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396A - 미백 화장료 - Google Patents

미백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396A
KR20010000396A KR1020000056544A KR20000056544A KR20010000396A KR 20010000396 A KR20010000396 A KR 20010000396A KR 1020000056544 A KR1020000056544 A KR 1020000056544A KR 20000056544 A KR20000056544 A KR 20000056544A KR 20010000396 A KR20010000396 A KR 2001000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freckles
herbal
effect
whi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순
이봉석
이봉근
이현진
Original Assignee
이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석 filed Critical 이봉석
Priority to KR102000005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396A/ko
Publication of KR2001000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39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의 기미 주근깨 잡티 등의 피부질환 완화 개선 효과가 있는 생약 미백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대기 오염에 의한 공기 및 자외선 등 각종 유해성 물질에 노출되어 직접 접촉됨으로 약해져 있는 피부 즉 얼굴의 피부 조직인 표피 및 진피 피하조직을 다시 생기있고 건강하게 하여 피부 문제가 신속하게 해결될 수 있게 자생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비타민 미네날 아미노산 등등 본 발명의 천연생약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피부 구성에 필수 영영소 수십가지 유효성분을 인체에 공급하여 생약 유효성분에 의한 약리작용과 피부 보양효과로 피부기능 활성 및 피부보습 밸런스를 유지 향상시켜 살결이 부드럽고 탄력있게 하고 나아가 멜라닌 색소 결합조직과 피부 혈관계에 중요한 역활을 하는 호르몬 특히 피부 변화와 깊은 관계가 있는 에스트로겐의 여성 호르몬 분비활성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주름살 완화 주근깨 기미 잡티 등의 미백효과로 조기 피부노화 요인을 예방 해소하여 더욱더 아름답게 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백 화장료{whiten toilet-ry}
본 발명은 인삼 녹용 외 38가지 천연생약으로 구성된 미백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얼굴의 피부에 발생된 기미 주근깨 잡티 등의 피부질환을 완화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 생약제의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의 피부에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질환과 아울러 검은색으로 변화되는 대는 여러 유해 원인이 관여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인체내의 피부구성 아미노산인 티로신에 티로시나제 라는 효소 등이 작용되어 멜라닌 이라는 흑색 색소의 생성에 기인되고 있는대 본 발명의 천연생약 추출물은 멜라닌 색소 생성 작용을 억제하는 미백 약리효능이 있는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된 생약제제 화장료 조성물이다.
사람의 젊음이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대 큰 역활을 하는 인체의 피부는 대략 1.5㎡의 넓이와 3mm 정도의 부피로 몸 전체를 감싸고 있는 살갗으로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로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구조는 피부 1㎠에 약 600만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현미경적인 세포조직과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피부의 단면을 대별해 보면
1). 표피는 모태(母胎) 내에서의 태아가 성장하는 태생초기의 외태엽(外胎葉)에 의해서 만들어진 상피세포들이 모여서 조직된 것으로 그 상부가 각층(角層) 그 밑으로 과립층(顆立層) 극층(棘層) 기저층(基底層) 등 4개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용과의 관계가 밀접한 극층과 기저층은 종자층이라고 해서 표피세포의 모체가 되고 있는대 이 부분의 세포가 분열해서 새로운 세포와 표피를 만들어 대략 28일을 주기로 부드럽고 어린 각질로 대치되는대 이 현상을 각화(角化)라고 하며 각화된 세포는 표면에서 때를 타서 피부의 필링현상으로 표피에서 자연적으로 떨어져 나간다. 이를 표피의 신진대사라 한다.
이와같은 표피세포의 신생 이동 각화 박탈 등 자연스런 신진대사가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는 피부는 매우 건강하고 아름다운 것이다.
2). 진피(眞皮) : 태생초기 중태엽(中胎葉)에서 갈라진 견고한 결합 조직성의 막(膜)으로 표피가 5%라고 하면 진피가 95%다. 또 진피의 주성분이 되고있는 것을 교원선유(膠原線維)라 부른다.
진피의 겉, 즉 표피와 접촉하고 있는 곳은 유두(乳頭)라고 하는 많은 소돌기(小突起)들이 있고 그것이 표피의 심층부와 연결되어 있어 혈액순환이 이뤄지고 있으며 산소나 영양분을 표피에 보내주고 있다. 이 유두체의 건강상태가 곧 피부건강 젊음 아름다움을 좌우하는 것으로 유두의 쇠퇴는 곧 피부건강의 쇠퇴를 의미한다.
3). 피하조직 : 피부는 잡아당길 수도 있고 또 콕 찌를수도 있다.
이것은 피부와 뼈나 근육 사이에 피하조직이라는 굵은 망의 겹합선유(結合線維)가 있고 그 사이에 피하지방이 꼭 붙어있어서 부드럽고 융통성 있는 조직이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 피하지방의 양은 남,녀 연령 계절의 기후에 따라서 각각 다르다.
이상의 피부 조직의 활동으로
근육의 신경작용과 연결되어 건강 젊음 아름다움 및 희노애락의 감정 표현을 하는 "표현작용"과 촉각 압각 온ㆍ냉각 등을 느낄 수 있는 신경 말초체에 딸린 감각기능이 있다. 크게 놀랄 때 얼굴이 새파랗게 되는대 이것은 교감신경이 높아져 모세혈관이 막혀버리기 때문이다.
반대로 부끄러울때 얼굴이 빨갛게되어 확확 달아오름은 부교감 신경이 높아져서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혈색이 고조되기 때문인대 이를 "지각작용"이라 한다.
또 모세혈관을 수축 확장하여 체내의 열을 방출하여 체온을 일정하게 보존하는 체온조절 작용이 있고 또 "호흡작용"은 폐호흡작용에 비해 아무것도 아니지만 피부 호흡은 탄산가스 배출 및 산소흡수를 하며 수분을 폐호흡의 두배 량을 발산시키며 피부에 수분(윤기)을 주고 있다.
"보호작용"으로 피부는 질기고 견고하게 구성되어 있어 물이나 세균 화학물질 자외선 등의 침투를 방지하며 신체를 보호하고 있다.
"분비 배설작용"으로 피지(皮脂)와 수분을 분비해서 피부 표면의 엷은 막을 쳐 피부의 건조성을 막고 살갗의 탄력과 아름다움을 유지하는대 중요한 수분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추위 더위에서 오는 외부의 영향력을 커버하고 있다.
이 수분은 열을 방출하는 것 외에도 체내의 노폐물을 땀과 함께 배설하는 작용도 하고 있다.
또 피부로 흡수작용도 하는대 따뜻해졌을 때 모공이 확장되어 흡수작용이 활발해져서 영양크림도 이때 흡수효과가 크다.
이상의 피부 및 피부조직의 작용에 이상 현상이 적용되어 얼굴의 피부조직에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질환과 멜라닌 색소 즉 흑색 색소가 발생되는 것인대 이러한 현상을 억제하는 작용효과에 종래에는 아스콜빈산 코지산 글루타치온 등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성분을 가진 물질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함으로서 피부 흑색화나 기미 주근깨 잡티 등의 피부질환을 방지하는 방법이 일부 이용되고 있는대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화장료 및 의약품 배합시에 제형 및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이미 알려진 미백 물질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우수한 원료를 찾고져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안전성이 있는 천연생약 중에서 유효물질을 검색한 결과 인삼 녹용 외 38가지의 생약 조성물의 추출성분이 매우 우수한 티로시나제 저해성분을 함유할 뿐 아니라 호르몬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비타민 미네날 아미노산 등 필수 영양성분을 가진 천연생약의 수십가지 유효성분의 약리작용으로 에스트로겐의 여성 호르몬 분비를 활성시켜서 부드럽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하게 하는 천연생약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다.
또한 사람의 피부에 직접 도포한 결과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 억제 효과가 뛰어나 피부를 하얗고 아름답게 가꿔줄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은 피부 및 피부조직 활동에 보습 보양효과를 제공하여 피부탄력을 높임으로 잔주름 완화 및 개선효과가 뛰어났고 또한 뚜렸한 미백효과가 발휘됨을 발견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천연생약 중에서 안전하면서도 상기 사안과 같이 피부 및 피부조직의 활성과 보습 보양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져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녹용 웅담 영지 인삼 당귀 두중 향부자 자단향 이상 8가지 생약은 필수적으로 포함되며
천궁 율무 세신 백지 백출 백렴 백단향 백부자 계심 창포 신이 호채 곤포 천문동 자소자 비파엽 이상 16가지 생약을 첨가하며
행인 도인 은행 소맥 녹두 이자인 견우자 향일규 등채인 시엽 쑥 쑤세미외 율부 컴프리 산자고 홍화 이상 16가지 생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용어는 생약 그 자체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그 생약으로부터 침출 전출 또는 침출액을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고 혹은 다시 그 농축물을 건조하여 제조한 침제 전제 유동액기스 액기스 등과 생약중에 함유되고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물질 그 자체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학명과 각 성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생약명. 학명 및 효능.
녹용(鹿茸) : Cornu Cervi Parum 매화록(꽃사슴) 또는 마록의 어린뿔. 강정 보온 대하증 뇨혈 조혈 허손 허약을 다스리고 뇌중추신경 강화 혈액순환 촉진 작용이 있다.
웅담(熊膽) : Felursi 곰쓸개 Tauroursodeoxycholic acid. chenodeoxy cholic acid 명목 明目 청심평간 靑心平肝 건위 진경 鎭痙 진통 해독 작용이 있고 담즙분비 촉진효과도 있다.
영지(靈芝) : Ganodermae Fungus 해독 수렴 자보강장. 항종양작용 抗腫瘍作用이 있다.
인삼(人蔘) : Panax ginseng G.A.MEY. 대보원기 강심 혈당강화 생진 生津 신경계 흥분 부신피질 분비작용 성선자극 소화흡수 신진대사 항진작용이 있다.
당귀(當歸) : Angelica sinensis(OLIV) DIEIS 진통 진정 강장 증혈 보혈 행혈 行血 산어혈 작용.
두중(杜仲) : Eucommia ulmoides.OLIV. 간피 幹皮 요슬통 진통 진정 강장 고혈압 보간신 補肝腎 안태 安胎 신장을 보하고 생식기능에 효과있다.
향부자(香附子) : CYPerus rotundus L. 사초과 향부자 근경. 발산 구어혈 경련억제 지통 월경불순에 효과 있다.
자단향(紫檀香) : Juniper Lignum Amentoflavone hinokiflavone 이기산한 理氣散寒 건위 지통 작용이 있다.
천궁(川芎) : Ligusticum Wallichichii FRANCH. 미나리科 궁궁이 근경, 보혈 구어혈 강장 진경 진통 활혈행기 活血行氣 작용이 있다.
율무(의이인 薏苡仁) : Coix agrestis 물사마귀 신경통 각기병 장옹 설사 자양강장 작용이 있다.
세신(細辛) : Asarum heterotropoides FR.SCHM.Var mandchuricum KITAG, 진통, 진정 해열 거담 기침억제 두통 흉통 효과 있고 마비 진통제로도 쓰인다.
백지(白芷) : Angelicae Dahuricae BENTH. et HOOK 미나리과 구릿대뿌리, 거풍 조습 지통 지혈 배농 진정 해독 작용이 있고 대장균 적리균 콜래라균등 항균작용.
백출(白朮) : Atractylodes macrocep hala KOIDZ 국화과 큰삽주 근경, 건위 화중 和中 이뇨 진통 보비익기 補脾益氣 작용이 있다.
백렴(白) : Ampelopsis japonica (THUNB) MAK, 포도과 백렴의 뿌리, 지통 청열해독 靑熱解毒
백단향(白檀香) : a Sandar-tree 백향과 상록교목 향료 임질 방광카르타 지통 및 내분비촉진 방부 작용이 있다.
백부자(白附子) : Typhonium giganteum ENGL의 천남성과 독각연獨角蓮 괴경塊莖 거풍, 조한습燥寒濕 상초上焦의 한습을 구축驅逐하는 힘이 강하다.
계심(桂心) : Cinnamomum cassia BLUME 녹나과 幹皮의 속껍질 일종의 강심제로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심장쇠약에 좋은 생명부활의 묘약. 건위정장 양위 체온조절 허약체질 개선 온중보양의 효과가 있다.
창포(菖蒲) : Acorus asialicus 건위, 옹종 이명耳鳴 두풍頭風 풍한습비 심장을 열어주고 오장을 보하고 온하게 한다.
신이(辛夷) : Mongolia liliflora DESN. 자목련의 꽃봉오리, 비염 흥분 발산 작용이 있다.
호채(胡菜) : Coriandrium Sativum 고수풀. 두통 치통痔痛 구풍 해독 미용에 효과 있다.
곤포(昆布) : Laminaria japonica 다시마. 음종 수종 동맥경화에 효과 있고 회분이 많아 강력한 알칼리성으로된 무기질과 칼슘 요드와 아미노산인 라미닌 성분은 혈압을 내리는 작용도 있다.
천문동(天門冬) : Asparagi Radix 부지깽 나물 호라지좆 뿌리, 진해 이뇨 완화 지갈 거담 청열화담 靑熱化痰 작용을 하고 지혈에도 쓰인다.
자소자(紫蘇子) : Perilla frulescens var crispa 천식 이뇨 한열 담 허로 반위에 효과 있고 모든 냉기를 다스리고 방부작용도 있다.
비파엽(枇杷葉) : Eriobotryae Folium 청량淸凉 진해 거담 이뇨 작용을 한다.
행인(杏仁) : Prunus armenica L.Var ansu MAXIM 살구 仁, 진해 거담 통변 구수驅水 이뇨 완화 폐결핵에 효과 있고 마음을 안정시킨다.
도인(桃仁) : Persicae Semen Amygdalin 복숭아 씨, 혈결血結 어혈 소염 진통 월경불순 변비에 효과 있고 혈액순환을 좋게하는 작용도 있다.
은행(銀杏) : Ginkgo biloba, 기침 천식 살충 백탁 소변과다 정력강장 효과가 있고 옴 음식창 및 여드름 기미 주근깨 주름살 완화 효능도 있다.
소맥(小麥) : Amylose amylopectin 다당류 참밀. 지한止汗 안신安神 양심養心 미백 효과가 있다.
녹두(綠豆) : Phaseolus radiatus, 두통 두풍 옹저 창종 풍진 단독 탕화상에 효과 있고 비상 金,石 등 초목의 일체의 독毒을 푼다.
이자인(李子仁) : Prunus salicinavar.(오얏-자두의仁) 해열 부종 어혈 골통骨痛에 효과 있고 얼굴의 검은점과 기미등 잡티 제거의 효능이 있다.
견우자(牽牛子) : IPomoea hederacea JACQ. 메꽃과 나팔꽃 仁. 흰것을 백축白丑 검은것을 黑丑. 소종산결 逍腫散結 부종 적취 요통에 신묘한 효능이 있고 미용 효과도 크다.
향일규(向日葵) : Helianthus annuus. 해바라기 仁. 이뇨 아통牙痛 구풍 류마티스 명목과 안색을 좋게한다. 또한 비타민 A.E.가 다량 함유되 있고 수용성 비타민인 (콜린)이 함유되 있어 단백질 지방 등 열량 성분 흡수를 높여주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도 높여준다.
또 (콜린)은 부신피질 호르몬을 촉진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함.
이외 많은 칼리 칼슘 철분 등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다.
등채(藤菜) : Wistaria japonica. 종려科에 딸린 등나무 仁. 제열除熱 임질淋疾 암 등에 효과 있고 미용에도 효과 있다.
시엽(枾葉) : Diospyros kaki 감나무 잎, 고혈압, 중풍, Bc, BA, BK 다량 함유 됐음 래먼 20배의 Bc 보고.
애엽(艾葉) : Artemisisa argyri LEVL. et VANT. 국화과 쑥잎. 지혈 지통 산한散寒 온경溫經 제습除濕 건위 항진균抗眞菌 작용 효과가 있고 미백 효과도 있다.
사과(絲瓜) : Luffa cylindrica 쑤세미 외 열매 또는 전초. 진해, 각기수종 이뇨 치루 등에 효과 있고 액즙液汁은 미용효과 높아 사과수라 하여 고급 화장수로 쓰인다.
율부(栗) : Castanea Crenata. 밤 알갱이 싸고있는 속껍질, 건위 어혈 미용에 효과 있고 주름살 완화 효과가 크고 얼굴에 광체가 나게한다 (옛부터 피부를 곱게 한다고 알려져 왔고 시험결과 그 효과가 높았다.)
컴프리 : (영명 : Comfrey) 학명 : Symphytum 강정 빈혈 냉병 당뇨에 효과 있고 조혈 작용도 한다.
산자고(山慈姑) : Amana edulis. 까치무롯의 뿌리. 종양 유옹 임질 변독便毒에 효과있고 기미 주근깨 완화 효과가 있어 미용에도 쓰인다.
홍화(紅花) : Carthamus tinctoriusL. 잇꽃의 꽃잎. 파어활혈破瘀活血, 통경, 진통 정혈 혈압강화 자궁수축 관상통맥 확장 작용이 있어 울혈(병난 곳의 정맥이 확대되어 증혈이 되는 증세) 효과가 있고 타박상에도 효과 있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생약 추출물의 추출 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대 예를들면 이상의 각 생약들을 자연건조 또는 어떠한 방법으로든 강제 건조하여 잘게 세말한 다음 물 에탄올 부탄올 아세톤 등의 여러 종류의 극성용매 또는 에테르 핵산 에칠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용매 등의 유기용매와 이것들의 혼합용매 혹은 알칼리수 등의 용매등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냉침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온침 어느것이든 좋다.
침출 처리는 냉침과 페르콜레이션의 경우는 12-96시간 정도, 또는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칠아세테이트 또 디에칠에테르를 용매로 하여 4∼25℃ 상온에서 3∼20일 방치 숙성시켜서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온침의 경우는 사용하는 용매등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서 상이하나 적당한 것은 용매의 환류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5∼24시간 정도를 행하는 것이 좋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세말된 생약의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물 또는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디에칠에테르를 1∼15배 부피량으로 가하여 냉각 콘서트가 장치되어 유효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100℃로 5∼24시간 가열하여 추출한다.
이와같이 추출된 생약추출물을 냉각 콘서트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강압 농축한 후 그 건조 중량에 대하여 0.0001∼5%(w/w) 바람직하게는 0.001∼1%(w/w)를 화장료에 첨가한다.
한방 동의학의 생약 약리작용에 근본을 두고 있는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추출된 화학성분 물질의 분상(粉狀)을 화장료 다시 말하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의 생약 조성물은 침출액 혹은 침출액의 에탄올 희석액을 그대로 외용 도포약으로 하는대도 적합하나 일반 한방처방 제제 즉 침제 정제 팅크제 엑기스제 유동액기스제 시럽제 연고 등으로 하는 내복 혹은 외용제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약조성물의 배합은 생약 그 자체의 건조 중량비가 특정된 것이며 생약 그것을 배합하여 그 전체를 추출 처리할 때에는 그대로가 좋으나 추출 액기스 혹은 추출 화학물질을 가지고 배합할 때에는 생약 중량에 환산하여 처방 배합을 선정하는 것이 좋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효과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녹용 웅담 영지 인삼 당귀 두중 향부자 자단향 각 4g.
천궁 의이인 세신 백지 백출 백렴 백단향 백부자 계심 창포 신이 호채 곤포 천문동 자소자 비파엽 각 3g.
행인 도인 은행 소맥 녹두 이자인 견우자 향일규 등채인 시엽 쑥 쑤세미외 율부 컴프리 산자고 홍화 각 1.5g, 이상 총 40가지 생약 조성물 104g을 세말한 다음 에탄올 1리터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15℃에서 5일간 방치하여 숙성 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에서 60℃로 강압 농축하여 건조중량 23.5g을 얻는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40가지 생약 조성물을 세말하여 104g을 노만-부탄올 1리터에 넣고 4∼25℃ 상온에서 1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15℃에서 5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80℃로 강압 농축하여 건조중량 21.9g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세말된 생약조성물 104g을 에칠아세테이트 1리터에 넣고 4∼25℃에서 1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15℃에서 5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로 강압 농축하여 건조 중량 21.5 그램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세말된 생약 조성물 104g을 디에칠에테르 1리터에 넣고 4∼25℃에서 10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15℃에서 5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로 강압 농축하여 건조 중량 19.4g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세말된 생약 조성물 104g을 50% 에탄올 수용액 1리터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15℃에서 5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3리터들이 분액 깔대기에 넣고 여기에 에칠아세테이트 1리터를 가한 뒤 흔들어서 잘 섞어준다.
두층으로 완전히 분리된 후 상층(에칠아세테이트 층)을 취한다.
하층(물층)을 다시 분액 깔대기에 넣고 에칠아세테이트로 두번 더 추출한다. 분리된 상층을 모두 합한 뒤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로 강압 농축하여 건조 중량 9.9g을 얻었다.
[조성물 제조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 제조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및 부형제 예를 들면 유화제 보존제 희석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하여 화장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팩 등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처방 예를 제조예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 : 유연 화장수 (생약 추출물은 실시예 1의 것을 사용)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유연 화장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유연화장수를 제조한다.
제조예 2 : 영양 화장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생약 추출물은 실시예 1의 것을 말한다.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영양 화장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유연화장수를 제조한다.
제조예 3 : 영양 크림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생약 추출물은 실시예 5의 것을 말한다.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영양크림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영양크림을 제조한다.
제조예 4 : 맛사지 크림.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생약 추출물은 실시예 5의 것을 말한다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맛사지 크림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맛사지 크림을 제조한다.
제조예 5 : 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 처방의 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생약 추출물은 실시예 5의 것을 말한다.
상기 성분들을 사용하여 팩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한다.
실험예 1.
건강한 성인 남여 30명의 양팔 하박부에 2×2㎠의 부위를 설정하여 실험 대상 부위에만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알미늄 호일을 쐬우고 10cm의 거리에서 일본 도시바사의 제 FL 20S BLB 램프 및 FL 20S E-30 램프를 각 2개 동시에 0.8×107erg/㎤/회로 1일 1회씩 연속 3회 조사하였다. 조사 전에 실험 대상 부위를 70% 이소프로필 알콜 수용액으로 잘 세척하였다.
조사후 자외선 조사 부위에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제조예 1∼5의 처방을 1일에 3회씩 도포하였다.
3주 도포후에 육안으로 색소 침착도를 판정하고 실험군이 대조군(기제만 도포)에 비하여 색소 침착을 얼마나 억제하였는가를 현저한 효과 유효 무효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1. 피부 색소침작 억제효과.
표1에서와 같이 유효이상의 양성효과가 높게 나타남으로서 색소 침착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실험예 2.
기미제거 효과 실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기미제거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기미 질환이 있는 50명의 피부에 1일 3회씩 8시간 간격으로 5개월간 도포하여 기미의 제거 상태를 매월 조사하였다.
여기서는 제조예 3의 크림제제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기미제거 효과.
이상과 같이 엷게 침착된 기미는 1개월이 지나면서 과반수(70%) 이상의 유효 효과가 나타났고, 짙게 침착된 기미 또한 2개월째부터 사라지기 시작하여 5개월이 지나면서, 그 자취가 없어져 기미 제거의 현저한 양성효과를 보였다.
.
.
.

Claims (3)

  1. 실시예 1과 같이,
    녹용, 웅담, 영지, 인삼, 당귀, 두충, 향부자, 자단향, 각 4g.
    천궁, 의이인, 세신, 백지, 백출, 백렴, 백단향, 백부자, 계심, 창포, 신이, 호채, 곤포, 천문동, 자소자, 비파엽, 각 3g.
    행인, 도인, 은행, 소맥, 녹두, 이자인, 견우자, 향일규, 등채인, 시엽, 쑥, 쑤세미외, 율부, 컴프리, 산자고, 홍화, 각 1.5g
    이상 총 40종의 천연 생약 조성물을 세말한 다음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디에칠에테르를 용매로 하여 온침 또는 냉침하여 얻은 추출물을, 냉각 콘서트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적정온도로 강압 농축하여 얻은 미백 화장료에, 화장품 제조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및 부형제, 예를들면 유화제, 보존제, 희석제, 색소, 향료등을 조합하여 제조예 1, 2, 3, 4와 같이 제조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의 제형을 갖는 미백 화장료.
  2. 제 1항에 있어, 40종의 천연 생약 조성물을 극세말한 미세분말 제조물에, 일반 사용인의 필요 요구에 의한 보조제 및 부형제를 적당량 조합하여, 즉석 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천연 분말 제형을 갖는 피부 건강보조 분말형 팩 제재인 미백화장료.
  3. 제 1항에 있어, 40종의 천연 생약 조성물로 구성되어 일반 한방처방의 예와같이 제조되는 침제, 정제, 환제, 팅크제, 엑기스제, 유동 엑기스제, 시럽제 등의 특징을 갖는 내복용 건강 보조제 및 연고제형의 특징을 갖는 외용제재의 미백화장료.
KR1020000056544A 2000-09-26 2000-09-26 미백 화장료 Ceased KR20010000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544A KR20010000396A (ko) 2000-09-26 2000-09-26 미백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544A KR20010000396A (ko) 2000-09-26 2000-09-26 미백 화장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96A true KR20010000396A (ko) 2001-01-05

Family

ID=1969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544A Ceased KR20010000396A (ko) 2000-09-26 2000-09-26 미백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396A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888A (ko) * 2000-11-22 2002-05-30 정덕순 피부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0360691B1 (ko) * 2000-10-30 2002-11-13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새싹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20093251A (ko) * 2001-06-07 2002-12-16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십장생(十長生) 관련 천연물(솔싹, 영지버섯, 알부틴,녹용, 자라, 게르마늄, 로얄제리, 홍삼, 연어알 및레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30013695A (ko) * 2001-08-09 2003-02-15 이태구 천연식물을 이용한 기미제거제
KR20030020811A (ko) * 2001-09-04 2003-03-10 최상숙 천연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료
KR20030031697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도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30079111A (ko) * 2002-04-02 2003-10-10 학교법인 경북과학대학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030087236A (ko) * 2002-05-08 2003-11-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궁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22419B1 (ko) * 2001-09-26 2004-03-11 코스맥스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FR2846242A1 (fr) * 2003-01-17 2004-04-30 Oreal Utilisa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d'au moins un extrait de ginkgo biloba en tant qu'agent blanchissant
KR100436384B1 (ko) * 2001-08-24 2004-06-18 조천호 천연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493845B1 (ko) * 2001-07-04 2005-06-08 한국화장품주식회사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09910B1 (ko) * 2002-12-12 2005-08-24 (주)케피로스 화장료 조성물
KR100523600B1 (ko) * 2002-02-26 2005-10-24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다기능 한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
KR100732563B1 (ko) * 2005-08-22 2007-06-2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자단향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0785505B1 (ko) * 2006-06-30 2007-12-12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0237B1 (ko) * 2007-05-01 2008-04-08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항산화 및 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985B1 (ko) * 2003-01-21 2010-04-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36266B1 (ko) * 2009-07-01 2011-05-23 학교법인 동의학원 미백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세신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1150925B1 (ko) * 2008-06-20 2012-05-29 오정일 피부마사지용 기능성 미용팩 및 그 제조방법
CN104072627A (zh) * 2014-06-04 2014-10-01 沈阳化工大学 一种独角莲多糖提取物的制备方法
CN108685803A (zh) * 2018-08-12 2018-10-23 三株福尔制药有限公司 一种益生菌发酵当归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08938936A (zh) * 2018-10-19 2018-12-07 张爱梅 一种治疗面神经炎的中药配方
KR102340001B1 (ko) * 2021-05-25 2021-12-17 주식회사 예인코스메틱 No 활성 억제능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을 가지는 화장료, 이를 포함하는 리바이탈라이징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934A (ko) * 1988-08-04 1990-03-23 쇼오지 코오메이 플라스틱판과 그를 위한 접착필름
KR900013932A (ko) * 1989-03-22 1990-10-22 박효철 한방생약성분의 화장료용 분말 및 액기스 제조방법
KR960028903A (ko) * 1995-01-03 1996-08-17 김진수 미용팩의 제조방법
KR0161333B1 (ko) * 1995-10-27 1998-12-01 유상옥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9990048305A (ko) * 1997-12-09 1999-07-05 성재갑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9990065941A (ko) * 1998-01-12 1999-08-16 최은집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000015600A (ko) * 1998-08-31 2000-03-15 박창근 한방비누 조성물
KR100272463B1 (ko) * 1998-11-16 2000-11-15 박동기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한 천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934A (ko) * 1988-08-04 1990-03-23 쇼오지 코오메이 플라스틱판과 그를 위한 접착필름
KR900013932A (ko) * 1989-03-22 1990-10-22 박효철 한방생약성분의 화장료용 분말 및 액기스 제조방법
KR960028903A (ko) * 1995-01-03 1996-08-17 김진수 미용팩의 제조방법
KR0161333B1 (ko) * 1995-10-27 1998-12-01 유상옥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9990048305A (ko) * 1997-12-09 1999-07-05 성재갑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9990065941A (ko) * 1998-01-12 1999-08-16 최은집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000015600A (ko) * 1998-08-31 2000-03-15 박창근 한방비누 조성물
KR100272463B1 (ko) * 1998-11-16 2000-11-15 박동기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한 천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691B1 (ko) * 2000-10-30 2002-11-13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새싹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20039888A (ko) * 2000-11-22 2002-05-30 정덕순 피부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3251A (ko) * 2001-06-07 2002-12-16 로제화장품 주식회사 십장생(十長生) 관련 천연물(솔싹, 영지버섯, 알부틴,녹용, 자라, 게르마늄, 로얄제리, 홍삼, 연어알 및레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493845B1 (ko) * 2001-07-04 2005-06-08 한국화장품주식회사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30013695A (ko) * 2001-08-09 2003-02-15 이태구 천연식물을 이용한 기미제거제
KR100436384B1 (ko) * 2001-08-24 2004-06-18 조천호 천연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30020811A (ko) * 2001-09-04 2003-03-10 최상숙 천연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료
KR100422419B1 (ko) * 2001-09-26 2004-03-11 코스맥스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30031697A (ko) * 2001-10-15 2003-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도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23600B1 (ko) * 2002-02-26 2005-10-24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다기능 한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화장품
KR20030079111A (ko) * 2002-04-02 2003-10-10 학교법인 경북과학대학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030087236A (ko) * 2002-05-08 2003-11-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궁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9910B1 (ko) * 2002-12-12 2005-08-24 (주)케피로스 화장료 조성물
FR2846242A1 (fr) * 2003-01-17 2004-04-30 Oreal Utilisa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d'au moins un extrait de ginkgo biloba en tant qu'agent blanchissant
KR100954985B1 (ko) * 2003-01-21 2010-04-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32563B1 (ko) * 2005-08-22 2007-06-2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자단향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0785505B1 (ko) * 2006-06-30 2007-12-12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0237B1 (ko) * 2007-05-01 2008-04-08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항산화 및 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0925B1 (ko) * 2008-06-20 2012-05-29 오정일 피부마사지용 기능성 미용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036266B1 (ko) * 2009-07-01 2011-05-23 학교법인 동의학원 미백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세신 추출물의 추출방법
CN104072627A (zh) * 2014-06-04 2014-10-01 沈阳化工大学 一种独角莲多糖提取物的制备方法
CN108685803A (zh) * 2018-08-12 2018-10-23 三株福尔制药有限公司 一种益生菌发酵当归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08685803B (zh) * 2018-08-12 2021-05-28 三株福尔制药有限公司 一种益生菌发酵当归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08938936A (zh) * 2018-10-19 2018-12-07 张爱梅 一种治疗面神经炎的中药配方
KR102340001B1 (ko) * 2021-05-25 2021-12-17 주식회사 예인코스메틱 No 활성 억제능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을 가지는 화장료, 이를 포함하는 리바이탈라이징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0396A (ko) 미백 화장료
CN102091258B (zh) 一种祛除疤痕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932970A (zh) 一种中草药祛斑组合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090005479A (ko) 발모용 조성물
CN105213284A (zh) 一种祛痘保湿霜及其制备方法
CN105125466A (zh) 一种祛斑晚霜及其制备方法
CN105342908A (zh) 一种缓解皱纹的积雪草中药美容抗皱膏及其制备方法
CN105193693A (zh) 一种深海精华细致毛孔面霜及其制备方法
CN105125467A (zh) 一种祛红血丝乳液及其制备方法
CN102670479B (zh) 中药消炎拔痘美容霜及其制备方法
CN113133957A (zh) 一种植物发酵提拉紧致抗氧化抗疲劳眼贴膜及其制备方法
CN108938511B (zh) 天然植物提取物的组合物及在皮肤保湿祛痘产品中的应用
JP2001233727A (ja) 化粧品
CN109432244A (zh) 一种改善敏感皮肤状态的中药配方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439473B (zh) 一种祛斑美容皂及其制备方法
KR100552307B1 (ko)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JPS591408A (ja) ヘヤ−トニツクの製造方法
KR20120009264A (ko) 주름 및 잡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346173A (zh) 中药组合物、中药精油、中药护肤品和制备方法
CN108403603A (zh) 一种樱桃山柰美容祛斑天然中药面膜膏及其制备方法
CN105326754B (zh) 无添加剂食品级绿豆祛痘养护面膜及其绿色生产方法
CN104623040A (zh) 一种用于创口杀菌消炎的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069047A (zh) 健肤减肥祛斑美容按摩霜
KR20210029519A (ko)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8524298A (zh) 减肥祛斑保健按摩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2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10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3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2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30630

Appeal identifier: 2003101000898

Request date: 20030307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307

Effective date: 20030630

PJ0801 Rejection of trial

Patent event date: 20030630

Patent event code: PJ08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Decision date: 2003063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03101000898

Request date: 200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