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854B1 -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854B1
KR101726854B1 KR1020140158893A KR20140158893A KR101726854B1 KR 101726854 B1 KR101726854 B1 KR 101726854B1 KR 1020140158893 A KR1020140158893 A KR 1020140158893A KR 20140158893 A KR20140158893 A KR 20140158893A KR 101726854 B1 KR101726854 B1 KR 101726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seng
goat
mis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7809A (ko
Inventor
김선영
용종우
정낙원
권동주
조선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함양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함양군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15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8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삼 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소듐락테이트, 변성알코올, 황금 추출물, 모란뿌리 추출물, 위치하젤잎 추출물, 서양장미꽃수, 베타인, 글리세린,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병풀 추출물, 도토리 추출물, 유럽밤나무껍질 추출물, 구연산, 향료 및 정제수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스트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를 다량 함유하는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보습능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Mist composition with the extract of wood-cultivated ginseng for skin moisturizing}
본 발명은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양삼(Wood-cultivated ginseng)이란 자연 상태에서 자란 산삼의 종자를 산속에 파종하여 산삼의 생육환경에 가능한 한 가깝게 관리하여 기르는 삼을 일컫는다. 그런데, 산삼의 종자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많아, 최근에는 재배삼에서 유래하였으나 오랫동안 산에서 자란 삼에서 종자를 얻거나 청정하게 관리된 재배삼의 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산양삼은 진세노사이드를 다수 포함하고 있는데, 진세노사이드는 면역기능 조절, 중추신경계 조절, 항산화, 항당뇨, 간기능 개선 등의 다양한 약리효능이 알려져 있다. 또한, 산양삼은 화장품에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는데, 자외선 차단(J. Invest. Dermatol. 121:607-613, 2003; Phytother. Res. 22:1423-1427, 2008; J. Ethnopharmacol. 123:446-451, 2009), 미백효과(J. Ginseng Res. 35:86-91, 2011), 아토피 저감효과(J. Ginseng Res. 34:363-368, 2010), 피부탄력 증가 및 수화성 증가(Fitoterapia 57:15-28, 1986; Fitoterapia 57:217-222, 1986), 주름생성 예방(Mol. Cells. 9:476-483, 1999; J. Ginseng Res. 31:86-92, 2007; Biochem. Pharmacol. 84:532-539, 2012) 등의 화장품이 다수 개발되어 있다. 다만, 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무겁고, 삼 특유의 향으로 인해 사용자의 연령대가 높은 실정이다.
한편, 미스트는 사용이 편리하여 언제 어디서든 피부에 수분을 공급해 줄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해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화장품의 한 제형으로, 녹차 추출물, 천연 미네랄, 유자 추출물, 꿀 등 다양한 천연물을 함유하는 미스트가 개발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는 개시된 바 없으며,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의 최적 조성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5100호 (공개일자: 2014.04.16)에는, 인삼 추출물을 피키아 시페리(Pichia ciferrii) 균주로 발효시켜 제조한 인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9626호 (등록일자: 2012.08.29)에는, 산양삼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해 연질 산양삼 15~40중량부, 알로에 10 내지 15중량부, 진피 10 내지 15중량부 및 쑥 3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스크럽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미스트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양삼 추출물 및 베이스로 조성되되, 상기 베이스는, 부틸렌글라이콜, 소듐락테이트, 변성알코올, 황금 추출물, 모란뿌리 추출물, 위치하젤잎 추출물, 서양장미꽃수, 베타인, 글리세린,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병풀 추출물, 도토리 추출물, 유럽밤나무껍질 추출물, 구연산, 향료 및 정제수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바람직하게 부틸렌글라이콜 8~12중량%, 소듐락테이트 3~5중량%, 변성알코올 2~4중량%, 황금 추출물 1~3중량%, 모란뿌리 추출물 1~3중량%, 위치하젤잎 추출물 1~3중량%, 서양장미꽃수 1~3중량%, 베타인 0.5~1.5중량%, 글리세린 0.2~0.5중량%,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2~0.7중량%, 병풀 추출물 0.1~0.3중량%, 도토리 추출물 0.1~0.3중량%, 유럽밤나무껍질 추출물 0.1~0.3중량%, 구연산 0.01~0.02중량%, 향료 0.2~0.5중량% 및 정제수 65~70중량%로 조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미스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산양삼 추출물 및 베이스가 0.5~1:99.5~99의 무게비율로 조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미스트 조성물은 산양삼 고유의 향이 적당히 나면서 우수한 피부 보습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상기 산양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산양삼을 분쇄한 후, 80~95℃에서 열수추출하여 제조된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양삼 원물량 대비 정제수를 15~25배수 첨가한 후, 80~95℃에서 열수추출한 후 여과하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된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10~20 brix의 산양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산양삼 추출물은 피부 보습에 좋은 효과를 보이는 진세노사이드를 다량 함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양삼은 건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건조 방법은 본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음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산양삼을 분쇄하는 방법은 본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파분쇄하는 것이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은 거의 냄새가 없고 단맛을 가진 점성의 액체이며, 친수기인 수산기(-OH)를 두 개 가지고 있는 폴리올의 한 종류로 적당한 습윤성과 양호한 용해성 및 향균성이 있고 피부에 대한 자극성과 독성이 적으며 미국 FDA에서 식품첨가물에 제한적으로 첨가하도록 승인한 안전한 성분이다. 화장품에서는 끈적임이 적고 깔끔한 사용감으로 피부에 수분을 유지시켜주는 보습제로 사용하며 화장품의 구성성분을 용해시키는 용제로 사용한다.
상기 소듐락테이트(Sodium Lactate)는 무색의 액체로 화학식은 C3H5NaO3이며, 피부 보습제로 사용된다.
상기 변성알코올(SD Alcohol)은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변성제로 변성시킨 에칠알코올로, 경피흡수 촉진제로 사용된다.
상기 황금 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은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황금의 뿌리에서 추출한 것으로 피부 보습, 자극 완화 및 진정 성분으로 사용된다.
상기 모란뿌리 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은 목단이라고도 불리는 모란의 뿌리를 정제하여 얻어진 추출물로 방부제 성분으로 사용된다.
상기 위치하젤잎 추출물(Hamamelis Virginiana (Witch Hazel) Leaf Extract)은 아열대에 서식하는 낙엽수의 일종으로 우리말로는 풍년화라고 하는 나무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모공축소, 피부보습 및 진정 성분으로 사용된다.
상기 서양장미꽃수(Rosa Centifolia Flower Water)는 로즈플라워 워터라고도 하며, 장미 꽃자루와 꽃잎에서 추출한 것으로 피부의 톤을 맑게 해주고, 피부의 pH를 조절하며, 피부 진정 및 피부에 청량감을 준다.
상기 베타인(Betain)은 사탕 수수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화장품 분야에서는 피부 보습제의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3개의 수산기를 가진 3가 알코올로서, 수분결합 능력이 있어 화장품 분야에서는 피부 보습제로 주로 쓰이며, 수분 발란스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은 계면활성제로 화장품의 용해보조제로 사용된다.
상기 병풀 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은 병풀의 전초에서 추출한 것으로 피부의 건조함을 예방하고 자극과 알러지 진정에 사용된다.
상기 도토리 추출물(Quercus Acutissima Fruit Extract)은 도토리의 열매에서 추출한 것으로 수렴제로 사용된다.
상기 유럽밤나무껍질 추출물(Castanea Sativa (Chestnut) Bark Extract)은 도토리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수렴제로 사용된다.
상기 구연산(citric Acid)은 산도 조절, 중화제 및 보존제 성분으로 사용된다.
상기 향료는 본 발명의 미스트 조성물에 향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황금 추출물, 모란뿌리 추출물, 위치하젤잎 추출물, 서양장미꽃수, 병풀 추출물, 도토리 추출물, 유럽밤나무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열수 추출방법, 에탄올 추출방법, 초음파 추출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대된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효능을 발휘하는 미스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의 최적 배합비를 개발하여 남녀노소 사용할 수 있는 미스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표준물질인 진세노사이드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는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산양삼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은 35℃에서 보관된 산양삼 함유 미스트 조성물의 사진이다. (A)는 보관직 후, (B)는 보관 6주 후의 사진이다.
도 4는 산양삼 함유 미스트 조성물을 실험자의 피부에 도포한 후, 시간에 따른 피부속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A)는 남자 피험자 (B)는 여자 피험자에 대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제조예 1: 산양삼 추출물 제조]
2014년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산양삼영농조합법인에서 판매하는 함양지역에서 생산된 6년근 산양삼 1 kg을 세척하여 음건한 후 파분쇄하였다. 그 후, 파분쇄된 산양삼에 원물량 대비 20배수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80~95℃에서 3~5회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그 후, 감압 농축하여 15 brix의 산양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산양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산양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산양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은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였고, 분석조건은 하기 표 1과 같았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한편, 표준물질로는 시약으로 구입한 진세노사이드를 이용하였고, 3회 반복 분석하였다.
항목 조건
칼 럼 C18 (4.5 m, 4.6 250 mm)
주입량 20 L
칼럼온도 30



이동상
min DDW (A) Acetonitrile (B)
0 80 20
2 75 25
25 65 35
30 65 35
80 25 75
90 80 20
검출기파장 203 nm
유속 1.0 mL/min
진세노사이드 함량 (mg/g)
Ginsenoside-Re 1.43±0.01
Ginsenoside-Rf 0.36±0.01
Ginsenoside-Rb1 3.81±0.23
Ginsenoside-Rg2 0.22±0.00
Ginsenoside-Rh1+Rc 1.89±0.14
Ginsenoside-Rb2 0.24±0.01
Ginsenoside-F1 0.27±0.00
Ginsenoside-Rg3 0.12±0.02
Ginsenoside-Rg1 1.69±0.01
합계 10.04
분석결과, 제조예 1의 산양삼 추출물의 각각의 진세노사이드는 표준물질과 같은 위치에서 피크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제조예 1의 산양삼 추출물은 표준물질보다 많은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조예 1의 산양삼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Rb1의 함량이 3.81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Rh1+Rc가 1.89 mg/g, Rg1이 1.69 mg/g, Re가 1.43 mg/g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예 1의 산양삼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10.04 mg/g으로 확인되었다 (도 1 및 도 2). 도 1은 표준물질인 진세노사이드의 크로마토그램이고, 도 2는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산양삼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램이다.
[실시예 1 내지 2: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 조성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미스트 베이스는 하기 표 3과 같이 조성하여 제조하였다. 그 후, 하기 표 4와 같이 제조된 미스트 베이스에 산양삼 추출물을 0, 0.5, 1%(w/w)를 각각 첨가하여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미스트 조성물을 비교예 1이라고 하였다.
원 료 성 분 함량
(g)
국 문 명 영 문 명
정제수 Water 70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12
소듐락테이트 Sodium Lactate 4
변성알코올40-B SD Alcohol 40-B 3
황금추출물 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2
모란뿌리추출물 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2
위치하젤잎추출물 Hamamelis Virginiana (Witch Hazel) Leaf Extract 2
서양장미꽃수 Rosa Centifolia Flower Water 2
베타인 Betain 1
글리세린 Glycerine 0.4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69
병풀추출물 Centella Asiatica Extract 0.2
도토리추출물 Quercus Acutissima Fruit Extract 0.2
유럽밤나무껍질추출물 Castanea Sativa (Chestnut) Bark Extract 0.2
구연산 Citric Acid 0.01
향료 Fragrance 0.3
원료명 배합비율(%)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미스트 베이스 100 99.5 99
산양삼 추출물 0 0.5 1
100 100 100
[실험예 2: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 조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미스트 조성물을 35℃에서 6주간 보관하였다. 그 후, 미스트 조성물의 색 및 침전물 발생 정도를 확인하여 미스트 조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보관 6주 뒤에도 산양삼 추출물 함유 미스트 조성물은 색이 변하지 않았고,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 3). 도 3은 35℃에서 보관된 산양삼 함유 미스트 조성물의 사진이다. (A)는 보관직 후, (B)는 보관 6주 후의 사진이다.
[실험예 3: 산양삼 추출물 함유 미스트 조성물의 피부수분 함유량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산양삼 추출물 함유 미스트 조성물의 피부수분 함유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한 미스트의 피부 수분 보호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증류수, 산양삼 추출물 미함유 (비교예 1), 산양삼 추출물 0.5%(w/w) 함유 (실시예 1) 및 산양삼 추출물 함유 1%(w/w) 함유 (실시예 2) 미스트를 팔 안쪽에 도포한 후, 수분함량의 변화를 시간별로 측정하였다.
실험대상은 20~30대의 건강한 피부를 가진 피험자 8명 (남자 4명, 여자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부위는 팔 안쪽 부위로 한정하였다. 피험자는 동일한 비누를 이용하여 팔의 안쪽 부위를 씻은 후, 항온항습조건 (온도 26±2℃, 상대습도 40±5%)에서 30분 동안 시험부위를 안정화시킨 다음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부위 안정화 후, 팔의 안쪽 부위에 일정한 위치와 크기의 시험부위를 지정하고, 초기 값으로 미스트 도포 전 피부수분함유량을 측정하였다. 그 후, 동량의 미스트를 시험부위에 도포한 후, 도포 직후, 15분, 30분 및 60분 후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수분측정기는 Scalar My-808S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았다.
측정시간 시험물질 피부수분함량(%)
남자1/
여자1
남자2/
여자2
남자3/
여자3
남자4/
여자4
평균
(남자/여자)
표준편차
(남자/여자)
미스트
도포 전
증류수 32.3/29.1 34.1/30.3 33.6/30.3 33.8/28.7 33.5/29.7 0.8/0.8
비교예 1 31.6/29.9 34.1/30.1 33.3/30.1 33.8/29.4 33.2/29.9 1.1/0.3
실시예 1 32.4/28.3 34.1/30.6 33.6/30.4 33.8/28.2 33.5/29.3 0.7/1.3
실시예 2 32.7/29.2 34.1/30.5 33.4/30.5 33.8/28.0 33.5/29.6 0.6/1.2
미스트
도포 직후
증류수 36.9/35.4 36.9/35.0 36.2/33.9 36.1/32.1 36.5/34.1 0.4/1.5
비교예 1 38.1/34.7 38.1/34.9 38.1/34.4 37.2/33.8 37.9/34.4 0.4/0.5
실시예 1 39.6/35.8 39.6/35.3 38.9/35.3 39.0/35.1 39.2/35.4 0.4/0.3
실시예 2 40.8/37.9 41.3/38.1 40.4/37.1 39.2/36.8 40.4/37.4 0.9/0.6
미스트
도포
15분 후
증류수 32.7/34.1 36.0/33.7 32.7/33.7 33.4/31.4 33.7/33.2 1.6/1.2
비교예 1 33.3/32.2 35.5/33.2 33.3/33.2 34.9/33.8 34.3/32.8 1.2/0.5
실시예 1 34.1/34.3 35.9/34.3 34.1/34.3 34.4/33.0 34.6/33.9 0.8/0.6
실시예 2 35.1/35.1 37.1/35.1 36.1/34.1 35.9/35.1 36.1/34.8 0.8/0.5
미스트
도포
30분 후
증류수 30.4/30.5 33.9/31.7 31.1/31.7 32.8/30.6 32.1/31.1 1.6/0.7
비교예 1 33.1/31.0 34.2/31.5 33.1/31.5 33.2/32.3 33.4/31.6 0.5/0.5
실시예 1 33.6/31.2 34.2/32.0 32.9/32.0 33.6/31.1 33.6/31.6 0.5/0.5
실시예 2 32.9/33.1 34.8/33.1 32.9/33.1 33.8/33.1 33.6/33.1 0.9/0.0
미스트
도포
60분 후
증류수 32.4/30.0 33.6/30.2 32.4/30.2 33.2/29.8 32.9/30.0 0.6/0.2
비교예 1 33.9/29.8 33.9/30.4 33.9/30.4 33.3/31.6 33.7/30.6 0.3/0.8
실시예 1 34.5/29.2 33.9/30.2 32.1/30.2 33.8/30.0 33.6/29.9 1.1/0.5
실시예 2 34.7/30.6 34.6/31.8 33.7/30.8 34.7/30.5 34.4/30.9 0.5/0.6
측정 결과, 증류수 및 산양삼 미함유 미스트를 도포한 군에 비하여 산양삼 추출물 함유 미스트를 도포한 군이 피부수분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산양삼 추출물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피부수분 함량이 높았으며, 도포 후 60분이 지난 후에도 산양삼 추출물 함유 미스트를 도포한 군은 피부 속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도 4는 산양삼 함유 미스트 조성물을 실험자의 피부에 도포한 후, 시간에 따른 피부속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A)는 남자 피험자, (B)는 여자 피험자에 대한 결과이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산양삼 추출물 및 베이스가 0.5~1:99.5~99의 무게비율로 조성되되,
    상기 베이스는,
    부틸렌글라이콜 8~12중량%, 소듐락테이트 3~5중량%, 변성알코올 2~4중량%, 황금 추출물 1~3중량%, 모란뿌리 추출물 1~3중량%, 위치하젤잎 추출물 1~3중량%, 서양장미꽃수 1~3중량%, 베타인 0.5~1.5중량%, 글리세린 0.2~0.5중량%,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2~0.7중량%, 병풀 추출물 0.1~0.3중량%, 도토리 추출물 0.1~0.3중량%, 유럽밤나무껍질 추출물 0.1~0.3중량%, 구연산 0.01~0.02중량%, 향료 0.2~0.5중량% 및 정제수 65~70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양삼 추출물은,
    산양삼을 분쇄한 후, 80~95℃에서 열수추출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양삼 추출물은,
    10~20 bri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1020140158893A 2014-11-14 2014-11-14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101726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893A KR101726854B1 (ko) 2014-11-14 2014-11-14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893A KR101726854B1 (ko) 2014-11-14 2014-11-14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809A KR20160057809A (ko) 2016-05-24
KR101726854B1 true KR101726854B1 (ko) 2017-04-13

Family

ID=5611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893A KR101726854B1 (ko) 2014-11-14 2014-11-14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96B1 (ko) 2017-12-18 2019-05-29 (주)아미드팩토리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06B1 (ko) * 2010-06-09 2012-05-24 (주) 존스킨코스메틱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79626B1 (ko) 2010-12-20 2012-09-04 이재호 산양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크럽제 화장료조성물
MY157534A (en) * 2011-06-07 2016-06-15 Bio Fd & C Co Ltd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and functional food containing rose placenta tissue culture or extract thereof
KR101395218B1 (ko) * 2012-04-06 2014-05-15 한국임업진흥원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8274B1 (ko) 2012-10-08 2014-11-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696B1 (ko) 2017-12-18 2019-05-29 (주)아미드팩토리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809A (ko)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7921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0995A (ko) 초정 광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20180137952A (ko) 마스크 팩
KR20190054232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헤어샴푸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JP2005206466A (ja) シワ改善用皮膚外用剤
KR101726854B1 (ko)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102445830B1 (ko) 밀싹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47548B1 (ko) 피부 트러블 완화 및 항산화용 올인원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51A (ko)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5602B1 (ko)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57593B1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필라그린 활성이 우수한 피부장벽 강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4261A (ko) 유자씨 추출물, 미역 추출물 및 아마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2630363B1 (ko) 녹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5725B1 (ko) 개운죽 잎 및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컨디셔닝 샴푸 제조방법
KR102309956B1 (ko)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