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407B1 -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407B1
KR101839407B1 KR1020150160512A KR20150160512A KR101839407B1 KR 101839407 B1 KR101839407 B1 KR 101839407B1 KR 1020150160512 A KR1020150160512 A KR 1020150160512A KR 20150160512 A KR20150160512 A KR 20150160512A KR 101839407 B1 KR101839407 B1 KR 101839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ctivity
tyrosinase
elast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979A (ko
Inventor
엄병헌
김우리
이주영
김수남
신명숙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0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4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개다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종래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티로시나아제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코직산과 유사한 미백 효능을 나타냄으로써 고가의 단일물질인 코직산에 비해 경제성 및 경쟁력이 높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CTINIDIA POLYGAMA EXTRACT FOR IMPROVING SKIN WHITENING OR WRINKLE}
본 명세서에는 개다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특히 유럽을 비롯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화장품 관련 기업에서는 식물 추출물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수 많은 식물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대표적으로는 보습제를 겨냥한 추출물, 피부 화이트닝 효능을 갖는 추출물, 피부 노화 방지 기능을 갖는 추출물, 잔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추출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추출물들이 천연물의 추출 기술을 통하여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피부 노화 예방 및 주름 개선 그리고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에 관한 기술들이 많은 논문과 특허들로부터 발표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피부 주름 형성에 관련이 있는 결합 조직은 주로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 세망 섬유(reticular fiber), 엘라스틴 섬유(elastic fiber) 등의 섬유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 조직 내에 있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어 작용함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섬유 조직이다. 구체적으로, 엘라스틴은 피부의 탄력성을 좌우하는 주요 섬유 조직으로서, 그 양은 약 2% 정도로 적은 양이지만 표피를 지탱하는 연결망 조직을 형성하고 있어 피부 탄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엘라스틴은 엘라스타제(Elastase)라는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며, 18~19세까지는 섬유아세포에 의해 계속 생성되지만 그 이후부터는 생성이 중단되고 이미 생성된 엘라스틴만으로 피부 탄력을 담당해야 하므로 엘라스틴이 한번 약화되면 그 탄력성을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엘라스타제는 피부 탄력을 유지해 주는 동물 결합조직의 불용성 탄성섬유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유일한 분해효소로 알려져 있다(Wiedow, O., Schroder, J. M., E. J. Biol. Chem., 265(5), p14791, 1990). 엘라스타제는 연령이 증가하거나 자외선 등의 외부 피부자극에 의해 과잉생성되는데, 과잉생성된 엘라스타제가 엘라스틴을 과도하게 분해하여 결국 콜라겐 간 결합이 약화되고 피부에 주름이 생성된다. 특히 40대 이후에서 엘라스타제의 작용에 의해 피부의 탄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엘라스타제의 작용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활발해져 엘라스틴 섬유가 일부 소멸되거나 응집 현상이 나타나고, 콜라겐 섬유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즉,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엘라스타제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는 피부 주름 생성의 주요 요인이므로, 엘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효소인 엘라스타제 활성에 대한 저해능은 피부 주름 개선을 근본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Bissett, D. L., Photochem. Photobiol., 46, pp367-378, 1987 ; Bizot-Foulon V., Godeat G., W. Int. J. Cos. Sci., 17, pp255-264, 1995).
주름 개선 물질로는 레티노이드, 아데노신, 동물 태반 유래 단백질, 클로렐라 추출물, 빈랑자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레티놀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엘라스타제 효소를 저해하는 물질이지만 불안정하고 피부에 적용 시 자극, 발작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사람의 피부색은 크게 멜라닌의 양, 헤모글로빈, 카로틴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보호 작용[자외선 흡수 작용, 자유 라디칼 소거(Free Radical Scavenger)]의 역할을 하지만 자외선의 과량 노출, 대기오염, 스트레스 등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과다하게 피부 내에 생성되면 색소 침착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피부색이 검게 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이 된다. 상기 외부 자극 요인 중 자외선은 가장 큰 멜라닌 생합성 자극원으로서,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자외선은 멜라닌 생성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의 활성 촉진, 멜라닌 생합성 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 멜라닌의 산화 촉진, 또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촉진 등을 통해 멜라닌 과다 생성을 유도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멜라닌 생성 메카니즘의 가장 큰 특징은 티로시나아제라는 단 한 개의 효소가 관여한다는 것으로, 상기 티로시아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방지하게 되면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미백제는 멜라닌 생합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양을 줄이는 것이 대부분이다. 구체적으로, 타이로시나제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하이드록시아니솔(hydroxyanisole), 아스코르빅산(ascorbic acid) 유도체, 코직산(kojic acid), 아제락산(azelaic acid), 코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레티노이드(retinoids), 아부틴(arbutin) 등이 있으나, 안전성, 경제성 등의 문제로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하이드록시아니솔 및 하이드로퀴논 등은 강력한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은 있으나 동시에 색소 세포의 변성 또는 치사를 유발하고 세포 본래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코직산은 사용 중의 변색, 물질 자체의 불안정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개다래(Actinidia polygama)는 한국, 시베리아, 일본이 원산지로서, 이와 유사한 종으로 다래속(Actinidia)에 속하는 30종 이상의 식물이 보고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다래(A. arguta), 쥐다래(A. kolomikta), 섬다래(A. rupa)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키위로 알려진 참다래(A. chinensis or A. deliciosa) 역시 다래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이 중 쥐다래와 개다래는 잎모양과 꽃모양이 유사하여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쥐다래는 줄기 종단면의 수가 갈색의 계단상인 것에 반하여, 개다래는 줄기 단면의 수가 백색이며 계단상이 아닌 것으로 구분이 된다. 다래속에 속하는 모든 식물이 동일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이에 따라 선행문헌은 다래속 식물의 구체적인 효능에 대해 연구하여 왔으나, 개다래 추출물과 쥐다래 추출물의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999-0058669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개다래 및 쥐다래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개다래 및 쥐다래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Actinidia polygama) 추출물 및 쥐다래(Actinidia kolomikta)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Actinidia polygama) 추출물 및 쥐다래(Actinidia kolomikta)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개다래 및 쥐다래 중 하나 이상의 식물의 잎,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염화메틸렌,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 및 쥐다래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종래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티로시나아제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코직산과 유사한 미백 효능을 나타냄으로써 고가의 단일물질인 코직산에 비해 경제성 및 경쟁력이 높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 및 쥐다래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종래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 따라 개다래 잎의 지표 성분 및 항산화 성분 분석을 확인하기 위해 온라인 항산화 HPLC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 따라 개다래 줄기의 지표 성분 및 항산화 성분 분석을 확인하기 위해 온라인 항산화 HPLC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 따라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선행기술에 따른 추출물들의 주름 억제 활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 따라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선행기술에 따른 빈랑자 추출물의 농도별 주름 억제 활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 따라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선행기술에 따른 추출물들의 미백 활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 따라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코직산의 미백 활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 따라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트롤록스 (Trolox)의 농도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 따라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트롤록스 (Trolox)의 농도별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Actinidia polygama) 추출물 및 쥐다래(Actinidia kolomikta)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Actinidia polygama) 추출물 및 쥐다래(Actinidia kolomikta)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Actinidia polygama) 추출물 및 쥐다래(Actinidia kolomikta)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다래 및 쥐다래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또는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과다 생성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증가로 피부에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흑색종,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Actinidia polygama) 추출물 및 쥐다래(Actinidia kolomikta)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Actinidia polygama) 추출물 및 쥐다래(Actinidia kolomikta)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개다래(Actinidia polygama) 추출물 및 쥐다래(Actinidia kolomikta)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다래 및 쥐다래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엘라스타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주름 생성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고 피부 탄력을 유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 등과 함께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개다래(Actinidia polygama)는 우리나라 각처의 100~1,500m 정도 되는 산지에서 자라는 다래나무과(Actinidiaceae) 다래나무속(Actinidia)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이다.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5m에 달하고, 작은 가지는 어릴 때 연갈색 털이 있고, 잎은 난형으로 길이는 8~14㎝, 폭은 3.5~8㎝로 어긋나고, 표면이 처음엔 녹색이지만 꽃이 필 무렵에는 흰색 혹은 녹색과 흰색이 같이 있으며 씨가 맺히면 붉은색에서 다시 녹색으로 변한다. 꽃은 백색으로 지름이 1.5㎝로 가지 윗부분의 잎자루에 달리며 한 꽃줄기에서 1~3개씩 피고 향기가 있다. 열매는 9~10월경에 달리고 타원형이며 길이는 약 3㎝ 정도이고 과육은 혀가 아릴 정도이며 단맛은 없다. 벌레가 붙어 이상한 모양으로 달린 열매는 약용으로 쓰인다. 개다래의 잎은 식물이 곤충을 속이는 형태를 보여주는 식물로서, 흰꽃이 피기 전 하얀 페인트를 칠한 듯한 모양을 볼 수 있는데 이 하얀 나뭇잎 때문에 수분 매개충들이 모여 들고, 벌레들은 모여서 기생하는 벌레집으로 변하고 그 속에 벌레가 약효를 더한다. 민간에서는 개다래와 매우 유사한 종인 쥐다래(A. kolomikta)가 그 꽃모양과 잎모양이 비슷하여 혼용되어 사용하여 왔고, 개다래는 줄기 단면 모양이 계단상이 아니고 흰색인 것으로서, 줄기 단면의 모양이 계단상이고 갈색인 쥐다래와 구분이 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다래(A. polygama), 쥐다래(A. kolomikta)는 추출물의 생성을 위해 그의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및 수피 등 식물의 전 범위에 걸쳐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개다래, 쥐다래는 재배한 것, 채취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의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또한 개다래의 유사종인 쥐다래도,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개다래 및 쥐다래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은 개다래, 쥐다래 그 자체 또는 이의 분말, 추출공정을 통해 수득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공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조추출물의 가공물, 예를 들어 건조, 농축, 분획, 발효 등 추가적인 가공에 의한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조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 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순차적인 용매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도 본 명세서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염화메틸렌,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조추출물과 그 조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분획물은 상기 나열된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추출물은 상기 기재한 추출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유효성분의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열수 추출법, 침지 추출법, 냉침 추출법, 환류 냉각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아임계 추출법, 용매 추출법, 고온 추출법, 고압 추출법,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한 추출법 또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나 자연발효대사 등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일 수 있으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추출 이후 감압증류, 감압농축,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또는 1 중량% 이상이면서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추출물이 조성물 내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우수한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을 구현할 수 있고 제형 및 제품 안정성을 가지며 경제성 면에서도 최적의 함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추출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스트린젠트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오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젤, 파우더, 스프레이, 팩, 비누, 클렌징워터,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연령, 성별, 식이,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약물형태, 투여시간, 투여방법, 투여경로 및 투여기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1일 투여량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였을 때의 양으로 0.000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식품 첨가제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침출차, 액상차, 음료,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또는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명세서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함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그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성분으로서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개다래 추출물의 제조
개다래(Actinidia polygama (Siebold & Zucc.) Maxim.)의 줄기 및 잎을 산지에서 채취하여 건조 중량 100g씩을 각각 플라스크에 넣고 70% 에탄올(Ethyl alcohol) 1ℓ로 1일간 냉침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함으로써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을 제조하여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예 1. ABTS 온라인 항산화 HPLC 를 활용한 지표 성분 및 항산화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을 메탄올로 용해하여 0.45μm PVDF syringe filter (Whatman, Maidstone, England)를 통과시킨 다음 온라인 항산화 HPLC 장치 (1200 series,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사용하여 지표 성분 및 항산화 성분을 분석하였다.
컬럼은 Hydrosphere C18 column (4.6 × 150mm), 검출기는 UV (280nm), 이동상은 HPLC grade용 아세토니트릴 (A)과 물 (B)을 0~10분, 10% A; 10~30분, 10-100% A의 조건으로 linear gradient하였으며, 유량은 1.0 mL/분 (아세토나이트릴, 물)과 0.5 mL/분 (ABTS 용액)으로 하였고, 시료 주입량은 10μL로 하였다. 이때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의 지표 성분 및 항산화 성분의 프로파일은 포지티브 피크로서 280nm의 크로마토그램으로 나타내었고 각 피크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네거티브 피크로서 734nm에서 측정되어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의 280nm의 피크 1은 트리터페노이드계 화합물로, 피크 2 각각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2의 280nm의 피크 1은 트리터페노이드계 사포닌의 일종으로, 피크 2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탄닌계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개다래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과 양성 대조군으로서 선행기술 한국 공개특허공보 10-1999-0058669의 빈랑자,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72398의 생강나무,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87363의 멸가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77164의 산겨릅나무, 한국 공개특허공보 10-1999-0085303의 노루귀 추출물을 시료로 이용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상기 추출물 모두를 50 ppm의 농도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을 시험하여 비교하였으며, 두 번째 실험은 개다래와 빈랑자를 대상으로 농도별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을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완충용액 (0.267M Tris 용액을 0.267M 염산용액으로 pH 8.0이 되도록 조정) 1ml에 엘라스타제 기질 Succ-Ala-Ala-p-nitroanilide(시그마사, 미국)을 4mg 넣어 섞었다(8.8mM 기질용액이 됨). 다음으로 효소인 돼지 췌장 엘라스타제 (Porcine Pancreatic Elastase, 표준품; 시그마사, 미국)를 완충용액으로 10 ㎍/ml의 농도로 만들었다. 이렇게 준비된 기질용액과 각각의 시료를 섞은 후, 효소용액을 첨가하여 25℃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버퍼를 사용하였고 블랭크(blank)는 버퍼와 샘플을 녹인 용매만을 사용하였다.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실험군 시료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100
그 결과,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은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이 양성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따른 개다래 추출물은 주름 억제 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개다래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과 양성 대조군으로서 선행기술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72398의 생강나무,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77164의 산겨릅나무, 한국 공개특허공보 10-1999-0085303의 노루귀 추출물을 시료로 이용하여, 상기 추출물 모두를 33 ppm의 농도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작용을 시험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티로시나아제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코직산을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각각 최종농도 10 ppm, 20 ppm, 50 ppm, 100 ppm으로 농도를 조절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작용을 시험하였다. 티로시나아제는 감자나 버섯으로부터 정제되는 효소로서, 본 실험에서는 버섯류로부터 추출한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추출물 시료와 0.1M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6.8) 210㎕ 및 1.5mM L-DOPA 용액 40㎕를 96웰 플레이트에 넣은 후, 37℃에서 10분간 온도를 유지시켰다. 이후 머시룸 티로시나아제(1500 unit/mL) 20㎕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92㎚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버퍼를 사용하였고 블랭크(blank)는 버퍼와 샘플을 녹인 용매만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실험군 시료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100
그 결과, 도 5 및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을 가지며,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다래 추출물은 미백 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개다래 줄기 추출물은 다른 실험군에 비해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직산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코직산과 유사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을 보였다. 한편,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다래 잎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플라보노이드와 트리터페노이드계(Triterpenoid) 화합물이 주름 개선 효능에 영향을 미치고, 개다래 줄기 추출물은 우수한 미백 효능으로 알려진 탄닌계(Tannin) 화합물과 트리터페노이드계(Triterpenoid) 화합물이 미백 효능은 물론 주름 개선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개다래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 능력 실험
(1) DPPH 라디칼 포집 실험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유기용매에 녹은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은 515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게 되는데, 항산화 물질은 DPPH 라디칼을 소거하여 고유의 색인 보라색을 잃고 노랗게 변화시킨다. DPPH 라디칼 포집의 측정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 양성 대조군으로서 비타민E의 유도체인 트롤록스를 각각 최종농도 10 ppm, 20 ppm, 50 ppm, 100 ppm으로 농도를 조절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희석한 시료와 에탄올을 96-웰에 넣은 후 DPPH 라디칼을 첨가하여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515nm에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소거능을 %로 표시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샘플을 녹인 용매인 에탄올과 DPPH 라디칼을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블랭크(blank)는 샘플을 녹인 용매인 에탄올만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효과를 구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효과(%)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실험군 시료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100
그 결과, 양성 대조군인 트롤록스는 20 ppm 이상의 농도에서 현저하게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반면,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은 트롤록스에 비해 미미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2) ABTS 라디칼 포집 실험 ( ABTS radical scavenging test )
ABTS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는 과황화 칼륨(potassium persulfate)과 반응하였을 때 전자를 잃으면서 불안정한 라디칼을 형성한다. 항산화 물질은 734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는 이 라디칼을 소거시키며 라디칼의 유해도를 상실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 양성 대조군으로서 비타민E의 유도체인 트롤록스를 각각 최종농도 10 ppm, 20 ppm, 50 ppm, 100 ppm으로 농도를 조절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희석한 시료를 96-웰에 넣은 후, 에탄올을 넣고 100㎕의 ABTS 라디칼을 첨가하여 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734nm에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소거능을 %로 표시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샘플을 녹인 용매인 에탄올과 ABTS 라디칼을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블랭크(blank)는 샘플을 녹인 용매인 에탄올만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효과를 구하여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 효과(%)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실험군 시료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블랭크 흡광도) * 100
그 결과,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0 ppm 농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양성 대조군인 트롤록스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의 약 50% 내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개다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 의하여 얻어진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 시료 (10mg)를 증류수에 희석하였다. 각각의 희석한 시료 20㎕를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다시 60㎕의 증류수를 넣어 80㎕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여기에 20㎕의 폴린-치오칼텐 시약(Folin-Ciocalten reagent)을 첨가하여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Na2CO3 100㎕를 첨가하였다. 30분 후 730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물질인 갈릭산 (gallic acid)과 탄닉산 (tannic acid)의 검량곡선에 대입하여 gallic acid equivalent mg/g, tannic acid equivalent mg/g 추출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잎보다 줄기에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1.
Figure 112015111445253-pat00001
실험예 6. 개다래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 의하여 얻어진 개다래 잎과 줄기 추출물 시료 (10mg)를 증류수에 희석하였다. 각각의 희석한 시료 20㎕를 96-웰에 넣고 다시 80㎕의 증류수를 넣어 100㎕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여기에 100㎕의 AlCl36H2O를 첨가하여 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43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물질인 quercetin의 검량선에 대입하여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하였고 quercetin equivalent mg/g 추출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줄기보다 잎에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극소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Figure 112015111445253-pat00002
상기 실험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다래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수한 주름 개선 및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본 명세서에 따른 개다래 추출물의 주름 개선 및 미백 개선 효과는 라디칼 소거능에 의한 효능이 아닌 다른 메커니즘에 따른 효능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제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제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3.
Figure 112015111445253-pat00003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4.
Figure 112015111445253-pat00004
[제형예 3] 팩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표 5.
Figure 112015111445253-pat00005
[제제예 1] 연질캅셀제
개다래 추출물 150 mg, 팜유 2 mg, 팜경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6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 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
개다래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3] 과립제
개다래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제예 4] 드링크제
개다래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 g, 홍삼추출물 50 mg, 구연산 2 g 및 정제수 187.8 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 ml로 하였다.
[제제예 5] 건강식품의 제조
개다래 추출물 ............... 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음료의 제조
개다래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이후,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 비율을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개다래(Actinidia polygama)의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은 70% 농도의 에탄올로 냉침 추출한 것인,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된,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5. 개다래(Actinidia polygama)의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은 냉침 추출물인,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용 식품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염화메틸렌,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인,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용 식품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인,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용 식품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20.0 중량%로 포함된,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제의 활성 억제용 식품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160512A 2015-11-16 2015-11-16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39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512A KR101839407B1 (ko) 2015-11-16 2015-11-16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512A KR101839407B1 (ko) 2015-11-16 2015-11-16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979A KR20170056979A (ko) 2017-05-24
KR101839407B1 true KR101839407B1 (ko) 2018-03-16

Family

ID=5905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512A KR101839407B1 (ko) 2015-11-16 2015-11-16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850B1 (ko) * 2017-10-30 2019-05-15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고순도 멜리틴,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 및 생열귀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2510B1 (ko) * 2018-09-18 2019-05-27 한국콜마주식회사 해조류 혼합추출물과 개다래와 제비꽃 혼합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9239B1 (ko) * 2018-11-30 2020-10-23 이스트힐(주) 마스린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00124590A (ko)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지앤피바이오사이언스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20218890A1 (ko) * 2019-04-24 2020-10-29 주식회사 지앤피바이오사이언스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00124628A (ko)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지앤피바이오사이언스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569246B1 (ko) * 2021-11-03 2023-08-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2: 인터넷 공개(https://www.acrofan.com/ko-kr/detail_legacy.php?param1=ko-kr&param2=consumer&param3=news&param4=20150805&param5=00000075, 공개일2015.08.05.)*
인터넷 공개(http://www.whacostech.com/sub02/sub01.php?mode= view&code=000105&lv=&Jname=Whitening&no=3066&SearchField=&SearchText, 공개일: 2011.04.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979A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407B1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1008740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743200B1 (ko) 상동나무 열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11853B1 (ko)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섬쑥부쟁이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20200080556A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1094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51106B1 (ko) 참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87942B1 (ko)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KR101695372B1 (ko) 까치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913125B1 (ko) 개벚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74474B1 (ko) 꿩의다리아재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14695B1 (ko) 개벚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13743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626108B1 (ko) 동자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63230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동아 추출물 제조방법
KR101488880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동아 추출물 제조방법
KR101767192B1 (ko) 16알파-하이드록시-17-아이소발러로일옥시-엔트-코란-19-오익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30049467A (ko)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