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279B1 - 천연 옹기발효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옹기발효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279B1
KR102528279B1 KR1020210086822A KR20210086822A KR102528279B1 KR 102528279 B1 KR102528279 B1 KR 102528279B1 KR 1020210086822 A KR1020210086822 A KR 1020210086822A KR 20210086822 A KR20210086822 A KR 20210086822A KR 102528279 B1 KR102528279 B1 KR 102528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cosmetic composition
mixed
skin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6087A (ko
Inventor
이삼형
이예진
이종은
최성규
박은정
석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네스
주식회사 에이치엔비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네스, 주식회사 에이치엔비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네스
Priority to KR102021008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27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발효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여러 가지 피부개선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들을 부위별로 혼합한 후 전통 옹기를 이용하여 발효 추출함으로써 얻어지는 천연 발효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개선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옹기발효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pottery fermented herbal mixture}
본 발명은 천연 발효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여러 가지 피부개선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들을 혼합한 후 전통 옹기를 이용하여 발효 추출함으로써 얻어지는 천연 발효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개선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노화되면서 다양한 피부 변화를 겪게 된다. 이와 더불어 환경오염으로 인한 미세먼지, 황사 등의 증가, 인스턴트식품 섭취 증가 및 스트레스 등은 민감성 피부, 문제성 피부의 원인이 되기 쉬워 지속적인 피부 관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피부 관리란 각 개인의 피부타입에 따른 미용상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보습, 미백, 자극완화, 주름개선 등 다양한 방면으로 접근하여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고 손상된 피부의 상태를 개선, 증진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식물 전체 또는 잎, 줄기, 뿌리 등을 이용하여 사람과 동물에 이로움을 주는 약용식물은 피부 관리를 위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용식물은 동의보감 등 한의학 관련 문헌에 의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실제 약용성분은 다양한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단순치료 목적을 넘어서, 화장품산업에서 보습, 미백, 자극완화, 피부노화방지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약용식물은 다양한 활성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미용학적 효능효과를 나타내지만, 식물의 부위별 활성성분의 종류와 함량이 다르며 효능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용식물을 특정 활성을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부위별로 혼합하여 이용하는 예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음식인 된장, 김치, 막걸리 등은 모두 발효식품이다. 이러한 발효 기술에서 옹기는 빠질 수 없는 도구이다. 옹기는 '독'이라는 우리말의 한자어로 그릇의 형태를 일컫는 말이다. 옹기는 선사시대부터 만들어져 음식물을 저장하는데 사용되었고, 삼국시대에는 생활에 더욱 긴요하게 사용되어 고구려의 안악 3호분 고분벽화에 크고 작은 독을 늘어놓은 장면이 있으며, 백제와 신라에서는 쌀이나 술, 기름과 간장, 젓갈 등을 저장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옹기는 황갈색의 유약을 입힌 질그릇이며, 옹기의 색은 바탕흙에 따라 갈리며 바탕흙에 포함되어있는 산화철의 양이 큰 작용을 하는데 철화합물은 산화성 불에는 갈색이나 붉은색, 밤색 계통의 색을 내며 환원성 불에서는 푸른색 계통의 색을 낸다. 특히 유약 속의 산화철은 산화성 불에 의해 황색유가 되며 농도는 대체로 1~2퍼센트이다.
옹기는 제작 시 높은 온도로 가열됨에 따라 옹기의 기벽에 함유되었던 결정수가 빠져나가면서 기공이 생성되어 공기가 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숨쉬는 그릇'으로 불린다. 또한, 옹기의 기공은 내부에 형성된 불순물을 밀어내는 작용을 하여 내용물의 부패를 막고 장기간 저장에 용이하면서도 일정한 온도 유지에 도움을 주어 발효에 효과적이다.
또한, 옹기의 둥근 모양은 햇빛 투과 시 상층은 직접 닿으며 하층은 지면에 닿은 복사열이 옹기 하단 표면에 투과되어 상하층에 골고루 빛을 받아 안에 저장된 식물을 고루 발효시키고 부패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통 옹기를 이용한 약용식물 발효물을 화장료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를 하였으며, 여러 가지 피부개선활성을 가지는 약용식물을 선별한 후, 특정한 피부개선활성을 나타내는 부위별로 혼합하고 이를 옹기를 이용하여 발효하고 추출함으로써 부위별 약용식물 혼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여 그 활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조된 부위별 약용식물 혼합발효추출물들을 혼합하여 약용식물 발효복합물의 피부개선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특정한 부위별 약용식물 혼합발효추출물들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약용식물 발효복합물에서 더욱 우수한 피부개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00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2589호(2018.10.23) (00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9760호(2014.06.13) (003)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7757호(2016.05.03)
본 발명은 천연 발효복합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매화, 금은화, 달맞이꽃 및 동백꽃의 꽃 혼합발효추출물; 유자, 오미자, 탱자, 산수유 및 매실의 열매 혼합발효추출물; 솔잎, 뽕잎, 감잎, 쑥잎 및 박하잎의 잎 혼합발효추출물; 및 홍삼, 당귀, 생강, 칡, 도라지의 뿌리 혼합발효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발효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각각의 혼합발효추출물은 추출원물을 옹기에 넣고 정제수를 가한 후, 유산균을 이용하여 25~35℃의 온도에서 48~96시간 동안 발효하고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이다.
상기 꽃 혼합발효추출물은 매화, 금은화, 달맞이꽃 및 동백꽃이 각각 1~2:1~2:1~2:1~2의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1:2: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매 혼합발효추출물은 유자, 오미자, 탱자, 산수유 및 매실이 각각 1~2:1~2:1~2:1~2:1~2의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1:2:2: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잎 혼합발효추출물은 솔잎, 뽕잎, 감잎, 쑥잎 및 박하잎이 각각 1~2:1~2:1~2:1~2:1~2의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2: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뿌리 혼합발효추출물은 홍삼, 당귀, 생강, 칡 및 도라지가 각각 1~2:1~2:1~2:1~2:1~2의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2:2:1: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발효복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2~20 중량% 함유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용, 피부미백용, 피부자극완화용 또는 피부주름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효복합물은 그 상승효과에 의하여 우수한 피부보습, 미백, 자극완화,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다양한 상태의 피부 개선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혼합발효추출물의 피부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혼합발효추출물의 미백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혼합발효추출물의 피부 자극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혼합발효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화, 금은화, 달맞이꽃 및 동백꽃의 꽃 혼합발효추출물; 유자, 오미자, 탱자, 산수유 및 매실의 열매 혼합발효추출물; 솔잎, 뽕잎, 감잎, 쑥잎 및 박하잎의 잎 혼합발효추출물; 및 홍삼, 당귀, 생강, 칡, 도라지의 뿌리 혼합발효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발효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각각의 혼합발효추출물은 부위별 추출원물을 옹기에 넣고 정제수를 가한 후, 유산균을 이용하여 25~35℃의 온도에서 48~96시간 동안 발효하고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각 혼합발효추출물은 피부개선활성을 나타내는 약용식물을 부위별로 혼합한 후 옹기에서 발효하여 추출한 것이다.
발효에 사용되는 상기 유산균은 Lactococccus lacti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Pediococcus cereviciae, Lactobacillus breve, Leuconostoc mesenteroides,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crispatus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Lactobacillus plantarum 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발효추출물은 부위별 식물들을 각 옹기에 넣고 그의 10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가하여 25~35℃의 온도에서 48~96시간 동안 옹기에서 발효하는 단계, 이를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상기 꽃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물은 약용식물 중 피부 보습에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꽃들로 선별된 것이다. 꽃은 종자식물에서만 볼 수 있으며 식물에서 씨를 만들어 번식 기능을 수행하는 생식기관으로 개화 시 필요한 수크로오스를 함유하고 있어 피부 내 수분 유지 기능을 한다. 다양한 꽃 중 매화, 금은화, 달맞이꽃, 동백꽃이 보습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을 각각 1~2:1~2:1~2: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각각 1:1:2:2의 중량비로 혼합 발효하는 경우 가장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내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매화는 장미과의 갈잎 매실나무의 꽃이며 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 추운 날씨에도 굳은 기개로 피는 하얀 꽃으로 은은한 향을 가지고 있다. 매화꽃에는 비타민C, 다양한 유기산, 폴리페놀을 함유하여 피부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보습기능을 가지고 있다.
금은화는 인동과 인동속에 속하는 인동덩굴의 꽃봉오리이며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한의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금은화에는 유기산, 루테올린, 이리도이드, 사포닌 등을 함유하고 있어 항염증, 항균, 항산화 작용 뿐만 아니라 수분공급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달맞이꽃은 쌍떡잎식물 도금약목 바늘꽃과의 두해살이풀이며 미주에서 원주민들이 생으로 찧어서 피부 건강을 위해 바르는 약초로 활용했다. 달맞이꽃 종자에는 필수 지방산인 감마리놀렌산이 풍부히 함유되어 있어 혈관을 확장하고 ceramide를 함유하고 있어 보습 및 수분손실 방지용 화장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동백꽃은 쌍떡잎식물 물레나무목 차나무과의 상록교목이다. 동백은 향기가 없으며 빛으로 동박새를 불러 새를 유인하는 조매화이며, 예부터 동백기름은 머리의 윤기를 나게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동백꽃에는 탄닌, 카멜린, 류코시아니딘, 올레익산, 글리세라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수분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열매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물은 약용식물 중 피부 미백에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열매들로 선별된 것이다. 열매는 씨앗을 포함해 과육과 껍질을 가지고 있는 기관이다. 열매에는 떫은 맛을 내는 탄닌과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어 피부 미백에 효과적이다. 다양한 열매 중 유자, 오미자, 탱자, 산수유, 매실이 다양한 미백 관련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을 각각 1~2:1~2:1~2:1~2: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 1:1:2:2:2의 중량비로 혼합 발효하는 경우 가장 우수한 미백개선 활성을 나타내었다.
유자는 유자나무의 열매로 껍질이 울퉁불퉁하고 신맛을 가지고 있다. 향기가 좋으며 과육이 부드러우며 감귤류 중에서 가장 추위에 강하다. 유자는 피로회복에 유효한 유기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헤스페리딘, 리모닌과 레몬보다 세 배 많은 비타민C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에 미백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미자는 목련과의 낙엽 활엽 동굴나무의 열매이며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을 느낄 수 있어 오미자라 불린다. 오미자는 수분 섭취를 돕고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이용되며 단백질, 칼슘, 인, 철, 비타민,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회복에 효과적 이다. 또한 오미자의 시잔드린, 고미신, 시트럴, 시트르산의 성분들은 기미, 주근깨 및 피부 색소침착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을 가지고 있다.
탱자는 운향과 낙엽 활엽 교목인 탱자나무의 노란 열매로 향기가 좋으며 베타카로틴, 헤스피리딘이 풍부하여 감기예방 및 피로회복 효과를 가지고 있다. 탱자를 썰어 말린 것을 지실이라하며 한방에서 약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피부의 심한 가려움증과 담벽을 낫게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탱자 또한 풍부한 비타민C를 가지고 있어 높은 항산화 효능과 미백기능을 나타낸다.
산수유는 층층나무과 산수유 나무의 열매이다. 산수유는 간과 신장을 보호하며 선천적으로 체질이 약한 사람과 노인의 퇴행성 변화를 늦추어 회춘의 열매로 알려져 있다. 산수유에는 말산, 주석산, 몰식자산과 같은 다양한 유기산과 사포닌, 탄닌, 비타민A 등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색소침착 개선에 효과를 나타낸다.
매실은 매화나무의 열매로 알칼리성 식품이며 해독작용이 뛰어나 3000년 전부터 건강보조 식품으로 이용된 과실이다. 열매 중 과육이 약 80%이며 수분, 당질, 무기질, 비타민, 유기산이 풍부하고 칼슘, 인, 칼륨, 무기질, 카로틴이 함유되어 있다. 매실에 함유된 시트르산은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며 피부미용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잎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물은 약용식물 중 피부 진정 및 자극완화에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잎 들로 선별된 것이다. 잎은 식물의 광합성과 증산작용 및 호흡작용을 하는 기관으로 잎의 뒷면 기공을 통해 호흡이 이루어지며, 물과 양분의 통로가 되는 잎맥을 가지고 있다. 잎에는 풍부한 엽록소(클로로필)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외부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자극받은 피부를 진정시킨다.
다양한 잎 중 솔잎, 뽕잎, 감잎, 쑥잎, 박하잎이 피부 자극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각각 1~2:1~2:1~2:1~2: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 1:1:1:2:2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발효하는 경우 가장 우수한 자극완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은 상록침엽의 교목인 소나무의 잎이며 상쾌하고 쓴맛을 가지고 있어 향신료로도 이용된다. 동의보감에서는 뼈마디가 저리고 아픈 병을 낫게하고 머리털을 나게하며 오장을 편안하게 하는 것으로 적혀있다. 솔잎에는 비타민A,C,K가 함유되어있어 혈액순환을 돕고 민감성 피부를 진정시키며, 피로해소, 면역력 개선에 도움을 준다.
뽕잎은 쌍떡잎식물 아욱목 피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 뽕나무의 잎으로 누에의 주 먹이이다. 누에는 오로지 뽕잎만 먹고도 몸무게를 1000배나 늘리며 뽕잎에 함유된 높은 단백질로 인해 비단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뽕잎은 필수 아미노산과 미네랄, 섬유소, 칼슘, 철분이 풍부하여 뼈를 튼튼하게하고 장의 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또한 카로틴, 엽록소 등이 풍부하여 염증을 억제하는 모루신, 균을 죽이는 움벨리페론 등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염증을 완화한다.
감잎은 감나무의 잎으로 주독을 풀며 피부의 살결을 아름답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잎은 주로 차로 마시며 감잎차에는 탄닌, 폴리페놀, 비타민 C, 다당성분이 함유되어 면역력 증진과 항염활성에 효과적이며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는 피부질환 치료에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세균번식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쑥잎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오래 전부터 단군신화에 등장할 정도로 유명한 건강식품이다. 쑥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혈액순환을 좋게하고 소염 작용이 우수하며 지혈 작용을 가지고 있다. 약재명 애엽으로 불리며 특유의 향을 내는 시네올을 함유하여 체내의 유해 세균 성장을 억제하고 면역과 해독작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박하잎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숙근초이다. 박하는 온대지방 식물로 서늘한 기후에서 자란 잎으로 강한 향을 가지고 있다. 박하의 주요성분은 멘톨이며 캄펜, 리모넨, 피넨, 멘테논, 타닌, 로즈메리산을 함유하고 있어 방부제 및 소염 기능이 우수하여 햇빛에 그을린 피부를 진정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뿌리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물은 약용식물 중 주름개선에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뿌리들로 선별된 것이다. 뿌리는 흙으로부터 물과 양분을 흡수하고 지지역할을 하며, 잎의 엽록체에서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당분을 녹말의 형태로 저장한다. 또한 뿌리에는 세포분열을 일으키는 생장점이 있어 식물체 중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다양한 뿌리식물 중 홍삼, 당귀, 생강, 칡, 도라지에서 높은 사포닌 등의 주름개선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을 각각 1~2:1~2:1~2:1~2: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 2:2:1:1:1의 중량비로 혼합 발효하는 경우 가장 우수한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홍삼은 수삼을 쪄서 말린 붉은 인삼이다. 다양한 사포닌을 함유하여 원기회복, 면역력 증강, 자양 강장에 도움을 주며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다. 예로부터 산삼은 신비한 약으로 여겨졌으며 현재까지 보고된 홍삼 및 인삼의 효능은 신경의 기능을 조절하고, 체액과 신진대사 기능을 조절하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면역항체 형성을 촉진시키며 콜라겐 활성에 관여하여 안티에이징 효과를 가지고 있다.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방향성 초본 당귀의 뿌리이며, 대부분 건조시켜 약재로 이용된다. 은은한 한약냄새를 가지고 있으며 전쟁터에서 기력이 다했을 때 당귀를 먹으면 다시 기운이 회복되어 돌아온다는 풍습이 전해진다. 당귀는 다양한 쿠마린 성분과 다당류인 엔젤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영양과 활력을 부여하고 안티에이징 기능을 한다.
생강은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뿌리는 고려시대 문헌인 향악구급방에는 약용식물로 기록되어 있으며 식용과 약용으로 쓰인다. 생강에는 진지베린, 커쿠민을 포함하여 진저롤, 쇼가올 등이 함유되어있으며 진저롤이 생강에 가장 풍부한 성분으로 생강의 맛과 향을 낸다. 생강은 항산화 작용, 항암작용, 진통 및 항염증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엘라스틴 분해효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탄력유지에 도움을 준다.
칡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식물이다. 겨울에도 얼어죽지 않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뿌리는 갈근이라고도 불리며 진액을 내어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어 약재로 이용된다. 칡에는 카테킨, 비타민C, 무기질 등이 풍부하며 프에라린 성분이 함유되어 항산화 및 노화 예방에 도움을 준다.
도라지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길경, 도랏, 길경채, 백약 등으로 불리며 산과 들에서 자생한다. 도라지에는 사포닌이 함유되어 염증치료에 사용된다. 또한 칼슘, 섬유질, 무기질, 단백질,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기능이 뛰어나고 콜라겐 합성에 도움을 주어 주름개선에 효과적이다.
상기 약용식물의 부위별 혼합발효추출물은 각각이 피부보습, 미백, 자극완화, 주름개선활성을 가지며, 이들을 혼합하여 발효복합물로 제조하는 경우 그 상승효과에 의하여 전반적으로 더욱 우수한 피부개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각 혼합발효추출물의 혼합비는 제한적이지 않지만, 각각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용식물의 부위별 혼합발효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 발효복합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2~20 중량% 함유된다.
본 발명의 발효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용식물의 부위별 각각의 화장료는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복합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계면활성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물, 유화제, 필수 오일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로션, 크림, 로션, 샴푸, 클렌징 폼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스킨,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팩 등이 있다.
또한,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및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및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3: 꽃혼합발효추출물 제조
건조된 매화, 금은화, 달맞이꽃, 동백꽃을 하기 표 1의 비율로 혼합 하여 옹기에 넣고, 건조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가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하여 25~35℃의 온도에서 60시간 동안 옹기에서 발효하였다. 이를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꽃 혼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분(g) 매화 금은화 달맞이꽃 동백꽃
제조예 1 10 20 10 20
제조예 2 20 20 10 10
제조예 3 10 10 20 20
시험예 1 : 보습관련인자 발현량 측정 시험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된 혼합발효추출물의 피부보습 관련 인자인 HAS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배양한 후,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18시간 starvation 시키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aCaT 세포에 각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는 RT-PCR을 이용하여 hyaluronic acid synthase(HAS) mRNA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보습관련인자 발현율(%) = (시료의 발현양/대조군의 발현양)×100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HAS mRNA 발현을 조사한 결과, HAS-1은 모든 시료 처리군에서 mRNA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HAS-3의 경우 제조예 2와 3에서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제조예 3에서 가장 높은 보습인자 발현율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 : aquaporins-3 합성량 측정 시험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된 꽃 혼합발효추출물로부터 aquaporins-3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aquaporins-3은 피부세포 내 존재하는 단백질 막으로 물을 이동시키며 물 분자의 출입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HaCaT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배양한 후 세포에 농도별 시료를 처리 및 배양한 다음 세포를 회수하고 파쇄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단백질은 BCA assay법을 이용해 정량하였으며, 정량된 단백질은 희석한 후 SDS-gel에서 전기영동하여 P membrane으로 옮기고 항체와 반응시켜 peroxidase substrate and chromogen solution 발색시약을 이용해 aquaporins-3 합성량을 확인하기 위한 western blottng을 실시하였다. 그 값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quaporins-3 합성량 증가(%)=(시료의 발현양/음성 대조군의 발현양)×100
시료 농도
(%)
aquaporins-3 합성량 증가(%)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Hyaluronic acid
0.5 105 104 115 121
2 111 114 124 131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조예 처리군에서 aquaporins-3 합성량이 증가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제조예 3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제조예 4~6: 열매 혼합발효추출물 제조
건조된 유자, 오미자, 탱자, 산수유, 매실을 하기 표 3의 비율로 혼합하여 옹기에 넣었다. 건조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가한 후,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하여 25~35℃의 온도에서 60시간 동안 옹기에서 발효하고, 이를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열매 혼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분(g) 유자 오미자 탱자 산수유 매실
제조예 4 5 2.5 5 2.5 5
제조예 5 2.5 2.5 5 5 5
제조예 6 5 5 5 2.5 2.5
시험예 3: Tyrosinase 활성 억제 시험
Tyrosianse 억제 효과는 dopachrome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5ul의 mushroom tyrosinase-150 unit, 225ul의 2.5mM L-tyrosine, 225ul의 0.4M hepes buffer(pH 6.8), 그리고 ethanol용액 혹은 시료를 섞은 후 배양 전과 15분간 배양 후 각각의 흡광도를 475nm에서 측정하여 억제되는 정도를 살펴보았다. Tyrosinase 억제 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112021076418744-pat00001
A: 시료가 첨가된 용액의 배양 전 흡광도
B: 시료가 첨가된 용액의 배양 후 흡광도
C: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용액(기준용액)의 배양 전 흡광도
D: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용액(기준용액)의 배양 후 흡광도
시료 농도
(%)
Tyrosinase Inhibition(%)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Arbutin
0.5 48.3 58.5 48.4 68.7
2 53.5 64.2 59.4 66.1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부의 멜라닌 형성에 작용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살펴 본 결과, 제조예 5의 혼합비율에서 가장 우수한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4: Melanin 생성량 측정 시험
melanocyte인 B16F10 세포는 melanin을 생성한다. Melanin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melanocyte내의 소기관인 melanosome에서 생합성되며, 이는 가시광선 영역대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량을 비교할 수 있다. B16F10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배양한 후 멜라닌생성을 유도하는 200nM의α-MSH와 농도별 시료처리 후 추가 배양한 다음, 색이 변한 배지로 세포 외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각 well 당 1ml의 1N NaOH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세포막을 융해함으로써 melanin성분을 녹여 나오게 하여 세포 내 멜라닌은 400nm에서 흡광도에서, 세포 외 멜라닌은 780nm 흡광도에서 측정함으로써 생성량을 비교하였다.
melanin 생성량(%) = (시료의 생성량/대조군의 생성량)×100
그 결과를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다. 세포 내 malanin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제조예 5에서 가장 낮은 melanin 생성량을 나타내었으며 세포 외 malanin 생성량 역시 제조예 5의 혼합비율에서 가장 우수한 melanin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조예 7~9: 잎 혼합발효추출물 제조
건조된 솔잎, 뽕잎, 감잎, 쑥잎, 박하잎을 하기 표 6의 비율로 혼합하여 옹기에 넣고, 건조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가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하여 25~35℃의 온도에서 60시간 동안 옹기에서 발효하고, 이를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잎 혼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분(g) 솔잎 뽕잎 감잎 쑥잎 박하잎
제조예 7 2.5 5.0 2.5 5.0 2.5
제조예 8 5.0 5.0 2.5 2.5 2.5
제조예 9 2.5 2.5 2.5 5.0 5.0
시험예 5: NO 생성 억제율 시험
Nitric oxide(NO)는 피부 내 단백질 속 아민과 결합하여 니트로사민을 생성하고 발암 및 염증을 일으킨다.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의 각 well에 1×105의 세포를 접종한 후,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LPS를 0.2 μg/ml 농도로 한 시간 처리하고, 이후 농도별 시료 처리하여 1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Griess 시약[1% sulfanilamide, 0.1% naphylethylenendiamine in 2.5% phosphoric acid]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 상등액 100 μl와 Griess 시약 100 μl를 1:1로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Nano-Quant Plate™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4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상된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nitrite를 측정한 결과 제조예 9에서 가장 높은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6: H 2 O 2 에 의해 유발된 세포사멸 억제 효과
H2O2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독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CD-986sk cell을 96-well plate에 1×104cells/well되게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H2O2 3mM과 시료를 농도 별로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MTT용액(5 mg/mL)을 10 μL씩 첨가하였다. 4시간 후 배지를 버리고 DMSO를 넣어 formazan을 용해시키고 570 nm에서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Sample Concentration O.D.570nm average
Control - 3.2384 3.2105 3.2456 3.232
H2O2 3mM 1.454 1.654 1.543 1.550
제조예 7 0.5 % 1.684 1.682 1.543 1.650
1 % 1.774 1.698 1.782 1.751
제조예 8 0.5 % 1.881 1.894 1.901 1.892
1 % 2.240 2.287 2.368 2.298
제조예 9 0.5 % 2.454 2.654 2.551 2.553
1 % 2.694 2.741 2.754 2.730
H2O2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사멸을 MTT assay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제조예 8, 9에서 세포 사멸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중에서도 제조예 9에서 가장 크게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능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0~12: 뿌리 혼합발효추출물 제조
건조된 홍삼, 당귀, 생강, 칡, 도라지를 하기 표 7의 비율로 혼합하여 옹기에 넣고 건조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가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하여 25~35℃의 온도에서 60시간 동안 옹기에서 발효하였다. 이를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뿌리 혼합발효추출물을 얻었다.
구분(g) 홍삼 당귀 생강 도라지
제조예 10 5.0 5.0 2.5 2.5 2.5
제조예 11 2.5 2.5 2.5 5.0 5.0
제조예 12 2.5 5.0 2.5 5.0 2.5
시험예 7: Elastase 활성 억제 효과 시험
96-well plate에 농도별 뿌리 혼합발효추출물을 100 μL, Trisbuffer 60 μL를 넣고 여기에 8.8 mM 농도의 기질(N-succinyl-Ala-Ala-Ala-p-nitroanilide) 20 μL, 10μg/mL 농도의 효소(elastase)를 20μL 넣고 25℃에서 15 min 동안 반응시킨 후 410 nm에서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Tris buffer를 넣은 것으로 하였으며, 효소를 넣지 않은 공시험의 흡광도를 뺀 값을 elastase 활성 억제 효과평가에 이용하였다. 산출식은 하기 계산식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Elastase Inhibition(%)=(대조군의 흡광도-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Sample Concentration Elastase inhibition(%)
Retinol 50μg/mL 78.8
제조예 10 0.5 % 77.4
1 % 80.5
제조예 11 0.5 % 75.2
1 % 76.8
제조예 12 0.5 % 74.7
1 % 76.2
엘라스테이즈 활성 억제 효과 시험을 수행한 결과, 제조예 10, 11, 12 시료 모두에서 농도 의존에 따라 elastase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제조예 10에서 가장 우수한 억제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8: 탄력 관련인자 발현량 측정 시험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DFa)를 48-well plate에 1×105cells/well되게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농도별로 준비한 시료를 serum이 없는 DMEM 배지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교체한 후 12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200mJ UVB 조사 후 12시간 추가 배양 하였다. 배양된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여 RT-PCR을 통해 collagen type 1과 type 3의 발현 증가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탄력 관련인자 발현율(%)=(시료의 발현양/ 대조군의 발현양)×100
탄력 관련인자 발현량 측정 시험을 수행한 결과, 제조예 10, 11, 12 시료 모두에서 collagen type 1과 type 3가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제조예 10에서 가장 우수한 증가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1: 발효복합물의 제조
상기 시험예에서 가장 바람직한 혼합발효추출물로 확인된 상기 제조예 3의 꽃 혼합발효추출물, 제조예 5의 열매 혼합발효추출물, 제조예 9의 잎 혼합발효추출물 및 제조예 10의 뿌리 혼합발효추출물을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여 발효복합물 1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발효복합물을 함유하는 로션의 제조
상기 제조예 3, 제조예 5, 제조예 9, 제조예 10 및 실시예 1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로션을 하기 표 9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대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2
제조예 3 - 4.0 - - - -
제조예 5 - - 4.0 - - -
제조예 9 - - - 4.0 - -
제조예 10 - - - - 4.0 -
실시예 1 - - - - - 4.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2.0
세토스테아릴알콜 0.8 0.8 0.8 0.8 0.8 0.8
스테아린산 1.5 1.5 1.5 1.5 1.5 1.5
시어버터 0.5 0.5 0.5 0.5 0.5 0.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0.6 0.6 0.6 0.6 0.6
식물성 스쿠알란 2.0 2.0 2.0 2.0 2.0 2.0
디메치콘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베타인 3.0 3.0 3.0 3.0 3.0 3.0
1,2-헥산디올 1.0 1.0 1.0 1.0 1.0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4.0 4.0 4.0 4.0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시험예 9: 피부 보습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발효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강한 30세에서 5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 5명씩 나누어 상기 대조예, 비교예 및 실시예의 로션을 안면부에 하루 2회씩 2주간 도포하였다. 이후 피부 수분함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로션 사용 전후의 표피층 수분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표 10에 정리하였다.
구분 초기(D0) 평균 2주(D14) 평균
대조예 67 70
비교예 1 58 68
비교예 2 71 78
비교예 3 75 80
비교예 4 59 65
실시예 2 68 84
상기 표 10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조예 3의 꽃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1의 제형에서 보습개선효과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발효복합물(실시예 1)을 함유하는 실시예 2에서 가장 높은 보습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10: 미백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발효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강한 30세에서 5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각 5명씩 나누어 상기 대조예, 비교예 및 실시예의 제형을 안면부에 하루 2회씩 8주간 도포하였다. 로션 사용 전과 후의 피부색을 색차계를 사용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 데에는 L*, a*, b*표색계를 쓰며 본 실험에서는 주로 L*값(명도)을 지표로 하였다. L*값은 검정색(L*=0)으로부터 흰색(L*=100) 까지를 나타내며 8주 후의 ΔL*값에서 시험 전 ΔL*을 뺀 값을 하기 표 11에 정리하였다.
구분 ΔL*
대조예 2.45
비교예 1 4.45
비교예 2 9.48
비교예 3 6.54
비교예 4 7.54
실시예 2 10.85
상기 표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5의 열매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2의 제형에서 미백개선 효과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예 1의 발효복합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는 더욱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11: 자극완화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발효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강한 30세에서 5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측정 방법은 인체피부시험대상자의 팔 전박부에 0.5% sodium lauryl sulfate (SLS)로 자극을 유도한 다음 Mexameter MX 18(Courage+Khazaka Electronic, Germany)을 이용하여 해당 부위에 Mexameter MX 18을 접촉한 후 1초 이내에 센서를 통하여 홍반지수(eryhma Index, EI)를 측정하였다. 이후 대조예, 비교예 및 실시예에 해당하는 크림을 적용한 다음 측정한 홍반지수와 비교하였다. 그 평균 값은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사용 전 홍반지수(EI) 사용 후 홍반지수(EI)
대조예 12.2±7.5 9.8±1.3
비교예 1 11.2±3.5 10.1±1.4
비교예 2 12.3±3.1 8.7±2.2
비교예 3 15.2±4.4 5.2±4.8
비교예 4 13.5±5.8 10.5±4.1
실시예 2 14.2±4.2 1.5±2.6
상기 표 1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9의 잎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3의 제형에서 자극완화 효과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발효복합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에서 가장 높은 자극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12: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상기 발효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강한 30세에서 5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각 5명씩 나누어 상기 대조예, 비교예 및 실시예의 로션을 안면부에 하루 2회씩 4주간 도포하였다. 4주 후 주름의 개선 정도를 주름의 영상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를 채취하고 실험이 종료된 직후의 레플리카를 눈 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주름 밀도의 측정 결과는 사용 전과 후의 주름 밀도 를 하기의 표 13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사용 전 주름밀도(μm) 사용 후 주름밀도(μm)
대조예 40.5 42.5
비교예 1 42.6 42.4
비교예 2 51.2 50.1
비교예 3 43.5 40.8
비교예 4 55.7 51.6
실시예 2 48.8 44.3
상기 표 13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조예 10의 뿌리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4의 제형에서 주름개선효과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예 2에서 가장 높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시험예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조예 3, 제조예 5, 제조예 9 및 제조예 10의 부위별 혼합발효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실시예 1의 발효복합물은 상승작용에 의하여 각각의 혼합발효추출물에 비하여, 피부보습, 미백, 자극완화 및 주름개선 효과가 전반적으로 더욱 우수하였다.

Claims (9)

  1. 매화, 금은화, 달맞이꽃 및 동백꽃의 꽃 혼합발효추출물; 유자, 오미자, 탱자, 산수유 및 매실의 열매 혼합발효추출물; 솔잎, 뽕잎, 감잎, 쑥잎 및 박하잎의 잎 혼합발효추출물; 및 홍삼, 당귀, 생강, 칡, 도라지의 뿌리 혼합발효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발효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혼합발효추출물은 추출원물을 옹기에 넣고 정제수를 가한 후, 유산균을 이용하여 25~35℃의 온도에서 48~96시간 동안 발효하고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 혼합발효추출물은 매화, 금은화, 달맞이꽃 및 동백꽃이 각각 1~2:1~2:1~2:1~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 혼합발효추출물은 유자, 오미자, 탱자, 산수유 및 매실이 각각 1~2:1~2:1~2:1~2:1~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잎 혼합발효추출물은 솔잎, 뽕잎, 감잎, 쑥잎 및 박하잎이 각각 1~2:1~2:1~2:1~2:1~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 혼합발효추출물은 홍삼, 당귀, 생강, 칡 및 도라지가 각각 1~2:1~2:1~2:1~2:1~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발효복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2~20 중량%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용, 피부미백용, 피부자극완화용 또는 피부주름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86822A 2021-07-02 2021-07-02 천연 옹기발효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8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822A KR102528279B1 (ko) 2021-07-02 2021-07-02 천연 옹기발효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822A KR102528279B1 (ko) 2021-07-02 2021-07-02 천연 옹기발효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087A KR20230006087A (ko) 2023-01-10
KR102528279B1 true KR102528279B1 (ko) 2023-05-03

Family

ID=8489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822A KR102528279B1 (ko) 2021-07-02 2021-07-02 천연 옹기발효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2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458A (ko) *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081059B1 (ko) *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63069B1 (ko) * 2010-07-23 2012-07-04 함일한 주름 및 잡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9760B1 (ko) 2013-02-21 2014-06-19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피부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우뭇가사리와 엉겅퀴 추출 복합물의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20140111364A (ko) * 2013-03-11 2014-09-19 한준수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KR101730852B1 (ko) 2014-10-23 2017-04-27 비오비네이처 주식회사 5색 컬러푸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2589B1 (ko) 2017-08-31 2018-10-3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허브 발효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KR102304977B1 (ko) * 2019-05-21 2021-09-24 이명수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087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9419B1 (ko)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878080B1 (ko) 피부 미용을 위한 영양 팩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6150B1 (ko)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0828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0960B1 (ko)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
KR102528279B1 (ko) 천연 옹기발효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87446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76655B1 (ko) 미세침 분말 및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