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040B1 -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040B1
KR101251040B1 KR1020100075036A KR20100075036A KR101251040B1 KR 101251040 B1 KR101251040 B1 KR 101251040B1 KR 1020100075036 A KR1020100075036 A KR 1020100075036A KR 20100075036 A KR20100075036 A KR 20100075036A KR 101251040 B1 KR101251040 B1 KR 10125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hwangchil
whitening
herb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918A (ko
Inventor
박숙우
Original Assignee
박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숙우 filed Critical 박숙우
Priority to KR102010007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0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0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의 안전성, 안정성 및 보습기능이 우수하며, 특히 멜라닌을 생성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가 매우 뛰어난 황칠나무 추출물을 로션, 세안제, 크림, 파우더, 스킨, 샴푸 등 형태의 화장품에 함유시키는 미백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마치현, 귤피 및 꽈리열매가 포함된 한약재료가 100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500중량부로 이루어진 황칠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1 내지 70중량% 포함하고, 잔량으로서 화장품 베이스를 포함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칠나무 및 마치현, 귤피, 꽈리열매로 구성된 한약재료를 30 내지 40℃의 미온수에 10 내지 30분간 침지 또는 세척하는 제1단계, 세척된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에 용매를 가하는 제2단계, 상기 용매가 가해진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를 1 내지 90℃의 온도로 12 내지 24시간 가열하는 제3단계 및 가열된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를 한약증류기를 통해 증류하여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and cosmetic ingredient using Dendropanax morbifera Lev extraction fluid}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의 안전성, 안정성 및 보습기능이 우수하며, 특히 멜라닌을 생성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가 매우 뛰어난 황칠나무 추출물을 로션, 세안제, 크림, 파우더, 스킨, 샴푸 등 형태의 화장품에 함유시키는 미백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세계에서 오직 한 곳 한국의 해남 완도와 같은 남부 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상록 활엽 교목으로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는 수종으로 수피에 상처를 주면 황색의 수지액이 나오는데 이것을 황칠(黃漆)이라고 한다.
황칠은 삼국시대부터 황제의 갑옷, 투구, 기타 금속 장신구의 황금색을 발하는 진귀한 도료로 이용되어 왔으며, 고려시대에 쓰여진 고려사절요, 중국의 계림유사, 계림지, 해동역사에 황칠의 채취시기, 사용 용도 등이 기록되어 있고, 그 이전인 백제의 특산품이었다는 것이 당나라 역사서인 책부원구, 통전에 남아있다.
이시진의 본초강목에는 황칠나무가 번열 제거, 안질 및 화상치료, 나병에 효과가 있으며 무해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황칠은 황금색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 성분인 비휘발 성분 66.7%, 방향성분 10.8%, 수분 8.1%, 고형분 14.4%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방향 성분은 주로 세스퀴테르펜류의 β-쿠베벤(cubebene), γ-셀리넨(selinene), δ-카디넨 (cadinene)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피부의 노화 현상, 기미, 주름 또는 주근깨 등이 많아지는 현상은 콜라겐(collagen)이 부족하거나 멜라닌(melanin)의 생성이 많아지면서 생기는 현상이다.
콜라겐(collagen)은 인체의 각 부위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세포와 세포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서, 피부의 윤기와 탄력을 유지하는 단백질이다. 그러나, 약 18세 이후부터는 피부 내의 콜라겐이 감소하여 탄력과 윤기가 없어지면서, 주름, 검버섯 및 기미 등이 생기게 되고, 약 40세를 넘게 되면 체내 콜라겐의 양은 18세의 절반 이하로 떨어지면서 피부, 뼈, 관절 등의 노화가 진행되는 것이다.
피부의 노화는 크게 내적 노화와 외적 노화로 구분되며, 주로 외적 요인에 의하여 노화가 촉진된다.
외적 노화는 주로 자외선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인데, 실제로 농부, 어부 및 운동 선수처럼 다른 직종에 비하여 햇빛에 노출이 심한 사람들은 나이에 비하여 훨씬 피부가 검고, 노화가 촉진되어 거친 잡티가 얼굴과 피부에 급속도로 나타나기 때문에 나이에 비하여 더 늙어 보이는 것이다.
자외선이 우리들의 삶에 필수적이기는 하지만 장기간 노출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의 조기 노화가 촉진되는 원인이 되게 된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흑화 현상은 1차 흑화(immediate pigment darkening)와 2차 흑화(delated tannig)로 나눌 수 있는데, 1차 흑화는 멜라닌의 생합성과는 관계없이 기존의 멜라닌의 화학적인 산화 반응을 통하여 보다 진한색으로 변화하는 현상으로서 멜라닌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는 현상이며, 2차 흑화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화에 의해 멜라닌이 새롭게 생성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다.
멜라닌세포는 단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에 저해가 되는 자외선이 진피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인체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세포이며, 멜라닌은 멜라닌세포의 멜라노좀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피부의 각질층에 분포되며, 멜라닌 색소의 많고 적음에 의하여 외부로 보이는 피부색을 결정된다.
현재까지는 황칠나무의 용도는 자연의 금색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공예품에 사용하는 도료의 원료로서의 용도가 개시된 바 있고, 황칠나무의 잎 추출물 분획에서 항암 작용 및 α-토코페롤보다 다소 약한 항산화 작용, 황칠나무 방향 성분의 신경계에 대한 진정작용 및 강장작용 등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피부 미백 작용 또는 피부 미백제로서의 용도와 관련하여 효능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마치현(Portulaca oleracea)은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을 의미하며, 쇠비름이라고도 한다. 마치현은 높이는 15~30cm의 갈적색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져 자라며, 뿌리는 백색이지만 손으로 벗기면 원줄기와 같이 적색으로 된다. 잎은 마주나고 쐐기 모양의 타원형이며, 마치 말의 이빨 모양과 닮았다고 하여 마치현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꽃은 5~8월에 피며, 노란 꽃이 가지 끝에 피는데 꽃자루가 없고, 양성이며, 아침에 피었다가 한낮에 오므라진다. 서양에서는 상치와 더불어 샐러드의 재료로 사용되며, 우리나라에서는 나물 등 주로 식용으로 사용되거나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마치현은 항염작용, 항균, 알러지 진정효과, 수렴작용 및 보습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꽈리 추출물도 미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꽈리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의 중간물질인 도파크롬 생성을 현저히 억제할 뿐 아니라, 생쥐에서 분리해낸 색소합성세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꽈리 추출물이 멜라닌 색소 생성을 약 65.3%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으며, 이는 기존 미백제로 이용되고 있는 알부틴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처럼, 식물성 천연물들은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성분들을 갖기 때문에 미백 물질의 좋은 검색대상이 되고 있으며, 종래부터 피부노화의 억제기능을 가진 원료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방제로 사용되고 있는 생약, 야채, 과일, 꽃 등의 안전성이 뛰어난 식물추출물로부터 비정상적인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진 추출물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적절한 배합 및 추출방법으로부터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멜라인의 생성을 유도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 마치현, 귤피 및 꽈리열매를 달여나오는 증기를 모은 뒤 다시 냉각해 농축으로 추출(증류)하는 한방 제조법인 노(露)법을 사용하여 그 추출물을 추출함으로써 고농축 영양분이면서도 순해 민감하고 약한 피부에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항염작용, 항균, 알러지 진정효과, 수렴작용 및 보습효과가 매우 우수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마치현, 귤피 및 꽈리열매가 포함된 한약재료가 100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500중량부로 이루어진 황칠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1 내지 70중량% 포함하고, 잔량으로서 화장품 베이스를 포함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칠나무 및 마치현, 귤피, 꽈리열매로 구성된 한약재료를 30 내지 40℃의 미온수에 10 내지 30분간 침지 또는 세척하는 제1단계, 세척된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에 용매를 가하는 제2단계, 상기 용매가 가해진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를 1 내지 90℃의 온도로 12 내지 24시간 가열하는 제3단계 및 가열된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를 한약증류기를 통해 증류하여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멜라인의 생성을 유도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 마치현, 귤피 및 꽈리열매를 달여나오는 증기를 모은 뒤 다시 냉각해 농축으로 추출(증류)하는 한방 제조법인 노(露)법을 사용하여 그 추출물을 추출함으로써 고농축 영양분이면서도 순해 민감하고 약한 피부에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항염작용, 항균, 알러지 진정효과, 수렴작용 및 보습효과가 매우 우수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액에 물을 함유한 황칠나무 물 혼합물 및 코직산의 농도에 따른 멜라닌 합성의 억제율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마치현, 귤피 및 꽈리열매 추출물이 함유된 한약재료를 100중량부 기준으로 하는 혼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500중량부로 이루어진 황칠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지되, 혼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황칠나무 추출물을 1 내지 70중량% 포함하고, 잔량으로서 화장품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때, 황칠나무 추출물은 우수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하시키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의 흑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액에 물을 함유한 황칠나무-물 혼합물 및 코직산의 농도에 따른 멜라닌 합성의 억제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미백제로서 널리 사용되었던 코직산(kojic acid)과 황칠나무-물 혼합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각각 현저하게 나타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직산이 10㎍/㎖와 100㎍/㎖에서 약 14.5%와 65%의 멜라닌 생성 억제가 나타난 반면, 황칠나무-물 혼합물에서는 10㎍/㎖와 100㎍/㎖에서 약 35%와 98%의 멜라닌 억제가 나타나, 코직산보다 월등한 미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코직산은 매우 불안정한 물질로서, 소량 함유한 화장료를 실온에서 수 주동안 보관하면 갈변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황칠나무-물 혼합물의 경우 황칠나무 추출액의 농도가 1㎍/㎖ 미만인 경우에는 멜라닌의 생성이 억제되는 효능을 볼 수 없으며, 황칠나무 추출액의 농도가 1000 ㎍/㎖ 인 경우 약 100%의 멜라닌 억제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황칠나무 물 혼합물의 농도는 1~1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황칠나무, 마치현, 귤피 및 꽈리열매에 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증류(달일 때 나오는 수증기를 모은 뒤 다시 냉각해 농축으로 추출)시키는 방법으로 그 추출을 추출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액에 물을 함유한 황칠나무-물 혼합물보다 더욱 뛰어난 멜라닌 억제효과를 볼 수 있다.
황칠나무 추출물은 피부 미백제용 첨가물로써, 제형에 특별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며, 로션, 세안제, 크림, 파우더, 스킨 또는 샴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샴푸의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살충제, 방부제, 비누향료의 역할을 하며, 모낭충을 제거하고, 두통, 불면증 등에 좋은 녹나무를 하수오, 측백나무 등과 함께 본 발명의 증류의 방법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3년 이상 발효시킨 효소를 더 포함하여 피부 세안제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혼합 한약재료 추출물로는 꾸지뽕 나무 또는 감초의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 한약재료 추출물들은 혼합 한약재료를 깨끗한 물에 10 내지 30분간 침지하여 세척한 후, 12 내지 24시간 달여 한약증류기를 통해 증류(달일 때 나오는 수증기를 모은 뒤 다시 냉각해 농축으로 추출)된 것으로서, 전체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의 1 내지 15중량%를 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은 잔량으로서 달팽이 점액 여과물 1 내지 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달팽이 점액 여과물은 염분이 함유된 온수에 침지하여 달팽이가 머금고 있는 오물이나 불순물이 제거하고, 세척이 완료된 달팽이로부터 액체상태의 뮤신성분을 용기에 수집하며, 수집된 뮤신성분을 여과기를 통해 여과함으로써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칠나무 및 마치현, 귤피, 꽈리열매로 구성된 한약재료를 30 내지 40℃의 미온수에 10 내지 30분간 침지 또는 세척하는 제1단계(S100), 세척된 황칠나무 및 한약재료에 용매를 가하는 제2단계(S200), 용매가 가해진 황칠나무 및 한약재료를 1 내지 90℃의 온도로 12 내지 24시간 가열하는 제3단계(S300) 및 가열된 황칠나무 및 한약재료를 한약증류기를 통해 증류하여 황칠나무 및 한약재료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4단계(S400)를 포함한다.
이때, 증류는 사전적 의미로서 달일 때 나오는 증기를 모은 뒤 다시 냉각해 농축으로 추출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한방 제조법인 노(露)법을 사용하여 그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때, 한약재료를 100중량부 기준으로 하여, 황칠나무는 50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단계(S200)에서 용매는 황칠나무 및 한약재료 1g 당 1 내지 5 ml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단계(S100)에서 한약재료로서 꾸지뽕 나무 또는 감초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4단계(S400) 이후에 잔량으로서 달팽이 점액 여과물 1 내지 5중량% 함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달팽이 점액 여과물은 염분이 함유된 온수에 침지하여 달팽이가 머금고 있는 오물이나 불순물이 제거하고, 세척이 완료된 달팽이로부터 액체상태의 뮤신성분을 용기에 수집하며, 수집된 뮤신성분을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는 과정으로 추출한다.
제2단계(S200)에서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콜 또는 부틸렌글라콜 중 어느 하나의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단계(S400) 이후에 한약재료 및 황칠나무 추출물을 1 내지 70중량% 포함하고, 잔량으로서 화장품 베이스를 함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6)

  1.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마치현, 귤피 및 꽈리열매가 포함된 한약재료가 100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500중량부로 이루어진 황칠나무 추출물
    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 한약재료 추출물 및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1 내지 70중량% 포함하고, 잔량으로서 화장품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잔량으로서, 달팽이 점액 여과물 1 내지 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점액 여과물은 염분이 함유된 온수에 침지하여 상기 달팽이가 머금고 있는 오물이나 불순물이 제거하고, 세척이 완료된 상기 달팽이로부터 액체상태의 뮤신성분을 용기에 수집하며, 수집된 상기 뮤신성분을 여과기를 통해 여과함으로써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한약재료 추출물은 꾸지뽕 나무 또는 감초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한약재료를 물에 10 내지 30분간 침지 또는 세척하며, 12 내지 24시간 달인 후 한약증류기를 통해 증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한약재료에 대해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콜 또는 부틸렌글라콜 중 어느 하나의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며, 로션, 세안제, 크림, 파우더, 스킨 또는 샴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8.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효소;
    를 더 포함하여, 피부 세안제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9.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칠나무 및 마치현, 귤피, 꽈리열매로 구성된 한약재료를 30 내지 40℃의 미온수에 10 내지 30분간 침지 또는 세척하는 제1단계;
    세척된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에 용매를 가하는 제2단계;
    상기 용매가 가해진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를 1 내지 90℃의 온도로 12 내지 24시간 가열하는 제3단계 및
    가열된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를 한약증류기를 통해 증류하여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상기 한약재료 및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1 내지 70중량% 포함하고, 잔량으로서 화장품 베이스를 함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잔량으로서 달팽이 점액 여과물 1 내지 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료를 100중량부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황칠나무는 50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상기 황칠나무 및 상기 한약재료 1g 당 1 내지 5 ml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점액 여과물은 염분이 함유된 온수에 침지하여 상기 달팽이가 머금고 있는 오물이나 불순물이 제거하고, 세척이 완료된 상기 달팽이로부터 액체상태의 뮤신성분을 용기에 수집하며, 수집된 상기 뮤신성분을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는 과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한약재료로서 꾸지뽕 나무 또는 감초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콜 또는 부틸렌글라콜 중 어느 하나의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00075036A 2010-08-03 2010-08-03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Active KR101251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036A KR101251040B1 (ko) 2010-08-03 2010-08-03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036A KR101251040B1 (ko) 2010-08-03 2010-08-03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918A KR20120012918A (ko) 2012-02-13
KR101251040B1 true KR101251040B1 (ko) 2013-04-04

Family

ID=4583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036A Active KR101251040B1 (ko) 2010-08-03 2010-08-03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0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554B1 (ko) * 2013-11-15 2015-07-09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7091A (ko) * 2014-04-09 2015-10-19 (주)컬러핑크알앤디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WO2016159665A3 (ko) * 2015-03-31 2016-11-24 주식회사 크릴랜드 베리과 열매를 섭취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12559B1 (ko) 2016-09-19 2017-03-06 한상선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US20180193248A1 (en) * 2016-01-07 2018-07-12 Kemin Industries, Inc. Determination of melanin inhibition potential of natural ingredients
KR102489463B1 (ko) 2022-07-19 2023-01-19 주식회사 자연속요정 마이크로파 처리된 황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30148515A (ko) 2022-04-18 2023-10-25 박노면 천연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06B1 (ko) * 2013-08-26 2014-02-28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테트라데칸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3860451B (zh) * 2014-04-01 2015-12-02 广东伊茗药业有限公司 一种含有蜗牛黏液提取物的功效性护肤品及制备方法
KR101739518B1 (ko) * 2015-08-20 2017-05-26 비알 컨설팅 인코포레이티드 황칠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65892B1 (ko) * 2016-08-08 2018-06-08 비알 컨설팅 인코포레이티드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6316B1 (ko) * 2018-07-27 2020-07-22 농업회사법인 휴림황칠(주)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0380B1 (ko) * 2019-11-07 2021-05-11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꾸지뽕나무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244A (ko) * 1999-04-14 2000-11-15 황인성 달팽이 생진액을 함유한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KR20040107852A (ko) * 2003-06-14 2004-12-23 정세영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황칠 추출물과 황칠 분획물
KR20080113478A (ko) * 2007-06-25 2008-12-3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활성을 갖는 미성숙 감귤 정유추출물
JP2009108015A (ja) * 2007-11-01 2009-05-21 Pias Arise Kk 伸展刺激介在メラニン生成抑制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244A (ko) * 1999-04-14 2000-11-15 황인성 달팽이 생진액을 함유한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KR20040107852A (ko) * 2003-06-14 2004-12-23 정세영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황칠 추출물과 황칠 분획물
KR20080113478A (ko) * 2007-06-25 2008-12-3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활성을 갖는 미성숙 감귤 정유추출물
JP2009108015A (ja) * 2007-11-01 2009-05-21 Pias Arise Kk 伸展刺激介在メラニン生成抑制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554B1 (ko) * 2013-11-15 2015-07-09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여성질환 개선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7091A (ko) * 2014-04-09 2015-10-19 (주)컬러핑크알앤디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58799B1 (ko) 2014-04-09 2016-09-23 (주)컬러핑크알앤디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WO2016159665A3 (ko) * 2015-03-31 2016-11-24 주식회사 크릴랜드 베리과 열매를 섭취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80193248A1 (en) * 2016-01-07 2018-07-12 Kemin Industries, Inc. Determination of melanin inhibition potential of natural ingredients
KR101712559B1 (ko) 2016-09-19 2017-03-06 한상선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230148515A (ko) 2022-04-18 2023-10-25 박노면 천연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89463B1 (ko) 2022-07-19 2023-01-19 주식회사 자연속요정 마이크로파 처리된 황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918A (ko) 201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040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0124A (ko)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43200B1 (ko) 상동나무 열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8078834A (zh) 一种具有抑制黑色素和舒缓皮肤功效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US20150182443A1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xtract composition with whitening skin-care function adn its preparation method
KR100785505B1 (ko)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7921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1658582A (zh) 包含未成熟水果混合提取物的抗衰老化妆品组合物
KR101456059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1149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72974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6154606B2 (ja) 韓薬材混合エキスを含有する抗酸化用又は美白用の化粧料組成物
KR20220168290A (ko) 피부 미백 효과가 매우 뛰어난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화장품 조성물
KR102789350B1 (ko) 종지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모근개선과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식품 및 외용제
KR101827655B1 (ko) 바나나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100883773B1 (ko)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825929B1 (ko)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추출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09286A (ko) 흑노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2171472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