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004B1 -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004B1
KR102314004B1 KR1020210059561A KR20210059561A KR102314004B1 KR 102314004 B1 KR102314004 B1 KR 102314004B1 KR 1020210059561 A KR1020210059561 A KR 1020210059561A KR 20210059561 A KR20210059561 A KR 20210059561A KR 102314004 B1 KR102314004 B1 KR 102314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cleansing
extract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원
Original Assignee
김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원 filed Critical 김의원
Priority to KR1020210059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소재인 땅빈대 추출물을 핵심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성과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끈끈함과 잔여감이 없는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항산화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땅빈대(Euphorbia humifusa), 포도씨(grape seeds) 및 감초(Glycyrrhiza Glabra)를 4~6 : 0.5~1.5 :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Antibacterial and highly moisturizing cleansing oil containing Euphorbia humifusa extr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소재인 땅빈대 추출물을 핵심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성과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끈끈함과 잔여감이 없는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땅빈대(Euphorbia humifusa)는 대극속(Euphorbia L.)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비단풀(이하, 비단풀을 땅빈대로 통일하여 설명한다)로 불리며, 독성의 염려가 없어 오래전부터 한약 재료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땅빈대는 백색의 유액을 함유하고 있고, 줄기는 보통 뿌리의 상단에서 2가지로 갈려져 지면을 따라 옆으로 뻗으며 붉은빛을 나타내는 식물로써, 잎은 길이 5~10mm, 넓이 4~6mm의 긴 타원형이고 황달, 설사, 외상 출혈 등의 한방치료에서도 이용되고 있으며, 꽃은 8~9월에 줄기 끝부분에서 연한 적자색 잔모양 꽃차례로 핀다. 땅빈대는 전국의 전야나 노변에 야생하며, 유럽, 아시아, 북미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땅빈대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탄닌(tannin) 및 페놀(phenol)성 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플라보노이드와 인삼, 산삼, 오가피에 함유된 사포닌(saponin)이 주성분이다. 잎에는 탄닌질이 10% 이상 들어 있으며, 몰식자산, 메틸에스테르, 마쿨라톨, 시토스테롤, 알칼로이드 등이 들어 있다.
땅빈대 전초를 달인 물이나 신선한 즙액, 알코올 추출물 등은 뚜렷한 항균 작용이 있으며, 즙액은 황색 포도상구균, 초록색 연쇄상구균, 용혈성 연쇄상구균, 폐렴쌍구균, 디프테리아균, 대장균, 녹농균,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이질균, 변형균, 백일해 간균 등을 죽이거나 억제한다. 또한, 땅빈대는 달인 물이나 말린 가루 등은 진정, 진통, 최면 등의 작용이 있고 독성이 전혀 없고, 진통 작용과 진정 작용이 뛰어나며, 생신(生新) 작용이 뛰어나 고약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더불어, 땅빈대는 항암 작용이 가장 뛰어난 식물 중 하나로, 암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췌장암, 뇌종양, 위암에 효과가 크며 골수암, 위암, 직장암 등에도 효과가 좋다. 땅빈대는 암세포만을 골라서 죽이고 암으로 인한 여러 가지 증상을 없애며 새살이 빨리 돋아나게 하고 기력을 크게 늘린다.
한편, 클렌징(cleansing)은 피부 청결을 위한 화장품으로 분류되며, 형상적으로는 크림상, 유액상, 액상, 파우더상 등으로 분류된다. 이를 처방 구성으로 분류하는 경우, 수성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수성 클렌징 화장료, 수성 성분, 유성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유화 클렌징 화장료, 유성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유성 클렌징 화장료, 친수성 계면활성제 파우더와 효소를 배합한 파우더상 클렌징 화장료 등이 있다.
그러나, 클렌징 제품은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피부를 더욱 건조하게 할 수 있으며 피부 탄력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클렌징 제품들은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저급의 지방산이나 동물성 기름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하거나, 세정력을 높여주는 각종 화학 첨가물들을 투입하여 제조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클렌징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가 깨지고, 피부장벽 기능이 무너지며 자생력이 상실될 가능성이 높으며 다양한 피부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때, 제형에 구분 없이 클렌징의 구성성분 중 가장 중요한 원료는 오일로서 화장을 제거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유성 타입의 클렌징 오일은 대부분의 성분이 오일을 사용하므로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씻김성도 우수하다.
이에, 클렌징 효과는 높이면서도 인체에 자극이 없으며, 피부장벽 강화를 위해 항균성 및 항산화성을 가지는 새로운 클렌징 오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1646호 (2012.11.0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땅빈대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 유·수분의 균형을 이루며 세정력이 우수하면서도 보습력이 좋으며 항균성 및 항산화성이 우수한 무자극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장벽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천연 오일과 항산화성이 우수한 천연 원료를 사용하여 피부 친화적이고 기능성과 안정성이 보강된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땅빈대(Euphorbia humifusa), 포도씨(grape seeds) 및 감초(Glycyrrhiza Glabra)를 4~6 : 0.5~1.5 :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추출물 6~10 중량부, 오일 베이스 130~150 중량부, 땅빈대 수상추출물 0.5~1.5 중량부, 비피다 발효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 2~4 중량부, 가용화제 27~31 중량부, 계면활성제 10~20 중량부, 보습제 0.05~0.15 중량부, 아로마 0.1~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용화제는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Sorbeth-30 tetraoleate)이며,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코코베타인(Cocobetain, Lauramidopropyl Betaine, LPB)으로, 상기 가용화제 및 상기 계면활성제는 1.5~2.0 : 1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피부자극을 줄이면서 세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상기 땅빈대를 0.5~1.5 중량부를 투입하여 85~95℃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30~50분 동안 감압농축한 것으로, 상기 땅빈대의 폴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상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항산화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땅빈대(Euphorbia humifusa), 포도씨(grape seeds) 및 감초(Glycyrrhiza uralensis)를 4~6 : 0.5~1.5 : 1~3의 중량비로 복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복합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복합추출물을 오일 베이스에 투한 오일 배합물을 20~26시간 동안 실온에서 추출하는 복합추출물 유상추출단계; 상기 땅빈대를 정제수에 투입하여, 85~95℃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30~50분 동안 감압농축하는 땅빈대 수상추출단계;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물에 비피다 발효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을 투입하고, 가용화제로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Sorbeth-30 tetraoleate)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40분간 교반하는 가용화제 첨가단계; 상기 오일 배합물을 투입하여 실온에서 50~70분간 교반하는 교반단계; 및 계면활성제로 코코베타인(Cocobetain, Lauramidopropyl Betaine, LPB)을 첨가하여 30~50℃에서 50~70분간 교반하는 계면활성제 첨가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일 베이스는 살구씨 오일 : 호호바 오일 : 마카다미아넛 오일 : 올리브 오일 : 로즈힙 오일을 50~70 : 1~5 : 37~43 : 28~32 : 8~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보습제 첨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습제 첨가단계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보습제를 1 : 1 비율로 투입하여 8~1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습제는 식물성 글리세린, 비타민E 아세테이트, 솔비톨, 히알루론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아로마 첨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아로마 첨가단계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아로마를 1 : 1 비율로 투입하여 실온에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로마는 라벤더, 베르가못, 로즈마리, 자스민, 티트리, 레몬, 오렌지, 그레이프 푸룻, 페퍼민트, 페츌리, 제라늄, 로즈우드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피부 장벽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천연 오일과 항산화성이 우수한 천연 원료를 사용하여 피부 친화적이고 기능성과 안정성이 보강된 것을 이점으로 한다.
또한,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땅빈대, 포도씨 및 감초를 유상추출하고, 추가로 땅빈대를 수상추출하여 폴라보노이드 함량을 증대시켜 항산화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것을 이점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친환경 가용화제를 포함하여 보습력과 제품의 투명성을 높이며, 클렌징 오일은 사용 후 끈끈함과 잔여감이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오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오일의 피부자극시험의 피시험자 피부상태 분석결과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복합추출물 제조단계(S10), 복합추출물 유상추출단계(S20), 땅빈대 수상추출단계(S30), 가용화제 첨가단계(S40), 교반단계(S50), 계면활성제 첨가단계(S60)를 포함하며, 보습제 첨가단계(S70) 및 아로마 첨가단계(S80)를 추가로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복합추출물 제조단계(S10)는 땅빈대, 포도씨 및 감초를 4~6 : 0.5~1.5 : 1~3의 중량비로 추출하여 혼합한다.
상기 땅빈대(Euphorbia humifusa)는 항산화작용과 항암작용, 해독작용, 진정작용 등이 뛰어나서 갖가지 암, 천식, 당뇨병, 심장병, 신장질환, 악성 두통, 정신불안증에 널리 쓰일 수 있으며, 지혈 효과가 뛰어나 각종 출혈을 멎게 하고 혈변이나 혈뇨치료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포도씨(grape seeds)는 포도 중량의 약 3~5%를 차지하며 지방(9~12%), 단백질(8~12%) 및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와 같은 식이성섬유소(약 45%)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Ca, Mg 및 P과 같은 무기질의 함량이 높으며, 리놀레산과 같은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식물성 스테롤, 토코페롤 및 항암, 항고혈압 및 항산화성 카테킨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감초(Glycyrrhiza Glabra)는 중국 동북부와 시베리아, 몽골 등지에분포하는 식물로 동서양에서 약용으로 널리 사용하던 식물이다. 감초 뿌리 추출물에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 사포닌(saponins), 아스파라긴(asparagine), 슈가스(sugarss), 수지(resi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요 성분인 글리시리진과 글리시레니틱애씨드는 피부에 대해 세포재생, 진정작용, 항염증, 항산화, 미백, 피부기능대사의 촉진에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추출물은 땅빈대 : 포도씨 : 감초를 5 : 1 : 2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땅빈대의 항산화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시료 0.5ml에 60u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DDPH radical 소거능을 산출한 결과, 상기 복합추출물은 땅빈대 : 포도씨 : 감초를 1~5 : 1 : 1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땅빈대의 중량비가 높을수록 항산화성이 가장 좋았으며, 5 : 1 :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감초의 중량비가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항산화성이 향상되나, 5 : 1 : 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항산화성이 46±9.4%로 가장 우수하다.
다음으로, 상기 복합추출물 유상추출단계(S20)는 상기 복합추출물을 오일 베이스에 투입하여 유상으로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오일 베이스는 상기 땅빈대, 포도씨 및 감초 복합추출물을 유상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살구씨 오일, 호호바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올리브 오일, 로즈힙 오일을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구씨 오일(Apricot Kernel Oil)은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비타민E가 주성분이며 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적기 때문에 저온에서도 투명한 액체 상태를 유지하여 날씨가 추운 지방에서 바디 오일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끈적임이 없이 피부에 유연 작용을 해 피부에 빨리 흡수되고 묵은 각질과 피지제거 피부의 혈액 순환을 도와줌에 따라, 붉은 피부 개선에 효과적이다.
상기 호호바 오일(jojoba oil)은 호호바 열매로부터 냉각압착법으로 얻어지는 오일로서, 영양성분이 많은 비정제 오일과 정제오일이 있는데, 화학구조가 피지 성분과 유사하여 피부에 잘 침투하기 때문에 끈적이지 않으며, 피부보습효과, 피부주름완화/감소 효과, 아토피. 살트임 예방효과, 여드름 진정효과 등이 있다.
상기 마카다미아 넛 오일(macadamia nut oil)은 마카마디아 넛에서 추출된 오일로서 피부에 잘 스며들어 번들거림이 없으며,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피부에 잘 흡수되고, 영양분이 많고 피부에 잘 스며들며 혈액순환촉진 작용이 있어서 전신마사지에 이용된다.
상기 올리브 오일(oilve oil)은 올리브 나무의 열매를 압착하여 추출해낸 오일을 의미하며, 비타민 E를 다량으로 함유함에 따라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손상된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있게 가꾸어주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민감성 피부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탄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로즈힙 오일(rose hip oil)은 칠레 안데스 산맥의 장미나무 종자에서 추출되는 오일로, 화상, 얼굴 주름과 같은 증상 개선 및 조직재생 효과가 뛰어나 수술 후 흉터 치료에 매우 유익하다.
상기 오일 베이스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살구씨 오일 : 호호바 오일 : 마카다미아넛 오일 : 올리브 오일 : 로즈힙 오일을 50~70 : 1~5 : 37~43 : 28~32 : 8~12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이에 따라 클렌징 오일은 배합성과 투명성, 조성물 색상, 발림성 및 흡수성 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투명성, 발림성 및 흡수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조성물의 색상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 베이스는 살구씨 오일 : 호호바 오일 : 마카다미아넛 오일 : 올리브 오일 : 로즈힙 오일을 60 : 3 : 41 : 30 : 10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즉, 상기 복합추출물 유상추출단계(S20)는 살구씨 오일 : 호호바 오일 : 마카다미아넛 오일 : 올리브 오일 : 로즈힙 오일을 60 : 3 : 41 : 30 : 10의 중량비로 포함한 상기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고, 땅빈대 : 포도씨 : 감초를 5 : 1 : 2의 중량비로 포함한 상기 복합추출물을 상기 오일 베이스에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유상으로 추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단계(S30)는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오일에 상기 땅빈대의 효능인 항산화성 및 항균성을 증대시키고자 상기 땅빈대를 수상으로 추출한다.
한편, 상기 땅빈대 추출물로 제조된 클렌징 오일은 일반적인 항균성 측정방법인 CTFA(Cosmetic, Toiletry & Fragrance Association)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 진균 및 세균이 균접종 7일만에 100% 사멸시킬 수 있는 항균성을 가짐에 따라, 상기 땅빈대만을 단독으로 수상추출한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물을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하였다.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상기 땅빈대를 0.5~1.5 중량부를 투입하여 85~95℃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30~50분 동안 감압농축한 것으로, 상기 땅빈대의 폴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상에서 추출한다. 여기서, 폴라보노이드는 항균, 항염증, 항알레르기 작용 및 여러 가지 생리활성 기능에 노화 작용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단계(S30)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상기 땅빈대를 1 중량부를 투입하여 90℃ 60분 동안 추출한 후, 40분 동안 감압농축한다.
이때,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물의 폴라보노이드 함량은, 50% MeOH로 2000배로희석된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 시료 0.5 mL에 diethyleneglycol(Junsei Chemicals, Tokyo, Japan)을 5 mL씩 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1 N NaOH를 0.5 mL 가하여 잘 혼합한 후 waterbath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켰다. 1시간 후 UV-VIS spectrophotometer(JENWAY 7315, Bibby Scientific Ltd.)로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naringin의 표준검량곡선을 작성하여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을 % naringin equivalent로 환산하여 측정한 결과, 폴라보노이드 함량은 75.85±2.10mg/g로, 실온에서 측정한 49.27±1.90과 대비하여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100℃에서 측정한 74.07±6.19 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단계(S30)를 포함함에 따라, 1차로 땅빈대, 포도씨, 감초가 혼합된 상기 복합추출물을 유상으로 추출하며, 2차로 상기 땅빈대를 수상으로 추출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땅빈대의 효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용화제 첨가단계(S40)는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물에 비피다 발효여과물을 투입하여 원료간 배합을 적절하게 시키며, 맑은 상태의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상기 가용화제를 첨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물에 비피다 발효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을 투입하고, 가용화제로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Sorbeth-30 tetraoleate)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40분간 교반한다.
여기서, 상기 비피다 발효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은 ICID에 등재된 화장품 원료로서, 소화기계에 존재하는 세균의 일종인 비피다를 발효시켜 여과한 물질이다. 또한, 비피다 발효여과물은, 세포재생 및 피부장벽 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서, 피부에서의 산소 공급을 활성화시킨다. 피부 장벽 강화로 거친 피부 개선 및 피부 리듬을 잡아주어 피부톤 개선과 수분, 영양 공급 및 끈적임 없이 산뜻한 발림성을 부여한다. 또한,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어 독성을 없애주는 역할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비피다 발효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은 유해 환경으로 인해 거칠어진 피부결을 매끄럽게 정돈하고 더욱 건강한 피부 표현을 위한 것으로,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며 산뜻한 발림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피다 발효여과물은 농도가 2%이며, 이는 상기 가용화제로 첨가되는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Sorbeth-30 tetraoleate)와 피부의 효능 및 침전물 발생을 고려한 것으로 상기 비피다 발효여과물은 2%의 농도로 상기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하였다.
여기서, 상기 가용화제는 수용성 성질을 지닌 땅빈대 추출물과 비피다 발효여과물의 유상조성물과의 배합을 위하여 첨가하며, 상기 가용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원료간 배합에 따른 충돌이 일어나지 않고 가용화률이 높으며 맑은 상태의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용화제로 상기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Sorbeth-30 tetraoleate)를 사용하며, 상기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는 "Sorbeth-"가 식물유래 합성원료로 소르비톨의 에테르(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의미하며, 숫자는 평균 분자 단위 수 -CH2-CH2-O-를 나타내며 올레산 (cis-9-octadecenoic acid)의 다중 에테르를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는 야자,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의 식물 유래의 가용화제로 합성 가용화제인 솔루빌라이저와 올리브 리퀴드를 대체히여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 화장품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계면에 흡착하여 표면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비혼화성 성분들의 분산과 유화에 도움을 주는 원료로 사용된다.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는 친수성가용화제로, 솔루빌라이저와 올리브리퀴드의 대체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원료간 배합에 따른 충돌이 일어나지 않으며, 가용할률이 높고, 맑은 상태의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나, 농도가 너무 증가하는 경우, 침전이 생길 수 있어 12~18% 농도가 적절하며, 바람직하게는 15% 농도의 상기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를 사용하며, 이때, 2% 농도의 비피다 발효여과물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용화제 첨가단계(S40)는 200ml 클렌징 오일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물 1ml에 상기 2% 농도의 비피다 발효여과물을 3ml 투입하고, 가용화제로 15% 농도의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를 29ml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다.
다음으로, 교반단계(S50)는 수용성 성질을 지닌 땅빈대 추출물과 비피다 발효여과물을 유상조성물인 복합추출물과의 적절하게 혼합하기 위해 교반한다.
상기 교반단계(S50)는 상기 가용화제 첨가단계(S40) 이후, 상기 오일 배합물을 투입하여 실온에서 50~70분간 교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반단계(S40)는 상기 오일 배합물을 투입하여 실온에서 60분간 교반한다.
상기 교반단계는 실온에서 교반하지 않을 시, 배합물들이 적절하게 혼합되지 못하여 교반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오일 배합물은 상기 복합추출물을 상기 오일 베이스에 투입하여 20~26시간 동안 실온에서 유상으로 추출한 상기 유상추출단계(S20)의 결과 물질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계면활성제 첨가단계(S60)는 수용성 성질을 지닌 땅빈대 추출물 및 비피다 발효여과물을 오일 배합물과 혼합하는 교반단계(S50)을 보다 효율적으로 혼합하기 계면활성제를 첨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코코베타인(Cocobetain, Lauramidopropyl Betaine, LPB)을 첨가하여 30~50℃에서 50~70분간 교반한다.
여기서, 상기 코코베타인(Cocobetain, Lauramidopropyl Betaine, LPB)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코코넛에서 추출한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로 기존의 코코베타인보다 피부 자극도가 적고 민감한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는 코코베타인을 첨가하여 40℃에서 60분간 교반한다.
이때, 상기 코코베타인은 전체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200 중량부 대비 6~8의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코코베타인은 전체 클렌징 오일 중량부 대비 7 중량부로 포함되어 세정력이 우수하고 탁도가 0.1 NTU로 우수함은 물론, 배합성도 우수하다.
상기 코코베타인은 6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세정력이 떨어져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부적합하며, 8 중량부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대비 탁도가 3~5배로 현저하게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용화제 및 상기 계면활성제는 1.5~2.0 : 1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하도록 피부자극을 줄이면서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용화제 및 상기 계면활성제는 1.93 :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은 상기 보습제 첨가단계(S70) 및 상기 아로마 첨가단계(S80)를 추가로 포함하여 클렌징 오일의 효능, 선호도 및 호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습제 첨가단계(S70)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에 피부의 노화예방 및 탄력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보습능력을 첨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습제는 식물성 글리세린, 비타민E 아세테이트, 솔비톨, 히알루론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때, 상기 보습제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보습제를 1 : 1의 중량비로 투입하여 8~1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식물성 글리세린 및 비타민E 아세테이트를 1 : 1의 중량비로 첨가한다.
상기 비타민 E 아세테이트는 비타민 E가 토코페롤이며 항산화제로 노화예방, 탄력에 도움을 주며 화장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물성 글리세린(glycerin)은 글리세롤(glycerol)이라고 하며 투명한 액상 형태로 수분과 흡수 결합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보습성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화장품에 기초 보습 성분이나 세안제로 사용되며, 식품 등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로 상기 비타민 E 아세테이트와 상기 식물성 글리세린을 1 : 1의 중량비로 첨가함에 따라, 끈끈함, 발림성 및 잔여감이 우수하며, 상기의 범위를 벗어난 1 : 2~5의 중량비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클렌징 오일 사용 후 잔여감이 느껴지고, 발림성이 저하된다.
구체적으로,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대비 식물성 글린세린의 중량비를 높게 할수록 잔여감이 많아지며, 또한, 비타민 E 아세테이트의 중량비를 높게 할수록 끈끈함 및 잔여감이 느껴짐에 따라 클렌징 오일에 부적합하다.
다음으로, 상기 보습제 첨가단계(S70) 단계 이후, 상기 아로마 첨가단계(S80)를 진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로마는 라벤더, 베르가못, 로즈마리, 자스민, 티트리, 레몬, 오렌지, 그레이프 푸룻, 페퍼민트, 페츌리, 제라늄, 로즈우드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때, 상기 아로마 첨가단계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아로마를 1 : 1 중량비로 블랜딩한 후 투입하여 실온에서 교반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라벤더 아로마 및 베르가못 아로마를 1 : 1의 중량비로 첨가한다.
상기 라벤더 아로마는 아로마 중 가장 대중적인 향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분 좋은 발삼향과 나무향의 언더톤을 띠는 달콤하고 활력을 주는 향을 가지고 있으며 방향성이 우수하다.
상기 베르가못 아로마는 주요성분이 limonene, linalyl, acetate, linalool으로 피부 살균 효과와 항염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밝은 녹색을 띤 노란색 액상으로 시원한 과일향, 약간 매운 발삼의 얇은 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베르가못 아로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일은 갈색을 띤 올리브 색상으로 변하여, 이탈리아산 Bergaptene-free제품으로 감광성의 원인이 되는 furococumarins(bergaptene)을 제거한 아로마이다.
본 발명은 상기 보습제 첨가단계(S70) 단계 및 상기 아로마 첨가단계(S80)를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효과는 물론, 클렌징 오일에 첨가된 아로마 향에 따른 심신안정 및 호감도를 비롯한 부가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땅빈대 추출물 5ml, 포도씨 추출물 1ml 및 감초 추출물 2ml으로 복합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살구씨 오일 60ml, 호호바 오일 3ml, 마카다미아넛 오일 41ml, 올리브 오일 30ml 및 로즈힙 오일 10ml로 오일 베이스를 제조하여, 복합추출물을 오일베이스에 투입하여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유상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정제수 1000ml에 땅빈대 1g을 투입하여 90℃ 60분 동안 수상으로 추출한 후 40분 동안 감압 농축하여 얻은 1ml에 비피다 발효여과물 3ml를 투입하고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유상 추출물을 투입하여 6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코코베타인 15ml를 첨가하여 40℃에서 60분간 교반하고, 투명한 상태가 되었는지 확인 후 식물성 글리세린과 비타민 E 아세테이트를 각각 0.1ml 씩 투입하여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하며, 라벤더 아로마와 베르가못 아로마를 각각 0.1ml 씩 투입하여 교반하여 클렌징 오일을 제조하였다. 이때, 클렌징 오일의 투명도와 원료들 간의 완전한 용해를 위해 10일 정도 실온에서 보관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땅빈대 수상추출물을 제외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가용화제인 솔베스-30 테트라 올리에이트를 제외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을 제외하여 제조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난 성분으로 배합하였으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클렌징 오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땅빈대 추출물 5.0 5.0 5.0 5.0
포도씨 추출물 1 1 1 1
감초 추출물 2.0 2.0 2.0 2.0
살구씨 오일 60.0 60.0 60.0 60.0
호호바 오일 골든 3.0 3.0 3.0 3.0
유기농 마카다미아넛 오일 41.0 41.0 41.0 41.0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30.0 30.0 30.0 30.0
유기농 로즈힙 오일 10.0 10.0 10.0 10.0
땅빈대 수상 추출물 1 - 1 1
비피다 발효여과물 3.0 3.0 3.0 3.0
솔베스-30 테트라 올리에이트 29.0 29.0 - 29.0
코코베타인 15.0 15.0 15.0 -
식물성 글리세린 0.1 0.1 0.1 0.1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 0.1 0.1 0.1
라벤더 아로마 0.1 0.1 0.1 0.1
베르가못 아로마 0.1 0.1 0.1 0.1
시험예 1 - 항산화성 및 항균성 시험
상기 실험예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클렌징 오일에 대한 항산화성 및 항균성 시험으로, 항산화활성 측정은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테스트로 Biois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 0.5mL에 60μ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전자공여능은 하기 식을 기반으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 = (1-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 × 100
또한, 항균성 측정은 화장품의 일반적인 항균성 측정법인 CTFA(Cosmetic, Toiletry & Fragrance Association)의 방법을 사용하여 진균 및 세균의 균접종 7일 후의 항균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능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항산화성(%) 46±9.4 43±1.2 44±7.6 46±9.2
항균성(%) 100% 사멸 80% 사멸 95% 사멸 98% 사멸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진균 및 세균의 균접종 7일 만에 100% 사멸하였으며, 항산화성 또한 우수하다. 반면,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은 항균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 1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항산화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 세정력 시험
상기 실험예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클렌징 오일에 대한 세정력 시험으로, 색조 화장이 도포된 부위를 반복해서 몇 차례 문질러 제거된 면적 비율(%)을 세정력으로 판단하였으며 동일한 시험을 3회 반복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문지른 횟수(회) 실시예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80 75 85 80
2 90 80 85 85
3 95 85 90 90
4 100 90 95 95
5 100 95 95 100
상기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내지 3회 문지른 경우는 약 90%의 세정력을 보였으며, 4회 문지른 경우 100% 세정효과로 색조 화장이 깔끔하게 세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은 5회 문지른 경우 100% 세정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실시예 1의 세정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 피부자극 시험
상기 시험예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클렌징 오일에 대한 피부첩포시험으로, 20대에서 50대의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된 성인 남, 여 33명을 대상으로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의 피부 1차 자극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반응자수 피부반응도 평균 피부반응도
30분 경과 24시간 경과 48시간 경과
실시예 1 0 0.0 0.0 0.0 0.00
비교예 1 2 0.0 1.0 2.0 1.00
비교예 2 5 1.0 2.0 5.0 2.67
비교예 3 4 0.0 1.0 4.0 1.67
상기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오일에 대한 피부자극 시험결과는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평균 피부 반응도가 0.00을 기록하며 자극이 관찰되지 않아 피부 1차 자극 평가 결과에서 무자극 결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은 비교예 1 내지 3과 대비하여 피부자극이 없는 것이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 보습력 시험
상기 실험예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클렌징 오일에 대한 보습력 시험으로,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를 통한 수분손실 정도를 측정하였고, 경피 수분손실을 나타내는 수치인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로 결과를 산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5가지 클렌징 오일 제품 중 비교적 인지도가 있는 제품을 선별하여 클렌징 후의 보습력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A 사 B 사 C 사 D 사 E 사
1 시간 후 2 3 2 2 7 6
10 시간 후 3 9 8 3 11 8
여기서, TEWL은 피부표면에서 잃어버리는 수분을 말하며 TEWL 수치가 높을수록 손실 수분량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A 내지 E 사의 클렌징 오일은 C 사가 보습력이 가장 우수하며,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오일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클렌징 오일과 대비하였을 때 A, B, D ,E 사 클렌징 오일 보다 보습력이 우수하며, 실시예 1은 보습력이 가장 우수한 C 사와 동일한 정도의 보습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 효능 시험
상기 실험예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클렌징 오일의 효능 시험으로, 20대에서 50대의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된 성인 남, 여 30명을 대상으로 효능 시험을 실시하여 평가하였으며, 실제 판매되고 있는 클렌징 오일 인기제품(S사)을 비교예 5로 선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효능 시험은 제형, 색상, 발림성, 피지·블랙헤드 제거, 유·수분감, 눈시림, 유화, 잔여감, 향으로 항목을 세분화하였고, 시험 결과는 5단계로 평가하여 1단계는 나쁨, 2번은 좋지 않음, 3번은 보통, 4번은 좋음, 5번은 아주 좋음으로 느끼는 단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C 사
1 2 3 4 5 1 2 3 4 5
제형
색상
발림성
세정력
피지·블랙헤드 제거
유·수분감
눈시림
유화
잔여감
상기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클렌징 오일은 비교예 5와 대비하여 눈시림 및 피지·블랙헤드 제거에 대한 항목에 대한 반응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클렌징 오일은 천연소재인 땅빈대 추출물을 핵심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성과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보습력이 우수하고 피부 유·수분이 균형을 이루며 피부에 자극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10: 복합추출물 제조단계
S20: 복합추출물 유상추출단계
S30: 땅빈대 수상추출단계
S40: 가용화제 첨가단계
S50: 교반단계
S60: 계면활성제 첨가단계
S70: 보습제 첨가단계
S80: 아로마 첨가단계

Claims (12)

  1. 항산화성 및 항균성을 향상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땅빈대(Euphorbia humifusa), 포도씨(grape seeds) 및 감초(Glycyrrhiza Glabra)를 4~6 : 0.5~1.5 :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추출물 6~10 중량부, 오일 베이스 130~150 중량부, 땅빈대 수상추출물 0.5~1.5 중량부, 비피다 발효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 2~4 중량부, 가용화제 27~31 중량부, 계면활성제 10~20 중량부, 보습제 0.05~0.15 중량부, 아로마 0.1~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는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Sorbeth-30 tetraoleate)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코코베타인(Cocobetain, Lauramidopropyl Betaine, LPB)으로,
    상기 가용화제 및 상기 계면활성제는 1.5~2.0 : 1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피부자극을 줄이면서 세정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상기 땅빈대를 0.5~1.5 중량부를 투입하여 85~95℃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30~50분 동안 감압농축한 것으로, 상기 땅빈대의 폴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상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5. 항산화성 및 항균성을 향상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땅빈대(Euphorbia humifusa), 포도씨(grape seeds) 및 감초(Glycyrrhiza uralensis)를 4~6 : 0.5~1.5 : 1~3의 중량비로 복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복합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복합추출물을 오일 베이스에 투입한 오일 배합물을 20~26시간 동안 실온에서 추출하는 복합추출물 유상추출단계;
    상기 땅빈대를 정제수에 투입하여, 85~95℃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30~50분 동안 감압농축하는 땅빈대 수상추출단계;
    상기 땅빈대 수상추출물에 비피다 발효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을 투입하고, 가용화제로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Sorbeth-30 tetraoleate)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40분간 교반하는 가용화제 첨가단계;
    상기 오일 배합물을 투입하여 실온에서 50~70분간 교반하는 교반단계; 및
    계면활성제로 코코베타인(Cocobetain, Lauramidopropyl Betaine, LPB)을 첨가하여 30~50℃에서 50~70분간 교반하는 계면활성제 첨가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베이스는
    살구씨 오일 : 호호바 오일 : 마카다미아넛 오일 : 올리브 오일 : 로즈힙 오일을 50~70 : 1~5 : 37~43 : 28~32 : 8~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보습제 첨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 첨가단계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보습제를 1 : 1 중량비로 투입하여 8~1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식물성 글리세린, 비타민E 아세테이트, 솔비톨, 히알루론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제조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아로마 첨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첨가단계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아로마를 1 : 1 중량비로 투입하여 실온에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는 라벤더, 베르가못, 로즈마리, 자스민, 티트리, 레몬, 오렌지, 그레이프 푸룻, 페퍼민트, 페츌리, 제라늄, 로즈우드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제조방법.
KR1020210059561A 2021-05-07 2021-05-07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14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561A KR102314004B1 (ko) 2021-05-07 2021-05-07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561A KR102314004B1 (ko) 2021-05-07 2021-05-07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004B1 true KR102314004B1 (ko) 2021-10-15

Family

ID=7815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561A KR102314004B1 (ko) 2021-05-07 2021-05-07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0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1646A (ko) 2011-04-27 2012-11-06 (주)머쉬토피아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천연 피부 세정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비누와 클렌징오일의 제조방법
KR20150039263A (ko) * 2013-10-01 2015-04-10 김명화 천연 식물 발효 추출물 및 해양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1761A (ko) * 2019-01-23 2020-07-3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도씨 추출물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클렌저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1646A (ko) 2011-04-27 2012-11-06 (주)머쉬토피아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천연 피부 세정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비누와 클렌징오일의 제조방법
KR20150039263A (ko) * 2013-10-01 2015-04-10 김명화 천연 식물 발효 추출물 및 해양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1761A (ko) * 2019-01-23 2020-07-3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도씨 추출물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클렌저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urjai et al. Plants used in cosmetics
KR10221230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4680B1 (ko)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KR102030021B1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220313A (ja)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CN107550771A (zh) 质地清爽的山茶卸妆油及其制备方法
KR10120918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Desam et al. The importance of natural products in cosmetics
JPH0725741A (ja) 皮膚外用剤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970A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98609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JP3370289B2 (ja) 化粧料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CN112315883A (zh) 控油祛痘的护肤组合物及其制剂和应用
KR20100092594A (ko) 야생화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14004B1 (ko)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4344219A (zh) 一种用于皮肤红肿痒痛的芳香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23359B1 (ko) 햄프추출원료가 포함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JP3397552B2 (ja) 化粧料
Jamshiya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Skin Cream for Wound Healing
KR20210030164A (ko) 아로마 천연정유와 종자오일을 함유한 기능성 페이스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