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018B1 -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3018B1 KR101533018B1 KR1020150033275A KR20150033275A KR101533018B1 KR 101533018 B1 KR101533018 B1 KR 101533018B1 KR 1020150033275 A KR1020150033275 A KR 1020150033275A KR 20150033275 A KR20150033275 A KR 20150033275A KR 101533018 B1 KR101533018 B1 KR 1015330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cosmetic composition
- skin
- formulation exampl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지(Ramulus mori)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강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지(RAMULUS MORI)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 및 강화 효과와,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외부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수분손실을 막는 보호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각질층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에 위치해 있으면서 피부장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각질층은 피부 밖으로 수분과 전해질이 소실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막아준다. 또한, 외부의 물리적 손상과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세균, 바이러스,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이 피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 장벽은 죽은 각질세포(Coneocyte)와 세포간 지질(Intercellular lipid)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피부에 수분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고 피부장벽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세포간지질의 주요한 구성 성분은 세라마이드(40 ~ 50%), 콜레스테롤(20 ~ 25%) 및 유리 지방산(20 ~25%) 등으로 이 중 어느 하나의 농도가 변화하게 되면 피부의 보호 장벽 기능의 손실된다. 죽은 각질세포의 표면을 구성하는 각질세포 외피(corneocyte envelope)는 인볼루크린(involucrin), 로리크린 (loricrin), 필라그린(filaggrin) 등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세포간 지질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화 또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각질층의 보호 장벽 기능이 감소되면 아토피성 피부염 및 건선 증상 등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어 있다.
각질세포층의 지질막 성분인 피지성분과 표피지질은 수분, 전해질 등의 손실을 막아주고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가 건조해 지지 않게 유지해준다. 각질층내의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PCA-Na), 아미노산류, 젖산 나트륨, 요소 등과 같은 천연보습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는 각질층 수분량의 주요한 결정인자로서, 물분자와 수소결합 하여 각질층 내 수분을 유지시켜준다. 또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세포간지질은 체내에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억제한다. 표피뿐 아니라 진피에서 역시 수분량이 일정 보존되어야 하는데, 히아루론산 (hyaluronic acid), 콘드로이친 황산(chondroitin sulfate), 황산데르마탄(dermatan sulfate), 헤파란 황산(heparan sulfate)등의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가 진피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혹독한 날씨, 강한 자외선, 과도한 세안제 사용, 스트레스와 자연적인 피부노화 현상으로 피부는 보습력을 잃고 건조해지고 이에 따라 잔주름 발생, 탄력 저하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건조를 막기 위해 화장품에는 글리세린, 솔비톨, 1,3-부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과 같은 폴리올류와,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 아미노산 등의 천연보습인자를 배합하고 있으나 일들은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거나 제형 안정성 등에 문제가 있어 인체에 무해하면서 안정한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물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상지를 선정하고 상지 추출물과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제조하여 보습효과, 피부장벽 기능 개선 및 강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 효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지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지(Ramulus mori)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장벽 기능 강화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지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 30.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지의 분배추출물은 상지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N-hexane),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지 분배추출물은 상지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N-hexane),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및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지(Ramulus mori)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은 피부 보습효과, 피부장벽 기능 개선 및 강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상지(Ramulus Mori)는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 가지를 말린 것으로 뽕나무속에는 뽕나무(Morus alba, Linne), 처진 뽕나무(Morus alba for. Peldulls DIPPEL), 산뽕나무(Morus bombycis, Koidzumi), 꼬리 뽕나무(Morus bombycis var. Caudatifolia), 섬 뽕나무(Morus bombycis var. maritima KOIDZ), 가새 뽕나무(Morus bombycis for. Kase VYKEI), 몽고 뽕나무, 왕 뽕나무, 돌 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가 있으며, 이들은 낙엽활엽성의 교목으로 한국의 대부분 지역에 걸쳐 표고 500~1,400 m에 수평적으로 분포하며, 산골 마을 부근이나 산 기슭에 자생한다. 상지의 모양은 긴 원주형으로 드물게 분지가 있고,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직경은 0.5~1.5 cm 이다. 표면은 회황색 혹은 황갈색으로 다수의 황갈색 점상 피공과 미세한 종문이 있으며, 회백색을 띤 반원형 잎 흔적과 황갈색의 액아가 있다. 절편의 두께는 0.2~0.5 cm 로 외피 부위는 비교적 얇고, 목질 부위는 황백색이며, 사선은 방사상이고, 수부는 백색 또는 황백색이다. 상지의 채취 시기는 늦은 봄과 초여름 사이이며, 잎을 제거한 후, 신선할 때 30~60cm 크기로 잘라 햇볕에 말린다. 상지는 약간 쓴 맛이 나며, 소염, 이뇨, 강장, 발한 및 풍을 제거하는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오래 전부터 한약재로 쓰이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지 추출출은 상지를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상지 추출물을 얻는 단계(제1 단계)를 통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지의 분배 추출물은 상지를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상지 추출물을 얻는 단계(제1 단계) 및 상기 상지 추출물을 분획하여 분배추출물을 얻는 단계(제2 단계)로 얻어진다. 상기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얻는 단계(제2 단계)는 상기 상지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염화메틸렌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 또는, 노르말 헥산, 염화메틸렌,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에서, 상지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알코올,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고, 바람직하게는 물 및 C1 내지 C4의 알코올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의 에탄올로 추출한다. 추출시 온도는 30℃ 내지 150℃이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이다. 추출시 시간은 30분 내지 48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2시간이다. 추출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열수추출법, 상온 추출법 또는 환류추출법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온 추출 또는 환류 추출법을 수행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법을 1 내지 2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회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및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하거나 자연 상태나 각종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산물에 의한 추출물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상지 추출물을 분획하여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얻는 단계(제2 단계)는, 상지 추출물을 얻는 단계(제1 단계)에서 얻어진 상지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N-hexane),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및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 또는, 노르말 헥산, 염화메틸렌,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지 추출물을 물에 재용해시킨 뒤 물과 동량의 노르말 헥산을 첨가하여 2~5회 분획하고 노르말 헥산층을 분리한 뒤 감압 농축하여 노르말 헥산 분획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노르말 헥산을 제거한 후 남은 물층에 동량의 염화 메틸렌을 첨가하여 2~5회 분획하고 염화메틸렌을 분리한 뒤 감압 농축하여 염화메틸렌 분획물을 제조한다. 그 다음으로 염화메틸렌을 제거한 후 남은 물층에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2~5회 분획하고 에틸아세테이틀 제거한 뒤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조한다. 남은 물층은 동결건조하여 물 분획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지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1 ~ 30.0 중량%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지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 ~ 1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지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항염, 항균, 항산화, 보습, 피부장벽강화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상지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은, 보습효과, 피부장벽 기능 개선 및 강화 효과가 있다.
제조예
1 : 상지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상지를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5 : 상지의 분배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에탄올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분획하기 위해 유기용매를 이용한 계통적 분획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다시 녹인 뒤 동량의 노르말 헥산(n-hexane)을 첨가하고 헥산층을 분리하여 헥산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제조예 2). 상기 헥산 분획물을 제거한 물층에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을 동량 첨가하고 염화메틸렌 층을 분리하여 염화메틸렌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제조예 3). 상기 염화메틸렌 분획물을 제거한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동량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제조예 4). 상기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거하고 남은 물층을 동결건조하여 물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제조예 5). 상기 분획과정은 상온에서 수행하였으며 각 분획을 3시간 이상 정치하였다. 각 단계의 분획물(분배추출물)을 얻는 과정은 2회 반복 수행되었으며 물층을 제외한 분획물은 여과 후 감압농축하고 건조시켰다.
제형예
1 내지 5 :상지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지 추출물 또는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제조예 1 내지 5의 상지 분획물(분배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도록 제조하였으며, 효능의 비교를 위해 상지 분획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1), 상지 분획물 대신에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2), 분획물이나 보습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3)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성분 | 제형예 1 | 제형예 2 | 제형예 3 | 제형예 4 | 제형예 5 | 비교 제형예 1 |
비교 제형예 2 |
비교 제형예 3 |
A | 제조예 1 | 2.0 | - | - | - | - | - | - | - |
제조예 2 | - | 2.0 | - | - | - | - | - | - | |
제조예 3 | - | - | 2.0 | - | - | - | - | - | |
제조예 4 | - | - | - | 2.0 | - | - | - | - | |
제조예 5 | - | - | - | - | 2.0 | - | - | - | |
세라마이드 | - | - | - | - | - | 0.5 | - | - | |
글리세린 | - | - | - | - | - | - | 5 | - | |
1,3-부틸렌글리콜 | - | - | - | - | - | - | 5 | - | |
EDTA-2Na | 0.02 | 0.02 | 0.02 | 0.02 | 0.02 | 0.02 | 0.02 | 0.02 |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
B | 세토스테아릴알코올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
마이크로크리스탈린 | 0.7 | 0.7 | 0.7 | 0.7 | 0.7 | 0.7 | 0.7 | 0.7 | |
스쿠알란 | 5.0 | 5.0 | 5.0 | 5.0 | 5.0 | 5.0 | 5.0 | 5.0 | |
유동파라핀 | 3.0 | 3.0 | 3.0 | 3.0 | 3.0 | 3.0 | 3.0 | 3.0 | |
트리옥타노인 | 5.0 | 5.0 | 5.0 | 5.0 | 5.0 | 5.0 | 5.0 | 5.0 | |
폴리솔베이트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1.2 | |
솔비탄스테아레이트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
사이클로메치콘 | 3.0 | 3.0 | 3.0 | 3.0 | 3.0 | 3.0 | 3.0 | 3.0 | |
BHT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
C | 향,방부제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실험예 1 : 피부장벽 강화효과 (TEWL)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은 피부를 통해 증발되는 수분(땀은 제외)을 나타내는 지표로 각질층의 손상 정도와 피부장벽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높은 수준의 TEWL은 피부장벽이 손상됐다는 것을 나타낸다. TEWL의 측정은 항온 (22℃) 및 항습 (47%) 상태에서 이루어졌으며 단위는 g/h/m2이다.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테이프-스트립핑(tape-stripping)을 30회 실시하여 피부장벽의 손상을 유발시켰다. 피부장벽의 손상을 유발한 후 시험 제품을 도포하기 전 TEWL 수치를 Tewameter TM210 (Courage+Khazaka, 독일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손상된 피부에 표 1의 제형예 1 내지 5와 비교제형예 1 또는 3을 1일 2회씩 3일 동안 도포한 뒤 TEWL 수치의 변화를 측정하여 수학식 1에 따라 경피수분 손실의 회복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경피 수분손실회복도(%) = (TEWL immediately after disturbance - TEWL at indicated time)/(TEWL immediately after disturbance - baseline TEWL)x100
시료명 | TEWL값 | TEWL 회복도(%) | ||
스트립핑 전 | 스트립핑 후 | 도포 3일후 | ||
제형예 1 | 7.0 | 18.3 | 7.8 | 92.9 |
제형예 2 | 6.9 | 19.3 | 9.5 | 79.0 |
제형예 3 | 7.5 | 18.1 | 8.5 | 90.6 |
제형예 4 | 7.2 | 19.2 | 7.4 | 98.3 |
제형예 5 | 7.0 | 19.5 | 9.3 | 81.6 |
비교제형예 1 | 7.0 | 18.8 | 7.3 | 97.5 |
비교제형예 3 | 7.0 | 19.7 | 15.8 | 30.7 |
표 2와 같이 상지추출물 및 분배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1 내지 5,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1, 유효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제형예 3을 피부에 도포한 후 TEWL을 측정하여 피부장벽 강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지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1, 염화메틸렌,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함유한 제형예 2와 제형예 3에서 특히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1과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2 : 상지 추출물 및 상지의 분배추출물의 보습효과
상기 제형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 보습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남녀 140명을 무작위로 20명씩 7개 그룹(A, B, C, D, E, F, G)으로 나눈 후, A, B, C, D, E 그룹에는 하기의 제형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F 그룹에는 각각 상지추출물 및 분배추출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제형(비교제형예 2)을, G 그룹에는 별도의 보습제를 포함하지 않는 제형(비교제형예 3)을 각각 1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 매 2주간, 그리고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Corneomater CM820 (Co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 사용 전 | 사용 2주 후 | 사용 4주 후 |
제형예 1 | 29.11 | 41.15 | 49.12 |
제형예 2 | 28.39 | 31.19 | 37.89 |
제형예 3 | 29.52 | 40.18 | 48.51 |
제형예 4 | 30.45 | 44.15 | 54.19 |
제형예 5 | 31.51 | 32.5 | 39.11 |
비교제형예 1 | 30.32 | 45.92 | 52.95 |
비교제형예 3 | 28.45 | 29.42 | 28.19 |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 상지(Ramulus mori)의 분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장벽 기능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상지의 분배추출물은 상지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염화메틸렌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의 분배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 30.0 중량%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3275A KR101533018B1 (ko) | 2015-03-10 | 2015-03-10 |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3275A KR101533018B1 (ko) | 2015-03-10 | 2015-03-10 |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3018B1 true KR101533018B1 (ko) | 2015-07-01 |
Family
ID=5378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3275A KR101533018B1 (ko) | 2015-03-10 | 2015-03-10 |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301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5005A (ko) * | 2015-03-25 | 2016-10-06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5581A (ko) * | 1997-09-12 | 1999-04-06 | 유상옥 | 상지추출물의 분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
KR20130049980A (ko) * | 2011-11-07 | 2013-05-15 |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 뽕나무 부산물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
-
2015
- 2015-03-10 KR KR1020150033275A patent/KR1015330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5581A (ko) * | 1997-09-12 | 1999-04-06 | 유상옥 | 상지추출물의 분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
KR20130049980A (ko) * | 2011-11-07 | 2013-05-15 |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 뽕나무 부산물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Vol. 21, No. 4, Pages 934-939(공개일: 2007.) * |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Vol. 21, No. 4, Pages 934-939(공개일: 2007.)* |
박수남, 대한화장품학회지, 제25권, 제2호, pp.77-127, 1999.)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5005A (ko) * | 2015-03-25 | 2016-10-06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101697236B1 (ko) | 2015-03-25 | 2017-01-18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상지의 분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7974B1 (ko) | 우엉 추출물과 냉감성분을 함유하는 모공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663946B1 (ko) |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85195B1 (ko) |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236253B1 (ko) |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55207B1 (ko) |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954695B1 (ko) |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96563B1 (ko) |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10052095A (ko) |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08459B1 (ko) |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533018B1 (ko) |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803925B1 (ko) |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감초, 산수유, 백하수오 및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53676B1 (ko) |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541771B1 (ko) | 모과, 감나무잎, 육계나무껍질, 쑥잎, 크리산텔룸인디쿰 및 녹차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557422B1 (ko) |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 |
KR20090087223A (ko) |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946583B1 (ko) | 와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 |
KR102334348B1 (ko) | 파슬리, 약모밀, 페퍼민트잎 및 노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816265B1 (ko) |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 |
KR101985380B1 (ko) | 타이거넛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29373B1 (ko) | 소두구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20003171A (ko) |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48657B1 (ko) |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00093223A (ko) | 소엽맥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70096279A (ko) | 소루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555418B1 (ko)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