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214A -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214A
KR20140086214A KR1020120156421A KR20120156421A KR20140086214A KR 20140086214 A KR20140086214 A KR 20140086214A KR 1020120156421 A KR1020120156421 A KR 1020120156421A KR 20120156421 A KR20120156421 A KR 20120156421A KR 20140086214 A KR20140086214 A KR 20140086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concentrate
pomegranate
inclusion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942B1 (ko
Inventor
손미례
최경임
성낙술
심병섭
조의상
정순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충청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충청남도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Priority to KR20120156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94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류를 분쇄하여 에탄올에서 냉침하여 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석류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 인삼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석류농축액 0.1~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삼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류를 분쇄하여 에탄올에서 냉침하여 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석류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 인삼농축액 또는 분말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1:2.5~3.5 비율로 반응하여 인삼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인삼 포접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석류농축액 0.1~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삼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THE METHOD FOR MANUFACTURING PANAX GINSENG COMPOSITE BY USING THE PUNICA GRANATUM CONCENTRATE FOR SKIN WHITENING, AND THE PANAX GINSENG COMPOSITE MADE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석류를 분쇄하여 에탄올에서 냉침하여 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석류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 인삼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석류농축액 0.1~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삼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류를 분쇄하여 에탄올에서 냉침하여 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석류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 인삼농축액 또는 분말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1:2.5~3.5 비율로 반응하여 인삼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인삼 포접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석류농축액 0.1~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인삼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삶의 질을 중시하게 됨에 따라, 미용은 큰 관심사가 되어왔다. 특히 흰 피부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미의 상징 중 하나라 할 수 있어, 피부 미백에는 더욱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피부 미백의 주요한 과제는 멜라닌을 저해하는 것이다. 멜라닌은 동, 식물과 미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천연색소로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melanocyte 내의 melanosome에서 합성된다.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생성될 경우 피부에 색소가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점, 검버섯 등을 형성하며, 심할 경우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의 색소 침착 현상을 방지하지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 과정의 일부분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기작이 필요하다.
피부를 미백하는 수단에는 레이저 박피술, Arbutin, Hydroquinon 등의 피부 미백제, 피부 미백 화장품 등이 있다. 그러나 레이저 박피술은 효과가 한시적이며, 피부 미백제는 당뇨병, 피부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피부 미백 화장품은 효과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한편 전통적인 약재인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중국, 일본 등에도 그 효능이 널리 알려져, 수천 년 전부터 많은 국가에서 약재로써 사용되어 왔다.
인삼의 주 효능을 나타내는 사포닌(Saponin)은 배당체(Glycoside)라 부르는 일정의 화합물이며, 인삼의 뿌리, 줄기, 잎 등에 있다. 사포닌은 30여 종류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세노사이드는 성인병과 노화 예방, 알코올 해독과 간 보호, 항염, 조혈 기능의 개선, 신경 보호 등 인체 전반에 걸쳐서 건강 증진에 효능이 있다.
그런데 인삼 특유의 쓴맛 및 향으로 인하여 젊은 소비층과 외국인의 기호도가 저하되어 인삼 제품의 고부가가치 및 해외시장 진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천연 유래의 물질을 활용하여 부작용을 동반하지 않으며,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석류농축액 제조방법을 안출하였다.
또한 본 출원인은 인삼의 쓴맛 및 향이 제거되면서 효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과 인삼을 반응시켜 포접화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석류농축액과 포접화합물을 혼합하여 더욱더 피부 미백 기능을 증강시키는 방법을 안출하였다.
피부 미백과 관련된 선행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92229호에는 조직 배양한 유채와 석류, 산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살펴 보면,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된 유채, 석류 및 산삼 추출액에 Bacillus 균을 접종하여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 추출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석류농축액이 혼합된 인삼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 및 세포 독성이 없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티로시네이즈(Tyrosinase)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합성을 저해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미백에 효능이 뛰어난 다량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석류를 분쇄하여 에탄올에서 냉침하여 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석류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 인삼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석류농축액 0.1~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석류를 분쇄하여 에탄올에서 냉침하여 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석류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 인삼농축액 또는 분말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1:2.5~3.5 비율로 반응하여 인삼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인삼 포접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석류농축액 0.1~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인삼조성물, 상기 인삼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상기 인삼조성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화장료로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 인삼조성물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01~10.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0.0005~10.0 중량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5~5.0 중량 %이다. 인삼조성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피부 노화 예방,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인삼조성물의 함량이 10.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인삼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 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 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스핑고 지질, 고분자다당, 고분자 펩티드로 이뤄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L-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류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 %로 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음료, 건강보조식품, 차, 과자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되기 위하여는 약제학적 분야에서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물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축용 사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각 경우에 가축 사료에서 허용되는 첨가제 또는 추가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환, 과립, 음료, 타블렛, 캅셀 등의 제형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 제형을 제조하기 위하여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을 위한 인삼조성물은 부작용 및 세포 독성이 없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을 위한 인삼조성물은 Tyrosinase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합성을 현저히 저해하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을 위한 인삼조성물은 피부 미백에 효능이 뛰어난 다량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gall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총 폴리페놀 함량의 표준곡선의 그래프이다.
도 2는 quercetin을 이용하여 작성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표준곡선의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사용된 천연물 소재인 석류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석류는 석류나무과에 속하는 석류나무(Punica granatum)의 열매이다. 석류나무는 이란 북부, 인도 북서부, 아프가니스탄, 히말라야, 발칸 지방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중부 이남에서 재배된다. 높이는 5~7 m이고, 작은 가지는 횡단면이 사각형이고 털이 없으며 짧은 가지 끝이 가시로 변한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 혹은 달걀형이다.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고 잎자루가 짧다. 꽃은 양성화이고 가지 끝에 15개씩 붉은 색으로 피며, 5~6월에 개화한다. 열매는 둥글고 끝에 꽃받침 조각이 붙어 있으며, 9~10월에 갈색이 도는 노란 색 또는 붉은 색으로 익는다. 단단하고 노르스름한 껍질로 감싸여 있으며, 과육 속에는 많은 씨앗이 있다. 과육은 식용 및 약용, 껍질은 약용으로 쓴다.
주요 성분은 약 40 % 를 차지하는 포도당 및 과당이며, 시트르산이 약 1.5 % 들어 있다. 껍질에는 탄닌, 종자에는 천연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들어 있다. 또한 휘발성 알칼로이드가 들어있다. 고혈압, 동맥경화, 부인병, 부스럼, 이질, 구충, 항암, 항균, 갱년기장애, 설사, 이질 등에 효과가 있다.
이하 사이클로덱스트린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은 전분을 원료로 효소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고리 모양의 올리고당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의 내부는 수소와 산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는 하이드록실기로 구성되어 있다. 흰색의 결정 또는 결정성 가루로 냄새가 없고 약간의 단맛이 나며, 각종 산, 알칼리에 대해 내열성을 가지며 가열이나 습도에도 강한 편이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가장 큰 특성은 포접(inclusion) 작용을 하는 것이다. 포접이란 2종의 분자가 짝을 이룰 때, 상대적으로 더 큰 분자가 통 모양, 층 모양 또는 그물 모양으로 벌어져, 그 틈새에 더 작은 분자가 끼어 두 분자가 결합되는 현상을 말한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분자 구조는 고리 모양이므로 다른 분자를 감쌀 수 있는 구조이며, 사이클로덱스트린 분자의 내부는 소수성으로써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친수성이기 때문에 이런 작용이 가능하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종류는 분자량, 중합도, 지름 등의 분류 항목에 따라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모든 분류 항목 수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중 α-사이클로덱스트린이 가장 낮으며, γ-사이클로덱스트린이 가장 높다.
구체적으로 보면,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합도는 6이고, 분자량은 973이다. α-사이클로덱스트린의 분자 내부 공동의 지름은 0.47~0.53 nm, 내부 공동 높이는 0.79 nm, 내부 공동 면적은 17.4 nm이다.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합도는 7이고, 분자량은 1135이다.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분자 내부 공동의 지름은 0.60~0.65 nm, 내부 공동 높이 0.79 nm, 내부 공동 면적은 26.2 nm이다.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합도는 8이고, 분자량은 1297이다. γ-사이클로덱스트린의 분자 내부 공동의 지름은 0.75~0.83 nm, 내부 공동 높이 0.79 nm, 내부 공동 면적은 42.7 nm이다.
제조예 1. 인삼 포접화합물의 제조: 아세트산 용해 및 pH 조절
1-1. 인삼농축액 제조 공정
본 실험에 사용된 인삼은 2011년 9월에 생산된 4년근으로 충남 금산 인삼도매시장에서 구입하였다. 인삼을 선별하여 세척하고, 인삼 무게당 7~10배 가수하여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인삼추출액을 70~90 ℃ 이하의 온도에서 60~70 brix의 농축액으로 제조한 후 냉장고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1-2. 인삼분말 제조 공정
제조예 1-1과 동일한 출처의 인삼을 사용하였다. 인삼의 물기를 제거하고 동결건조한 후, 90~110 μm으로 미분쇄하여 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인삼의 인삼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였다.
1-3. 아세트산에 용해시킨 인삼 포접화합물 제조
인삼농축액 혹은 분말 3~7g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 10~20g을 0.1N 아세트산(Acetic acid) 300~700ml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이 pH 10.0~12.0이 되도록 1.0N 수산화나트륨(NaOH)를 서서히 적가하고 다시 이 액이 pH 7.0~8.0이 되도록 0.1N 염산(HCl)을 서서히 적가하여 반응시킨 후, 이 액을 여과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인삼 포접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바람직하게, 인삼농축액 혹은 분말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는 1:3 정도가 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제조예 2. 인삼 포접화합물의 제조: 에탄올 용해
2-1. 인삼농축액 제조
제조예 1-1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2-2. 인삼분말 제조
제조예 1-2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2-3. 에탄올에 용해시킨 인삼 포접화합물 제조
인삼농축액 혹은 분말 3~7g을 40~50 % 에탄올 용액 300~700ml에 넣고 교반하여 녹인 후, β-사이클로덱스트린 10~20g 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70~90 ℃로 가온하여 2~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가온을 중지하고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계속 교반하였다. 교반을 멈춘 후 반응액을 감압여과하여 동결건조 혹은 분무건조하여 인삼 포접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바람직하게, 인삼농축액 혹은 분말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는 1:3 정도가 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제조예 3. 인삼 포접화합물의 제조: 증류수 용해
3-1. 인삼농축액 제조 공정
제조예 1-1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3-2. 인삼분말 제조 공정
제조예 1-2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3-3. 증류수에 용해시킨 인삼 포접화합물 제조
증류수 200~600ml에 β-사이클로덱스트린 10~20 g과 인삼농축액 혹은 분말 3~7 g을 넣고 35~40 ℃에서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동결건조 혹은 분무건조하여 인삼 포접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바람직하게, 인삼농축액 혹은 분말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중량비는 1:3 정도가 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제조예 4. 석류농축액의 제조
석류농축액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석류 선별, 세척 및 분쇄단계
석류 선별 및 분쇄단계는 품질이 우수한 석류를 선별하고 이를 세척하여 석류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며, 석류를 분쇄하는 단계이다. 이때 분쇄되는 석류의 크기는 100~200 mesh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② 냉침 단계
냉침 단계는 석류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추출(우려냄)하는 단계로, 분쇄된 석류에 에탄올(ethanol)을 혼합하여 추출한다. 이때 냉침에 소요되는 기간은 5일간 이루어질 수 있다.
③ 농축 단계
농축단계는 냉침된 추출액을 농축장치 등을 이용하여 농축하는 단계로, 감압농축과 동결농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감압농축은 저온에서 끓이는 방법으로 농축하는 것으로 감압농축기 등이 이용되며, 동결농축은 물의 어느점을 이용하여 농축하는 방법이다.
농축한 후에는 70 % 에탄올을 이용하여 적당한 농도로 제조한 후 실험 및 시제품 제작에 이용한다.
제조예 5. 인삼조성물의 제조 : 인삼추출물과 석류농축액의 혼합
5-1. 인삼추출물의 제조
① 인삼 100~120 g을 선별하여 세척하였다.
② 세척된 인삼을 용기에 투입하고, 8~10 L의 정제수를 주입하였다.
③ 인삼 및 정제수 혼합물을 85~95 ℃의 온도로 가열하여 인삼추출물을 제조하였다.
5-2. 인삼추출물과 석류농축액의 혼합
제조예 5-1의 과정으로 제조된 인삼추출물과 제조예 4의 과정으로 제조된 석류농축액을 혼합하였다.
인삼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석류농축액 0.1~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인삼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인삼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조제될 수 있다. 조제될 수 있는 제형의 예로, 먼저 인삼추출액과 석류농축액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삼추출물을 분말로 제조하고 석류농축액을 분말로 제조하여 혼합할 수도 있으며, 인삼추출물을 농축하여 인삼농축액으로 제조한 후 석류농축액과 혼합할 수도 있다. 농축된 인삼농축액을 분말로 제조하고 석류농축액을 분말을 제조하여 혼합할 수도 있다. 제형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6. 인삼조성물의 제조 : 인삼 포접화합물과 석류농축액의 혼합
6-1. 인삼 포접화합물과 석류농축액의 혼합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의 과정으로 제조된 인삼 포접화합물과 제조예 4의 과정으로 제조된 석류농축액을 혼합하였다.
인삼 포접화합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석류농축액 0.1~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인삼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인삼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조제될 수 있다. 조제될 수 있는 제형의 예로, 먼저 인삼추출액과 석류농축액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삼추출물을 분말로 제조하고 석류농축액을 분말로 제조하여 혼합할 수도 있으며, 인삼추출물을 농축하여 인삼농축액으로 제조한 후 석류농축액과 혼합할 수도 있다. 농축된 인삼농축액을 분말로 제조하고 석류농축액을 분말을 제조하여 혼합할 수도 있다. 제형의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조예 1. 인삼 포접화합물의 색도 분석
1-1. 색도 분석 과정
제조 공정에 따른 인삼 포접화합물의 색도 측정은 색차계(CM-2500d. Visc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Hunter's L값(백색도), a값(적색도) 및 b값(황색도)을 각각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1-2. 색도 분석 결과
하기의 [표 1]은 제조예 1의 과정으로 제조된 인삼 포접화합물 1, 제조예 2의 과정으로 제조된 인삼 포접화합물 2, 제조예 3의 과정으로 제조된 인삼 포접화합물 3의 색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각 실험군은 6시간, 12시간,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시료
인삼 포접화합물 1 인삼 포접화합물 2 인삼 포접화합물 3
6시간 12시간 24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L값 25.22±0.33 24.68±0.22 23.72±0.55 54.92±0.79 52.14±0.79 59.73±0.79 71.54±1.05 73.29±0.23 72.13±0.01
a값 9.68±
0.94
9.02±
0.97
9.43±
0.97
2.47±
0.99
2.73±
1.14
3.03±
1.17
5.45±
0.74
4.71±
0.74
4.86±
0.95
b값 21.95±0.88 20.27±0.95 21.59±0.88 13.25±1.29 13.24±0.94 15.42±0.92 21.71±0.92 18.52±0.74 21.88±0.88
분석 결과, 백색도는 증류수로 제조된 인삼 포접화합물 3이 대체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아세트산으로 제조하여 pH를 조절한 인삼 포접화합물 1이 대체적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적색도 역시 인삼 포접화합물 3이 대체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주정인 에탄올로 제조된 인삼 포접화합물 2가 대체적으로 가장 낮았다.
황색도는 인삼 포접화합물 1이 대체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인삼 포접화합물 2가 대체적으로 가장 낮았다. 각 인삼 포접화합물의 성분에 따라서는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나, 각 인삼 포접화합물의 제조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써, 인삼 포접화합물 3과 인삼 포접화합물 2는 대체적으로 백색도가 높으므로 식품 소재에 적용이 가능하며, 인삼 포접화합물 1은 색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하겠다.
참조예 2. 인삼 포접화합물의 관능 평가
하기의 [표 2]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하여 쓴맛을 제거한 인삼분말 샘플들의 관능 평가를 나타낸 표이다.
특성
(Charac -teristics)
시료
대조군 인삼 포접화합물 1 인삼 포접화합물 2 인삼 포접화합물 3
6h 12h 24h 6h 12h 24h 6h 12h 24h

(Color)
3.70±
0.95
2.50±
0.97
2.90±
0.99
2.90±
0.99
2.80±
0.79
2.80±
0.79
2.80±
0.79
3.30±
1.34
3.20±
1.32
3.30±
1.34
쓴맛
(Bitterness)
2.20±
1.03
3.00±
1.41
2.80±
1.23
2.60±
1.27
2.70±
1.34
3.10±
1.20
3.10±
1.20
4.00±
0.94
4.00±
1.05
3.90±
1.10

(Flavor)
3.40±0.97 2.00±0.94 2.50±0.97 2.60±0.97 3.10±0.99 3.20±1.14 3.40±1.17 3.90±0.74 3.90±0.74 3.70±0.95

(Taste)
2.50±
1.27
2.00±
1.25
2.40±
1.17
2.20±
1.03
2.70±
0.95
2.50±
1.18
2.50±
1.18
3.80±
1.03
4.00±
1.05
3.50±
1.08
전반적인 기호도
(Overall
acceptance)
2.70±
1.42
2.10±
0.88
2.70±
0.95
2.10±
0.88
2.90±
1.29
3.00±
0.94
2.80±
0.92
3.80±
0.92
4.10±
0.74
3.90±
0.88
어떤 처리도 하지 않은 무처리 분말(대조군)과 제조예 1의 과정으로 제조된 인삼 포접화합물 1, 제조예 2의 과정으로 제조된 인삼 포접화합물 2, 제조예 3의 과정으로 제조된 인삼 포접화합물 3의 관능성을 평가하였다. 각 인삼 포접화합물들은 각각 6시간, 12시간,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분말의 색(Color), 쓴맛(Bitterness), 향(Flavor), 맛(Taste) 및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의 5가지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점수가 높아질수록 쓴맛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으로 평가법을 책정하였다.
색 항목에서는 무처리 분말의 선호도가 3.70 ± 0.95로 가장 높았으며, 6시간 반응시킨 인삼 포접화합물 1의 선호도가 2.50 ± 0.97로 가장 낮았다. 증류수로만 반응시킨 인삼 포접화합물 3의 선호도는 전반적으로 높았다.
쓴맛 항목에서는 인삼 포접화합물 3의 선호도가 전체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무처리 분말의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향 항목에서는 인삼 포접화합물 3의 선호도가 전체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인삼 포접화합물 1의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전반적인 기호도 항목에서는 쓴맛, 맛 항목에서와 같이 인삼 포접화합물 3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정리하여 보면, 인삼 포접화합물 1, 2, 3 모두 쓴맛이 모두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물로만 반응시킨 인삼 포접화합물 3 분말에서 인삼의 쓴맛 감소 효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인삼 포접화합물 1, 2의 경우에는 향이나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추가적인 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 인삼 포접화합물 진세노사이드 함량 측정
1-1. 인삼 포접화합물 진세노사이드 함량 측정 과정
모든 인삼 포접화합물의 진세노사이드를 하기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① 인삼 포접화합물 분말 0.2~0.7 g을 농축용 플라스크에 주입하였다.
② 농축용 플라스크에 주입한 수포화부탄올 30~40ml를 첨가하고 70~90 ℃ 환류냉각추출기에서 1~2시간 추출하였다.
③ 인삼 포접화합물과 수포화부탄올의 혼합물을 7~15분간 두어 식힌 후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④ 추출하고 남은 잔사에 다시 동량의 수포화부탄올을 넣어 2회 더 반복 추출하였다.
⑤ 추출액을 분액깔대기에 옮기고 100~200 ml의 증류수를 가하여 진탕하였다.
⑥ 부탄올 층과 물 층을 분리하고, 물 층을 제거한 후 남은 부탄올 층을 농축플라스크에 모아 40~50 ℃ 수조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진공 농축하였다.
⑦ 농축 후 플라스크 내 잔류물을 40~60 % MeOH 10~30 ml에 녹여 0.45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였다.
⑧ Agilent 2690 HPLC system (Agilent Technologies, USA)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μ-Bondapak C18(3.9 mm 150 mm, 5 μm) column을 사용하여 HPLC 분석을 하였다. 이동상의 유속과 컬럼 온도는 각각 0.6 ml/min, 43 ℃로 하고, UV 검출기의 검출 파장은 203 nm로 하여 분석하였다.
하기의 [표 3]은 HPLC 분석 프로그램의 용매 농도기울기를 나타낸 표이다.
시간(분) Acetonitrile( %) 물( %)
0 18 82
42 24 76
46 29 71
75 40 60
100 65 35
135 85 15
150 85 15
180 18 82
1-2. 인삼 포접화합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측정 결과
하기의 [표 4]는 인삼 포접화합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인삼 포접화합물 1은 제조예 1의 과정으로 제조되었으며, 인삼 포접화합물 2는 제조예 2의 과정으로 제조되었다. 또한 인삼 포접화합물 3은 제조예 3의 과정으로 제조되었다. 대조군으로는 인삼 농축액을 사용하였다.

진세노사이드의 종류
Rg1 Re Rf Rb1 Rc Rb2 Rb3 Rd Rg6 F4 Rg3 Rk1 Rg5 총 량
대조군 0.86 1.01 1.92 2.56 6.53 2.73 0.24 2.96 1.57 1.16 3.78 1.98 3.98 31.71
인삼
포접
화합물 1
- - 0.70 1.26 2.02 0.91 0.27 0.83 1.75 0.46 - - 0.24 8.45
인삼
포접
화합물 2
0.64 0.64 1.32 1.81 4.44 1.94 0.50 2.12 1.14 0.84 1.33 0.17 0.32 17.35
인삼
포접
화합물 3
0.49 0.49 0.99 1.08 2.61 1.05 0.31 0.82 0.74 0.63 0.18 - - 10.85
(단위 : mg/ml)
인삼 농축액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31.71 mg/ml였으며,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pH를 조절한 인삼 포접화합물 1 실험군에서는 8.45 mg/ml였다. 주정인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인삼 포접화합물 2 실험군에서는 17.35 mg/ml, 증류수를 용매로 사용한 인삼 포접화합물 3 실험군에서는 10.85 mg/ml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인삼을 이용한 제품은 진세노사이드 Rg1과 Rb1의 합이 3 mg/ml 이상을 포함하여야 하는 기준을 고려하여 Rg1과 Rb1의 합이 최대한 높게 측정되는 주정을 용매로 사용한 포접화합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2.45 mg/ml으로 측정되었다.
즉 인삼 포접화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농도를 조절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 기준을 충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인삼조성물의 피부 미백능 측정
2-1. 세포생존율 측정
1) 세포생존율 측정 과정
대식 세포(Macrophage)는 혈액 단핵세포로부터 분화한 조직 세포로, 염증 반응에서 방어적 역할을 담당한다. 대식 세포는 면역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며, 염증반응시에 nitric oxide(NO)와 tumor necrosis factor-(TNF-), interleukin (IL-6) 등의 cytokine을 생산하여 초기 감염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식 세포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는 in vitro 상에서 세포 상청액에 녹아있는 NO(일산화질소)의 양을 정량하는 것이 있다. NO의 양의 정량은 대식 세포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인 식균 작용과 관련된 간접적인 활성 측정의 한 방법으로, 주로 MTT assay와 병행하여 실행되며, 면역 활성 물질의 최초 적정 농도 설정이나 초기 활성 물질 분획의 검색에 많이 이용된다.
세포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RAW 264.7 cell을 배양시켜 실험에 이용하였다. RAW cell은 적당한 혈청을 첨가한 배지에서 성장, 분화할 수 있도록 안정화시킨 세포주로, Rat, Mouse 등의 쥐과 실험동물에서 추출한다. RAW Cell에 속하는 RAW 264.7 cell은 Mouse의 대식 세포주이다.
세포의 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10 % FBS, penicillin (10, 000 IU/ml) 및 streptomycin (10, 000 g/ml)을 첨가한 DMEM (high glucose) 배지이며, 4일마다 계대배양하였다.
또한 효소를 표식자로 삼고 혈청 면역 반응을 이용하여 항원 또는 항체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을 ELISA(Emzyme-LinKed ImmunoSpecific Assay, 효소면역분석법)라고 하며, ELISA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할 수 있는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의 측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배지 배양단계
96-well plate를 6개 준비하여 각 plate에 상기 배지를 주입하고 RAW 264.7 cell을 5×104 cell/well이 되도록 100 uL 접종한 후, 5 % CO2, 37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6개의 plate 중 1개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다른 plate와 분리하였다.
② 석류농축액 배양단계
배양된 배지 plate 중에서 대조군으로 설정된 plate를 제외한 5개의 plate에 석류농축액을 각각 25 ㎍/ml, 50 ㎍/ml, 100 ㎍/ml, 200 ㎍/ml, 400 ㎍/ml씩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③ 세포생존율 측정단계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를 이용하여 450 nm 하에서 대조군plate와 실험군 plate의 흡광도를 측정한 후, 대조군 plate와 실험군 plate의 O.D.를 비교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1
2) 세포생존율 측정 결과
하기의 [표 5]는 RAW 264.7 cell에 석류농축액과 인삼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24시간 후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0(ug/ml)
(대조군)
25(ug/ml) 50(ug/ml) 100(ug/ml) 200(ug/ml) 400(ug/ml)
석류농축액 100.00±0.02 117.15±4.48 118.72±3.50 125.30±3.21 123.84±1.73 127.93±0.72
인삼추출물 100.00±0.08 167.32±0.07 163.47±0.09 160.97±0.16 164.99±0.11 172.80±0.17
(단위 : %)
측정 결과, 석류농축액 및 인삼추출물 모두 대조군보다 세포생존율이 높았다.
석류농축액 실험에서는 세포생존율이 각각 200 ㎍/ml은 123.84 %, 100 ㎍/ml은 125.30 %, 50 ㎍/ml은 118.72 %, 25 ㎍/ml은 117.15 % 이며, 400 ㎍/ml 처리군의 세포생존율이 127.93 %로 가장 높았다.
인삼추출물 실험에서는 인삼추출물 함유량에 대한 세포생존율이 각각 25 ㎍/ml는 167.32 %, 200 ㎍/ml는 164.99 %, 50 ㎍/ml는 163.47 %, 100 ㎍/ml는 160.97 %이며, 400 ㎍/ml 처리군의 세포생존율이 172.80 %로 가장 높았다.
이로써 석류농축액 및 인삼추출물 모두 어떤 농도에서든 세포독성이 없고, 특히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이 감소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2-2. tyrosinase 활성 저해율 측정
1) tyrosinase 활성 저해율 측정 과정
tyrosinase는 tyrosine 같은 페놀의 산화를 촉매하는 효소이다. 아미노산인 tyrosine은 tyrosinase에 의하여 산화되어 3-4-dioxyphenylalanine(DOPA)를 거쳐 L-DOPA-quinone이 된다. L-DOPA-quinone은 5, 6-quinone-indole-2-carboxylic acid를 형성하며, 이것이 다시 산화 중합반응을 거쳐 최종적으로 피부 세포 등에서 흑갈색의 melanin을 형성한다. 따라서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을 띄는 천연물들은 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소재 발굴에 많은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tyrosinase 활성 저해율 측정은 dopachrome 방법을 이용하여 실행되었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96-well plate를 6개 준비하여 각 plate에 0.175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 100 uL을 주입하고, 여기에 25 ㎍/ml, 50 ㎍/ml, 100 ㎍/ml, 200 ㎍/ml, 400 ㎍/ml의 농도별로 희석한 석류농축액을 각각 20 L씩 첨가하였다. 6개의 plate 중 1개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다른 plate와 분리하였다.
② 0.175 M sodium phosphate buffer 에 녹인 1.5 mM L-DOPA 40 ㎕를 첨가하여 37 ℃에서 3분간 전반응시켰다.
③ 110 unit/ml tyrosinase 40 L와 혼합하여 37 ℃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반응물은 490 nm에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한 후, 대조군 plate와 실험군 plate의 O.D.를 비교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은 하기의 [수학식 2]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AA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응물의 흡광도이며, AB는 추출물과 tyrosinase 반응물의 흡광도이고, AC는 추출물과 tyrosinase, L-DOPA 혼합 반응물의 흡광도이며, AD는 tyrosinase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물의 흡광도이다.
2) tyrosinase 활성 저해율 측정 결과
하기의 [표 6]은 농도별로 처리된 석류농축액의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50(ug/ml) 100(ug/ml) 200(ug/ml) 400(ug/ml)
석류농축액 9.13±2.48 20.10±0.03 35.05±0.43 38.12±0.92
(단위 : %)
측정 결과, 석류농축액 농도에 따른 저해율은 200 ㎍/ml은 35.05 %, 100 ㎍/ml은 20.10 %, 50 ㎍/ml은 9.13 %의 활성 저해율을 보였으며, 400 ㎍/ml일 때 38.12 %로 가장 높은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을 보였다. 석류농축액 처리 농도를 높일수록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석류농축액은 농도의존적으로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2-3.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도 1은 gall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총 폴리페놀 함량의 표준곡선의 그래프이다. 도 2는 quercetin을 이용하여 작성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표준곡선의 그래프이다.
1)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과정
벤젠(C6H6) 고리의 수소 중 하나가 하이드록시기(-OH)로 치환된 물질을 페놀이라고 하는데, 하이드록시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물질을 '다가(多價)페놀', 즉폴리페놀(polyphenol)이라고 통틀어 부른다.
폴리페놀은 식물의 껍질, 표피, 씨앗 등에 포함된 색소, 떫은맛, 쓴맛 성분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 산소 등 외부 유해 요인으로부터 식물이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하여 가지고 있는 생체 방어 물질이다. 녹차에 들어 있는 카테킨, 커피에 포함되어 있는 클로로겐산, 딸기, 가지, 포도, 검은콩, 팥 등의 붉은색, 자색의 안토시아닌계 색소 등이 폴리페놀의 예이다.
폴리페놀은 인체 내에서도 항산화제로 작용한다. 또한 면역 기능을 높여주고 피부 미백 및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은 Singleton-Rossi(1965) 방법에 따라 실행되었다. Folin-Ciocalteu 시약이 시료의 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환원되어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표준물질로서 gall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계산하였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96-microwell plate를 1개 준비하여 석류농축액을 20 ul 주입하고, 여기에 20 % sodium carbonate 100 ul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5분간 정치하였다.
② 1.0 N Folin-Ciocalteu 시약을 100 ㎕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7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all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을 기준으로 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계산하였다.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과정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식품에 널리 분포하며 플라본(flavone)을 기본 구조로 갖는 노란색 계통의 색소로, 페닐기 2개가 C3 사슬을 매개하여 결합한 탄소골격구조로 되어 있다. 산성에서는 안전하여 색이 더욱 선명해지지만, 강한 알칼리에서는 그 구조가 변하여 짙은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한다.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독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폴리페놀과 동일하게 항산화제로 잘 알려져 있으며, 면역 기능을 높여주고 피부 미백 및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Bao 등(2005)의 방법으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실행하였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석류농축액 0.05~0.4 g에 70~80 % 메탄올(methanol)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② 메탄올을 가한 석류농축액 0.5~2.0 ml를 시험관에 취하고 5~15 ml의 diethylene glycol을 혼합하였다.
③ diethylene glycol을 혼합한 혼합액에 1 N NaOH 0.1 ml를 혼합하고 37 ℃의 water bath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를 위해 석류농축액 대신 50 % 메탄올(methanol) 용액을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며, 첨부된 도면의 도 2의 gall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한 총 폴리페놀 함량의 표준곡선 그래프 및 도 3의 quercetin을 이용하여 작성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표준곡선 그래프를 기준으로 함량을 작성하였다.
3)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
하기의 [표 7]은 석류추출물과 인삼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석류추출물 39.03±1.72 7.11±0.45
인삼추출물 37.97±1.48 10.33±0.35
(단위 : mg/g)
측정 결과, 석류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9.03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11 mg/g으로 나타났으며, 인삼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7.07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33 mg/g으로 나타났다.
석류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인삼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보다 높고, 인삼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석류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보다 높으나, 모두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이로써 석류추출물과 인삼추출물을 함께 이용하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효능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석류를 분쇄하여 에탄올에서 냉침하여 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석류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
    인삼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석류농축액 0.1~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2. 석류를 분쇄하여 에탄올에서 냉침하여 추출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석류농축액을 생성하는 단계;
    인삼농축액 또는 분말과 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1:2.5~3.5 비율로 반응하여 인삼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인삼 포접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석류농축액 0.1~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인삼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인삼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인삼조성물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한 건강기능식품.
KR20120156421A 2012-12-28 2012-12-28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KR101487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6421A KR101487942B1 (ko) 2012-12-28 2012-12-28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6421A KR101487942B1 (ko) 2012-12-28 2012-12-28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214A true KR20140086214A (ko) 2014-07-08
KR101487942B1 KR101487942B1 (ko) 2015-01-29

Family

ID=5173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6421A KR101487942B1 (ko) 2012-12-28 2012-12-28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2240A (zh) * 2016-10-19 2017-05-24 广州赛莱拉干细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物及其应用、含有该组合物的化妆品
CN114558043A (zh) * 2022-03-11 2022-05-31 江南大学 一种高人参皂苷利用度的人参组合物的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2240A (zh) * 2016-10-19 2017-05-24 广州赛莱拉干细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物及其应用、含有该组合物的化妆品
CN114558043A (zh) * 2022-03-11 2022-05-31 江南大学 一种高人参皂苷利用度的人参组合物的制备方法
CN114558043B (zh) * 2022-03-11 2022-12-13 江南大学 一种高人参皂苷利用度的人参组合物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942B1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740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90083082A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1839407B1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090083083A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JP5427921B2 (ja) バラ胎座組織培養物またはそ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機能性食品、ならびに抗酸化用組成物
KR102355143B1 (ko) 대추씨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487942B1 (ko)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KR20180098736A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40086747A (ko)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895572B1 (ko)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7133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69906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1695781B1 (ko) 층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355138B1 (ko)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90725B1 (ko) 나도풍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48351B1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인간 피부세포의 세포사멸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