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602B1 -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602B1
KR101506602B1 KR1020130150585A KR20130150585A KR101506602B1 KR 101506602 B1 KR101506602 B1 KR 101506602B1 KR 1020130150585 A KR1020130150585 A KR 1020130150585A KR 20130150585 A KR20130150585 A KR 20130150585A KR 101506602 B1 KR101506602 B1 KR 10150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peedwell
inflammation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식
정욱순
엄선영
김영훈
박송아
이하연
문미연
임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3015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활성이 있는 식물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스피드웰 또는 멀레인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물들을 각각 항산화활성, 콜라겐 합성능, Nitric Oxide 저해활성을 확인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웰 또는 멀레인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 제조에 초음파 추출법을 병행함으로써 항산화활성 및 콜라겐 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염증 저해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 extract of mullein for anti-oxidation, anti-wrinkle and anti-inflammatio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활성이 있는 식물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허브식물의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스피드웰(Speedwell, Veronica officinalis)는 현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한국이 원산지이며 전국각처의 산과 들의 풀밭에서 서식한다. 높이는 40∼80cm이고 7∼8월에 푸른빛이 도는 자주색 꽃이 피며 민간에서는 풀 전체를 중풍, 방광염 등의 치료에 약재로 사용한다. 한국명은 꼬리풀이고 이명으로는 heath speedwell, common speedwell, common gypsyweed, Paul's betony가 있다.
한편, 멀레인(Mullein, Verbascum thapsus L.)은 유럽 및 서아시아에 서식하는 현삼과의 2년초로서 높이는 2m 정도 자라고 식물 전체가 털로 덮여 있다. 꽃은 6∼8월에 선황색으로 수상화서로 달리며 이 꽃을 허브차로 해서 마시면 진정 효과가 있어서 불면증 치료에 사용한다. 이뇨작용도 있어 비뇨기계의 염증을 가라앉히는 것을 돕고 요산에 의한 자극도 억제한다. 올리브 오일에 꽃을 며칠 동안 담궈 놓았던 것은 귀의 통증에 사용한다. 류머티즘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관절에 바르는 약으로도 사용한다. 꽃의 침출액은 린스제로 머리카락을 윤기나게 한다. 생잎을 우유에 삶아서 거즈로 싸서 얼굴에 대면 피부에 생기를 준다. 건조시킨 꽃 두 움큼 정도를 올리브유에 1주일 정도 담가 놓으면 도포제를 만들 수 있다.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맬로우(mallow) 식물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과 앵초, 핌퍼넬, 꼬리풀, 레몬밤 및 서양톱풀로 이루어진 추출물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74707호에 개시된 바 있고, 노화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말로우, 페파민트, 프리뮬라, 레이디스맨틀, 스피웰허브, 발민트 및 야로우의 식물복합추출물이 등록특허 제10-0513082호에 개시된 바 있고, 화장용 보습 아이 트리트먼트 패드 및 조성물로서 천연 식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퓨레, 추출물 및 비타민이 공개특허 제2001-0042137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 효과가 있는 스피드웰 및 멀레인 추출물에 관하여는 전혀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 활성이 있는 스피드웰 또는 멀레인 등 허브식물의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피드웰 또는 멀레인 등 허브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본 발명 스피드웰 또는 멀레인 등 허브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물들의 항산화활성, 콜라겐 합성능, Nitric Oxide 저해활성을 확인하고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가능성을 평가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스피드웰 또는 멀레인 추출물의 제조에 초음파 추출법을 사용함으로써 항산화활성 및 콜라겐 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염증 저해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공시재료로서 사용한 스피드웰 및 멀레인의 사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스피드웰과 멀레인 등 허브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 스피드웰과 멀레인 등 허브식물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 스피드웰과 멀레인 등 허브식물 추출물의 Nitric Oxide 저해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허브식물 중에서 스피드웰 또는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기는 상기 스피드웰 또는 멀레인 추출물은 건조된 시료에 유기용매를 가하고 sonificator 온도를 40℃로 고정한 후 초음파 처리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만으로도 가능하지만 추출효율과 효능에 차이가 있다. 이때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등이나 프로판디올을 소니케이터와 함께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스피드웰 또는 멀레인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의 0.1∼10중량%로 바람직하게는 2중량%가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1중량%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활성 산소종 저해효과가 미흡하게 나타나며, 10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최종 제품에서 고유 풍미에 따른 고유취와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제품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용성 리퀴드, 로션, 크림, 젤, 팩, 에센스, 수중유(O/W), 유중수(W/O)형 또는 실리콘중수(W/Si)형의 파우더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효과, 주름 및 염증개선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 스피드웰 및 멀레인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스피드웰 또는 멀레인 각각 2∼3g에 40% 프로판디올(propandiol) 40∼60 mL를 첨가한 후 solificator(JAC 4020, Jinwoo, Korea)를 이용하여 온도를 40℃로 고정한 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시료는 0.45μm 막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본 발명 스피드웰과 멀레인 추출물을 얻었다. 모든 과정은 1시간씩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 스피드웰 및 멀레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실험
본 실험예에서는 피부 섬유아세포(HDFn)를 DMEM(10% 혈청 첨가, 1% 항생제 포함) 배지에 현탁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대수기에서 성장하는 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Well 당 약 1×105 세포 수가 되도록 96 well에 각각 접종한 후 시료 추출물 0.5%, 1% 및 2%로 처리한 다음 37℃, 5% CO2 배양기에서 20분 동안 배양하였다. 산화스트레스 유발물질인 H2O2 1mM을 첨가하고 DCFH-DA (stock 20mM) 20μM를 가한 후 spectrofluorophotometer(excitation 485 nm, emission 535 nm)로 측정하였다. 37℃에서 90분 동안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료를 넣지 않고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의 형성만 측정한 것을 대조군으로 정하고, 시료를 넣어 활성 산소종을 소거시키는 시료 처치군과 비교하여 활성 산소종 저해율을 구하였다. 모든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Figure 112013111463341-pat00001
실험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피드웰과 멀레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상기 두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0.5%, 1%, 2%)로 처리시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율이 높았으며 특히 스피드웰 추출물 2% 처리시 12%(도 1A), 멀레인 추출물 2% 처리시 16%의 활성 산소종 형성을 저해하였다(도 1B).
실험예 2: 본 발명 스피드웰 및 멀레인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능 실험
본 실험예에서는 피부 섬유아세포(HDFn)를 48 well plate에 5×104cells/well의 농도로 들어가도록 배양 배지 0.3 mL로 접종하여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추출물을 농도별로 포함한 새로운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모아서 enzymes-linked immunoassay kit (Takara사)를 이용하여 콜라겐 전구체의 C-말단의 양을 측정하고 콜라겐 용액 (640 ng/mL)을 이용하여 콜라겐 농도 0 ng∼640 ng 사이의 standard curve를 얻어 배지에 있는 콜라겐양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피드웰과 멀레인 추출물은 그 농도가 증가할수록 콜라겐 합성능도 증가하였고 특히 스피드웰 추출물 2% 처리시 콜라겐 합성능은 143%(도 2A), 멀레인 추출물 2% 처리시 콜라겐 합성능은 118% 증가하였다(도 2B).
실험예 3: 본 발명 스피드웰 및 멀레인 추출물의 Nitric Oxide 저해능 실험
본 실험예에서는 Mouse macrophage cell인 RAW 264.7 cell에 염증 유발물질인 LPS(Lipopolysaccharide)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96 well plate에 well 당 2×105cell이 되도록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Overnight하고 새로운 배지로 교환한 후 LPS(1ug/mL)와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 상층액을 취해 13,000 rpm에서 3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 모아서 Griess 시약과 1:1로 반응시키고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피드웰 및 멀레인 추출물은 그 농도가 높을수록 Nitric Oxide 저해활성이 높았고 특히 스피드웰 추출물 2% 처리시 대조군에 비하여 39%가 저해되고, 멀레인 추출물 2% 처리시는 대조군에 비하여 15% 저해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피드웰(Veronica officinalis) 또는 멀레인(Verbascum Thapsus L.) 유래의 추출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또는 염증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멀레인(Verbascum thapsus L.)에 프로판디올을 첨가하여 40℃에서 초음파 추출한 후 0.45 μm 막필터 여과하는 것이 특징인 멀레인 추출물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의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성 리퀴드, 로션, 크림, 젤, 팩, 에센스, 수중유(O/W), 유중수(W/O)형 또는 실리콘중수(W/Si)형의 파우더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50585A 2013-12-05 2013-12-05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585A KR101506602B1 (ko) 2013-12-05 2013-12-05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585A KR101506602B1 (ko) 2013-12-05 2013-12-05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213A Division KR101506609B1 (ko) 2014-06-25 2014-06-25 스피드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602B1 true KR101506602B1 (ko) 2015-03-30

Family

ID=5302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585A KR101506602B1 (ko) 2013-12-05 2013-12-05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6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661B1 (ko) * 2019-02-14 2019-08-02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실버위드, 히더, 홉, 멀레인의 허브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주름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869819A (zh) * 2022-05-13 2022-08-09 妙梵医药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具有抗皱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30143868A (ko) 2022-04-06 2023-10-13 휘조우 맨내이 바이오로지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모예화, 용담화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723A (ja) * 1997-12-11 1999-06-29 Shiseido Co Ltd 抗酸化剤
JP2001122730A (ja) * 1999-10-26 2001-05-0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723A (ja) * 1997-12-11 1999-06-29 Shiseido Co Ltd 抗酸化剤
JP2001122730A (ja) * 1999-10-26 2001-05-0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661B1 (ko) * 2019-02-14 2019-08-02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실버위드, 히더, 홉, 멀레인의 허브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주름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43868A (ko) 2022-04-06 2023-10-13 휘조우 맨내이 바이오로지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모예화, 용담화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4869819A (zh) * 2022-05-13 2022-08-09 妙梵医药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具有抗皱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869819B (zh) * 2022-05-13 2023-09-01 妙梵医药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具有抗皱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US20110142972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lt-fermented extract of natural materials
KR101506602B1 (ko) 멀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9967A (ko)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645621B1 (ko)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04800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2642B1 (ko) 5가지 방향성 식물과 5가지 생약소재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06609B1 (ko) 스피드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 및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3104B1 (ko) 꾸지뽕잎 및 뽕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8180B1 (ko) 조직배양한 라울리아 오스트라리스 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74994B1 (ko) 제주 용암해수와 조릿대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5420B1 (ko) 큰개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6200B1 (ko)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528279B1 (ko) 천연 옹기발효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