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314A -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314A
KR20150064314A KR1020130148877A KR20130148877A KR20150064314A KR 20150064314 A KR20150064314 A KR 20150064314A KR 1020130148877 A KR1020130148877 A KR 1020130148877A KR 20130148877 A KR20130148877 A KR 20130148877A KR 20150064314 A KR20150064314 A KR 20150064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aging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현
우지은
박병준
김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4314A/ko
Publication of KR2015006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세포의 활성을 촉진시켜 콜라겐 생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항산화, 항노화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angifera indica L. Extract, Passiflora edulis Sims Extract, Hylocereus undatus (Haw.) Britt. and Rose Extract, Actinidia chinensis Planch. Extract and Annona Squamosa Extract}
본 발명은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 베이스에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내 유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피부세포를 보호하며, 피부를 탄력있고 밝게 유지하여 우수한 항산화, 항노화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는 생명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다. 모든 생명체는 동물이든 식물이든 태어나면서부터 노화의 길로 들어선다. 위생과 보건 의료 덕택에 인간 수명은 지난 세기 동안 상당히 연장되었다. 그 결과로서 노인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노화의 과정은 신체의 전 기관에서 일어나는데 노화와 더불어 고혈압, 만성 관상 동맥 질환이나 당뇨와 같은 질병 등과 같이 장기들의 생리적 기능이 변화되어 간다(최현철, 오칠환 (1997) 영상분석법을 이용한 노화에 따른 피부주름의 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35: 292-302). 피부 역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가 진행된다.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자연노화(Intrinsic aging, 내인성노화)와 주위 환경, 특히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로 나눌 수 있다. 광노화(Photoaing)는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된 얼굴, 손등, 목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내인성노화 현상과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합쳐진 결과로 발생한다. 자연노화와 광노화 사이에는 주름이 생성되는 기전이 세부적으로는 차이는 있지만, 표피세포의 증식이나 신진대사가 저하되며, 표피-진피 사이의 결함이 약해 조그만 자극에도 손상을 입기 쉽고, 콜라겐 합성 감소,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s(Matrix Metalloproteinase)의 과다한 발현 증가 등의 생리학적 변화들이 나타나 피부가 건조해지며 표피, 진피층의 구조적인 차이로 인해 탄력성을 잃어버리고 점차적으로 주름이 깊어진다.
피부 주름은 노화된 피부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노화 정도를 가늠할 때 가장 일반적인 기준이 되는 피부 양상이다(이현화 (1999) 피부 노화에서 주름과 그 관리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미용학회지 5(2): 615-631). 최근 생활수준이 나아지고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피부 노화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피부 노화를 막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지만 피부 노화 및 그의 대표 증상인 피부 주름을 억제하고 늦추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행하여지고 있다.
노화에 대한 유력한 메커니즘은 Free radical 생성에 따른 신체의 산화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라고 알려져 있다. Free radical은 전자를 잃게 되었을 때 거의 모든 분자로부터 만들어진다. 이것은 세포에서 Free energy가 안정적인 산소와 결합할 때 세포 호흡 과정 중에 미토콘드리아에서 생성된다. 세포는 산소를 ROS(reactive oxygen species)인 superoxide(O2-) 혹은 hydrogen peroxide(H2O2)로 전환하는 효소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효소의 작용은 미토콘드리아 Respiratory chain 활성보다는 상당히 낮은 것이다. 사람의 미토콘드리아는 하루에 400L의 O2를 받아들여 물로 전환하며, 이는 4-전자 환원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만일 이 O2의 일부를 단 하나의 전자-환원 경로에서 생성되는 O2 -만 하더라도 그 양은 다른 모든 기전을 동원해서 만들어지는 ROS를 초과한다. 이러한 ROS는 다른 세포 화합물과 신속하게 합병하여 미토콘드리아나 단백질과 같은 곳에 손상을 입힌다. 항산화제는 free radical과 병합하거나 중화하여 Free radical로부터의 손상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노화에 대한 Free radical 이론의 연구는 1956년에 Superoxide dismutase(SOD)에 의하여 더욱 활발하게 되었다(Denham H (1956) Ageing: a theory based on free radical and radiation chemistry. Journal of Gerontology 11: 298??300).
SOD(Superoxide dismutase)는 Mn이나 Cu의 전자를 던지거나 받아들임으로써 superoxide anion을 oxygen(O2)과 H2O2 (hydrogen peroxide)로 변화하게 하는데, 이러한 Hydrogen peroxide는 또한 Catalase에 의하여 물과 산소로 전환하게 된다. SOD 효소 활성 비율과 유전자 발현에 따라 수명 연장이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세포와 조직에서 산화적 손상이 지속되어 노화에 따라 발생하는 신체에서의 많은 변화를 유발 한다. Free radical은 노화에서뿐 아니라 암, 죽상동맥경화증, 그리고 백내장과 같은 퇴행성 질병과도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Free radical은 흡연이나 자외선 손상과 같은 피부 노화의 외재적 원인에 의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비타민 E11과 C 등의 예와 같은 것으로 조성된 피부 자체의 항산화 네트워크는 Free radical을 소멸하게 하는 것을 도와서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러나 Free radical 생성을 극복하기에는 부족한 항산화제가 있기 때문에 Free radical은 세포 방어 기전을 교묘하게 회피하여 피부에 손상을 입힌다. 피부는 이러한 손상에 대한 수선 기전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오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선 기전은 점차 약화되어 세포 사멸과 apoptosis에 이르게 되고, 피부 노화의 결과에 다다르게 된다.
이외에도 ROS(Reactivoxygen species)는 세포에 대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ROS는 세포를 둘러싼 유체 막에서 불포화 지방을 산화하기 때문에(lipid peroxidation이라고 함) 유체 막은 세포를 적절하게 보호하지 못한다. 영양분이 세포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노폐물이 축적되어 세포는 효율적으로 기능을 할 수 없다. 몇 종류의 산화된 지방이 세포 내로 유입되는 Aldehyde(독성 화학 물질)로 전환되어 그들을 손상시켜서, 염증 반응을 유발하게 하고, 마침내 젊고 건강한 피부 세포를 죽거나 자살하게 하는 Apoptosis를 유발하게 한다. 게다가 ROS는 피부의 지지 조직을 분해하는 단백질 효소인 Collagenase를 증가시켜서 피부의 견고함을 떨어뜨리게 한다.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레이저 치료와 얼굴 성형 등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노화에 대한 인위적인 방법이 아닌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노화 방지 화장품 조성물에 관련된 종래 특허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62348 B1 「마황근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 노화 방지화장료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88830 B1 「백렴 추출물을 함유 하는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43588 B1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36744 B1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효과를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등이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62348 B1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88830 B1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43588 B1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36744 B1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항노화 및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애플망고(Mangifera indica L.), 패션후르츠(Passiflora edulis Sims), 용과(Hylocereus undatus (Haw.) Britt. & Rose), 레드키위 (Actinidia chinensis Planch.) 및 아떼모야(Annona Squamos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경우,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켜 콜라겐 생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통해 주름 개선 효과를 가져 항노화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여 용매로 추출하고 분획한 후, 각 추출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측정 방법 등을 통한 항산화 효과 및 세포 내 총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실험, 인체 섬유아세포 유래 Procollagen type-1 생성 촉진 효과 실험 등의 항노화 및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경우 항산화, 항노화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항노화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애플망고(Mangifera indica L.), 패션후르츠(Passiflora edulis Sims), 용과(Hylocereus undatus (Haw.) Britt. & Rose), 레드키위 (Actinidia chinensis Planch.) 및 아떼모야(Annona Squamos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메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이다.
상기 추출물은 45 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10 내지 80℃에서 6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진탕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상기 추출물은 -60 내지 -10℃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한다.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0중량%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중량%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항산화, 항노화 및 주름 개선 효과용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바디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및 팩의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은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켜 콜라겐 생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통해 주름 개선 효과를 가져 항노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상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화장료 베이스에 포함하였을 때 우수한 항산화, 항노화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애플망고 추출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패션후르츠 추출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용과 추출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애플망고 추출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5에서 제조된 패션후르츠 추출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6에서 제조된 패션후르츠 추출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실험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애플망고 추출물의 Hydrogen peroxide 제거 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패션후르츠 추출물의 Hydrogen peroxide 제거 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용과 추출물의 Hydrogen peroxide 제거 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애플망고 추출물의 Hydrogen peroxide 제거 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 5에서 제조된 패션후르츠 추출물의 Hydrogen peroxide 제거 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예 6에서 제조된 패션후르츠 추출물의 Hydrogen peroxide 제거 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이라 함은 애플망고(Mangifera indica L.), 패션후르츠(Passiflora edulis Sims), 용과(Hylocereus undatus (Haw.) Britt. & Rose), 레드키위 (Actinidia chinensis Planch.) 및 아떼모야(Annona Squamos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용매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진탕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동결 건조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애플망고(Mango, 학명: Mangifera indica L.)는 사과처럼 붉은색을 띄는 망고 이다. 망고를 분류로 보면 옻나무과에 속하며 원산지는 말레이반도, 미얀마, 인도 북부로 알려져 있다. 망고의 재배역사는 4000년 혹은 6000년으로 아주 오래 되었으며 특히 원산지인 인도에서는 성스러운 과수라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석가가 명상에 잠겼다가 깨달음을 얻은 곳이 보리수라고 하는데, 이 보리수가 바로 망고나무라고 하는 말이 있다. 또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열대 과수로 생산량도 포도, 바나나, 오렌지, 사과 다음으로 세계 5위이며 종류도 상당히 많다. 유럽에 소개된 것은 포르투갈 사람이 15세기에 인도 항로를 발견한 뒤부터 이다. 포르투갈 사람에 의해 아프리카로, 또 정복한 브라질로, 섬을 따라 서인도 제도로, 그리고 멕시코.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하와이 등 전 세계적으로 퍼져 갔다. 지금 현재 분포지역으로는 아프리카, 브라질, 멕시코,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하와이 등 열대와 아열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제주도 서귀포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제주에서 재배되고 있는 망고는 아열대에서 생산되고 있는 애플망고를 품종 개량한 것으로 국내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높다. 또 낮과 밤의 온도 차이로 향이 뛰어나다. 특히 외국산의 경우 많은 섬유질과 두꺼운 껍질, 그리고 씨가 큰 반면 개량된 한국형 망고는 작은 씨와 얇은 껍질로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18bx의 높은 당도와 독특하고 등을 만든다.
패션후르츠(Passionfruit, 학명: Passiflora edulis Sims)은 시계꽃과의 열대과일이다. 패션후르츠는 '패션(passion)'과 '후르츠(fruit)'의 합성어로, 특유의 진한 향과 맛이 일품이며, 원산지는 브라질 남부이다. 줄기의 각 마디에 덩굴손과 턱잎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3개로 갈라진 손바닥 모양 겹잎이다. 꽃은 새 가지의 잎 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고 아침에 피었다가 오후에 시든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흰빛이며, 꽃잎도 5개이고 흰 바탕에 자줏빛 반점이 있다. 5개의 수술과 3개로 갈라진 암술이 있다. 열매 모양은 둥글거나 타원형이고 검붉은색으로 익는 것과 노랗게 익는 것이 있다. 반쪽을 나누어 보면 씨가 많이 들어 있고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젤리 상태의 것이 과육이다. 과육은 달기도 하지만 신맛이 강해 주스나 잼으로 가공하기에 알맞다. 이 과실로 만든 주스나 시럽을 사용해 젤리, 무스, 셔벗, 아이스크림 점 과일이다.
패션후르츠는 크기는 작지만 여성에게 좋은 성분을 석류보다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 피부 보습 효능이 있는 니아신이 석류의 5.2배, 장내 배변 활동을 돕는 식이섬유는 석류의 2.6배, 피로 해소를 돕고 피부를 개선하는 비타민 C는 3배 많이 함유하고 있다. 항산화 효과가 있는 베타카로틴(비타민 A)은 석류에는 들어 있지 않는 반면 패션후르츠는 64㎍(100g당)가량이나 된다. 반면 지방은 석류에 비해 58%밖에 되지 않고, 당분도 84%밖에 되지 않으니 칼로리 걱정도 없다. 이러니 '여성의 과일'이란 별명의 석류를 뛰어넘어 '여신의 과일'이라고 명명할 만하다.
제주의 패션후르츠는 개인적으로 농부들이 해외에서 들여와 제주도의 토양과 바람, 햇볕을 먹고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보습과 항산화 작용, 피로 해소 효과가 매우 뛰어난 영양 만 산뜻한 향이 나는 과일로 평가되고 있다.
용과(Dragonfruit, 학명: Hylocereus undatus (Haw.) Britt. & Rose)는 가지에 열매가 열린 모습이 마치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는 형상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피타야(Pitaya)라고도 한다. 선인장 열매의 한 가지로,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이다. 베트남, 타이완, 중국, 타이, 일본 등 아시아의 따뜻한 지역에서도 경제작물로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제주도에서도 특산품으로 재배된다.
용과가 자라는 묘목을 포트에서 50㎝ 정도의 크기로 키워 정식한 뒤 10개월쯤 지나면 줄기가 1m 이상으로 자라서 꽃을 피운다. 꽃의 길이는 약 45㎝인데, 하룻밤 동안 만개하였다가 다음 날에 진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꽃잎이 진 뒤 30~40일이 지나면 수확할 수 있다. 과육 100g당 칼륨 함량이 272㎎으로 사과나 배보다 월등한 것을 비롯하여, 인, 마그네슘, 칼슘, 철, 아연, 나트륨, 카로틴, 수용성 식이섬유,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비타민C,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3 등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과 항산화 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당도는 16~18 Brix(당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과(8~16 Brix)와 복숭아(7~15 Brix), 밀감(7~16 Brix)보다 높다.
품종은 백육종과 적육종, 황색종이 있다. 백육종은 과피는 붉은색이지만 과육은 흰 품종이고, 적육종은 과피와 과육이 모두 붉은 품종이다. 황색종은 과피가 노랗고 과육은 희다. 제주도에서는 백육종과 적육종만 재배되고 있다. 백육종은 여러 조각으로 잘라서 바나나처럼 껍질을 벗겨 먹을 수 있고, 적육종은 과일의 색소가 손에 묻으므로 숟가락으로 떠 먹는 것이 좋다. 물이나 우유, 요구르트, 꿀물 등을 섞어서 믹서기에 갈아 먹어도 좋다. 이밖에 화채나 젤리를 만드는 데 주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레드키위(Kiwi, 학명: Actinidia chinensis Planch.)는 다래나무과의 낙엽 덩굴식물이다. 키위는 원래 중국 남부에서 자라는 식물이었으나, 20세기 초에 뉴질랜드에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때문에 초기에는 '차이니즈 구즈베리'란 이름으로 상품화되었다. '헤이워드' 품종이나 그와 유사한 품종이 일반적으로 경작되지만, 과육이 노란색인 골드 키위는 다래와 키위의 교배종이다. 키위란 이름은 뉴질랜드의 나라새인 키위와 닮았다 해서 붙여졌다. 공식 명칭은 중국다래인데 보통 키위로 많이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귀도(鬼桃), 등리(藤梨)라고도 한다.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이다. 열매는 8-10월에 성숙하며 달걀 모양으로 생겼고 갈색 털이 빽빽이 나있으며 3-4개월간 저장이 된다. 과육의 중심부는 크림색이며 주변에 깨알 같은 종자가 있고 주변은 연한 녹색이며 작고 검은 씨들이 박혀 있다.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열매 1개로 성인 1명이 필요로 하는 하루의 양이 충분하다고 한다. 키위에는 사과의 6배나 되는 비타민E가 들어있어서 심장병이나 암질환 예방 효과가 있다. 또한, 암 발생을 억제할 정도로 강력한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폴리페놀과 다당체도 함유하고 있어서 우수한 면역력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키위 한 개에는 하루 권장량의 15%에 달하는 칼륨이 들어있는데, 이 칼륨은 신경과 근육의 기능에 관여하는 전해질 성분으로 고혈압을 예방하고, 심장활동과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맛은 딸기, 바나나, 파인애플을 혼합한 듯하나, 수확 후 충분한 숙성기간을 거치지 않으면 신맛이 강하다. 때문에 키위는 후숙 과일로 분류된다.
제주에서 재배되고 있는 레드키위(홍다래)는 골드나 그린 키위 같은 경우는 겉 표면이 까실 하고 솜털이 있는 반면 껍질째 먹을 수 있는 거라 솜털이 거의 없다. 레드키위는 워낙 맛있는 키위라 보니 바로 따자마자 당도가 15~16Brix이며 약 일주일가량 실온에서 후숙을 시키면 20Brix 이상 나간다.
아떼모야(atemoya 학명:Annona Squamosa)는 세계 3대 미과(두리안, 망고스틴, 체리모야)중 하나인 체리모야와 슈가애플을 교잡시켜 만들어낸 과일로 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한 과일이다. 아떼모야는 모양이 특이하여 석가모니의 머리부분을 닮아 석가라 불리기도하며, 영어권에서는 커스타드애플(custard apple) 서반아어권에서는 체리모아(cherimoya)로 불리는 과일이다. 아떼모야는 신맛이 전혀 없는 고당도의 과일이다.
아떼모야는 열대과실인 스위트샵(sweetsop)과 안데스산맥 고산지대가 원산지인 체리모야(Cherimoya)를 인공교배하여 스위트샵의 브라질어 '아떼'와 체리모야의 '모야'를 합해 '아떼모야(Atemoya)'로 이름 붙여진 과일이다. 당도는 약 25Brix 전후로 지구상에 과일 중 단연 최고의 당도를 자랑한다. 아떼모야는 애플망고와 같이 후숙 과일 이며 만져봐서 말랑말랑할 때 먹어야 최고의 당도를 느낄 수 있다. 후숙은 상온에서 5~6일 정도 지나면 자연 후숙되며, 색깔은 암갈색이 된다. 후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밀폐된 공간 속에 사과와 같이 상온에 두면 후 자연적 후숙보다 빠르다.
아떼모야는 다양한 식물부위가 민간요법에 이용된다. 주로 뿌리, 줄기, 수피, 과일과 종자에 함유되어 있는 acetogenins, alkaloids, flavonoids 때문인데 acetogenins는 항암 효능과 세포독성에 효과가 있다. 플라보노이드류는 종양 발생을 억제하는 예방약제로도 이용됨 종자는 에탄올 축출로 살충제 구충제등 민간요법으로 이용되며 종자는 강한 독성으로 아트로핀 치료 효과를 낸다고 한다.
특히 16-B, 17dihyroxykauran-19-oic acid 를 가지고 있어 HIV를 억제하며 잎에서 추출한 알카로이드는 안정과, 수면효과가 있으며 서부 인도에서는 파킨슨 증상에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애플망고(Mangifera indica L.), 패션후르츠(Passiflora edulis Sims), 용과(Hylocereus undatus (Haw.) Britt. & Rose), 레드키위 (Actinidia chinensis Planch.) 및 아떼모야(Annona Squamos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메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에 넣어 45 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10 내지 80℃에서 6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진탕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추출물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추출물을 여과포, 여과지 및 감압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여과하고 -60 내지 -10℃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0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산화, 항노화 및 주름개선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피부 화장료로서의 기능이 떨어지고, 3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포독성으로 인한 안전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추출물은 현저한 항산화, 항노화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바디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및 팩의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열수 추출물 제조
분쇄한 애플망고, 패션후르츠, 용과, 레드키위 및 아떼모야 각각 50g에 증류수 500g (샘플: 용매=1:10 wt/wt)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열수 추출기를 이용하여 100℃에서 10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380메시(mesh) 여과포로 약재를 거르고, 11㎛ 페이퍼 필터(Paper filter)로 여과하였다. 여과액를 취하여 0.45㎛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장치에서 여과한 후 -5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최종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메탄올 추출물 제조
분쇄한 애플망고, 패션후르츠, 용과, 레드키위 및 아떼모야 각각 50g에 99.9% 메탄올 1000g (샘플: 용매=1:20 wt/wt)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3차 추출하였다. 380메시(mesh) 여과포로 허브를 거르고, 여액은 모아두었다. 다시 거른 허브를 70% 에탄올 동량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하고 380메시(mesh) 여과포로 허브를 거르고, 여과액은 모아두었다. 마지막으로 거른 허브를 70% 에탄올 동량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하고 380메시(mesh) 여과포로 허브를 거르고, 앞에서 모아둔 여과액과 함께 11㎛ 페이퍼 필터(Paper filter)로 여과하였다. 최종 여과액은 0.45㎛ membrane filter를 가지고 여과감압장치에서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 후, -5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를 거쳐서 최종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3. 에탄올 추출물 제조
분쇄한 애플망고, 패션후르츠, 용과, 레드키위 및 아떼모야 각각 50g에 70% 에탄올 1000g (샘플: 용매=1:20 wt/wt)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3차 추출하였다. 380메시(mesh) 여과포로 허브를 거르고, 여액은 모아두었다. 다시 거른 허브를 70% 에탄올 동량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하고 380메시(mesh) 여과포로 허브를 거르고, 여과액은 모아두었다. 마지막으로 거른 허브를 70% 에탄올 동량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하고 380메시(mesh) 여과포로 허브를 거르고, 앞에서 모아둔 여과액과 함께 11㎛ 페이퍼 필터(Paper filter)로 여과하였다. 최종 여과액은 0.45㎛ membrane filter를 가지고 여과감압장치에서 여과한 후 감압농축 후, -5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거쳐서 최종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4.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추출물 제조
분쇄한 애플망고, 패션후르츠, 용과, 레드키위 및 아떼모야 각각 50g에 99.9% Ethyl acetate 1000g (샘플: 용매=1:20 wt/wt)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3차 추출하였다. 380메시(mesh) 여과포로 허브를 거르고, 여액은 모아두었다. 다시 거른 허브를 70% 에탄올 동량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하고 380메시(mesh) 여과포로 허브를 거르고, 여과액은 모아두었다. 마지막으로 거른 허브를 70% 에탄올 동량을 넣고 3일간 상온에서 추출하고 380메시(mesh) 여과포로 허브를 거르고, 앞에서 모아둔 여과액과 함께 11㎛ 페이퍼 필터(Paper filter)로 여과하였다. 최종 여과액은 0.45㎛ membrane filter를 가지고 여과감압장치에서 여과한 후 감압농축 후, -50℃에서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거쳐서 최종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5. 부틸렌글리콜(Buthylene Glycol) 추출물 제조
분쇄한 애플망고, 패션후르츠, 용과, 레드키위 및 아떼모야 각각 50g에 30% Butylene glycol 1000g (샘플: 용매=1:20 wt/wt)을 넣고 5일간 상온에서 추출하였다. 5일 후, 380메시(mesh) 여과포로 과일을 거르고, 11㎛ 페이퍼 필터(Paper filter)로 여과하였다. 0.45㎛ membrane filter를 가지고 여과감압장치에서 여과한 후 최종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6. 프로필렌글리콜 ( Propylene Glycol ) 추출물 제조
분쇄한 애플망고, 패션후르츠, 용과, 레드키위 및 아떼모야 각각 50g에 50% Propylene glycol 1000g (샘플: 용매=1:20 wt/wt)을 넣고 5일간 상온에서 추출한다. 5일 후, 380메시(mesh) 여과포로 과일을 거르고, 11㎛ 페이퍼 필터(Paper filter)로 여과하였다. 0.45㎛ membrane filter를 가지고 여과감압장치에서 여과한 후 최종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1-1.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소거 활성 실험
모든 실시예의 농도별 용액 100㎕에 5ㅧ10-4M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100㎕를 넣고, 1분간 교반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L-Ascorbic aicd (100㎍/㎖)을 사용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항산화 효과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 내지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DPPH 소거능 (%)
시료(㎍/㎖) 대조구 1000 100 10
애플망고 100 82 48 13
패션후르츠 100 79 57 7
용과 100 90 68 35
레드키위 100 37 18 4
아떼모야 100 42 11 3
실시예 2 DPPH 소거능 (%)
시료(㎍/㎖) 대조구 1000 100 10
애플망고 100 50 35 14
패션후르츠 100 91 45 10
용과 100 85 55 27
레드키위 100 67 12 9
아떼모야 100 78 20 4
실시예 3. DPPH 소거능 (%)
시료(㎍/㎖) 대조구 1000 100 10
애플망고 100 57 38 4
패션후르츠 100 89 57 27
용과 100 94 68 35
레드키위 100 59 15 14
아떼모야 100 48 31 21
실시예 4. DPPH 소거능 (%)
시료(㎍/㎖) 대조구 1000 100 10
애플망고 100 91 56 33
패션후르츠 100 78 37 22
용과 100 68 34 15
레드키위 100 57 28 12
아떼모야 100 40 15 9
실시예 5. DPPH 소거능 (%)
시료(%) 대조구 4 2 1
애플망고 100 52 21 11
패션후르츠 100 59 47 13
용과 100 35 24 5
레드키위 100 47 29 16
아떼모야 100 49 21 5
실시예 6. DPPH 소거능 (%)
시료(%) 대조구 4 2 1
애플망고 100 58 35 10
패션후르츠 100 62 50 9
용과 100 60 55 6
레드키위 100 30 25 19
아떼모야 100 52 15 8
그 결과, 상기 표 1 내지 6에 나타난바와 같이 모든 실시예에서 농도별로 처리하였을때 유의성있는 DPPH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1, 4에서는 애플망고, 실시예 2, 5, 6에서는 패션후르츠, 실시예 3에서는 용과가 가장 높은 DPPH 소거능을 나타내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실시예 1, 2, 3, 4보다 실시예 5, 6에서 대체적으로 낮은 DPPH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1-2.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실험
실험예의 각각 결과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던 애플망고 추출물(실시예 1, 4), 패션후르츠 추출물(실시예 2, 5, 6), 용과 추출물(실시예 3)에 대하여 SOD 유사활성능 측정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농도별 시료용액 20㎕에 SOD 분석 키트(SOD assay kit-WST) 내 WST working solution 200㎕을 넣어 교반한 후, 다시 enzyme working solution 20㎕를 넣어 혼합한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Superoxide dismutase(100 units, Sigma)를 사용하였으며,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측정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7과 도 1 내지 6에 나타내었다.
SOD-like inhibition activity(%)
실시예 1.
애플망고 추출물
실시예 2.
패션후르츠
추출물
실시예 3,
용과
추출물
실시예 4.
애플망고 추출물
실시예 5.
패션후르츠추출물
실시예 6.
패션후르츠추출물
SOD(100unit) 98.25 98.25 94.25 93.75 97.75 97.75
10(ug/ml) 45.2 17.95 7.95 12.8 7.75 12.75
25(ug/ml) 72.15 29.95 39.95 30.25 12.95 24.90
50(ug/ml) 90.25 46.8 57.30 64.85 25.80 34.30
100(ug/ml) 92.80 56.65 74.15 88.50 36.50 46.50
그 결과, 상기 표 7과 도 1 내지 6에 나타난바와 같이 실시예 1, 4의 애플망고 추출물의 경우 가장 우수한 SOD 유사활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다음으로 실시예 3인 용과 추출물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1-3. Hydrogen peroxide 제거 효과
실험예의 각각 결과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던 애플망고 추출물(실시예 1, 4), 패션후르츠 추출물(실시예 2, 5, 6), 용과 추출물(실시예 3)에 대하여 하이드로젠 퍼록사이드 제거 효과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하이드로젠 퍼록사이드 제거 효과 실험은 96well 플레이트에 농도별 시료용액 20㎕, 10mM 하이드로젠 퍼록사이드 20㎕, 0.1M 포스페이트 버퍼(pH 5) 100㎕ 넣고 37℃에서 5분 반응시킨 후 1.25mM ABTS와 1U/㎖ 퍼록시데이즈 30㎕를 넣고 37℃에서 10분 반응시킨 후 405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ydrogen peroxide 제거 효과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8과 도 7 내지 12에 나타내었다.
H2O2 inhibition effect(%)
실시예 1.
애플망고 추출물
실시예 2.
패션후르츠
추출물
실시예 3,
용과
추출물
실시예 4.
애플망고 추출물
실시예 5.
패션후르츠추출물
실시예 6.
패션후르츠추출물
ascorbic
acid
(500ug/ml)
99.67 100.17 100.00 97.00 98.00 97.67
25(ug/ml) 11.23 8.83 9.90 5.27 5.27 6.13
50(ug/ml) 23.97 17.70 21.00 9.99 8.50 9.83
100(ug/ml) 38.60 35.17 34.17 22.33 20.40 15.50
250(ug/ml) 75.00 48.00 85.00 39.30 36.67 24.00
500(ug/ml) 86.83 60.33 93.00 50.50 45.47 30.50
표 8과 도 7 내지 12에 나타난바와 같이 하이드로젠 퍼록사이드 제거 효과 실험 결과, 실시예 1의 애플망고 추출물과 실시예 3의 용과 추출물에서 농도별로 처리하였을때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어 하이드로젠 퍼록사이드 제거 효과에 따른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실험예 2. 세포독성실험
상기 항산화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각 시료에 대한 주름개선 평가인 인체 유래 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한 총콜라겐과 Procollagen type-Ⅰ생합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유효농도 설정을 위한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cell)를 10% FBS-IMDM(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Gibco)에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5ㅧ104 cells/㎖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한 후, 이를 96 well plate에 20㎕씩 분주하고, 이를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후, 10% FBS-IMDM로 조제한 실시예 1~6에 이르는 농도 별 추출물 200㎕과 FBS-free IMDM 180㎕를 다시 첨가하여 동일 조건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이때 FBS-free IMDM만을 사용한 실험구를 시료의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반응 완료 3시간 전, 5㎎/㎖ MTT 용액(in 1 x PBS(-))을 20㎕씩 첨가한 뒤, 다시 48시간까지 반응을 진행, 완료하였다. MTT 반응액을 제거한 후, DMSO(Dimethyl sulfoxide) 150㎕씩 첨가한 뒤 5분간 교반(상온)하고 이를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Bio-Rad, USA)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 실험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9 내지 1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세포 증식율 (%)
시료(㎍/㎖) 대조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0 103.12 108.89 112.54 83.92
패션후르츠 100 101.23 96.41 99.87 101.50
용과 100 84.35 97.04 83.49 100.42
레드키위 100 142.30 112.42 110.83 97.15
아떼모야 100 88.01 91.08 72.49 100.85
실시예 2. 세포 증식율 (%)
시료(㎍/㎖) 대조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0 101.02 99.84 115.01 89.24
패션후르츠 100 104.13 86.17 94.78 111.40
용과 100 88.50 95.45 100.56 92.10
레드키위 100 132.12 110.21 97.48 99.75
아떼모야 100 84.27 91.58 82.59 120.90
실시예 3. 세포 증식율 (%)
시료(㎍/㎖) 대조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0 162.30 112.42 99.83 97.15
패션후르츠 100 112.03 86.56 94.99 121.45
용과 100 105.15 98.05 93.55 90.72
레드키위 100 160.10 92.47 115.97 99.25
아떼모야 100 94.20 91.18 92.45 90.85
실시예 4. 세포 증식율 (%)
시료(㎍/㎖) 대조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0 95.10 88.01 98.55 90.52
패션후르츠 100 161.30 110.42 80.43 99.15
용과 100 94.35 100.04 93.19 89.12
레드키위 100 92.30 102.42 90.83 97.15
아떼모야 100 102.57 51.08 72.59 88.45
실시예 5. 세포 증식율 (%)
시료(%) 대조구 4 2 1 0.5
애플망고 100 95.38 101.44 95.20 89.10
패션후르츠 100 91.23 86.51 109.17 111.45
용과 100 94.46 99.12 103.40 90.12
레드키위 100 150.40 87.12 90.13 117.10
아떼모야 100 94.27 51.08 72.49 100.85
실시예 6. 세포 증식율 (%)
시료(%) 대조구 4 2 1 0.5
애플망고 100 93.52 98.87 102.56 99.10
패션후르츠 100 111.55 100.41 89.87 105.50
용과 100 89.55 99.04 93.56 100.45
레드키위 100 102.40 92.00 100.83 97.45
아떼모야 100 80.16 80.45 85.49 86.85
표 9 내지 14에 나타난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에 대한 피부 섬유아세포 세포독성 시험결과, 애플망고, 패션후르츠, 용과, 레드키위, 아떼모야 각각 모든 용매 추출물에서 200㎍/㎖, 4%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특히, 실시예 3에 대한 피부 섬유아세포 세포독성 시험결과, 오히려 농도의존적으로 피부 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 증식 촉진 효과가 유의성 있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최대 농도 200㎍/㎖, 4% 이하에서 피부 진피 섬유아세포로부터의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3. 세포 내 총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실험
상기 실험예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유효농도 내에서 세포 내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CCD-986sk(Human skin dermal fibroblast) 내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SIRCOL collagen assay(Biocolor Ltd)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즉, CCD-986sk(Human dermal skin fibroblast)을 10% FBS-IMDM에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1.5 x 105cell/㎖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한 후, 이를 35ㅧ 10㎜ plate에 2㎖씩 분주하고, 이를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10% FBS-IMDM 1㎖을 넣은 뒤 농도별로 준비한 각각의 시료를 다시 1㎖씩 넣고 동일조건에서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각 plate로부터 배양액 0.5㎖씩 취하여 마이크로튜브(Microtube)로 옮기고 DYE Reagent(SIRCOL collagen assay, Biocolor Ltd) 1㎖를 첨가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뒤, 원심분리(15,000rpm, 5분)하여 상등액인 DYE Reagent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에 다시 ALKALI Reagent(SIRCOL collagen assay, Biocolor Ltd) 0.1㎖을 첨가하여 5분간 교반한 뒤 이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96well microplate)로 옮겨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비교구로는 엘-아스코르빈산(100㎍/㎖)을 사용하였으며,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는 시료용액의 첨가구의 무첨가구 대비 흡광도 증가율로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대조구는 무첨가구를 의미한다.
세포 내 총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실험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5 내지 20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총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
시료(㎍/㎖) 대조구 비교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0 200 140.2 135.5 111.2 105.7
패션후르츠 100 200 103.7 100.8 98.4 97.5
용과 100 200 130.4 124.0 105.9 102.9
레드키위 100 200 100.8 95.7 90.2 88.2
아떼모야 100 200 146.8 125.9 109.9 103.8
실시예 2. 총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
시료(㎍/㎖) 대조구 비교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0 200 150.2 146.5 110.5 103.1
패션후르츠 100 200 102.9 101.5 97.8 94.2
용과 100 200 100.6 99.8 90.8 84.7
레드키위 100 200 152.9 134.7 124.6 116.2
아떼모야 100 200 136.4 122.4 119.2 101.4
실시예 3. 총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
시료(㎍/㎖) 대조구 비교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0 200 143.8 129.5 120.2 111.7
패션후르츠 100 200 105.1 102.1 98.8 89.5
용과 100 200 148.4 138.5 124.6 116.9
레드키위 100 200 99.5 95.6 83.1 81.1
아떼모야 100 200 142.1 125.2 119.8 107.2
실시예 4. 총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
시료(㎍/㎖) 대조구 비교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0 200 162.2 145.8 121.5 110.4
패션후르츠 100 200 104.9 102.8 95.1 89.9
용과 100 200 100.5 99.6 93.5 90.9
레드키위 100 200 101.5 100.9 96.8 88.1
아떼모야 100 200 103.1 99.4 97.5 90.0
실시예 5. 총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
시료(%) 대조구 비교구 4 2 1 0.5
애플망고 100 200 106.1 103.7 98.1 88.4
패션후르츠 100 200 103.9 97.5 93.6 85.5
용과 100 200 101.6 99.9 95.7 92.3
레드키위 100 200 105.4 101.6 96.9 91.4
아떼모야 100 200 103.2 99.8 94.7 91.1
실시예 6. 총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
시료(%) 대조구 비교구 4 2 1 0.5
애플망고 100 200 105.1 103.7 98.6 95.2
패션후르츠 100 200 102.8 98.5 90.8 88.2
용과 100 200 103.6 99.1 95.9 84.6
레드키위 100 200 106.0 102.1 93.5 91.2
아떼모야 100 200 103.5 101.9 92.2 86.4
표 15 내지 20에 나타난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애플망고, 용과, 아떼모야 추출물에서 실시예 2의 경우, 애플망고, 레드키위, 아떼모야 추출물에서 실시예 3의 경우, 애플망고, 용과, 아떼모야 추출물에서 실시예 4의 경우, 아떼모야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인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내 구성성분인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노화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5의 경우, 총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비교구인 엘-아스코르빈산(100㎍/㎖)의 경우, 200%의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5. 인체 섬유아세포 유래 Procollagen type-1 생성 촉진 효과
실험예 3 및 4의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독성이 없으며 총콜라겐 생성을 촉진시키는 각각의 실시예 추출물의 경우에 대한 세포 내 Procollagne type-1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Human skin dermal fibroblast 활성에 의하여 콜라겐이 생성되는 과정 중 Procollagen에서 collagen이 생성될 때 분리되는 Propeptides의 양을 측정하여 주름개선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Human skin dermal fibroblast CCD-986sk의 배양 방법은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세포 독성 측정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며, 실험방법은 전 배양된 Fibroblast으로 3ㅧ104 cells/㎖ 세포액을 조제한 뒤, 이를 48 well plate에 1㎖씩 넣고 CO2 incubator(37℃, 5% CO2)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 1㎖로 1회 세척하였다. FBS free IMDM 배지를 900㎕ 넣고 미리 준비한 농도 별 추출물을 역시 100㎕씩 넣은 후, 다시 CO2 incubator(동일 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면 각각의 plate로부터 1.5㎖씩 취하여 microtube로 옮겼다.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procoated)에서 제공된 96 well plate의 각 well에 준비한 배양액을 100㎕씩 넣은 후, CO2 incubator(동일 조건)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Well plate의 배양액을 제거한 후, PBS 400㎕로 3회 세척한 후, 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을 100㎕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시키며, well plate의 용액을 제거한 후, PBS 400㎕로 3회 세척하였다. Substrate solution (TMBZ: tetramethylbenzidine)을 100㎕ 넣고 상온(20-30℃)에서 15분 반응시킨 후, Stop solution(1N H2SO4)을 100㎕ 넣고 잘 섞어주었다.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겐의 양은 kit 내 standard solution을 이용하여 흡광도 540nm에서 값을 측정하여 합성된 propeptide의 양을 계산하였다. 상기 대조구는 무첨가구를 의미한다.
인체 섬유아세포 유래 Procollagen type-1 생성 촉진 효과 실험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21 내지 2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Procollagen type-1 생성 촉진 효과 (비율)
시료(㎍/㎖) 대조구 비교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 2.5 2.15 1.60 1.24 1.12
용과 1.0 2.5 2.25 1.67 1.37 1.09
아떼모야 1.0 2.5 1.98 1.48 1.19 0.97
실시예 2. Procollagen type-1 생성 촉진 효과 (비율)
시료(㎍/㎖) 대조구 비교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 2.5 2.31 1.97 1.82 1.51
레드키위 1.0 2.5 2.20 1.84 1.53 1.30
아떼모야 1.0 2.5 2.05 1.95 1.23 0.99
실시예 3. Procollagen type-1 생성 촉진 효과 (비율)
시료(㎍/㎖) 대조구 비교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 2.5 2.46 2.05 1.76 1.40
용과 1.0 2.5 2.21 1.45 1.20 0.97
아떼모야 1.0 2.5 1.95 1.74 1.39 1.02
실시예 4. Procollagen type-1 생성 촉진 효과 (비율)
시료(㎍/㎖) 대조구 비교구 200 150 100 50
애플망고 1.0 2.5 2.61 2.25 1.96 1.66
표 21 내지 24에 나타난바와 같이 총콜라겐 생성을 촉진시키는 과일 추출물에서 모두 Procollagen type-1 생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 용과 추출물에서 최대 2.25배, 실시예 2, 3, 4에서 애플망고 추출물에서 각각 최대 2.31배, 2.46배, 2.61배의 콜라겐 전구체인 Procollagen type-Ⅰ 생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어 과일 추출물이 피부의 주름 개선에 확실히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구인 엘-아스코르빈산(100㎍/㎖)의 경우, 2.5배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항산화 효과 및 인체 유래 섬유아세포 내 콜라겐 및 콜라겐 전구체의 생합성 촉진 효과 확인을 통하여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은 산화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노화를 방지하며,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에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는 각 화장품 제형에 있어서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여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세포의 활성을 촉진시켜 콜라겐 생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통하여 항산화, 항노화 및 주름개선에 효과를 갖는 제형으로서의 화장료 조성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처방에는 다음과 같다.
하기의 처방예에서는 항산화 실험, 피부세포 활성 촉진 효과,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가장 우수한 실시예 4의 애플망고 추출물에 관한 것이나 반드시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처방예 1. 유연 화장수
실시예 4의 애플망고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 예는 다음 표 25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4. 애플망고 추출물 0.02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5
글리신 3.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1,3-부틸렌 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에탄올 5.0
항산화제 0.1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2. 영양 화장수
실시예 4의 애플망고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 예는 다음 표 26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4. 애플망고 추출물 0.02
글리세린 7.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미네랄 오일 4.0
트리옥타노인 1.0
스테아릭에씨드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디메치콘 0.5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카보머 0.2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3. 에센스
실시예 4의 애플망고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 예는 다음 표 27와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4의 애플망고 추출물 0.02
글리세린 5.0
1,3-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에칠렌 글리콜 2.0
카보머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히드록시에칠셀룰로이즈 0.2
에탄올 3.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1.0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4. 크림
실시예 4의 애플망고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크림의 처방 예는 다음 표 28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4의 애플망고 추출물 0.02
1,3-Buthylene Glycol 3.0
글리세린 3.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1.0
옥틸도데카놀 3.0
트리옥타노인 2.0
스테아릭에씨드 1.5
세토스테아릴알콜 2.0
폴리솔베이트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디메치콘 3.0
항산화제 0.3
산탄검 0.2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5. 팩
실시예 4의 애플망고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 예는 다음 표 29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4의 애플망고 추출물 0.02
글리세린 7.0
1,3-부틸렌 글리콜 3.0
스쿠알렌 3.0
디메치콘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2.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5.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여기서, 각 화장품 제형에 있어서 한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1종을 함유하여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세포의 활성을 촉진시켜 콜라겐 생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통하여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제형으로서의 화장료 조성의 예를 보여준 것으로, 이것은 이 제형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처방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처방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애플망고(Mangifera indica L.), 패션후르츠(Passiflora edulis Sims), 용과(Hylocereus undatus (Haw.) Britt. & Rose), 레드키위 (Actinidia chinensis Planch.) 및 아떼모야(Annona Squamos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메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45 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거나, 10 내지 80℃에서 6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진탕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60 내지 -10℃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항산화, 항노화 및 주름 개선 효과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바디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및 팩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48877A 2013-12-03 2013-12-03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4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877A KR20150064314A (ko) 2013-12-03 2013-12-03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877A KR20150064314A (ko) 2013-12-03 2013-12-03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420A Division KR101677466B1 (ko) 2015-10-06 2015-10-06 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14A true KR20150064314A (ko) 2015-06-11

Family

ID=5350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877A KR20150064314A (ko) 2013-12-03 2013-12-03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431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5380A1 (fr) * 2015-12-21 2017-06-23 Expanscience Lab Extrait de graines de passiflore et compositions cosmetiques, pharmaceutiques ou dermatologiques le comprenant.
US20170273894A1 (en) * 2016-03-23 2017-09-28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8105929A1 (ko) * 2016-12-07 2018-06-14 한국한의학연구원 아떼모야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4275B1 (ko) * 2018-10-05 2019-03-06 (주)코스알엑스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45926A (ko) * 2019-06-20 2020-12-31 조자용 패션 후르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식품첨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5930A (ko) * 2019-08-28 2021-03-10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애플망고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6840A (ko) * 2020-07-09 2022-01-18 장경순 다용도 누룩 파우더 제조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8978A1 (fr) * 2015-12-21 2017-06-29 Laboratoires Expanscience Extrait de graines de passiflore et compositions cosmetiques, pharmaceutiques ou dermatologiques le comprenant
FR3045380A1 (fr) * 2015-12-21 2017-06-23 Expanscience Lab Extrait de graines de passiflore et compositions cosmetiques, pharmaceutiques ou dermatologiques le comprenant.
US11596662B2 (en) 2015-12-21 2023-03-07 Laboratoires Expanscience Passion flower seed extract,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11344751B2 (en) 2016-03-23 2022-05-31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20170273894A1 (en) * 2016-03-23 2017-09-28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08697631A (zh) * 2016-03-23 2018-10-23 玫琳凯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及其用途
KR20180119156A (ko) * 2016-03-23 2018-11-01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10912956B2 (en) 2016-03-23 2021-02-0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11918833B2 (en) 2016-03-23 2024-03-05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8105929A1 (ko) * 2016-12-07 2018-06-14 한국한의학연구원 아떼모야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6333A (ko) * 2016-12-07 2018-06-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아떼모야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4275B1 (ko) * 2018-10-05 2019-03-06 (주)코스알엑스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45926A (ko) * 2019-06-20 2020-12-31 조자용 패션 후르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식품첨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9236633B2 (en) * 2019-08-28 2021-05-27 Seowon University Institute of Industry - Academy Collab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angifera indica irwin seed extract
AU2019236633A1 (en) * 2019-08-28 2021-03-18 Seowon University Institute of Industry - Academy Collab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angifera indica irwin seed extract
KR20210025930A (ko) * 2019-08-28 2021-03-10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애플망고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6840A (ko) * 2020-07-09 2022-01-18 장경순 다용도 누룩 파우더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466B1 (ko) 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230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20150064314A (ko)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53376B1 (ko) 가는갯능쟁이 추출물 또는 계요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8056B1 (ko) 조롱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2093B1 (ko) 뽕잎피나무, 소태나무, 신갈나무, 및 이질풀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산화 및 미백 복합기능성을 갖는 조성물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9223B1 (ko) 천연 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20190135245A (ko) 갯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미백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2192A (ko) 동백나무 유래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171472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89492B1 (ko) 처진뽕나무, 자두나무, 및 큰달맞이꽃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88133B1 (ko)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