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235B1 - 방사선을 이용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을 이용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235B1
KR100896235B1 KR1020070071139A KR20070071139A KR100896235B1 KR 100896235 B1 KR100896235 B1 KR 100896235B1 KR 1020070071139 A KR1020070071139 A KR 1020070071139A KR 20070071139 A KR20070071139 A KR 20070071139A KR 100896235 B1 KR100896235 B1 KR 100896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
urushiol
sumac
present
k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916A (ko
Inventor
정일윤
변명우
이주운
박용대
진창현
최대성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7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2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나무(RHUS VENICIFLUA Strokes) 수액의 알러지(allergy)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옻나무 수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알러지 유발성분인 우루시올을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건조 공정 및 첨가물 없이 매우 간결한 방사선 처리 공정에 의하여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유발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으로 대량생산 및 산업화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옻나무 수액, 우루시올, 방사선

Description

방사선을 이용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방법{A METHOD REDUCING ALLERGY OF RHUS VENICIFLUA SAP USING RADIATION}
본 발명은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옻나무 수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알러지 유발성분인 우루시올을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온화 에너지를 위한 감마선 조사는 코발트-60 방사성 동위원소에서 나오는 단파장 빛인 감마선을 식품이나 의료용품 등에 쬐여 치명적인 전염병 세균들이나 기생충 및 해충들을 완전히 사멸시킬 수 있는 유익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감마선 조사기술이다. 감마선은 수 센티미터의 콘크리트를 투과할 정도로 고(高)침투력을 가진 파장이기 때문에 보건의료제품을 완전 밀봉한 상태로 조사 처리하여도 무균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코발트-60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은 전자와 같은 하전입자에 비하면 투과력이 강하기 때문에 액체나 고체의 내부까지 조사하는 데 적합하다. 의료기구 살균이나 식품조사 목적에는 코발트-60 선원이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10-0458965-0000에, 소, 돼지 도축혈액 혈장단백질 파우더를 감마선 조사하여 위생적 혈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10-0156439-0000에, 옥수수 전분에 일정조건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전분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옻나무(Rhus Veniciflua Stokes)는 약 200여종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온대지방에 분포하고 일부는 아열대와 열대지방에서도 서식한다(Fermald,(Fernald M.I., Gray's manual of botany 8 th ed., American book Company, New York. p. 976-979, 1950). 옻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의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 베트남과 대만의 검양옻나무(Rhus succedanea) 및 미얀마 등지의 버마옻나무(Melanorrhoea usitate) 등이 대표적으로 자생하고 있고(Na et al., 1998), 특히, 국내에 서식하는 옻나무속 식물로는 옻나무(Rhus verniciflua),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 붉나무(Rhus Chinensis), 검양옻나무(Rhus succedanea) 및 산검양옻나무(Rhus sylvestris) 등이 있다(김삼식 et.al., 한국산 옻나무고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4, 151-165, 1995).
약용 또는 식용으로 이용되는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는 여성의 생리기 이상, 위장약, 구충제, 혈액순환 및 노화방지 등 약용으로 복용하였다(Hota et al ., 세계유용식물사전. 평범사. p. 910-912, 1989). 민간에서는 옻순주를 담아 먹기도 하고 옻닭에 이용하며, 옻 껍질이나 즙을 위장병과 숙취해소에 이용하였다(Kim et al., J. Kor . Plant . Res . 111(1), 40-46, 1998). 최근에는 옻나무 성 분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활성에 대해 보고되고 있으며(Jianhong Yang et.al., Carbohydrate Polymers 52 405-410, 2003) 특히 옻나무 성분이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Jianhong Yang et.al., Carbohydrate Polymers, Volume 59. p. 101-107, 2005).
이러한 옻 나무는 외부에서 상처를 받는 경우 유백색의 액체(정제옻과 구별하여 생 옻이라고 함)를 방출하는데, 이 액체 수지가 동물의 피부에 접촉되면 알러지를 유발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옻나무의 화학 성분에 대하여 담쟁이옻나무를 포함한 옻나무과 식물(Anacardiceae)의 수액에 존재하는 알러지 성분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보고되어 왔다(Yoshida, J. Chem . Soc ., 43: 472, 1883; Majima, et. al., Ber , 55: 172, 1992; Hill, et al., J. Am . Chem . Soc., 56; 2736, 1934; Symes and Dawson, J. Am . Chem . Soc ., 76: 2959, 1954; Sunthankar and Dawson, J. Am . Chem . Soc., 76; 5070 , 1954; Markiewitz and Dawzon, J. Org. Chem ., 30: 1610, 1965; Corbett and Billets, J. Org . Chem ., 30: 1610, 1965; Craig, et al., J. Pharm . Sci., 67: 483, 1978; Tyman, Chem . Soc . Rev ., 8: 499, 1979; Yamauchi, et al., J. Chromatography , 198: 49. 1980; Ma, et al., J. Chromatog ., 200: 163, 1980; Watson et al., J. Pharm , Sci ., 70: 785, 1981: ElSohly. et. al., J. Nat . Prod ., 45: 532, 1982; Adawadkar and Elsohly, Phytochemistry, 22: 180, 1983; Fourie and Snyckers, J. Natl . Pod ., 47: 1057, 1984: Oshima. et. al., J. Chem . Soc . Chem . Commun ., 10: 630, 1985). 또한, 한국산 옻나무를 이용하여 옻나무 수액에 존재하는 알러지 유도물질을 분석한 연구 (정대교 등, 농사시험연구논문집, 33: 675, 1990) 및 옻 성분을 높게 함유하는 식물체를 선발한 연구(현정오등, 한국임학회지, 82: 122, 1993)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처럼 옻나무의 다양한 약리생리적 활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양의 덩굴옻나무(poison ivy)(Taxicodendron radicans)와 같이 우루시올(urushiol)이 옻나무 수액의 주요성분으로 되어있어 사람들에게는 심한 옻오름현상(Kalish, R. S. J. Invest . Dermatol ., 90, 108-111, 1990)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옻나무는 도료나 약용자원으로써의 연구보다는 면역학적 연구나 피부염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Na, C.S. et.al., J. Kor . For . Soc ., 87(2), 260-269, 1998). 그럼에도 불구하고 옻나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약리 및 생리활성을 안전하게 식품화하기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옻나무 수액의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방법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David W. et.al., Contact Dermatitis, 29, 78-83, 1993; 및 Markiewity K.H. et.al., Org . Chem ., 30, 1610-1613, 1965).
우루시올은 칠액 중 70% 가량을 차지하는 주성분으로서, C15-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을 가지고 있는 3-치환된 카테콜들의 복합체이며 그 주성분은 이중 결합수가 3 개인 3-(8'Z, 11'E, 13'Z-펜타데카트리에닐)카테콜(3-(8'Z, 11'E, 13'Z- pentadecatrienyl)catechol)이다. 지금까지 C15 측쇄에 이중 결합수가 0, 1, 2 또는 3개인 3-치환된 알킬카테콜 13개 성분이 밝혀져 있고(Yumin Du et.al., J. of Chromatography, 284, 463-473, 1984), 우루시올은 이들 단량체(monomer)와 라케이즈에 의해 단량체가 자연 중합된 형태인 중합체(polymer)들이 혼합되어 있다(Yamauchi, Y et.al., J. of Chromatography , 214, 343-348, 1981; Yamauchi, Y et.al., J. of Chromatography , 243, 71-84, 1982; 및 Y. Du et.al., J. of Chromatography, 295, 179-186, 1984).
상기와 같은 알러지 유발물질인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방법에는 1. 열풍건조 및 용매추출공정에 의하여 제거하는 기술(특허공개 2002-0023439), 2. 오리나무를 첨가하는 기술(특허공개 2001-0035052), 3. 물추출 및 환류 장치에 의해 제거하는 기술(특허공개 2001-0070556), 4. 솔잎, 상백피, 공사인 등을 첨가하여 제거하는 기술(특허공개 1995-0023317), 5. 용매분획 기술을 이용한 방법(특허공개 2002-0002096), 6. 고온 열처리에 의한 제거기술(대한민국 특허10-0394089-0000), 7. 산소, 압력 및 온도 조절을 통한 제거기술(특허공개 10-2004-0027794) 등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알러지 유발성분을 제거하는데 처리조건이 상당히 가혹하거나 복잡하며 또한 첨가제를 이용한 기술은 중화방법이기 때문에 완벽한 무독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옻나무 수액으로부터 조우루시올을 분리하여 방사선을 조사한 결과, 알러지 유발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옻나무 수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옻나무 수액이 함유하고 있는 알러지 유발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옻나무 수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유발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옻나무 수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옻나무 수액이 함유하고 있는 알러지 유발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방법은 조우루시올(crude urushiol)을 온도 및 압력 등과 같은 물리적 파라메터의 조절과 첨가제를 이용한 중화방법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 없이 매우 간결한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만으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유발성분을 완전히 제거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발명과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특히, 본 발명은 처리 온도와는 관계가 없는 특징을 가지며, 처리시간 또한 짧아서 대량생산 및 산업화에 매우 큰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완성함으로써 천연도료, 특수 외장도료, 의약, 한의약 또는 식품 등과 같은 응용분야에 있어서 옻나무의 활용성이 상당히 증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옻나무 수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유발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옻나무 수액은 온대 지방, 아열대 또는 열대지방에서 서식하는 모든 종류의 옻나무로부터 채취가 가능하며, 옻나무 수피에 상처를 내어 수득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 방사선은 감마선, 전자선 또는 이온빔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감마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마선은 코발트(Co)-60, 크립톤(Kr)-85, 스트론튬(Sr)-90 및 세슘(Cs)-13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을 사용하여 조사할 수 있으며, 코발트(Co)-60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 방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감마선의 조사선량은 30 ~ 100 kGy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유발성분이 우루시올이라는 점에 기초하여 옻나무 수액으로부터 조우루시올을 분리하였고, 상기 조우루시올에 감마선을 조사함으로써 감마선에 의한 우루시올의 제거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조우루시올은 옻나무 수액으로부터 비극성 유기용매를 가하여 분리 및 농축 하는 방법을 통해서 수득이 가능하며 정제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로써 아세톤, 헥산 및/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취한 옻나무 수액을 아세톤(acetone)을 가한 후 원심분리하여 아세톤 분획물을 얻고, 이를 농축한 후 헥산(hexane)을 가하여 상등액을 취하여 농축하고, 이를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가하여 원심분리하여 여과한 후 농축하여 얻었다.
상기 "조우루시올"은 완전히 순수한 우루시올만을 분리한 것이 아니고 유기용매 분획물을 획득하는 것이어서 우루시올 이외의 것도 어느 정도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통상 70% 이상의 우루시올이 존재할 때 조우루시올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득된 조우루시올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한 후 선원 10만 Ci의 코발트-60 감마선 조사 시설을 이용하여 시간당 10 kGy의 선량율로 10, 20 및 30 kGy로 조사한 후 HPLC 및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조우루시올의 제거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루시올은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감마선의 선량을 0, 10, 20 및 30 kGy로 차례로 증가시켜 가했을 때, 점점 더 피크 수 및 존재량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감마선을 조사한 조우루시올에 대한 알러지 유발 시험에 대한 동물실험을 실시한 결과, 조사선량이 10, 20 kGy에서는 마우스가 각각 알러지 발병이 나타났지만 조사 처리되지 않은 비조사시료(0 kGy)보다 알러지 발병이 약하게 나타났으며, 조사선량이 30 kGy 처리된 조사시료에서는 우루시올이 완전 히 제거됨으로서 알러지 유발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옻나무 수액에 방사선 조사시 효과적으로 우루시올을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옻나무 수액에 대한 방사선의 조사선량은 옻나무 수액이 조우루시올 외에도 타성분과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30 ~ 100 kGy 범위에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옻나무 수액으로부터 분리한 조우루시올(crude urushiol)을 기타 온도 및 압력조절과 첨가물 처리와 건조 공정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 없이 방사선만 처리하는 공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유발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발명과는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처리 온도와는 관계가 없으며 기존의 공정들이 취한 25 ~ 100 ℃, 110 ~ 240 ℃등의 조건과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처리시간 또한 짧아서 1.5 시간 이내로 단시간에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옻나무 수액을 제공한다.
상기 옻나무 수액은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서 조우루시올을 제거했음을 HPLC 및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서 분석하였고, 실험동물에 투여한 결과 알러지 반응을 전혀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옻나무 수액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옻나무 수액으로부터 조우루시올(crude urushiol)의 분리
본 발명에서는 옻나무 수액으로부터 조우루시올(crude urushiol)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액여두를 이용하여 분리공정을 수행하였다. 2006년 10월에 경남 함양에서 채취된 옻나무 수액(500 g)에 3배(1.5 L)의 아세톤을 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방치한 후 4,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아세톤 분획물을 얻었다. 상기 아세톤 분획물을 농축한 후 헥산(hexane, 0.5 L)을 가한 용해물에 상등액을 취하여 농축한 후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0.5 L)을 가하여 상등액을 4,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여과한 후 농축하는 단계를 통해서 옻나무 수액으로부터 조우루시올(30 g)을 얻었다(도 1 참조).
< 실험예 1> 조우루시올(crude urushiol)의 방사선 조사
상기 <실시예>에서 분리한 조우루시올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 우루시올 존재량의 변화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우루시올(6 g)을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용매(6 L)에 용해시킨 후,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내에 비치되어 있는 선원 10만 Ci의 코발트(Cobalt)-60 감마선 조사 시설(Point source AECL, IR- 79, MDS Nordion International Co. Ltd., Ottawa, ON, Canada)을 이용하여 실온(14℃)에서 시간당 10 kGy의 선량율로 10, 20 및 30 kGy씩 각각 조사한 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및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도 2 및 3 참조).
<1-1> HPLC 분석
물질 분석에 사용된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는 Separations module(2690, Waters., Milford, MA, USA), Photodiode array detector(996, Waters), Millennium 32 chromatography manager(System Software, Workstation version 3.0, Waters), Hypersil GOLD C18, 4.6 × 250 mm, 입자 크기; 4 ㎛ column(Waters)을 사용하였다. 조우루시올은 아세토니트릴로 1 mg/ml 농도로 희석하여 막필터(membrane filter)(0.45 ㎛)로 여과한 후 HPLC 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우루시올 분석을 위한 HPLC 시스템은 이동상으로 0.1% 포름산(Formic acid) : 아세토니트릴(65:35)을 1 mL/min의 유속으로 사용하였으며, 주입 용량(injection volume)은 10 uL, 컬럼 온도는 40℃로 고정하여 254 nm에서 분석하였다.
<1-2>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물질의 분석에 사용된 GC-Mass는 Agilent 6890V 기체 크로마토그래피/5975 inent 질량분석검출기(mass selective detector)(Agilent Co., Palp Alto, CA, USA)로 분석하였다. 상기 HPLC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미세주사기(Microsyringe)를 이용하여 추출물 1 μL를 HP-5MS 컬럼(30 m length × 0.25 mm i. d. × 0.25 ㎛ 필름 두께(Agilent Co., Palo Alto, CA, USA)에 주입하였으며, 운반 기체는 He(0.7 mL/min)을 사용하였고 분할 모드(split mode)는 분할 비율(split ratio) = 20:1로 하였다. 오븐 온도는 50℃에서 5 분간 유지한 후 10 ℃/min으로 승온하여 250℃에서 15분간 유지하였다. 주입기(Injector) 및 탐지기(detector) 온도는 각각 200℃ 및 225℃로 하였다. 질량 분석 검출기(Mass selective detector)의 이온화 에너지는 70 eV, 스캐닝 질량 범위(scanning mass range)로 하였다. 성분확인은 GC-MS를 사용하여 각 성분의 질량 스펙트럼(mass spectrum)을 얻은 후 NIST & Wiley library search data system(Agilent Co., Palo Alto, CA, USA)에 의한 검색 및 문헌상의 질량 스펙트럼 데이타와 비교하여 우루시올 성분을 확인 및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우루시올의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감마선의 선량을 0, 10, 20 및 30 kGy로 차례로 가했을 때, 점점 더 피크 수 및 존재량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방사선 조사 시료의 알러지 유발시험
상기의 <실험예 1>에서 감마선을 조사한 조우루시올에 대한 알러지 유발 시 험에 대한 동물실험을 기니아 피그 최대화 테스트(Guinea Pig Maximization Test, GPMT)로 실시하였다(Wei Q. et. al., J. Occup . Health, 48, 480-486, 2006).
이 조사시료의 알러지 유발 저감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하틀리(Hartley)계 기니아 피그 수컷을 (주)샘타코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입하 시 220 g의 체중으로 1주간 순화시킨 후 체중이 270 ~ 310 g 사이의 개체를 사용하였다. 시험군은 감마선 조사물질 처치군(Ⅰ), 비조사물질 처치군(Ⅱ), 부형제 처치군(Ⅲ), 양성대조군(Ⅳ) 및 양성물질의 부형제 처치군(Ⅴ)의 5군으로 설정하였다. 사육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제 사육상자에 5마리씩 사육하고 온도 20 ~ 26 ℃, 습도 30 ~ 70%, 인공조명 12시간(오전 8 시 ~ 오후 8 시)으로 설정된 사육실에서 사육하였다. 사료는 기니아 피그용 고형사료를 급여하였으며, 물은 자유 급여하였다. 실험은 감작 I(피내투여),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SLS) 전처리, 감작Ⅱ(국소적용) 및 유발의 4 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표 1).
GPMT 실험법
군(Group) 유도(Induction) 유발
감작 Ⅰ및 SLS 전처리 감작 Ⅱ(국소적용)
FCA, U-30 kGy U-30 kGy +FCA U-30 kGy+SLS U-30 kGy
FCA, U-0 kGy, U-0 kGy+FCA U-0 kGy+SLS U-0 kGy
FCA, Saline, Saline+FCA Saline+SLS Saline
FCA, DNCB, DNCB+FCA DNCB+SLS DNCB
FCA, 40% Ethanol, 40% Ethanol+FCA 40% Ethanol+SLS 40% Ethanol
감작 I( 피내투여 ): 기니아 피그의 상배부를 4× 6 cm(가로×세로)의 크기로 제모하여 상부위에 대해 0.1 mL(0.05 mL 씩 좌우 2개소)씩 피내투여 하였다.
SLS 전처리: SLS 전처리는 감작 Ⅰ의 6일 후 Ⅰ내지 Ⅴ군의 동물을 대상으로 시험물질에 의한 감작을 증강하기 위해 동물의 상배부를 4× 6 cm의 크기로 제모하고 이 부위에 10 %(w/v) SLS 함유 백색 바세린 0.5 g을 도포한 다음 24 시간 후 SLS를 씻어내고 감작 Ⅱ를 실시하였다.
감작 Ⅱ(국소적용): 감작 Ⅰ으로부터 7일 후 미리 전날에 4× 6 cm의 크기로 제모한 상배부에, Ⅰ군은 감마선 조사한 조우루시올 물질을, Ⅱ군은 조우루시올 물질을, Ⅲ 군은 부형제인 염수(Saline)를, Ⅳ군은 양성 대조물질인 디니트로클로로벤젠(DNCB, Dinitrochlorobenzene)을, Ⅴ군은 양성물질의 부형제인 40 % 에탄올을 모두 0.5 ml 또는 0.5 g 흡착시킨 2× 4 cm(가로× 세로)의 여과지를 48시간 폐쇄 첨부하였다.
유발: 감작 Ⅱ 실시 후 2주 후 동물의 우측 복부를 5× 5 cm(가로× 세로)의 크기로 제모하고 Ⅰ, Ⅱ 및 Ⅳ군은 시험물질을 Ⅲ 및 Ⅴ군은 부형제인 염수(Saline) 및 DNCB를 각각 0.5 ml을 흡착시킨 2× 2 cm(가로× 세로)의 린트포로 24 시간 폐쇄 첨부하고, 좌측 측부에는 각각의 부형제 0.5 ml를 동일한 방법으로 처치하였다.
구체적인 시험 방법은 감마선으로 조사한 시료(30 kGy)를 기니아 피그 마우스 10마리에 대해 배 부위에 각각 도포한 다음 알러지 발생여부를 관찰하는 방법에 의하여 처리효과를 확인하였다(표 2 및 도 4 참조).
감마선 비조사 시료 및 조사 시료의 알러지 시험
종류 기니아 피그 마우스(마리) 알러지 유발률
10 0 %
10 100 %
10 100 %
10 100 %
10 0 %
그 결과 감마선의 조사선량이 10, 20 kGy에서는 기니아 피그 마우스 10 마리에 대해 각각 알러지 발병이 나타났지만 감마선이 처리되지 않은 비조사시료(0 kGy)보다 알러지 발병이 약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감마선의 조사선량이 30 kGy 처리된 조사시료에서는 우루시올이 완전히 제거됨으로서 알러지 유발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옻나무 수액으로부터 조우루시올(crude urushiol)을 분리하는 제조공정단계를 나타내는 도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알러지 유발성분인 조우루시올이 이온화 에너지(감마선)의 선량에 따라 제거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HPLC 크로마토그램이고:
A는 이온화 에너지의 선량이 0 kGy일 때;
B는 이온화 에너지의 선량이 10 kGy일 때;
C는 이온화 에너지의 선량이 20 kGy일 때; 및
D는 이온화 에너지의 선량이 30 kGy일 때,
도 3은 본 발명의 알러지 유발성분인 조우루시올이 이온화 에너지(감마선)의 선량에 따라 제거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기체 크로마토그램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화 에너지(감마선)를 조사한 조우루시올과 조사`하지 않은 조우루시올간의 알러지 유발 시험에 대한 기니아 피그 마우스의 동물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8)

  1. 옻나무 수액에 방사선을 30 ~ 100 kGy의 조사선량으로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유발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방사선은 감마선, 전자선 및 이온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선은 코발트(Co)-60, 크립톤(Kr)-85, 스트론튬(Sr)-90 및 세슘(Cs)-13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선은 코발트(Co)-60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70071139A 2007-07-16 2007-07-16 방사선을 이용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방법 KR100896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139A KR100896235B1 (ko) 2007-07-16 2007-07-16 방사선을 이용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139A KR100896235B1 (ko) 2007-07-16 2007-07-16 방사선을 이용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916A KR20090007916A (ko) 2009-01-21
KR100896235B1 true KR100896235B1 (ko) 2009-05-08

Family

ID=4048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139A KR100896235B1 (ko) 2007-07-16 2007-07-16 방사선을 이용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2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770A1 (ko) * 2010-05-19 2011-11-24 (주)에이지아이 옻나무의 알러지를 제거하는 방법
KR101265876B1 (ko) 2010-12-15 2013-05-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우루시올 저감화 처리된 옻, 이의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149B1 (ko) * 2010-12-15 2013-10-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우루시올 저감화 처리된 옻, 이의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227700B1 (ko) * 2012-02-07 2013-01-29 (주)에이지아이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33822B1 (ko) * 2018-09-13 2020-07-15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경화형 우루시올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층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489A (ko) * 1999-12-10 2001-07-04 김중배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KR20020064088A (ko) * 2001-01-31 2002-08-07 동의제약 주식회사 약재·식품의 광숙성 방법
KR100394089B1 (ko) * 2000-06-08 2003-08-06 (주)에이지아이 알러지 유발성분을 배제한 옻나무 추출물
KR100504160B1 (ko) * 2004-03-05 2005-07-27 (주)에이지아이 옻나무의 알러지 유발 특성을 제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489A (ko) * 1999-12-10 2001-07-04 김중배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KR100394089B1 (ko) * 2000-06-08 2003-08-06 (주)에이지아이 알러지 유발성분을 배제한 옻나무 추출물
KR20020064088A (ko) * 2001-01-31 2002-08-07 동의제약 주식회사 약재·식품의 광숙성 방법
KR100504160B1 (ko) * 2004-03-05 2005-07-27 (주)에이지아이 옻나무의 알러지 유발 특성을 제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5770A1 (ko) * 2010-05-19 2011-11-24 (주)에이지아이 옻나무의 알러지를 제거하는 방법
KR101265876B1 (ko) 2010-12-15 2013-05-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우루시올 저감화 처리된 옻, 이의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916A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48988B2 (en) Composition comprising wenguanguo extracts, methods for preparing same and uses thereof
KR100896235B1 (ko) 방사선을 이용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방법
AU200234898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Wenguanguo extracts, methods for preparing same and uses thereof
Amini et al. Hemolytic and cytotoxic effects of saponin like compounds isolated from Persian Gulf brittle star (Ophiocoma erinaceus)
US7618661B2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Rhus verniciflua extracts having excellent anti-cancer activity and anti-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N103641717B (zh) 一种从开花期向日葵花盘中提取分离绿原酸的方法
CN112326849B (zh) 一种用于东革阿里的减肥降脂特性研究的生物样品分析方法
Aliev et al. Composition of extract of the Juniperus oblonga M. Bieb. fruits obtained by supercritical CO 2 extraction
Safin et al. Water vacuum-oscillating extraction of chaga
CN1209155C (zh) 含降血糖活性成分的苦瓜制品的制备方法
KR102183670B1 (ko) 모링가를 이용한 알콜성 지방간 완화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N108125929B (zh) 一种12c6+离子束辐照制备牛至精油微胶囊的方法
Zhou et al. Active constituents of Litsea cubeba
CN106929555B (zh) 一种海参酶解-醇提取组分的制备方法及其制备得到的醇提取组分和应用
Prakash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GC-MS Analysis of Methanolic Root Extract of Decalepis Hamiltonii Wight & Arn.
Aziz et al. Analysis of fatty acid and determination of total protein, alkaloid, saponin, flavonoid of Bangladeshi Bombax ceiba Linn leaves and seeds
Kumar et al. Preliminary Phytochemical Evaluation, Isolation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Constituents in the Dried Extracts of the Whole Plant Crotalaria Biflora (L).(2020)
El-Youbi et al. In vitro immunomodulation effects of the aqueous and protein extracts of Berberis hispanica Boiss and Reut.(Family Berberidaceae)
CN109771454A (zh) 桦树茸提取物在制备治疗和/或预防高脂饮食致肝损伤相关疾病的制剂中的用途
CN108210540A (zh) 红花水提取物在制备抗辐射药物中的应用
CN114634539B (zh) 一种从山莨菪分离制备香豆素类化合物的方法
RU2146937C1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суммы действующих веществ, обладающих тонизирующим и стимулирующим действием
Mbiri et al. Research Article Terminalia brownii Fresen: Stem Bark Dichloromethane Extract Alleviates Pyrogallol-Induced Suppression of Innate Immune Responses in Swiss Albino Mice
RU2276157C2 (ru) Полисахарид с иммуностимулирующей активностью,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Chukwu et al. LC-MS, GC-MS and Hematological Profile of Mucuna pruriens Extracts in Alloxan Induced Diabetic Albino R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