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7508A -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508A
KR20100037508A KR1020080097926A KR20080097926A KR20100037508A KR 20100037508 A KR20100037508 A KR 20100037508A KR 1020080097926 A KR1020080097926 A KR 1020080097926A KR 20080097926 A KR20080097926 A KR 20080097926A KR 20100037508 A KR20100037508 A KR 20100037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weight parts
hemerocallis fulva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권
이범선
박명원
유순식
한지영
Original Assignee
구례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례군 filed Critical 구례군
Priority to KR1020080097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7508A/ko
Publication of KR20100037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5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야생화 중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에 수분 공급을 목적과 피부 트러블 개선용으로 하는 수분젤 제품에 원추리 추출물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을 사용중 산뜻한 감촉과 우수한 보습 효과와 피부 수분감 개선을 위한 수분젤 제품의 전연성(피부에 바를 때 잘 발라지는 정도)을 개선하여 피부 흡수 능력과 피부 트러블 개선 능력이 우수한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smetic composite of containing Hemerocallis fulva extract lived in the Jirisan }
본 발명은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원추리 추출물을 이용한 수분감 지속형 및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지리산 야생화 중 원추리(Hemerocallis fulva Linne)는 우리나라 전국의 산야에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관상용으로도 재배되고 있다. 이러한 원추리는 동아시아에서 수천 년 동안 전통 의약과 식품으로 이용되어져 왔다. 원추리의 지상부는 황달의 치료에 이용되어져 왔다.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1991], [Cichewicz, R. H,, Zang, Y., Seeram, N. P. Inhibition of human tumor cell proliferation by novel anthraquionones from dalilies, Life Sci . 2003]
원추리는 마음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 우울증을 치료하는 약초로 알려져 있는데 옛날에는 흉격이라 하여 사악한 기운이 영혼에 침노하여 생기는 마음의 병을 치료하는 데 으뜸가는 약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민간에서는 폐결핵, 빈혈, 황달, 변비, 소변불통 등에 치료약으로도 사용되어져 왔다. 뿌리를 달인 물은 결핵균을 죽이는 작용이 있고 전초에 이뇨작용, 항염증 작용, 지혈작용이 있다. 해독작용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원추리는 예로부터 민간요법에서 사용되는 약초의 원료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부분은 다양한 고서에도 많은 언급이 되어있다.
원추리 싹과 꽃은 독이 없다. 삶아 먹으면 소변이 붉고 잘 나오지 않는 것과 번열과 술로 인하여 황달이 된 것을 치료한다. <일화본초> 김치를 만들면 흉격을 이롭게 하고 오장을 편안하게 한다. 몸이 가벼워지고 눈이 밝아진다. <도경본초> 원추리 뿌리는 결석을 다스리고 수기를 내리며 술독을 푼다. <본초습유> 뿌리를 생즙 내어 마시면 코피 나는 것을 맞게 하고 열을 내린다. <본초연의> 원추리 싹과 꽃은 소화를 잘 되게 하고 습열을 치료한다. 뿌리는 유선염에 효과가 있다. <본초강목> 또한 이러한 원추리는 관절염, 상처, 종기, 요통 등에는 뿌리나 잎을 짓찧어 바르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원추리 추출물을 응용하여 제품화를 이루는 제품은 거의 전무하며, 국내 자생 원추리류의 성분에 관하여 항균작용과 진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국내에서 자생하는 원추리류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피부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과 개인의 외모를 가꾸는 부분에 사용되어왔다. 이러한 부분 중 수분 공급을 위한 제품은 미백 화장품부터 주름개선 화장품까지 광범위한 범위에서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근래에는 여드름을 포함한 피부 트러블 개선에 대한 화장품이 널리 애 용되고 있으며, 피부 노화의 근간이 피부의 수분 부족에 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분 공급 화장품들은 대부분 오일류의 보습감을 주는 원료를 사용하여 피부에서 증발될 수 있는 수분의 증발을 막아 피부내에 잔존 수분이 빠져나가지 못하게끔 하는 제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피부 수분 공급 화장품의 경우에도 오일류의 원료를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피부에 전연성(피부에 바를 때 잘 발라지는 정도)이 우수하지 못하고 피부에 겉도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국내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원추리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기존의 제품보다 전연성이 우수하고 사용 후 피부 트러블 개선효과의 효능이 나타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와 전연성이 우수한 피부 보습에 관계되는 수분감 지속형 겔 타입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와 전연성이 우수한 수분감 지속형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분감 지속형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정제수 40 내지 85 중량부, 보습제 5 내지 10 중량부, 점증제 1 내지 6 중량부, 피부 윤활제 2 내지 20 중량부, 점도 조절제 0.1 내지 5.0 중량부, 원추리 추출물 0.1 내지 5.0 중량부를 사용하여 각각의 성분들 중 정제수에 용해되는 부분과 정제수에 용해되지 않는 부분을 구분하여 각각의 원료를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1단계의 과정을 거쳐 가열된 각각의 원료를 혼합하는 하나로 혼합하는 2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2단계의 과정이 모두 끝난 후 온도를 20 내지 35℃까지 냉각한 후 원추리 추출물 및 향료를 첨가하여 제조를 완료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보습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콜라겐 등 기존에 사용되어 온 보습성분 중에서 3종 또는 4종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한 점증제는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구아닌,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알콜, 잔탄검, 카라기난 등 기존에 사용되어 온 점증제 중에서 선택된 2종 또는 5종 이상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카라기난, 폴리쿼터늄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잔탄검 2종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잔탄검을 사용할 때, 각각을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 중량부, 0.01 내지 0.6 중량부로 함유시킨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한 피부 윤활제는, 액상 파라핀, 실리콘 에멀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단계의 혼합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방부제, 색소, 향료, 살균제, 세정제 및 첨가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고 있는 성분, 즉 보습제, 점증제, 유화보조제인 계면활성제, 방부제, 색소, 향료, 살균제, 세정제, 첨가제 등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다.
방부제로는 구체적으로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파라벤 혼합물 등이 될 수 있고 0.2 내지 0.4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향료는 인공향료를 0.10 내지 4.0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된 향은 야생화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하도록 야생화에서 추출된 향을 (주)한불화농에서 공급 받아 사용하였다.
이외에 첨가할 수 있는 배합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몸에 바르는 로션 제형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따른다. 앞서 언급된바와 같이 정제수에 용해되는 부분과 정제수에 용해되지 않는 부분을 별도로 용해하여 제품을 제조한다.
이때 사용된 원추리 추출물의 경우 0.1 내지 5.0 중량부로 첨가하여 추출물에 의한 피부 전연성이 우수하게 나타나며, 피부에 쉽게 흡수되어 산뜻한 감촉과 트러블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점증제의 종류에 따른 제품의 온도 안정성에 대한 부분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실시예 1∼3의 경우 본 발명에서 언급된바와 같이 2가지의 점증제를 혼용하여 사용한 후 안정성에 대한 부분을 평가하였으며, 비교예 1∼6의 경우 최적의 혼합비율 조건을 위한 점증제를 단독 사용 및 첨가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였다.
[실시예 1∼3] 점증제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온도 안정성 실험
점증제의 첨가량에 대한 실험은 40℃ 강제 순환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1개월간 침전 유무를 확인하여 층분리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 : 1개월 경과 후 상분리 현상 이상 무, ×: 1개월 이전에 상분리 현상 발생으로 체크하였다.
표1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실시예 1∼3은 상분리 테스트 진행 결과 사용된 점증제 gum과 carbomer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1개월 후 층간 분리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두 가지의 점증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때 gum의 함량이 증가하였을 경우 사용 시 피부 흡수력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용 후 피부에 도포되는 느낌이 다소 떨어짐이 나타났다.
[비교예 1∼6] 점증제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온도 안정성 실험
표1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점증제를 첨가 하지 않은 비교예 1 과 점증제를 첨가한 나머지 비교예 2∼6, 그러나 또 다른 점증제인 carbomer는 양을 증량함으로써 사용 후감에 있어서 좀더 부드러움을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8505005670-PAT00004
안정성에 확보가 완료된 시점에서 원추리 추출물에 의한 전연성 및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에 대한 부분을 시험하였다.
[시험예 1]
상기 표1에서 확정된 점증제 투입량을 기준으로 원추리 추출물의 첨가량에 의한 전연성과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에 대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패널 조사 결과는 40대 주부 15명을 대상으로 30일간 사용 후기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 : 15명 중 12명 이상이 사용 후 산뜻하다고 판정, ○ : 15명 중 8∼11명이 사용 후 산뜻하다고 판정, △ : 15명 중 5명 이하가 사용 후 산뜻하다고 판정에 대한 기준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표2] 원추리 추출물 첨가 비율에 따른 패널 조사 결과
Figure 112008505005670-PAT00005
표2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원추리 추출물을 3% 이상 사용할 경우 보습력이나 흡수력 부분에 있어서 첨가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 이하로 사용할 경우 보습력 또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원추리 추출물 함유 수분 겔 제품의 사용평가 시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분겔 제품의 트러블 개선 및 흡수력에 따른 전연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얼굴에 트러블이 발생한 30∼40대 주부 20명을 대상으로 보습력, 지속성, 번들거림, 트러블 개선 효과에 대하여 5점 척도법(5: 아주 좋음, 4: 좋음, 3: 보통, 2:나쁨, 1: 아주 나쁨)으로 실시하였고, 실시예 1 조성물과 이의 대조구로는 시중에 판매 중인 수분 겔 제품을 사용하였다.
상기 수분겔 제품을 하루에 1회 매일 5일 동안 실시하였고, 수분 겔 약 7 ml을 손에 덜어 양쪽 얼굴에 나누어 골고루 바르고, 약 1분 동안 손으로 부드럽게 문지르면서 각각 사용하였다. 이후 시험대상자들은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보습력, 지속성, 번들거림, 트러블 개선 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여,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08505005670-PAT00003
상기 표 3의 사용평가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수분젤에 야생화 추출물인 원추리 추출물을 첨가한 제품의 경우 첨가하지 않은 제품에 비해 전연성이 우수하게 나타나 사용 후 번들거림 부분에 있어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피부 트러블 개선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원추리 추출물의 경우 수분젤 제품 및 여타 피부 윤활제를 사용하는 제품에 첨가할 경우 탁월하다. 또한 이러한 피부 수분 공급용 제품에 사용할 경우 피부 트러블 개선 부분에 있어서도 효과적이다.

Claims (2)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원추리 추출물을 1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한 피부 수분 공급용 화장료 조성물
  2.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원추리 추출물을 1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97926A 2008-10-01 2008-10-01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7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926A KR20100037508A (ko) 2008-10-01 2008-10-01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926A KR20100037508A (ko) 2008-10-01 2008-10-01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508A true KR20100037508A (ko) 2010-04-09

Family

ID=4221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926A KR20100037508A (ko) 2008-10-01 2008-10-01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75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6656A (ja) * 2014-03-31 2015-11-09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一酸化窒素消去剤
KR102186766B1 (ko) * 2020-05-07 2020-12-04 (주)노디너리 물망초, 원추리 및 인디고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929195A (zh) * 2020-01-02 2022-08-19 株式会社Lg生活健康 含有植物提取物的组合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6656A (ja) * 2014-03-31 2015-11-09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一酸化窒素消去剤
CN114929195A (zh) * 2020-01-02 2022-08-19 株式会社Lg生活健康 含有植物提取物的组合物
KR102186766B1 (ko) * 2020-05-07 2020-12-04 (주)노디너리 물망초, 원추리 및 인디고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5479A (ko) 발모용 조성물
CN108938497B (zh) 一种富含天然植物提取物的高光滋润固体唇彩及其生产工艺
US9427395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1132B1 (ko)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CN111714425B (zh) 用于改善头皮及头发状态的洗发剂组合物
KR102592814B1 (ko)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JP5039266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
JP2003212749A (ja) AGEs生成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1498609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KR100891986B1 (ko) 생약 추출물과 생약 분말을 함유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7508A (ko)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087686B2 (ja) 発毛・育毛剤
CN107412016A (zh) 一种具有美白祛斑功效的复方精油及其制备方法
CN105342966A (zh) 含有日本医蛭的护肤保湿霜及其制备方法
KR20130104261A (ko) 유자씨 추출물, 미역 추출물 및 아마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2504141B1 (ko) 천연 방수 마스카라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통한 천연 방수 마스카라 화장품 제조방법
KR101726854B1 (ko)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1011B1 (ko)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2314004B1 (ko)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7382615B2 (ja) 外用剤
KR20210070559A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
KR101534597B1 (ko) 입술의 색과 탄력을 개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TW202210064A (zh) 化妝料組成物及皮膚外用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