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126B1 -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126B1
KR102228126B1 KR1020190132740A KR20190132740A KR102228126B1 KR 102228126 B1 KR102228126 B1 KR 102228126B1 KR 1020190132740 A KR1020190132740 A KR 1020190132740A KR 20190132740 A KR20190132740 A KR 20190132740A KR 102228126 B1 KR102228126 B1 KR 102228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calp
present
herbal composition
natural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김옥아
유영은
주미견
이승욱
Original Assignee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민 filed Critical 박성민
Priority to KR102019013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4Apocynaceae (Dogbane family), e.g. plumeria or periwin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질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석류피, 매괴화 등의 추출물을 포함하며, 두피질환균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도록 항균, 항산화, 피부 해독 및 혈액순환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여 두피질환의 개선 및 치료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atural herbal composition for improving scalp disea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천연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질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 석류피, 매괴화 등의 추출물을 포함하며, 두피질환균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도록 항균, 항산화, 피부 해독 및 혈액순환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여 두피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두피(Scalp)는 두부 표면을 둘러싸며 두부 내부를 보호하고 있는 피부조직을 의미한다. 두피의 경우, 피부의 일부분으로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다른 부분의 모낭보다 복잡하고 피지선이 많으며, 신체를 감싸는 다른 외피보다 혈관과 모낭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피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이라는 세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피는 주로 세포들로 구성되며 신경과 혈관이 분포하지 않으며, 세포들이 주기적으로 교체되어 각화 주기가 일어나는 대표적인 보호기관에 해당한다. 진피에는 모세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두부의 외상에 의해 출혈이 발생하며, 조밀한 신경 분포를 통해 머리카락을 통한 감각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피하조직은 피부 최내층으로 인체를 보호하는 쿠션 역할을 하며, 동맥과 림프액이 순환된다.
한편, 현대인은 사회가 복잡 다양화되어 감에 따라 환경오염, 스트레스, 각종 화학물질 등에 의해 가려움, 탈모 등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두피와 관련된 질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여러가지 천연 한방 추출물을을 이용한 연구를 들 수 있다.
석류의 경우, 석류나무과(Punicaceae)에 속하는 석류나무의 열매를 말하고, 석류피(石榴皮, Granati Pericarpium)는 그 열매의 껍질을 말한다. 석류 과육에는 당질(포도당, 과당),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 및 소량의 수용성 비타민이 포함되어 있고, 과피인 석류피의 주요한 유효성분들로는 알칼로이드인 이소펠레트린(isopelletierine)이며, 그 외에도 탄닌인 퓨니칼린(Punicalin), 퓨니카라진(Punicalagin)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석류피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왔다. 이는 설사와 이질을 치료하고 살충 및 항균 효과와 지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석류피의 경우, 피부나 두피에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으며, 예를 들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8895호에서는 한방 추출물 첨가제 조성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천연 및 한방 재료만을 원료로 하여 두피에 서식하는 세균번식을 억제하고 원활한 혈액순환을 유도하여 피부질환을 예방하며, 두피뿐만 아니라 모근을 건강하게 보호하여 탈모를 예방 등을 언급하고 있다.
매괴화의 경우, 장미과 식물 해당화(Rosa rugosa Thunb.)의 갓핀 꽃을 의미하고 특히, 5월에 막 피어난 꽃을 매괴화라 하여 토혈, 하리 월경불순, 이질 등의 치료에 쓰이고, 열매는 피로회복에, 뿌리는 당뇨병 치료의 민간요법에 사용되며(Namba (1994) The encyclopedia of Wakan-yaku(traditional Sino-Japanese Medicines) which color pictures Vol (II). Hoikuaha, Tokyo. p.118), 최근에는 해당화 과육 및 종자 추출물이 골형성 관련 세포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보고된 바 있다(韓資植誌 23(2):157~164(2010) Korean J. Plant Res. (2010.04.16.)). 다만, 매괴화 추출물의 경우,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98411호에서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매괴화 추출물은 간세포 손상 시 증가하는 형질전환성장인자 베타1(TGF-β1)에 의한 Smad 분자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정상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간질환 치료제 또는 간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즉, 피부 또는 두피 관련 질환에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석류피, 매괴화 등을 모두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와 관련된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하여 오랜 연구기간 끝에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석류피 추출물, 매괴화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두피질환의 주된 원인균을 억제하는 항균효과를 제공하여 두피질환의 개선 및 예방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성분의 한방 조성물을 제공하여, 피지선의 과다분비를 조절하고, 체내의 혈액 및 열 순환을 개선시켜 두피질환의 예방 및 치료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석류피 추출물, 매괴화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등심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상백피 추출물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피질환 개선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a) 석류피, 매괴화, 정향, 황련 및 용매를 포함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가열 및 가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한방 추출 조성물은 석류피 추출물, 매괴화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두피질환균에 의한 원인균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 억제 및 항균효과 등을 제공하여, 두피질환 예방 및 치료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한방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푸르푸르 (Malassezia furfur), 말라세리아 글로보사(Malasseria globose), 말라세리아 레스트릭타(Malasseria restricta) 등의 균주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성분의 한방 조성물을 제공하여, 체내의 혈액 및 열 순환을 개선시켜 가려움증, 비듬, 지루성 피부 또는 두피염 등의 두피질환을 예방 및 치료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험예 1에 따른 항균 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험예 2에 따른 항균 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의 실험예 1에 따른 항균 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의 실험예 2에 따른 항균 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가능한 구현 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구성에 관하여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
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석류피 추출물, 매괴화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석류(pomegranate 또는 Punica granatum L.)는 석류과에 속한 낙엽소목으로서 예로부터 열매와 줄기 껍질과 뿌리의 껍질을 건조하여 한약재로 많이 쓰여 왔으며, 아시아 서남부 및 인도의 북서부가 자생지이다. 또한, 그 생물학적 유효 성분과 화학적 성분들이 석류 하나의 종자, 과육, 그리고 껍질에 함유되어 있어 파워 과일(power fruit) 또는 기능성 과일 (functional fruit)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석류 껍질인 석류피의 노화 방지제, 소염 및 항염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매괴화는 장미과 식물 해당화(Rosa rugosa Thunb.)의 갓핀 꽃을 의미하고 특히, 5월에 막 피어난 꽃을 매괴화라 하여 토혈, 하리 월경불순, 이질 등의 치료에 쓰이고, 열매는 피로회복에, 뿌리는 당뇨병 치료의 민간요법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괴화에 함유하고 있는 성분으로는 정유 성분인 시트로네롤(citronellol), 제라니올(geraniol), 네롤(nerol), 에우제놀(eugenol), 페닐에틸알콜(phenyl ethyl alcohol)과 퀘르시트린(quercitrin), 탄닌(tannin), 갈릭산(gallic acid) 등이다. 간장과 비장에 작용하여 울체된 것을 풀어주며 기혈을 통하게 하여 피부의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피부의 혈색을 돌게 하여, 두피를 포함한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정향의 경우, 도금양과(Myrtaceae) 식물인 정향의 꽃 내지는 꽃을 증류해서 얻어지는 휘발성 오일과 과실로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맵고 독이 없다. 비위를 따뜻하게 술독과 풍독을 없애며 여러 가지 종기를 낫게 한다. 또한, 항산화 효과 및 유해산소 제거 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황련(Coptidis rhizoma)의 경우, 미나리아 젯벳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알칼로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을 갖고 있어 항염증 및 피부개선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등이 뛰어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노화방지, 소염 및 항염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두피에 서식하는 세균번식을 억제하고 원활한 혈액순환을 유도하여 피부질환을 예방하며, 유해산소 제거 등의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석류피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매괴화 추출물은 25 내지 75 중량부, 정향 추출물 25 내지 75 중량부 및 황련 추출물 1 내지 50 중량부 포함하여, 두피질환의 원인균에 대하여 우수한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여 기혈을 통하게 하여 두피를 포함한 피부 혈액순환을 향상시키고, 두피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보다 개선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혈액순환과 유해산소 제거의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두피의 트러블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이들은 예전부터 한약재 등으로 사용되어온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비교적 안전함은 물론이다.
특히, 두피질환의 원인균으로 말라세지아 푸르푸르 (Malassezia furfur), 말라세리아 글로보사(Malasseria globose), 말라세리아 레스트릭타(Malasseria restricta), 말레세지아 오브투사(Malassezia obtusa), 말라세지아 슬로오피아에(Malassezia slooffiae), 말레세지아 심포디아리스(Malassezia sympodialis) 및 말레세지아 파키더마티스(Malassezia pachydermatis)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효과를 제공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 실시예와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극성용매, 비극성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출물은 전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법, 열수 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및 메탄올 추출법 중 적어도 하나의 추출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초임계 추출법은 건조하여 파쇄한 시료와 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하여 초임계 유체 추출 반응기에 넣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약 65℃, 압력이 450bar,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열수 추출법은 5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0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액은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여 액상으로 수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에탄올 추출법은 천연한방원료를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후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메탄올 추출법은 천연한방원료를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후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추출 이후에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두피질환은 비듬성 두피질환, 지루성 두피질환, 건선 두피질환, 백선 두피질환 및 아토피성 두피질환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서, 가려움증, 비듬, 지루성 피부 또는 두피염, 탈모, 원형 탈모, 남성형 탈모, 건선, 스트레스성 염증, 및 민감성 두피 등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두피질환 개선용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서 말라세지아 푸르푸르 (Malassezia furfur), 말라세리아 글로보사(Malasseria globose), 말라세리아 레스트릭타(Malasseria restricta), 말레세지아 오브투사(Malassezia obtusa), 말라세지아 슬로오피아에(Malassezia slooffiae), 말레세지아 심포디아리스(Malassezia sympodialis) 및 말레세지아 파키더마티스(Malassezia pachydermatis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말라세지아 푸르푸르 (Malassezia furfur)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의 특정 균주에 대한 특이적인 항균 활성을 보유하므로 광범위한 사용이 유도되지 않으면서 우수한 항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1 및 도 2의 사진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천연 한방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피질환 개선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두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a)석류피, 매괴화, 정향, 황련 및 용매를 포함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상기 혼합물을 가열 및 가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제조방법에 제공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a)석류피, 매괴화, 정향, 황련 및 용매를 포함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가 제공되며, 이 경우 제공되는 석류피, 매괴화, 정향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방 재료는 재배나 수확한 후 볕이나 그늘에서 말린 후 사용할 수 있고, 이것이 상품화 되어 포장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준비된 한방 재료는 잘게 분쇄한 후 용매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분쇄는 효과적인 혼합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분쇄된 재료의 크기는 18 내지 25 메쉬의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공되는 용매의 경우,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석류피, 매괴화, 정향 및 황련은 건조된 각 한방 재료를 혼합하며, 혼합물 제조 전 석류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매괴화는 25 내지 75 중량부, 정향 25 내지 75 중량부 및 황련 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재료가 상기 범위로 제공되는 경우, 소염, 항염 등을 제공하는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여 두피질환 개선에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혼합물 제조 전 석류피, 매괴화, 정향 및 황련의 전체 건조 중량부의 1 내지 50배의 중량부를 제공하여, 충분한 추출이 진행하도록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천연한방조성물은 말라세지아 푸르푸르 (Malassezia furfur), 말라세리아 글로보사(Malasseria globose), 말라세리아 레스트릭타(Malasseria restricta), 말레세지아 오브투사(Malassezia obtusa), 말라세지아 슬로오피아에(Malassezia slooffiae), 말레세지아 심포디아리스(Malassezia sympodialis) 및 말레세지아 파키더마티스(Malassezia pachydermatis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균에 대하여 특히 우수한 항균 효과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b)상기 혼합물을 가열 및 가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서, 상기 가열 및 가압은 5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0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은 열수 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및 메탄올 추출법 중 적어도 하나의 추출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법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c)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분리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상기 여과의 경우, 여과포, 여과지 및 감압여과장치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포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추출물은 최종적으로 필요에 따라 감압 농축,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동결 건조는 예를 들어서, -50℃부터 단계적으로 -30℃까지 24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하여 건조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은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의 열수 추출에 의한 제조>
건조된 석류피 100g, 매괴화 50g을 포함하고, 정향 30g, 황련 30g, 등심초 20g, 황금 20g, 고삼 10g 및 상백피 추출물 5g를 18 메쉬 정도의 입자로 잘게 분쇄한 후, 상기 재료 중량의 8배량의 증류수와 혼합하여, 냉각 콘덴서가 포함된 열수 추출기에서 3시간 동안 끓여서 추출한 후 상온에서 냉각한 다음 380메시 여과포로 한방 입자를 거른다. 다음으로 10㎛의 종이필터로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0.45㎛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감압여과장치에서 여과한 후, 동결건조 시켜 최종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의 에탄올 추출에 의한 제조>
건조된 석류피 100g, 매괴화 50g을 포함하고, 정향 30g, 황련 30g, 등심초 20g, 황금 20g, 고삼 10g 및 상백피 추출물 5g를 18 메쉬 정도의 입자로 잘게 분쇄한 후, 상기 재료 중량의 8배량의 에탄올과 혼합하여, 상온에서 3일 정치 3차 추출하였다. 추출 이후 380메시 여과포로 한방 입자를 거른다. 다음으로 10㎛의 종이필터로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0.45㎛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감압여과장치에서 여과한 후, 동결건조 시켜 최종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
비교를 위하여 다음의 한약재들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10mg/mL(10,000ppm)로 시험용액을 제조하여 실험예 1과 2의 방법에 따라 한천배지확산법을 실시하였다. 사용한약재는 감송향, 감국, 견우자, 강황, 강활, 고량강, 계혈등, 계지, 결명자, 골쇄보, 고삼, 고련피, 관중, 곽향, 각각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예 1>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 KCCM 11894)에 대한 시험 물질의 항균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천배지확산법을 실시하였다.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를 올리브 오일 액체 배지에 108CFU/㎖로 희석한 균을 올리브 오일 고체 배지에 100㎕ 떨어뜨리고 살균된 일회용 spreader를 이용하여 도말 후, 5 내지 10분간 건조하였고, 멸균된 10㎜ paper disc 위에 실시예 1을 100㎕ 점적하여 5 내지 10분간 건조시킨 후, 실험균주가 도말된 올리브 오일 고체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30℃ incubator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paper disc 주위에 생성되는 투명환(clear zone)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에 대한 관찰 결과는 도 1, 비교예 1에 대한 관찰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 KCCM 12679)에 대한 시험 물질의 항균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천배지확산법을 실시하였다.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를 올리브 오일 액체 배지에 108CFU/㎖로 희석한 균을 올리브 오일 고체 배지에 100㎕ 떨어뜨리고 살균된 일회용 spreader를 이용하여 도말 후, 5 내지 10분간 건조하였고, 멸균된 10㎜ paper disc 위에 실시예 1을 100㎕ 점적하여 5 내지 10분간 건조시킨 후, 실험균주가 도말된 올리브 오일 고체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37℃ incubator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paper disc 주위에 생성되는 투명환(clear zone)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에 대한 관찰 결과는 도 2, 비교예 1에 대한 관찰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및 2에 따른 결과인 도 1 및 2에서는 paper disc 주위에 투명환이 관찰되었고, 이로써 두피질환 원인균인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 KCCM 11894)와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 KCCM 12679)에 대한 우수한 항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의 다양한 한약재를 사용하더라도 실시예에 비하여 항균효과가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한방 추출 조성물은 석류피, 매괴화, 정향 및 황련 등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두피질환의 원인이 되는 원인균에 의한 항염, 소염 및 항산화 등의 효과를 제공하여 두피질환 예방 및 치료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조성물은 상기 말라세지아 푸르푸르균에 대하여 특이적인 항균 활성을 보유하므로 광범위한 사용이 유도되지 않으면서 우수한 항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석류피 추출물, 매괴화 추출물, 정향 추출물, 황련 추출물, 등심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상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로서,
    상기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푸르푸르 (Malassezia furfur)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 석류피, 매괴화, 정향, 황련, 등심초, 황금, 고삼, 상백피 및 용매를 포함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가열 및 가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된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푸르푸르 (Malassezia furfur)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32740A 2019-10-24 2019-10-24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8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40A KR102228126B1 (ko) 2019-10-24 2019-10-24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40A KR102228126B1 (ko) 2019-10-24 2019-10-24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126B1 true KR102228126B1 (ko) 2021-03-15

Family

ID=7513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740A KR102228126B1 (ko) 2019-10-24 2019-10-24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1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442A (ko) * 2003-09-22 2005-03-28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101358895B1 (ko) * 2013-04-30 2014-02-05 장우승 한방 추출물 첨가제 조성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442A (ko) * 2003-09-22 2005-03-28 씨에이치디메딕스 주식회사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또는 석류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101358895B1 (ko) * 2013-04-30 2014-02-05 장우승 한방 추출물 첨가제 조성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483343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101266180B1 (ko) 식물성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110311662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sation comprising pine-resin extract,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 and pinus densiflora root extract
Das et al. Cactus: Chemical, nutraceutical composition and potential bio‐pharmacological properties
US8445039B2 (en)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processed peony, polygonati rhizoma or lily
KR20150104916A (ko) 칡의 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661688B1 (ko)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3792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010173A (zh) 一种多功能的护肤喷雾及其制备方法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28126B1 (ko)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77673B1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73B1 (ko) 천년초 추출물 또는 백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유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의약 조성물
KR20190136231A (ko) 항균 및 지시기능을 가진 물티슈 조성물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5827B1 (ko) 여드름 개선용 천연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lalahi Morinda citrifolia: Bioactivity and utilization as traditional medicine and food for the community
KR20170053544A (ko) 겨우살이, 편백나무, 참나무 및 동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Luquis et al. Arctium lappa L.: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s, phytochemical compounds and use for healing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