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657B1 -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657B1
KR101948657B1 KR1020170154593A KR20170154593A KR101948657B1 KR 101948657 B1 KR101948657 B1 KR 101948657B1 KR 1020170154593 A KR1020170154593 A KR 1020170154593A KR 20170154593 A KR20170154593 A KR 20170154593A KR 101948657 B1 KR101948657 B1 KR 101948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atrata
dryopte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엽
박현우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7015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61K8/9749Filicopsida or Pteridopsi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지네고사리(DRYOPTERIS ATRATA)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톱지네고사리의 초음파 추출물 및 이의 흑효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여 향상된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장벽 개선효과를 갖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SKIN CONTAINING ULTRASONICATING EXTRACT OF DRYOPTERIS ATRATA}
본 발명은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기능과 피부 장벽 개선능이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외부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수분손실을 막는 보호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각질층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에 위치하면서 피부장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각질층은 피부 밖으로 수분과 전해질이 소실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막아준다. 또한, 외부의 물리적 손상과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세균, 바이러스,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이 피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 장벽은 죽은 각질세포(Coneocyte)와 세포간 지질(Intercellular lipid)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피부에 수분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고 피부장벽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세포간지질의 주요한 구성 성분은 세라마이드(40~50%), 콜레스테롤(20~25%) 및 유리 지방산(20~25%) 등으로 이 중 어느 하나의 농도가 변화하게 되면 피부의 보호 장벽 기능의 손실된다. 죽은 각질세포의 표면을 구성하는 각질세포 외피(corneocyte envelope)는 인볼루크린(involucrin), 로리크린(loricrin), 필라그린(filaggrin) 등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세포간 지질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화 또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각질층의 보호 장벽 기능이 감소되면 아토피성 피부염 및 건선 증상 등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어 있다.
각질세포층의 지질막 성분인 피지성분과 표피지질은 수분, 전해질 등의 손실을 막아주고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가 건조해 지지 않게 유지해준다. 각질층 내의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PCA-Na), 아미노산류, 젖산 나트륨, 요소 등과 같은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는 각질층 수분량의 주요한 결정인자로서, 물분자와 수소결합하여 각질층 내 수분을 유지시켜준다. 또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세포간지질은 체내에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억제한다. 표피뿐 아니라 진피에서 역시 수분량이 일정 보존되어야 하는데,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콘드로이친 황산(chondroitin sulfate), 황산 데르마탄(dermatan sulfate), 헤파란 황산(heparan sulfate)등의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가 진피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사리는 양치류(fern)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전세계에 퍼져 있다. 고사리는 하나의 종(species)을 지칭하는 말이 아니라, 약 10여 가지의 종이 속하는 속(genus)을 가르키는 말이다. 과거에는 Pteridium aquilinum라고 하는 하나의 종으로 취급했으나 최근에는 여러 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펴져 있는 양치류(fern)로써 남극대륙이나 사막과 같이 너무 춥거나 더운 지방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볼 수 있다. 다년생 식물로써 겨울에는 잎이 떨어진다.
고사리는 주로 식용으로 사용된다. 고사리의 어린순은 역사적으로 많은 문화에서 식용으로 사용됐다. 어린순은 갈색으로 꼬불꼬불한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양 때문에 어린순을 영어로는 ‘소용돌이 모양의 장식’이란 뜻의 ‘fiddlehead’라고 붙였다. 오늘날에도 식용으로 사용되는데 익혀서, 혹은 날 것으로 소금에 절이거나 말려서 먹는다. 또한, 잎과 뿌리줄기 모두 맥주를 만드는데 사용되며, 뿌리줄기의 전분은 빵을 만드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고사리는 식물성 치료제로도 사용한다. 뿌리줄기를 잘 말려 가루로 만든 것은 기생충에 효과가 있으며,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기관지염 치료제로 뿌리줄기를 날로 먹었다. 최근에는 새로운 살충제 성분을 고사리에서 찾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4960호에서는 가지고비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 소거효과, 주름개선효과, 미백효과, 피부자극 완화효과 등을 갖는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4659호에서는 선바위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 소거효과, 주름개선효과, 미백효과, 피부자극 완화효과 등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천연물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 및 이를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하여 제조된 톱지네고사리 흑효모 발효 추출물에서 피부 보습효과, 피부 장벽 개선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습한 곳에 자생하는 식물인 고사리 중 일본산 ‘톱지네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여 보습 및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열수추출, 실온추출, 가온추출 등의 방법 대신에 초음파추출을 이용하여 톱지네고사리 추출물을 제조할 경우, 피부 보습효과가 매우 향상된다는 놀라운 결과를 도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은 톱지네고사리를 정제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에 넣은 후, 초음파추출기로 약 1 내지 24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은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추가로 발효시켜 얻어진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0 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은 피부 화장료에 적용이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성이 매우 뛰어난 톱지네고사리의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 및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톱지네고사리(DRYOPTERIS ATRATA) 초음파 추출물은 보습 효과(실험예 1), 피부장벽 개선 효과(실험예 2)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톱지네고사리의 용매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기능을 갖는 톱지네고사리(DRYOPTERIS ATRAT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및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톱지네고사리(DRYOPTERIS ATRATA)는 산지 숲 속 도랑가의 습한 곳에 난다. 특히 대한민국의 제주도와 전라도지방에 자생하며 일본, 대만, 중국, 히말라야, 스리랑카에 분포한다. 연두색의 부드러운 신엽이 나올 때 관상가치가 매우 뛰어나다. 톱지네 고사리는 식용과 의약품 원료로 쓰이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톱지네고사리는 톱지네고사리의 전초, 잎, 줄기, 뿌리, 꽃, 열매 등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줄기와 잎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초음파추출"이란, 톱지네고사리를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 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 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용매에 넣은 후, 초음파추출기로 약 4 내지 24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초음파추출의 시간은 추출하고자 하는 시료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추출결과물을 여과 또는 정제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흑효모균으로 20 내지 35℃의 온도 조건 하에서 pH 5 내지 7을 유지하면서, 1 내지 7일 동안 발효시켜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에 탄소원으로 포도당 1~5 중량%를 첨가하고, 펩톤 0.1~1%, 바람직하게는 0.2~0.5 중량%를 추가로 첨가하여 멸균할 수 있다. 여기에 25g/L이 되도록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배양액을 접종하여 배양할 수 있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1 내지 7일간, 20 내지 35℃에서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할 수 있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 후 더이상 배양이 되지 않도록 멸균(121℃, 15분, 1.5기압)하였다. 발효 후 배양균을 1차 제거한 톱지네고사리 발효물을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하여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여과할 수 있다. 여과가 완료되면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 또는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50.0 중량%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제조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
톱지네고사리를 초음파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물로 제조한 것으로서, 톱지네고사리를 시료로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한 다음 300메시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분쇄물을 미세하게 만들었다. 톱지네고사리 분쇄물을 100g/L가 되도록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초음파추출기(내추럴솔루션)로 6시간 동안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 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물을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W/V)가 되게 녹여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은 상기한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제조예 1)을 흑효모로 발효시켜 제조하였고,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먼저,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에 탄소원으로 포도당 3 중량%를 첨가하고, 펩톤 0.5 중량%를 추가로 첨가하여 멸균할 수 있다. 여기에 25g/L이 되도록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배양액을 접종하여 배양할 수 있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7일간, 37℃에서 pH 7로 유지하며 배양할 수 있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 후 더 이상 배양이 되지 않도록 멸균(121℃, 15분, 1.5기압)하였다.
비교제조예 1: 톱지네고사리 용매(물) 추출물의 제조
톱지네고사리를 동결건조하여 마쇄한 후, 톱지네고사리 시료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감압여과하여 추출액과 잔사를 분리한 다음 얻어진 잔사에 추출 시작 당시의 톱지네고사리 중량의 5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첨가하여 6시간 동안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다시 감압여과한 후, 얻어진 잔사에 추출 시작 당시의 톱지네고사리 중량의 1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첨가하여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 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물을 50%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2%(W/V)가 되게 녹여 톱지네고사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2: 톱지네고사리 용매(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비교제조예 1에서 추출용매를 에탄올으로 대체하고, 비교제조예 1의 제조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통하여 톱지네고사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발효 후 배양균을 1차 제거한 톱지네고사리 발효물을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하여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여과할 수 있다. 여과가 완료되면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형예 비교제형예의 제조
다음의 표 1과 같이,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제조예 1) 및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제조예 2)를 포함하는 화장료로서 제형예 1 및 2를 제조하였고, 효능의 비교를 위해 톱지네고사리 용매 추출물(비교제조예 1 및 2)와 톱지네고사리 추출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비교제형예 1 내지 3, 추출물이나 보습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비교제형예 4를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비교제형예 4
제조예 1 5.0 - - - - -
제조예 2 - 5.0 - - - -
비교제조예 1 - - 5.0 - - -
비교제조예 2 - - - 5.0 - -
글리세린 - - - - 5.0 -
1.3-부틸렌글리콜 - - - - 5.0 -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2.0 2.0 2.0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5 0.5 0.5 0.5 0.5 0.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유동파라핀 2.0 2.0 2.0 2.0 2.0 2.0
트리옥타노인 3.0 3.0 3.0 3.0 3.0 3.0
폴리솔베이트 1.0 1.0 1.0 1.0 1.0 1.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0.1 0.1 0.1
사이클로메치콘 4.0 4.0 4.0 4.0 4.0 4.0
BHT 0.05 0.05 0.05 0.05 0.05 0.05
향,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 보습 효과
제형예 1 및 2와 비교제형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 보습 효과 및 지속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36명을 무작위로 6 명씩 그룹을 형성하여 각 그룹에 맞는 제형예 및 비교제형예를 각각 1일 2회씩 4주간 두 개의 제형을 한쪽씩 양쪽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 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부터 2주, 그리고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Corneometer CM 820(Corage +Khazaka,Germany)을 이용하여 표피 수분량에 따른 피부 전기전도도의 증가율(%)을 수치화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제형예 1 24.92 55.78 67.87
제형예 2 26.31 59.21 77.58
비교제형예 1 24.48 35.73 47.22
비교제형예 2 25.84 33.62 43.68
비교제형예 3 25.22 35.13 42.83
비교제형예 4 22.17 29.55 36.58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1 및 흑효모 발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2가 톱지네고사리 용매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1 및 2, 화학 보습제를 함유한 비교제형예 3보다도 피부 전기전도도 증가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전도도는 피부 수분량에 비례하므로, 상기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 및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그렇지 않은 화장료에 비해 피부 수분 함량도 높게 유지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 것이다. 또한, 본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모든 피검자들에게서 피부 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실험예 2: 피부장벽 개선 효과
25℃, 상대습도 4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건강한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피부 장벽 손상은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 Sodium Lauryl Sulfate) 1% 수용액을 이용하여 유발하였고, 상기 제형예 1 및 2와 비교제형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을 팔의 상박에 도포한 후 TEWAMETER TM210(C+K eletronic GmhH. Germany)을 이용하여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즉,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 값을 시간 변화에 따른 TEWL 값 변화량을 측정하여 피부장벽 회복율(%)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장벽 회복율(%)
2D 4D 6D 8D
제형예 1 24.17 42.36 57.31 78.71
제형예 2 43.11 63.33 82.32 95.69
비교제형예 1 22.12 36.35 53.15 66.38
비교제형예 2 24.39 33.52 51.72 63.98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장벽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특히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2가 비교제형예 1 및 2에 비해 경피 수분 손실량이 매우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톱지네고사리(Dryopteris atrata)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지네고사리(Dryopteris atrata) 초음파 추출물은 톱지네고사리를 정제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에 넣은 후, 초음파추출기로 1 내지 12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지네고사리(Dryopteris atrata) 초음파 추출물은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흑효모균(Aureobasidium pullulans)으로 추가로 발효시켜 얻어진 흑효모 발효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인 것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지네고사리(Dryopteris atrata) 초음파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54593A 2017-11-20 2017-11-20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8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593A KR101948657B1 (ko) 2017-11-20 2017-11-20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593A KR101948657B1 (ko) 2017-11-20 2017-11-20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657B1 true KR101948657B1 (ko) 2019-02-18

Family

ID=6556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593A KR101948657B1 (ko) 2017-11-20 2017-11-20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776A (ko) * 2020-04-09 2021-10-19 인핸스비 주식회사 피부 보호 성분이 포함된 마스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ndal, A. & Mondal, AK. African Journal of Plant Science, (2011) 5(7):412-420 *
Uwumarongie, HO. et al., Ewemen Journal of Herbal Chemisty&Pharmacologt Research, 2016, 2(1):19-2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776A (ko) * 2020-04-09 2021-10-19 인핸스비 주식회사 피부 보호 성분이 포함된 마스크
KR102403445B1 (ko) * 2020-04-09 2022-05-31 인핸스비 주식회사 피부 보호 성분이 포함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CN106880561B (zh) 用于调节皮肤温度的含有紫竹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KR101375137B1 (ko)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0288A (ko) 흑효모로 발효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534A (ko)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1842A (ko) 쪽동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20190045455A (ko) 갈대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8657B1 (ko)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8459B1 (ko)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15522B1 (ko) 발효 만주자작나무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8800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2114246B1 (ko) 흑효모 발효 작약꽃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4100B1 (ko)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1816B1 (ko) 월귤 열매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월귤 열매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80B1 (ko) 타이거넛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0741B1 (ko) 떡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9373B1 (ko) 소두구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