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097B1 -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097B1
KR101912097B1 KR1020160096167A KR20160096167A KR101912097B1 KR 101912097 B1 KR101912097 B1 KR 101912097B1 KR 1020160096167 A KR1020160096167 A KR 1020160096167A KR 20160096167 A KR20160096167 A KR 20160096167A KR 101912097 B1 KR101912097 B1 KR 101912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oil
acid
evening primr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056A (ko
Inventor
현창구
이주영
강종석
강유안
김수민
조민경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09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하여 향상된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from curcuma and oenothera laciniata hill}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하여 향상된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기는 전통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공해 물질과 스트레스, 자외선 등의 외적인 요인과 면역세포의 기능저하, 세포 활성의 저하 등의 내적 요인에 기인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활성산소, 과산화물 등에 의한 단백질, 핵산, 세포막 지질 파괴 등의 피부 노화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피부 보호 기능을 가진다. 또한, 소비자의 고기능 화장품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피부 염증 및 아토피의 치료, 미백, 피부주름 개선 및 억제, 그리고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화장품들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염증 억제 제품은 소비자의 많은 관심을 받는 대상이다. 따라서, 염증반응을 완화시켜 피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의 특허문헌과 같이 다양한 화장용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공보 제10-1077824호(2011. 10. 28. 공고) "일라이트 추출물을 함유한 아토피 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하지만, 종래의 화장용 조성물은 염증 완화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단사정계에 속하는 운모족 광물인 일라이트를 사용하는 조성물은 광물 등을 사용하여 안정성이 대한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향상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염증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피부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은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울금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디소듐이디티에이, 트레할로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카보머,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정유,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녹차추출물, 금은화추출물, 은행잎추출물, 꽃잎추출물, 천연방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정유는 베르가모트열매오일, 라벤더오일, 유향유 및 센티드제라늄꽃오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꽃잎추출물은 복숭아나무꽃추출물, 매화추출물, 연꽃추출물 및 목련나무꽃추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연방부제는 초피나무열매추출물 및 어스니어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파키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파키라 추출물은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함염증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마스크팩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향상된 항산화, 항염증, 주름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칭되는 '추출물'은 일반적인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특히 '열수추출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이용하여 열수추출방식에 의하여 추출된 것을 지칭하고, '에탄올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울금(curcuma)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oenothera laciniata hill)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은 울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25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울금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서 0.1 내지 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특정 비율(특히, 2: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하기의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향상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게 된다(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2:1의 중량비로 혼합되었을 대 항염증 효과가 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디소듐이디티에이, 트레할로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카보머,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정유,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녹차추출물, 금은화추출물, 은행잎추출물, 꽃잎추출물 및 천연방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유는 베르가모트열매오일, 라벤더오일, 유향유 및 센티드제라늄꽃오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꽃잎추출물은 복숭아나무꽃추출물, 매화추출물, 연꽃추출물 및 목련나무꽃추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연방부제는 초피나무열매추출물 및 어스니어추출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으며서 주름 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파키라(pachira)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향상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울금 추출물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 각각에 비해 저하된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파키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항산화, 항염증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향상된 주름 개선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파키라 추출물은 울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15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백분율,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핸드크림, 모이스처크림, 에센스, 팩, 비누, 화장수, 밀크로션, 젤, 연고, 패취, 클렌징폼, 바디클린저, 아스트린젠트, 분무제의 제형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마스크팩의 제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의 준비
(1) 건조되고 분쇄된 울금, 애기달맞이꽃(잎), 파키라(잎) 각각 100g을 80%의 에탄올 500ml에 36시간 침지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울금 추출물, 애기달맞이꼴 추출물, 파키라 추출물을 얻었다.
(2) 울금 추출물을 시료 1로 준비하고,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시료 2로 준비하고,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물을 시료 3으로 준비하고,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물을 시료 4로 준비하고,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2:1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물을 시료 5로 준비하고,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과 파키라 추출물이 2: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물을 시료 6으로 준비하였다.
<실시예 2> 세포 독성 평가(MTT assay)
(1) 세포 배양(Cell Culture)
RAW 264.7 세포를 10% FBS와 100units/ml 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로 유지되는 항온기(incubator)에서 배양하고, 계대 배양을 시행하였다.
(2) 시료들의 독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배양된 RAW 264.7 세포에 LPS(1μg/mL)와 시료 1 내지 6 각각으로 동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MTT solution을 10μL씩 넣고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제거 후 DMSO를 넣고, 플레이트 믹서를 사용하여 잘 흔들어 준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자극제를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시료 1 내지 6 각각은 60μg/mL 이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항산화 효과의 확인(DPPH radical 소거활성)
(1) 항산화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칼 소거효과(radical scavenging effect)를 측정하는 Blois법을 이용하였다.
(2) DPPH 약 2㎎을 ethanol 15mL에 녹여 DPPH용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 10mL에 DMSO 6.0mL를 첨가한 후, 525nm 파장에서 대조군의 UV-Vis. 흡광도가 0.94-0.97이 되도록 ethanol로 희석하여 15초간 진탕시켰다. 준비된 DPPH 1.6mL에 시료용액 0.4mL(시료 1 내지 6 각각의 농도는 60μg/mL임)를 넣어 섞은 후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가 48시간 후 5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소거능을 계산하여 표 1에 표기하였다. 소거능 계산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Electron donating ability(%) = 100-[(O.D. of sample/O.D. of control)]×100
(3) 하기의 표 1을 보면, 울금 추출물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혼합된 시료 3 내지 5 및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과 파키라 추출물이 혼합된 시료 6이 울금 추출물로 이루어진 시료 1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시료 2에 비해서 향상된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시료 소거능(%)
1(울금 추출물) 28
2(애기달맞이꽃 추출물) 32
3(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1의 중량비)) 40
4(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2의 중량비)) 58
5(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2:1의 중량비)) 46
6(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파키라 추출물(1:1:1의 중량비)) 54
<실시예 4> 항염증 효과의 확인(Nitric oxide 생성 억제)
(1) 활성산소 중 하나이며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산화질소 생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NO assay를 실시하였다. 배양된 RAW 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5x105cells/mL로 조절한 후, 96 well plate접종하고, 시료 1 내지 6 각각과 LPS(1μg/mL)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시료 1 내지 6 각각의 최종농도 60μg/mL임). 생성된 NO의 양은 그리즈(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100μL와 그리즈 시약 100μL를 혼합하여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sodium nitrite(NaNO2)를 standard로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표 2를 보면, 시료 3 내지 6이 시료 1 및 2에 비해서 NO 생성량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어,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혼합됨에 따라 더욱 향상된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2:1의 중량비로 혼합되었을 때 NO 생성량이 가장 적음을 알 수 있다.
NO 생성률(%)
미처리 0
LPS만 처리 100
LPS+시료 1(울금 추출물) 85
LPS+시료 2(애기달맞이꽃 추출물) 90
LPS+시료 3(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1의 중량비)) 70
LPS+시료 4(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2의 중량비)) 75
LPS+시료 5(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2:1의 중량비)) 61
LPS+시료 6(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파키라 추출물(1:1:1의 중량비)) 64
<실시예 5> 항염증 효과의 확인(Pro-inflammatory cytokines(TNF-α, IL-6) 생성 억제)
(1) RAW 264.7(1.5×105cells/mL)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96 well plate에 접종하고, 5% CO2 항온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 1 내지 6 각각과 자극물질 LPS(1ug/mL)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전 배양과 동일조건에서 배양하였다(시료 1 내지 6 각각의 최종농도 60μg/mL임). 24시간 후 배양 배지를 원심분리(12,000rpm, 3분)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pro-inflammatory cytokines 생성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pro-inflammatory cytokines 정량은 mouse enzyme-linked immnunosorbent assay(ELISA) kit(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standard에 대한 표준곡선의 r2 값은 0.99 이상이었다.
(2) 표 3을 보면, 시료 3 내지 6이 시료 1 및 2에 비해서 TNF-α 및 IL-6 생성량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어,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혼합됨에 따라 더욱 향상된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2:1의 중량비로 혼합되었을 때 TNF-α 생성량이 가장 적음을 알 수 있다.
TNF-α
생성률(%)
IL-6
생성률(%)
미처리 0 0
LPS만 처리 100 100
LPS+시료 1(울금 추출물) 93 88
LPS+시료 2(애기달맞이꽃 추출물) 87 84
LPS+시료 3(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1의 중량비)) 73 65
LPS+시료 4(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2의 중량비)) 68 63
LPS+시료 5(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2:1의 중량비)) 61 68
LPS+시료 6(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파키라 추출물(1:1:1의 중량비)) 68 65
<실시예 6> 항염증 효능 평가(Prostaglandin E2(PGE2) 생성 억제)
(1) RAW 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0×105cells/mL로 조절한 후 96 well plate 에 접종하고, 5% CO2 항온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 1 내지 6 각각과 LPS(1ug/mL)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전배양과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시료 1 내지 6 각각의 최종농도 60μg/mL임). 24시간 후 prostaglandin E2(PGE2)를 측정하기 위해 배양 배지를 원심분리(12,000rpm, 3min)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PGE2의 측정은 PGE2ELISA kit(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으며, standard에 대한 표준곡선의 r2값은 0.99 이상이었다.
(2) 표 4를 보면, 시료 3 내지 6이 시료 1 및 2에 비해서 PGE2 생성량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어,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혼합됨에 따라 더욱 향상된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2:1의 중량비로 혼합되었을 때 PGE2 생성량이 가장 적음을 알 수 있다.
PGE2 release(%)
미처리 0
LPS만 처리 100
LPS+시료 1(울금 추출물) 85
LPS+시료 2(애기달맞이꽃 추출물) 87
LPS+시료 3(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1의 중량비)) 74
LPS+시료 4(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2의 중량비)) 72
LPS+시료 5(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2:1의 중량비)) 66
LPS+시료 6(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파키라 추출물(1:1:1의 중량비)) 70
<실시예 7> 항염증 효능 평가(피부 첩포 시험)
(1)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5의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함량(%)
성분 화장료 조성물 1 화장료 조성물 2 화장료 조성물 3 화장료 조성물 4
시료 1 1 0 0 0
시료 2 0 1 0 0
시료 5 0 0 1 0
시료 6 0 0 0 1
비타민 E 0.5 0.5 0.5 0.5
프로플렌글리콜 5.0 5.0 5.0 5.0
유지 6.0 6.0 6.0 6.0
자외선 흡수제 2.0 2.0 2.0 2.0
동백오일 3.0 3.0 3.0 3.0
유동 이소파라핀 2.0 2.0 2.0 2.0
방부제 0.01 0.01 0.01 0.01
향료 0.5 0.5 0.5 0.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2) 아토피, 여드름 등의 염증성 피부 질환을 앓고 있는 10 ~ 20대 20명을 대상으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20명을 네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화장료 조성물 1 내지 4를 매일 2회 2주 동안 피부 질환 부위에 도포하게 하였다. 이후, 피부 상태에 대한 참여자 각각의 주관적 평가를 취합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으로는 현저한 개선, 개선, 보통, 악화를 사용하였다.
(3) 표 6을 보면, 화장료 조성물 3 및 4를 사용한 경우가 화장료 조성물 1 및 2를 사용한 경우보다 피부 상태가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화장료 조성물에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혼합되어 있느냐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즉, 울금 추출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각각 사용한 경우보다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가 항염증 효과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응답비율(%)
현저한 개선 개선 보통 악화
화장료 조성물 1 0 30 70 0
화장료 조성물 2 0 40 50 10
화장료 조성물 3 20 60 20 0
화장료 조성물 4 30 50 20 0
<실시예 8> 주름개선 효과 평가(Quantitative detection of type 1 collagen)
(1) 세포 배양(Cell Culture)
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Human fibroblast dermal cell인 HDFn(American Type Culture Colletion(ATCC-CRL-2076)을 37℃, 5% CO2 조건하에 배양하고, 계대 배양하였다.
(2) 상기 HDFn을 1x105cells/ml이 되도록 96 well plate에 접종한 후, 37℃, 5% CO2 조건하에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이후, FBS가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 후, 시료 1 내지 6을 첨가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시료 1 내지 6 각각의 최종농도 60μg/mL임). 이후, 배지 상층액을 모아서 Procollagen type 1 C-peptide(PIP) EIA kit를 이용하여 procollagen 양을 측정하여 상대 비교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3) 표 7을 보면, 시료 6이 시료 1 내지 5에 비하여 collagen 1의 생성량이 많음을 알 수 있고, 시료 3 내지 4에 비해 시료 1 및 2가 collagen 1의 생성량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혼합되는 경우 각각 사용하는 것에 비해 주름 개선의 효과가 떨어지는데, 혼합 추출물에 파기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 주름 개선 효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ollagen 1 함량(%)
미처리 100
LPS+시료 1(울금 추출물) 129
LPS+시료 2(애기달맞이꽃 추출물) 135
LPS+시료 3(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1의 중량비)) 117
LPS+시료 4(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2의 중량비)) 108
LPS+시료 5(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2:1의 중량비)) 119
LPS+시료 6(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파키라 추출물(1:1:1의 중량비)) 140
<실시예 9> 주름개선 효과 평가(세포증식)
(1) 배양된 HDFn을 1x105cells/ml이 되도록 96 well plate에 접종한 후, 37℃, 5% CO2 조건하에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이후, FBS가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 후, 시료 1 내지 6을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시료 1 내지 6 각각의 최종농도 60μg/mL임). 배양 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5㎎/㎖) 용액 10㎕을 첨가하여 4시간 반응 후 반응액을 제거한다. 각 well에 100㎕의 DMSO를 가하여 염색된 세포를 용해시킨 후 57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증식력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여 표 8에 나타내었다. 세포증식력(%) = (O.D. of sample - O.D. of control)/O.D. of control×100
(2) 표 8을 보면, 시료 6이 시료 1 내지 5에 비하여 세포증식력이 좋음을 알 수 있고, 시료 3 내지 4에 비해 시료 1 및 2가 세포증식력이 좋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혼합되는 경우 각각 사용하는 것에 비해 주름 개선의 효과가 떨어지는데, 혼합 추출물에 파기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 주름 개선 효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새포증식력(%)
미처리 0
LPS+시료 1(울금 추출물) 38
LPS+시료 2(애기달맞이꽃 추출물) 45
LPS+시료 3(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1의 중량비)) 21
LPS+시료 4(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1:2의 중량비)) 25
LPS+시료 5(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2:1의 중량비)) 19
LPS+시료 6(울금 추출물+애기달맞이꽃추출물+파키라 추출물(1:1:1의 중량비)) 57
<실시예 10> 주름개선 효과 평가(피부 첩포 실험)
(1) 표 5의 조성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40대 이상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며, 20명을 네 그룹으로 나눠 각각 화장료 조성물 1 내지 4를 주름이 있는 눈가를 중심으로 매일 2회 4주 동안 도포하게 한 후, 미세주름측정기인 스킨 비지오메터(Skin Visiometer SV 600 FireWire, CK Electronic GmbH)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2) 하기 표 9에서 주름의 평균깊이는 주름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실리콘고무를 이용하여 만든 표본을 5등분하고 각각 5군데에서 주름 높이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차이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거칠기 평균은 표본에서 전체 주름깊이의 평균값에서 개개 측정부위(전체를 255개의 측정부위 점으로 나눔)에서의 주름깊이 차이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주름의 평균깊이와 거칠기 평균의 수치는 낮게 나타날수록 주름이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피부 노화도가 작은 것을 의미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표 9를 보면, 주름의 평균깊이값과 거칠기 평균값이 화장료 조성물 4, 2, 1, 3 순으로 낮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울금 추출물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이 혼합되는 경우 각각 사용하는 것에 비해 주름 개선의 효과가 떨어지는데, 혼합 추출물에 파기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 주름 개선 효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주름개선효과
주름의 평균깊이(%) 거칠기평균(%)
화장료 조성물 1 T0 100.0 100.0
T4 75 72
화장료 조성물 2 T0 100.0 100.0
T4 71 70
화장료 조성물 3 T0 100.0 100.0
T4 85 81
화장료 조성물 4 T0 100.0 100.0
T4 66 61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울금 추출물, 애기달맞이꽃 추출물 및 파키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은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디소듐이디티에이, 트레할로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카보머,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정유,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녹차추출물, 금은화추출물, 은행잎추출물, 꽃잎추출물, 천연방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는 베르가모트열매오일, 라벤더오일, 유향유 및 센티드제라늄꽃오일로 이루어지며,
    상기 꽃잎추출물은 복숭아나무꽃추출물, 매화추출물, 연꽃추출물 및 목련나무꽃추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연방부제는 초피나무열매추출물 및 어스니어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키라 추출물은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함염증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마스크팩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96167A 2016-07-28 2016-07-28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1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167A KR101912097B1 (ko) 2016-07-28 2016-07-28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167A KR101912097B1 (ko) 2016-07-28 2016-07-28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056A KR20180013056A (ko) 2018-02-07
KR101912097B1 true KR101912097B1 (ko) 2018-10-26

Family

ID=6120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167A KR101912097B1 (ko) 2016-07-28 2016-07-28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0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7992A (zh) * 2020-01-02 2020-03-24 广东立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去除口气牙膏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933A (ja) * 2001-01-05 2002-07-23 Ichimaru Pharcos Co Ltd ラン科植物抽出物含有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933A (ja) * 2001-01-05 2002-07-23 Ichimaru Pharcos Co Ltd ラン科植物抽出物含有化粧料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vol.107, no.4, p.429-438 (2009)*
대한본초학회지, vol.25, no.1, pp.83-91 (2010)*
인터넷 자료, 네이버 블로그 ‘벤톤에서 사용하는 천연방부제 EURO-NApre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 할미꽃 추출물, 어스니어 추출물)’ (2015.5.15.) <인터넷 URL:http://bentonkorea.blog.me/22036049869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056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954B1 (ko) 돌외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4822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4039A (ko)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989034B1 (ko) 쪽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3122B1 (ko)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2130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17136B1 (ko) 메란진 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1682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1437B1 (ko) 액상 타입의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KR101912097B1 (ko)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28062B1 (ko) 마유세라마이드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64823B1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09958B1 (ko) 황칠 추출물이 포함된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107490B1 (ko) 수선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3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11085B1 (ko) 누룩을 이용한 쪽 발효방법 및 이에 얻은 쪽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29494B1 (ko) 6,7-디하이드록시 베르가모틴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614467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등대풀, 목단피, 알로에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57557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루테올린-6-c-푸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814538B1 (ko) 바이오셀룰로오스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감소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7254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557788B1 (ko) 무당벌레 유충 유래 신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631062B1 (ko)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