L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80 ℃에서 3 시간 동안 환류추출한다.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다.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1 L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자몽은 쥐손이풀목 운향과 상록교목으로 즙이 많으며 조금 신맛이 강하다. 자몽씨추출물은 천연 항균물질로서 주된 성분은 아스코르빈산, palmitic acid, 글루코오즈, 나린진 그리코 토코페롤 등이 존재하며 곰팡이 균주의 성장과 mycotoxin 생합성을 저해한다.
상기 자몽씨 추출물은 상기 자몽씨와 에탄올을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 62 ℃의 온도 조건에서 2 ~ 3 시간 동안 환류냉각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10,000×g에서 20 ~ 40 분간 원심분리하여 취한 상층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자몽씨와 에탄올을 1 : 8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의 온도 조건에서 2 시간 동안 환류냉각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10,000×g에서 30 분간 원심분리하여 취한 상층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1. 정제수(D.I Water) 703.15 g, 카보폴(Carbopol) 2.0 g, 글리세린(Glycerine) 50.0 g + 크산탄 검(Xanthan gum) 0.05 g, 알라토인(Allantoin) 2.0g, 베타인(Betaine) 5.0 g, 알지닌(L-Arginine) 1.0 g, 트레할로스(Trehalose) 30.0 g, 아데노신(Adenosine) 0.4 g을 혼합하여 수상을 만든다.
2. 리포이드(Lipoid S75-3) 5.0 g,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105(GMS 105) 5.0 g, 밀납(Bees Wax) 5.0 g, 세트아르 알코올(Cetearyl Alcohol) 10.0 g, 시어버터(Shea butter) 10.0 g,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10.0 g,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MCT) 50.0 g, 트윈 60(Tween#60) 15.0 g, 포도씨오일(Grape Seed Oil) 15.0 g, 감편도유(Sweet Almond Oil) 25.0 g, 메틸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Methyl Parahydroxy Benzoate) 1.0 g을 모두 가열로 녹여 유상을 만든다.
3. 상기 유상을 상기 수상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한다.
4.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38 ℃ 이하로 떨어지면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 50 g, 사이클로메치콘(DC345) 5.0 g, 향료 0.4 g을 넣어 교반하여 로션을 완성한다.
비교예 1은 정제수(D.I Water)의 양을 753.15 g으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고 로션을 완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로션을 제조하되, 다만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에 있어, 실시예 4의 화장료 조성물 50.0 g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로션을 제조하되, 다만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에 있어,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 50.0 g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로션을 제조하되, 다만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에 있어, 실시예 6의 화장료 조성물 50.0 g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로션을 제조하되, 다만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에 있어, 실시예 7의 화장료 조성물 50.0 g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로션을 제조하되, 다만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에 있어, 실시예 8의 화장료 조성물 50.0 g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한다.
[시험예 1]
< 항산화 측정 >
상기 실시예 9 내지 14에 따른 로션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50 %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실시예 9 내지 14 및 비교예 1의 로션 시료를 희석한 후, 각각의 로션 시료 80 ㎕를 취한 후, 상기 화장품 시료에 10mM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용액 280 ㎕를 넣고 15 초간 vortexing한 후, 증류수를 1 mL 첨가 후, 40 ℃에서 35 분간 방치하고 517 nm에서 비교예 대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0 ℃에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9은 55.17 %, 실시예 10은 54.64 %, 실시예 11은 55.01 %, 실시예 12는 56.75 %, 실시예 13은 55.25 %, 실시예 14는 58.38 %로 측정되었다. 비교예 1은 11.29 %로 측정되었다.
상기 실시예 9 내지 14에 따른 화장품의 항산화 효과는 실시예 14 > 실시예 12 > 실시예 13 > 실시예 9 > 실시예 10 > 실시예 11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상기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4는 배합 구성에 따라 다소의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보이고 있기는 하나 비교예 1에 비해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 항균 측정 >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4의 로션의 항균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병균성 균주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335,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KCCM 11802, Candida albicans KCCM 11282, Aspagillusniger KCCM 60143에 대하여 항균시험을 하였다.
그람 양성균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KCCM 11335), 그람 음성균 Pseudomonas aeroginosa (P. aeroginosa, KCCM 11802)와 Escherichia coli(E. coli, KCCM 40271), 효모류의 Candida albicans (C.albicans KCCM 11282), 곰팡이균인 Aspergillus niger (A. niger KCCM 60143)를 배양하되, 세균은 37 ℃, 진균은 26 ℃, 250 rpm으로 조절된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이와 같이 배양한 병균성 균주를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4의 화장품에 접종하여 1 일, 3 일 및 7 일에 각각 생균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결과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4 모두에서 생균수가 검출되지 않았다.
[시험예 3]
< 주름 개선 효과 측정 >
1. Elastase 저해율 측정
Elastase와 N-succinyl-(Ala)3-p-nitroanilide의 반응으로 활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50 % 활성이 감소하는 농도를 IC50(㎍/㎖)로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기질 1.0 mM N-succinyl-(Ala)3-p-nitroanilide 200 ㎕에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8의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500 ㎍/㎖로 희석시킨 시료용액 20 ㎕와 2.5U Elastase 10 ㎕를 첨가하여 25 ℃에서 10 min동안 반응 한 후 ELISA reader로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율은 다음과 같이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저해율(%) = {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 ×100
측정결과 무첨가구인 대조구(Ursolic acid 사용)의 저해율은 40.25 %이고, 실시예 3의 저해율은 55.98 %, 실시예 4의 저해율은 56.11 %, 실시예 5의 저해율은 57.54 %, 실시예 6의 저해율은 56.02 %, 실시예 7의 저해율은 56.89 %, 실시예 8의 저해율은 58.00 %로 확인되었다.
2. Collagenase 저해율 측정
Collagen을 분해하는 Collagenase의 작용을 이용하여 활성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50 % 활성이 감소하는 농도를 IC50(㎍/㎖)로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Collagen을 20 mM Tris-HCl(pH 7.5)와 5 mM CaCl2의 buffer 용액에 녹여 3 ㎍/㎖의 기질액을 만든다. Buffer 200 ㎕, 기질액 20 ㎕,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8의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500 ㎍/㎖로 희석시킨 시료용액 20 ㎕를 첨가한 후 Collagenase를 첨가하여 37 ℃에서 1시간 반응 시킨다. 2 % ninhydrin reagent 100 ㎕를 더하여 20 분간 반응 한 후 ELISA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실시예 3의 저해율은 78.32 %, 실시예 4의 저해율은 72.11 %, 실시예 5의 저해율은 77.14 %, 실시예 6의 저해율은 77.54 %, 실시예 7의 저해율은 76.35 %, 실시예 8의 저해율은 79.44 %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8의 화장료 조성물의 Elastase 저해율와 Collagenase 저해율 결과를 통해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주름개선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시험예 4]
< 미백 효과 측정 >
피부의 기저 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는 자외선의 자극을 받은 타이로신으로부터 멜라닌을 합성하여 피부를 보호한다. 그러나 지나친 멜라닌의 생성은 미적으로나 피부건강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거나 멜라닌의 생성억제가 필요하다.
화장품의 미백효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피부질환이 없는 20 ~ 40세 여성 12명을 피시험자로 선정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tyrosinase activity) 저해율 측정, 멜라닌(melanin) 생성 억제 측정을 수행하였다.
1. 티로시나아제 활성(tyrosinase activity) 저해율 측정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는 피부의 색소 성분인 멜라닌(melanin)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일한 효소이다. 티로시나아제 활성(tyrosinase activity)의 저해율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티로시나아제 활성(tyrosinase activity) 저해율(%)
= 100 - [(b-b')/(a-a')] × 100
a: 공시료액의 반응 후의 흡광도
b: 시료액의 반응 후의 흡광도
a', b':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대신 완충액으로 대체하여 측정한 흡광도
96 well plate에 0.02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5) 0.5 ㎖와 10 mM L-DOPA 기질액 0.2 ㎖와 실시예 3 내지 8 중 선택되는 화장료 조성물 0.1 ㎖를 개별적으로 첨가하여 조성된 혼합액에 mushroom tyrosinase(110 Unit/mL) 0.2 ㎖를 첨가하고 37 ℃ 에서 2 분간 반응시킨 후 47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인 대조군으로는 알부틴(albutin)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8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대신하여 미백제로 의약외 품 및 화장품에 쓰이는 알부틴(albutin)(비교예)과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8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활성을 비교하였다.
비교예인 0.1% 알부틴(albutin)의 미백활성이 68.53 %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의 미백활성은 61.74 %; 실시예 4의 미백활성은 61.43 %; 실시예 5의 미백활성은 63.01 %; 실시예 6의 미백활성은 61.28 %; 실시예 7의 미백활성은 62.15 %; 실시예 8의 미백활성은 63.05 %;를 보여 미백제로 의약외 품 및 화장품에 사용되는 알부틴(albutin)과 거의 유사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8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효과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멜라닌(Melanin) 생성 억제
B16 melanoma 세포를 6 well plate에 3 ㎖로 분주한 후 10 % FBS이 함유된 phenol red-free DMEM 용액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8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36 ℃에서 12 분간 배양하여 전처치한 후, 1 uM의 MSH를 처치하여 37 ℃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고 난 후 1 %(w/v) Triton X-100을 함유한 10 mM sodium phoshate buffer(pH 6.8)를 100 uL 가하고 5 분간 shaking한 후 에펜도르프 튜브(eppendorf tube)로 옮긴다.
이를 3,000 rpm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cell pellet에 1 N NaOH 100 uL와 증류수 200 uL를 가하고 60 ℃에서 1 시간 배양하여 멜라닌을 완전히 녹인 후 96 well plate에 200 uL를 옮기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icroplate Reader(Infinite 200, Tecan Group Ltd.,Switzerland)를 이용하여 490㎚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억제능(Inhibition)(%) = [1-(A1/A0)]×100
A0 : 무첨가구의 흡광도 (control)
A1 : 시료첨가구의 흡광도
실험결과 실시예 3의 억제능은 64.11 %; 실시예 4의 억제능은 63.87 %; 실시예 5의 억제능은 65.47 %; 실시예 6의 억제능은 64.78 %; 실시예 7의 억제능은 65.11 %; 실시예 8의 억제능은 66.82 %;로 보여 우수한 억제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티로시나아제 활성(tyrosinase activity) 저해율 측정 결과와 멜라닌(Melanin) 생성 억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미백효과가 클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시험예 5]
< 항노화 측정 >
상기 실시예 3 내지 8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피부 노화 중 광노화에 의한 피부 노화는 자외선 노출에 의해 불규칙한 색소 침착, 피부 처짐, 혈관 확장증, 탄력 감소, 수포생성 및 깊고 굵은 주름이 생기며 피부가 매우 거칠고 건조해지면서 발생한다. 특히 피부 내 콜라겐 양이 줄어들고 탄력섬유가 변성되어 주름살이 생기게 된다.
자외선의 작용으로 인해 피부는 과산화물 음이온(superoxide anion), 과산화물(peroxide),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 등을 포함하는 유해한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과잉 생성하게 되고 자외선 노출에 의해 항산화 효소와 글루타치온, 비타민 E, 비타민 C 및 유비퀴놀과 같은 저 분자량의 항산화제는 감소한다. 그리고 산화적 스트레스는 지질과산화, 단백질산화, 간질 성분을 파괴시키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 탄력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파괴, 세포 성분의 손상등을 야기시키고 광노화를 촉진시킨다.
상기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세포호흡 과정에서 산소 분자가 불완전 환원되었을 때 생성되는 중간산물로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갖는 산소를 말한다. ROS는 산소의 정상적인 대사 작용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생기며 세포신호와 항상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ROS의 농도는 자외선이나 높은 열에 노출되는 것처럼 환경적인 스트레스로 인하여 극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ROS의 증가로 산화적 스트레스가 생겨 피부의 광노화, 색소 침착 등 질병의 원인이 된다.
상기 실시예 3 내지 8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항광노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인 HaCaT cell(ATCC, Manassas, VA, USA)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HaCaT 세포에 정상배지(비교예 1)를 넣거나, 실시예 3 내지 8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100μg/ml을 각각 주입한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UVB 80 mJ/㎠을 조사한 후 Multi-ModeMicroplateReader로 측정하였다.
HaCaT 세포에 UVB 80 mJ/㎠를 조사한 비교예 1과 비교한 결과,
실시예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ROS는 75.6 %,
실시예 4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ROS는 77.3 %,
실시예 5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ROS는 78.4 %,
실시예 6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ROS는 78.9 %,
실시예 7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ROS는 78.2 %,
실시예 8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ROS는 77.6 %로 각각 감소 폭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활성산소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제조된 화장품의 항노화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시험예 6]
상기 실시예 9 내지 14에 따라 제조된 로션의 세정 기능을 측정하고자 한다.
< 세정용 로션의 세정력 평가 >
로션의 세정 기능은 미세먼지 등에 오염된 피부에 대한 세정 기능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세정용 로션의 미세먼지 흡착율(%)을 통해 평가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9 내지 14에 따라 제조된 세정용 로션에 미세먼지 흡착율을 측정하였으며, 미세먼지(100 ppm)와 실시예 9 내지 14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세정용 로션별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원자흡수분광법(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을 통해 흡착율을 10 회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실시예 9 내지 14에서 측정된 흡착율(%)의 평균 값은 91 %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실시예 9 내지 14에 따라 제조된 세정용 로션의 세정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은 미세먼지 등에 오염된 피부를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으며, 또한 피부 자극이 적고 보습, 항산화, 피부보호 및 주름개선, 미백 및 항노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의 피부 건강 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며, 사용자의 사용만족도가 높아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7)

  1. 다시마를 58 ~ 62 ℃에서 열풍건조기로 10 ~ 1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한 건조 분말과 증류수를 1 : 1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 ~ 90 ℃에서 1 ~ 3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다시마 추출물(a1) 5.0 ~ 45.0 wt%,
    건조 잘피(Zostera marina)를 분쇄한 미분말과 70 % 에탄올을 1 : 8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0 ~ 30 시간 동안 침지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잘피(Zostera marina) 추출물(a2) 5.0 ~ 45.0 wt%,
    감태를 58 ~ 62 ℃에서 열풍건조기로 10 ~ 14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한 건조 분말과 증류수를 1 : 1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 ~ 90 ℃에서 1 ~ 3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감태 추출물(a3) 5.0 ~ 45.0 wt%,
    어성초와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어성초 추출물(a4) 5.0 ~ 45.0 wt%의 혼합(a1+a2+a3+a4)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1조성물(A) 10.0 ~ 50.0 wt%와,
    해삼과 에탄올을 1 : 10 ~ 12 중량비로 혼합한 후, 24 ~ 26 ℃, 65 ~ 75 시간 동안 120 ~ 160 rpm으로 진탕배양기에서 추출하고,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7,500 ~ 8,500 rpm으로 15 ~ 2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해삼추출물과,
    황금과 메탄올을 1 : 4 ~ 6 중량비로 혼합한 후, 65 ~ 75℃에서 20 ~ 30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물을 4 ~ 6 분 동안 3,500 ~ 4,5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황금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1혼합조성물(b1) 0.5 ~ 60.0 wt%;
    아마씨 분말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50 ~ 80 ℃에서 2 ~ 10 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아마씨추출물,
    비타민나무잎과 에탄올을 1 : 15 ~ 2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징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2혼합조성물(b2) 0.5 ~ 60.0 wt%;
    흑마늘과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흑마늘 추출물,
    익모초와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 100 ~ 140 rpm의 조건으로 1 ~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익모초 추출물을 동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3혼합조성물(b3) 0.5 ~ 60.0 wt%;
    감잎과 에탄올을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42 ~ 48 ℃에서 2 ~ 6 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11,000 ~ 13,000 rpm으로 20 ~ 4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감잎 추출물,
    승마꽃과 70 % 에탄올을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23 ~ 28 ℃, 80 ~ 150 rpm으로 40 ~ 55 시간 동안 진탕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승마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4혼합조성물(b4) 0.5 ~ 60.0 wt%;
    밤나무 잎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징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밤나무잎 추출물,
    아카시아(Robiniapseudoacacia) 꽃을 건조 후 분쇄한 분말과 정세수를 1 : 35 ~ 45 중량비로 혼합한 후, 85 ~ 99 ℃에서 5 ~ 7 시간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 4,000 rpm으로 10 ~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아카시아 꽃 추출물을 동 중량비로 배합 조성한 제5혼합조성물(b5) 0.5 ~ 60.0 wt%;의 혼합(b1+b2+b3+b4+b5)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2조성물(B) 50.0 ~ 9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조성물(B)은
    오미자 씨앗을 미분쇄한 미분가루와 증류수를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2 ~ 4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2,500 ~ 3,500 rpm에서 5 ~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 후, 상기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다음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오미자 씨앗 추출물을 0.1 ~ 10.0 wt%를 더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조성물(B)은
    진피(秦皮)와 70 % 에탄올을 1 : 8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0 ~ 30시간 교반, 침출시켜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진피 추출물을 0.1 ~ 10.0 wt%를 더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조성물(B)은
    복령 미분말과 에탄올(ethanol)을 1 : 9 ~ 12 중량비로 혼합한 후, 초음파(Sonication)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복령 추출물을 0.1 ~ 10.0 wt%를 더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조성물(B)은
    삼백초와 에탄올을 1 : 20 ~ 22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7 ~ 8 일 동안 침지시키고, 그 상층액을 분리 여과하는 과정을 3회에 걸쳐 반복 수행하고,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삼백초 추출물 0.1 ~ 10.0 wt%를 더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조성물(B)은
    산초와 메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산초 추출물 0.01 ~ 50.0 wt%;
    이끼를 수세한 후 55 ~ 65 ℃에서 열풍건조 후 분쇄하고, 분쇄한 이끼와 100 % 메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냉각관이 부착된 환류냉각장치에서 58 ~ 62 ℃에서 5 ~ 7 시간 동안 환류냉각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이끼 추출물 0.01 ~ 50.0 wt%;
    백두옹을 수세하여 동결건조기로 건조한 후 파우더(powder) 형태로 가공하고, 파우더 형태의 백두옹과 증류수를 1 : 10 ~ 12 배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75 ~ 85 ℃에서 2 ~ 4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백두옹 추출물 0.01 ~ 50.0 wt%;
    자몽씨와 에탄올을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 62 ℃의 온도 조건에서 2 ~ 3 시간 동안 환류냉각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10,000×g에서 20 ~ 40 분간 원심분리하여 취한 상층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자몽씨 추출물 0.01 ~ 5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0 wt%의 제3조성물 0.01 ~ 3.0 wt%를 더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선택되는 어느 1의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품 전체 중량에 대해 0.1 ~ 50 wt%로 첨가하여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KR1020180064233A 2018-06-04 2018-06-04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08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233A KR102081275B1 (ko) 2018-06-04 2018-06-04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233A KR102081275B1 (ko) 2018-06-04 2018-06-04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095A true KR20190138095A (ko) 2019-12-12
KR102081275B1 KR102081275B1 (ko) 2020-02-25

Family

ID=6900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233A KR102081275B1 (ko) 2018-06-04 2018-06-04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2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8315A (zh) * 2020-09-10 2020-11-06 山东钰财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黑蒜牙膏的制备方法
KR102271354B1 (ko) * 2020-01-16 2021-06-30 주식회사 익스플즌 오일 고함유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2440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익스플즌 마스카라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095A (ko) 1995-10-27 1997-05-28 허문영 녹두 단백질과 녹두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세안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1762A (ko) 2003-06-23 2003-07-22 김득석 천연카페인 및 루이보스추출물을 이용한 영양오일과세안용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030068845A (ko) 2002-02-18 2003-08-25 애경산업(주) 쌀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KR100659512B1 (ko) 2005-12-06 2006-12-20 (주)테라이엔씨 세안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95607B1 (ko) 2001-01-04 2007-03-14 애경산업(주) 실리콘중 수 타입의 세안용 화장료
KR101055447B1 (ko) * 2008-11-19 2011-08-08 (주)아모레퍼시픽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095A (ko) 1995-10-27 1997-05-28 허문영 녹두 단백질과 녹두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세안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95607B1 (ko) 2001-01-04 2007-03-14 애경산업(주) 실리콘중 수 타입의 세안용 화장료
KR20030068845A (ko) 2002-02-18 2003-08-25 애경산업(주) 쌀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KR20030061762A (ko) 2003-06-23 2003-07-22 김득석 천연카페인 및 루이보스추출물을 이용한 영양오일과세안용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0659512B1 (ko) 2005-12-06 2006-12-20 (주)테라이엔씨 세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5447B1 (ko) * 2008-11-19 2011-08-08 (주)아모레퍼시픽 다당체를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54B1 (ko) * 2020-01-16 2021-06-30 주식회사 익스플즌 오일 고함유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2440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익스플즌 마스카라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N111888315A (zh) * 2020-09-10 2020-11-06 山东钰财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黑蒜牙膏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275B1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027B1 (ko) 피부탄력,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851623B1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492B1 (ko) 약재추출물을 포함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KR2021008740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988489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미세먼지의 피부 침투차단 및 피부 염증 발생억제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KR102081275B1 (ko)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931549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화장품
KR100785505B1 (ko)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4764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립스틱
KR102069641B1 (ko) 해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2041419B1 (ko)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43567A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46735B1 (ko) 피부미백제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0363B1 (ko) 녹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0411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