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226A -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226A
KR20130088226A KR1020120009326A KR20120009326A KR20130088226A KR 20130088226 A KR20130088226 A KR 20130088226A KR 1020120009326 A KR1020120009326 A KR 1020120009326A KR 20120009326 A KR20120009326 A KR 20120009326A KR 20130088226 A KR20130088226 A KR 2013008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mposition
germinated
lin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824B1 (ko
Inventor
김유정
신보현
채병근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0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824B1/ko
Priority to CN201711308402.8A priority patent/CN107854361A/zh
Priority to CN201210120600.2A priority patent/CN103222937B/zh
Publication of KR2013008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5Linaceae (Flax family), e.g. Lin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untreated material, e.g. fruit juice or sap obtained from fresh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마인(Linum usitatissimum L. see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아 아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모공 축소 및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Linum usitatissimum L. seed extract}
본 발명은 아마인(Linum usitatissimum L. see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아 아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모공 축소 및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최외곽층인 표피의 기저층(Keratinocyte)에서는 세포분화가 계속하여 일어나고, 분화된 세포는 28일을 주기로 유극층, 과립층, 각질층의 순서를 거쳐 탈락된다. 이러한 세포주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각질층이 쌓이게 되며, 이러한 각질이 모공을 막아 분비된 피지가 모공 안에서 굳어 염증이 생기거나 여드름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모공 트러블이 반복되면 모공 주위의 진피에 영향을 주어 모공 확대가 촉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피지선의 피지 분비가 과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과잉의 피지가 모공 트러블을 발생시켜 모공 확대를 일으키고 여드름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모공은 한번 확대되면 전반적으로 피부가 지저분해 보이며, 탄력을 잃은 피부로 보여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모공 수축은 피부 문제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아마(Linum usitatissimum L.)는 아마과의 일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30~10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선형이다. 꽃은 청자색 또는 백색이며 열매는 삭과로 둥글며 종자는 평평한 긴 타원형으로 황갈색 빛을 띤다. 아마의 씨는 아마인이라고도 하며, 아마인유를 제조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어 아마인유는 인쇄용 잉크, 유화구 페인트 제조에 사용된다.
종래 아마인과 관련된 것으로 피부 항산화 효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특허, 모발용 오일 성분으로 사용된 경우가 있으나, 통상의 아마인이 아닌 발아 아마인 추출물과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의 뛰어난 모공 축소 효능 및 여드름 개선 효과에 대하여는 보고된 바 없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09206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발아 아마인 추출물 또는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경우 피지량을 감소시키고, 모공 크기를 줄여주며, 여드름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지 감소, 모공축소 및 여드름 개선 효과가 뛰어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감소, 모공 축소 및 여드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아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상태가 아닌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마인은 오메가-3 지방산,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n-페닐프로페인이 n-프로필 곁사슬의 β자리에서 2분자가 결합한 천연물인 리그난(lignan)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아마인 추출물에 함유된 리그난 성분은 피지량을 감소시키고 모공 크기를 줄여주며 여드름 피부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마인은 바람직하게는 발아 아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아 아마인을 사용함으로써 리그난 함량을 현격하게 높일 수 있으며, 생명 현상 유지에 필요한 성분의 함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피지 감소, 모공 축소 및 여드름 개선에 있어 매우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아마인의 발아에 있어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며, 예를 들면 21~27℃, 바람직하게는 25℃의 물 속에 아마인을 넣은 후 5~8시간, 바람직하게는 7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아마인을 물에 침지하고 25~30℃, 바람직하게는 27℃의 온도조건 하에 명조건과 암조건을 반복처리하여 발아시킬 수 있다. 이 때, 명조건은 17-19시간이며 암조건은 5-7시간으로, 바람직하게는 명조건 18시간이며 암조건 6시간으로 5-7일간, 바람직하게는 6일간 배양하여 발아시킨다.
상기 아마인 추출물의 추출은 당업계에 통상의 추출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또는 아임계 추출법에 의할 수 있고, 아임계 추출법에 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임계 추출법(subcritical extraction)은 용매의 액체와 기체 상태가 공존하는 임계점 이하의 온도 및 압력 범위의 조건에서 이를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추출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매로 물을 사용한다. 초임계 추출법에서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극성물질의 추출을 위해서는 보조 용매로서 유기용매를 사용해야 하는 것에 비해, 아임계 추출에 있어서는 이러한 부가적인 보조 유기용매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며,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수분해 반응도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아임계 추출법에 의함으로써 고순도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발아 아마인의 아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에 피지 감소, 모공 축소 및 여드름 개선에 있어 보다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임계 추출법에 의한 아마인 추출물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아마인을 준비한 후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해서 50~200MPa, 바람직하게는 100MPa의 고압에서 아마인을 분해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한다. 50MPa 미만의 압력에서는 유효 성분들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고, 200MPa 초과 압력에서는 고압 대비 유효 성분 추출 증가량이 미미하기 대문에 상기 범위의 압력에서 추출한다. 추출 후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하여 이물질 및 미생물을 제거하여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마인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7 중량%, 바람직하게는 60~9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0.01중량% 미만인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97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부작용과 제형 내 용해도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발아 아마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노화, 피부 산화, 피부 탄력 증대, 피부 주름 개선, 혈색 개선, 피부 자극 완화, 항상성 향상, 탄력, 재생, 노폐물, 각질 개선 효과, 피부 수렴, 정돈 및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발아 아마인 추출물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 보호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아마인 추출물의 특성으로 인해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모공 크기가 축소되며, 피지 분비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여드름 피부의 개선효과를 갖는다. 특히 발아 상태의 아마인을 사용함으로써 리그난 함량을 높이며, 아임계 추출법에 의하여 추출함으로써 고순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의 모공축소, 피지 감소 및 여드름 피부 개선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발아 아마인 추출물의 제조
25℃ 물 속에 아마인을 넣은 후 7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아마인을 물에 침지하고 27℃에서 명조건 18시간과 암조건 6시간을 반복처리하여 6일 후 발아 아마인을 얻었다.
상기 발아 아마인을 정제수 70%, 알코올 30% 용매에 넣고 25℃에서 6시간 방치하여 활성 성분들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에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을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0.2㎛ 공극을 갖는 필터로 미생물을 제거하여 발아 아마인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발아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발아 아마인을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100MPa의 고압에서 유효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하여 이물질 및 미생물을 제거하여 발아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의 제조
발아 상태가 아닌 아마인을 잘게 파쇄하여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100MPa의 고압에서 유효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하여 이물질 및 미생물을 제거하여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모공 축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와 같은 조성을 갖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화장수 제형을 제조하였다. 발아 아마인 추출물, 발아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 및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2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아마인 추출물은 두래(Durae Corporation)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베타인 2.0 2.0 2.0 2.0 2.0
피이지. 피피지-17.6 코폴리머 3.0 3.0 3.0 3.0 3.0
글리세린 1.0 1.0 1.0 1.0 1.0
부틸렌글라이콜 2.0 2.0 2.0 2.0 2.0
에탄올 7.0 7.0 7.0 7.0 7.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4 0.4 0.4 0.4 0.4
폴리소르베이트 20 0.15 0.15 0.15 0.15 0.15
살리실산 0.25 0.25 0.25 0.25 0.25
메틸파라벤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조합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조예 1(발아 아마인 추출물) 10 - - - -
제조예 2(발아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 - 10 - - -
제조예 3(아마인 아임계 추출물) - - 10 - -
아마인 추출물 - - - - 1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1] 발아 아마인 추출물에 의한 모공 크기 감소 효능 확인
모공으로 인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 30대 이상 여성 23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처방으로 2주간 모공이 두드러지는 곳을 매일 바르게 한 다음 스킨터치 모공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모공 크기를 평가하였으여, 모공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평균 모공 크기를 3등급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수를 개수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균 모공 크기
(pixel)
모공 크기 큰 집단(명) 모공 크기 중간 집단(명) 모공 크기 작은 집단(명)
시험전 195.3 9 10 4
시험 1주 경과 후 184.3 8 9 6
시험 2주 경과 후 164.8 7 8 8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모공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발아 아마인 추출물에 의한 피지량 감소 효능 확인
피지 분비가 많다고 느끼는 피험자 남녀 1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처방으로 4주간 얼굴의 피지가 많은 곳을 매일 바르게 한 후, 피지량을 Sebumeter(Courage & Khazaka사, Germany)로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험자 시험전피지량
(μg/cm2h)
시험 2주 경과 후
(μg/cm2h)
시험 4주 경과 후
(μg/cm2h)
1 69 63 54
2 94 86 80
3 87 80 72
4 101 95 86
5 94 85 79
6 74 66 60
7 65 51 45
8 100 93 87
9 89 82 76
10 59 54 47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모공 축소 효과의 관능 평가
25~35세의 여성 중 큰 모공으로 고민하는 20명에 대하여 각각 4주간 일반적인 화장수와 같은 사용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화장수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사용자의 의견에 따라 피부 개선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 매우 양호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약간의 개선 효과가 있음.
±: 개선 효과는 없으나 악화되지도 않음.
-: 개선 효과가 없고 오히려 악화됨.
시험 물질 기간
1주 2주 3주 4주
실시예 1 ++ +++ +++ +++
실시예 2 +++ +++ +++ +++
실시예 3 ++ ++ ++ ++
비교예 1 ± ± ± +
비교예 2 + + + ++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아마인 추출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과 통상의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각각 발아 아마인 추출물, 발아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 및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3은 신속하고 우수한 모공 축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여드름 개선 효과의 관능 평가
19~26세의 여성 중 여드름을 가진 20명에 대하여 각각 4주간 일반적인 화장수와 같은 사용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화장수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사용자의 의견에 따라 피부 개선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 매우 양호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약간의 개선 효과가 있음.
±: 개선 효과는 없으나 악화되지도 않음.
-: 개선 효과가 없고 오히려 악화됨.
시험 물질 기간
1주 2주 3주 4주
실시예 1 ++ +++ +++ +++
실시예 2 +++ +++ +++ +++
실시예 3 ++ ++ ++ ++
비교예 1 ± ± ± +
비교예 2 + + + ++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아마인 추출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 통상의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각각 발아 아마인 추출물, 발아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 및 아마인 아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3은 신속하고 우수한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7)

  1. 발아 상태의 아마인(Linum usitatissimum L. see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미발아 상태의 아마인(Linum usitatissimum L. seed)의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 상태의 아마인 추출물은 아임계 추출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인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7 중량%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모공 축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지 감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20009326A 2012-01-31 2012-01-31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16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326A KR101916824B1 (ko) 2012-01-31 2012-01-31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201711308402.8A CN107854361A (zh) 2012-01-31 2012-04-23 不发芽状态的亚麻仁的亚临界提取物的应用
CN201210120600.2A CN103222937B (zh) 2012-01-31 2012-04-23 含有亚麻仁提取物的皮肤外用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326A KR101916824B1 (ko) 2012-01-31 2012-01-31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226A true KR20130088226A (ko) 2013-08-08
KR101916824B1 KR101916824B1 (ko) 2018-11-08

Family

ID=4883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326A KR101916824B1 (ko) 2012-01-31 2012-01-31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6824B1 (ko)
CN (2) CN1078543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8859A (zh) * 2022-12-23 2023-03-14 李克明 一种肤质调理剂
US20240050355A1 (en) * 2022-08-11 2024-02-15 Folashade Simpson Topical skin treatment com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6788A (zh) * 2019-03-29 2019-06-07 湖南御家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补水、保湿和/或抑菌的组合物及其制备的化妆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1396A1 (en) * 2001-07-06 2004-09-30 Dennis Barker Flax sprouts and sprouting method
US20070014912A1 (en) * 2005-05-13 2007-01-18 Giuseppe Mazza Extraction of phytochemicals
KR20080113191A (ko) * 2005-09-06 2008-12-29 바이오그린 에이/에스 점액질 제거된 아마 발아체와 이의 부산물 및 이의 생산과적용
JP2009242311A (ja) * 2008-03-31 2009-10-22 Kose Corp Scf分泌抑制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JP2010530236A (ja) * 2007-06-18 2010-09-09 バイオグリーン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植物新芽系エマルジョン、それらの調製方法およびそれら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66701C (zh) * 2007-09-18 2009-12-09 陈苏莉 一种含有黄姜和亚麻籽提取物的霜剂及其制备方法
US20100113352A1 (en) * 2008-11-06 2010-05-06 Elliott Millstein Retinol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8178106B2 (en) * 2009-03-30 2012-05-15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s
FR2947727B1 (fr) * 2009-07-07 2011-08-05 Sothys Paris Composition cosmetique a usage topique, trousse en comportant, procede cosmetique modulable en fonction du vieillissement de la peau la mettant en oeuvre
WO2011099964A1 (en) * 2010-02-10 2011-08-18 Biopelle, Inc. Retinol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CN102000009B (zh) * 2010-11-12 2012-06-06 中国农业科学院油料作物研究所 一种含亚麻籽油的洗面膏及其制备方法
CN102276665A (zh) * 2011-06-21 2011-12-14 晨光生物科技集团天津有限公司 一种从亚麻籽饼粕中提取亚麻木酚素的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1396A1 (en) * 2001-07-06 2004-09-30 Dennis Barker Flax sprouts and sprouting method
US20070014912A1 (en) * 2005-05-13 2007-01-18 Giuseppe Mazza Extraction of phytochemicals
KR20080113191A (ko) * 2005-09-06 2008-12-29 바이오그린 에이/에스 점액질 제거된 아마 발아체와 이의 부산물 및 이의 생산과적용
JP2010530236A (ja) * 2007-06-18 2010-09-09 バイオグリーン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植物新芽系エマルジョン、それらの調製方法およびそれらの使用
JP2009242311A (ja) * 2008-03-31 2009-10-22 Kose Corp Scf分泌抑制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월간의약정보(약업닷컴: 2008년 9월호) 1부. *
월간의약정보, 2008.09.30 *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0-530236호(2010.09.09.)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50355A1 (en) * 2022-08-11 2024-02-15 Folashade Simpson Topical skin treatment composition
CN115778859A (zh) * 2022-12-23 2023-03-14 李克明 一种肤质调理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824B1 (ko) 2018-11-08
CN107854361A (zh) 2018-03-30
CN103222937B (zh) 2018-08-21
CN103222937A (zh)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6433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sation comprising pine-resin extract,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 and Pinus densiflora root extract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003238A (ko) 닥나무의 꽃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871927B1 (ko) 슈가애플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16824B1 (ko)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058294B1 (ko) 달팽이점액, 인도유향수지 및 알로에베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크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7327A (ko)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87223A (ko)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9767B1 (ko) 파파인과 노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66B1 (ko) 피부 탄력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6804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3736B1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20003171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2896A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3372A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7160B1 (ko)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64878B1 (ko)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0911B1 (ko) Lac 색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