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896A -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896A
KR20210052896A KR1020190138465A KR20190138465A KR20210052896A KR 20210052896 A KR20210052896 A KR 20210052896A KR 1020190138465 A KR1020190138465 A KR 1020190138465A KR 20190138465 A KR20190138465 A KR 20190138465A KR 20210052896 A KR20210052896 A KR 20210052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oil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madecasso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357B1 (ko
Inventor
이수혜
Original Assignee
이수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혜 filed Critical 이수혜
Priority to KR102019013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3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재생 효능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ng containing Panax Ginseng root extract, Madecassoside, Oenothera Biennis seed oil and Carthamus Tinctorius seed oil}
본 발명은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세럼에 관한 것이다.
피부(skin)는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하여 외부 환경과 직접적으로 접해 있어, 외부의 손상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체내수분과 열의 과도한 증발을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피부는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바깥에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subcutaneous tissue)으로 구분된다. 표피는 기저층(stratum basale), 유극층(stratum spinosum), 과립층(stratum granulosum),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되어 있어 최종적으로 분화된 죽은 세포가 피부 표면에 쌓여 피부장벽의 기능을 수행한다. 표피의 대부분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질형성세포는 기저층으로부터 증식, 이동 및 분화과정을 통해 각질을 형성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생산하여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에 관여하며, 주위 세포의 성장에도 관여하는 역할을 하고 특히,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은 표피 재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체의 피부는 노화가 진행될수록 각질형성세포나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감소되고, 표피와 진피 경계부가 편평해지면서 경미한 상처에도 피부가 쉽게 벗겨지거나 피부 재생 및 상처치유 능력이 쇠퇴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합성물질의 부작용을 경감시키면서 피부노화, 피부 병변으로 인해 생리활성이 감소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유도하는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질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효능을 갖는 천연물질을 통하여 피부재생 및 상처치유의 유도효과뿐만 아니라 피부노화 예방에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현재까지, 인삼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 달맞이꽃 종자유, 및 홍화 종자유를 동시에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재생 효과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삼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 달맞이꽃 종자유, 및 홍화 종자유를 특정 조성비로 병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피부재생 효능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075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1-5 ℃에서 4-24시간 동안 1차 숙성한 1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물을 10-25 ℃에서 4-12시간 동안 2차 숙성한 2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은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특정 조성비로 함유함에 따라서, 피부재생 효능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물 및 종자유는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분리 및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준비된 유효성분 원료를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도유향수지 및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은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여과, 농축후 동결 건조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인삼 뿌리 추출물 300,000 중량부 기준으로 마데카소사이드 8,000-12,000 중량부, 달맞이꽃 종자유 5-9 중량부, 홍화 종자유 5-9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삼 뿌리 추출물 300,000 중량부 기준으로 마데카소사이드 9,500-10,500 중량부, 달맞이꽃 종자유 6.5-7.5 중량부, 홍화 종자유 6.5-7.5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인삼 뿌리 추출물 300,000 중량부 기준으로 마데카소사이드 9,900-10,100 중량부, 달맞이꽃 종자유 6.7-7.2 중량부, 홍화 종자유 6.8-7.3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인삼 뿌리 추출물 300,000 중량부 기준으로 마데카소사이드 10,000 중량부, 달맞이꽃 종자유 7 중량부, 홍화 종자유 7 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인삼 뿌리 추출물 300,000 중량부 기준으로 마데카소사이드 9,900-10,100 중량부, 달맞이꽃 종자유 6.7-7.2 중량부, 홍화 종자유 6.8-7.3 중량부 포함하는 샘플의 피부재생 효능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및 2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인삼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 달맞이꽃 종자유 및 홍화 종자유 이외에도 피부보호(또는 재생)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 수분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 피부진정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 주름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 등의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보호(또는 재생)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의 예로는 하이드롤라이즈드완두콩단백질, 시어버터, 피마자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호호바씨오일, 아르간커넬오일, 올리브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분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의 예로는 접시꽃뿌리추출물,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트레할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진정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의 예로는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황금추출물, 녹차추출물,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 마트리카리아꽃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자몽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름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의 예로는 아데노신, 콜라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은 기타 성분으로서 카퍼트리펩타이드-1, 자몽껍질오일, 부틸렌글라이콜, 비즈왁스, 알란토인, 알지닌, 판테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글라이코사미노글리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럼,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스프레이 등의 제형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세럼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1-5 ℃에서 4-24시간 동안 1차 숙성한 1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물을 10-25 ℃에서 4-12시간 동안 2차 숙성한 2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2의 1차 숙성은 2-4℃에서 10-20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13-21℃에서 6-10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은 2.5-3.5℃에서 13-17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15-19℃에서 7-9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은 3℃에서 15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17℃에서 8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1차 숙성은 2.5-3.5℃에서 13-17시간 동안 숙성하고, 2차 숙성은 15-19℃에서 7-9시간 동안 숙성하는 경우, 피부보습, 피부탄력 및 피부재생 효능이 현저히 우수한 점을 알아내었다(실험예 3 참조).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인삼 뿌리 추출물의 준비
50mesh 이하로 분쇄된 인삼(Panax Ginseng) 뿌리 20g에 추출용매로 50% 에탄올 400ml을 넣고 shaking water bath(KMC-1205SW1, Vision, Daejeon, Korea)에서 70℃, 6~12시간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여과액을 rotary evaporator(DL10-3000, Greatwall, 20L)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인삼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을 멸균 처리(KRS A-1,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제조예 2> 달맞이꽃 종자유의 준비
증류수(distilled water)를 용매로 이용하여 수증기증류법(steam distillation, SD)을 이용한 달맞이꽃 종자유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달맞이꽃 종자 100g을 분쇄하여 1ℓ의 증류수를 첨가한 다음, 정유정량장치를 사용하여 110℃에서 3시간 가열한 후 증류액을 얻었다. 증류액을 농축시킨 다음 무수황산나트륨을 가하여 탈수시키고, 원심분리한 후 상층부(supernatant)에 부유하는 성분을 취하여 종자유를 수득하였다. 종자유를 멸균 처리(KRS A-1,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제조예 3> 홍화 종자유의 준비
증류수(distilled water)를 용매로 이용하여 수증기증류법(steam distillation, SD)을 이용한 홍화 종자유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홍화 종자 100g을 분쇄하여 1ℓ의 증류수를 첨가한 다음, 정유정량장치를 사용하여 110℃에서 3시간 가열한 후 증류액을 얻었다. 증류액을 농축시킨 다음 무수황산나트륨을 가하여 탈수시키고, 원심분리한 후 상층부(supernatant)에 부유하는 성분을 취하여 종자유를 수득하였다. 종자유를 멸균 처리(KRS A-1,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제조예 4>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 복합물의 준비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인삼 뿌리 추출물, 달맞이꽃 종자유, 홍화 종자유와 시중에서 구매한 마데카소사이드를 정제수에 녹여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5℃에서 4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1차 숙성시켜 1차 숙성물을 얻은 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1차 숙성물을 여과한 여과액을 다시 10 내지 25℃에서 4 내지 12시간 동안 방치하여 2차 숙성시켜 2차 숙성물을 얻었고, 이를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한 후, rotary evaporator(DL10-3000, Greatwall, 20L)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물은 멸균 처리(KRS A-1,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인삼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 달맞이꽃 종자유 및/또는 홍화 종자유를 함유하는 크림을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조성비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삼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 달맞이꽃 종자유, 홍화 종자유를 정제수에 녹여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혼합물을 3℃에서 15시간 동안 방치하여 1차 숙성시켜 1차 숙성물을 얻은 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1차 숙성물을 여과한 여과액을 다시 17℃에서 8시간 동안 방치하여 2차 숙성시켜 2차 숙성물을 얻었고, 이를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한 후, rotary evaporator(DL10-3000, Greatwall, 20L)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인삼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 달맞이꽃 종자유, 홍화 종자유를 함유하는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물은 멸균 처리(KRS A-1,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유효성분 조성비(중량부)
인삼뿌리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 달맞이꽃 종자유 홍화 종자유
실시예 1-1 300,000 9,800 7 7
실시예 1-2 9,900
실시예 1-3 10,000
실시예 1-4 10,100
실시예 1-5 10,200
실시예 2-1 300,000 10,000 6.5 7
실시예 2-2 6.7
실시예 2-3 7
실시예 2-4 7.2
실시예 2-5 7.4
실시예 3-1 300,000 10,000 7 6.6
실시예 3-2 6.8
실시예 3-3 7
실시예 3-4 7.3
실시예 3-5 7.5
비교예 1-1 300,000 - - -
비교예 1-2 - 10,000 - -
비교예 1-3 - - 7 -
비교예 1-4 - - - 7
비교예 2-1 300,000 10,000 - -
비교예 2-2 300,000 - 7 -
비교예 2-3 300,000 - - 7
비교예 2-4 - 10,000 7 -
비교예 2-5 10,000 - 7
비교예 3-1 300,000 10,000 7 -
비교예 3-2 300,000 10,000 - 7
<실험예 1> 세포 재생 효능 평가
실시예 1-1 내지 3-5 및 비교예 1-1 내지 3-2에서 제조한 크림의 세포 재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 10000 세포수/웰,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 6000 세포수/웰로 96-웰 플레이트에 심었다. 상기 크림을 처리하기 전에 배지를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환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FBS가 1% 함유된 배지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크림을 2μg/ml씩 녹인 시험물질을 처리하였다. 이때 10% FBS가 함유된 배지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험물질 처리 후 48시간 동안 배양 후, WST-1을 100㎕/웰로 처리하였다. WST-1을 처리하고 3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시켰다. 3시간 동안 배양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1% FBS 처리군을 100%로 하여 세포 증식율을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세포 증식율(%)
인간각질형성세포 인간섬유아세포
비처리군 10 12
대조군(1% FBS) 100 100
양성대조군(10% FBS) 165 150
실시예 1-1 132 120
실시예 1-2 165 151
실시예 1-3 168 154
실시예 1-4 164 152
실시예 1-5 130 122
실시예 2-1 128 116
실시예 2-2 163 152
실시예 2-3 168 154
실시예 2-4 166 153
실시예 2-5 129 120
실시예 3-1 127 118
실시예 3-2 161 153
실시예 3-3 168 154
실시예 3-4 164 153
실시예 3-5 125 119
비교예 1-1 108 103
비교예 1-2 114 109
비교예 1-3 102 101
비교예 1-4 101 101
비교예 2-1 119 112
비교예 2-2 109 104
비교예 2-3 108 104
비교예 2-4 116 110
비교예 2-5 115 110
비교예 3-1 119 111
비교예 3-2 120 111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삼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 달맞이꽃 종자유 및 홍화종자유를 단순히 혼합하는 것으로는 피부 재생 효과에 유의미한 효과를 찾기 힘들고, 특정 혼합비에서 현저한 피부재생 효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4, 실시예 2-2 내지 2-4, 실시예 3-2 내지 3-4의 피부 재생 효능이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피부 손상 개선 효능 평가
피험자를 평가그룹당 5명이 되도록 그룹을 나눈 후, 여드름 치료, 주근깨 제거 등의 레이저 시술 직후 실시예 1-1 내지 3-5 및 비교예 1-1 내지 3-2에서 제조한 크림을 환부에 발랐다. 여기서, 피험자들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크림을 2주 동안 하루에 두 번씩 시술 부위에 도포하도록 하였으며, 제품 사용 전과 사용 2주 후의 병변부위의 크기를 각각 측정하여 피부 손상 정도를 산출하였다. 다만, 시술 부위가 가로, 세로 50mm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행하였다. 시술 직후 대비 시술 2주 후에 측정된 병변부위의 크기의 감소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병변부위 크기 감소율(%)
실시예 1-1 65.2
실시예 1-2 83.1
실시예 1-3 89.5
실시예 1-4 81.6
실시예 1-5 67.0
실시예 2-1 66.2
실시예 2-2 83.6
실시예 2-3 89.5
실시예 2-4 82.2
실시예 2-5 65.6
실시예 3-1 65.8
실시예 3-2 82.7
실시예 3-3 89.5
실시예 3-4 80.4
실시예 3-5 66.1
비교예 1-1 40.2
비교예 1-2 53.9
비교예 1-3 35.8
비교예 1-4 35.2
비교예 2-1 55.8
비교예 2-2 41.2
비교예 2-3 41.7
비교예 2-4 54.8
비교예 2-5 54.2
비교예 3-1 62.3
비교예 3-2 62.5
<실험예 3> 숙성 조건에 따른 피부재생 효능 평가
상기 제조예 4의 숙성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복합물의 피부재생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3의 조성비로 혼합한 복합물을 하기 표 4의 온도(℃) 및 시간(h) 조건으로 1차 및 2차 숙성을 실시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고, 화장료 기본 베이스 성분과 혼합하여 실시예 4-1 내지 4-23의 세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내지 4-23의 크림을 도포하고, 피부보습, 피부탄력 및 피부재생 정도를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현재 피부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30 내지 50대 여성을 대상으로 평가그룹당 10명이 되도록 그룹을 나눈 후, 본 발명의 실시예 4-1 내지 4-23에서 제조한 크림을 매일 1회 8주간 도포하게 하였다. 사용전과 사용 8주 후의 피부상태를 평가하게 하고, 그 평균을 산출하여 피부탄력 개선 및 피부재생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1~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피부 보습, 피부 탄력 및 피부재생 정도에 대한 피부상태가 '매우 나빠짐'은 1점, '약간 나빠짐'은 2점, '변화없음'은 3점, '약간 개선됨'은 4점, '매우 개선됨'은 5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1차숙성조건 2차숙성조건 피부개선정도
온도 시간 온도 시간 피부보습 피부탄력 피부재생
실시예 4-1 1 15 17 8 4.0 3.9 3.7
실시예 4-2 2 15 17 8 4.5 4.6 4.5
실시예 4-3 3 15 17 8 4.9 4.8 4.9
실시예 4-4 4 15 17 8 4.6 4.5 4.6
실시예 4-5 5 15 17 8 3.9 4.0 3.7
실시예 4-6 3 4 17 8 3.9 3.9 3.6
실시예 4-7 3 10 17 8 4.5 4.5 4.6
실시예 4-8 3 15 17 8 4.9 4.8 4.9
실시예 4-9 3 20 17 8 4.6 4.5 4.5
실시예 4-10 3 24 17 8 4.1 3.9 3.8
실시예 4-11 3 15 10 8 3.9 3.9 3.7
실시예 4-12 3 15 13 8 4.5 4.5 4.6
실시예 4-13 3 15 17 8 4.9 4.8 4.9
실시예 4-14 3 15 21 8 4.6 4.6 4.5
실시예 4-15 3 15 25 8 4.0 3.9 3.7
실시예 4-16 3 15 17 4 3.9 4.0 3.6
실시예 4-17 3 15 17 6 4.6 4.5 4.5
실시예 4-18 3 15 17 8 4.9 4.8 4.9
실시예 4-19 3 15 17 10 4.5 4.6 4.6
실시예 4-20 3 15 17 12 4.0 4.1 3.8
실시예 4-21 3 15 미수행 미수행 3.7 3.6 3.5
실시예 4-22 미수행 미수행 17 8 3.6 3.6 3.5
실시예 4-23 미수행 미수행 미수행 미수행 3.5 3.5 3.4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2 내지 4℃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1차 숙성한 후, 13 내지 21℃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2차 숙성하여 제조된 복합물을 포함하는 크림을 이용한 경우, 상기 외의 조건으로 제조된 복합물을 포함하는 크림 및 1차 숙성 또는 2차 숙성의 조건으로 숙성을 1회만 수행하거나 숙성 단계를 거치지 않은 복합물로 제조된 실시예 4-21 내지 4-23의 크림보다 피부보습, 피부탄력 및 피부재생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에서 15시간 동안 1차 숙성한 후, 17℃에서 8시간 동안 2차 숙성하여 제조된 복합물을 포함하는 크림을 적용한 경우, 피부보습, 피부탄력 개선 및 피부재생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뿌리 추출물 300,000 중량부 기준으로 마데카소사이드 8,000-12,000 중량부, 달맞이꽃 종자유 5-9 중량부, 홍화 종자유 5-9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뿌리 추출물 300,000 중량부 기준으로 마데카소사이드 9,500-10,500 중량부, 달맞이꽃 종자유 6.5-7.5 중량부, 홍화 종자유 6.5-7.5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뿌리 추출물 300,000 중량부 기준으로 마데카소사이드 9,900-10,100 중량부, 달맞이꽃 종자유 6.7-7.2 중량부, 홍화 종자유 6.8-7.3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럼,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혼합한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1-5 ℃에서 4-24시간 동안 1차 숙성한 1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물을 10-25 ℃에서 4-12시간 동안 2차 숙성한 2차 숙성물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1차 숙성은 2-4 ℃에서 10-20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3의 2차 숙성은 13-21 ℃에서 6-10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138465A 2019-11-01 2019-11-01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465A KR102337357B1 (ko) 2019-11-01 2019-11-01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465A KR102337357B1 (ko) 2019-11-01 2019-11-01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896A true KR20210052896A (ko) 2021-05-11
KR102337357B1 KR102337357B1 (ko) 2021-12-09

Family

ID=7591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465A KR102337357B1 (ko) 2019-11-01 2019-11-01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516A (ko) 2022-09-15 2024-03-22 고혜영 산삼을 활용한 보습용 미스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5743A1 (en) * 1997-08-08 2002-02-07 Alain Meybeck Use of the rb1, ginsenoside for stimulating elastin synthesis
KR20080101821A (ko) * 2008-08-27 2008-11-21 김선일 홍화 분획물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60751A (ko) 2008-11-28 2010-06-07 (주)아모레퍼시픽 항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9750B1 (ko) * 2018-10-25 2019-06-14 주식회사 카버코리아 발효 당지질과 오일을 포함하는 구상다중액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5743A1 (en) * 1997-08-08 2002-02-07 Alain Meybeck Use of the rb1, ginsenoside for stimulating elastin synthesis
KR20080101821A (ko) * 2008-08-27 2008-11-21 김선일 홍화 분획물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60751A (ko) 2008-11-28 2010-06-07 (주)아모레퍼시픽 항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9750B1 (ko) * 2018-10-25 2019-06-14 주식회사 카버코리아 발효 당지질과 오일을 포함하는 구상다중액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357B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41B1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9958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7024610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skin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1802B1 (ko) 남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58294B1 (ko) 달팽이점액, 인도유향수지 및 알로에베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크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06216B1 (ko) 피부염 예방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337357B1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2041B1 (ko) 위치하젤, 병풀 및 인도유향수지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2062230B1 (ko)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2724A (ko) 항염 진정효과가 우수한 병풀추출물 함유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공정
KR20130068320A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20200058730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148095B1 (ko) 표피성장인자, 세리신, 회향 추출물 및 정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33814B1 (ko) 비누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랙헤드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