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687B1 -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687B1
KR101502687B1 KR1020130081409A KR20130081409A KR101502687B1 KR 101502687 B1 KR101502687 B1 KR 101502687B1 KR 1020130081409 A KR1020130081409 A KR 1020130081409A KR 20130081409 A KR20130081409 A KR 20130081409A KR 101502687 B1 KR101502687 B1 KR 101502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bean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464A (ko
Inventor
모상현
정대현
이정훈
서효현
최수용
신동선
조문진
모지홍
이진형
김은애
방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to KR102013008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6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면서도 피부 콜라겐 합성능이 탁월하며, 모공축소, 피지분비억제, 보습, 항염, 여드름개선 효능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Beans Placenta Cell Cultures Extracts}
본 발명은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면서도 피부 콜라겐 합성능이 탁월하며, 모공축소, 피지분비억제, 보습, 항염, 여드름개선 효능을 가지고 있다.
피부는 체내의 모든 기관을 기온 및 습도의 변화와 자외선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받는 끊임없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은 피부 기능을 저하시키고 피부의 노화 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피부의 노화는 피부 구성 성분의 전체적인 악화를 수반하여 결과적으로 피부가 쉽게 갈라지게 된다. 또한, 섬유 아세포의 감소 및 이 세포의 활성도 손상 역시 피부 노화 프로세스 중에 중요한 부분을차지한다.
이러한 피부 노화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각종 식물, 동물, 미생물로부터 얻은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해 왔다.그러나 기존의 화장품 원료는 만족할만한 효과나 효능을 충족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하고, 오히려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스트레스나 자외선과 같은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 하거나 원래상태로 회복시키려고 하는 방어 기전의 하나로서 신경, 혈관, 조직, 혈액 등과 세포 반응을 일으키는데 그 정도가 지나칠 경우 결과적으로 가려움, 발열, 발적 등이나 통증, 조직 손상 등 피부 염증 및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피부 염증, 피부 트러블은 사이토카인의 조절 및 염증 매개분자의 발현 억제에 의해 자극과 염증을 조절하여 피부 정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은 비스테로이드계로서 프루페나믹산 (flufenamic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로는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디키닌 길항제, COX 억제제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화장료 배합시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공개특허 10-2008-0020853).
한편, 여드름(심상성 좌창 : Acne vulgaris)이란 모공이 좁아지거나 막혀 피지가 배출되지 못해 생기는 피부병이다.털을 만드는 모낭에는 털에 기름을 분비하여 촉촉하게 하는 피지선이 있는데. 이 피지선의 분비가 늘어나거나 모낭 입구가 막히면 여드름균의 증식이 활발하여 여드름을 일으킨다. 여드름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 여드름을 일으키는 세균 즉,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증식 및 피지 분비 증가가 가장 중요하다. 여드름 환자의 경우 안드로겐이 피지선을 자극하여 피지 분비를 증가시키고, 이렇게 증가된 피지들이 죽은 피부세포들과 엉키고 뭉쳐지게 되면서 모낭 입구를 막는다. 이렇게 막힌 모낭 입구는 혐기성 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가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되고, 이들이 분비한 리파아제(lipase)들이 피지를 분해하여, 그 분해산물이 모낭에 자극을 주어 결국 염증을 일으킨다. 여드름의 예방과 치료는 과도한 피지 분비 억제와 염증완화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그 원인을 복합적으로 제거를 한다면 여드름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여드름은 근래에 와서 외부적 스트레스, 대기 오염물, 호르몬 불균형 등으로 청소년 뿐만 아니라 성인에게서 유발되는 경향이 증가되고 있고, 이현상은 해마다 현저해지고 있기 때문에 여드름과 관련된 방법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여드름과 관련된 피부트러블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살리실릭산 및 트리클로산(triclosan) 및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모공을 열어주고 피지 분비를 촉진하여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고(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89072호),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복용함으로써 피지선에서의 피지 분비량을 감소시켜 피지분비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평 05-294836호). 또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항균력을 가진 제비꽃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시켜 여드름의 예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82616호)
두류는 콩과 식물(Leguminose)이 생산하는 종실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두류에는 대두, 덩굴강낭콩, 잠두 등이 있다.
대두는 일반적으로 콩이라 부르며, 콩류 중 가장 중요한 식용작물이다. 중남미 원산인 덩굴강낭콩(Phaseolus vulgalis)은 대두 다음으로 중요하다. 미국에서는 콩팥꼴에 붉은색, 암적색, 흰색인 독특한 형태의 것을 kidney bean이라 부르고 있다. 덩굴강낭콩의 어떤 변종들은 마른 씨만을 얻기 위해 심고 있으며, 덜 성숙한 꼬투리만을 얻기 위해 심는 것도 있고 성숙의 정도에 관계없이 씨만을 얻기 위해 심는 것도 있다. 성숙한 상태의 덩굴강낭콩은 브라질, 중국, 미국이 세계 생산량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라틴 아메리카와 크리올식 요리에서는 이 콩을 두드러지게 많이 쓰고 있다. 잠두는 세번째로 중요한 콩이다. 무더위에 잘 견디지 못해 여름에는 온대지역의 서늘한 곳에서, 겨울에는 이보다 더 따뜻한 곳에서만 자란다. 높이는 60~150cm까지 자라며 가지가 거의 없는데, 줄기와 가지에는 짧은 잎자루의 잎이 뭉쳐난다. 꼬투리는 잎겨드랑이에 거의 곧추서서 무리지어 달리며, 씨는 크고 울퉁불퉁하면서 납작하다. 중앙 아메리카 원산인 리마콩(Phaseolus limensis)은 아메리카 대륙 이외의 몇 나라에서만 상업적으로 중요하다. 식품으로 쓰기 위해서만 재배된다. 덤불을 이루거나 덩굴성인 종류들은 꼬투리의 크기와 모양, 씨의 크기, 모양, 굵기, 빛깔 등이 매우 다양하다. 꼬투리는 넓고 납작하며 약간 굽었다. 리마콩은 씨껍질의 가는 능선이 독특해 쉽게 구별할 수 있는데, 눈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있다. 열대지역에서는 여러해살이풀로 자라지만 그밖의 지역에서는 한해살이풀로 자란다. 코키뉴스콩(Phaseolus coccineus)은 아메리카 대륙 열대지역이 원산지로 야생인 경우에는 여러해살이풀로 자라지만 온대지역에서는 심홍색의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크고 거치른 꼬투리와 크고 화려한 씨를 맺는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자란다. 영국과 유럽에서는 눈길을 끄는 꽃과 다육질의 성숙되지 않은 꼬투리를 얻기 위해 기르고 있다. 녹두(Phaseolus radiatus=Phaseolus aureus)는 인도가 원산지로 꼬투리와 씨가 작다. 꼬투리는 길이가 7.5~10cm로 가늘며, 지름 3mm 정도의 둥근꼴에서 긴 길둥근꼴까지 다양한 모양의 씨가 10~14개 들어있다. 동양에서는 숙주나물 같은 식품으로 쓰기 위해 기르고 있다. 돌리코스 비플로루스(Dolichos biflorus)는 인도가 원산지이며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큰 덩굴식물과 유연관계가 있는데, 미숙한 씨를 아시아에서 흔히 식품으로 쓰고 있다. 마른 씨는 크고 어두운 색에서 검은색을 띠며 둥근 것에서 약간 납작한 것, 길쭉한 것까지 있다. 한국에서 자라거나 심고 있는 것으로는 대두, 완두(Pisum sativum), 녹두, 리마콩, 동부(Vigna sinensis), 땅콩(Arachis hypogaea), 잠두, 편두(Dolichos lablab), 덩굴강낭콩을 비롯해 팥(Phaseolus angularis), 새팥(Phaseolus nipponensis), 덩굴팥(Phaseolus calcaratus), 강낭콩(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붉은강낭콩(Phaseolus multiflorus), 작두콩(Canavalia gladiata)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새팥만이 원래 한국에서 자라던 것이고 나머지는 모두 인도나 중국 등에서 들어온 종이다. 이러한 두류에 대해서는 종래 식용으로써 각종 식품에 적용된 사례가 많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89072호 일본 특허공개 평 05-2948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82616호
본 발명자들은 피부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두류의 태좌조직을 분리하고, 식물조직배양을 통해 배양하여 두류의 태좌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얻고, 이것이 피부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활성화시키고, 항염, 항산화, 모공축소, 주름개선효능, 피지분비억제, 여드름 개선능 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방지 또는 개선용, 항염용, 모공 축소용, 피지분비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류는 검정콩(서리태), 줄무늬콩, 완두(Pisum sativum), 녹두, 리마콩, 동부(Vigna sinensis), 땅콩(Arachis hypogaea), 잠두, 편두(Dolichos lablab), 덩굴강낭콩, 팥(Phaseolus angularis), 새팥(Phaseolus nipponensis), 덩굴팥(Phaseolus calcaratus), 강낭콩(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붉은강낭콩(Phaseolus multiflorus), 또는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방지 또는 개선용, 항염용, 모공 축소용, 피지분비억제용 또는 여드름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면서도 피부 콜라겐 합성능이 탁월하여 주름개선 또는 주름 방지, 항염, 모공축소, 피지분비 억제, 여드름 개선 효능을 가지고 있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두류는 사전적 의미로써, 콩과 식물(Leguminose)이 생산하는 종실을 총칭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로써, 상기 두류로는, 검정콩(서리태), 줄무늬콩, 완두(Pisum sativum), 녹두, 리마콩, 동부(Vigna sinensis), 땅콩(Arachis hypogaea), 잠두, 편두(Dolichos lablab), 덩굴강낭콩, 팥(Phaseolus angularis), 새팥(Phaseolus nipponensis), 덩굴팥(Phaseolus calcaratus), 강낭콩(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붉은강낭콩(Phaseolus multiflorus), 또는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검정콩(서리태)은 껍질은 검은색이지만 속이 파랗다고 하여 속청이라고도 부른다. 작물의 생육 기간이 길어서 10월경에 서리를 맞은 뒤에나 수확할 수 있으며, 서리를 맞아 가며 자란다고 하여 서리태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줄무늬콩은 흰색에 붉은색 줄무늬가 있는 꼬투리 속에 있는 콩으로 옅은 회색에 붉은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크랜베리빈(cranberry bean)은 흰색에 붉은색 줄무늬가 있는 꼬투리 속에서 자라는 콩으로 옅은 회색에 붉은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셀빈(shell bean)이라고도 하며 견과류와 비슷한 맛이 있다.
완두는 완두콩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콩과 식물이다. 3~4월에 파종하여 6월에 수확하는 비교적 단기간에 자라는 콩이며, 키가 작은 종류와 덩굴을 키우는 두 종류의 완두가 있다
동부는 cow pea라고도 하며, 둥글거나 타원형으로 식용으로 이용되며 당질(糖質)과 단백질 함량이 많으며 비타민B 도 풍부함
땅콩은 지역에 따라서는 호콩·왜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자로는 땅속에서 열매를 맺는다고 하여 낙화생(落花生)·낙화송(落花松)·낙화삼(落花蔘)·지두(地豆)라고도 하며, 남경두(南京豆)·향두(香豆)·만세과(萬歲果)·장생과(長生果)·당인두(唐人豆)·번두(蕃豆) 등의 별칭을 가지고 있다. 학명은 Arachis hypogaea L.이다. 원산지는 브라질을 중심으로 한 남미대륙이다.
편두는 까치콩·나물콩·제비콩·변두라고도 한다. 검은 줄 사이에 흰 줄무늬가 있어서 까치와 비슷하다는 의미에서 작두(鵲豆)라고도 한다. 남아메리카 열대 원산이며 한국에서는 한해살이풀로 털이 다소 있거나 없다. 잎은 3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지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길이 5∼7㎝이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중남미 원산인 덩굴강낭콩(Phaseolus vulgalis)은 미국에서는 콩팥꼴에 붉은색, 암적색, 흰색인 독특한 형태의 것을 kidney bean 이라 부르고 있다. 덩굴강낭콩의 어떤 변종들은 마른 씨만을 얻기 위해 심고 있으며, 덜 성숙한 꼬투리만을 얻기 위해 심는 것도 있고 성숙의 정도에 관계없이 씨만을 얻기 위해 심는 것도 있다. 성숙한 상태의 덩굴강낭콩은 브라질, 중국, 미국이 세계 생산량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라틴 아메리카와 크리올식 요리에서는 이 콩을 두드러지게 많이 쓰고 있다.
잠두는 무더위에 잘 견디지 못해 여름에는 온대지역의 서늘한 곳에서, 겨울에는 이보다 더 따뜻한 곳에서만 자란다. 높이는 60~150cm까지 자라며 가지가 거의 없는데, 줄기와 가지에는 짧은 잎자루의 잎이 뭉쳐난다. 꼬투리는 잎겨드랑이에 거의 곧추서서 무리지어 달리며, 씨는 크고 울퉁불퉁하면서 납작하다.
중앙 아메리카 원산인 리마콩(Phaseolus limensis)은 아메리카 대륙 이외의 몇 나라에서만 상업적으로 중요하다. 식품으로 쓰기 위해서만 재배된다. 덤불을 이루거나 덩굴성인 종류들은 꼬투리의 크기와 모양, 씨의 크기, 모양, 굵기, 빛깔 등이 매우 다양하다. 꼬투리는 넓고 납작하며 약간 굽었다. 리마콩은 씨껍질의 가는 능선이 독특해 쉽게 구별할 수 있는데, 눈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있다. 열대지역에서는 여러해살이풀로 자라지만 그밖의 지역에서는 한해살이풀로 자란다.
녹두(Phaseolus radiatus=Phaseolus aureus)는 인도가 원산지로 꼬투리와 씨가 작다. 꼬투리는 길이가 7.5~10cm로 가늘며, 지름 3mm 정도의 둥근꼴에서 긴 길둥근꼴까지 다양한 모양의 씨가 10~14개 들어있다. 동양에서는 숙주나물 같은 식품으로 쓰기 위해 기르고 있다.
팥은 Azuki bean 이라고도 하며, 자그마한 타원형의 콩은 다른 나라에서도 널리 먹지만, 특히 일본, 중국, 한국에서 인기가 높다. 팥에는 빨강팥과 흰팥이 있고 빨강팥에는 대립종(백립중 17g 이상)과 보통팥(중립종), 흰팥으로는 소립종이 유통되고 있다. 그밖에 팥에는 중립종이 있다. 또한,팥에는 덩굴성 팥에서 나오는 덩굴팥이 있는데, 원기둥 모양 긴 타원형으로 붉은색 또는 연한 노란색이며 식용한다. 새팥은 우리나라 각처 낮은 산과 들에 자라는 일년생 덩굴로, 그 종자는 9~10월경에 달리고 흑갈색으로 길이는 3~7㎝이다
강낭콩은 서늘한 기후의 콩과 식물에서 나오는 것으로, kidney bean이라고도 한다.
작두콩은 식용으로 재배하는 작두콩 식물의 열매로써, 열매가 작두같이 생겼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비율은 단지 바람직한 범위일 뿐이며, 예컨대, 하기 실시예에서는 0.005 내지 5중량%의 경우를 실험하였으나, 이 이외에 10중량%까지, 또는 그 이상의 20%, 30% 이상 경우도, 우수한 피부개선효과, 항염, 주름개선, 모공축소, 피지분비억제, 여드름개선, 항산화 기능을 가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배양체) 자체를 사용하거나, 배양물을 여과하여 사용하거나, 배양물을 파쇄하여 사용하거나, 배양물을 건조시켜 분말화한 다음, 정제수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상기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분말화하거나, 냉수추출법,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수(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추출, 열수 추출 등이 있다. 여기서, 열수추출의 경우, 열탕증류기에서 8 ∼ 48시간동안, 80 ∼100 ℃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는다. 냉수 추출의 경우, 예컨대, 냉수 (15-25℃)에 상기 태좌세포 배양물 자체 또는 그것의 건조된 분말을 혼합하여 3일동안 추출하여 냉수추출물을 얻는다.
또는,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추출한 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생약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약제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탄올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20-50% 에탄올 추출물, 일 구체예로써 50% 에탄올 추출물이 바람직하며, 추출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50% 에탄올에 섞은 후 3일동안 교반하여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농축, 또는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추출물의 증류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개선용”이란, 피부 보호 및 피부 상태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면역질환 개선능,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피부자극 완화, 피부 세포 증식 및 재생능, 항산화능, 콜라겐 합성 증진능, 여드름 개선, 피지분비 억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의 의미는, 화장료 조성물로써,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화장료 조성물로써 주름개선효능과 관련된 콜라겐 합성 또는 iNOS 억제 활성, 항산화, 피부보습, 모공수축, 피지억제, 여드름 개선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실험예 1 내지 8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특히, 프로콜라겐 증가, 콜라겐 생합성 증가능을 가지고 있어,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방지용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iNOS 억제 활성을 통한 항염, 피부 염증 예방, 완화, 경감, 치료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항산화, 피부 보습, 모공 축소, 피지 억제, 여드름 개선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식물의 태좌(胎座, Placenta)는 동물 유래의 태반과 같이, 종자 육성을 주관하는 중요한 부위로, 암술의 씨방(자방, 子房, Ovary)안에서 밑씨가 붙는 부분이다. 보통 씨방을 형성하는 심피(心皮, carpel)의 가장자리에 있는데, 때로는 심피의 중맥에도 있다. 또 씨방의 기저나, 기저로부터 씨방 안에 직립하는 기둥 모양으로 생길 때도 있다.
식물조직배양은 살아있는 작은 식물 조직을 기내(in vitro)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여 배양 목적에 따라서 식물 세포, 기관 및 식물체를 증식 시키는 기술이다. 식물조직배양에는 식물이 지니는 기본적인 특성을 이용한다고 볼 수 있다. 식물조직배양 기술은 식물이 지니는 독특한 특징인 식물의 체세포로부터 식물체를 재생시킬 수 있는 분화전능성(totipotency)을 이용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다. 즉, 식물의 단세포(원형질체 포함), 잎 및 뿌리 절편을 특정 영양물질 및 생장 조절제가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면 이들 세포 및 조직으로부터 식물체가 재생될 수 있다. 이러한 식물이 분화전능성(totipotency)을 지니는 능력은 식물이 지니는 특성인 고착 생활과 장기간 생존을 위하여 열악한 환경 및 초식동물의 피해로부터 생존을 하기 위한 전략이다. 따라서 식물은 잃어버린 기관을 다시 재생시키기 위한 능력을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모식물체로부터 분리된 식물조직세포는 적정배양환경에서 배양하면 완전한 식물체로 재생될 수 있는 잠재력 즉, 전형성능을 가지고 있는 식물은 발생학 등의 학술적인 중요성은 물론이지만 화장품 원료 등의 실용화를 위해서도 활용가치가 크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두류의 태좌조직을 분리하여 태좌세포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a)단계에서, 구체적으로는 두류 태좌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 적절한 배지를 선택할 수 있다. 기술 분야에서 식물조직배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배지가 있다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식물에서는 일반적으로 MS배지, B5배지 등을 주로 사용하고, 일 예로, MS배지의 조성(1L기준시)은 NH4NO3 1650 mg, KNO3 1900 mg, CaCl2.2H2O 440 mg, MgSO4.7H2O 370 mg, KH2PO4 170 mg, KI 0.83 mg, H3BO3 6.2 mg, MnSO4.4H2O 22.3 mg, ZnSO4.7H2O 8.6 mg, Na2MoO4.2H2O 0.25 mg, CuSO4,5H2O 0.025 mg, CoCl2.6H2O 0.025 mg, FeSO4.7H2O 27.8 mg, Na2EDTA.2H2O 37.3 mg, Myoinositol 100 mg, Nicotinic acid 0.5 mg, Pyridoxine-HCl 0.5 mg, Thiamine-HCl 0.5 mg, Glycine 2 mg, Sucrose 30000 mg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있어서, (a)단계의 배양을 통해 얻어진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그대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절한 형태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배양물을 공지된 추출 방법을 통해 추출물 형태로 수득하여 적절한 형태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b)단계는, (a)단계에서 얻어진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을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정제수에 혼합시켜 조성물을 제조하거나,
(a)단계에서 얻어진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을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정제수에 혼합시킨 다음, 냉수 추출, 열수 추출 또는 에탄올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배양물을 열풍 건조후 분말화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조되는 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키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부제, 항료, 착색료, 정제수 등을 필요에 따라 미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화장수, 에센스, 젤,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또는 젤라틴 등의 피막이 있는 캅셀 (소프트 캅셀, 하드 캅셀) 제형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부는 얼굴 뿐만 아니라, 두피, 전신도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러한 두피에 적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로써,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발모제 등이 있고, 전신에 적용될 수 있는 바디클렌져 등의 용도로써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제조방법을 일부 변형시킨 방법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특별히 개시된 제조방법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경우,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증진능에 따른 피부 노화 방지, iNOS 활성 저해를 통한 염증의 완화/예방, 피지분비 억제, 여드름개선, 항산화, 피부보습, 모공수축 등을 비롯한 기능성 화장품의 형태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특히,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에 관한 효능을 확인하였으나, 추출물이 아닌 배양물 자체에 대해서도 이러한 효과가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1: 본 발명에 따른 두류태좌세포 채취
본 발명에 사용된 두류(검정콩(서리태), 줄무늬콩, 완두(Pisum sativum), 녹두, 리마콩, 동부(Vigna sinensis), 땅콩(Arachis hypogaea), 잠두, 편두(Dolichos lablab), 덩굴강낭콩, 팥(Phaseolus angularis), 새팥(Phaseolus nipponensis), 덩굴팥(Phaseolus calcaratus), 강낭콩(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붉은강낭콩(Phaseolus multiflorus), 또는 작두콩(Canavalia gladiata))는 경남 진주시 사봉면 등건리에서 수확한 것으로, 70% 에탄올에 30초 동안 침지한 후 멸균수로 세척하고 다시 소독액 (30% 락스 +Tween20)으로 20분 소독한 후 멸균수로 3회 수세하여 염농도를 1/2로 줄인 MS배지 (Murashige and Skoog, 1962)에 agar 8g/L, sucrose 30g/L를 첨가한 배지에 파종하고, 25℃, 습도 70% 의 생장상에서 7일간 암실 배양하며 발아를 유도하였고, 발아된 각각의 두류는 기본 MS배지상에서 25℃, 습도 70% 의 생장상에서 명배양하며 계속 키웠다. 두 달 정도 키운 콩깍지내에서 태좌부위를 채취하였다.
실시예 1-2: 본 발명에 따른 두류태좌세포 배양 및 대량생산
무균적으로 채취된 두류태좌조직을 3% Sucrose 및 agar 8g/L가 포함된 MS 기본배지(Murashige and Skoog 1962, Duchefa 사, Cat No. M0221)에서 2~3주의 일정기간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이후, 풍선형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agar를 제외한 동일한 조성의 액체 배지에서 온도 25℃, 습도 70%, 공기공급량 0.1 vvm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며 14일 간격으로 배양함으로써, 태좌세포 배양 및 증식하여 대량생산하였다.
실시예 1-3: 본 발명에 따른 두류태좌세포 배양 추출물 제조
증식된 두류태좌세포배양물을 수확하여 깨끗한 티슈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60℃로 2일 동안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두류태좌세포배양물 분말 50g을 용기에 담고, 1L의 정제수를 넣고 열수추출하였다. 열수추출은 8~48시간 정도, 80 ∼ 100 ℃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 후, mesh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나온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정제수에 녹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의 피부세포생존율( Cell Viability)에 미치는 영향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에 대한 피부 세포의 증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각질형성 세포(human keratinocyte cell, HaCaT)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주 받아서 배양하였다. 각 세포를 1×104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 well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10% FBS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USA)을 사용하였다. 10% FBS를 함유하는 DMEM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배양용기 표면적의 25 ~ 30%만큼 배양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0.5중량%, 2중량%가 함유된 FBS-free DMEM으로 교체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롬화물 (MTT, Sigma M5655, USA) 용액 (2.5 mg/ml)을 50㎕ 첨가하고 3시간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well 당 200 ㎕의 Dimethylsulfoxide (DMSO, Sigma D2650, USA)용액을 가한 후 20분간 교반하여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녹인 다음, 100㎕ 씩을 96 well 로 취하여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57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세포의 증식 활성 정도는 순수한 물을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결과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수학식 1]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효과 (%) = [(실험군 흡광도 - 대조군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100
시 료
(두류태좌세포 배양 추출물)
Cell viability ( % of control)
0.5 % 2 %
1 검은콩(서리태) 101.3 123.2
2 줄무늬콩 101.5 124.5
3 완두콩 103.6 108.6
4 녹두 106.6 108.0
5 리마콩 95.8 114.0
6 동부 102.7 106.8
7 땅콩 101.5 124.5
8 잠두 101.3 123.2
9 편두 96.3 98.3
10 100 105.4
11 새팥 105.6 110.8
12 강낭콩 103.4 112.0
13 넝쿨팥 98.7 108.7
상기 인간각질형성 세포를 이용한 Cytotoxicity(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시험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0.5 % 및 2 %의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에 의해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즉,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험예 2: Procollagen 합성 증진 시험
인간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를 37℃, 5% CO2 배양기에서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세포 배양기내에서 10% FBS, Penicillin(50U/ml), Streptomycin(50/ml)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USA)으로 배양하여, 1×105개/ml로 24 well plate에 500㎕ 씩 분주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대조군(DMEM 배지)과 0.5중량% 및 2중량%의 농도의 실시예 1에서 얻은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을 함유한 배지를 넣고 48시간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배지의 상층액을 각각 20㎕ 을 취해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PICP, Takara, Cat No. MK101)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PICP양은 ng/1×105세포로 환산하였으며,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여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3062354985-pat00001
시 료
(태좌세포 배양 추출물)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 (% of control)
0.5 % 2 %
1 검은콩(서리태) 103.1 132.2
2 줄무늬콩 105.5 125.4
3 완두콩 106.3 108.6
4 녹두 106.0 108.6
5 리마콩 105.1 109.0
6 동부 107.2 108.6
7 땅콩 105.1 125.4
8 잠두 103.1 121.2
9 편두 98.3 100.3
10 103.1 109.4
11 새팥 107.6 118.8
12 강낭콩 108.4 112.0
13 넝쿨팥 100.7 108.7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1의 0.5중량% 및 2중량%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rocollagen 생합성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어, 탁월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iNOS 활성 저해에 의항 항염효과 실험
Raw 264.7 세포주로부터 생성된 nitric oxide(NO)의 양은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 형태로서 Griess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μg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cell에서 NO 생성 억제를 측정하기 위해, 2중량%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과 대조군을 24시간 세포배양 한 후 Griess reagent를 세포배양 상층액 100 μl와 Griess시약 (1% sulfanilamide in 5% phosphoric acid, 1% α-naphthylamide in H2O) 100 μl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s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2 -의 농도는 sodium nitrate를 희석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 곡선을 얻었다.
LPS
처리유무
시 료
(2% 태좌세포 배양 추출물)
Cell Viability (%) NO Production (μM)
- 대조군 100 1.3







+
대조군 60 3.3
검은콩(서리태) 132.2 1.25
줄무늬콩 125.4 2.2
완두콩 108.6 3.1
녹두 108.6 2.8
리마콩 109.0 2.1
동부 108.6 3
땅콩 125.4 2.6
잠두 121.2 .8
편두 100.3 2.9
109.4 2.78
새팥 118.8 2.35
강낭콩 112.0 2.5
넝쿨팥 108.7 2.7
Indomethacin
(100M)
95.8 3.1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iNOS의 활성은 2중량% 농도의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이 처리에 의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NO 생산을 저해하며 매우 우수한 염증 억제 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4: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능의 측정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 free radical이 추출물 내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radical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으로 Van den Berg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1.0 mM의 AAPH(2,2'-azo-bis 2-amidinopropanedeihydrochloride)는 100 mM PBS buffer에 녹인 2.5 mM ABTS(2,2'-azino-bis 3-ethylbenzenothiazolin-6-sulfonic acid)와 혼합한 후 68℃ 의 항온조에서 12분 동안 반응시켰다. 0.5중량%, 2중량% 농도 실시예1의 추출물 20㎕ 와 980㎕ ABTS 용액을 37℃ water bath에서 10분간 반응시키면서 734 nm에서 감소하는 흡광도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양성대조군은 Trolox 0.1 % 을 사용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다음의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결과는 표 4와 같았다.
[수학식 3]
Figure 112013062354985-pat00002
시 료
(두류태좌세포 배양 추출물)
ABTS 라디컬 소거 활성
(% of control)
0.5 % 2 %
1 검은콩(서리태) 15 50
2 줄무늬콩 10 40
3 완두콩 8 22
4 녹두 5 20
5 리마콩 10 40
6 동부 13 52
7 땅콩 9 36
8 잠두 5 20
9 편두 7 28
10 18 72
11 새팥 22 78
12 강낭콩 12 48
13 넝쿨팥 10 40
Trolox
(양성 대조물질)
21 84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인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양성 대조물질과 유사한 수준 정도로 항산화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피부 보습 효능 실험
원 료 명 중량 %(w/w)
비교
제조
예1
제조
예1
제조
예2
제조
예3
제조
예4
제조
예5
제조
예6
제조
예7
제조
예8
제조
예9
제조
예10
제조
예11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밀납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디메틸실록산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프로필렌글리콜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0.25 0.25 0.25 0.25 0.25 0.25 0.25 0.25 0.2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색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검은콩(서리태) - 2 - - - - - - - - - -
줄무늬콩 - - 2 - - - - - - - - -
완두콩 - - - 2 - - - - - - - -
녹두 - - - - 2 - - - - - - -
리마콩 - - - - - 2 - - - - - -
동부 - - - - - - 2 - - - - -
땅콩 - - - - - - - 2 - - - -
편두 - - - - - - - - 2 - - -
- - - - - - - - - 2 - -
새팥 - - - - - - - - - - 2 -
강낭콩 - - - - - - - - - - -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회 도포 시 피부 보습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 피부라고 생각되는 30~40대 성인남, 녀 50명에게 상기 표5의 조성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 및 전박 내측에 도포하도록한 후, 24시간 동안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코니오미터는 피부의 표피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는 것이며, 측정방법은 하기와 같다.
1)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오미터 프로브를 올려놓았다.
2)프로브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capacitance)를 수치화하여 화면에 표시되었다.
3)측정부위를 달리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
4)한번 측정 후, 킴와이프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은 후, 다시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삼고, 12시간, 24시간 경과 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피부 수분량(%)
시료 도포 전 12시간 후 24시간 후
비교제조예 1 30.7 38.3 31.2
제조예 1 30.3 41.2 37.4
제조예 2 30.1 39.9 36.1
제조예 3 29.9 39.7 35.9
제조예 4 30.2 40.3 36.5
제조예 5 30.5 41.5 37.7
제조예 6 30.1 41.1 37.3
제조예 7 30.5 40.9 37.1
제조예 8 30.3 41.1 37.3
제조예 9 30.4 41.8 38
제조예 10 30.3 40.0 36.2
제조예 11 30.4 40.7 36.9
상기의 표 6 결과에서, 비교제조예 1을 도포한 경우는 도포 후 12시간 경과 후에는 피부 수분량이 어느 정도 증가하였지만, 24시간 경과 후에는 도포 전의 상태로 되돌아감을 알 수 있다. 반면, 2중량%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제조예1~제조예11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그 보습력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피부 수분 함량 증가 효과 또한 비교제조예 1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모공수축효과 시험 ( In vitro Test )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공 수축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대상으로 피부를 대신할 단백질로 헤모글로빈을 사용하여 모공수축효과를 시험하였다. 0.9% Phosphate Buffer Saline (0.1mM, pH 7.4)으로 헤모글로빈 용액(0.05g/50ml)을 제조하여 헤모글로빈 용액 2 ml에, 상기 실시예에서 획득한 조성물 2 ml을 가한 후, 30초동안 진탕 혼합한 다음 3,5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그 상등액 1 ml에 정제수 2 ml을 가하여 407 nm에서 UV-Visible spectrum으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 대신 PBS(Phosphate Buffer Saline) 2 ml을 가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조성물을 함유한 실험군의 경우에, 헤모글로빈의 침전량을 측정하여 수축효과를 평가하였고, 헤모글로빈의 침전(%)가 높을수록 모공수축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별하였다.
시 료
(두류태좌세포 배양 추출물)
헤모글로빈의 침전
(% of control)
0.5 % 2 %
1 검은콩(서리태) 8.1 32.4
2 줄무늬콩 4.8 19.3
3 완두콩 4.1 20.7
4 녹두 6.9 27.7
5 리마콩 0.7 2.9
6 동부 1.45 5.8
7 땅콩 2 5.1
8 잠두 2.9 7.8
9 편두 1.0 3.0
10 7.0 28.1
11 새팥 8.25 33.0
12 강낭콩 6.2 24.8
13 넝쿨팥 1.2 5.1
다양한 농도의 조성물을 함유한 실험군의 경우에, 헤모글로빈의 침전량을 측정하여 수축효과를 평가하였고, 헤모글로빈의 침전(%)가 높을수록 모공수축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별하였다.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0.5 % 및 2%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모공수축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7: 피지 억제효과 실험
피시험자 10명을 모집하여 이들의 4주 후에 피부 유분 측정기(Sebum meter SM810)를 이용하여 피부의 피지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22±2℃, 40±5% humidity에서 이루어졌다. 지성 피부인 경우 측정값이 220 ㎍/cm2이상이고, 정상 피부인 경우 100∼220 ㎍/cm2이다. 대조군으로 정제수를 사용하였고, 실험결과는 표와 같다.
시 료
(2 %두류태좌세포 배양 추출물)
피지 억제효과
0 일 (사용 전) 28 일 (사용 후)
대조군 230 225
1 검은콩(서리태) 231 175
2 줄무늬콩 230 179
3 완두콩 229 170
4 녹두 230 155
5 리마콩 230 220
6 동부 231 210
7 땅콩 229 200
8 잠두 230 210
9 편두 229 215
10 230 190
11 새팥 231 188
12 강낭콩 232 160
13 넝쿨팥 231 188
상기 표 8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2%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에 의하여 피지분비 억제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8 : 여드름 개선 효과
여드름이 발생한 남녀 10명으로 대상으로 화장수를 아침, 저녁으로 4주간 얼굴 전체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강낭콩 태좌세포 배양 추출물 2% 농도로 고루 바르도록 하였다. 여드름 개선 효과의 판정은 실험에 참가한 본인이 느끼는 정도에 따라 하기 판정기준을 참고로 1-3점으로 시험전 상태를 평가한 뒤 여드름 치유 효과를 평가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전 상태의 평가>
1 = 여드름 조금 있음 2 = 여드름 약간 있음 3 = 여드름 심함
<여드름 효과 판정>
- : 효과 거의 없음, + : 약간의 효과 있음, ++ : 많이 완화, +++ : 완전히 치유됨
피험자 시험전 상태 2주 경과후 효과 4주 경과 후 효과
피험자1 2 + +
피험자2 1 + ++
피험자3 1 - +
피험자4 2 - -
피험자5 2 + ++
피험자6 2 + +
피험자7 3 ++ +++
피험자8 2 - ++
피험자9 3 + +
피험자10 2 + ++
상기의 표 9에서 알 수 있듯이, 두류태좌세포배양추출물이 함유된 유연 화장수를 4주간 사용한 후 대다수 피험자들에서 여드름의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으로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1: 화장수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화장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글리세린 5.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히아루론산 0.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1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틸 0.1
에탄올 5.0
방부제 0.15
항료 적량
착색료 적량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2.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2: 에센스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에센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쿠알란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7.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3: 로션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로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테아린산 0.5
유동파라핀 7.0
스쿠알란 5.0
마카데미아오일 3.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2.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카르복시폴리머 0.12
트리에탄올아민 0.15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5.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4: 크림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크림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5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1.5
밀납 0.5
유동파라핀 8.0
스쿠알란 7.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
정제호호바유 4.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6.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산탄검 0.06
트리에탄올아민 0.10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7.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5: 젤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w/w)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4.0
에탄올 1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1
카르복시폴리머 0.30
트리에탄올아민 0.3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1.0
정제수 to 1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두류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류는 검정콩(서리태), 줄무늬콩, 완두(Pisum sativum), 녹두, 리마콩, 동부(Vigna sinensis), 땅콩(Arachis hypogaea), 잠두, 편두(Dolichos lablab), 덩굴강낭콩, 팥(Phaseolus angularis), 새팥(Phaseolus nipponensis), 덩굴팥(Phaseolus calcaratus), 강낭콩(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붉은강낭콩(Phaseolus multiflorus), 또는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개선용은 주름 방지 또는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개선용은 항염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개선용은 모공 축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개선용은 피지분비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개선용은 여드름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81409A 2013-07-11 2013-07-11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02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409A KR101502687B1 (ko) 2013-07-11 2013-07-11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409A KR101502687B1 (ko) 2013-07-11 2013-07-11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464A KR20150007464A (ko) 2015-01-21
KR101502687B1 true KR101502687B1 (ko) 2015-03-16

Family

ID=5257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409A KR101502687B1 (ko) 2013-07-11 2013-07-11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6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822B1 (ko) * 2018-06-11 2018-08-27 박찬경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45748A (ko) 2018-10-23 2020-05-06 (주)아모레퍼시픽 콩과 식물 배양근의 효소 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0105859A1 (ko) * 2018-11-22 2020-05-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30036999A (ko) 2021-09-07 2023-03-15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펄스 전기장을 이용한 도두꼬투리 추출물의 신규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4822A (zh) 2009-04-27 2010-11-03 玫琳凯有限公司 植物性抗痤疮制剂
EP3566691B1 (en) 2011-12-19 2024-04-17 Mary Kay Inc. Cosmetic method of whitening skin and evening tone with azuki beans
KR102577528B1 (ko) * 2015-08-28 2023-09-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18581B1 (ko) * 2017-11-29 2023-04-06 (주)아모레퍼시픽 방울양배추, 리마콩 및 아티초크의 해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216B1 (ko) * 2019-03-27 2019-09-17 (주) 비즈켐 피토플라센타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630B1 (ko) * 2021-05-18 2023-04-26 (주)뷰리클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600B2 (ko) * 1983-03-30 1992-05-01 Shimadzu Corp
JP4025600B2 (ja) 2002-08-12 2007-12-19 山川貿易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2013119547A (ja) 2011-12-06 2013-06-17 Koei Kogyo Kk エストロゲン様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600B2 (ko) * 1983-03-30 1992-05-01 Shimadzu Corp
JP4025600B2 (ja) 2002-08-12 2007-12-19 山川貿易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2013119547A (ja) 2011-12-06 2013-06-17 Koei Kogyo Kk エストロゲン様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ORNEO POST ONLINE, PRIME YOUTH PLACENTA PRODUCTS AVAILABLE AT HOLIKA HOLIKA, 2012 *
URBAN BEAUTE, REVEALING DEAR SKIN AMPOULE MASKS (FACE MASK), 2009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822B1 (ko) * 2018-06-11 2018-08-27 박찬경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240336A1 (ko) * 2018-06-11 2019-12-19 박찬경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45748A (ko) 2018-10-23 2020-05-06 (주)아모레퍼시픽 콩과 식물 배양근의 효소 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0105859A1 (ko) * 2018-11-22 2020-05-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00060025A (ko) * 2018-11-22 2020-05-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277183B1 (ko) 2018-11-22 2021-07-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30036999A (ko) 2021-09-07 2023-03-15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펄스 전기장을 이용한 도두꼬투리 추출물의 신규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464A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687B1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49299B1 (ko) 연꽃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947B1 (ko) 모란꽃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619571B1 (ko) 목련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61408B1 (ko) 작약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모공 축소, 미백,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3213B1 (ko) 아네모네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189838B1 (ko)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533217B1 (ko) 수련화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38354B1 (ko) 동백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19710B1 (ko) 튤립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11583A (ko) 대두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7027B1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26783B1 (ko) 곤약 뿌리 추출물, 골든베리 열매 추출물 및 월하미인 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9711B1 (ko)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6290A (ko) 봉독 추출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쌀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3479B1 (ko) 국내 자생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214B1 (ko) 노루귀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216B1 (ko) 크리스마스 로즈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215B1 (ko) 할미꽃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619712B1 (ko)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9709B1 (ko) 반려지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055958A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결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