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138B1 -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138B1
KR102355138B1 KR1020190127931A KR20190127931A KR102355138B1 KR 102355138 B1 KR102355138 B1 KR 102355138B1 KR 1020190127931 A KR1020190127931 A KR 1020190127931A KR 20190127931 A KR20190127931 A KR 20190127931A KR 102355138 B1 KR102355138 B1 KR 10235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skin
composition
present application
jujube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952A (ko
Inventor
강창우
김수옥
김영찬
박시향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다비치농산주식회사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다비치농산주식회사,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다비치농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1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콜라게나제 활성을 억제하며, 엘라스타제 활성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HITENING OR ANTI-WRINKLE OF THE SKIN COMPRISING FERMENTATED ZIZIPHUS JUJUBA SEED AS EFFECTIVE COMPONENT}
본 출원은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추씨는 대추의 과육 안에 있는 종자부위로써 대추 과육의 가공 후 생성되는 대추 가공 부산물이다. 대추 가공 시 생산되는 대추씨 부산물은 대추가공원료의 약 30% 중량을 차지한다. 예로부터 대추는 한방에서 감초 처럼 감미를 내기 위해 첨가되는 경우가 많았고 그 자체로도 위경련, 불면증, 소화불량, 대장하혈, 청혈, 지각 과민증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약리효과가 있다. 대추씨는 단백질, 미네랄, 식이섬유 등의 함량이 높아 영양학적인 가치가 높고 한방에서는 산조인이라는 약재로도 사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우수한 영양 및 약리학적인 가치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대추씨 자원은 산업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한국에서 연간 2통 이상이 폐기되는 실정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 층에 있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데, 멜라노사이트 내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피부 내의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시키고, 멜라닌 자체가 자유라디칼의 성질을 나타내기도 한다.
피부는 노화가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기관으로 이를 지연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화장품 영역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피부 노화의 대표적 현상으로 피지 분비량이 감소되어 피부가 건조해지고, 세포 재생이 늦어지고, 노화 각질이 많이 쌓여서 피부가 거칠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표피를 지탱해주는 콜라겐의 합성 양이 감소되고 엘라스틴(탄력섬유)이 변성되어 주름이 생긴다. 아울러, 피부색이 얼룩지거나 기미, 검버섯 등 의 색소 침착 증상이 나타나며, 표피가 얇아져서 피부보호 기능이 약화된다. 그 밖의 현상으로는 피부 두께의 감소와 관련된 피부 장벽작용(Barrier Effect)의 저하로 인한 피부 트러블의 증가를 들 수 있다. 피부노화와 관련된 연구는 크게 피부노화의 주요원인이 되는 자외선과 활성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소재, 피부주름 개선 소재, 피부탄력 증진 소재, 피부 표피와 진피 접합부(Dermal-Epidermal Junction, DEJ) 강화에 관련된 소재 로 분류하여 심도 깊게 연구되고 있다.
피부에 노화가 진행되면 진피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나며, 진피의 변화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숫자와 이들의 합성 능력의 감소로 인하여 세포 외 기질 중 큰 분자량을 가진 물질들의 변화로 발생된다. 그 구체적인 변화는 콜라겐 다발의 분리, 점다당질 합성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elastin) 수와 직경 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 분해 및 혈관의 팽창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 함유량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 중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의 생성량과 콜라겐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발현량과 활성이다. 콜라게네이즈는 기질단백질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그룹에 속한다. 이러한 콜라게네이즈는 자외선, 성장인자, 염증성 사이토 카인, 포르볼 에스테르(phorbol ester)에 의해 발현이 촉진되어 제1,2,3,5형 교원질(collagen)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엘라스틴(elastin) 섬유는 콜라겐과 가교 결합을 형성하며 피부 탄력에 관여하고 있는 주름 생성에 중요한 피부 구성성분이다.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엘라스틴 분해 효소인 엘라스타제(elastase)의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는 피부 주름생성 요인 중의 하나로 밝혀지고 있다. 엘라스타제는 엘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효소로서 이에 대한 저해는 피부 주름 개선을 근본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알려진 주름 개선 또는 미백 효과를 가진 피부 개선을 위한 물질들은 피부 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기능 개선 또는 상처 치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기존의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새로운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대추씨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효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또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로 발효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추씨 발효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25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페이스트, 패치,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대추씨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대추씨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는 대추에서 씨를 분리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대추씨 분말을 멸균한 후 유산균, 효모 또는 고초균을 접종하여 발효하여 대추씨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대추씨 발효물을 멸균한 후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로 제조된 대추씨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대추씨 분말과 배지를 1:4에서 1:2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멸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100rpm 내지 300rpm, 20℃ 내지 45℃에서 1일 내지 10일 동안 배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발효물을 0.3 ㎛ 내지 5 ㎛ 크기로 여과하거나, 원심분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멸균은 100℃ 내지 14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가압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대추씨 발효물 조성물은 제조 효율과 생리활성이 증진되고, 버려지는 부산물을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제조 단가면에서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피부외용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콜라겐 합성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엘라스타제 활성을 저해하여 주름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피부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피부외용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고,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추씨 발효액의 B16F0 세포배양액 멜라닌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출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 있어서, "대추"라는 용어는 대추의 껍질, 과육 및 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품종에 따른 제한은 없다. 본 출원에서는, 대추 전체가 갖는 각종 효능 및 활성보다는 대추씨가 갖는 효능 및 활성을 보유한 대추씨 발효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바, 본 출원에 다른 대추씨 발효물의 제조방법에서는 먼저, 대추를 껍질, 과육, 및 씨로 분리함으로써, 대추씨 시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부위별 대추씨 시료는 바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건조(열풍건조, 동결건조 등)하거나, 냉장 또는 냉동 보관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대추씨 시료에 대해서는 분말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분말화 과정에 의해 균일한 사이즈의 대추씨 분말 입자들이 얻어지게 된다. 특히, 분말화된 대추씨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표면적 및 이에 따른 추출 효과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추씨 분말을 멸균한 후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할 수 있다.
상기 대추씨 분말과 MRS 배지를 1:4에서 1:2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멸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추씨 분말과 MRS 배지를 1:4에서 1:10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1:5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멸균 과정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열 살균, 초고온 순간 살균, 고온 장시간 살균, 감마선 조사 살균, 초고압 살균, 자외선 사균, 초음파 살균, 전자선 살균, 또는 화학 약품 살균 등을 이용하여 멸균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외 미강 내 자체 미생물의 활성을 상실/살균 작용을 하 는 것이라면 다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데, 가장 구체적으로는 고온/고압 살균 (autoclaving) 처리를 100℃ 내지 140℃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온/고압 살균 처리는 단단한 대추씨 세포벽 조직을 해리시킴으로써 유효 성분이 용이하게 용출되게 할 수 있으며, 균주에 의한 발효 효율 및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 또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0.1중량% 내지 10 중량%, 0.5중량% 내지 1.0 중량%로 접종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20℃ 내지 45℃에서 1일 내지 10일 동안 100 rpm 내지 300 rpm으로 회전배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0℃ 내지 40℃에서 120 rpm 내지 180 rpm의 조건으로 배양할 수 있다.
발효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피부미용에 유용한 물질의 추출 수율이 낮아지면서도 온도를 낮추기 위한 장비가 필요하므로 경제적이지 않으며, 교반 온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피부미용에 유용한 물질이 파괴되거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등에 관여하지 않는 물질이 높은 함량으로 함께 추출될 수 있어 기능성이 저하된 발효물이 제조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발효 온도가 20 ℃ 내지 45 ℃의 온도범위 정도인 경우, 식물 세포 조직이 연화되어 미용 활성을 지니는 유효한 물질인 페놀류 등 성분의 용출이 용이해지므로 피부 미용 효능이 우수한 발효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양이 1일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시간이 불충분하여 대추씨 내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이 완전히 용출되기 어려우며, 발효 시간이 10일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대추씨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이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지 않으며, 오히려 과도한 배양으로 인하여 항산화, 피부 미백 활성이 저하된 발효물이 제조될 수 있다.
발효 후 더 이상 발효가 진행되지 않도록 멸균처리할 수 있다. 그 이후 통상의 여과 방법 또는 장치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하거나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발효물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가능한 마이크로 필터는 0.3 ㎛ 내지 5 ㎛ 크기의 기공을 갖는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 ㎛ 크기의 기공을 갖는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1000 rpm 내지 2000 rpm에서 5분 내지 20분간 원심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은 버리고, 상층액만 수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추씨 발효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25 중량% 내지 30 중량%, 구체적으로 0.02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이때 대추씨 발효물의 함량이 0.0025 중량% 미만일 경우 본 출원의 멜라닌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추씨를 에탄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하지 않은 지용성 물질이 함께 추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매를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의 대추씨 발효물은 지용성 물질이 추출되지 않아 유기용매로 추출할 때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의 대추씨 발효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출원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검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대추씨 발효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비경구 투여,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출원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약학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기술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효능을 목적으로 한 식품, 예를 들면,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식품첨가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출원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 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 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을 포함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식품으로는 기능성 음료로 제조되며,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 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하며, 특히 피부 탄력 향상, 콜라겐 합성 촉진을 위한 음료를 의미한다.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 실험예들을 통해서 본 출원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되, 하기 예는 본 출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대추씨 시료 제조
한국에서 재배된 대추(Ziziphus jujuba var. spinosa)를 구입해 껍질, 과육, 및 씨로 분리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 과정을 거쳐 균일한 사이즈의 대추씨 분말 입자가 되도록 하였다.
< 제조예 2> 대추씨 발효물 제조
균주는 유산균 2종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 Leuconostoc mesenteroide (L. mesenteroide)와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 cerevisiae)와 고초균인 Bacillus subtilis (B. suntilis )로 생물자원센터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에서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L. plantarum 의 생육배지로는 MRS Broth로 35℃에서 배양하였고, L . mesenteroide 의 생육배지로는 MRS Broth로 25℃에서 배양하였다. S. cerevisiae 생육배지로는 Potato Dextrose Broth 를 사용하여 25℃에서 배양하였으며, B. suntilis 생육배지로는 Trytic Soy Broth 를 사용하여 35℃에서 배양하였다.
대추씨 분말과 배지를 1:4 내지 1:20의 비율로 혼합한 후 121℃에서 15분 동안 고압 멸균한 후 미리 배양된 균들을 0.85% 접종하였다. 35℃, 150rpm에서 5일간 진탕배양한 후 더 이상 발효되지 않도록 121℃에서 20분 동안 고압멸균하였다. 배양 완료 후 1,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은 버리고 상층액만 수거하여 대추씨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대추씨 분말과 배지의 함량비는 1:10로 하여 Lactobacillus plantarum(실시예 1), Leuconostoc mesenteroide(실시예 2), Saccharomyces cerevisiae(실시예 3), Bacillus subtilis(실시예 4)의 대추씨 발효액을 상기 제조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또한, 대추씨분말 200 mg과 배지 1,000 mg을 사용한 1:5의 함량비로 하여 Lactobacillus plantarum(실시예 5)의 대추씨 발효액을 제조예 2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대추씨 분말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대추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대추씨 발효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대추씨 발효물로 DPPH assay를 Yoshida et al. (1989)이 사용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control에는 탈이온수 50㎕, 시험군에는 탈이온수로 희석한 시료를 50ul 씩 triple로 넣는다. 에탄올을 모든 웰에 25㎕씩 넣고 75㎕의 DPPH(0.5mM 1,1-diphenyl-2- picrylhydrazyl(DPPH)/ethanol) 용액을 가하여 혼합한다. 25℃의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05106917-pat00001
대추씨 발효액의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인 활성 증가를 확인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의 대추씨 발효액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50 % 의 농도에서 69.1 %의 활성을 보여주었고, IC50 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18.7 %이었다.
시료농도 (%) DPPH 소거능 IC 50
실시예 1 100 92.4±1.4
실시예 2 100 74.9±0.2
실시예 3 100 46.1±3.3
실시예 4 100 37.1±5.5
실시예 5 1 10.2±1.4 18.7 %
5 28.6±0.8
25 61.4±0.7
50 69.1±5.1
100 91.7±3.3
< 실험예 2> 대추씨 발효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비교예 1의 대추씨 발효물로 ABTS assay 를 Re et al.(199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7 mM ABTS 5 mL와 140 mM potassium persulfate 88 ㎕를 섞은 후 상온에서 16시간 빛을 차단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다. 이후 이 용액을 414 nm에서 흡광도 값이 1.5가 되도록 PBS로 희석하였다. 조제된 희석용액 190 ㎕와 시료 10 ㎕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6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05106917-pat00002
대추씨 발효액의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인 활성 증가를 확인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추씨 발효액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1% 의 농도에서 77.6 %의 활성을 보여주었고, IC50 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0.56 %이었다. 대추씨의 에탄올 추출물인 비교예 1의 1%와 실시예 1의 1%를 비교할 때 ABTS 소거 활성 효과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서 실시예 5와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5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이하 활성은 Lactobacillus plantarum(실시예 5)로 하였다.
시료농도 (%) ABTS 소거능 IC50
비교예 1 1 14.4±4.8
10 83.9±2.9
100 99.8±0.2
실시예 1 100 101.3±2.4
실시예 2 100 101.4±0.3
실시예 3 100 99.7±0.6
실시예 4 100 99.8±0.2
실시예 5 0.05 14.6±0.3 0.56 %
0.1 20.5±1.2
0.25 30.5±1.6
0.5 48.6±2.2
1 77.6±0.6
5 99.9±0.3
<실험예 3> 대추씨 발효물의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실시예 5의 대추씨 발효물로 기능성 화장품 평가 가이드라인의 실험법을 참고하여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타이로시나제는 인체 내 멜라닌 생합성 경로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속도결정단계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이 효소의 활성 저해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이 시험은 시험관 내에서 시험시료, 정제된 타이로시나제 및 기질인 타이로신을 반응시켜 타이로시나제 활성 저해에 대한 시험시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먼저 시료를 증류수에 녹이고, 대추씨 발효액을 5, 10, 25, 50 % 농도로 희석하여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험관에 인산염완충액(pH 6.5) 220 ㎕, 시료 20 ㎕, 머쉬룸 타이로시나제액(1500 ~ 2000 U/mL) 20 ㎕를 순서대로 넣었다. 이 액에 1.5mM 타이로신액 40㎕를 넣고 37℃에서 10~15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활성 저해율이 50% 일 때의 시료 농도(IC50)를 산출하였다. 시료액 대신 시료를 녹인 용매를 공시료액으로 하여 보정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알부틴을 사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대추씨 발효액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료명 (%)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 IC50 IC20
실시예 5 5 10.0 ± 1.0 43.4 % 12.0 %
10 18.1 ± 0.9
25 38.4 ± 1.6
50 53.6 ± 2.2
알부틴 5 24.3 ± 4.6
< 실험예 4> 대추씨 발효물의 세포독성 측정
실시예 5의 대추씨 발효물로 기능성 화장품 평가 가이드라인의 실험법을 참고하여 멜라닌 저해 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시험은 미백성분에 대한 세포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 내 멜라닌의 양 또는 세포 내외의 총 멜라닌 양을 정량화하여 공시료액과 비교하였다.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능을 보기 위하여 멜라닌 세포인 B16F0를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용 플라스크에 B16F0 세포주를 DMEM에 10% FBS를 첨가한 배지로 37℃, 습도 95%, CO2 5% 조절된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B16F0 세포주를 1x10⁴/well의 농도로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습도 95%, CO2 5%로 조절된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새로운 배지에 시료를 농도별로 제조하여 세포주에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주의 생존률을 측정하기 위해 MTS 시약을 이용하여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VersaMax ELISA Microplate Reader, USA)로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비한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로 표시하였다.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기 위해 alpha-MSH을 사용하였다. Control(-)에는 무처리군으로 하였고, Control(+) 군에는 alpha-MSH 만을 2 μM 농도로 처리하였다. 대추씨 발효액에는 같은 농도의 alpha-MSH와 함께 대추씨 발효액을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72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독성을 측정하였다.
최고 농도인 0.5 %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나 세포 외·내 멜라닌 함량은 0.0025 % ~ 0.25% 농도 범위에서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 Cell Viability (%)
Control (-) 100 ± 5.9
Control (+) 100 ± 4.5
실시예 5 0.0025 101.0 ± 7.7
0.005 101.2 ± 4.8
0.025 99.4 ± 2.2
0.05 99.5 ± 8.9
0.1 97.2 ± 8.2
0.25 102.1 ± 6.6
0.5 77.7 ± 1.9*
알부틴 0.01 97.7 ± 9.1
0.1 102.7 ± 8.7
* : p < 0.05, Control 군과 비교
<실험예 5> 대추씨 발효물의 세포외 멜라닌 함량 측정
B16F0 세포주를 6-well plate에 1±105개cell/well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습도 95%, CO2 5%로 조절된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phenol red가 포함되지 않은 DMEM배지에 시료를 농도별로 제조하여 세포주에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에 a-MSH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 과정을 촉진하였다. 세포의 배지는 다른 용기에 옮기고, 남은 세포는 PBS로 세척한 후 회수하여 cell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 양을 구한다. 배지는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합성 멜라닌을 이용한 검량선으로부터 멜라닌의 양을 구했다. 멜라닌 양은 세포 일정 수 당 멜라닌 양 또는 일정 단백질 당 멜라닌 양으로 환산하고, 시료를 녹인 용매를 처리한 대조구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Control(-)에는 무처리군으로 하였고, Control(+) 군에는 alpha-MSH 만을 2 μM 농도로 처리하여 실시예 5의 대추씨 발효액의 B16F0 세포 외 멜라닌 함량 측정 결과를 하기 표 5와 도 1에 나타내었다.
대추씨 발효액 0.1 % 농도 일 때, 37.0%의 저해 활성을 보여주었고, 0.25% 농도 일 때는 53.8 %의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은 0.01% 농도에서 35.4%, 0.1% 농도에서 62.7%의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대추씨 발효액 0.1%와 알부틴 0.01%에서 유사한 멜라닌 생성 저해능을 보여주어, 1/5 정도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외 멜라닌 함량으로 보았을 때. 알부틴의 1kg 당 단가는 16만원선이며, 대추씨 발효액의 가격은 이의 1/10 정도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약 2배의 비용절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료명 (%) 세포 외 멜라닌 함량 (mg/g protein) 세포 외 멜라닌
저해활성 (%)
IC50
(%)
IC15
(%)
Control (+) 246.4 ± 1.4 0 ± 0.6
실시예 5 0.0025 219.8 ± 1.2 10.8 ± 0.5 0.22 0.004
0.005 200 ± 1.8 18.8 ± 0.7
0.025 193.8 ± 1.3 21.4 ± 0.5
0.05 187.1 ± 1.0 24.1 ± 0.4
0.1 155.2 ± 0.7 37 ± 0.3
0.25 113.9 ± 1.7 53.8 ± 0.7
알부틴 0.01 159.1 ± 1.5 35.4 ± 0.6
0.1 91.8 ± 0.3 62.7 ± 0.1
* : p < 0.05, Control 군과 비교
<실험예 6> 대추씨 발효물의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B16F10 세포를 6 well plate에 각 1±105 cells/1.5ml/well의 농도로 분주한 후, 부착 및 안정화를 위해 24 시간 동안 incubation한 다음 4μM Tyrosine과 대추씨 발효액 0.0025 ~ 0.25 %까지의 농도로 처리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48 시간을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세포를 1% Triton X-100을 함유한 10 mM PBS 100 ㎕에 현탁시킨 후 세포를 vortexing한 후 1,000 rpm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활성 측정 효소액으로 이용하였다. 티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96 well plate에 기질인 L-DOPA (2 ㎎/㎖) 100 ㎕를 넣고, 효소액 40 ㎕를 첨가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1 시간 동안 반응한 후 Microplate Reader 를 사용하여 405 ㎚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5와 비교예1에 대한 티로시네이즈의 활성 저해율은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대추씨 발효액 0.1 % 농도 일 때, 95.2 %의 저해 활성을 보여주었고, 0.25% 농도 일 때는 98.7 %의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은 0.01% 농도에서 99.5 %, 0.1% 농도에서 99.8 %의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대추씨 발효액 0.1%와 알부틴 0.01%에서 유사한 Tyrosinase 저해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IC50 은 0.05%로 확인하였다. 이는 대추씨 발효액의 약 0.1% 만 사용하여도 미백 효과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추씨의 에탄올 추출물인 비교예 1은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료명 (%) Tyrosinase 저해 활성 (%) IC50
(%)
IC20
(%)
Control (+) 0.0 ± 0.4 0.05 0.02
비교예 1 100 0 ± 0
실시예 5 0.0025 -14.6 ± 0.7
0.005 -2.7 ± 0.6
0.025 15.5 ± 1.8
0.05 67.8 ± 0.4
0.1 95.2 ± 2.3
0.25 98.7 ± 1.3
알부틴 0.01 99.5 ± 0.0
0.1 99.8 ± 0.1
* : p < 0.05, Control 군과 비교
<실험예 7> 대추씨 발효물의 Collagenase 저해 활성 측정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은 Invitrogen사의 EnzChek®Gelatinase/Collagenase Assay Kit (250-2000 Assays) 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1 mg DQ collagen vial에 1.0 ml의 DDW를 가해 DQ collagen stock solution (1 mg/ml)을 제조했다. 10 x reaction buffer 2 ml에 DDW 18 ml를 가해 reaction buffer를 희석했다. 다음으로 collagenase 효소 시약을 제조하였다. Working solution으로 최종 농도가 0.2 U/ml이 되도록 reaction buffer로 희석했다. 시료를 96well plate에 50 ㎕씩 triple로 준비하였다. DQ collagen 20 ㎕와 sample blank에는 reaction buffer 30 ㎕, sample에는 working solution 30 ㎕를 시료에 가하고, 빛을 차단한 상태로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형광 강도 excitation wavelength 485 nm 및 emission wavelength 535 nm에서 ELISA plate reader (VICTOR X3™, PerkinElmer, US)로 형광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05106917-pat00003
실시예 5와 비교예 1의 대추씨 발효액의 Collagenase 저해 활성 측정 결과 0.5 % 농도에서 46.2 %의 저해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Collagenase 저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름개선 기능성 성분인 아데노신과 비교하였을 때, 50 ug/ml 농도와 대추씨 발효액 0.1 % 농도가 비슷한 저해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IC50은 0.5%로 확인하였고, 대추씨 발효액을 약 0.5%만 사용하여도 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추씨의 에탄올 추출물인 비교예 1은 100%의 활성이 60.09±0.51로서, 실시예 1의 1%의 활성보다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료명(%) Collagenase 저해 활성(%) IC50
비교예 1 100 60.09 ± 0.51
실시예 1 0.01 8.2 ± 0.4 0.5 %
0.05 12.9 ± 0.2
0.1 17.5 ± 1.6
0.5 46.2 ± 0.7
1 99.6 ± 0.1
아데노신
(ug/ml)
0.1 1.9 ± 3.9 118.4 ug/ml
10 2.7 ± 2.3
50 21.7 ± 5.7
<실험예 8> 대추씨 발효물의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은 Invitrogen사의 EnzChek®Elastase Assay Kit (600 Assays) 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1 mg DQ Elastin vial에 1.0 ml의 DDW를 가해 DQ elastin stock solution (1 mg/ml)을 제조했다. 10 x reaction buffer 2 ml에 DDW 18 ml를 가해 reaction buffer를 희석했다. 다음으로 elastase 효소 시약을 제조하였다. Working solution으로 최종 농도가 0.2 U/ml이 되도록 reaction buffer로 희석했다. 시료를 96well plate에 50 ㎕씩 triple로 준비한다. DQ elastin 50 ㎕와 sample blank에는 reaction buffer 50 ㎕, sample에는 working solution 50 ㎕를 시료에 가하고, 빛을 차단한 상태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형광 강도 excitation wavelength 505 nm 및 emission wavelength 515 nm에서 ELISA plate reader (VICTOR X3™, PerkinElmer, US)로 형광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05106917-pat00004
실시예 5와 비교예1의 대추씨 발효액의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 결과 비교 대조군인 Elastase inhibitor의 0.00025 % 농도와 대추씨 발효액 30 % 농도가 비슷한 Elastase 저해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추씨 발효액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Elastase 저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IC50은 16.9 %로 확인하였다. 이는 대추씨 발효액을 약 16.9 %만 사용하여도 주름 개선에 매우 효과가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추씨의 에탄올 추출물인 비교예 1은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료명 (%) Elastase 저해 활성(%) IC50
비교예 1 100 0 ± 3.26
실시예 5 1 9.8 ± 0.4 16.9 %
10 37.5 ± 1.1
20 58.1 ± 1.8
30 79.3 ± 0.4
Elastase inhibitor 0.00025 74.9 ± 2.8 -
0.0025 96.2 ± 3.5
0.025 108.2 ± 2.0
0.25 103.3 ± 2.8
<실험예 9> 대추씨 발효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공인기관에 분석 의뢰하여 「건강기능식품 공전」제 4. 3-64 총 폴리페놀 시험법으로 진행하여 실시예 5와 비교예 1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 폴리페놀 함량(㎛/ml GAE)
실시예 5 (100%) 5.19±0.51
비교예 1 1.7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공인기관에 분석 의뢰하여 「건강기능식품 공전」Ⅲ.3.6.3 총 플라보노이드 시험법으로 진행하여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플라보노이드는 C6-C3-C6를 기본골격으로 담황색 내지는 노란색을 띠고 있는 페놀계 화합물의 총칭으로,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활성산소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항산화능이 높으며, 항바이러스,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채소류 이상의 고등식물과 일부 녹조류만이 합성하고 동물은 합성능력이 없어 식물에만 존재하며, 채소류와 유관속 식물의 잎, 꽃, 과실, 줄기, 뿌리 등 거의 모든 부위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플라보노이드는 flavonol계의 quercetin, kaempferol, myricetin이 있으며, flavone계의 apigenin, luteolin 그리고 limonin, momilin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플라보노이드 중에서 quercetin 등은 in vitro에서 low-density lipoprotein(LDL)의 산화와 cytotoxicity를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시료명 (%) 플라보노이드 함량(mg/ml QE)
실시예 5 (100%) 0.699±0.04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하기 예시 이외에도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1> 유연 화장수(스킨 로션)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대추씨 발효액 0.25
글리세린 3.5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5.5
폴리솔베이트 80 3.2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 제형예2> 영양 화장수( 밀크 로션)
하기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대추씨 발효액 0.25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 제형예 3> 영양 크림
하기 표 1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대추씨 발효액 0.25
글리세린 3.5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 제형예 4> 피부외용제 중 연고
하기 표 1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대추씨 발효액 0.25
베타-1,3-글루칸 10.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5.0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바셀린 5.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쉐어버터 3.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10.0
프로필렌글리콜 10.2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 제형예 5> 정제의 제조
하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mg)
대추씨 발효액 0.25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제형예 6> 젤리의 제조
하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젤리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리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대추씨 발효액 0.25
푸드겔 2
카라기난 0.3
젖산칼슘 0.5
구연산나트륨 0.3
프락토올리고당액 25
정제수 잔량
이상에서 본 출원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출원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출원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출원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발효물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로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추씨 발효물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25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페이스트, 패치,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발효물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로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과립제, 환제, 캡슐제, 액상형, 젤리 또는 껌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발효물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로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190127931A 2019-10-15 2019-10-15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5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31A KR102355138B1 (ko) 2019-10-15 2019-10-15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931A KR102355138B1 (ko) 2019-10-15 2019-10-15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952A KR20210044952A (ko) 2021-04-26
KR102355138B1 true KR102355138B1 (ko) 2022-01-26

Family

ID=7573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931A KR102355138B1 (ko) 2019-10-15 2019-10-15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1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88A1 (ko) * 2016-11-25 2018-05-31 (주)튜링겐코리아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및 자외선차단을 위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719A (ko) * 2008-04-22 2009-10-27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대추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88A1 (ko) * 2016-11-25 2018-05-31 (주)튜링겐코리아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및 자외선차단을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952A (ko)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02953A (ja) ツボクサ不定根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及びシワ改善用化粧料組成物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210108911A (ko)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55143B1 (ko) 대추씨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188682B1 (ko) 베로니카 론기폴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
KR101197101B1 (ko) 미세조류 배양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312B1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086747A (ko)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55138B1 (ko)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8168B1 (ko) 표고버섯 추출물 및 고로쇠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212343B1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JP4902967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1761142B1 (ko) 애기수영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01490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9105B1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수세미오이 추출물의 효소적 전환을 통한 피부미백 개선, 자외선 차단 및 피부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7787B1 (ko) 폴리필린 ⅶ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394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90758B1 (ko) 안토시아니딘 성분인 시아니딘, 델피니딘, 페튜니딘등을 함유한 빌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53568B1 (ko)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각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 및 항염용 조성물
KR20190036975A (ko) 흰꽃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20050059A (ko) 고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