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837B1 -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837B1
KR100339837B1 KR1019990056704A KR19990056704A KR100339837B1 KR 100339837 B1 KR100339837 B1 KR 100339837B1 KR 1019990056704 A KR1019990056704 A KR 1019990056704A KR 19990056704 A KR19990056704 A KR 19990056704A KR 100339837 B1 KR100339837 B1 KR 10033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extract
poison
present
rem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489A (ko
Inventor
김중배
Original Assignee
김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배 filed Critical 김중배
Priority to KR101999005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837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3/00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옻나무는 식용으로 옻나무 순이나 줄기 등을 옻닭, 한약으로 사용하거나 옻추출물은 칠로 사용되어 왔으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옻 독으로 인하여 사용상 많은 제한이 있었다.
본 발명은 옻나무(수액, 옻나무 껍질, 나무)에서 옻 독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기에서 170℃에서 4시간 이상 건조시키서, 물과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고온, 고압상태에서 추출한다. 또한 항산화작용이 강한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옻나무 추출물에서 옻 독을 제거하여 건강식품, 기능성 식품, 식품의 첨가제 또는 의약품으로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Method for Detoxification of the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옻나무는 식용으로 옻나무 순이나 줄기 등을 옻닭, 한약 등으로 사용하거나 옻추출물은 칠로 사용되어 왔으나 사람의 체질에 따라 옻 독으로 인하여 사용상 많은 제한이 있었다.
옛날부터 옻나무(Rhus verniciflua)는 동양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옻칠을 한 집기(칠기)가 많이 사용되어왔다. 특히 옻칠을한 한국의 나전칠기는 현재 많이 사용되는 락카 및 에나멜칠을 한 것과 비교해 볼 때 전세계적으로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 동안 민간요법에서는 옻을 이용한 한약과 식품이 비법으로만 구전되고 있으나 알레르기 반응으로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옛부터 많이 식용하는 옻닭과 옻순은 알레르기(보통 '옻이 오른다'라고 표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상용하기 곤란하며, 이에 대한 피해도 많다. 피부과 병원에서는 식용할 수 없는 금기물질로 단정하고 있다. 한편 외국에서는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치료제에 관한 연구는 많이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처럼 식용으로 먹는 나라는 거의 없다. 옻나무의 주성분은 우루시올(urushiol)이며, 엷은 노란색 액체로서 물, 알코올, 에테르에 용해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화학적 구조는 곁사슬(side chain) R기가 탄소수 15-17개의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불포화 화합물이며, 5개의 혼합물로 혼재(Merck index 9697)되어 있으며, 옻의 주된 약리 작용은 항암, 항산화, 숙취작용이 알려져 있으며(산림청, 임목 육종연구소 나천구 연구팀, 1997.4.22, 식품과학회지, vol 31, 238-245), 위장병, 심장병, 관절염, 고혈압, 당뇨, 중풍, 관절염, 만성피로 등에 효능(본초강목, 본초학)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상용화되지 못한 이유는 인체에 대한 알레르기 원인으로 금기시 하여왔다. 따라서 옻나무의 약리적 효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옻 독의 제거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옻 추출물질이 뛰어난 항 산화작용을 갖고 있어 천연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지면 새로운 응용범위가 확대될 것이다.
본 발명은 옻나무의 옻 독을 제거하기 위하여 추출과 열처리공정, 분리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매로는 물, 알코올을 사용하며 옻나무 껍질, 옻나무 액 등의 원료에 대하여 1∼10%가 되도록 첨가하고 고온, 고압상태에서 열처리 옻나무의 알레르기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a 내지 도2b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시 무독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옻나무 껍질과 수액을 이용한 알레르기 제거공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 제 1 공정 : 원료의 선별과 전처리 공정
옻액은 식재 후 5∼6년 이상 옻나무로부터 6월 상순부터 9월 하순까지 채취된 것과 옻나무 껍질 및 나무는 170℃에서 4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물로 채워진 내압 용기를 사용하여 1∼10%가 되도록 가한다.
* 제 2 공정 : 열처리 및 추출공정
내압용기에 넣은 원료는 열처리 기구에 넣고 105℃ 이상 가열하여 30분에서 24시간 처리한다. 이때의 압력조건은 0.5∼2.5 ㎏/㎠ 범위에서 실시한다.
* 제 3 공정 : 여과 공정
열처리가 완료된 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지(일본 Toyo사 No 1 사용)를 사용하여 여과한다. 원료의 추출물이 청징이 될 때까지 여과를 재차 한다.
* 제 4 공정 : 농축 공정
추출물질을 농축하기 위하여 감압 농축기(vaccum evaperating)를 이용하여 75℃ 이상의 온도에서 수분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증발 건고시킨다.
* 제 5공정 : 희석 공정
증발 건고된 추출물질은 50배에서 2000배로 물로 희석(중량비율)한다. 장기 보관 시에는 에탄올(ethanol)을 10%가 되도록 첨가하여 보관한다.
* 제 6 공정 : 분리 공정(separation process)
희석된 시료를 증발농축한 후 3배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희석한 후 역상 컬럼 (ODS column)을 사용하여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한다. 분리방법은 물과 메탄올(me thanol)용매를 사용하여 분당 5㎖ 속도로 메탄올의 농도가 0%에서 100% 농도가 되도록 구배법(gradient method)으로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한다.
< 시험예 1> 본 발명의 추출물을 이용한 옻 독 반응시험
대조군으로 옻 독을 제거하지 않은 옻 추출액과 본 발명의 옻 독을 제거한 추출물에 대하여 20세의 성인 남녀(남자 3명, 여자 37명)를 대상으로 옻 독에 대한 피부의 반응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은 증류수로 100배 희석하였고, 옻 독을 제거하지 않은 추출물은 농축하지 않았으므로 원액을 사용하여 피부가 연약한 손등, 귀밑 및 겨드랑이에 직접 도포하여 육안으로 피부의 옻 독의 변화를 관찰하여 표 1에 나타냈다.
표 1. 옻 추출물의 피부에 대한 반응검사
시험인원 대조구(무처리) 처리구(독 제거) 비 고
전체 40명 39명 1명 독성 97.5%
여자 37명 37명 0명 독성 100%
남자 3명 2명 1명 독성 66.7%
상기의 결과로부터 옻 독 반응검사자 40명을 대상으로 시험할 경우 무처리구에서는 97.5%가 옻 독 반응을 나타내는 반면 처리구에서는 2.5%만이 옻 독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이 옻 독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도 2a 및 도 2b 참조).
< 시험예 2> 옻나무(옻액)의 항산화반응 측정;
항산화작용의 활성측정은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디피피헤이치 레디칼 스케빈징 어세이(DPPH radical scavenging ass ay;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958)법으로 측정하였다.
옻나무에서 추출한 20㎕를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켜 흡광도 차이를 이용한 DPPH 방법으로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던 바 대조구는 1.2, 옻 추출물은 0.1로서 흡광도 차이가 1.1을 나타냈다.
DPPH(1,1-dihenyl-2-picryl hydrazyl) 프리 레디칼(free radical) 은 515nm에서의 흡광도가 관찰되는데 항산화제에 의해 레디칼 스케빈징(radical scavenging )이 일어나면 그 흡광도가 감소하므로 그 감소되는 정도로서 레디칼 스케빈징 활성도(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평가하였다. 항산화작용(%)의 비교 척도로서 비타민 C를 100으로 할 때 옻추출액은 50, 녹차는 40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옻나무의 옻 독을 제거한 옻나무 추출물을 기능성 식품과 건강 보조식품, 식품 첨가물 또는 의약품에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적 합성품이 아닌 천연 추출물질로서 그 응용범위가 확대될 것이다.

Claims (5)

  1. 옻나무에서 채취한 수액 또는 껍질을 170℃에서 4시간 이상 열풍건조하는 공정과, 물을 이용하여 105∼20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옻추출물을 추출하는 공정과, 추출물을 여과한 후 농축하는 공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19990056704A 1999-12-10 1999-12-10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KR100339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704A KR100339837B1 (ko) 1999-12-10 1999-12-10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704A KR100339837B1 (ko) 1999-12-10 1999-12-10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489A KR20010055489A (ko) 2001-07-04
KR100339837B1 true KR100339837B1 (ko) 2002-06-07

Family

ID=1962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704A KR100339837B1 (ko) 1999-12-10 1999-12-10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800A (ko) * 2000-06-23 2002-01-16 이병훈 옻나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추출장치
KR20220147385A (ko) 2021-04-27 2022-11-03 최진오 참 옻나무를 이용한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의해 제조된 참 옻 분말과 진액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825B1 (ko) * 2000-06-16 2002-10-19 김범준 옻음료 제조방법
KR100500213B1 (ko) * 2001-05-24 2005-07-11 한종수 독성을 제거한 옻물 및 옻물 제조장치
KR100896235B1 (ko) * 2007-07-16 2009-05-08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방법
KR20160134144A (ko) 2015-05-14 2016-11-23 존 우식 김 옻액의 우루시올 제거방법
KR101892617B1 (ko) * 2018-01-30 2018-08-28 임실군 저온 추출 공법을 통해 유용한 폴리페놀 성분을 유지하며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800A (ko) * 2000-06-23 2002-01-16 이병훈 옻나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추출장치
KR20220147385A (ko) 2021-04-27 2022-11-03 최진오 참 옻나무를 이용한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의해 제조된 참 옻 분말과 진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489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15378A2 (en) Manufacture of medicaments for treating viral skin infections
KR100367286B1 (ko)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물의 추출방법
Desai et al. Anacardium occidentale: Fountain of phytochemicals: The qualitative profiling
KR101537292B1 (ko) 포제 처리된 작약, 옥죽 또는 백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5505B1 (ko)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39837B1 (ko)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KR100486763B1 (ko) 항산화 활성이 있는 맹종죽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A2169791C (en)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antioxidants from vegetable matter
KR1022692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고구마 추출물 제조방법
Benattia et al. Antioxidative and antiradical activities of bioactive compounds of extracts from Algerian prickly pear (Opuntia ficus-indica. L) fruits
Enríquez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differentiation of essential oils of Guaviduca (Piper carpunya L.) and Sacha Ajo (Mansoa alliacea L.)
KR101224238B1 (ko) 혼합 식물 추출물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KR102121430B1 (ko) 비타민나무 열매 탈색소 착즙 분말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되는 탈색소 착즙 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Ying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of nine selected culinary spices from China
Mostafa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Clematis brachiata Thunb. leaf
KR100846738B1 (ko) 항산화효과와 피부세포보호효과를 갖는 복령 추출물과 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2029992A (ja) 活性酸素消去酵素の活性促進剤
KR100689237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및 식품조성물
KR0141650B1 (ko) 유리기 소거 능력이 우수한 생약재 엑기스 및 엑기스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KR102228126B1 (ko)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64798B1 (ko) 아로니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모공개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RU2156071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птильной жид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