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676B1 -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676B1
KR100993676B1 KR1020080030694A KR20080030694A KR100993676B1 KR 100993676 B1 KR100993676 B1 KR 100993676B1 KR 1020080030694 A KR1020080030694 A KR 1020080030694A KR 20080030694 A KR20080030694 A KR 20080030694A KR 100993676 B1 KR100993676 B1 KR 100993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cne
preventing
sk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320A (ko
Inventor
현창구
김상숙
이남호
정광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80030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67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상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및 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상산, 여드름

Description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cne}
본 발명은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상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및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이란 주로 사춘기의 남녀에게 발생하며 면포(comedone), 구진(papule), 농포(pustule), 낭종 또는 결절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 피지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을 일컫는다. 여드름은 피부 중 가장 잘 보이는 부위, 특히 얼굴, 가슴, 등 목 및 상박 등에 나타나며, 여드름에 의한 피부 손상이 심하면, 이로 인해 우울증이나 대인관계 기피 등 정신적 피해를 주기도 한다. 여드름의 발병 원인은 아직도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배제한다면 다음의 세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첫째, 피지가 비정상적으로 과잉 분비되는 경우이다. 과도한 피지 분비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테스토스테론이 피부 세포 내의 5 알파-리덕타아제에(5α-reductase)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DHT)으로 전환되어 피지 분비 세포의 활성을 증진시킴으로써 피지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osenfield RL et al.,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6, pp 80~88, 1995).
둘째, 모낭 벽이 과각화하여 모공이 폐쇄되는 경우이다. 생성된 피지는 피부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어야 하지만, 모낭의 과각화로 인하여 모공이 막히면 피지의 원활한 배출이 억제되므로 모낭 내에 피지가 정체되어 미세면포를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가 여드름 발병의 초기 단계이다.
셋째, 모낭 내 정체된 피지가 모낭 내 상주하는 혐기성 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장을 촉진시킴으로써 여드름 병변을 악화시키는 경우이다. 피지선 내에 여드름균이 증식됨에 따라 피지를 구성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가 자유 지방산(free fatty acid)으로 전환되어 자극원(irritants)으로 작용하거나, 면포 유발성(comedogenic) 물질로 작용함으로써 여드름 생성을 촉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염증 반응까지 수반하게 된다(Sergio Nacht, Cosmetics Toiletries, 101, pp 47-55,1986).
또한 사람의 피부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한다. 이들 미생물들은 각종 피부 질환을 야기시킨다. 피부에서 화농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비롯하여 피부상재균으로서 표피포도상구 균(Staphylococcus epidermis)등이 있으며, 이 균들은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와 더불어 피부 상에서 분비된 피지나 땀을 분해시켜 냄새를 발생시키며, 분해 산물들은 피부에 자극을 주고 염증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염증 반응은 피부의 내피에 존재하는 인지질(phospholipids)의 구성 성분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인지질분해효소(phospholipase, PL) A2에 의해 세포막으로부터 분리되는데, 이러한 아라키돈산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 (cyclooxygenase, COX) 작용으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 E2가 되고, 이것은 염증성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PLA 2는 활성산소 등에 의해 활성화되는데(Lehinger, A. et al., Principles of Biochemistry. second ed. Worth Publisher. pp 229-235, 1993),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가 백혈구 등을 만들고 이로 인해 활성산소가 만들어진다(Webster, G.F. et al., Inflammation, 1980). COX에는 COX-1과 COX-2가 있으며, COX-1은 구성효소이고, COX-2는 유도효소로 염증생성 시 유도되는 효소이다(Crofford, L.J., J. Rheumatol., suppl 49, 24, pp 5-19, 1997). 상기와 같이 아라키돈산을 거쳐 COX-2 반응을 거치는 염증 반응이 여드름과 피부염의 주된 반응이다.
따라서 여드름은 피지의 과잉생성, 모공의 과각질화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작용, 염증 유도로 이어지는 복합적인 인자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으로 본다.
현재까지 여드름을 치료 또는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피지 과분비 억제를 위해 비정상적인 남성 호르몬의 분비를 제어하는 항안드로겐제 등의 여성호 르몬의 사용, 여드름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항균제 및 항생제의 사용, 항염증 작용을 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알파-리덕타아제 억제제를 이용하여 피지 과분비를 억제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여성호르몬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여드름 치료 과정 중에 부작용으로서 피부 염증이 발생할 우려가 높고, 여성호르몬의 장기 투여 시 그에 따른 부작용 발생 사례가 다수 보고되어 있어 사용이 자제되고 있으며, 5 알파-리덕타아제 억제제도 그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여드름 균에 대한 전형적인 항균제로서는 레조시놀, 유황, 벤조일퍼옥사이드,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또는 메크로사이클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러한 항균제의 사용으로 어느 정도의 여드름 개선 효과가 있지만, 항생제 특유의 부작용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예컨대, 항균 물질인 레티노익산과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은 피부 자극성 및 접촉성 피부염의 발생 우려가 높으며, 테트라사이클린을 포함하는 항생물질들은 내성균의 출현 및 광과민 작용에 의한 부작용 가능성이 보고되어 있다. 그리고, 여드름 치료를 위해 모공의 과각질 형성을 억제하거나, 이를 제거하여 분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살리실산(salicylic acid), 비타민A 유도체인 레티노익산 제재를 사용하고 있지만, 살리실산 등은 치료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피부 발적, 부종 또는 피부 기피증 등을 일으킬 수 있고, 레티노익산 등은 과각화 억제를 통한 효과는 있으나, 접촉성 피부염, 홍반, 피부 건조 및 박리 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다. 한편, 비교적 최근에 소개된 아젤라익산(azelaic acid) 제재의 경우 약물 부작용은 감소 되었으나 기존 치료제 제품에 비하여 그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종래 사용되던 호르몬제 또는 화합물 제제들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최근에는 천연물 제제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로 조성된 제제는 부작용이 적고, 그 작용이 일반적으로 온화하고 지속적이며 보조성분으로 난용성 성분이 이용성 성분으로 되는 경우가 있으며 생분해성이 높고 환경 친화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천연물 제제의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467,031호, 한국등록특허 제491,746호, 한국공개특허 제1999-0025848호 등이 있으며 조성물로는 모황련, 적작약, 강활, 치자, 호장근추출물, 벤조일 퍼옥사이드, 레티노익액시드, β-글리시레틴산, 2-[2-(3-헵틸-4-메틸-2-티아졸린-2-이리딘)메탄]-3-헵틸-4-메틸 티아졸리니움 아이오다이드(감광소), 살리실산 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해 개시하고 있지만, 여드름 개선에 대한 만족할 만한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피부에 자극을 유발시킨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 유래의 여드름 치료제의 필수 항목인 항균 효과 및 항염 효과를 갖는 물질을 검색하던 중, 본 발명의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또는 상산 추출물이 여드름성 피부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상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및 제제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상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석류풀(Mollugo pentaphylla)은 석류풀과의 한해살이풀로서 높이는 10~30cm이며, 잎은 밑에서 돌려나고 위에서 마주난다. 7~10월에 누런 갈색 꽃이 기산 꽃차례로 줄기 끝에서 피고 열매는 삭과를 맺으며, 길이나 밭에서 자라며 한국, 일본, 중국 및 인도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구릿대(Angelica anomala)는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줄기는 높이가 2미터 정도이며, 줄기 속이 비어 있다. 잎은 겹잎이며 톱니가 있고 8월에 흰 꽃이 겹산형 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길이 7mm 정도의 타원형인데 뒷면에 네 줄기의 유선(油腺)이 있고 익으면 분리된다. 뿌리는 주로 약재로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산골짜기에 자라며 강원, 경기, 경상, 평북, 함남 및 황해도 등지에 분포한다.
개면마(Matteuccia orientalis)는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는 60~90cm이며, 잎은 뭉쳐나고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검은 갈색의 홀씨주머니무리가 있다. 산이나 숲 속의 그늘에서 자라며 한국, 일본, 중국 및 히말라야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산(Orixa japonica)은 조팝나무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로서, 맛이 쓰고 맵고 독성이 있으며, 학질과 담 치료에 주로 쓰인다. 운향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서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다. 4월에 누런 녹색 꽃이 총상(總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갈색의 골돌과로 11월에 익는다. 뿌리는 약용하고 목재는 세공품에 쓰인다. 산기슭에서 자라며, 한국의 전라도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상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물은 여드름 발명의 주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및 스타필로코서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뿐만 아니라 호염증성 시토카인(cytokines)인 IL-8 및 TNF-α 분비 억제 효능을 나타냈다. 또한, 인체 피부에 도포 시 어떠한 자극반응도 관찰되지 않아 여드름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및 제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또는 상산을 건조 후 분쇄하는 단계;
(b) (a)에서 건조된 식물을 추출 및 여과하는 단계;
(c) 추출 및 여과를 1회 내지 5회 반복하는 단계; 및
(d) (c)의 추출물을 여과 후,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 단계
를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a)에서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또는 상산을 취하여 건조, 바람직하게는 통풍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풍 건조는 구체적으로 차광된 상태로 실온에서 2주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a)에서 건조된 분말 형태의 식물을 추출한다. 상기 추출 용매는 에탄올,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다. 추출한 후, 두 겹의 무명직물을 사용하여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b)의 여과 케이크를 추출 및 여과하는 과정을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수율의 증가를 위한 것이다.
상기 수득한 추출액을 합하여 여과 종이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농축 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그 이후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및 제제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여, 스킨, 로션, 에센스,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및 클렌징 크림과 같은 각종 크림, 클렌징 폼, 비누, 자외선 차단제 및 팩 등의 기초 화장료 및 파우더, 파운데이션 및 메이크업 베이스를 비롯한 색조 화장료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때 화장료의 분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성 내 활성성분에 대한 희석제, 분산제 또는 운반체로서 작용하는, 화장료에 허용되는 각종 부형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분 이외의 부형제 또는 수분을 포함하는 부형제로는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피부연화제, 용매, 습윤제, 유지성분, 에몰리언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pH 조정제, 향료, 증점제 또는 분말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여 정제 및 캡슐제와 같은 경구투여제제, 주사제, 패취제, 연고제, 로션제 및 크림제 등과 같은 비경구 투여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유효 성분인 상기 조성물 이외에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 르산 마그네슘 또는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는 또한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여드름 치료제에 사용되어 온 벤조일퍼옥사이드,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트리클로산 등의 항균제나 안드로겐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호르몬류 및 레티노이드 등의 비타민 A 유도체와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또는 상산 추출물은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 조직의 염증 현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피부에 다른 자극이나 부작용없이 안전하여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제조예 : 식물 추출물의 제조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또는 상산을 취하여 차광된 상태로 실온에서 2주 동안 통풍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사용하였다. 건조된 분말 형태의 식물을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한 후, 두 겹의 무명직물을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수율을 높이기 위해, 여과 케이크를 3회 반복하여 추출 및 여과하는 과정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수득한 추출액을 합하여 여과 종이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농축 하여 용매를 제거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항균활성 실험
미생물 시험에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ATCC6919) 및 스타필로코서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3958)를 사용하였다. 분석 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ATCC6919)는 혐기성 조건, 37℃에서 48시간 동안 GAM broth에서 배양하였다. 스타필로코서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3958)는 코리네박테리움 배지(리터당 카제인 펩톤 10.0g, 효모 추출물 5.0g, 글루코스 5.0g, NaCl 5.0g)와 함께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In vitro 항균활성은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microtiter plate)에서 브로스 미량희석법(broth microdilution method)에 의해 측정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의 2-fold dilution은 500 내지 15.6㎍/㎖의 농도로 브로스 배지에 준비하였다. 각각의 웰에 107 CFU/㎖의 밀도에서 5㎕의 박테리아 현탁액을 주입하였다.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미생물 배양은 600㎚에서 분광광도계(Power Wave, Bio-tek Inc., VT, USA)로 현탁된 정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MIC는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미생물 배양 결과를 70% 에탄올 추출액의 최소 브로스 농도로 정의한다.
식물 MIC(㎍/㎖)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스타필로코서스 에피더미디스
석류풀 250 125
개구릿대 15.6 125
개면마 250 31.2
상산 250 125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4종의 추출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및 스타필로코서스 에피더미디스에 대해 항균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시토카인 억제효과 평가
인간 단핵구 세포주인 1×106의 THP-1 세포를 혈청이 없는 조건에서 열처리로 불활성화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100㎍/㎖을 단독 또는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또는 상산을 함께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지로 분비된 IL-8 및 TNF-α의 양을 ELISA kit(Genzyme,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또는 상산 추출물은 염증인자인 IL-8 및 TNF-α의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세포 독성 분석
HaCaT 및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는 10% FBS(Gibco),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디엠이엠(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는 24-웰 플레이트에서 배양하고, 약 처리는 배양 후 24시간 이후에 시작하였다. 배양된 세포의 일반적인 생성은 포르마잔으로 감소되는 MTT, 즉 MTT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다. HaCaT 및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는 다양한 농도의 석류풀, 개구릿대, 개면마 또는 상산 추출물과 함께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고, MTT(1㎎/㎖ PBS)는 배지의 1/10 부피로 각 웰에 첨가하였고, DMSO를 첨가하여 포르마잔 결정을 녹였다. 흡광광도계(Power Wave, Bio-tek)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MTT 분석 결과 HaCaT 및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고농도에서 80% 이상이 생존력을 나타내는 결과를 통해 피부에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a는 본 발명의 4종의 추출물에 의한 IL-8 생성 억제 효과를 농도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4종의 추출물에 의한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농도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4종의 추출물에 의한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에서의 생존력을 농도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b 본 발명의 4종의 추출물에 의한 HaCaT에서의 생존력을 농도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7)

  1. 석류풀, 개면마, 상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및 스타필로코서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IL-8 및 TNF-α 분비 억제 효능을 갖는 조성물.
  4. (a) 석류풀, 개면마 또는 상산을 건조 후 분쇄하는 단계;
    (b) (a)에서 건조된 식물을 추출 및 여과하는 단계;
    (c) 추출 및 여과를 1회 내지 5회 반복하는 단계; 및
    (d) (c)의 추출물을 여과 후,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 단계
    를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가 에탄올인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KR1020080030694A 2008-04-02 2008-04-02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3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94A KR100993676B1 (ko) 2008-04-02 2008-04-02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94A KR100993676B1 (ko) 2008-04-02 2008-04-02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20A KR20090105320A (ko) 2009-10-07
KR100993676B1 true KR100993676B1 (ko) 2010-11-10

Family

ID=4153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694A KR100993676B1 (ko) 2008-04-02 2008-04-02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6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3097A (zh) * 2013-12-12 2014-03-12 贵州理工学院 一种臭山羊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200058699A (ko) 2018-11-20 2020-05-28 제너럴바이오(주) 5-아미노레불린산 수화염화물과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 개선 또는 그의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824B1 (ko) * 1998-04-04 2003-01-24 주식회사 태평양 여드름치료및예방에효과가있는천연물함유화장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824B1 (ko) * 1998-04-04 2003-01-24 주식회사 태평양 여드름치료및예방에효과가있는천연물함유화장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3097A (zh) * 2013-12-12 2014-03-12 贵州理工学院 一种臭山羊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200058699A (ko) 2018-11-20 2020-05-28 제너럴바이오(주) 5-아미노레불린산 수화염화물과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 개선 또는 그의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20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21008740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80125612A (ko) 폴리페놀이 풍부한 아보카도 과육 및/또는 껍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한 화장학적, 피부과학적 및 기능식품 조성물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99763B1 (ko)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66279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196952B1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04199A (ko)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0769302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20190133562A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0993676B1 (ko)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948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1176A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KR102367027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1797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3542A (ko) 레몬머틀 및 꽃송이 버섯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안티 폴루션용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