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254B1 -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254B1
KR101687254B1 KR1020140072867A KR20140072867A KR101687254B1 KR 101687254 B1 KR101687254 B1 KR 101687254B1 KR 1020140072867 A KR1020140072867 A KR 1020140072867A KR 20140072867 A KR20140072867 A KR 20140072867A KR 101687254 B1 KR101687254 B1 KR 101687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id
cosmetic composition
knot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137A (ko
Inventor
오좌섭
김진규
최춘환
서찬곤
홍성수
이재연
안은경
조영락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Priority to KR102014007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254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매듭풀을 C1~C4 알코올, 또는 C1~C4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얻어진 매듭풀(Kummerowia stri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매듭풀 추출물은 자유 라디칼 소거능,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 및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바,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KUMMEROWIA STRIATA HAVING SKIN WHITENING ACTIVITY}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노화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고자 현대과학은 다양한 방법으로 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삶이 윤택해지면서 신체의 내적인 노화 뿐만 아니라 외적인 부분에 발행하는 노화를 막고자 하는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외적인 노화에 관한 최적의 연구대상은 피부이며, 피부를 이용한 많은 연구가 인간의 노화를 규명하는데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G. J. Fisher, The pathophysiology of photoaging of the skin. Cutis., 75, pp5-8, 2005]. 피부의 노화는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내인성 노화(chronologic aging)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관과 동반하여 피부의 구조와 기능이 지속적으로 감퇴되어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외인성 노화(Photoaging)로 장기간에 걸친 태양광선의 노출로 인한 피부조직의 변화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노화 과정으로 피부는 건조해지고, 주름이 생기며 피부의 탄력을 잃게 된다. 피부노화에 관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이 자유 전자기(free radical)와 활성산소종(Reactive oxigen species)이다. 이들은 자연적으로 생체 내에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태양광선 노출이나 여러 가지의 화학물질 등의 접촉의해 발생되어진다[B. A. Jurkiewicz and G. R. Buettner, Ultraviolet light-induced free radicalformation in skin: an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study. Photochem. Photobiol., 59, pp1-4, 1994]. 발생되어진 자유 전자기나 활성 산소종은 피부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긴 물질은 멜라닌과 주름을 생성시키는 원인물질로 여겨진다[Tomita, Y. and Seiji, M. Inactivation mechanism of tyrosinase in mouse melanoma. J. Dermatol., 4, pp245-249, 1977]. 피부내 탄력을 유지시켜주는 고분자 기질들(콜라겐, 히아루론산, 엘라스틴) 등에 활성 산소를 노출함으로써 이들 기질들이 순차적으로 절단됨이 밝혀졌다[M. Yaar and B. A. Gilchrest, Aging versus photoaging: postulated mechanisms and effectors,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3, pp47-51, 1998]. 한편, 피부에서의 색소 침착은 멜라닌 생성 혹은 멜라노사이트의 증식에 의해 야기되며 이러한 색소 침착은 다양한 방법으로 억제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멜라닌합성의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억제, 멜라노사이트의 기능감소, 자동산화 반응의 억제를 통한 멜라닌 생성의 감소, 홍반과 같은 염증반응 억제등 다양한 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부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과잉의 활성 산소종 생성을 억제하고 또한 생성된 활성 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피부의 주름을 일으키는 효소들의 억제, 색소침착을 진행하는 효소의 활성 억제 등과 연관된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Goihman-Yahr, M., Skin aging and photoaging: an outlook. Clin. Dermatol. 14, pp153-160, 1996].
한편, 매듭풀(Kummerowia striata)은 줄기는 높이 20~50cm 정도로 비스듬히 자라며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아래를 향한 짧은 털이 많이 달린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3출엽이며 작은잎은 장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거나 다소 파인다.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비 모양의 연홍색 꽃이 1~2송이씩 핀다. 꽃줄기는 짧고 5갈래로 갈라진 꽃받침에는 짧은 털이 있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길며 10개의 수술이 있다. 협과인 열매는 둥글며 안에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전국 각처의 길가나 들판에서 자라는 1년생 초본이다. 원산지는 한국으로 일본, 중국, 사할린섬 등지에 분포한다. 그러나, 이러한 매듭풀은 피부 미백 및 항노화에 유용하다고 보고된 바는 없다.
이에, 산화 작용을 차단하며, 산화 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노화작용을 지연시키며, 피부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기 위한 성분을 찾기 위하여, 자연의 여러 천연식물들을 검색한 결과 매듭풀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 뿐만 아니라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천연식물을 사용함으로서 합성원료들로 야기되는 알러지 및 부작용, 안전성 및 안정성 면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하기에서는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종래 기술들을 기술코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11-0036299호(출원인: (주)아모레퍼시픽)의 발명은 콜라겐 분해와 같은 항노화 효과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11-0117376호(출원인: (주)아모레퍼시픽)의 발명은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노화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31613호(출원인: 코스맥스 주식회사)의 발명은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산뽕나무의 줄기 심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15485호(출원인: 주식회사 바이오랜드)의 발명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수련(Nymphaea tetragona)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라디칼 소거능,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 및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천연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듭풀(Kummerowia stri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매듭풀 추출물은 자유 라디칼 소거능,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 및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바,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매듭풀 추출물 및 이의 분획을 얻기 위한 반응식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매듭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매듭풀 추출물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매듭풀에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매듭풀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및 에탄올, 가장 바람직하게 에탄올을 이용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모든 추출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냉침 추출한다. 상기 추출 용매를 건조된 매듭풀 분량에 1 내지 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은 1시간 내지 30일, 바람직하게 1 내지 15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15 내지 30 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3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가열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40 내지 100℃에서 2 내지 2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 농축은 진공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 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 건조, 진공 건조, 비등 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매듭풀 추출물은 또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제조된다:
1') 매듭풀에 추출 용매, 바람직하게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4') 단계 3')의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에,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 추출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5') 단계 4')로부터 수득된 각각의 분획물들을 각각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 및 5')의 감압 농축은 진공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 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 건조, 진공 건조, 비등 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매듭풀 추출물이 자유 라디칼 소거능,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 및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매듭풀 추출물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매듭풀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소듐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소듐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히알루론산소듐,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소듐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는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소듐,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 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 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 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 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소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 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잔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 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소듐,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소듐,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 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하이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소듐, 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4-tert -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 -(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소듐,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소듐, 말산, 말산소듐, 프말산, 프말산소듐, 숙신산, 숙신산소듐, 수산화소듐, 인산일수소소듐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 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01 내지 3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포뮬레이션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포뮬레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뮬레이션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매듭풀 추출물, 이의 용매 분획물의 제조
매듭풀 5 kg을 측량하여 분말로 파쇄한 후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시료 부피의 5배의 에탄올 용매(70% EtOH)를 가한 후 75℃에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 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고, 이후에 동결건조 (FDU-2100, EYELA, Japan)시켰다.
상기 수득된 감압 농축한 농축액을 물(H2O)층과 헥산(Hexane, HX, H)층으로 분획하고, 이후에, 물층을 디클로로메탄(dichloro methane, CH2Cl2, C)층으로 분획하고, 이후에, 잔류하는 물층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EtOAc, E)층과 물 층으로 분리하였다. 잔류하는 물층을 또다시 n-부탄올(n-butanol, n-BuOH, B)층과 물층으로 분획하였으며, 이에 따라 얻어진 헥산층, 디클로로메탄층, 에틸아세테이트층, n-부탄올층 및 물층을 각각 감압 농축하였다.
매듭풀의 에탄올 추출물과 이의 용매 분획물의 분획 과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생체외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측정을 통한 매듭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미백 효능 분석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매듭풀 추출물 및 이의 용매 분획물들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머쉬룸 티로시나아제 억제 분석(mushroom tyrosinase inhibition assay) 방법을 이용하였다. 1 mM L-티로신(Ltyrosine), 50 mM 인산칼륨 완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5), 및 증류수를 10:10:9의 비율로 혼합한 반응 혼합액 170 ㎕에 10 ㎕의 시료와 20 ㎕의 머쉬룸 티로시나아제 수용액(1000 units/mL)을 첨가한 반응액을 25℃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그런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 nm 에서 생성된 도파크롬(dopachrome)의 양을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 억제 물질로 알려진 코직산(kojic acid)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 억제의 백분율 공식은 다음과 같았다.
[수학식 1]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 {1-(A-B)/C}×100
(상기 식에서, A: 샘플 흡광도, B: 색상 대조군 흡광도, C: 대조군 흡광도)
상기 수학식을 통해 계산된 매듭풀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매 분획물의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 저해능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IC50(ug/ml)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100<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헥산분획(H) 100<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디메틸클로라이드분획(C) 100<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에텔아세테이트분획(E) 229.0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부탄올분획(B) 244.0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물분획 >1000
알부틴 165.3
코직산 4.5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IC50 값이 추출물의 경우 159.3 ㎍/mL으로 나타났고 H, C, E, B 층은 각각 100 이하, 100 이하, 229.0, 및 244.0 ㎍/mL로 나타나는 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알부틴(165.3 ㎍/mL)과 유사한 수치를 보였으며, 높은 효소 활성저해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매듭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이 효과적으로 티로시나아제 발현을 억제하며, 결과적으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여 미백 효과 뿐 아니라, 멜라닌 침착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을 치료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2> 생체외 엘라스트라제 억제 활성 측정을 통한 매듭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노화 효능 분석
50mM Tris-Cl 완충제(pH 8.5)에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50 ㎕를 첨가 후 50mM Tris-Cl 완충액(pH 8.5)에 녹인 기질 N-숙시닐-(Ala)3-p-니트로아닐리드 1 mg/ml 50 ㎕를 첨가하였다. 0.6U/ml 돼지 췌장 엘라스타제(PPE)를 25 ㎕씩 첨가하였다. 잘 교반한 후 25℃에서 5분 반응 후 405nm에서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우르솔릭산(ursolic acid)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시료에 대한 IC50 값을 구해 평가하였다.
[수학식 2]
억제율(%) = [1-(시료-블랭크(blank)/(대조군-블랭크)] × 100
상기 수학식 2를 통해 계산된 매듭풀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매 분획물의 엘라스타라제 효소 활성 저해능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IC50(ug/ml)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1000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헥산분획(H) >1000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디메틸클로라이드분획(C) 530.1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에텔아세테이트분획(E) 786.1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부탄올분획(B) 756.6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물분획 >1000
우르솔릭산 40.6
<실험예 3> 생체외 자유 라디칼 소거능 분석을 통한 매듭풀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효능 분석
<ABTS 검정>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시료의 첨가로 인해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질린-6-설포네이트)(ABTS)가 산화되어 라디칼 양이온(radical-cation)인 ABTS·+가 생성되고 이것의 분해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ABTS·+는 600 내지 750nm 의 범위에서 강한 흡수를 보여주며 이로 인해 분광 분석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다. 페놀성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ABTS·+는 비교적 안정하지만, 페놀성 화합물과 같은 수소 공여체(H-donor)와 강렬하게 반응하여 무색의 ABTS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항산화 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시료와 반응하여 소비된 ABTS·+의 양을 측정하여 BHA와 비교하였다.
7 mM ABTS 완충제와 2.45 mM 칼륨 퍼설페이트 완충제(K2S2O8) 제조 후 ABTS:K2S2O8=2:1 비로 혼합하고, 12 내지 16시간 차광하여 반응시켰다. 734nm에서 측정하는 경우 O.D.값이 0.70±0.02가 나오도록, 모액 완충제를 희석시키고, 완충제 100 ㎕ 농도별로 희석한 추출물 시료 100 ㎕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6분간 반응시켰다. 이러한 시료를 96윌 플레이트로 옮겨서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각의 시료에 대한 IC50 값을 구해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항산화제인 BHA를 사용하였다.
[수학식 3]
평가방법 : 억제율(%) = (대조군-시료)/대조군 × 100
<DPPH 검정>
DPPH에 의한 항산화 활성 측정은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여능으로 방향족 화합물과 아민류 등이 환원되는 것을 지표로 하여 항산화 활성과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DPPH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는 자체가 매우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517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이다. 그 자체가 질소 중심의 라디칼로서 전자 또는 수소를 받아 환원되면 다시 환원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에서 매우 안정하며 항산화 기작 중 양성자-라디칼 스캐빈저에 의하여 탈색되기 때문에 항산화 활성을 육안으로도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술적으로 매우 간단하지만, 매우 반응적이지는 못하다. 몇몇 항산화제들은 매우 빠르게 자유 라디칼과 반응하지만, DPPH 검정의 경우 30분 이상이 걸리기 때문이다.
DPPH 용액, 시료, 또는 표준물이 첨가된 반응액을 30분 동안 상온에 반응시킨 후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4]
평가방법 : 억제율(%) = [(C-D)-(A-B)] / (C-D) × 100
DPPH 시료 MeOH 시료용해 용매
A 100l 100l
B 100l 100l
C 100l 100l
D 100l 100l
시료 IC50(ug/ml)
ABTS DPPH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24.3 >100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헥산분획 64.8 >100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디메틸클로라이드분획 32.4 >100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에텔아세테이트분획 4.4 38.4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부탄올분획 7.5 47.6
매듭풀 에탄올추출물 물분획 60.3 >100
BHA 3.4 15.7
<제형예 1> 영양화장수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으로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5.0
스쿠알란 5.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적량
합계 100
<제형예 2> 영양크림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5.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적량
합계 100
<제형예 3> 팩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5.0
폴리비닐알코올 13.0
소듐카복시 메틸셀룰로오즈 0.2
글리세린 5.0
알라토인 0.1
에탄올 6.0
PEG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적량
합계 100
<제형예 4> 로션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스쿠알란 3.50
세틸알코올 3.00
글리세린 3.0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50
세틸옥타노에이트 6.00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1.50
PEG-100 스테아레이트 1.00
쉐어버터 0.50
카보머 0.30
트리에탄올아민 0.30
메틸파라벤 0.20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15
프로필 파라벤 0.10
조합 향료 0.10
정제수 적량(100까지)

Claims (6)

  1. 매듭풀(Kummerowia stri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매듭풀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헥산, 물,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로 추출한 헥산 분획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풀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 영양로션, 또는 영양크림의 형태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72867A 2014-06-16 2014-06-16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687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867A KR101687254B1 (ko) 2014-06-16 2014-06-16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867A KR101687254B1 (ko) 2014-06-16 2014-06-16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137A KR20150144137A (ko) 2015-12-24
KR101687254B1 true KR101687254B1 (ko) 2016-12-16

Family

ID=5508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867A KR101687254B1 (ko) 2014-06-16 2014-06-16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330B1 (ko) 2023-06-23 2023-08-17 (주)더마랩 매듭풀 함유 식물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0816B2 (ja) * 2000-12-15 2012-02-22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皮膚老化防止剤
KR20080022592A (ko) * 2002-12-27 2008-03-11 다이이찌 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137A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881954B1 (ko) 돌외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4822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744579B1 (ko) 수련, 캐모마일꽃, 모링가 및 마치현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3122B1 (ko)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989034B1 (ko) 쪽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2611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12130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916953B1 (ko) 피부 미백 기능성을 가진 얌빈 추출물
KR101687254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912996B1 (ko)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0422B1 (ko) 쪽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57557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루테올린-6-c-푸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107490B1 (ko) 수선화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8015A (ko)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라디에타 파인 및 구아바 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2097B1 (ko)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764823B1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65032B1 (ko) 물레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3896B1 (ko) 블랙커런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 억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염증 억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염증 억제 화장품
KR101873244B1 (ko)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