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273B1 -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273B1
KR101203273B1 KR1020100026211A KR20100026211A KR101203273B1 KR 101203273 B1 KR101203273 B1 KR 101203273B1 KR 1020100026211 A KR1020100026211 A KR 1020100026211A KR 20100026211 A KR20100026211 A KR 20100026211A KR 101203273 B1 KR101203273 B1 KR 101203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lotion
extract
cream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054A (ko
Inventor
김상찬
이종록
박숙자
박찬익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27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Porphyra ten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은 여드름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항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orphyra tenera showing anti-bacterial activities}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이용태. 해양 유래 한약재의 문헌적 고찰-동의보감을 중심으로. 동의한의연. 2003 ; 7 : 9-14.
[문헌 2] 김대근, 김만배, 김훈, 박진한, 임종필, 홍승헌. 본초생약학. 서울 : 신일상사. 2005 : 336-7.
[문헌 3]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본초학. 서울 : 영림사. 1992 ; 471-4, 511-4.
[문헌 4] 장기완, 김환규, 조철호.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추출물의 Streptococcus mutans와 S. sobrinus strains에 대한 항세균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7 ; 21(2) : pp.379-88.
[문헌 5] 배송자. 모자반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항발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4 ; 33(3) : pp.480-6.
[문헌 6] 조영자, 방미애.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서 다시마 추출물 첨가식이의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 한국영양학회지. 2004 ; 37(1) : pp.5-14.
[문헌 7] 김형우, 강재승, 김수인, 이왕재. 다시마 분말이 Streptozotocin(STZ)으로 유발된 당뇨 쥐의 혈당과 체중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 2006 ; 30(6) : pp.459-65.
[문헌 8] 조희숙, 박복희, 김경희, 김현아. 다시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6 ; 21(5) : pp.541-9.
[문헌 9] 김지회, 임치원, 박희연, 이두석, 박정흠. 충치균(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다시마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수산과학회지. 2002 ; 35(2) : pp.191-5.
[문헌 10] 이수정, 정미자, 신정혜, 성낙주. 천연식물성분이 아질산염 소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0 ; 15(2) : pp.88-94.
[문헌 11] 이수정, 신정혜, 정미자, 성낙주. 천연식물성분이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00 ; 15(2) : pp.95-100.
[문헌 12] 한희선, 배송자, 김미향. 김 추출물이 갱년기 유도 흰쥐의 collagen가교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4 ; 22(2) : pp.324-30.
[문헌 13] 정복미, 신태선, 김형락, 정규진, 김선봉. 고지혈증 흰쥐의 혈청 및 조직의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함량에 미치는 김(Porphyra yezoensis) 유래 porphyran의 영향. 한국수산과학회지 . 2003 ; 36(3) : pp.220-4.
[문헌 14] 김현옥, 이영숙. 한국 고등학생에서 청소년기 여드름의 역학 및 여드름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2009 ; 15(2) : pp.399-407.
[문헌 15] 기호균, 윤숙정, 이지범, 김성진, 이승철, 원영호. 여드름 환자에서 세균배양과 항생제 감수성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2005 ; 43 : pp.871-5.
[문헌 16] Eady EA. Bacterial resistance in acne. Dermatology . 1998 ; 196 : pp.59-66.
[문헌 17] 오창경, 오명철, 김성홍, 임상빈, 김수현. 미역과 다시마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균효과. 한국수산과학회지. 1998 ; 31(1) : pp.90-4.
[문헌 18] 이학성, 서정호, 서근학. 해조류 추출물로부터 항균제의 제조 및 항균효과. 한국수산과학회지 . 2000 ; 33(1) : pp.32-7.
[문헌 19] 강제원. 한국동식물도감(해조류). 서울 ; 삼화출판사. 1968 : pp.155-7.
한약은 육상, 해양 유래 동식물 및 광물등을 소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중 해양유래 한약재는 중약대사전(中藥大事典)에 134종, 중국약용해양생물(中國藥用海洋生物)에 275종, 중국해양약물사전(中國海洋藥物事典)에는 1600종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에서는 해양생물을 이용하여 174종의 약물을 개발하여 질병의 치료에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용태. 해양 유래 한약재의 문헌적 고찰-동의보감을 중심으로. 동의한의연. 2003 ; 7 : 9-14.).
우리나라에서는 동의보감에 해달(海獺), 공어, 석결명(石決明), 모려(牡蠣), 담채(淡菜) 등 50여종의 해양유래 한약물이 기록되어 있으나, 이러한 해양유래 한약물에 대한 연구는 특정약재에 편중되어 있거나, 종류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이러한 까닭에 본 연구에서는 모려(牡蠣), 석결명(石決明), 해조(海藻), 곤포(昆布), 해태(海苔) 등의 해양 유래 약물들의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석결명(石決明)은 평간잠양(平肝潛陽), 청간명목(淸肝明目)의 효능으로 녹내장, 백내장과 같은 안질환(眼疾患)이나 간화(肝火)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었으며 (김대근, 김만배, 김훈, 박진한, 임종필, 홍승헌. 본초생약학. 서울 : 신일상사. 2005 : 336-7).
모려(牡蠣)는 평간잠양(平肝潛陽), 연견산결(軟堅散結), 수렴고삽(收斂固澁)하는 효능으로 경계(驚悸), 실면(失眠), 현훈(眩暈), 이명(耳鳴), 라력결핵, 징가비괴(徵痂痂塊), 자한도한(自汗盜汗), 유정붕대(遺精崩帶), 위통범산(胃痛泛酸) 등을 치료한다.
곤포(昆布)와 해조(海藻)는 연견산결(軟堅散結), 소담(消痰), 이수(利水)하는 효능으로 영류(瓔瘤), 라력, 고환종통(睾丸腫痛), 담음수종(痰飮水腫) 등을 치료한다.
해태(海苔)라고 불리우는 김은 홍조식물 보라털과의 해조로서 해의(海衣), 청태(靑苔), 감태(甘苔)라고도 불리며 바다의 암초에 이끼처럼 붙어 자란다(강제원. 한국동식물도감(해조류). 서울 ; 삼화출판사. 1968 : pp.155-7.). 김은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미용식으로도 인기가 높으며, 생리활성은 아질산염소거효과(이수정, 정미자, 신정혜, 성낙주. 천연식물성분이 아질산염 소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0 ; 15(2) : pp.88-94.), 콜라겐(collagen)합성 및 성숙가교인 피리디놀린(pyridinoline)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효과(한희선, 배송자, 김미향. 김 추출물이 갱년기 유도 흰쥐의 collagen가교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4 ; 22(2) : pp.324-30.) 등이 보고되었고, 발암성을 나타내는 엔-니트로소디메틸아민(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억제 작용(이수정, 신정혜, 정미자, 성낙주. 천연식물성분이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 김에서 분리한 포피란(porphyran)이 고지혈증 쥐에게서 칼슘, 마그네슘, 칼륨의 조절효과 등이 연구되었으며 (정복미, 신태선, 김형락, 정규진, 김선봉. 고지혈증 흰쥐의 혈청 및 조직의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함량에 미치는 김(Porphyra yezoensis) 유래 porphyran의 영향. 한국수산과학회지 . 2003 ; 36(3) : pp.220-4.), 치질, 곽란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이용태. 해양 유래 한약재의 문헌적 고찰-동의보감을 중심으로. 동의한의연. 2003 ; 7 : 9-14;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본초학. 서울 : 영림사. 1992 ; 471-4, 511-4).
해양 유래 한약재들에 대한 연구는 육상에서 재배되는 약재들에 비해 생리활성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으나, 모자반의 항균작용(장기완, 김환규, 조철호.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추출물의 Streptococcus mutans와 S. sobrinus strains에 대한 항세균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7 ; 21(2) : pp.379-88.) 및 항암작용(배송자. 모자반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항발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4 ; 33(3) : pp.480-6.), 다시마의 당뇨 예방효과(조영자, 방미애.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서 다시마 추출물 첨가식이의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 한국영양학회지. 2004 ; 37(1) : pp.5-14.; 김형우, 강재승, 김수인, 이왕재. 다시마 분말이 Streptozotocin(STZ)으로 유발된 당뇨 쥐의 혈당과 체중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 2006 ; 30(6) : pp.459-65.), 항산화 효과(조희숙, 박복희, 김경희, 김현아. 다시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6 ; 21(5) : pp.541-9.), 항균활성(김지회, 임치원, 박희연, 이두석, 박정흠. 충치균(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다시마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수산과학회지. 2002 ; 35(2) : pp.191-5.)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하지만 발표된 약리 효과 이외에도 해양 유래 천연제제의 생리활성은 더욱 다양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근래의 웰빙 열풍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외모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화장품 및 피부 질환 관련 약품 제제로서 해양 천연물의 생리활성을 연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외모에 민감한 사춘기에 발생하는 여드름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젊은 성인연령에서도 외모적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김현옥, 이영숙. 한국 고등학생에서 청소년기 여드름의 역학 및 여드름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2009 ; 15(2) : pp.399-407.). 여드름은 성호르몬의 분비 증가에 따른 피지의 과도한 생성으로 발생하는 염증질환이며,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는 지방분해효소(lipase)를 분비하여 피지를 유리 지방산으로 지질분해하고 모낭벽을 자극하여 모낭 및 그 주위에 여드름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기호균, 윤숙정, 이지범, 김성진, 이승철, 원영호. 여드름 환자에서 세균배양과 항생제 감수성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과학회지. 2005 ; 43 : pp.871-5.).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 )의 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화학적 합성 항생제가 여드름 치료제로 처방이 되고 있으나 내성과 같은 다양한 부작용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Eady EA. Bacterial resistance in acne. Dermatology . 1998 ; 196 : pp.59-66. ). 항생제의 부작용을 줄이려는 측면에서 천연물은 주요한 대체 제제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진행된 해양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한약재로 사용되어 모려, 석결명, 해조, 곤포, 해태를 열수와 에탄올로 추출하고 각 추출물의 P. acnes 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여 천연 여드름 치료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김은 자연산 및 양식산 김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양식산 김 또는 참김(Porphyra tenera) 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추출방법으로 수득가능한데, 이하에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건조한 김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100배(v/w),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20배(v/w)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 에탄올을 가하여 3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3시간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추출, 가열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법 또는 환류냉각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그 여과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김 추출물의 항균 활성 효과가 탁월하여 항균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의 항균 효과를 위한 화장품, 세안제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들어, 각종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L-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왕겨초 증류액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디스크 확산법 (disk diffusion test) 및 액체배지희석법 (broth dilutio test)을 수행한 결과, 본 추출물이 여드름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항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혐기성 조건에서의 여드름균에 대한 생육저해환을 나타낸 도이다 (A:KCTC3320, B:KCTC5527).
이하, 본 발명을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 추출물의 제조
해양 한약재 5종 모려(Ostreae Concha)와 석결명(Maliotidis Concha)은 대원약업사(대구, 한국)에서 구입하였고, 해조(모자반; Sargassum), 곤포(Laminariae Thallus), 해태(김; Porphyra tenera)는 대구시내 칠성시장(한국)에서 구입하여 관능평가 후, 수도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음건하였다.
1-1. 물 추출물의 제조
각각의 5종 시료의 200 g에 10배(v/w)의 열수를 가하여 3시간 동안 전탕하여 추출하였다. 각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2)로 여과한 후 60± 2℃에서 회전 감압농축기(EYELA, Tokyo, Japan)로 감압농축하고 초저온냉동고(Nihon freezer, Japan)에서 동결한 후에 냉동건조기(freezer dryer; Labconco, MO, USA)로 동결건조하여 최종 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각각의 시료(모려, 석결명, 해조, 곤포, 해태)의 열수 추출물 수율은 각각 0.34%, 0.19%, 8.59%, 11.89%, 2.99%이었고, 실험에 사용할 때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1-2.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각각의 5종 시료 200 g에 10배(v/w)의 에탄올(99%이상)을 가하여 72시간 동안 침지하여 준비하였다. 각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2)로 여과한 후 60± 2℃에서 회전 감압농축기(EYELA, Tokyo, Japan)로 감압농축하고 초저온냉동고(Nihon freezer, Japan)에서 동결한 후에 냉동건조기(freezer dryer; Labconco, MO, USA)로 동결건조하여 최종 추출물을 얻었으며, 실험에 사용할 때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모려, 석결명, 해조, 곤포, 해태의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0.02%, 0.02%, 0.35%, 0.12%, 0.23%였다.
참고예1 . 실험균주 및 배양
2종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 acnes )(KCTC 3320, KCTC 5527)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아 Reinforced Clostridial 배지(RC medium, Difco, USA)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은 장기 보존을 위해 글리세롤(glycerol)과 3:7의 비율로 잘 혼합하여 -70℃에 보관하였다. 냉동고에 보관된 균주는 실험시작 3일 전에 활성화 시킨 후 RC 고체배지(agar plate)에 접종하여 5% 수소(H2)와 95% 질소(N2)가 공급되는 혐기성 배양기(Vision Scientific CO., LTD, Korea)에서 48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고예2 . 통계적 검정
처치군간의 유의성은 윈도우용 SPSS 17.0을 사용하여 one way analysis of varience (ANOVA),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ce, 최소유의차)방식으로 분석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실험예1 . 5종 한약재의 여드름균( P. acnes )에 대한 항균활성 평가
해양 한약재 5종이 여드름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 acnes )에 대해 가지는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해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을 1 ㎎/25 ㎕/disc 의 농도로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8 mm, Advantec, Toyo Roshi Kaisha, Co. Ltd., Japan) 위에 로딩(loading)하여 2종의 여드름균(KCTC3320, 5527)이 도말된 플레이트(plate) 위에 놓고 혐기배양기(5% H2, 95% N2)(Anaerobic system, Vision scientific Co. Ltd., Seoul, Korea)에서 48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전혀 항균활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김을 제외한 4종의 시료에서 미미한 항균활성이 확인되었고 김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여드름 활성이 관찰되었다 (표 1). 김 에탄올 추출물은 2종의 여드름균에서 생육저해환을 형성하였으며, 1.0 ㎎/25 ㎕/disc의 농도에서 11.5± 0.5 ㎜ (KCTC3320), 11.7± 0.3 ㎜ (KCTC5527)의 생육저해환을 형성하였다.
Diameter of clear zonea (㎜)
Extractant Water Ethanol
KCTC number 3320 5527 3320 5527
Ostreae Concha ?b ? ? 8.2± 0.3c
Maliotidis Concha ? ? ? 8.5± 0.5
Laminariae Thallus ? ? ? 8.8± 0.3
Sargassum ? ? ? 8.3± 0.3
Porphyra tenera ? ? 11.5± 0.5 11.7± 0.3
a Diameter of clear zone including disc diameter of 8.0 ㎜.
b Not active.
c Expressed as mean±SD (n=3).
실험예2 . 디스크 확산법( disk diffusion test )에 의한 생육저해환(clear zone)의 측정
2종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 ) 균주는 실험 시작 전에 RC 액체배지에서 24시간 동안 전 배양하여 108 CFU/㎖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디스크 확산법에 의한 생육저해환을 측정하기 위하여 RC 고체배지(agar plate) 위에 균을 도말하고 시료가 적셔진 디스크(disc)(8㎜, Advantec, Toyo Roshi Kaisha, Co. Ltd., Japan)를 올려 배양하였다. 즉, 45℃로 유지된 top agar 5 ㎖에 동일한 농도(108 CFU/㎖)로 준비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 균주 액을 1 ㎖씩 가하여 잘 혼합한 후, RC 고체배지(agar plate)에 도말하였다. 각 추출물은 1.0 ㎎/25 ㎕의 농도로 준비하여 8 ㎜ 직경의 종이 디스크(paper disc)위에 25 ㎕씩 올리고 대조구 (control) 디스크 (disc) 위에는 DMSO(dimethyl sulfoxide)(Sigma, MO, USA)를 25 ㎕ 적셨다. Top agar가 마른 후에 BHI 고체 배지(agar plate)(Difco, MI, USA) 위에 추출물이 적셔진 디스크 (disc)를 올리고 혐기적 조건(5% H2, 95% N2; 37℃)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 후에 생성된 생육저해환은 마이크로미터 (Mitutoyo, Kawasaki,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 )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지닌 약재는 선별하여 0.25, 0.5, 1.0 ㎎/25 ㎕의 농도로 준비하여 생육저해환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항균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력을 보인 김 에탄올 추출물을 0.5-1.5 ㎎/25 ㎕/disc의 농도로 준비하여 농도별 항균효능을 평가해 보았을 때,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저해환의 크기도 커졌으며, 1.5 ㎎에서 0.5, 1.0 ㎎과 비교하여 증가된 항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김 에탄올 추출물은 혐기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2종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 ) KCTC3320과 KCTC5527에 대하여 각각 0.5 ㎎/25 ㎕/disc의 농도에서 11.2± 0.3 ㎜와 11.8± 0.3 ㎜, 1.0 ㎎/25 ㎕/disc의 농도에서 11.5± 0.5 ㎜와 12.0± 0.5 ㎜, 1.5 ㎎/25 ㎕/disc의 농도에서 12.5± 0.5 ㎜와 13.2± 0.3 ㎜의 생육저해환을 형성하였다 (표 2).
KCTC number Diameter of clear zonea (㎜)
0.5 1.0 1.5 (㎎/25 ㎕/disc)
3320 11.2± 0.3b 11.5± 0.5 12.5± 0.5**,#
5527 11.8± 0.3 12.0± 0.5 13.2± 0.3**,##
실험예3 . 액체배지희석법(broth dilution test)에 의한 최소저해농도( MIC ) 측정
최소저해농도(MIC) 측정을 위해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 acnes ) 균주를 24시간 동안 전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은 분광광도계(TECAN, Crailsheim, Germany)를 사용하여 62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107 CFU/㎖의 농도로 준비하여 96웰 플레이트(96 well plate)에 200 ㎕씩 분주하였다. 시료 추출물은 최고농도를 500 ㎍/㎖으로 하여 2배씩 시리즈(series)로 희석(stepwise 2-fold dilution)하여 0.5 ㎍/㎖까지 희석하였다. 시료 추출물은 시험 균주가 접종된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혐기성배양조건(5% H2, 95% N2; 37℃)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 후에, 분광광도계로 62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 acnes)의 생육이 억제된 최저의 농도를 최소저해농도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김 에탄올 추출물을 처치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 acnes)균은 48시간 동안 혐기조건에서 배양하였고, 62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의 생육이 억제된 최저의 농도를 최소저해농도(MIC)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김 에탄올 추출물은 KCTC3320에 대하여 62.5 ㎍/㎖, KCTC5527에 대하여 31.25 ㎍/㎖의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내었다 (표 3).
KCTC number MIC (/)
3320 62.5a
5527 31.25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맛사지크림, 로션, 스킨로션, 에센스, 팩, 클렌징폼의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2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4 마이크로 스탈린 납 2.0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6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7 밀납 2.0
8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2.0
9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0
10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5.0
11 액상 리놀린 5.0
12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8.0
13 스쿠알란 8.0
14 농글리세린 5.0
15 1,3-부틸렌글리콜 5.0
16 알란토인 0.1
17 왕겨초 증류액(DWC-3) 10.0
18 향료 미량
19 황색4호 미량
20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맛사지크림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2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4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6 바셀린 3.5
7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3.5
8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8
9 유동 파라핀 35.0
10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3.0
11 옥틸도데칸올 5.0
12 스쿠알렌 2.0
13 농글리세린 5.0
14 왕겨초 증류액(DWC-3) 5.0
15 히아루로닉애씨드추출물 1.0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2 스테아린산 1.0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4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
5 바셀린 1.0
6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1.5
7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0
8 유동 파라핀 5.0
9 스쿠알렌 5.0
10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2 농글리세린 5.0
13 왕겨초 증류액(DWC-3) 15.0
14 트리에탄올아민 0.5
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글리세린 2.0
2 1,3-부틸렌글리콜 2.0
3 구연산 0.01
4 에탄올 15.0
5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6 왕겨초 증류액(DWC-3) 25.0
7 향료 미량
8 위치하젤추출물 1.0
9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농글리세린 15.0
2 1,3-부틸렌글리콜 5.0
3 알란토인 0.1
4 에탄올 7.0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6 트리에탄올아민 0.15
7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8 초산토코페롤 0.5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10 왕겨초 증류액(DWC-3) 30.0
11 향료 미량
12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폴리비닐알코올 15.0
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이스나트륨 0.3
3 농글리세린 3.0
4 알란토인 0.1
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1
6 폴리에틸렌글리콜 1.0
7 에탄올 6.0
8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9 타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5
10 디엘판테놀 0.1
11 폴리옥시에틸렌(12)노닐페닐에테르 0.5
12 왕겨초 증류액(DWC-3) 45.0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스테아린산 6.5
2 미리스틴산 28.0
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4 프로필렌 글리콜 5.0
5 농글리세린 10.0
6 수산화나트륨 7.0
7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1
8 태반 추출물 0.5
9 왕겨초 증류액(DWC-3) 15.0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Claims (5)

  1.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한국산 양식산 김 또는 참김 시료 중량의 1 내지 100배(v/w)의 60 내지 95% 에탄올 혼합용매를 가하여 50 내지 100℃에서 1시간 내지 3시간동안 초음파 추출법 또는 환류냉각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그 여과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 및 건조하는 제조공정으로 수득되는 한국산 양식산 김 또는 참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균 생장 억제용 항균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26211A 2010-03-24 2010-03-24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11A KR101203273B1 (ko) 2010-03-24 2010-03-24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11A KR101203273B1 (ko) 2010-03-24 2010-03-24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054A KR20110107054A (ko) 2011-09-30
KR101203273B1 true KR101203273B1 (ko) 2012-11-20

Family

ID=4495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211A KR101203273B1 (ko) 2010-03-24 2010-03-24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807B1 (ko) 2020-03-26 2021-05-28 오한선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8999A (ja) * 2001-11-14 2005-04-07 ラレナ アマノリ属紅藻の抽出物を含有する製品およびそれの細胞保護剤としての使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8999A (ja) * 2001-11-14 2005-04-07 ラレナ アマノリ属紅藻の抽出物を含有する製品およびそれの細胞保護剤としての使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807B1 (ko) 2020-03-26 2021-05-28 오한선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054A (ko) 201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225B1 (ko) 독일붓꽃, 병풀, 캐모마일, 달맞이꽃 및 어성초 추출물을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54463B1 (ko) 사초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5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42631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부제
KR10212130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243A (ko) 현호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디하이드로코리달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55261A (ko) 소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 개선 및치료용 조성물
KR20160105584A (ko) 꼬리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개선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03273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631A (ko)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21303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7130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작두콩 추출물의 정제방법
KR100773406B1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ch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101557788B1 (ko) 무당벌레 유충 유래 신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12097B1 (ko)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40080717A (ko) 방부 및 항균 활성을 갖는 키토산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14538B1 (ko) 바이오셀룰로오스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감소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7579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결건조 여성청결제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370418B1 (ko) 구기자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34670B1 (ko) 스쿠알렌 및 달팽이알 추출물이 함유된 임신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14465B1 (ko) 유근피, 백합, 반하, 백급 및 백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탄력 증진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