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039A -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039A
KR20150144039A KR1020140072638A KR20140072638A KR20150144039A KR 20150144039 A KR20150144039 A KR 20150144039A KR 1020140072638 A KR1020140072638 A KR 1020140072638A KR 20140072638 A KR20140072638 A KR 20140072638A KR 20150144039 A KR20150144039 A KR 20150144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lava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희
고동석
장정원
Original Assignee
엠제이테크(주)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제이테크(주), 김선희 filed Critical 엠제이테크(주)
Priority to KR102014007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4039A/ko
Publication of KR2015014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0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61K35/08Mineral waters; Sea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암 해수를 이용하여 버섯의 유용성분을 추출하고 이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출용매로 용암 해수를 이용하여 버섯 균사체 또는 버섯 자실체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피부 보습 및 주름을 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버섯 균사체로 톱밥 배지 균사체가 사용되어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ushroom extract using magma seawater}
본 발명은 용암 해수를 이용하여 버섯의 유용성분을 추출하고 이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출용매로 용암 해수를 이용하여 버섯 균사체 또는 버섯 자실체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피부 보습 및 주름을 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버섯 균사체로 톱밥 배지 균사체가 사용되어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버섯은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버섯의 종류는 전 세계적으로 15,000 여종이 되고 그 중 식용으로 가능한 것은 2,000 여종이 보고되고 있다. 식용 버섯은 수분이 70 내지 95%이며, 5 내지 30%가 유기 및 무기성분으로 되어 있다. 건조 버섯의 경우 15 내지 30%의 단백질, 2 내지 10% 내외의 가용성 무질소물이 들어 있고, 5 내지 10%의 조섬유와 칼륨·인산·석회 등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버섯에서 추출된 성분들은 하기의 특허문헌과 같이 화장품에 이용되거나 식품, 효소, 알코올 음료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특허공보 제10-0863890호(2008. 10. 15. 공고)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하지만, 종래에 버섯에서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로 물 또는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어 버섯 추출물이 혼합된 화장품의 보습 및 피부 개선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자실체를 이용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용암 해수를 사용하여 버섯에서 추출된 유용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보습 및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톱밥 배지 균사체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추출용매로 용암 해수가 사용되어 버섯 자실체 또는 버섯 균사체로부터 추출된 버섯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톱밥 배지 균사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버섯은 상황버섯, 구름버섯, 차가버섯, 아가리쿠스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영지버섯, 싸리버섯, 능이버섯, 목이버섯, 석이버섯, 양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및 풀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용암 해수는 제주도 지하 100 내지 300m에서 취수한 용암 해수를 탈염 처리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버섯추출물은 화장품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서 0.001~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는 상기 화장품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서 0.01~5 중량%로 각각 포함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비누, 클렌징폼, 바디클린저,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파운데이션 및 분무제의 제형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암 해수를 사용하여 버섯에서 추출된 유용성분을 함유하여 피부 보습 및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톱밥 배지 균사체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추출용매로 용암 해수가 사용되어 버섯 자실체 또는 버섯 균사체로부터 추출된 버섯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용암 해수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의미와 같이 40만 년 전에 화산활동에 의해 제주도의 해안지대가 형성되면서 바닷물이 지하에 남았거나 화산암에 의해 바닷물이 여과되면서 만들어진 염지하수로서, 투수성이 좋은 화산암반이 발달한 제주도 동부지역에 분포하며, 제주도 지반을 구성하는 현무암층을 통과한 지하수이기 때문에 암반층을 거치며 금속, 불순물 등 오염물질이 걸러져 매우 청정하며, 미네랄, 바나듐과 같은 유용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제주도 동부지역은 행정구역상 제주도 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을 의미한다.
상기 버섯은 균류 중에서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크기의 자실체를 형성하는 무리의 총칭으로, 상기 버섯 자실체라 함은 균류의 생식기관으로 포자낭들이 뭉쳐져 있는 버섯의 갓과 대를 말하여, 상기 버섯 균사체는 균류의 기본 몸체로 버섯의 뿌리 부분에 존재하게 된다. 일반적인 버섯 재배 방법에서는 톱밥 배지에서 균사체를 자라게 하여 자실체(갓과 대에 해당)를 생성하여 상기 자실체를 수확하여 버섯으로 판매하며, 사용이 끝나 톱밥 배지 균사체는 퇴비의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퇴비 등의 용도로 버려지는 톱밥 배지 균사체로부터 용암 해수를 사용하여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화장품 조성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버섯은 상황버섯, 구름버섯, 차가버섯, 아가리쿠스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영지버섯, 싸리버섯, 능이버섯, 목이버섯, 석이버섯, 양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및 풀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건조된 버섯 자실체 또는 버섯 균사체에 10배량의 용암 해수를 가하여 100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버섯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용암 해수는 염의 농도가 30‰ 이상인 염지하수가 사용되며, 공지의 기술인 플래시증발법, 해수동결법, 역삼투압법, 이온교환수지법, 전기투석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탈염한 후 추출용매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용암 해수는 제주도 지하 100 내지 300m에서 취수한 용암 해수를 탈염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섯 추출물은 화장품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서 0.1~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상기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상기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는 통상 화장품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백분율,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핸드크림, 모이스처크림, 에센스, 팩, 비누, 화장수, 밀크로션, 젤, 연고, 패취, 클렌징폼, 바디클린저, 아스트린젠트, 분무제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자실체로부터 버섯 추출물 생성
1) 제주도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제주용암해수일반산업단지 소재) 지하 150m를 굴착하여 얻어진 33.8‰의 용암 해수를 필터(제품명 whatman 1822-047)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전기투석기(ASTOM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1가 이온을 제거함으로써 탈염 처리하여 추출용매로 사용될 용암 해수를 생성하였다.
2) 건조된 표고 버섯 자실체 10g에 상기 1)에서 생성된 용암 해수 100g을 가한 후, 100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400(mesh)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버섯추출물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2>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균사체로부터 버섯 추출물 생성
1) 제주도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제주용암해수일반산업단지 소재) 지하 150m를 굴착하여 얻어진 33.8‰의 용암 해수를 필터(제품명 whatman 1822-047)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전기투석기(ASTOM CO. LTD, 일본)를 이용하여 1가 이온을 제거함으로써 탈염 처리하여 추출용매로 사용될 용암 해수를 생성하였다.
2) 건조된 표고 버섯 균사체(톱밥 배지 조성은 oregon pine sawdust 70%와 rice bran 30%) 10g에 상기 1)에서 생성된 용암 해수 100g을 가한 후, 100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400(mesh)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버섯추출물을 생성하였다.
<비교예 1> 정제수를 이용한 버섯 자실체로부터 버섯 추출물 생성
용암 해수 대신에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버섯 추출물을 생성하였다.
<비교예 2> 정제수를 이용한 버섯 자실체로부터 버섯 추출물 생성
용암 해수 대신에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버섯 추출물을 생성하였다.
<실시예 1> 단백다당류의 함유량
1) 실시예 1, 2, 비교예 1 및 2에 의해 생성된 버섯 추출물에 3배의 에탄올을 가해 4도에서 12시간을 유지한 후, 원심분리(15,000rpm, 30분)하여 침전물을 회수하고, 증류수로 24시간 투석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시료를 획득하였다.
2) 상기 1)에서 얻어진 시료를 Bradford reagent 1ml와 반응시킨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9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bovine serum albumin(sigma co.) 표준곡선을 기준으로 시료 중 단백다당류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3) 실시예 1의 경우 단백다당류의 추출함량이 0.6g이며, 실시예 2의 경우 단백다당류의 추출함량이 0.15g이고, 비교예 1의 경우 단백다당류의 추출함량이 0.35g이며, 비교예 2의 경우 단백다당류의 추출함량이 0.07g이다.
4) 위의 결과를 통해 추출용매로 용암 해수를 사용하는 경우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단백다당류의 추출함량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버섯 균사체의 경우 버섯 자실체에 비해 단백다당류의 추출함량이 적음을 알 수 있으나 버섯 균사체는 버려지는 현실에 비추어 버섯 균사체의 사용량을 늘려 경제적이면서도 충분한 유용성분(단백다당류)을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세포증식효과
상기 실시예 1, 2, 비교예 1, 2의 추출물에 대한 피부 세포(skin cell) 증식효과를 보기 위해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Well)에 1X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디엠이엠(DMEM :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2, 비교예 1, 2의 추출물이 각각 최종 농도 500㎍/㎖가 되도록 조정한 혈청이 없는 디엠이엠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MTT(3-(4,5-디메틸씨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5㎎/㎖) 용액 10㎕을 첨가하여 4시간 방치 후 반응액을 제거한다. 각 웰당 100㎕의 디메틸 설폭사이드용액을 가하여 염색된 세포를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57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을 실시하여 하기 수학식 1로부터 세포증식효과를 구해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세포증식효과(%) = {(추출물처리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100
시료 세포증식효과(%)
실시예 1 39.4%
실시예 2 27.4%
비교예 1 14.7%
비교예 2 12.4%
상기 표 1에 의하면, 추출용매로 용암 해수를 사용하여 버섯 자실체에서 버섯 추출물을 생성한 경우(실시예 1) 가장 세포증식 효과(세포증식 효과가 뛰어남에 따라 피부 주름을 방지할 수 있음)가 뛰어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용암 해수에 포함된 미네랄과 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상대적으로 많은 유용성분의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3>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한 관능실험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하기 표 2의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함량(중량%)
성분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실시예 1의 버섯추출물 1 - - - -
실시예 2의 버섯추출물 - 1 - - -
실시예 2의 버섯추출물 - - 5 - -
비교예 1의 버섯추출물 - - - 1 -
비교예 2의 버섯추출물 - - - - 1
비타민 B1 0.2 0.2 0.2 0.2 0.2
콜라켄 0.5 0.5 0.5 0.5 0.5
유지 6.0 6.0 6.0 6.0 6.0
자외선 흡수제 2.0 2.0 2.0 2.0 2.0
스쿠알란 3.0 3.0 3.0 3.0 3.0
유동 이소파라핀 2.0 2.0 2.0 2.0 2.0
규산 0.1 0.1 0.1 0.1 0.1
향료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 주름개선 효과 평가
상기 표 2의 조성비를 갖는 화장품에 대한 피부주름개선 임상효과를 측정하였다. 40세 이상의 여성 25명을 5그룹(A, B, C, D 및 E)으로 나누어 A그룹을 대상으로 시료 1, B그룹 대상으로 시료 2, C그룹 대상으로 시료 3, D그룹 대상으로 시료 4, E그룹 대상으로 시료 5를 각각 주름이 있는 눈가를 중심으로 4주간 도포(2회/일, 0.2g/회) 한 후, 미세주름측정기인 스킨 비지오메터(Skin Visiometer SV 600 FireWire, CK Electronic GmbH)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주름개선효과
주름의 평균깊이(%) 거칠기평균(%)
시료 1 T0 100.0 100.0
T4 67.3 68.2
시료 2 T0 100.0 100.0
T4 79.4 80.3
시료 3 T0 100.0 100.0
T4 66.3 66.9
시료 4
T0 100.0 100.0
T4 89.6 86.4
시료 5 T0 100.0 100.0
T4 99.2 95.8
상기 표 3에서 주름의 평균깊이는 주름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실리콘고무를 이용하여 만든 표본을 5등분하고 각각 5군데에서 주름 높이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차이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거칠기 평균은 표본에서 전체 주름깊이의 평균값에서 개개 측정부위(전체를 255개의 측정부위 점으로 나눔)에서의 주름깊이 차이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다. 주름의 평균깊이와 거칠기 평균의 수치는 낮게 나타날수록 주름이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피부 노화도가 작은 것을 의미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적용 전/후의 상대적인 수치 계산을 통해 살펴보면, 주름의 평균깊이 값에서 적용 전을 100%으로 보았을 때 주름의 평균깊이와 거칠기 평균이 실시예 1 및 3에서 가장 우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추출용매로 용암 해수를 사용하여 버섯 자실체에서 버섯 추출물을 생성한 경우(시료 1)와, 용암 해수를 상용하여 버섯 균사체에서 버섯 추출물을 생성하더라도 많은 양의 버섯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시료 3),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2) 피부 보습능력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상기 시료 1 내지 5에서 제조한 화장품을 사용하여 보습력 효과를 측정하였다. 병력조사 및 피부상태 진단을 통해 시험 목적에 적합한 만 25세 이상의 건강한 남성 및 여성 피험자 50명을 각각 10명씩으로 대상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세안 후 입실하여 20분 동안 항온항습 조건(22± 2℃, 50± 5%)에서 안정을 취한 후 시험에 참가하였다.
상기 시료 1 내지 5의 화장품을 적당량 취하여 얼굴에 바른 후 10~15분간 두고, 따뜻한 물로 얼굴을 가볍게 세안하는 방식으로 2주 동안 1일 1회 적용하였다.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5 ℃, 습도 45%)에서 수분보유측정기 (corneometer CM825,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1주, 2주 경과 후 및 도포 중지 후 2주 경과(4주 경과) 후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피부 보습의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값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구분 1주 (%) 2주 (%) 4주 (%)
시료 1 12.3 17.2 21.2
시료 2 9.2 14.2 18.4
시료 3 13.3 16.2 22.3
시료 4 6.6 11.8 14.8
시료 5 2.3 4.1 5.53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추출용매로 용암 해수를 사용하여 버섯 자실체에서 버섯 추출물을 생성한 경우(시료 1)와, 용암 해수를 상용하여 버섯 균사체에서 버섯 추출물을 생성하더라도 많은 양의 버섯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시료 3),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통해, 추출용매로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용암 해수를 사용하는 것이 버섯으로부터 유용성분(예컨대, 단백다당류 등)을 더욱 많이 추출할 수 있고, 추출용매로 용암 해수를 사용한 버섯 추출물의 경우 용암 해수에 포함된 미네랄 등과 버섯의 유용성분이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버섯 균사체의 경우 버섯 자실체에 비해 추출되는 유용성분은 부족하나, 버섯 균사체는 버려지는 현실에 비추어 버섯 균사체의 사용량을 늘려 경제적이면서도 충분한 유용성분을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추출용매로 용암 해수가 사용되어 버섯 자실체 또는 버섯 균사체로부터 추출된 버섯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는
    톱밥 배지 균사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은
    상황버섯, 구름버섯, 차가버섯, 아가리쿠스버섯, 노루궁뎅이버섯, 영지버섯, 싸리버섯, 능이버섯, 목이버섯, 석이버섯, 양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및 풀버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암 해수는
    제주도 지하 100 내지 300m에서 취수한 용암 해수를 탈염 처리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추출물은
    화장품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서 0.1~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는 상기 화장품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서 0.01~5 중량%로 각각 포함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비누, 클렌징폼, 바디클린저,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파운데이션 및 분무제의 제형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140072638A 2014-06-16 2014-06-16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50144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638A KR20150144039A (ko) 2014-06-16 2014-06-16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638A KR20150144039A (ko) 2014-06-16 2014-06-16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039A true KR20150144039A (ko) 2015-12-24

Family

ID=5508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638A KR20150144039A (ko) 2014-06-16 2014-06-16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40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4023A (zh) * 2018-03-15 2018-05-11 张藜泷 一种含和田玉粉的祛痘面霜
KR20190123033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웰스킨 말굽 잔나비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성장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7596A (ko) * 2019-11-12 2021-05-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청양 해양심층수와 표고버섯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71252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이지하이드로젠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6514912A (zh) * 2023-05-27 2023-08-01 上海市农业科学院 抗皮肤氧化损伤的草菇多肽及其应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4023A (zh) * 2018-03-15 2018-05-11 张藜泷 一种含和田玉粉的祛痘面霜
KR20190123033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웰스킨 말굽 잔나비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성장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7596A (ko) * 2019-11-12 2021-05-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청양 해양심층수와 표고버섯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71252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이지하이드로젠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6514912A (zh) * 2023-05-27 2023-08-01 上海市农业科学院 抗皮肤氧化损伤的草菇多肽及其应用
CN116514912B (zh) * 2023-05-27 2024-03-29 上海市农业科学院 抗皮肤氧化损伤的草菇多肽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954B1 (ko) 돌외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4463B1 (ko) 사초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6812B1 (ko) 발효추출물과 산소수를 포함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4039A (ko) 용암 해수를 이용한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4822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843122B1 (ko)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814389B1 (ko) 번행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1682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17136B1 (ko) 메란진 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28062B1 (ko) 마유세라마이드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8869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9958B1 (ko) 황칠 추출물이 포함된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912097B1 (ko)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07490B1 (ko) 수선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3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64823B1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14538B1 (ko) 바이오셀룰로오스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감소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7557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루테올린-6-c-푸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687254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60079979A (ko) 전복 점질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3273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