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405A -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405A
KR20210087405A KR1020210000551A KR20210000551A KR20210087405A KR 20210087405 A KR20210087405 A KR 20210087405A KR 1020210000551 A KR1020210000551 A KR 1020210000551A KR 20210000551 A KR20210000551 A KR 20210000551A KR 20210087405 A KR20210087405 A KR 20210087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english name
english
scientific
scientific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영
장윤희
김길남
서지현
안영제
김지형
진무현
이광진
김정은
추정하
이홍구
박준형
김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1008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4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의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총량과 티로시나제 활성을 감소시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고,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고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을 개선하며,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 또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고, 섬유아세포에서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시켜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보습 효과를 가지며,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또한 다양한 균들에 대한 폭넓은 항균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외용제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s Containing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또는 항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 같은 소망이다. 사람의 피부 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으나, 티로시나제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일반적인 알려진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있다. 이들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중요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 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피부에서의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레티노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비특허문헌 1],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특허문헌 1], 베튤린산(betulinic acid)[특허문헌 2], 클로렐라 추출물[특허문헌 3, 4] 등이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유효성분들은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염증은 상처나 질병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 반응으로,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 인자를 활성화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혈관 활성 폴리펩타이드인 키닌(kinin), 플라스민(plasmin), 보체 (complement) 등이 혈관 확장과 수축 및 주화성(chemotaxis) 작용을 하고, 그 외에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림포카인과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염증 반응을 담당한다. 아라키돈산은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혹은 리포옥시게 나아제(lipo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ukotriene)들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폐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등이 있다. 또한,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손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의 일종으로 글루쿠론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 잔기가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슬모양의 고분자 다당류 물질이다. 다량의 물과 결합하여 겔을 만드는 성질이 있어 높은 점성과 탄성을 가진다. 히알루론산은 세포외 기질의 주요 성분으로, 수분 보유, 세포 간 간격 유지, 세포성장인자 및 영양성분의 저장과 확산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세포의 분열과 분화, 이동 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포유류의 체내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의 50% 이상이 피부, 특히 표피의 세포 간 간격과 진피의 결체 조직에 분포한다고 보고되었고, 이러한 히알루론산은 주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의 양은 노화와 함께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피부 내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노화에 따른 피부 탄력 저하 및 수분 함유량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라고 여겨지고 있다(BiochemBiophysActa 279, 265-275; Carbohydr Res 159, 127-136; Int J Dermatol 33, 119-122). 또한 히알루론산은 각질층의 구조유지와 피부장벽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도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J CosmetDermatol. 2007 Jun, 6(2), 75-82).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커서 피부에 잘 흡수되지 않는다. 또한, 주사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을 피부로 주입하는 방법이 현재 시술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큰 자극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피부 세포 내의 히알루론산 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인체 내의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괄목할 만한 연구 결과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한편, 생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는 생체의 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암을 발생시키는 등 많은 문제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항산화 물질은 동,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과일과 채소에 많은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비타민 C, 셀레늄 등이 알려져 있다. 다만, 천연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은 피부 적용 시 실질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항산화력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한 합성 항산화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인체 부작용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그 사용이 제한된다.
한편, 교통의 발달로 전 세계적인 이동이 활발하고 이로 인해 사람의 이동을 따라 여러 가지 전염성 질환이나 신규 질환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그동안 무분별한 항균 물질의 사용으로 여러 미생물들이 내성을 가지게 되어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부패성의 제품(예를 들면 화장품, 의약품 혹은 식품)의 보존을 위해서 신체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미생물에 대한 직접적인 미용적 개선 혹은 치료요법을 위한 항균성을 가지는 물질의 수요가 계속해 존재한다.
농약은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생장 조절제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바이러스나 미생물에 의한 작물 피해의 경우 살균제를 사용하여 방제한다. 농업 분야에서 값싸고 강력한 인공 합성된 항균물질들이 과도하게 사용됨으로써 우리 식탁을 위협하게 되었다. 인체에 직접 사용하는 생활용품에도 다양한 항균물질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값이 싼 화학성분들이 사용되고 있다. 불행하게도 이렇게 사용되고 있는 항균물질들 대부분은 장기간 사용 시 인체에 해로울 수 있음이 과학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우리 생활주변에서 널리 이용되는 식품, 의약품, 생활용품, 화장품 등의 많은 제품에는 내부물성의 변화를 방지하고, 일정기간 동안의 보존을 위해서 인체 사용이 허가된 항균물질인 방부제가 첨가되어 있다. 특히, 화장품은 손으로 떠서 사용하거나 인체와의 접촉이 잦은 제품의 특성상 외부로부터 미생물의 유입이 가능하고 이러한 미생물에 의하여 제품의 품질이 변할 수 있다. 특히, 눈가에 사용하는 제품의 오염은 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1920년대 미국에서는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마스카라를 사용한 소비자가 실명한 사례가 있었다. 이에 따라, 미생물에 의한 상기 제품들의 오염을 방지하여 소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제품의 품질을 보존하는 기술이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상기 방부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천연에서 산출된 물질도 있으나 거의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한 인공물질들이 이용되고 있다. 기존 방부제로서 가장 안전하며 생활용품, 화장품, 의약품에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파라벤류의 방부제들조차 피부 알러지(Andrea Counti et al., Contact Dermatitis, 1997, 37;35-36)와 환경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Edwin et al.,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998, 153;12-19) 및 내성균 유발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방부제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활성 물질들의 경우 대부분 색취, 안정성 저하, 좁은 항균스펙트럼, 제형상 문제 등으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편백 추출물인 히노키티올(hinokitiol)과 목련추출물인 마그놀롤(magnolol), 자몽추출물인 DF-100등 극히 일부만 상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합성 화학 항균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유래 항균 물질의 필요성이 극대화되고 있다. 특히, 항균제의 가장 큰 단점인 부작용을 줄이고 동시에 폭넓은 항균 스펙트럼, 제형상 안정성 등을 보유한 천연 항균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109 종의 식물 추출물이 피부의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총량과 티로시나제 활성을 감소시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고,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고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을 개선하며,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또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고, 섬유아세포에서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시켜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보습 효과를 가지며,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또한 다양한 균들에 대한 폭넓은 항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엉겅퀴(학명: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Codonopsis lanceolata, 영명:Deodeok), 울릉미역취(학명:Solidago virgaurea, 영명:Ulleung goldenrod), 섬쑥부쟁이(학명:Aster glehnii, 영명: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Allium victorialis, 영명:Myeongyi), 두메부추(학명:Allium senescens, 영명:Aging chive), 마가목(학명:Sorbus commixta, 영명:Silvery mountain ash), 섬전호(학명:Anthriscus sylvestris, 영명: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Fallopia sachalinensis, 영명: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Acer pictum, 영명:Mono maple), 섬고사리(학명:Athyrium acutipinnulum, 영명: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Wasabia japonica, 영명: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Polygonatum odoratum, 영명: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Hedera rhombea, 영명:Songak), 우산제비꽃(학명:Viola woosanensis, 영명: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Campanula takesimana, 영명: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Lilium hansonii, 영명: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Sedum oryzifolium, 영명: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Stellaria aquatica, 영명: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Ranunculus quelpaertensis (H.Lev.) Nakai), 거북꼬리(학명: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영명: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Rumex crispus L., 영명: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Gynostemma pentaphylla (Thunb.) Makino, 영명: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영명: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Sisymbrium officinale (L.) Scop., 영명:Hedge Mustard), 매화노루발(학명: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Ardisia japonica (Thunb.) Blume, 영명: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Foam flower), 딱지꽃(학명: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Amorpha fruticosa L., 영명: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Lespedeza cuneata (Dum. Cours.) G. Don., 영명: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Medicago sativa L., 영명:Alfalfa), 벌완두(학명:Vicia amurensis Oett., 영명:Amur vetch), 털부처꽃(학명:Lythrum salicaria L., 영명: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Oenothera biennis L. , 영명: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Spindle Tree), 머루(학명: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Aralia elata (Miq.) Seem., 영명: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Clematis apiifolia DC., 영명: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Solanum lyratum Thunb., 영명: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Lamium amplexicaule L., 영명: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Thalictrum kemense Fr., 영명: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Leopard plant), 금불초(학명: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Carex breviculmis R. Br., 영명:Short-stem sedge), 억새(학명: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Kuril bamboo), 고삼(학명: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Hemerocallis fulva (L.) L., 영명: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Tiger lily), 맥문동(학명: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Tili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Aucuba japonica Thunb., 영명: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Acer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honeysuckle), 자귀나무(학명:Albizia julibrissin, 영명: Silk tree) 및 한련초(학명:Eclipta prostrata, 영명:False daisy)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물엉겅퀴(학명: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Codonopsis lanceolata, 영명:Deodeok), 울릉미역취(학명:Solidago virgaurea, 영명:Ulleung goldenrod), 섬쑥부쟁이(학명:Aster glehnii, 영명: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Allium victorialis, 영명:Myeongyi), 두메부추(학명:Allium senescens, 영명:Aging chive), 마가목(학명:Sorbus commixta, 영명:Silvery mountain ash), 섬전호(학명:Anthriscus sylvestris, 영명: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Fallopia sachalinensis, 영명: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Acer pictum, 영명:Mono maple), 섬고사리(학명:Athyrium acutipinnulum, 영명: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Wasabia japonica, 영명: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Polygonatum odoratum, 영명: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Hedera rhombea, 영명:Songak), 우산제비꽃(학명:Viola woosanensis, 영명: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Campanula takesimana, 영명: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Lilium hansonii, 영명: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Sedum oryzifolium, 영명: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Stellaria aquatica, 영명: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Ranunculus quelpaertensis (H.Lev.) Nakai), 거북꼬리(학명: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영명: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Rumex crispus L., 영명: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Gynostemma pentaphylla (Thunb.) Makino, 영명: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영명: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Sisymbrium officinale (L.) Scop., 영명:Hedge Mustard), 매화노루발(학명: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Ardisia japonica (Thunb.) Blume, 영명: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Foam flower), 딱지꽃(학명: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Amorpha fruticosa L., 영명: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Lespedeza cuneata (Dum. Cours.) G. Don., 영명: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Medicago sativa L., 영명:Alfalfa), 벌완두(학명:Vicia amurensis Oett., 영명:Amur vetch), 털부처꽃(학명:Lythrum salicaria L., 영명: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Oenothera biennis L. , 영명: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Spindle Tree), 머루(학명: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Aralia elata (Miq.) Seem., 영명: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Clematis apiifolia DC., 영명: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Solanum lyratum Thunb., 영명: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Lamium amplexicaule L., 영명: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Thalictrum kemense Fr., 영명: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Leopard plant), 금불초(학명: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Carex breviculmis R. Br., 영명:Short-stem sedge), 억새(학명: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Kuril bamboo), 고삼(학명: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Hemerocallis fulva (L.) L., 영명: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Tiger lily), 맥문동(학명: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Tili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Aucuba japonica Thunb., 영명: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Acer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honeysuckle), 자귀나무(학명:Albizia julibrissin, 영명: Silk tree) 및 한련초(학명:Eclipta prostrata, 영명:False daisy)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의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총량과 티로시나제 활성을 감소시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고,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고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을 개선하며,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또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고, 섬유아세포에서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시켜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키고 보습 효과를 가지며,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또한 다양한 균들에 대한 폭넓은 항균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외용제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물엉겅퀴(학명: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Codonopsis lanceolata, 영명:Deodeok), 울릉미역취(학명:Solidago virgaurea, 영명:Ulleung goldenrod), 섬쑥부쟁이(학명:Aster glehnii, 영명: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Allium victorialis, 영명:Myeongyi), 두메부추(학명:Allium senescens, 영명:Aging chive), 마가목(학명:Sorbus commixta, 영명:Silvery mountain ash), 섬전호(학명:Anthriscus sylvestris, 영명: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Fallopia sachalinensis, 영명: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Acer pictum, 영명:Mono maple), 섬고사리(학명:Athyrium acutipinnulum, 영명: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Wasabia japonica, 영명: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Polygonatum odoratum, 영명: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Hedera rhombea, 영명:Songak), 우산제비꽃(학명:Viola woosanensis, 영명: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Campanula takesimana, 영명: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Lilium hansonii, 영명: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Sedum oryzifolium, 영명: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Stellaria aquatica, 영명: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Ranunculus quelpaertensis (H.Lev.) Nakai), 거북꼬리(학명: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영명: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Rumex crispus L., 영명: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Gynostemma pentaphylla (Thunb.) Makino, 영명: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영명: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Sisymbrium officinale (L.) Scop., 영명:Hedge Mustard), 매화노루발(학명: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Ardisia japonica (Thunb.) Blume, 영명: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Foam flower), 딱지꽃(학명: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Amorpha fruticosa L., 영명: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Lespedeza cuneata (Dum. Cours.) G. Don., 영명: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Medicago sativa L., 영명:Alfalfa), 벌완두(학명:Vicia amurensis Oett., 영명:Amur vetch), 털부처꽃(학명:Lythrum salicaria L., 영명: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Oenothera biennis L. , 영명: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Spindle Tree), 머루(학명: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Aralia elata (Miq.) Seem., 영명: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Clematis apiifolia DC., 영명: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Solanum lyratum Thunb., 영명: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Lamium amplexicaule L., 영명: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Thalictrum kemense Fr., 영명: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Leopard plant), 금불초(학명: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Carex breviculmis R. Br., 영명:Short-stem sedge), 억새(학명: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Kuril bamboo), 고삼(학명: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Hemerocallis fulva (L.) L., 영명: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Tiger lily), 맥문동(학명: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Tili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Aucuba japonica Thunb., 영명: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Acer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honeysuckle), 자귀나무(학명:Albizia julibrissin, 영명: Silk tree) 및 한련초(학명:Eclipta prostrata, 영명:False daisy)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구강용 항균 조성물, 충치 개선 조성물, 치주질환 개선 조성물, 구취 개선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저농도에서 월등히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 피부 재생 효과, 피부 탄력 개선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항염증 효과, 피부 진정 효과, 보습 효과, 항산화 효과 및/또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을 위한 화장료, 약학, 피부외용제 및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물은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재배한 것을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는 등 그 출처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에 추출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시판되고 있는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지역에 상관없이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울릉도에서 채취 및 추출된 식물 추출물이 보다 우수한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식물의 모든 부위를 사용할 수 있고, 추출 부위에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제조는 상기 식물체의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식물체는 건조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친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식물은 전술한 식물의 전초,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순, 가지, 수피, 수액, 주아 및/또는 씨(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전술한 식물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상기 추출액의 발효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식물을 직접 압착 혹은 분쇄 후 여과하여 얻은 착즙액을 포함한다. 상기 식물은 식물 그대로 추출하거나 또는 포제(가공)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포제'(匍制)는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약재를 가공처리 함으로써 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기술을 의미하며 예컨대, 약재를 볶는 초(炒)법, 약재를 일정량의 액체 보조재료와 함께 볶음으로써 보조재료가 약물조직 내에 스며들게 하는 자(炙)법, 약재 각 품목의 포제 규정에 따라 액체 보조재료를 넣고 섞어서 적당한 용기 안에서 가열하여 찌거나, 일정한 정도가 될 때까지 쪄서 말리는 증(蒸)법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용매 추출법,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2종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용매 간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추출은 상기 식물 건조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0배 중량, 구체적으로는 1 내지 50배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에 달하는 중량의 용매를 이용하여, 10 내지 80℃,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50℃의 추출 온도에서 2시간 내지 30일, 구체적으로는 12시간 내지 18일의 추출 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 및 파쇄물을 포함하여 1회 내지 5회 연속 추출하여 액상의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여과지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 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조추출물은 감압여과 등의 방법으로 식물의 건조 파쇄물과 분리된 후 농축 또는 건조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의 조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에서 감압 농축한 농축액일 수 있고, 상기 액상의 추출물을 건조하여 분말화된 추출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렇게 농축 또는 분말화된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물, 알코올,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식물 추출물의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물을 추출하여 얻은 식물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데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부탄올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백 효과'라 함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하여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멜라닌의 피부 침착(과색소 침착증)을 억제하거나 방지,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 주근깨를 완화 또는 개선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재생 효과'라 함은 피부줄기세포의 활성이 촉진 됨에 따라, 피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에 대하여 피부 조직이 회복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상기 외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또는 외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력 개선 효과'라 함은 피부가 쳐지거나 늘어지는 정도를 완화시켜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탄력은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름 개선 효과'라 함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증 효과'라 함은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 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증은 선천성 면역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한다. 식세포는 그런 표면을 가진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를 공격한다. 만일 병원균이 신체의 물리적 장벽을 깨고 들어온다면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염증반응은 상처부위에 침입한 미생물들에 대한 적대 환경을 만드는 비특이적인 방어작용이다. 염증반응에서, 상처가 나거나 외부 감염체가 체내로 들어왔을 때, 초기단계 면역반응을 맡고 있는 백혈구들이 몰려들어 사이토카인을 발현한다. 따라서 세포 내 사이토카인의 발현양이 염증반응 활성화의 지표가 된다. 염증과 관련된 피부질환의 예로는 아토피 피부염, 건선, 방사선, 화학물질, 화상 등에 의해 촉발되는 홍반성 질환, 산 화상, 수포성 피부병, 태선 모양 종류 질환, 알레르기에 기한 가려움증, 지루성 습진, 장미 여드름, 심상성 천포창, 다형 삼출성 홍반, 결절 홍반, 귀두염, 음문염, 원형 탈모증과 같은 염증성 모발 손실, 피부 T-세포 림프종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는 염증 억제와 함게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 효과'라 함은 피부에 수분감을 증가시켜주고, 피부 거칠기를 줄여주거나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수분의 증발을 차단하여 피부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균일한 각질 탈락을 유도하여 매끈한 표면을 유지하게 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피부 보습 효과를 높일 경우, 피부 탄력 증진, 피부 주름 개선에 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산화 효과'라 함은 세포내 대사 또는 자외선의 영향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따라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ROS)에 의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여 이로 인한 세포의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 효과'라 함은 균에 저항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세균이나 곰팡이, 효모 등과 같은 미생물의 작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모든 기작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항균 효과는 구강 내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세균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 속 등의 세균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상귀스(streptococcus sanguis), 스트렙토코커스 상귀니스(Streptococcus sanguini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종 써모필스(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s), 및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량' 또는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라 함은 미백 효과를 나타내거나,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거나, 주름을 개선하거나, 염증을 억제하거나, 보습 효과를 나타내거나, 세포의 산화를 억제 또는 완화하거나, 또한 다양한 균들에 대한 폭넓은 항균 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유효량의 상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피부 미백 효과, 피부 재생 효과, 탄력 개선 효과, 주름 개선 효과, 항염증 효과, 피부 진정 효과, 보습 효과,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외용제 및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외용제 및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유화 제형 또는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또는 바디 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또는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시 등과 같은 세정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천연 첨가제 또는 합성 첨가제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첨가제는 유기농 원료, 식물 및 식물 유래 원료, 동물 및 동물 유래 원료, 미네랄 및 미네랄 유래 원료 및 물 등의 성분을 의미한다. 일 예로,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 중화제, 향료, 방부제, 산화방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피막 형성제 및 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 첨가제는 천연물 또는 자연물로부터 수득되거나 천연물 또는 자연물 유래의 성분을 간단히 개질시키거나, 자연 유래의 성분 중 합성된 성분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자연 유래의 성분이 아닌 인공적인 방법으로 합성된 합성 성분을 배제하는 의미이다.
상기 천연 원료는 일 예로, 국가에서 정하는 유기농 기준 및 친환경 인증 등급 또는 이에 준할 수 있는 천연 유래 등급의 화장품 원료를 의미하는 것일수 있다.
상기 친환경 인증 기준이라 함은 합성 공정을 배제하고 친환경적으로 재배 및 가공된 성분들로 구성된 조성물로서 대표적인 친환경 인증으로는 프랑스 에코서트(ecocert), 유럽의 코스모스(Cosmos), 미국의 USDA(US Department of Agreculture), 독일의 BDIH(Association of German Industries and Trading Firms) 및 일본의 JAS(Japanese Association of Standard) 등이 있으며, 최근의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여 각국에서는 성분 또는 제품에 대하여 안전성을 인증하는 친환경 인증 제도를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다. 각 국마다 세부적인 수치 및 범위 등 부분적으로 상이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원료 및 성분의 1차적인 구성물에 대해서는 큰 틀에서는 친환경 인증의 범주에 대해서 글로벌적으로 통일성을 보여주고 있다. 자연에서 유래한 천연 성분에 대해서는 친환경 유기농 성분 범주에 포함되며, 그 외의 반가공된 성분류에 대해서는 PPAI(Physically Processed Agro Ingredient) 및 CPAI(Chemically Processed Agro Ingredient)로 구분하여 이들 규격에 부합되는 원료에 대해서만 에코서트, 코스모스 또는 USDA 등의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국가에서 정하는 유기농 및 친환경 인증 원료 및 성분이라 함은 국가에서 정하는 유기농 기준 및 친환경 인증 기준에 준하는 또는 준할수 있는 성분으로만 구성되어 국가에서 정하는 유기농 및 친환경 등급을 충족할 수 있는 화장료 원료 및 조성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중국 정부가 정하는 기준 또는 중국에서 인정되는 유기농 및 친환경 인증 기준에 준하는 또는 준할 수 있는 성분으로만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합성 첨가제는 천연 유래가 아닌 화학적으로 합성 과정을 거친 원료를 의미한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세정제와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또는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상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해도 무방하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식물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식물 추출물을 0.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한 성분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중국 정부에서 정하는 「화장품 안전·기술 규범」에 규정된 최대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 조성물"이란 '의약외품' 또는 '의약품'의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피부 미백은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의미할 수 있고, 항염증 또는 보습은 아토피 또는 건선을 포함하는 피부 건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항산화는 활성 산소의 제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 알부틴 등과 같은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 비타민-C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상기 식물 추출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완충액, 주사용 멸균수, 일반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슈크로스, 히스티딘, 염 및 폴리솔베이트 등과 같은여러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 약학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임상 투여시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물 추출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약학 제형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상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일 투여량은 상기 식물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g/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용 조성물은 의약외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약외품"은 상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의약외품은, 예를 들어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용연고, 로션 등과 같은 반고형 제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 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식물 추출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이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및/또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식품에 보존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삭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고, 건강 보조 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기능성 식품, 건강 식품, 건강 보조 식품의 용어는 혼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1-112의 식물(울릉도 각지에서 채집 또는 구매함)의 전초,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순, 가지, 수피, 수액, 주아 또는 씨(종자)를 질량의 20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한 후 감압 여과하였다. 여과한 추출물을 회전 증발기(rotary evaporator)(Buchi, Switzerland)로 농축, 건조하여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
시료를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멜라닌 총량을 측정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확인하였다(Lotan R., Lotan D. Cancer Res. 40:3345-3350, 1980). 실험 전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평가하여 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하여 미백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를 배양액에 최종 농도가 하기 표의 처리 농도와 같도록 처리하였으며, 대조군인 알부틴은 200 ppm이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여 각각 B-16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들을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한 후, 가라앉은 세포 pellet 에 수산화나트륨 용액(1N 농도) 1 ml를 가하고, 80도 10분간 가열하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멜라닌 양은 단위 세포수당(1×106 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또한 무첨가 대조군을 기준으로 각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의 상대적인 멜라닌 총량을 저해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에 정리하였다.
실험예 2. 인체 유래의 섬유아세포에서 제1형 콜라겐(type I collagen) 합성 촉진 효과
각 시료를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제1형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 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기 위해 각 시료를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DMEM 배지)에 첨가하여 48 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키트로 각 농도에서 제1형 콜라겐 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음성대조군)와 TGFb(양성대조군)를 최종농도 10 ppb가 되도록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합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성 증가율은 음성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콜라겐 생성량의 비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NO 생성 저해 효과
각 시료의 항염증 효과 및 피부트러블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주 (ATCC number: CRL-2278)를 이용한 GRIESS 법으로 Nitric oxide(NO) 형성억제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수차례 계대배양하고, 웰 하나에 3×105 개씩 들어가도록 24-웰 프레이트에 넣은 후, 24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이어서, 최종농도를 하기 표와 같이 희석한 세포 배지로 교체하였다. 이 때, NO-생성 억제물질인 L-NMMA(L-NG-Monomethylarginine)을 최종농도가 5ppm이 되도록 양성 대조군으로 함께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한 후, 자극원으로 LPS(Lipopolysaccharide)를 1 μg/ml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100 μl씩 취해 96-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GRIESS 용액을 100 μl씩 가해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각 시료의 NO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히알루론산 합성 증진 평가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10% 우혈청(fetal bovine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1×105 cells/mL로 배양해서 24-웰 플레이트에 500 ㎕씩 분주하여 18시간 배양한 후, 우혈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DMEM 배지에 시료를 희석하고 각 시료를 하기 농도별로 첨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한다고 알려진 표피성장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를 10 ppb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Hyaluronan ELISA 키트(R&D Systems)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무첨가 대조군의 히알루론산 농도를 기준(100%)으로 각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의 히알루론산 농도를 수치화하여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5. 항산화 효과 - 자유라디칼 소거율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는 시그마사(Sigma Co., Ltd,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1.5 mM(0.06mg/ml)의 표준 DPPH 에탄올 용액을 만들었다. 그리고, 각 추출물과 기준물질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에 각각 에탄올을 가하여 0.1% 농도로 시료를 제조한 후 serial dilution 하였다. 그 다음, 상기 시료와 표준 DPPH 용액을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37 ℃에서 30 분간 반응시키고 517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 대신 에탄올을 첨가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능은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억제중간값)인 IC50을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IC50은 무첨가 대조군의 자유라디칼을 50% 제거하는데 필요한 아스코르빈산 및 추출물의 농도로써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실험예 6. 항균 효과 -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법
Staphylococcus aureus와 Aspergillus niger를 발효 배양한 발효배양물에 대한 MIC를 측정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의 MIC 측정은 최적 배지인 Mueller Hinton Broth를 이용해 106 CFU/mL 수준의 균 농도로 37℃, 24 시간 배양을 통해 수행되었다. Aspergillus niger는 Potato dextrose broth를 이용해 105 CFU/mL수준의 균 농도로 30℃, 48 시간 배양하였다. 두 균 모두 serial dilution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배양이 끝난 후 well 간 탁도를 육안으로 비교하여 발효배양물의 MIC를 확인하였다.
각 추출물의 최소성장억제농도는 %(w/v)로 나타내었고, 각 표에서 MIC(%)는 다른 기재가 없는 한 %(w/v)를 의미한다.
실험예 7. 치아 우식증 및 치주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
각 시료의 치아 우식증 및 치주염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균 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강병원균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치아 우식증 대표유발 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치주질환 대표유발 세균인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를 이용하여 페이퍼 디스크 검사법을 사용함으로써 항균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각 구강병원균들을 하기 표의 최적 배양조건에서 활성을 증가시킨 후, 각 균의 최적배지에서 4 ~ 6시간 정도 배양하여 배양액의 탁도를 Macfarland turbidity No. 0.5 (1.5 X 108)가 되도록 맞추고, 상기 각 구강병원균 0.1 ml를 평판배지에 골고루 도말하였다. 이후, 각 시료를 10 mg/disc 농도로 접종하여 1시간 동안 흡수 건조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각 구강병원균의 최적온도에서 24 ~ 48시간 배양한 후 생육저지환의 크기(직경 mm)를 측정하였다.
균주 최적조건
그람염색
(Gram staining)
균주명 온도 배지 형질
Gram (+) Streptococcus mutans 37℃ BHI 통성 혐기성
Gram (-) Porphyromonas gingivalis 37℃ TSA Hemin Menadione 배지 혐기성
실시예 1. 물엉겅퀴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실시예 2. 섬더덕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실시예 3. 울릉미역취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실시예 5. 섬쑥부쟁이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실시예 6. 산마늘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실시예 7. 두메부추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실시예 8. 마가목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실시예 10. 섬전호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실시예 11. 왕호장근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실시예 12. 우산고로쇠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실시예 13. 섬고사리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실시예 14. 고추냉이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실시예 15. 노랑하늘타리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실시예 16. 풍도둥굴레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실시예 17. 송악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실시예 18. 우산제비꽃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실시예 19. 섬초롱꽃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실시예 20. 섬말나리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실시예 21. 섬꼬리풀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실시예 22. 땅채송화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실시예 23. 쇠별꽃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실시예 24. 약모밀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실시예 25. 섬노루귀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실시예 26. 왜젓가락풀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실시예 27. 거북꼬리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실시예 28. 술패랭이꽃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실시예 29. 소리쟁이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실시예 30. 고추나물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실시예 31. 돌외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실시예 32. 새박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실시예 33. 섬장대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실시예 34. 유럽장대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실시예 36. 매화노루발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실시예 37. 자금우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실시예 38. 갯까치수염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70
실시예 39. 등수국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2
실시예 40. 돌나물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실시예 41. 섬기린초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실시예 42. 헐떡이풀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실시예 43. 딱지꽃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실시예 44. 족제비싸리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실시예 45. 비수리
Figure pat00083
Figure pat00084
실시예 46. 자주개자리
Figure pat00085
Figure pat00086
실시예 47. 벌완두
Figure pat00087
Figure pat00088
실시예 48. 털부처꽃
Figure pat00089
Figure pat00090
실시예 49. 털이슬
Figure pat00091
Figure pat00092
실시예 50. 바늘꽃
Figure pat00093
Figure pat00094
실시예 51. 달맞이꽃
Figure pat00095
Figure pat00096
실시예 52. 애기괭이눈
Figure pat00097
Figure pat00098
실시예 53. 바위떡풀
Figure pat00099
Figure pat00100
실시예 54. 섬광대수염
Figure pat00101
Figure pat00102
실시예 55. 섬국수나무
Figure pat00103
Figure pat00104
실시예 56. 섬현호색
Figure pat00105
Figure pat00106
실시예 57. 섬나무딸기
Figure pat00107
Figure pat00108
실시예 58. 섬바디
Figure pat00109
Figure pat00110
실시예 59. 섬제비꽃퀴
Figure pat00111
Figure pat00112
실시예 60. 사철나무
Figure pat00113
Figure pat00114
실시예 61. 머루
Figure pat00115
Figure pat00116
실시예 62. 독활
Figure pat00117
Figure pat00118
실시예 63. 두릅나무
Figure pat00119
Figure pat00120
실시예 64. 팔손이
Figure pat00121
Figure pat00122
실시예 65. 사위질빵
Figure pat00123
Figure pat00124
실시예 66. 배풍등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6
실시예 67. 애기메꽃
Figure pat00127
Figure pat00128
실시예 68. 갯메꽃
Figure pat00129
Figure pat00130
실시예 69. 작살나무
Figure pat00131
Figure pat00132
실시예 70. 배초향
Figure pat00133
Figure pat00134
실시예 71. 층층이꽃
Figure pat00135
Figure pat00136
실시예 72. 광대나물
Figure pat00137
Figure pat00138
실시예 73. 익모초
Figure pat00139
Figure pat00140
실시예 74. 큰꿩의다리
Figure pat00141
Figure pat00142
실시예 75. 분꽃나무
Figure pat00143
Figure pat00144
실시예 76. 애기똥풀
Figure pat00145
Figure pat00146
실시예 77. 해국
Figure pat00147
Figure pat00148
실시예 78. 털머위
Figure pat00149
Figure pat00150
실시예 79. 금불초
Figure pat00151
Figure pat00152
실시예 80. 머위
Figure pat00153
Figure pat00154
실시예 81. 여우꼬리사초
Figure pat00155
Figure pat00156
실시예 82. 청사초
Figure pat00157
Figure pat00158
실시예 83. 억새
Figure pat00159
Figure pat00160
실시예 84. 수크령
Figure pat00161
Figure pat00162
실시예 85. 이대
Figure pat00163
Figure pat00164
실시예 86. 섬조릿대
Figure pat00165
Figure pat00166
실시예 87. 고삼
Figure pat00167
Figure pat00168
실시예 88. 원추리
Figure pat00169
Figure pat00170
실시예 89. 참나리
Figure pat00171
Figure pat00172
실시예 90. 맥문동
Figure pat00173
Figure pat00174
실시예 91. 큰두루미꽃
Figure pat00175
Figure pat00176
실시예 92. 삼나무
Figure pat00177
Figure pat00178
실시예 93. 후박나무
Figure pat00179
Figure pat00180
실시예 94. 섬잣나무
Figure pat00181
Figure pat00182
실시예 95. 솔송나무
Figure pat00183
Figure pat00184
실시예 96. 참식나무
Figure pat00185
Figure pat00186
실시예 97. 굴거리나무
Figure pat00187
Figure pat00188
실시예 98. 푸조나무
Figure pat00189
Figure pat00190
실시예 99. 풍게나무
Figure pat00191
Figure pat00192
실시예 100. 난티나무
Figure pat00193
Figure pat00194
실시예 101. 두메오리나무
Figure pat00195
Figure pat00196
실시예 102. 섬피나무
Figure pat00197
Figure pat00198
실시예 103. 쪽동백나무
Figure pat00199
Figure pat00200
실시예 104. 섬벚나무
Figure pat00201
Figure pat00202
실시예 105. 식나무
Figure pat00203
Figure pat00204
실시예 106. 섬단풍나무
Figure pat00205
Figure pat00206
실시예 107. 섬황벽나무
Figure pat00207
Figure pat00208
실시예 108. 머귀나무
Figure pat00209
Figure pat00210
실시예 109. 광나무
Figure pat00211
Figure pat00212
실시예 110. 섬괴불나무
Figure pat00213
Figure pat00214
실시예 111. 자귀나무
Figure pat00215
Figure pat00216
실시예 112. 한련초
Figure pat00217
Figure pat00218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식물 추출물 0.001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식물 추출물 0.2㎎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식물 추출물 0.2㎎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환의 제조
식물 추출물 0.003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5. 과립의 제조
식물 추출물 2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제예 2: 화장품의 제조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2.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2.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중량%
폴리솔베이트80 0.4 중량%
에탄올 10.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밀납 4.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중량%
유동파라핀 0.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3. 영양크림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 0.2중량%
베타-1,3-글루칸 5.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4. 마사지크림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마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3.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중량%
유동파라핀 4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5. 팩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 0.2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폴리비닐알콜 13.0 중량%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에탄올 6.0 중량%
피이지 -12 노닐페닐에테르 0.3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0.3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제제예 3: 피부외용제의 제조
1. 젤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젤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0.1 중량%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중량%
에탄올 5.0 중량%
피이지-60 경화피마자유 0.5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2. 연고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 0.5 중량%
베타-1,3-글루칸 10.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5.0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바셀린 5.0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쉐어버터 3.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10.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3. 국소투여용 약제(겔 연고제) 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겔 연고제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 0.5 중량%
베타-1,3-글루칸 10.0 중량%
폴리아크릴산(Carbopol 940) 1.5 중량%
이소프로판올 5.0 중량%
헥실렌글리콜 25.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7 중량%
탈이온수 to 100 중량%
4. 국소 투여용 약제(패취제)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취제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식물 추출물 0.5 중량%
베타-1,3-글루칸 3.0 중량%
헥실렌글리콜 20.0 중량%
디에틸아민 0.7 중량%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1.0 중량%
아황산나트륨 0.1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1.0 중량%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Cetomacrogol 1000) 1.0 중량%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중량%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Cetiol LC) 2.5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0 중량%
탈이온수 to 100 중량%
제제예 4: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밀가루 식품의 제조
상기 식물 추출물 0.05 ~ 1.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2.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상기 식물 추출물 0.2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 식물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식물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혼합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식물 추출물 (0.1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제제예 5: 음료의 제조
1. 건강음료의 제조
식물 추출물 0.1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2. 야채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1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mL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3. 과일주스의 제조
식물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mL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물엉겅퀴(학명: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Codonopsis lanceolata, 영명:Deodeok), 울릉미역취(학명:Solidago virgaurea, 영명:Ulleung goldenrod), 섬쑥부쟁이(학명:Aster glehnii, 영명: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Allium victorialis, 영명:Myeongyi), 두메부추(학명:Allium senescens, 영명:Aging chive), 마가목(학명:Sorbus commixta, 영명:Silvery mountain ash), 섬전호(학명:Anthriscus sylvestris, 영명: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Fallopia sachalinensis, 영명: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Acer pictum, 영명:Mono maple), 섬고사리(학명:Athyrium acutipinnulum, 영명: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Wasabia japonica, 영명: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Polygonatum odoratum, 영명: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Hedera rhombea, 영명:Songak), 우산제비꽃(학명:Viola woosanensis, 영명: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Campanula takesimana, 영명: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Lilium hansonii, 영명: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Sedum oryzifolium, 영명: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Stellaria aquatica, 영명: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Ranunculus quelpaertensis (H.Lev.) Nakai), 거북꼬리(학명: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영명: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Rumex crispus L., 영명: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Gynostemma pentaphylla (Thunb.) Makino, 영명: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영명: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Sisymbrium officinale (L.) Scop., 영명:Hedge Mustard), 매화노루발(학명: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Ardisia japonica (Thunb.) Blume, 영명: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Foam flower), 딱지꽃(학명: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Amorpha fruticosa L., 영명: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Lespedeza cuneata (Dum. Cours.) G. Don., 영명: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Medicago sativa L., 영명:Alfalfa), 벌완두(학명:Vicia amurensis Oett., 영명:Amur vetch), 털부처꽃(학명:Lythrum salicaria L., 영명: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Oenothera biennis L. , 영명: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Spindle Tree), 머루(학명: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Aralia elata (Miq.) Seem., 영명: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Clematis apiifolia DC., 영명: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Solanum lyratum Thunb., 영명: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Lamium amplexicaule L., 영명: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Thalictrum kemense Fr., 영명: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Leopard plant), 금불초(학명: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Carex breviculmis R. Br., 영명:Short-stem sedge), 억새(학명: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Kuril bamboo), 고삼(학명: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Hemerocallis fulva (L.) L., 영명: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Tiger lily), 맥문동(학명: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Tili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Aucuba japonica Thunb., 영명: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Acer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honeysuckle), 자귀나무(학명:Albizia julibrissin, 영명: Silk tree) 및 한련초(학명:Eclipta prostrata, 영명:False daisy)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또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은 식물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5. 물엉겅퀴(학명: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Codonopsis lanceolata, 영명:Deodeok), 울릉미역취(학명:Solidago virgaurea, 영명:Ulleung goldenrod), 섬쑥부쟁이(학명:Aster glehnii, 영명: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Allium victorialis, 영명:Myeongyi), 두메부추(학명:Allium senescens, 영명:Aging chive), 마가목(학명:Sorbus commixta, 영명:Silvery mountain ash), 섬전호(학명:Anthriscus sylvestris, 영명: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Fallopia sachalinensis, 영명: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Acer pictum, 영명:Mono maple), 섬고사리(학명:Athyrium acutipinnulum, 영명: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Wasabia japonica, 영명: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Polygonatum odoratum, 영명: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Hedera rhombea, 영명:Songak), 우산제비꽃(학명:Viola woosanensis, 영명: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Campanula takesimana, 영명: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Lilium hansonii, 영명: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Sedum oryzifolium, 영명: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Stellaria aquatica, 영명: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Ranunculus quelpaertensis (H.Lev.) Nakai), 거북꼬리(학명: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영명: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Rumex crispus L., 영명: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Gynostemma pentaphylla (Thunb.) Makino, 영명: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영명: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Sisymbrium officinale (L.) Scop., 영명:Hedge Mustard), 매화노루발(학명: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Ardisia japonica (Thunb.) Blume, 영명: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Foam flower), 딱지꽃(학명: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Amorpha fruticosa L., 영명: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Lespedeza cuneata (Dum. Cours.) G. Don., 영명: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Medicago sativa L., 영명:Alfalfa), 벌완두(학명:Vicia amurensis Oett., 영명:Amur vetch), 털부처꽃(학명:Lythrum salicaria L., 영명: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Oenothera biennis L. , 영명: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Spindle Tree), 머루(학명: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Aralia elata (Miq.) Seem., 영명: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Clematis apiifolia DC., 영명: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Solanum lyratum Thunb., 영명: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Lamium amplexicaule L., 영명: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Thalictrum kemense Fr., 영명: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Leopard plant), 금불초(학명: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Carex breviculmis R. Br., 영명:Short-stem sedge), 억새(학명: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Kuril bamboo), 고삼(학명: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Hemerocallis fulva (L.) L., 영명: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Tiger lily), 맥문동(학명: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Tili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Aucuba japonica Thunb., 영명: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Acer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honeysuckle), 자귀나무(학명:Albizia julibrissin, 영명: Silk tree) 및 한련초(학명:Eclipta prostrata, 영명:False daisy)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또는 항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6. 물엉겅퀴(학명: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Codonopsis lanceolata, 영명:Deodeok), 울릉미역취(학명:Solidago virgaurea, 영명:Ulleung goldenrod), 섬쑥부쟁이(학명:Aster glehnii, 영명: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Allium victorialis, 영명:Myeongyi), 두메부추(학명:Allium senescens, 영명:Aging chive), 마가목(학명:Sorbus commixta, 영명:Silvery mountain ash), 섬전호(학명:Anthriscus sylvestris, 영명: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Fallopia sachalinensis, 영명: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Acer pictum, 영명:Mono maple), 섬고사리(학명:Athyrium acutipinnulum, 영명: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Wasabia japonica, 영명: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Polygonatum odoratum, 영명: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Hedera rhombea, 영명:Songak), 우산제비꽃(학명:Viola woosanensis, 영명: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Campanula takesimana, 영명: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Lilium hansonii, 영명: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Sedum oryzifolium, 영명: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Stellaria aquatica, 영명: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Ranunculus quelpaertensis (H.Lev.) Nakai), 거북꼬리(학명: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영명: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Rumex crispus L., 영명: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Gynostemma pentaphylla (Thunb.) Makino, 영명: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영명: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Sisymbrium officinale (L.) Scop., 영명:Hedge Mustard), 매화노루발(학명: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Ardisia japonica (Thunb.) Blume, 영명: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Foam flower), 딱지꽃(학명: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Amorpha fruticosa L., 영명: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Lespedeza cuneata (Dum. Cours.) G. Don., 영명: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Medicago sativa L., 영명:Alfalfa), 벌완두(학명:Vicia amurensis Oett., 영명:Amur vetch), 털부처꽃(학명:Lythrum salicaria L., 영명: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Oenothera biennis L. , 영명: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Spindle Tree), 머루(학명: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Aralia elata (Miq.) Seem., 영명: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Clematis apiifolia DC., 영명: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Solanum lyratum Thunb., 영명: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Lamium amplexicaule L., 영명: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Thalictrum kemense Fr., 영명: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Leopard plant), 금불초(학명: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Carex breviculmis R. Br., 영명:Short-stem sedge), 억새(학명: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Kuril bamboo), 고삼(학명: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Hemerocallis fulva (L.) L., 영명: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Tiger lily), 맥문동(학명: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Tili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Aucuba japonica Thunb., 영명: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Acer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honeysuckle), 자귀나무(학명:Albizia julibrissin, 영명: Silk tree) 및 한련초(학명:Eclipta prostrata, 영명:False daisy)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또는 항균용 피부외용제.
  7. 물엉겅퀴(학명: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영명:Island thistle), 섬더덕(학명:Codonopsis lanceolata, 영명:Deodeok), 울릉미역취(학명:Solidago virgaurea, 영명:Ulleung goldenrod), 섬쑥부쟁이(학명:Aster glehnii, 영명:Ulleungdo aster), 산마늘(학명:Allium victorialis, 영명:Myeongyi), 두메부추(학명:Allium senescens, 영명:Aging chive), 마가목(학명:Sorbus commixta, 영명:Silvery mountain ash), 섬전호(학명:Anthriscus sylvestris, 영명:Wild chervil), 왕호장근(학명:Fallopia sachalinensis, 영명:Giant Knotweed), 우산고로쇠(학명:Acer pictum, 영명:Mono maple), 섬고사리(학명:Athyrium acutipinnulum, 영명:Ulleungdo ladyfern), 고추냉이(학명:Wasabia japonica, 영명:Wild wasabi), 노랑하늘타리(학명:Trichosanthes kirilowii, 영명:Yellow Mongolian snakegourd), 풍도둥굴레(학명:Polygonatum odoratum, 영명:Pungdo solomon’s seal), 송악(학명:Hedera rhombea, 영명:Songak), 우산제비꽃(학명:Viola woosanensis, 영명:Ulleungdo sweet violet), 섬초롱꽃(학명:Campanula takesimana, 영명:Korean bellflower), 섬말나리(학명:Lilium hansonii, 영명:Ulleungdo turk’s-cap lily), 섬꼬리풀(학명:Pseudolysimachion insulare, 영명:Ulleungdo spike speedwell), 땅채송화(학명:Sedum oryzifolium, 영명:Coastal moss-like stonecrop), 쇠별꽃(학명:Stellaria aquatica, 영명:Water chickweed, Giant chickweed), 약모밀(학명:Houttuynia cordata Thunb., 영명:Heartleaf Houttuynia), 섬노루귀(학명:Hepatica maxima (Nakai) Nakai, 영명:Ulleungdo liverleaf), 왜젓가락풀(학명:Ranunculus quelpaertensis (H.Lev.) Nakai), 거북꼬리(학명: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영명:Tricuspidate falsenettle), 술패랭이꽃(학명:Dianthus longicalyx Miq., 영명:Long-calyx pink), 소리쟁이(학명:Rumex crispus L., 영명:Curled dock), 고추나물(학명:Hypericum erectum Thunb., 영명:Erect St. Johnswort), 돌외(학명:Gynostemma pentaphylla (Thunb.) Makino, 영명:Five-leaf gynostemma), 새박(학명: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영명:Bird’s egg cucumber), 섬장대(학명:Arabis takesimana Nakai, 영명:Ulleungdo rockcress), 유럽장대(학명:Sisymbrium officinale (L.) Scop., 영명:Hedge Mustard), 매화노루발(학명:Chimaphila japonica Miq., 영명:Asian prince’s pine), 자금우(학명:Ardisia japonica (Thunb.) Blume, 영명:Marlberry), 갯까치수염(학명:Lysimachia mauritiana Lam., 영명:Spoon-leaf yellow loosestrife), 등수국(학명: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영명:Climbing hydrangea), 돌나물(학명:Sedum sarmentosum Bunge, 영명:Stringy stonecrop), 섬기린초(학명:Sed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stonecrop), 헐떡이풀(학명:Tiarella polyphylla D. Don, 영명:Foam flower), 딱지꽃(학명:Potentilla chinensis Ser., 영명:East Asian cinquefoil), 족제비싸리(학명:Amorpha fruticosa L., 영명:Indigobush Amorpha), 비수리(학명:Lespedeza cuneata (Dum. Cours.) G. Don., 영명:Sericea lespedeza), 자주개자리(학명:Medicago sativa L., 영명:Alfalfa), 벌완두(학명:Vicia amurensis Oett., 영명:Amur vetch), 털부처꽃(학명:Lythrum salicaria L., 영명:Hairy purple loosestrife), 털이슬(학명:Circaea mollis Siebold & Zucc., 영명:South enchanter’s nightshade), 바늘꽃(학명: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 Sav., 영명:Long-seed willowherb), 달맞이꽃(학명:Oenothera biennis L. , 영명:Evening Primrose), 애기괭이눈(학명: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영명:Stolon golden saxifrage), 바위떡풀(학명: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영명:Serrate-petal rockfoil), 섬광대수염(학명:Lamium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deadnettle), 섬국수나무(학명: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영명:Island ninebark), 섬현호색(학명:Corydalis ilistipes Nakai, 영명:Island corydalis), 섬나무딸기(학명:Rub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raspberry), 섬바디(학명:Dystaenia takeshimana (Nakai) Kitag, 영명:Korea Dystaenia), 섬제비꽃(학명:Viola takeshimana Nakai, 영명:Ulleungdo violet), 사철나무(학명:Euonymus japonicus Thunb., 영명:Spindle Tree), 머루(학명: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영명:Crimson grapevine), 독활(학명: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두릅나무(학명:Aralia elata (Miq.) Seem., 영명:Japanese Angelica), 팔손이(학명: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영명:Glossy-leaf paper plant), 사위질빵(학명:Clematis apiifolia DC., 영명:Three-leaf clematis), 배풍등(학명:Solanum lyratum Thunb., 영명:Lyre-leaf nightshade), 애기메꽃(학명:Calystegia hederacea Wall., 영명:Ivy morning glory), 갯메꽃(학명: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영명:Beach morning glory), 작살나무(학명:Callicarpa japonica Thunb., 영명:East Asian beautyberry), 배초향(학명:Agastache rugosa (Fisch. & C. A. Mey.) Kuntze, 영명:Korean mint), 층층이꽃(학명: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영명:Small-flower Asian calamint), 광대나물(학명:Lamium amplexicaule L., 영명:Henbit deadnettle), 익모초(학명:Leonurus japonicus Houtt., 영명:Oriental motherwort), 큰꿩의다리(학명:Thalictrum kemense Fr., 영명:Long-stalk low meadow-rue), 분꽃나무(학명:Viburnum carlesii Hemsl., 영명:Korean spice viburnum), 애기똥풀(학명: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영명:Asian greater celandine), 해국(학명:Aster spathulifolius Maxim., 영명:Seashore spatulate aster), 털머위(학명:Farfugium japonicum (L.) Kitam., 영명:Leopard plant), 금불초(학명: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영명:Oriental yellowhead), 머위(학명: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명: Giant butterbur), 여우꼬리사초(학명:Carex blepharicarpa Franch.), 청사초(학명:Carex breviculmis R. Br., 영명:Short-stem sedge), 억새(학명: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영명:Purple maiden silvergrass), 수크령(학명: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영명:Foxtail fountaingrass), 이대(학명: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영명:Arrow bamboo), 섬조릿대(학명:Sasa kurilensis (Rupr.) Makino & Shibata, 영명:Kuril bamboo), 고삼(학명:Sophora flavescens Aiton, 영명:Shrubby sophora), 원추리(학명:Hemerocallis fulva (L.) L., 영명:Orange Daylily), 참나리(학명:Lilium lancifolium Thunb., 영명:Tiger lily), 맥문동(학명: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영명:Big blue lilyturf), 큰두루미꽃(학명:Maianthemum dilatatum (A. W. Wood) A. Nelson & J. F. Macbr., 영명: False lily of the valley), 삼나무(학명:Cryptomeria japonica (Thunb. ex L. f.) D. Don, 영명:Japanese Cedar), 후박나무(학명: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영명:Thunberg’s bay-tree), 섬잣나무(학명: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영명:Ulleungdo white pine), 솔송나무(학명:Tsuga sieboldii Carriere, 영명:Ulleungdo hemlock), 참식나무(학명: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영명:Sericeous newlitsea), 굴거리나무(학명: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영명:Macropodous daphniphyllum), 푸조나무(학명: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영명:Scabrous aphananthe), 풍게나무(학명:Celtis jessoensis Koidz., 영명:Caudate-leaf hackberry), 난티나무(학명:Ulmus laciniata (Trautv.) Mayr, 영명:Manchurian Elm), 두메오리나무(학명:Alnus maximowiczii Callier, 영명:Montane alder), 섬피나무(학명:Tili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linden), 쪽동백나무(학명: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영명:Fragrant snowbell), 섬벚나무(학명:Prunus takesimensis Nakai, 영명:Ulleungdo flowering cherry), 식나무(학명:Aucuba japonica Thunb., 영명:Spotted laurel), 섬단풍나무(학명:Acer takesimense Nakai, 영명:Ulleungdo maple), 섬황벽나무(학명:Phellodendron insulare Nakai), 머귀나무(학명: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영명:Alianthus-like prickly-ash), 광나무(학명:Ligustrum japonicum Thunb., 영명:Wax-leaf privet), 섬괴불나무(학명:Lonicera insularis Nakai, 영명:Ulleungdo honeysuckle), 자귀나무(학명:Albizia julibrissin, 영명: Silk tree) 및 한련초(학명:Eclipta prostrata, 영명:False daisy)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피부 재생, 탄력 개선, 주름 개선, 항염증, 피부 진정, 피부 보습, 항산화 또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KR1020210000551A 2020-01-02 2021-01-04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10087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2 2020-01-02
KR1020200000282 2020-0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405A true KR20210087405A (ko) 2021-07-12

Family

ID=7668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551A KR20210087405A (ko) 2020-01-02 2021-01-04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75384A1 (ko)
JP (1) JP2023510236A (ko)
KR (1) KR20210087405A (ko)
CN (1) CN114929195A (ko)
WO (1) WO2021137677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987B1 (ko) * 2021-08-16 2022-03-30 (주)나우코스 비타민e 유도체와 머루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 및 피부 치밀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KR20220144219A (ko) * 2021-04-19 2022-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섬괴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230011000A (ko) * 2021-07-13 2023-01-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이 우수한 조성물
KR20230033314A (ko) * 2021-09-01 2023-03-08 (주)제이뷰티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146123A1 (ko) * 2022-01-26 2023-08-03 (주)유스케어팜 타이바질, 물엉겅퀴 및 눈개승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39175A1 (ko) * 2022-06-08 2023-12-14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솔송나무, 솜양지꽃, 은양지꽃, 제주피막이, 또는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파허피스바이러스, 감마허피스바이러스 또는 노로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002B1 (ko) 2023-09-21 2024-02-01 대한민국 해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6970B (zh) * 2021-08-09 2023-01-31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衰老植物提取组合物及其制备与应用
CN113616573A (zh) * 2021-09-02 2021-11-09 株式会社资生堂 I型胶原蛋白产生促进剂
CN116836175B (zh) * 2023-06-29 2024-03-01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酸模属植物提取物和化合物及其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123A (ja) * 1999-01-07 2000-09-19 Kao Corp アザミ抽出物の製造法
US20050163734A1 (en) * 2002-09-23 2005-07-28 Kim Jong S. Cosmetic composition having whitening effect comprising extract of pulsatilla radix as main ingredient
KR100500642B1 (ko) * 2002-10-14 2005-07-12 주식회사 태평양 전호 추출물 또는 정력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
KR20100037508A (ko) * 2008-10-01 2010-04-09 구례군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686229B (zh) * 2009-10-05 2015-07-22 花王株式会社 神经酰胺产生促进剂以及保湿剂
JP5956122B2 (ja) * 2011-08-10 2016-07-27 花王株式会社 抗アクネ菌剤
KR101405429B1 (ko) * 2012-10-29 2014-06-11 정다운 야생초 화장품
KR101528275B1 (ko) * 2012-12-07 2015-06-25 주식회사 에버코스 나래미역취, 개미취 및 바위취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011181A1 (fr) * 2013-10-02 2015-04-03 Rech Cosmetique S A R L Soc D Composition huileuse contenant un extrait d'hemerocalle et utilisations.
JP2015086189A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トロピカルテクノセンター 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及びそれを配合した保湿用、抗老化用又は抗炎症用皮膚外用剤
CN103859276B (zh) * 2014-03-11 2015-07-22 同福碗粥股份有限公司 一种美容养颜保健粥及其制备方法
CN105520861A (zh) * 2014-09-30 2016-04-27 王宝库 一种面膜制作方法
KR101898262B1 (ko) * 2015-10-12 2018-09-14 대한민국 엉겅퀴 씨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FR3044226B1 (fr) * 2015-11-26 2017-12-08 Chanel Parfums Beaute Extrait alcoolique de parties aeriennes de solidago virgaurea subsp. alpestris, son procede d'obtention, et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le contenant
CN105832624A (zh) * 2016-06-08 2016-08-10 马殿伟 一种含有贯众的用于化妆品的祛痘中药组合物
KR101894539B1 (ko) * 2016-06-22 2018-09-0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펙톨리나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6619323A (zh) * 2017-02-11 2017-05-10 佛山文森特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硅烷醇去眼袋眼膜
CN108813584A (zh) * 2018-05-22 2018-11-16 曾卫嫦 一种多功能保健品及其制备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219A (ko) * 2021-04-19 2022-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섬괴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230011000A (ko) * 2021-07-13 2023-01-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이 우수한 조성물
KR102379987B1 (ko) * 2021-08-16 2022-03-30 (주)나우코스 비타민e 유도체와 머루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 및 피부 치밀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KR20230033314A (ko) * 2021-09-01 2023-03-08 (주)제이뷰티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146123A1 (ko) * 2022-01-26 2023-08-03 (주)유스케어팜 타이바질, 물엉겅퀴 및 눈개승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39175A1 (ko) * 2022-06-08 2023-12-14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솔송나무, 솜양지꽃, 은양지꽃, 제주피막이, 또는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파허피스바이러스, 감마허피스바이러스 또는 노로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002B1 (ko) 2023-09-21 2024-02-01 대한민국 해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75384A1 (en) 2023-03-09
CN114929195A (zh) 2022-08-19
JP2023510236A (ja) 2023-03-13
WO2021137677A1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740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4205188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JP2002138045A (ja) 前駆脂肪細胞分化誘導剤
JP2002241293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8100A (ko)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70056979A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02104924A (ja) 光老化防御剤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JP2011195502A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抗老化剤及びしわ改善剤
JP2005281205A (ja) マクロファージ活性化剤
KR101931611B1 (ko) 감귤 추출물 및 꿩의비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110085543A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60611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163542A (ko) 레몬머틀 및 꽃송이 버섯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안티 폴루션용 조성물
KR102099327B1 (ko) 엔메틸베라트라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054518A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83896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0993676B1 (ko)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1423B1 (ko)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용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20140086214A (ko)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