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952A -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952A
KR20180137952A KR1020170077915A KR20170077915A KR20180137952A KR 20180137952 A KR20180137952 A KR 20180137952A KR 1020170077915 A KR1020170077915 A KR 1020170077915A KR 20170077915 A KR20170077915 A KR 20170077915A KR 20180137952 A KR20180137952 A KR 20180137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osition
mask pack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도용
호크 라이 얍
Original Assignee
(주)지유본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유본초 filed Critical (주)지유본초
Priority to KR102017007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7952A/ko
Publication of KR2018013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9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백, 항산화, 항염, 항여드름, 보습, 아토피 개선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스크 팩{MASK PACK}
본 발명은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백, 항산화, 항염, 항여드름, 보습, 아토피 개선 등의 피부 개선 효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한 변화를 겪는다.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함량의 증가 등에 의한 환경 오염이 심화되어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두께 감소, 주름 증가 또는 피부 탄력 감소 등의 피부트러블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식물에서 미백, 항노화, 항주름, 항산화와 같은 생리 활성 물질들이 많이 존재함이 과학적으로 규명되고 있어 이들을 이용한 다양한 천연, 한방 화장품과 마스크 팩이 제조되고 있다.
통상 신체미용, 특히 얼굴에 사용되는 마스크 팩은 형태에 따라 각종 소재를 섞어 피부에 직접 도포하여 쓰는 형태와 시트에 소재를 함침한 형태로 제공하여 얼굴 등의 부위에 밀착시키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마스크 팩은 항시 사용하기 보다는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극도로 건조하거나 피로해 졌다고 느낄 때, 햇볕에 검게 타거나, 여드름과 같은 피부트러블의 나타나는 경우에 있어 그 다양한 증상들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팩 종류는 정형화되어 있는 형태로 다양한 피부 증상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마스크 팩은 일반적으로 상온 1년~ 3년간의 유통기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미생물로부터의 오염을 차단하며 제품의 안전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방부력이 높은 방부제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화장품용 방부제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화학방부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화학방부제는 인체 피부에 장기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피부 노화 촉진, 피부 자극, 발암 및 내분비계의 교란시킬 수 있는 문제점과 생분해성 결여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인체에 안정하며, 환경친화적인 천연물 유래의 방부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대표적인 방부제인 파라벤(paraben, p-hydroxybenzoic acid ester), 포름알데하이드 도너(formaldehydedonor) 및 이소티아졸리논(isothiazolinone) 등은 피부 알러지, 환경 호르몬으로서의 작용 가능성(Andera Countti et al., Contact Dermatitis, 37:35, 1997; Edwin et al.,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53:12, 1998) 및 지속적인 체내 축척으로 인한 급, 만성 독성 및 돌연변이 유발 등의 유해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일부 생산기업들은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대체 방부제 개발에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백, 항산화, 항염, 항여드름, 보습, 아토피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123호(2013.10.01)
본 발명은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이 함침된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제수,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치아씨추출물, 병풀추출물, 비스-피이지-18메칠에텔디메칠실란, 어성초추출물,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카보머, 트로메타민, 트레할로스,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사카라이드하이드롤리세이트, 잔탄검, 에칠헥실글리세린, 풀루란, 디소듐이디티에이, 센티드제라늄꽃오일, 알란토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페녹시에탄올, 용아초 및 자색옥수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아초(Agrimonia pilosa)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널리 분포한다. 어린 잎은 식용으로, 지상부는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용아초는 아그리모노일리드(agrimonolide), 아기몰(agimol), 아그리모닉 에씨드 에이(agrimonic acids A), 아그리모닉 에씨드 비(agrimonic acids B), 아그리모노닌(agrimoniin)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균 및 진통작용을 나타내어 한방에서 소염, 강장약, 위종양 등의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자색옥수수(Perple corn, Zea mays L.)는 벼과(Graminese)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서 고려시대에 원나라 군사에 의해서 한국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라틴 아메리카의 페루에서 수천년 전부터 재배된 주 작물로서 남북 아메리카 대륙에 걸쳐 널리 재배되어왔다. 페루 원주민들이 식품소재로 사용하던 옥수수 원종은 흰색이나 노란색이 아닌 짙은 자색 옥수수이다. 그 곳 주민들이 음용하는 "Chicha Morada"라는 차는 자색 옥수수에 물을 넣고 약한 불로 끓여서 만든 페루의 대표적인 적색 음료이다.
자색옥수수 색소(Maize Morado Color)인 안토시아닌은 수용성 색소로써 종류가 다양하고 많은 양이 존재하여 천연색소로써 이용가치가 매우 높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에 의하면 "자색옥수수의 색소는 종자에서 물 또는 에틸알콜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색소인 안토시아닌이다. 다만 색가조정, 품질보존 등을 위하여 희석제, 안정제 및 용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식품첨가물공전, 2010).
자색 옥수수로부터의 특성에 관하여는 '자색옥수수로부터 추출한 색소에서 분리한 물질이 뚜렷한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보고가 있으며(이 등2007), 항세균성(Cevallos-Casals et al., 2003b), 항돌연변이(Heinonen et al., 2003; Katsube et al., 2003), 항암활성(Haiwara et al., 2001) 등이 안토시아닌에 기인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용아초 추출물, 및 자색 옥수수 추출물은 각각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및 1,3-프로필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을 얼굴 모양으로 성형된 마스크 시트에 도포하여 제조된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이 함침된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에 있어서, 마스크 시트 포장시 마스크 시트를 함침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상기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은 사용자가 마사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은 미백, 항산화, 항염, 항여드름, 보습, 아토피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 유효성분에 의하여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항균 방부제 성분을 포함하여 마스크 시트를 부착하고 남은 에센스를 이용하여 마사지 화장료로 사용시, 미백, 항산화, 항노화, 항염, 항여드름, 보습, 아토피 개선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건조된 용아초 100g을 분쇄한 후 70%(v/v)에탄올 수용액으로 12시간 가온 환류추출하고 냉침시키고,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감압 농축 및 감압 건조로 농축하여 8.45g의 용아초 추출물을 얻었다.
정제수,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치아씨추출물, 병풀추출물, 비스-피이지-18메칠에텔디메칠실란, 어성초추출물,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카보머, 트로메타민, 트레할로스,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사카라이드하이드롤리세이트, 잔탄검, 에칠헥실글리세린, 풀루란, 디소듐이디티에이, 센티드제라늄꽃오일, 알란토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페녹시에탄올, 용아초, 자색옥수수를 혼합하여 하기 조성을 갖는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정제수를 70∼90 ℃로 가온하고, 상기 정제수에 사카라이드 하이드롤리세이트와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첨가하고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어서, 상기 교반된 원료의 온도를 20∼40 ℃까지 냉각하고, 상기 원료에 피부보습제, 계면활성제 및 방부제, 향료, 모공축소제를 첨가한 후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여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콩 추출물의 제조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에 첨가되는 콩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콩과 식물 일정량(80g)을 선별하여 고른 후, 콩나물 재배기에 넣어 2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시켰다. 상기 침지된 납떼기콩을 고루 펴, 빛이 차단된 암소, 실온 조건하에서 1시간 마다 1분간 살수하여, 납떼기콩 나물의 길이가 5 내지 7cm 가 될 때까지 4 내지 5일 동안 발아시켜 재배하였다.
(1) 단계: 상기 납떼기콩을 나란히 배치한 후, 280 내지 315 nm의 파장의 자외선을 24시간 동안 조사하고, 자외선의 조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수시로 나물을 뒤집어 위치를 바꾸어주었다.
상기 자외선 조사가 끝나면, 납떼기콩 나물을 걷어 건조기에서 85 내지 90 ℃의 온도로 건조시켰다.
(2) 단계: 상기 건조된 납떼기콩 나물을 분쇄한 후, 추출을 위해 50 g을 준비하여 원형플라스크에 담고, 70% 에탄올을 500ml 첨가하였다. 이어서,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90 ℃ 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3) 단계: 상기 추출물을 일정량 덜어내고, 추출액 잔사에 동량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한 번 더 환류 추출하였다.
(4) 단계: 상기 (1)과 (2) 단계에서 얻은 추출액을 한데 모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당 및 단백질 성분이 가라앉게 하였다.
(5) 단계: 상기 (3) 단계의 상층액을 회수하여 1500 rpm 으로 15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6) 단계: 상기 회수한 상층액을 와트만 거름종이(No.2)로 2번 거르고, 여과지로 1번 더 걸러냈다.
(7) 단계: 상기 정제된 추출물을 52.5 cmHg의 압력 및 65 ℃의 수조온도에서 50 rpm 으로 회전시켜 3시간 동안 농축하여 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콩 추출물을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에 첨가하여 마스크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 마스크 팩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에서 제조된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을 마스크 시트에 충진하여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의 기포를 제거하고, 필터로 여과시켰다. 이어서, 상기 여과된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을 필름 코팅기를 이용하여 박리시트에 균일하게 코팅한 후 건조시켰다. 이 때, 상기 마스크 팩의 시트로 밀착력이 우수하고 투명도가 높은 셀룰로오즈(큐프라)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셀룰로오스 박리시트를 얼굴 형상으로 절단하여 피부 마사지용 천연 조성물이 함침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Claims (3)

  1. 천연 추출물로서 용아초 추출물, 자색옥수수 추출물, 및
    정제수,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치아씨추출물, 병풀추출물, 비스-피이지-18메칠에텔디메칠실란, 어성초추출물,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카보머, 트로메타민, 트레할로스,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사카라이드하이드롤리세이트, 잔탄검, 에칠헥실글리세린, 풀루란, 디소듐이디티에이, 센티드제라늄꽃오일, 알란토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
  2. 정제수를 70∼90 ℃로 가온하는 단계;
    상기 정제수에 사카라이드와 비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첨가하고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원료의 온도를 20∼40 ℃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원료에 피부보습제, 계면활성제 및 방부제, 향료, 모공축소제를 첨가한 후 혼합될 때까지 교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의 조성물을 얼굴 모양으로 성형된 마스크 시트에 도포하여 형성된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이 함침된 마스크 팩.
KR1020170077915A 2017-06-20 2017-06-20 마스크 팩 KR20180137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915A KR20180137952A (ko) 2017-06-20 2017-06-20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915A KR20180137952A (ko) 2017-06-20 2017-06-20 마스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952A true KR20180137952A (ko) 2018-12-28

Family

ID=6500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915A KR20180137952A (ko) 2017-06-20 2017-06-20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79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790B1 (ko) * 2019-03-19 2020-06-2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성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72333A (zh) * 2021-03-10 2021-06-18 福建师范大学 一种含芍药根提取物的美白保湿面膜液及其制备方法
WO2021261971A1 (ko) * 2020-06-26 2021-12-30 박시헌 여드름 치료 또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790B1 (ko) * 2019-03-19 2020-06-2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성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61971A1 (ko) * 2020-06-26 2021-12-30 박시헌 여드름 치료 또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CN112972333A (zh) * 2021-03-10 2021-06-18 福建师范大学 一种含芍药根提取物的美白保湿面膜液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08184440A (ja) 紫外線細胞障害改善用皮膚外用剤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952A (ko) 마스크 팩
KR101664025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6830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1409B1 (ko) 열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1517B1 (ko) 제주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주름개선 효능 및 항산화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3633A (ko) 대나무 잎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5501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55137A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136753A (ko) 박태기나무 또는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726854B1 (ko)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20030004499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1827531B1 (ko) 제비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5602B1 (ko)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0860A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