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833B1 - 진세노사이드 알이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알이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833B1
KR101233833B1 KR1020090092143A KR20090092143A KR101233833B1 KR 101233833 B1 KR101233833 B1 KR 101233833B1 KR 1020090092143 A KR1020090092143 A KR 1020090092143A KR 20090092143 A KR20090092143 A KR 20090092143A KR 101233833 B1 KR101233833 B1 KR 101233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insenoside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742A (ko
Inventor
홍성빈
Original Assignee
홍성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빈 filed Critical 홍성빈
Priority to KR102009009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8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개선을 위한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e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0.007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함으로써 피부의 과다한 각질을 제거하고 세포주기 활동을 촉진시켜, 경피 수분 손실과 주름 생성을 막아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e, 화장 조성물, 주름개선, 보습효과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알이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OSIDE Re FOR IMPROVEMENT OF SKIN}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부개선을 위하여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각질층은 표피세포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단단하고 건조한 얇은 껍질로서, 보통 젊고 건강한 피부는 27±3일을 주기로 끊임없이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내면서 오래된 세포들을 피부 표면으로 밀어 올리게 되는데, 이때 피부의 가장 바깥쪽으로 밀려나와 있는 층이 각질층이 된다.
각질층에는 피지성분과 천연보습인자가 존재하여 피부를 항상 촉촉한 상태로 만들어주는데, 나이가 들거나 건조한 계절이 되면 이러한 천연보습인자만으로 각질층에 충분한 수분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화장품으로 수분을 공급해주어야 한다. 특히, 보습제를 통해 손상된 표피층의 경피 수분 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을 막아서 거칠어진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박리된 각질세포(corneocytes)에 의해 생긴 불규칙적인 공간을 채워서 피부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각질층은 수분을 유지해주고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지만, 피부의 과다한 각질은 피부를 건조하게 하여 잔주름을 촉진시키고 노폐물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여드름을 유발하므로, 적절한 주기를 두고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에, 최근에 각질층을 제거하고 보습효과가 뛰어난, 인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활용한 화장 조성물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진세노사이드 성분들은 각각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고 그 구조에 따라 효과의 종류와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화장 조성물에 적정 수준 이하로 소량 함유되거나 적정 수준 이상 다량 함유될 경우, 피부개선의 효과가 없거나 피부자극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함으로써, 피부의 과다한 각질을 제거하고 세포주기 활동을 촉진시켜, 경피 수분 손실과 주름 생성을 막아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는,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Re 0.0001 내지 0.00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진세노사이드 Re 0.003 내지 0.00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또는 팩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연화장수는,
1.3-부틸렌글리콜 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알라토인 0.1 중량%, 폴리솔베이트-80 0.4 중량%, 에탄올 10 중량%, 벤조페논-9 0.0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양화장수는,
프로필렌글리콜 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중량%, 유동 파라핀 4.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매도폼 씨드 오일 2.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센스는,
1.3-부틸렌글리콜 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산탄검 0.1 중량%,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 중량%, 디메치콘 1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양크림은,
바세린 7 중량%, 유동파라핀 10 중량%, 밀납 2 중량%, 폴리솔베이트-60 2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중량%, 스쿠알란 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사지크림은,
프로필렌글리콜-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 중량%, 밀납 2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중량%, 폴리솔베이트-60 2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2 중량%, 유동파라핀 4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팩은,
프로필렌글리콜 5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중량%, 에탄올 7 중량%, 피이지-40 히드로게이비이티드 캐스터 오일 0.5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함으로써, 피부의 과다한 각질을 제거하고 세포주기 활동을 촉진시켜, 경피 수분 손실과 주름 생성을 막아 피부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e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진세노사이드 Re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59699427-pat00001
본 발명의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총 중량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Re 0.0001 내지 0.007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진세노사이드 Re 0.003 내지 0.0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추가로 점증제, 피부보호제, 보습제, 중화제, pH 조절제, 가용화제, 방부제, 용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조성물은 피부의 과다한 각질을 제거하고 세포주기 활동을 촉진시켜, 경피 수분 손실과 주름 생성을 막아 피부미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보습효과와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의 진세노사이드 Re의 중량%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진세노사이드 Re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e를 직접 추출하였다. 홍삼, 수삼, 백삼 또는 이의 부산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제1 단계, 상기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열수로 녹인 다음 에틸에텔로 분획을 나누어 지방질 성분을 제거하는 제2 단계, 상기 처리된 추출물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에 용해시켜 침전물은 제거하고 상층액을 수집하는 제3 단계, 상기 상층액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진세노사이드 Re 함유 분획만을 분취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진세노사이드 Re의 함량이 50% 이상인 분획물을 수집, 농축하고, 제4 단계의 정제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진세노사이드 Re를 제조하는 제5 단계의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e를 수득하였다.
2)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의 제조
상기와 같이 수득하여 얻은 진세노사이드 Re에 추가 성분들을 첨가하여 다음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을 제조하고, 비교예로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e를 첨가하지 않고 추가 성분만으로 이루어진 비교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조성물 1
(중량%)
조성물 2
(중량%)
조성물 3
(중량%)
비교조성물
(중량%)
진세노사이드 Re 0.001 0.004 0.006 -
바셀린 2.0 2.0 2.0 2.0
유동파라핀 8.0 8.0 8.0 8.0
식물성스쿠알란 5.0 5.0 5.0 5.0
밀납 2.0 2.0 2.0 2.0
폴리솔베이트-60 1.0 1.0 1.0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1.0 1.0 1.0
1.3-부틸렌글리콜 6.0 6.0 6.0 6.0
농글리세린 4.0 4.0 4.0 4.0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0.5 0.5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2 0.2 0.2 0.2
향료,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피부보습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에 의한 피부보습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온도 25℃, 상대습도 4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건강한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앞선 실시예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의 피부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다.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및 비교조성물로 제조된 각 화장료를 20명의 피시험자 상박 안쪽에 일정량을 하루에 3회 6주간 도포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완료 후, 각 부위에서 경피 수분 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의 값을 측정하고 시간에 따른 변화량인 ΔTEWL 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TEWL(g/h㎡)
조성물 1 4.20
조성물 2 2.40
조성물 3 3.70
비교조성물 4.90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e 0.004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성물 2를 도포한 부위의 ΔTEWL은 2.40 g/h㎡로, 진세노사이드 Re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비교조성물을 도포한 부위에 비해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절반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세노사이드 Re 0.001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성물 1 및 진세노사이드 Re 0.006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성물 3의 경우도 비교조성물에 비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이 낮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보습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피부주름개선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에 의한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3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40명(평균연령 38세)을 4그룹으로 나누고, A, B, C그룹에는 앞선 실시예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의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을, D 그룹에는 비교조성물을 눈가를 중심으로 하루 2회씩(아침 및 저녁) 8주간 도포한 후, 다음 표 3의 육안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10단계로 주름의 등급을 나누어 피부주름 개선 정도를 확인하였다.
등급 육안 평가 기준
0 피부에 주름이 없다.
1 피부에 잔주름이 보이기 시작한다.
2 피부에 잔주름이 약간 생성되었다.
3 잔주름이 많고 얕은 주름으로 진행한다.
4 얕은 주름이 약간 생성되었다.
5 얕은 주름이 선명해진다.
6 얕은 주름이 깊은 주름으로 진행한다.
7 깊은 주름이 약간 생성되었다.
8 주름이 깊고 많다.
9 주름이 매우 깊고 많다.
피부 주름 개선 정도는 4주 간격으로 주름의 육안 평가 기준에 따라 피부 주름 상태를 평가하여 수치화하였으며,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구분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비교조성물
0주 4주 8주 0주 4주 8주 0주 4주 8주 0주 4주 8주
1 5 5 5 5 5 5 6 6 5 2 2 2
2 4 4 4 5 5 5 7 6 6 6 6 6
3 6 5 5 8 8 7 5 5 5 6 6 5
4 6 6 5 7 6 6 2 2 2 7 7 7
5 2 2 2 6 6 5 4 4 4 7 7 7
6 3 3 3 4 4 3 8 8 6 6 6 6
7 3 3 3 5 4 4 4 3 3 5 5 4
8 8 8 7 4 3 2 3 3 3 5 5 5
9 4 4 4 5 5 5 4 4 3 3 3 3
10 7 7 7 3 3 3 2 2 2 2 2 2
평균 4.8 4.7 4.5 5.2 4.9 4.5 4.5 4.3 3.9 4.9 4.9 4.7
개선도 6.25% 13.5% 13.3% 4.1%
개선도 (%) = (0주 등급 - 8주 등급) / 0주 등급 * 100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e 0.004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성물 2를 사용한 부위에서는 13.5%의 주름 개선도를 나타낸 반면, 진세노사이드 Re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비교조성물을 사용한 부위에서는 4.1%의 주름 개선도를 나타냈으며, 진세노사이드 Re 0.001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성물 1 및 진세노사이드 Re 0.006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성물 3의 경우도 비교조성물에 비하여 피부 개선도가 높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에 의한 피부 안정성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평균연령 22세, 연령분포 19세-34세의 피검자 40명을 4그룹으로 나누어 피부 첩포시험(Patch Test)을 하였다. 단,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먼저 실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고 건조시킨 후, A, B, C그룹에는 앞선 실시예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의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3 을, D그룹에는 비교조성물의 화장 조성물을 각각 15㎍씩 체임버(Haye's test chamber)에 적하시킨 후, 실험 부위인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24시간 동안 첩포를 도포한 후 제거하고, 마킹 펜(marking pen)으로 실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에 실험부위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하기 표 5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기호 판정기준 평가 평균
±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미소자극 0 ~ 0.9
+ Erythema + Induration 경자극 1.0 ~ 2.9
++ Erythema + Induration +Vesicle 중자극 3.0 ~ 4.9
+++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강자극 5.0 이상
- Negative 무자극 0
판정은 첩포 제거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에 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경과시간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비교조성물
24시간 0 0 0 0
48시간 0 0 0 0
72시간 0 0 0 0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e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e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비교조성물과 마찬가지로 평균 피부자극 정도가 0인 것으로 나타나 피부에 자극이 없는 안전한 화장 조성물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성분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의 안정성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앞선 실시예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및 비교조성물에 따라 제조된 화장 조성물에 대한 제형의 안정성을 각기 다른 온도에서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첫 번째 시험에서는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및 비교조성물을 45℃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였다. 두 번째 시험에서는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였다. 실험 완료 후, 각 조성물의 분리 정도 및 변색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기준은 표 7과 같다.
등급 제품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상기 판정표에 따른 평가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온도(℃) 변색정도 분리정도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비교
조성물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비교
조성물
45 0 0 0 0 0 0 0 0
4 0 0 0 0 0 0 0 0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e를 첨가하여 제조한 조성물은 저온 및 고온에서 모두 진세노사이드 Re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비교조성물과 마찬가지로 변색 및 분리 현상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용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수준의 안정한 기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의 진세노사이드 Re의 중량%에 따른 효과를 실험예를 통하여 확인해 보고자,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은 각각 진세노사이드 Re 0.001 중랑부, 0.004 중량%, 0.006 중량%에 추가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하고, 비교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e를 첨가하지 않고 추가 성분만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피부보습효과 확인을 위한 실험예 1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성물 2를 도포한 부위의 ΔTEWL은 2.40 g/h㎡ 로서, 비교조성물을 도포한 부위에 비해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절반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성물 1 및 조성물 3의 경우도 비교조성물에 비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이 낮아, 우수한 피부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피부주름개선 효과 확인을 위한 실험예 2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성물 2를 사용한 부위에서는 13.5%의 주름 개선도를 나타낸 반면, 비교조성물을 사용한 부위에서는 4.1%의 주름 개선도를 나타냈으며, 조성물 1 및 조성물 3의 경우도 비교조성물에 비하여 피부 개선도가 높아 우수한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 시험인 실험예 3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교조성물과 마찬가지로 평균 피부자극 정도가 0인 것으로 나타나 피부에 자극이 없는 안전한 성분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을 위한 실험예 4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저온 및 고온에서 모두 비교조성물과 마찬가지로 변색 및 분리 현상을 전혀 나타내지 않아 화장용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수준의 안정한 기제임을 확인하였다.
이상 실험 결과에 기초해 볼 때, 총 중량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Re 0.0001 내지 0.007 중량%를 포함하는 경우, 경피 수분 손실과 주름 생성을 막아 피부미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우수한 피부보습 효과와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총 중량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Re 0.003 내지 0.0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진세노사이드 Re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이하로 포함하는 경우는 함량이 미미하여 유효 물질 포함 효과를 가지지 못하고, 0.007을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또는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의 다양한 제형을 제조하였다. 각 제형에 따라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와 같이 변화시켰다.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연화장수의 조성
배합 성분 중량%
진세노사이드 Re 0.004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알란토인 0.1
폴리솔베이트-80 0.4
에탄올 10.0
벤조페논-9 0.05
향료,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영양화장수의 조성
배합 성분 중량%
진세노사이드 Re 0.004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유동 파라핀 4.0
스쿠알란 5.0
매도폼 씨드 오일 2.0
폴리솔베이트-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향료,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에센스의 조성
배합 성분 중량%
진세노사이드 Re 0.004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알란토인 0.1
산탄검 0.1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0
디메치콘 10.0
향료,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영양크림의 조성
배합 성분 중량%
진세노사이드 Re 0.004
바세린 7.0
유동파라핀 10.0
밀납 2.0
폴리솔베이트-60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스쿠알란 5.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향료,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마사지크림의 조성
배합 성분 중량%
진세노사이드 Re 0.004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밀납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폴리솔베이트-60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세테아릴알코올 2.0
유동파리핀 4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향료,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의 화장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팩의 조성
배합 성분 중량%
진세노사이드 Re 0.004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세린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7.0
피이지-40 히드로게이비이티드 캐스터 오일 0.5
트리에탄올아민 0.3
향료,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위와 같이,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Re 0.0001 내지 0.007 중량%를 포함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보습 효과와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에서,
    상기 화장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진세노사이드 Re 0.003 내지 0.0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또는 팩의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화장수는, 1.3-부틸렌글리콜 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알라토인 0.1 중량%, 폴리솔베이트-80 0.4 중량%, 에탄올 10 중량%, 벤조페논-9 0.0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화장수는, 프로필렌글리콜 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중량%, 유동 파라핀 4.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매도폼 씨드 오일 2.0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5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스는, 1.3-부틸렌글리콜 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산탄검 0.1 중량%,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 중량%, 디메치콘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크림은, 바세린 7 중량%, 유동파라핀 10 중량%, 밀납 2 중량%, 폴리솔베이트-60 2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중량%, 스쿠알란 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크림은, 프로필렌글리콜-6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 중량%, 밀납 2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중량%, 폴리솔베이트-60 2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2 중량%, 유동파라핀 4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팩은, 프로필렌글리콜 5 중량%, 글리세린 4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중량%, 에탄올 7 중량%, 피이지-40 히드로게이비이티드 캐스터 오일 0.5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KR1020090092143A 2009-09-29 2009-09-29 진세노사이드 알이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KR10123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143A KR101233833B1 (ko) 2009-09-29 2009-09-29 진세노사이드 알이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143A KR101233833B1 (ko) 2009-09-29 2009-09-29 진세노사이드 알이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742A KR20110034742A (ko) 2011-04-06
KR101233833B1 true KR101233833B1 (ko) 2013-02-18

Family

ID=4404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143A KR101233833B1 (ko) 2009-09-29 2009-09-29 진세노사이드 알이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235A (ko)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194359A1 (ko) * 2017-04-19 2018-10-25 주식회사 진켐 피부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533B1 (ko) * 2012-02-21 2018-10-19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526A (ko) *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콜라겐 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526A (ko) * 2007-09-20 2009-03-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콜라겐 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235A (ko)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194359A1 (ko) * 2017-04-19 2018-10-25 주식회사 진켐 피부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742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4555B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0B1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JP2007262012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並びにその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を含む皮膚外用剤、化粧料、医薬部外品、肌荒れ改善剤、及びしわ改善剤
CN114796024B (zh) 用于皮肤屏障修复的仿生皮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332160A (zh) 一种用于调理毛周角化肌肤的化妆品组合物
KR100377397B1 (ko) 레티놀 및 표피성장인자를 함유하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KR100568601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2를 함유하는 사포닌 혼합물로 이루어진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33833B1 (ko) 진세노사이드 알이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KR100904200B1 (ko)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4059A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0834484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인 셀리언스를 함유하는 오일형 화장료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3863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9016A (ko) 천녀목란의 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7223A (ko)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3000A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7299B1 (ko) 보습능이 우수한 실크펩타이드 분획 및 그의 용도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20100093223A (ko) 소엽맥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7560B1 (ko) 보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유연성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70096279A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36037B1 (ko) 꿀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