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631A -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631A
KR20150050631A KR1020130129261A KR20130129261A KR20150050631A KR 20150050631 A KR20150050631 A KR 20150050631A KR 1020130129261 A KR1020130129261 A KR 1020130129261A KR 20130129261 A KR20130129261 A KR 20130129261A KR 20150050631 A KR20150050631 A KR 2015005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nflammatory
composition
peptide derivative
copa3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삼
윤은영
남성희
안미영
이준하
김인우
권용남
안봉전
김현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3012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631A/ko
Publication of KR2015005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and Topical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ntaining Coprisin Peptide Derivative CopA}
본 발명은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은 생체나 조직에 물리적 작용이나 화학적 물질, 세균 감염 등의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 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이며, 염증 반응을 유발시키는 매개 물질로 활성산소(free radicals),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프로스타그란딘(prostaglandin) 등이 있다.
일단 자극이 가해지면 국소적으로 염증성 성분과 같은 혈관 활성 물질이 유리되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면서 염증을 유발하지만,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도리어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여러 질환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대식세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획득면역 등 다양한 숙주반응에 관여하여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반응 시에는 nitric oxide (NO)와 cytokine을 생산하여 감염초기에 생체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NO의 합성 효소는 eNOS, nNOS, iNOS가 있는데 이중 iNOS는 칼슘의 농도에 상관없이 대식세포에서 TNF-α, IL-1β, IFN-γ와 같은 염증성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LPS 처리시 다량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TNF-α는 염증과 면역반응의 중요한 매개물질이며, 다양한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세포에 독성을 일으키고, 혈관 형성, 골 흡수, 혈전 생성을 촉진하고 리포제네틱(lipogenetic) 대사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Aggarwal, B.B., Nat. Rev. Immunol. 3,745-756, 2003).
곤충은 동물군 중에서 가장 많은 생물군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180만종이 서식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만 1만 2천종이나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곤충은 생물 다양성이 매우 풍부하며, 환경에 따라서 이 곤충의 다양성이 결정되고 이에 관련된 여러 가지 곤충 유래의 생리활성 물질의 양과 질이 다양하게 변화된다.
최근에는 새로운 기능성을 갖는 약용곤충을 발견, 상용화, 사육화, 보급화 함으로써 농가의 수익을 보장하고 새로운 식의약품으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소똥구리류는 목초지에서 우분을 지하로 운반함으로써, 우분을 발생원으로 하는 파리의 발생 억제, 토양의 비옥화와 물리성 개선, 우분과 함께 배설된 가축내부기생충 방제 및 소똥구리가 활동한 토양에 식물체의 생장촉진 등의 효과가 있어 생태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경제 곤충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226호는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분리한 코프리신 펩티드 유도체 CopA3(HL)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위막성대장염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였고, 한국등록특허 제1184008호는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분리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를 개시한 바 있으나, 이들은 코프리신 펩타이드의 항진균 또는 항생효과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신규 용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가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와 같은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고,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상기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5~5 중량%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0.025~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상기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5~5 중량%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0.025~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피부 질환은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질환인 것이 특징이며, 특히 알러지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습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에 대한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NO(nitric oxide) 생성 저해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Nor : LPS 미처리 그룹, Con : LPS 처리 그룹).
도 3은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에서의 iNOS 및 COX-2의 단백질 발현 저해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A: iNOS, B: COX-2; Nor : LPS 미처리 그룹, Con : LPS 처리 그룹).
도 4는 LPS에 의하여 자극되어 생성되는 싸이토카인에 대한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생성 저해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A: TNF-α , B: IL-6, C: IL-1β; Nor : LPS 미처리 그룹, Con : LPS 처리 그룹).
본 발명에서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합성하고, 합성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가 포유류 정상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갖지 않으며, 항염증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를 대상으로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세포독성 평가 및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 생성 억제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갖지 않으며,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와 같은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상기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5~5 중량%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0.025~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0.005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 유도능이 떨어져 목적하는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5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과량으로 인해 유화 제품으로써의 안정성이 깨져 인체에 안전한 화장제품으로 사용하는 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통상의 펩타이드 합성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체내 방어기능, 신호전달 기능, 신경독성, 혈관 확장 등의 다양한 생리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3종류의 NOS (neuronal NO synthase (nNOS), endothelial NO synthase (eNOS), inducible NO synthase (iNOS))에 의해 합성된다. 이들 NOS중 iNOS에 의한 NO 생성이 절대적으로 많으며, 이는 병리적으로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LPS(lipopolysaccharide) 자극에 의해 발현된 iNOS는 많은 양의 NO를 생성하게 되며, 이에 의한 세포독성은 염증반응, 세포의 돌연변이 및 종양발생 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반응과 관련된 조직 손상에서 NO와 iNOS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는 평소에는 세포 내에 존재하지 않으나 일단 유도되면 장시간 동안 다량의 NO를 생성하며, 생성된 NO는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 반응을 촉진 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O의 생성에는 NO synthase (NOS)가 작용하게 되는데, constitutive NO synthase (cNOS)와 iNOS 중 자극에 유도된 iNOS의 경우 오랜 기간 동안 다량의 NO를 생성하고, 생성된 NO는 guanyl cyclase의 활성과 동시에 세포독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NO로 유도되어진 RAW 264.7 cell에서 iNOS의 protein level 의 감소를 확인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세포와 같은 macrophage 따른 monocyte에서 TNF-α, IL-6 와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인 COX-2의 protein level의 감소를 이끌어 냄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대식세포는 동물 체내 모든 조직에서 분포하는 면역세포로서 세균이나 이물질을 탐식 제거하는 과정에서 IL-1β, IL-6, TNF-α 등의 염증 매개 물질들을 분비하여 초기 염증 반응에 주요 역할을 담당 한다. 특히, TNF-α는 염증반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macrophage와 mast cell 등에서 분비되며, LPS 반응의 주요 매개체로서 내재면역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만성 염증서 반응과도 관련되어 있다. IL-1β는 T-cell의 활성화, B-cell의 성숙, NK cell의 활성을 활성화시키고, IL-6는 림프구를 활성화시켜 항체생산을 증가시키며, IL-6의 수치는 염증성 병변에서 항상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Delgado, A. V. et al., P. Neuro. 37, 355-361, 2003).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 등의 제형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상기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5~5 중량%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0.025~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0.005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 유도능이 떨어져 목적하는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워 피부외용제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5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과량으로 인해 인체에 안전한 피부외용제 제품으로 사용하는 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은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 질환인 것으로 그 중 알러지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습진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제형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 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 또는 피부외용제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 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 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합성 및 세포배양
1-1: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합성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L type)는 AnyGen(Gwang-ju, Korea)사에 의뢰하여 98% 이상의 순도로 합성하였고 0.01 % acetic acid에 녹여 사용하였다.
1-2: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 배양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입수처: 한국세포주은행)를 10% FBS(Fetal Bovine Serum)(invitrogen 社) 및 1% penicillin-streptomycin(invitrogen 社)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invitrogen 社)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실시예 2: 세포독성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에 대한 세포 독성 측정은 MT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를 5×104cells/ml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CopA3를 농도별 (5, 10, 25, 50, 100, 500 ㎍/ml)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Well당 20 ㎕의 MTT용액을 첨가한 다음 37℃, 5%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Beckman,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세포 생존율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CopA3 100㎍/ml의 농도까지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500 ㎍/ml의 농도에서는 세포의 생존율이 95%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opA3는 100 ㎍/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낮아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CopA3의 항염증 효과가 단순한 세포의 사멸에 의한 세포 염증성 매개물질의 생성억제가 아니라 CopA3의 고유한 효과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초기-염증성 인자의 생성 및 발현 억제 유도능 평가
3-1: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저해 평가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를 5×105cells/ml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시켰다. 배양 후, Raw 264.7 세포에 1 ㎍/ml의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고, 1시간 뒤에 농도별 (5, 10, 25, 50, 100㎍/ml)로 CopA3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배양액의 상층액과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Sigma 社)을 동량으로 반응 시킨 후, ELISA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산화질소 생성율을 백분율로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로부터,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 후, 산화질소의 생성량은 정상세포(Nor)에 비하여 약 4배 이상 증가되었으며, CopA3 50 ㎍/ml의 농도에서는 양성 대조군(con)에 비하여 35% 이상의 감소율을 나타내었으며, 100 ㎍/ml의 농도에서는 80% 이상의 산화질소 생성 저해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2: iNOS 및 COX-2의 발현 저해 유도능 평가
CopA3에 의한 NO 생성 저해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발현을 측정하였다.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를 5×105cells/ml 농도로 100mm cell culture dish에 분주하고,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시켰다. 배양 후, Raw 264.7 세포에 1 ㎍/ml의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고, 1시간 뒤에 농도별 (5, 25, 50, 100 ㎍/ml)로 CopA3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2회 세척하고,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상등액을 Bradford assay로 단백질 농도를 정량 한 후, 10% SDS-PAGE를 시행하고, 전개된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전이(transfer)시켰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5% 탈지유(skim milk)로 1시간 동안 세포막을 차단(blocking)시켰다.
발현 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항-마우스 iNOS (1: 1000) (BD bioscienc)를, COX-2의 발현 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항-토끼 COX-2 (1: 1000) (cayman)을 TBST 용액에서 희석하여 4˚C에서 하룻밤(over night) 반응시킨 후, TBST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2차 항체로는 HRP (Horse 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항-토끼 IgG (Santa cruz)를 1: 1000으로 희석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TBST 용액으로 3회 세척하여 ECL 기질(AmershamCo.)과 1~3분 간 반응 후, LAS 4000 chemiluminescence detection system (Fuji, Tokyo, Japan)을 이용하여 현상 및 정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LPS(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증가된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의 단백질 발현량이 처리된 CopA3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β-Actin의 밴드 밀도(band density) 비율에 따라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OS) 단백질 발현을 최대 41%,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OX-2)의 단백질 발현을 최대 56% 저해하였다.
이를 통해 LPS 자극에 의해 발현된 iNOS와 COX-2는 많은 양의 NO를 생성하게 되며, CopA3는 이를 저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NO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3: TNF-α, IL-6 및 IL-1β 생성 저해 평가
초기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6(interleukin-6) 및 IL-1β(interleukin-1β)에 대한 CopA3의 생성 저해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ELISA kit (R&D systems 社)를 이용하였다.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를 5×105cells/ml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시켰다. 배양 후, Raw 264.7 세포에 1 ㎍/ml의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고, 1시간 뒤에 농도별 (5, 25, 50, 100㎍/ml)로 CopA3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로부터 생성된 TNF-α, IL-6 및 IL-1β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배양 후, 배지로부터 생성된 TNF-α, IL-6 및 IL-1β의 측정은 ELISA Kit의 프로토콜에 따라 50㎕ Assay Diluent를 투입하고, 샘플을 넣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이후 Well을 5회 세척한 후, 100㎕의 콘쥬게이트(Conjugate)를 넣고 실온에서 2시간 인큐베이션 시킨 후 5회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100㎕의 기질 솔루션(Substrate solution)을 넣은 후 30분 동안 암소에서 방치한 후 100㎕의 스톱 솔루션(stop solution)을 넣은 후 450nm에서 측정하였다.
도 4로부터, LPS(lipopolysaccharide)는 TNF-α, IL-6 및 IL-1β의 생성을 증가 시켰지만, CopA3를 처리한 경우에는 TNF-α는 50 ㎍/ml의 농도에서 60% 생성 억제를 IL-6 및 IL-1β는 각각 50 ㎍/ml의 농도에서 90% 및 20%의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LPS는 대식세포(macrophage)에 작용하여 TNF-α, IL-6 및 IL-1β의 생성 분비를 촉진시켜 염증반응을 유도하지만, CopA3는 이 세 가지의 cytokine을 유의성 있게 저해하였으므로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로, 실시예의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처리구간의 유의성 (*p<0.05, **p<0.01)검증을 위해 분산분석 (analysis of variance, ANOVA) 후 tukey test로 다중비교를 실시하였다.
제조예 1: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다양한 제형의 제조
1-1: 스킨로션의 제조
실시예 1-1의 CopA3을 함유한 화장료 중 스킨로션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CopA3
글리세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알코올
티트리오일
페녹시에탄올
소폴리언스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시트릭산
소듐시트레이드
향료
정제수
1.0
1.0
0.2
5.0
0.02
0.3
0.2
0.15
0.04
0.
0.05
잔량
100.0
1-2: 로션의 제조
실시예 1의 CopA3을 함유한 화장료 중 로션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CopA3
글리세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비즈왁스
데카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스쿠알란
메틸 폴리실옥산
비사보롤
페녹시 에탄올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향료
정제수
1.0
7.0
0.6
1.8
2.0
6.0
2.0
0.1
0.7
0.1
0.1
잔량
100.0
1-3: 세럼의 제조
실시예 1의 CopA3을 함유한 화장료 중 세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CopA3
아미노코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알부틴
에탄올
1,3-부틸렌글라이콜
트리에탄올아민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향료
정제수
1.0
7.0
0.6
1.8
6.0
2.0
0.1
0.1
0.1
잔량
100.0
1-4: 크림의 제조
실시예 1의 CopA3을 함유한 화장료 중 크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CopA3
스테아릭산
세탄올
글리세린
솔비탄올리베이트
메틸폴리실옥산
페녹시에탄올
베타글루칸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비사보롤
향료
정제수
1.0
0.5
1.5
7.0
0.3
0.3
0.7
3.0
0.2
0.05
0.1
잔량
100.0
실험예 1: 제형의 성능 평가
제조예 1-1~1-4에서 제조된 스킨로션, 로션, 세럼 및 크림을 사용시 피부염을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예비실험으로 사람의 팔과 등을 대상으로 첩포 시험을 수행하였다.
첩포 시험은 Waggoner 등(Waggoner W.C. et al., Marcel Dekker. New York 105, 1990), Matsumura 등(Mastsumura H. et al., Contact Dermatitis. 33, 231-235, 1995), Aberer 등(Aberer W. et al., Contact Dermatitis 28, 1-2, 1993), Kim(Kim, JI, J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23, 159-184, 1997)의 방법을 응용하여 상온에서 30일 보관한 HaGF가 함유된 제형을 팔 안쪽 부위의 피부에 Finn chamber on Scanpor 테이프를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밀폐 첩포 한 후 피부의 반응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본 실험은 남, 여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제형 24시간 후 반응이 있는 피검자 수(명) 48시간 후 반응이 있는 피검자 수(명)
0 1 2 3 4 0 1 2 3 4
스킨로션 20 0 0 0 0 20 0 0 0 0
로션 20 0 0 0 0 20 0 0 0 0
세럼 20 0 0 0 0 20 0 0 0 0
크림 20 0 0 0 0 20 0 0 0 0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1~1-4에서 제조된 스킨로션, 로션, 세럼 및 크림은 무자극 범위에 속하여 인체에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Cosmetic Composition and Topical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ntaining Coprisin Peptide Derivative CopA <130> P2012-0198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pA3 <400> 1 Leu Leu Cys Ile Ala Leu Arg Lys Lys 1 5

Claims (12)

  1.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상기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5~5 중량%로 함유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상기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25~5 중량%로 함유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6.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상기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5~5 중량%로 함유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상기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25~5 중량%로 함유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 및 발현 억제를 유도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염증성 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및 IL-6(interleukin-6)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으로 유발되는 피부질환인,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알러지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습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130129261A 2013-10-29 2013-10-29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50050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261A KR20150050631A (ko) 2013-10-29 2013-10-29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261A KR20150050631A (ko) 2013-10-29 2013-10-29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631A true KR20150050631A (ko) 2015-05-11

Family

ID=5338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261A KR20150050631A (ko) 2013-10-29 2013-10-29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6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344A (ko)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네이처 보타닉스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WO2020013527A1 (ko) * 2018-07-10 2020-01-16 애니젠 주식회사 항균 활성, 용혈 안정성 및 혈청 내 안정성이 증진된 항균 펩타이드 유도체
KR20200006492A (ko) * 2018-07-10 2020-01-20 애니젠 주식회사 항균 활성, 용혈 안정성 및 혈청 내 안정성이 증진된 항균 펩타이드 유도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344A (ko)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네이처 보타닉스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WO2020013527A1 (ko) * 2018-07-10 2020-01-16 애니젠 주식회사 항균 활성, 용혈 안정성 및 혈청 내 안정성이 증진된 항균 펩타이드 유도체
KR20200006492A (ko) * 2018-07-10 2020-01-20 애니젠 주식회사 항균 활성, 용혈 안정성 및 혈청 내 안정성이 증진된 항균 펩타이드 유도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0306A (ko) 복합 생약 추출물(gst)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631A (ko)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685121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212130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272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1817136B1 (ko) 메란진 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57788B1 (ko) 무당벌레 유충 유래 신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60083666A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천연물
KR101831876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18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07130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작두콩 추출물의 정제방법
KR101541843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2121303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1937A (ko) 항염효과를 갖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2097B1 (ko)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20210077261A (ko)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폡타이드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14467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등대풀, 목단피, 알로에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73244B1 (ko)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KR20140110565A (ko) 율피 추출물 또는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3610A (ko) 홍화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64823B1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203273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