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700B1 -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700B1
KR101227700B1 KR1020120012399A KR20120012399A KR101227700B1 KR 101227700 B1 KR101227700 B1 KR 101227700B1 KR 1020120012399 A KR1020120012399 A KR 1020120012399A KR 20120012399 A KR20120012399 A KR 20120012399A KR 101227700 B1 KR101227700 B1 KR 101227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extract
urushiol
present
ultraviolet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617A (ko
Inventor
최원철
박상재
권성필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주)에이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지아이 filed Critical (주)에이지아이
Priority to KR102012001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7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n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나무의 알러지 유발특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옻나무 추출물, 증류액, 칠액 등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에 의하여 알러지 유발특성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주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매우 강한 알러지를 유발하는 칠액을 1~3, 옻나무를 1의 비로 하여 얻어진 추출액으로서 우루시올의 함량이 불검출인 옻나무 추출물로서 매우 뛰어난 항암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추출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The preparation methof of anticanc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 시 알러지를 유발하는 알러젠을 제거하여 항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옻나무는 알러지를 유발하는 특성이 있어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제거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알러지를 제거하는 방법은 산소를 이용하는 방법, 발효를 이용하는 방법, 고온 고압의 열처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한국특허 공개 10-2009-0048421 호에서는 알칼리수를 첨가하는 방법에 의한 옻나무의 알러지를 제거하는 방법을 게시하고 있고, 한국특허 공개 10-2007-0112915 호에는 라케이즈를 이용한 옻나무 추출물의 알러지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 10-0896235 호에서는 옻나무 수액에 방사선으로서 감마선, 전자선, 이온빔으로 방사하여 얻어지는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유발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 10-0504160 호에는 옻나무 추출물에 순수산소를 가하는 방법에 의하여 알러지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공정은 번거로우며, 고온 및 고압으로 인한 추출물의 변질의 가능성, 제조 공정상 위험성 등이 있어 보다 용이한 공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특허 공개 10-2009-0048421 한국특허 공개 10-2007-0112915 한국특허 10-0896235 한국특허 10-0504160
현재까지 발표된 알러지를 제거하는 것에 관한 비특허문헌 자료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옻나무의 추출물에서 알러지를 유발하는 성질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고 안전하게 옻나무의 알러지 유발특성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옻나무를 추출하는 과정 또는 농축하는 과정에서 파장이 100~400nm에 해당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옻나무의 알러지 유발 특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옻나무 추출물, 증류액 또는 수액에 파장이 100~400nm에 해당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옻나무의 알러지 유발 특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옻나무를 추출하는 과정 또는 농축하는 과정에서 파장이 100~400nm에 해당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옻나무의 알러지 유발 특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옻나무 추출물, 증류액 또는 수액에 파장이 100~400nm에 해당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옻나무의 알러지 유발 특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물, 증류액 또는 수액을 대상으로 하여 알러지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하기 화학 구조식의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옻나무에 물을 가하고 추출하는 과정 또는 농축하는 과정에서 또는 옻나무 추출물, 증류액 또는 수액을 파장이 100~400nm에 해당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에 의하여 알러지 유발특성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12009968920-pat00001
원료로서는 알러지를 유발하는 우루시올을 함유하고 있는 옻나무, 칠액 등을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쇄한 다음 여기에 추출 용매로서 5~20배수의 물 또는 에탄올을 가하고, 가온하여 추출하게 된다.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라 본 발명의 자외선 조사방법의 효과가 달라지지는 않는다. 추출과정에서 추출조 내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에 의하여 얻어진 옻나무 추출물은 알러지 유발특성이 완전히 제거되게 된다. 자외선을 방출하는 램프는 추출액에 잠기게 하거나, 또는 추출액의 상부에 부착하여 조사하는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자외선은 파장이 100~400nm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가시광선의 영역보다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햇빛에도 자외선 A 및 자외선 B의 양이 지역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나 대개 4~6%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 A의 양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자외선의 광원으로 햇빛을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가시광선을 여과하는 필터를 사용한다면 더 용이하게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조사가능하다. 자외선을 조사하는 시간은 우루시올의 농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짧게는 10분에서 길게는 10시간 까지도 가능하다. 특히, 햇빛을 이용하는 경우 5~20시간 정도의 장시간에 걸친 조사시간이 필요하다. 자외선은 파장이 320~400nm에 해당하는 것을 UV-A라고 하고, 280~320nm에 해당하는 것을 UV-B라고 하고, 100~280nm에 해당하는 것을 UV-C로 구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자외선이 모두 적용 가능하나, 특히 UV-C에 해당하는 것이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알러지 유발특성을 제거하는 효과가 뛰어났다. 그러나 이들 자외선은 모두 본 발명의 알러지 유발특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적용가능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하는 시간은 단지 10분의 조사에 의해서도 미량의 알러젠은 제거가 가능하였으며, 칠액과 같은 고농도의 우루시올을 함유한 경우 1시간 이상 장시간의 조사에 의해 우루시올의 제거가 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옻나무 추출물은 한국특허 10-0504160에 기재된 알러지 제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옻나무 추출물과 비교할 때 원료를 동일하게 할 경우 항암효능, 항산화 효능, 진통효능 등 효능면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고농도의 우루시올을 함유한 칠액을 다량으로 첨가하고 추출하는 경우에도 적용하여 완벽하게 알러지를 제거할 수 있어, 칠액 : 옻나무의 비가 무게비가 1~3 : 1인 경우에도 적용하여 옻나무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칠액의 농도가 높을 경우 칠액에 함유된 다량의 우루시올이 항충,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어 발효 등의 방법에 의하여 우루시올을 제거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우루시올의 농도가 아무리 높아도 용이하게 적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기능성 추출물 및 조성물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로서 상술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참옻나무를 절단한 다음 분쇄하여 칩상으로 만들고 1 kg을 준비하고 여기에 물을 10L 가하고, 가온하여 추출하였다. 동시에 추출 상부에 280nm부근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주었다. 추출 시간은 5시간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우루시올의 함량을 추적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은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9.1L를 얻었으며 농축 후 건조하여 추출물로서 45g을 얻었고, 이를 대상으로 알러지 유발물질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1에 보였다. 알러젠으로 알려진 우루시올의 함량은 식품공전에 기재된 우루시올 분석법에 의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추출액 중의 우루시올의 함량(ppm)
1시간 2시간 3시간 5시간
자외선 조사없는
대조군
170 260 400 700
자외선 조사한
본 발명의 군
1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상기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추출물의 제조과정에서 추출된 우루시올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참옻나무를 상기 실시예1과 같이 준비하고 자외선의 조사 없이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얻고 이를 1/3의 양이 되도록 농축하여 약 3리터의 농축액을 얻었다. 이를 상온에서 자외선을 방사하는 램프하에서 시간별로 처리하면서 우루시올의 제거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농축액에서의 알러지 유발특성의 제거효과
0분(처리 전) 20분 40분 60분 80분
농축액 중의 우루시올의 농도(ppm) 1,690 15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상기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외선 조사법은 다량의 우루시올을 함유하는 옻나무 추출물에 있어 알러지 유발특성을 완벽하게 제거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칠액에서의 알러지 유발특성 제거
참옻나무에서 얻어진 수액을 이용한 알러지 유발특성 제거 실험결과이다.
참옻나무 수액 1리터에 물 10리터를 가하고, 실온에서 믹서로 저어주면서 동시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장착하여 수액 속에 담그고, 이를 시간 경과에 따른 우루시올 함량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칠액에서의 알러지 유발특성 제거 결과
0분(처리 전) 1시간 3시간 5시간
칠액 중의 우루시올의 농도(%,w/w) 19.5 0.1 불검출 불검출
상기 표 3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자외선 방사법은 옻나무 수액에서 알러지를 유발하는 알러젠을 완벽하게 제거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9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하고 건조하여 진갈색의 분말 25g을 얻었다.
실시예 4. 파장에 따른 우루시올 제거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5ml 취하여 각각 1ml씩 나눈 다음, 이를 자외선의 파장별로 구분하여 조사하면서 우루시올 제거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자외선의 파장에 따른 우루시올의 제거효과
파장 0.5시간 1.5시간 3시간 5시간
200nm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250nm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300nm 230 100 20 불검출
350nm 357 190 95 30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인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에 의하여 알러지를 유발하는 성질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칠액을 첨가한 옻나무 추출물의 제조
칠액 150g에 칩상의 건조된 참옻나무 100g을 혼합하고 여기에 물을 3L 가한 다음, 95℃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2.83L 얻고 이를 농축하여 최종부피가 120ml이 되도록 하였다. 여기에 파장 220nm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램프를 장착한 챔버에서 1시간 동안 조사하면서 혼합하여 주었다. 이를 동결건조하여 갈색 분말상의 추출물을 17g 얻었다. 이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옻나무 단독 추출물과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칠액 단독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암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5에 보였다. 암세포는 RPMI-1640배지에 10% FBS를 첨가하여 37℃에서 이산화탄소 5% 하에서 배양하였고, 암세포 성장 억제율은 Commassie Blue 염색액을 이용하여 염색하고, Haemacytometer로 Counting 하였다.
항암효과의 비교 - 암세포 성장 억제율(%)
암의 종류 균주명 옻나무 단독추출물 칠액추출물 실시예5의 추출물
(칠액+옻나무)
결장암 WiDr 45 50 71
간암 HEPG2 39 45 77
자궁암 HeLa 42 59 85
위암 SNU-5 71 61 92
직장암 SNU-1033 61 60 88
폐암 Calu-3 63 55 82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추출물은 매우 뛰어난 항암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 5의 칠액과 옻나무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은 가장 뛰어난 항암효과를 보였다. 칠액은 매우 강한 산성을 띄며 이로 인하여 칠액과 옻나무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경우, 칠액과 혼합된 물이 강한 산성상태의 추출용매로 작용하게 되어 얻어지는 추출물의 조성이 현저하게 달라지게 하는 효과를 주게 되며 그 결과 얻어진 혼합추출물이 가장 뛰어난 항암효과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얻어진 추출물의 pH를 측정한 결과 옻나무 추출물의 경우 5.3, 칠액 추출물의 경우 3.5, 칠액 + 옻나무 추출물의 경우 4.6으로 나타나 칠액으로 인한 pH저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시예의 조성물은 다양한 약리효과를 위하여 통상적인 제약공정에서 사용되는 부형제 및 첨가물과 혼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알러지를 유발하는 옻나무 추출물 또는 칠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온건한 조건에서 간단하게 알러지 유발특성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약리적 효능이 뛰어난 옻나무를 알러지 유발 없이 식품, 약제 등으로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국민의 건강증진 및 제품화를 통한 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3)

  1. 칠액과 옻나무를 무게비로 1~3:1로 하여 열수 추출하고 파장이 100~400nm에 해당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파장이 100~280nm에 해당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KR1020120012399A 2012-02-07 2012-02-07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27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399A KR101227700B1 (ko) 2012-02-07 2012-02-07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399A KR101227700B1 (ko) 2012-02-07 2012-02-07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963A Division KR101181408B1 (ko) 2010-05-19 2010-05-19 옻나무의 알러지를 제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617A KR20120069617A (ko) 2012-06-28
KR101227700B1 true KR101227700B1 (ko) 2013-01-29

Family

ID=4668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399A KR101227700B1 (ko) 2012-02-07 2012-02-07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7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16A (ko) * 2007-07-16 2009-01-21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16A (ko) * 2007-07-16 2009-01-21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옻나무 수액의 알러지 제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암한의학회지, 14(1), 2009, pp.13-20 *
대한암한의학회지, 14(1), 2009, pp.13-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617A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bir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Linalool
JP2013056868A (ja) 生理活性液状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59239B1 (ko)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신규의 천연물 항암제
KR101181408B1 (ko) 옻나무의 알러지를 제거하는 방법
KR101227700B1 (ko) 항암 조성물의 제조방법
Pourali et al.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quantification of the total phenol of grape pomace
Chen et al. Protection of the extracts of Lentinus edodes mycelia against carbon-tetrachloride-induced hepatic injury in rats
RU2533446C2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физической выносливости организма в условиях ультрафиолетового облучения
KR101892617B1 (ko) 저온 추출 공법을 통해 유용한 폴리페놀 성분을 유지하며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Safin et al. Effect of growth conditions on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chaga mushroom
Sham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raquinones extracted from Morinda citrifolia L.(Rubiaceae)
KR101736194B1 (ko) 시안화합물의 저감 또는 제거방법
Ami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gold nanoparticles using fruit extract of Crescentia cujete L
GR1009173B (el) Εγχυμα μιγματος ειδων του φυτου σιδεριτη για τοπικη δερματικη και αλλες χρησεις και μεθοδος παραγωγης του
KR101265876B1 (ko) 우루시올 저감화 처리된 옻, 이의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800432B1 (ko) 항산화 활성이 있는 나문재 추출물
JP2009209050A (ja) 幹細胞増殖因子mRNA発現上昇抑制剤及び塩基性線維芽細胞増殖因子mRNA発現上昇抑制剤
CN104387266B (zh) 一种制备秸秆活性酚酸的方法
KR20200035751A (ko) 곤드레추출물을 함유하는 레토르트형 누룽지
KR20200016101A (ko) 에틸 락테이트를 이용한 천연물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413699B1 (ko) 아세토제닌 성분이 분리된 포포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항염증 활성을 가진 분리물의 제조방법
Sysoeva et al.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queous and ethanolic extracts from chaga (Inonotus obliquus)
CN115531413A (zh) 一种靶向治疗甲状腺癌的药物及其制备方法
JP6343367B1 (ja) 生成メラニン消去用ミネラルの製造方法
Shubha et al.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alcoholic extract of Solanum xanthocarpum Sch. and wend and Picrorhiza kurroa royal Ex Ben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