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083A -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083A
KR20090083083A KR1020080009033A KR20080009033A KR20090083083A KR 20090083083 A KR20090083083 A KR 20090083083A KR 1020080009033 A KR1020080009033 A KR 1020080009033A KR 20080009033 A KR20080009033 A KR 20080009033A KR 20090083083 A KR20090083083 A KR 20090083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chid
skin
extract
mushroom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981B1 (ko
Inventor
하서은
진무현
최재환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0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9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난초를 버섯균으로 발효시킨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및/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을 위한 난초의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그에 의하여 제조된 난초의 버섯균 발효 추출물,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발효 추출물, 미백, 멜라닌, 노화, 주름개선, 콜라겐, 염증완화, 피부장벽, 난초, 풍란, 죽백란, 제주 한란, 석곡(장생란)

Description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Compositions comprising fermentative extract of Orchidaceae for improving functions of skin}
본 발명은 난초를 버섯균으로 발효시킨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및/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을 위한 난초의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난초의 버섯균 발효 추출물,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난초는 외떡잎식물 중에서 가장 진화된 식물군으로,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이 피는 종으로 세계에 약 700속 2만 5000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 자생종은 39속 84종이다.  난초는 양극지방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자라며, 특히 열대지방의 운무림(雲霧林)에서 많이 자라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예로부터 난초는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을 만큼 다양한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수분 보 유능이 우수하고 미백 효과가 있어 화장품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제공개 특허 WO 2004/093839는 백란, 특히 팔레놉시스 아마빌리스 난초의 지상부로부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특성을 갖는 화장품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난초 추출물을 피부 적용 시 피부 자극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기존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새로운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한편,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발효라고 한다.  발효와 부패는 비슷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지만 분해 결과 우리의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 하고, 악취가 나거나 유해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부패라고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노력하였는바, 난초 추출물을 발효시키는 경우 난초의 독성이 감소되고, 저분자화되어 소화가 용이하며, 피부에 도포시 경피흡수 등이 용이하게 되어 생체 이용률이 향상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난초추출물은 그 자체로도 효능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발효를 통해 효능 효과가 더욱 강화되고 미생물의 대사에 의해 이로운 성분들이 만들어져 발효전의 추출물에 없던 새로운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난초의 효능 및 효과를 더욱 강화시키고자 난초를 버섯균으로 발효시킨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을 위한 난초의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난초의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난초의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멜라닌합성을 저해하고 프로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며 자외선에 대한 피부 손상 방지 및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피부 장벽 기능 회복을 강화하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난초를 버섯균으로 발효시킨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및/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을 위한 난초의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초는 난과(Orchid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아칸토피피움 블룸속(Acanthophippium Blume), 아시안터스속(Acianthus), 아이리데스 속(Aerides), 앙그라이쿰속(Angraecum), 아미토스티그마속(Amitostigma),  아노엑토실러스속(Anoectochilus), 안셀리아속(Ansellia), 아플렉트럼속(Aplectrum), 아레테사속(Arethusa), 아룬디나 블룸속(Arundina Blume), 아스코켄트룸속(Ascocentrum), 브라시아속(Brassia), 벨티라속(Beltilla), 불보필럼속(Bulbophyllum), 칼란테속(Calanthe), 칼립소속(Calypso), 케틀레야속(Cattleya), 세파란테라속(Cephalanthera),  코엘로지네속(Coelogyne),  코에로그로숨속(Coeloglossum),  코렐로이자속(Corallorhiza), 크레마스트라속(Cremastra), 심비디움속(Cymbidium), 시프리페디움속(Cypripedium), 크리토포디움속(Crytopodium), 덴드로비움속(Dendrobium), 엘레오르키스속(Eleorchis), 에피덴드럼속(Epidendrum), 에피포기움속(Epipogium), 에리아속(Eria), 유로피아속(Eulophia), 갈레올라속(Galeola), 구우디에라속(Goodyera), 게오도룸속(Geodorum), 짐나데니아속(Gymnadenia), 하베나리아속(Habenaria), 한코키아속(Hancockia), 허미니움속(Herminium), 키티고르키스속(Kitigorchis), 라일리아속(Linaria), 리파리스속(Liparis), 리스테라속(Listera), 리카스테속(Lycaste), 마코드스속(Macodes), 말라시스 솔란드속(Malaxis Soland.), 마이크로스타일리스속(Microstylis), 네오피네티아속(Neofinetia), 네오띠아속(Neottia), 온시디움속(Oncidium), 오레오르키스속(Oreorchis), 팔라에높시스속(Phalaenopsis), 프라그모페딜룸속(Phagmopedium), 폴리도타속(Pholidota), 플라탄테라속(Platanthera), 포고니아속(Pogonia), 린코스타일리스속(Rhynchostylis), 사르칸투스속(Sarcanthus), 스피란터스속(Spiranthes), 스파쏘글로티스 블룸속(Spathoglottis Blume), 티푸라리아속(Tipularia), 타이니아속(Tainia), 반다속(Vanda), 벡실라비움속(Vexillabium), 지고페탈룸속(Zygopetalum) 등의 속(genus)에 속하는 난초과 식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에서는 죽백란(Cymbidium lancifolium), 제주 한란(Cymbidium orchids), 석곡(장생란) (Dendrobium) 및 풍란(Neofinetia falcata)의 난초과 식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죽백란(Cymbidium lancifolium)은 난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돈란이라고도 한다.  산 중턱 숲속에서 자라며, 마디 부분과 잎이 대나무와 비슷하여 죽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죽백란은 햇볕에 강하고 꽃이 아름다워 관상적 가치가 크며, 주로 한국(제주도 한라산)에 분포한다.  상기 제주 한란(Cymbidium orchids)은 천연기념물 제191호로 상록 여러해살이풀로서, 난초 중에서 가장 귀중한 종으로 제주 남쪽 산허리 일대에서 자생한다.  상기 석곡(Dendrobium)은 난과의 2번째로 큰 속으로 다년생 초본식물로 바위나 죽은 나무 줄기에 붙어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약재로 쓰는데, 해열 및 진통 작용이 있으며, 백내장에 효과가 있고, 건위제 및 강장제로 사용한다.  석곡은 주로 한국(제주, 전남, 경북), 일본 및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풍란(Neofinetia falcata)은 조란(弔蘭)이라고도 하며, 나무줄기와 바위 겉에 붙어서 자라는 착생란으로 높이 3∼15cm의 짧은 줄기 몇 개가 모여서 함께 자라며, 잎은 좌우 2줄로 빽빽이 나고 넓은 줄 모양이다.  잎은 딱딱하고 2개로 접히며 윗부분은 뒤로 젖혀지고 밑에 환절이 있다.  순백색의 꽃이 7월에 피고, 한국(남쪽 섬) 및 일본에 주로 분포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난초는 야생종 또는 인간에 의하여 재배(예를 들면 하우스 재배, 이식 재배)된 것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난초는 난초의 다양한 기관(예로, 꽃, 줄기 또는 잎, 뿌리 등)을 사용하거나 또는 난초 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버섯균은 식용으로 가능한 버섯균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차가버섯(Inonnotus - obliquus), 동충하초균류(Cordyceps sinensis , Paecilomyces japonica),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또는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을 말한다.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은 난초를 버섯균으로 발효하여 추출하는 단계, 구체적으로는 난초를 버섯균으로 발효하여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물을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효 및 추출 방법은 당해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난초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잘게 분쇄하고 멸균한 후, 이에 버섯균을 접종하여 적정한 온도 및 습도에서 적정한 시간 동안 발효시킨 다음, 이들 발효물로부터 당해 분야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추출을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난초의 버섯균에 의한 적정 온도는 18 내지 25℃이며, 적정 습도는 60 내지 80%이며, 적정 시간은 1일 내지 100일이다.  상기 추출의 구체적 방법은 예를 들면, 물이나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로, 메탄 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로 환류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 50 내지 100℃, 1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이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이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전형적으로 발효물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배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이다.  또한,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1회 이상 추출한 추출액을 혼합하고, 이를 감압 농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발효 및 추출 과정에서 난초를 버섯균으로 발효하기 이전에 난초에 접종된 버섯균이 잘 배양되도록 난초의 수분 함량을 40 내지 60 중량%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버섯균을 접종하기 이전에 수분 함량이 적절하게 조절된 난초를 멸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멸균 방법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어떠한 멸균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압 멸균 방법, 고온 멸균 방법 및 저온 멸균 방법을 통하여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121℃에서 15분간 습윤 멸균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 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은 발효에 의하지 않은 난초 추출물에 비하여 세포 수준의 독성 농도가 높아 피부 자극이 작았으며(실험예 1), 멜라닌 종양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실험예 2),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실험예 3),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각질세포의 생존율이 현저하게 높았으며(실험예 4),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 반응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실험예 5), 무모쥐에서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실험예 6).  따라서,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피부 보호 및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및 개선 효과, 자외선에 의한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효과, 및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피부 보호 및 개선 효과는 외부로부터의 유해한 자극이나 대기 오염, 스트레스, 질병 등의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는 것을 말하며, 특히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손상을 보호하고 피부의 염증 반응을 완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피부 미백 효과는 피부 내의 멜라닌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내의 과도한 멜라닌 합성으로 인한 피부색이 어두워지고, 기미 또는 주근깨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및 개선 효과는 생체 내외의 유해환경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이로 인한 피부내 세포의 기능 상실 등으로 인한 피부의 일정 부위 침하 현상(노화 및 주름)을 예방 및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효과는 손상된 지질 장벽의 회복을 자극시켜 정상적인 건강한 지질 장벽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에 사용된 난초 및 버섯균은 오래 전부터 사용해오던 재료로서 자체의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은 독성에 대한 염려 없이 화장품 및 기능성 식품 등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화된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전체 조성 물의 중량에서 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한다.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바디 오일, 바디 젤, 바디 에센스, 샴푸, 린스, 바디 세정제, 비누, 염모제, 분무제,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은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난초 추출물에 비하여 피부 보호 및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및 개선 효과,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효과, 및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효과 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안전하게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화된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으로 곡류, 감자류, 두류, 채소류, 과일류, 어패류, 육류, 우유류, 해조류 등의 천연식품; 또는 빵류, 과자류, 라면, 아이스크림 등의 가공식품; 또는 음료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은 피부 보호 및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및 개선 효과,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효과, 또는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식품 전체 중량의 0.0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는 100㎖를 기준으로 0.01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이 첨가된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는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 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이 있다.  상기의 향미제로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등의 천연 향미제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식품 및 음료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100 중량% 당 0 내지 약 2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은 식품에 직접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대상 식품을 직접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에 침지하거나 식품에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분무하는 방법으로 피부 보호 및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및 개선 효과,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효과, 및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안전하게 식품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초의 버섯균 발효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고, 콜라겐 합성을 효과적으로 촉진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며, 주름 개선 효과 및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내며, 자외선에 대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 또는 염증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및 염증반응 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장벽 기능 회복 강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은 피부 보호 또는 개선용, 피부 미백용, 피부 노화 및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및 염증완화용, 피부 장벽 기능 회복 강화용으로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난초 추출물의 제조
시판되는 죽백란, 제주 한란, 석곡(장생란), 풍란을 구입(대한민국 대전시 유성구에 소재하는 대성화원)한 후, 이들을 각각 분쇄하고, 이들 각각의 분쇄물 200g을하정제수나 80% 메탄올 3L에 각각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추출기에서 3시간 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100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합하여 상온에서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건조 중량을 얻었다.  하기 표 1은 추출용매에 따른 난초 100g당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나타낸 것이다.
난초 80% 메탄올 정제수
죽백란 15.5g 14.3g
제주한란 15.4g 14.7g
석곡 15.2g 14.6g
풍란 15.4g 14.0g
실시예 2: 난초의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제조
시판되는 죽백란, 제주 한란, 석곡(장생란), 풍란을 에서 구입(대한민국 대전시 유성구에 소재하는 대성화원)한 후, 이를 분쇄하고 121℃에서 15분간 습윤 멸균하였다.  이들 각각의 분쇄물 200g에 버섯균인 파에실로미세스 야포니카(Paecilomyces japonica)를 5 중량%로 첨가하고, 18 내지 25℃, 습도 60 내지 70%에서 60일간 발효시킨 후, 건조시킨 다음, 이를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 100g씩을 80% 메탄올 3L에 각각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추출기에서 3시간 끊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1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건조중량 (g)
죽백란 11.89
제주한란 11.71
석곡 11.81
풍란 11.83
실험예 1: 피부 자극 감소 효과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난초 추출물 및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 독성을 비교 실험하여 피부 자극에 대한 실험을 유추하고자 하였다.  먼저 난초 추출물 및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들을 최종 농도가 0.1% 내지 0.0001%가 되도록 각각 섬유아세포 배지에 첨가하여 2일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MTT Solution을 처리한 다음, 37℃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MTT 시약을 버리고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가하여 30분간 배양하여 세포를 깨뜨리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한 결과에 따른 세포 독성 농도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세포 독성 농도(%)
실시예1 죽백란 0.001
제주한란
석곡
풍란
실시예2 죽백란 0.01
제주한란
석곡
풍란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실시예 2)은 난초 추출물(실시예 1)과 비교하여 배양된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이 낮아짐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세포 독성이 높은 물질이 피부자극도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발효가 되면 피부 자극도 낮게 나올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실험예 2: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마우스 유래 악성 멜라닌 종양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멜라닌 합성저해 효과를 실험하였다(Lotan R., Lotan D. Cancer Res. 40:3345-3350, 1980).
먼저,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최종농도가 0.05%가 되도록 하여 하이드로퀴논 수용액과 함께 각각 악성 멜라닌 종양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트립신을 처리하여 세포들을 배양 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용액(1N농도) 1ml을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0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수당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을 3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군으로 상기 실시예 1의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은 난초 추출물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저해율 (%)
대조군 (무첨가) -
실시예 1(석곡) 40
실시예 2(석곡) 55
하이드로퀴논(최종농도 0.0001 %) 47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실시예 2)은 일반 추출물인 실시예 1의 난초 추출물과 비교하여 배양된 악성 멜라닌 종양 세포에서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 저해가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
상기 실시예 1의 난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효과를 실험하였다.  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Ⅰ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난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최종농도가 0.05 %가 되도록 각각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 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Kit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 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대조군), 비타민 C를 최종농도 0.005 %가 되도록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합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성량은 UV 흡광도로 측정하고, 콜라겐 생성 증가율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콜라겐 생성량의 비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시료 증가율 (%)
대조군 (무첨가) -
실시예 1(석곡) 123.15
실시예 2(석곡) 150.56
비타민 C (최종농도 0.005 %) 135.73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실시예 2)은 대조군 및 실시예 1의 난초 추출물을 사용한 것 보다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성량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전혀 정제되지 않은 상태임을 감안하면 기존에 알려진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인 비타민 C와 비교할 때 섬유아세포에서 매우 강력한 콜라겐 합성 촉진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부주름 개선제나 상처치유제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지외선 손상에 대한 피부 각질세포 보호효과
상기 실시예 1의 난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피부 각질세포주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자외선에 대한 피부 각질세포 보호효과를 실험하였다.  25mJ/cm2의 UVB를 조사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의 난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최종농도가 0.05 % 되도록 각각 피부각질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 일간 배양한 후, MTT분석법으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피부각질세포의 배양배지(대조군), WY14643 처리군을 최종농도 200uM가 되도록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 생존 정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UV 흡광도로 측정하고, 콜라겐 생성 증가율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생존률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 생존율 (%)
정상군 -
대조군 (무첨가) -78
실시예 1(풍란) -52
실시예 2(풍란) -35
WY14643 (최종농도 200uM) -44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실시예 2)은 대조군 및 난초 추출물을 사용한 것 보다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각질세포의 생존율이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각질세포에서 지외선 조사로 인한 염증반응 감소 효과
상기 실시예 1의 난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피부 각질세포주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자외선에 대한 피부 각질세포의 염증반응 감소 효과를 실험하였다.  25mJ/cm2의 UVB를 조사하고, 상기 실시예 1 의 난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최종농도가 0.05% 되도록 각각 피부각질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 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수거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TNF-a의 양을 ELISA로 측정하였다.  이때,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피부각질세포의 배양배지(대조군), WY14643처리군 을 최종농도 200uM가 되도록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TNF-a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TNF-a 분비량 증가율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분비량으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 7에 정리하였다.
시료 분비량 (%)
정상군 -68
대조군 (무첨가) -
실시예 1(석곡) -27
실시예 2(석곡) -35
WY14643 (최종농도 20uM) -45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실시예 2)은 대조군 및 난초 추출물을 사용한 것 보다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TNF-a 분비량은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피부장벽 기능 회복 강화 효과
상기 실시예 1의 난초 추출물 및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피부 장벽 기능 회복 강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모쥐에서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먼저, 생후 8-12주령의 무모유도생쥐의 등 양쪽의 수분 증발량을 TEWL 장치로 측정한 후, 동일한 위치에 스카치 테이프를 붙였다 떼어 붙이는 것을 15-20회 정도 반복하면서 수분 증발량이 40-50g/hm2정도에 이를 때까지 반복하였다.  이후, 2%의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수득된 각 난초 추출물 및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각각 손상직후, 6시간 후, 12시간 후에 도포하였고, 다른 한쪽 등에는 아무것도 도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여 피부 장벽의 복원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시료 회복정도 (%)
대조군 (비처리) -
실시예 1(풍란) 27
실시예 2(풍란) 40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실시예 2)은 대조군 및 난초 추출물을 사용한 것 보다 피부 장벽의 복원에 따른 수분증발량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에센스 제조
원 료 명 제조예 1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밀납 스쿠알란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디메틸실록산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향료 색소 난초 발효추출물 메칠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정제수 1.0 1.0 0.5 6.0 3.0 0.3 0.5 8.0 5.0 0.2 0.2 0.22 적량 적량 10.0 2 1 to 100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 표 9의 처방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단위는 중량%이다).
제조예 2: 로션 제조
원 료 명 제조예 2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밀납 스테아린산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미카데미아오일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디메틸실록산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베타민 카르복시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향료 색소 난초 발효추출물 메칠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정제수 0.8 1.0 0.5 0.5 8.0 4.0 2.0 2.0 0.3 0.5 1.2 4.0 4.0 4.0 0.12 0.15 적량 적량 5 0.2 0.1 to 100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 표 10의 처방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단위는 중량%이다).
제조예 3: 크림 제조
원 료 명 제조예 3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밀납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정제 호호바유 디메틸실록산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산탄검 트리에탄올아민 향료 색소 난초 발효추출물 메칠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정제수 3.0 1.5 1.5 0.5 6.0 8.0 4.0 4.0 0.3 1.0 1.2 8.0 4.0 4.0 0.06 0.10 적량 적량 5 0.25 0.1 to 100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 표 11의 처방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는 중량%이다).
제조예 4: 젤 제조
원 료 명 제조예 4
중량%(w/w)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 카르복시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향료 색소 난초 발효추출물 메칠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정제수 5.0 5.0 10 0.2 0.30 0.30 적량 적량 10 0.25 0.1 to 100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 표 12의 처방으로 젤을 제조하였다(단위는 중량%이다).
제조예 5: 연고 제조
원 료 명 제조예 5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콜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밀납 스쿠알란 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폴리솔베이트 80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향료 색소 난초 발효 추출물 메칠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정제수 2.0 2.0 1.0 4.0 8.0 4.0 2.0 3.0 5.0 4.0 적량 적량 10 0.25 0.1 to 100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 표 13의 처방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단위는 중량%이다).
제조예 6.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1~15 중량%로 통상적인 조리용 양념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0.2~1.0 중량%로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3.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0.5~5.0 중량%로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0.1~5.0 중량%로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10 중량%로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5~10 중량%로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 및 농축하고, 분무 또는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난초 발효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종실류(검정콩 8중량%, 들깨 7중량%, 검정깨 7중량%)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건조분말(3 중량%)
영지(0.5중량%)
지황(0.5중량%)
제조예 7.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 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4.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 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조제예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면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난초를 버섯균으로 발효시킨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을 위한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초는 죽백란, 제주 한란, 석곡(장생란) 및 풍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균은 차가버섯균(Inonnotus - obliquus), 동충하초균류(Cordyceps sinensis , Paecilomyces japonica), 송이버섯균(Tricholoma matsutake), 상황버섯균(Phellinus linteus), 영지버섯균(Ganoderma lucid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버섯균인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용매로부터 추출하는 것인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
  6. 제5항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서 0.0001 내지 20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바디 오일, 바디 젤, 바디 에센스, 샴푸, 린스, 바디 세정제, 비누, 염모제, 분무제 및 오일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제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10. 제5항의 난초 버섯균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품.
KR1020080009033A 2008-01-29 2008-01-29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145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33A KR101451981B1 (ko) 2008-01-29 2008-01-29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33A KR101451981B1 (ko) 2008-01-29 2008-01-29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83A true KR20090083083A (ko) 2009-08-03
KR101451981B1 KR101451981B1 (ko) 2014-10-21

Family

ID=4120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033A KR101451981B1 (ko) 2008-01-29 2008-01-29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98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21B1 (ko) * 2009-06-04 2011-05-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100678B1 (ko) * 2009-06-04 2012-01-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431127A (zh) * 2013-09-25 2013-12-11 福建古农堂生物科技有限公司 石斛茶及其制备方法
CN104188038A (zh) * 2014-07-29 2014-12-10 汤兴华 一种养颜美容石斛冲剂
CN104207131A (zh) * 2014-09-26 2014-12-17 安徽新津铁皮石斛开发有限公司 蟹肉奶香味铁皮石斛超微粉冲剂及其制备方法
CN104305174A (zh) * 2014-09-26 2015-01-28 安徽新津铁皮石斛开发有限公司 荷花绿豆清香铁皮石斛超微粉冲剂及其制备方法
CN104305175A (zh) * 2014-09-26 2015-01-28 安徽新津铁皮石斛开发有限公司 椰蓉山楂味铁皮石斛超微粉冲剂及其制备方法
US9192643B2 (en) 2011-09-14 2015-11-24 Nefeli Corp. Herbal skin care composition
CN105077143A (zh) * 2015-09-17 2015-11-25 合肥微信片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石斛的调味品
CN105900695A (zh) * 2016-06-28 2016-08-31 黄秀英 以铁皮石斛为培养基制备虫草菌丝体
CN105919897A (zh) * 2016-06-21 2016-09-07 陆锦满 一种铁皮石斛提取液制备的爽身液
US9585926B2 (en) 2011-12-23 2017-03-07 Nefeli Corporation Astragalus seed extract solution and its use for treating skin disorders and conditions
KR20180053828A (ko) *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풍란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풍란 추출물, 및 상기 풍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073B1 (ko) * 1999-09-14 2006-07-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삼칠 추출물, 첨과 추출물 및 석곡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 종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2B1 (ko) * 2001-07-05 2007-12-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848001B1 (ko) * 2004-04-30 2008-07-23 (주)아모레퍼시픽 풍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9298B1 (ko) 2004-08-16 2005-12-28 주식회사 태평양 인플라메이징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678B1 (ko) * 2009-06-04 2012-01-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33921B1 (ko) * 2009-06-04 2011-05-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US9192643B2 (en) 2011-09-14 2015-11-24 Nefeli Corp. Herbal skin care composition
US9272012B1 (en) 2011-09-14 2016-03-01 Nefeli Corp. Herbal skin care composition
US9585926B2 (en) 2011-12-23 2017-03-07 Nefeli Corporation Astragalus seed extract solution and its use for treating skin disorders and conditions
CN103431127A (zh) * 2013-09-25 2013-12-11 福建古农堂生物科技有限公司 石斛茶及其制备方法
CN104188038A (zh) * 2014-07-29 2014-12-10 汤兴华 一种养颜美容石斛冲剂
CN104305175A (zh) * 2014-09-26 2015-01-28 安徽新津铁皮石斛开发有限公司 椰蓉山楂味铁皮石斛超微粉冲剂及其制备方法
CN104305174A (zh) * 2014-09-26 2015-01-28 安徽新津铁皮石斛开发有限公司 荷花绿豆清香铁皮石斛超微粉冲剂及其制备方法
CN104207131A (zh) * 2014-09-26 2014-12-17 安徽新津铁皮石斛开发有限公司 蟹肉奶香味铁皮石斛超微粉冲剂及其制备方法
CN105077143A (zh) * 2015-09-17 2015-11-25 合肥微信片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石斛的调味品
CN105919897A (zh) * 2016-06-21 2016-09-07 陆锦满 一种铁皮石斛提取液制备的爽身液
CN105900695A (zh) * 2016-06-28 2016-08-31 黄秀英 以铁皮石斛为培养基制备虫草菌丝体
CN105900695B (zh) * 2016-06-28 2019-03-01 广西壮仁堂生物科技有限公司 以铁皮石斛为培养基制备虫草菌丝体
KR20180053828A (ko) *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풍란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풍란 추출물, 및 상기 풍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981B1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745B1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1451981B1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861043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43200B1 (ko) 상동나무 열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21502953A (ja) ツボクサ不定根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及びシワ改善用化粧料組成物
KR20170074821A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07921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21024B1 (ko)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95521B1 (ko) 꾸지뽕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2319701B1 (ko)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7708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135245A (ko) 갯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미백 개선용 조성물
KR102167319B1 (ko)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1487942B1 (ko)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KR102100989B1 (ko) 구절초 및 발효옻을 이용한 이너뷰티 음료의 제조방법
KR102178096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96703B1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40B1 (ko) 튤립 잎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및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25129B1 (ko) 미숙 자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57593B1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필라그린 활성이 우수한 피부장벽 강화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