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380A -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380A
KR20100000380A KR1020080059855A KR20080059855A KR20100000380A KR 20100000380 A KR20100000380 A KR 20100000380A KR 1020080059855 A KR1020080059855 A KR 1020080059855A KR 20080059855 A KR20080059855 A KR 20080059855A KR 20100000380 A KR20100000380 A KR 20100000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inflammatory
ski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873B1 (ko
Inventor
윤경섭
김미진
임경란
정택규
임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to KR102008005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8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4Forsyth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 혼합 생약재로부터 추출되어 얻어진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및 피부보습 유지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효과와, 염증 유발 물질인 NO, PGE2, TNF-α 생성 저해를 통한 항염 활성 효과를 가지며, 또한 피부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백작약, 생약재, 피부 트러블, 아토피성 피부, 화장료,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보습,

Description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Mixed medicinal herb extracts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염 활성을 갖는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 혼합 생약재로부터 추출되어 얻어진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및 피부보습 유지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신경 및 혈관, 임파관, 체액 반응, 세포 반응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을 일으켜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것이다.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외상, 상, 동상 등에 의한 물리적 요인과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 요인, 항체반응 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으며 그 외에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외부 자극으로 손상된 세포들이 분비한 여러 화학 매개 물질에 의해 혈관 확장이 일어나고, 투과성이 높아짐에 따라 항체, 보체, 혈장, 식균 세포들이 염증부위로 몰려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홍반의 원인이 된다.
염증과 함께 백혈구의 이주를 촉진시키는 매개체의 생성은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통한 과정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이 경로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에 의한 과정과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에 의한 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효소에 의해 생성된 류코트리엔(leukotriene)과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이 염증 유발 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리폭시게나제와 사이클로옥시게나제의 저해제는 염증유발물질의 생성 억제뿐 만아니라 염증 시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막 파괴와 지질의 과산화반응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항염 활성증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과다 염증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 및 지질분해효소들을 억제함으로서 그로 인해 손상되는 세포들을 보호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건조한 피부가 형성되면 피부 표면의 방어 기능(barrier function)이 소실되고 외부로부터의 자극 물질이나 항원의 피부 침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침입물에 대하여 피부가 반응을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피부의 거부 반응은 각질층 성분의 대다수를 구성하는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각화 세포가 랑게르한스(Langerhans),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등의 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이들 세포가 생산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에 의한 염증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 활성증제라 한다. 알라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존, 감초산 및 그 유도체(β-글리칠레친산, 글리칠레친산 유도체) 등이 항염 활성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신화장품학, 남산당, p162, 1993), 그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거나, 화장료 배합이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종래부터 염증 치료를 위해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생약재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시도되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0044592호 “항염효과가 있는 생약 조성물”에 삼백초 및 어성초로부터 얻어지는 항염 효과가 있는 생약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8-0027093호에서는 보골지 추출물의 항염효과를 밝혀낸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50468호 “생약재제(감초, 당약, 녹차, 천궁, 인삼, 알로에)와 아미노산 폴리머(폴리글루타민산)를 이용한 화장품용 조성물”에 세탄올, 계면활성제, 유동파라핀, 부틸렌글리콜 등에 생약재제(감초, 당약, 녹차, 천궁, 인삼, 알로에)추출물과 아미노산폴리머를 함유시켜 제조된 피부에 보습효과, 항균·항염효과 등을 갖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28350호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에 녹차, 인진쑥 및 솔잎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 및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밖에도 항산화 및 항염 활성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다양 생약제를 이용하려는 시도 가 지속되어 왔다.
연교(連翹, Forsythia Fruit)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의 열매이다. 개나리는 낙엽관목으로 높이는 2~3m이고 가지가 가늘고 길며, 퍼져 있거나 혹은 아래로 드리워져 있고 속이 비어 있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는데 1~4송이가 잎에 착생한다. 열매는 좁은 계란형이고 끝에는 짧은 부리가 있으며 완전히 익었을 때는 2조각으로 갈라진다. 산야의 황무지에서 자라며, 열매가 익었을 때 또는 완전히 익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쓴다. 연교의 성분은 리그난(lignan)으로서 악티게닌 등, 리그난 배당체로서 악틴(arctiin) 등 및 카페인 배당체(caffeic acid glycoside) 등이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 소염, 배농 피부질환제로서 사용되며 한국과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다.
승마(升麻, Cimicifugae Rhizoma)는 숲 속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동속 식물로는 왜승마(Cimicifuga japonica S.), 눈빛승마(Cimicifugae dahurica M.), 촛대승마(Cimicifuga simplex T.), 황새승마(Cimicifugae foetida L.) 등이 있다.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열이 나거나 부종을 내리고 두드러기에도 사용되었다. 7~8월에 줄기 끝이 겹층상 차례의 자잘한 흰색 꽃이 모여 달리며, 뿌리에는 비삼민올(visamminol), 스나긴(visnagin), 시미푸긴(cimifugin) 등과 사이클로아르텐(cycloartene)계,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인 시미게놀(cimigenol), 시미게놀3-자일로시드(cimigenol-3-xyloside), 다후리놀(dahurinol), 시미시푸게놀(cimicifugenol), 아세틸세그만올자일로시드(acetylshegmanolxyloside), 이소페루릭산(isoferulic acid), 페루릭 산(ferulic acid) 등의 성분들이 있다.
갈근(葛根, Puerariae Radix)은 콩과 식물의 다년생 초본인 칡(野葛, Pueraria lobata O.)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으로 한국, 중국, 일본 각 지역의 산에 자생한다. 한의학에서는 칡의 여러 부위를 각각 분류하여, 칡뿌리를 건조한 것을 갈근, 꽃은 갈화, 열매는 갈곡 또는 갈실, 잎은 갈엽, 덩굴은 갈만이라 부르며 질병의 증상 및 치료방법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하여 왔다. 한방에서 갈근은 기육을 풀어 주는 작용을 하므로 감기 몸살이나 발진성 질환, 항강통(項强痛) 등에 해표 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비장과 위장의 기를 상승하게 도와주어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게 하고 지사시키는 작용을 한다. 주요성분으로는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e)인 디옥시미로에스트롤(deoxymiroestrol)과 푸에라린(puerarin)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갈근과 관련한 약리 작용으로는 항알콜중독(antidipsotropic) 작용, 간보호 작용, 숙취 억제 작용, 항산화 활성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길경(桔梗, Platycodi Radix)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현재 한국에 자생 또는 재배하고 있는 종류로 백색 꽃이 피는 백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for . albiflorum H.), 꽃이 겹꽃인 겹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for . duplex M.), 이 중 백색 꽃인 흰겹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for . leucanthum H.) 등이 있다. 성분으로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triterpenoid saponin)및 스테롤(sterol)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 당류로서는 이누린(inulin), 프라티코디닌(platycodinin)이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 도라지의 주요 효능은 기침, 가래 등에 효과가 있다. 또 폐(細)의 장해와 밀접한 인후통, 실음(失音), 배뇨곤란(排尿困難), 설사, 후중(後重) 등의 증상에도 좋다.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이며, 유럽감초(Glycyrrhiza glabra L.), 만주감초(Glycyrrhiza uralensis F.)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와 주출경(走出莖)을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감초의 약리작용으로 부신피질 호르몬 작용, 항염 활성증 및 항알레르기 작용, 소화계통에 대한 작용, 해독 작용, 지질대사에 대한 작용, 실험성 황달에 대한 영향, 진해 작용, 진통 및 항경련 작용, 비뇨 및 생식기계통에 대한 작용, 항종양 작용, 기타 체중증가작용, 근력 증강 작용, 혈압 상승 작용, 용혈 작용, 억균작용, 항균작용, 해열작용, 조충에 대한 구충 작용 등이 밝혀졌다. 약용으로 주로 뿌리와 포복경을 이용하며, 약용되는 주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사포닌(saponin)인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c acid)을 3.63∼13.06% 함유하며 그 외 여러 종류의 플라본(flavone) 화합물이 있다.
백작약(白芍藥, Paeonia Radix)은 모란과(Paeoniaceae)의 다년생초인 작약(Paeonia albiflora P. 및 Paeonia lactiflora P.) 및 산작약(Paeonia obovata M.)의 뿌리이다. 백작약은 희고, 보혈제, 진정제, 부인과·외과(外科)의 약재로 쓰이며, 35속 1,500종이 있고 전 세계에 걸쳐 분포하지만 주로 북반구의 온대와 아한대인 한국, 일본, 중국, 사할린섬 등지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21속 106종이 자라고 있다. 성분으로는 파이오이플로린(paeoniflorin), 파이오놀(paeonol), 파이오 닌(paeonine), 탄닌(tannin), 벤조산(benzoic acid), 안식향산, 정유, 수지, 당 등을 함유한다.
상기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백작약으로 구성된 혼합 생약재는 기성한의서인 경악전서(景岳全書)에 수록된 처방단으로 연교승마탕(連翹升麻湯)이 이것이다. 산독청화(散毒淸火, 항히스타민 효과)하는 효과로 원래는 천연두 초기에 구슬(수포)이 심하게 생겼을 때 사용하는 처방으로 아토피 환자의 경우 병변 부위가 습진성으로 짓무르면서 국소의 2차 감염 소견이 보일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을 일정량으로 혼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야 이들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 효과를 알아보려는 어떠한 시도도 행하여 진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다양한 생약재를 이용하는 항염 활성 효과를 얻으려는 시도들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그리고 피부 보습을 유지시킴으로서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성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기성한의서 11종을 바탕으로 문헌적으로 검색하여 아토피 증상과 가장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연교 함유 혼합 생약재를 선정하여 여러 가지 유효성 및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리폭시게나제 활성 저해, 산화질소(NO, nitric oxide) 생성 저해 및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저해 효과 등 염증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로부터 추출된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효과 및 피부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생약재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을 정선, 정량하여 혼합한 후, 이로부터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한 후, 상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과와, 염증 유발 물질인 NO, PGE2, TNF-α 생성 저해를 통한 항염 활성 효과및 피부보습 유지 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및 피부보습 유지 활성을 갖는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연교 20 내지 25 중량%, 승마 15 내지 18 중량%, 갈근 15 내지 18 중량%, 길경 15 내지 18 중량%, 감초 15 내지 18 중량% 및 백작약 10 내지 13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연교 23.3 중량%, 승마 16.3 중량%, 갈근 16.3 중량%, 길경 16.3 중량%, 감초 16.3 중량% 및 백작약 11.5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악틴, 악티게닌 및 마타이레시놀을 항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악틴 2.5 내지 5.4 중량%, 악티게닌 4 내지 5 중량% 및 마타이레시놀 4.8 내지 7 중량%를 항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갖는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정선된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 일정 비율의 혼합 생약재를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얻어진 추출여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1차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추출물을 용해시킨 후, 분획하여 탈지하는 단계; 및 얻어진 하층을 부분 감압농축한 후, 추출용매를 가하여 분획농축하여 최종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혼합 생약재에 포함되는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 각각의 함량은, 생약재 전체 중량 대비 연교 20 내지 25 중량%, 승마 15 내지 18 중량%, 갈근 15 내지 18 중량%, 길경 15 내지 18 중량%, 감초 15 내지 18 중량% 및 백작약 10 내지 13 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한 용매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순수용매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혼합용매가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해지는 추출용매의 양은 혼합 생약재 전체 부피 대비 1 내지 20배의 양이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출단계는 생약재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30 중량%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중량 대비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래 목적하는 피부트러블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 효과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장료의 외관이나 사용 시 충분한 화장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기초화장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류인 화장수류, 에센스류, 오일류, 크림류, 파우더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메이크업베이스류, 스틱류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이 용될 수 있고, 또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당업계에 통상을 지식을 지닌 당업자라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적용가능하도록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로부터 얻어진 생약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효과와, 염증 유발 물질인 NO, PGE2, TNF-α 생성 저해를 통한 항염 활성 효과를 가지며, 또한 피부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이용된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은 농림생약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각 시약은 1급 제품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
정선된 연교 50 g을 추출기에 넣고, 추출용매로 75% 에탄올 수용액 1L을 가 하여, 4시간씩 2회 반복 환류 냉각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여액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회전식 증발 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여 75% 에탄올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에탄올추출물에 다시 증류수 및 1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용해한 후, 노르말-헥산으로 분획하여 탈지하였다. 이때 얻어진 하층을 부분 감압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분획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6>
생약재 원료로서 각각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백작약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7>
생약재 원료로서 연교 11.64 g, 승마 8.14 g, 갈근 8.14 g, 길경 8.14 g, 감초 8.14 g 및 백작약 5.80 g을 혼합하여 얻은 혼합 생액재 50 g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8 내지 13>
추출용매로서 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생약재 원료로서 각각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백작약으로부터 각각의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4>
추출용매로서 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생약재 원료로서 연교 11.64 g, 승마 8.14 g, 갈근 8.14 g, 길경 8.14 g, 감초 8.14 g 및 백작약 5.80 g을 혼합하여 얻은 혼합 생액재 50 g으로부터 디클로메탄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4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의 수득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45407563-PAT00001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14에서 제조한 각 생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시험(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을 행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시험은 Kim 등(Kor. J. Pharmacogn., 24(4), 299~303, 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써,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Sigma사) 시약을 사용하였다.
먼저, 0.2 mM DPPH 용액 1 mL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14에서 수득된 각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2 mL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실시예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SC50은 자유라디칼 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활성산소 소거시험은 Noro 등(Chem . Pharm . Bull., 31, 3984~3987, 198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활성산소(superoxide anion) 소거활성 평가는 잔틴/잔틴옥시다제(xanthine/xanthine oxidase) 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계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um, NBT)의 산화에 의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2CO3 2.4 mL, xanthine 0.1 mL, EDTA 0.1 mL, BSA 0.1 mL, NBT 0.1 mL, 시료 0.1 mL을 넣고 잘 혼합하여 25℃에서 10분간 정치하였다. Xanthine oxidase 0.1 mL을 넣고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6 mM CuCl2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광파장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활성산소 소거활성 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xanthine oxidase 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실시예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활성산소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IC50은 활성산소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수학식 1>
Figure 112008045407563-PAT00002
<수학식 2>
Figure 112008045407563-PAT00003
<표 2>
Figure 112008045407563-PAT00004
상기 표 2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시험 결과에서는 실시예 1 내지 7이 실시예 8 내지 14 에 비해 다소 양호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개개 약재 추출물에서는 백작약의 실시예 6과 13이 각각 우수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보면 개개 생약재추출물에 비해 혼합 생약재 추출물인 실시예 7과 14에서 가장 우수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활성산소 소거활성 시험 결과에서는 개개 생약재추출물에 비해 혼합 생약재 추출물인 실시예 7과 14에서 미미하게 양호하였으나, 모든 실시예에서 유사한 정도의 활성산소 소거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14에서 제조한 각 생약재 추출물의 항염 활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리폭시게나제에 대한 활성저해를 측정하였다. 리폭시게나제(5-lipoxygenase)는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과 같이 분자 내에 1,4-cis,cis-pentadiene(1,4-pentadiene) 구조를 갖는 불포화 지방산에 분자상 산소를 첨가하여 1,3-cis,trans-diene 5-hydroperoxide를 생성하는 산화효소로 아라키돈산으로부터 각종 염증 및 알레르기성 질환에 관여하는 로이코트리엔(leucotriene) 생합성의 첫 번째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따라서 구조적, 메카니즘적으로 리폭시게나제와 유사한 soyben lipoxygenase를 이용하여 리폭시게나제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항염 활성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1 mM 리놀레산 1 mL에 시료 0.1 mL (10 mg/mL), 0.1 M의 인산나트륨 버퍼(pH 7.0) 에 용해시킨 리폭시게나제 0.9 mL을 넣은 후, 25℃의 수욕조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20%(w/v) 트리클로로아세트산 0.5 mL를 넣어 반응을 종결시키고, 0.6%(w/v) TBA를 1 mL 넣은 후 끓는 물에서 10분간 발색시켰다. 그 후 얼음물에 2분간 냉침시키고, n-부탄올 2 mL를 넣고 진탕혼합한 후, 3,500 rpm, 5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n-부탄올층)을 취하여 535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항염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항염 활성 효과 시험을 위한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완충용액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리폭시게나제 대신 완충용액 넣어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항염 활성 효과를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 나타낸 수치는 실시예 1 내지 14의 농도 10 mg/mL에 대한 저해율이다.
<수학식 3>
Figure 112008045407563-PAT00005
<표 3>
Figure 112008045407563-PAT00006
상기 표 3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각각의 실시예들의 리폭시게나제 활성을 50% 저해할 수 있는 농도(IC50)값은 구할 수 없었으나, 전반적으로 실시예 8 내지 14가 실시예 1 내지 7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저해효과를 보였다. 개개 약재 추출물에서는 감초의 실시예 5와 12가 각각 우수한 활성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혼합 생약재추출물인 실시예 7과 14는 가장 우수한 활성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2의 결과에서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 검정시험에서 개개 생약재 추출물보다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 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7과 14에서 얻어진 혼합 생약재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지표성분(유효성분)을 분석하였다. 상기 생약재들의 주요성분을 1차적으로 조사한 후,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염 활성이 알려진 화합물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조건은 아래에 기술한 바와 같다.
크로마토그래피 : Dionex Summit HPLC
칼럼 : Luna C18(250 mm × 4.6 mm × 0.5 μm)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329 nm)
유속 : 1.0 mL/min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킨 0.1% 초산용액과 물에 용해시킨 0.1% 초산용액의 기울기용리
<표 4>
Figure 112008045407563-PAT00007
상기 조건으로 실시예를 분석한 결과, 악틴, 악티게닌, 마타이레시놀이 하기 표 5에서와 같이 분석되었다. 분석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08045407563-PAT00008
상기 표 5에 나타낸 결과는 실시예 7과 14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한 것이다. 실시예 14에 함유된 유효성분들의 함량이 실시예 7보다 약 1.3배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실험예 1 내지 2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 효과와 일치함을 보였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7과 14에서 얻어진 혼합 생약재추출물의 항염 활성 효과를 확인해 보기 위해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O(nitric oxide) 생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일반적인 NO의 형성은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증상태에서 i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AW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s/well로 조절한 후 24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시료를 처리하고 30분 배양 후 LPS (lipopolysaccharide, 1 μg/mL)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NO detection kit (iNtRON)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하기 수학식 4로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상기 항염 활성증 효과 시험을 위한 대조군은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으로 하였다.
<수학식 4>
Figure 112008045407563-PAT00009
<표 6>
Figure 112008045407563-PAT00010
상기 표 6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실시예 14는 각각 5, 10 μg/mL의 농도에서 약 42%, 59%의 NO 생성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실시예 7보다 약 1.5~2배의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7과 14에서 얻어진 혼합 생약재추출물의 항염 활성 효과를 확인해 보기 위해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생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Cyclooxygenase (COX)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프로스타글란딘으로 전환하는 효소로 COX-1과 COX-2로 분류된다. COX-1은 체내에서 혈소판의 형성, 위벽보호, 신장기능의 유지 등 정상적인 생체기능에 작용하며, COX-2는 염증매개 물질인 PGE2를 형성시킨다. PGE2는 염증반응, 면역반응 그리고 혈관형성(angiogenesis)을 촉진하는 등 암발생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AW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s/wel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시료를 처리하고 30분 배양 후 LPS 1 μg/mL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PGE2의 양은 PGE2 ELISA kit (R&D systems,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하기 수학식 5로 계산하여 표 7에 나타내었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상기 항염 활성증 효과 시험을 위한 대조군은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으로 하였다.
<수학식 5>
Figure 112008045407563-PAT00011
<표 7>
Figure 112008045407563-PAT00012
상기 표 7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실시예 14는 각각 5, 10 μg/mL의 농도에서 약 75%, 90%의 우수한 PGE2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7에 비해 약 1.4배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6>
상기 실시예 7과 14에서 얻어진 혼합 생약재추출물의 항염 활성 효과를 확인해 보기 위해 초기 염증성 분자 중 하나인 TNF-α 생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형성은 포스포리파제 A2 (phospholipase A2)의 활성으로 인해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으로 바뀌는 과정 및 NO 형성 과정으로 이어지게 된다.
RAW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s/well로 조절한 후 24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시료를 처리하고 30분 배양 후 LPS 1 μg/mL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TNF-α의 양은 TNF-α ELISA kit (eBioscience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하기 수학식 6으로 계산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상기 항염 활성증 효과 시험을 위한 대조군은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으로 하였다.
<수학식 6>
Figure 112008045407563-PAT00013
<표 8>
Figure 112008045407563-PAT00014
상기 표 10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실시예 14는 10 μg/mL의 농도에서 약 23%의 TNF-α 생성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실시예 7보다 약 2배의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제형예 1>
상기 실시예 14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아토피용 화장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9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9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정제수)에 성분 2와 3을 교반 분산시킨 후, 성분 4 내지 6을 가하고, 성분 8 내지 10을 성분 7에 용해시킨 물질과 성분 11을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제형예로서는 성분 11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 구성이나 그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하였다.
<표 9>
Figure 112008045407563-PAT00015
<제형예 2>
상기 실시예 14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아토피용 로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10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10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7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8 내지 11을 성분 12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성분 13으로 중화하고,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4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표 10>
Figure 112008045407563-PAT00016
<제형예 3>
상기 실시예 14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아토피용 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11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11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7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9 내지 12를 성분 13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4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표 11>
Figure 112008045407563-PAT00017
<실험예 7>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 물질 함유 화장료의 피부 보습에 대한 임상시험으로 피부수분 측정기(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전도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피부수분 측정기에 의한 보습력 측정은 피부표면(예, 각질층)의 수분함량을 정전부하용량 계측법(capacitance measurement)으로 측정하는 장비로 피부표면 수분함량 측정이 이미 국소에 도포된 시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탐침센서 접촉부위 아래로 30~40 μm 깊이의 일정한 측정레벨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피부수분 측정은 실내온도 20~25℃, 상대습도 40~55% 로 유지시킨 항온항습 조건에서 피부수분 측정기를 이용하여 5명의 피검사자에 대하여 팔 안쪽을 측정부위로 하여 2×2 cm2의 면적에 제형예 3을 7.5 μL 적용하여 시간별로 측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7을 이용하여 보습력으로서 피부전도도 증가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으며, 한 측정부위를 각 5회씩 측정하여 평균값±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또한, 시료 도포 전에 피부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값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제형예 및 비교제형예 모두 도포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다.
<수학식 7>
Figure 112008045407563-PAT00018
<표 12>
Figure 112008045407563-PAT00019
상기 표 1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4를 함유하는 제형예 3을 도포함에 따라, 제형예 3 및 비교제형예 3 모두 도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피부 보습력이 약 45% 정도 증가하였다. 비교제형예 3에 비해서는 약 12% 피부 보습력이 증가하였다.
<실험예 8>
상기 추출 실시예 14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대한 피부 안전성, 즉 피부반응의 관찰을 통해서 자극 혹은 알레르기성 반응의 발생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기준 피부안전성 검사법에 따라 인체 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로 20세 이상 50세 이하의 건강한 성인 여자 30명을 선정하였고, 첩포시험은 대상자 상박 내측에 첩포를 부착하였으며 48시간, 72시간이 지난 후 첩포를 제거하였다. 30분, 24시간 후 각 시험 부위를 관찰하였다. 판정기준은 하기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3>
Figure 112008045407563-PAT00020
첩포 부착 후 30분과 24시간에 판독한 결과를 하기 수학식 8을 이용하여 시료에 대한 피부 반응도를 산출하였다.
<수학식 8>
Figure 112008045407563-PAT00021
첩포시험의 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계산된 양성 반응을 보인 시료의 피부 자극도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표 14>
Figure 112008045407563-PAT00022
상기 표 1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7, 14는 인체첩포시험에서 하기 표 15에 따른 피부 반응도 판정 기준에 의하면 무자극으로 민감한 피부에 사용해도 좋은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7과 14는 피부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성분으로 나타났다.
<표 15>
Figure 112008045407563-PAT00023

Claims (7)

  1.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을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로부터 추출된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및 피부보습 유지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연교 20 내지 25 중량%, 승마 15 내지 18 중량%, 갈근 15 내지 18 중량%, 길경 15 내지 18 중량%, 감초 15 내지 18 중량% 및 백작약 10 내지 13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항염 활성 성분으로 악틴, 악티게닌 및 마타이레시놀을 함유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 활성 성분이 악틴 2.5 내지 5.4 중량%, 악티게닌 4 내지 5 중량% 및 마타이레시놀 4.8 내지 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혼합 생약재추출물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초화장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류인 화장수류, 에센스류, 오일류, 크림류, 파우더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메이크업베이스류, 스틱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080059855A 2008-06-24 2008-06-24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02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855A KR101026873B1 (ko) 2008-06-24 2008-06-24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855A KR101026873B1 (ko) 2008-06-24 2008-06-24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80A true KR20100000380A (ko) 2010-01-06
KR101026873B1 KR101026873B1 (ko) 2011-04-06

Family

ID=4181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855A KR101026873B1 (ko) 2008-06-24 2008-06-24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8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285B1 (ko) * 2015-07-13 2015-12-31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8625A (ko) * 2018-02-07 2018-02-21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만수국아재비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8638A (ko) * 2016-10-07 2018-04-17 (주)스와니코코 피부 개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용 한방진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677A (ko) 2014-08-18 2016-02-26 유민정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708A (ko) * 2004-11-17 2006-06-29 최양원 아토피성 피부질환 한방치료제의 제조방법
KR100742378B1 (ko) * 2005-05-17 2007-07-24 김정진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0825450B1 (ko) * 2006-06-30 2008-04-28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285B1 (ko) * 2015-07-13 2015-12-31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8638A (ko) * 2016-10-07 2018-04-17 (주)스와니코코 피부 개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용 한방진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20180018625A (ko) * 2018-02-07 2018-02-21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만수국아재비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873B1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nesh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of Acanthus ilicifolius and Avicennia officinalis by GC-MS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420531A (zh) 一种含藏荆芥具有美白保湿功效的中药组合提取物及应用
KR101026873B1 (ko)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US10434057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smanthus asiaticus extract and clematis apiifolia extract
KR100754748B1 (ko)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5859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115786A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101690012B1 (ko) 일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2272237B1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598348B1 (ko)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1184313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천연화장료 이로미스 No.4 콤플렉스
JP2011088854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Gunsuang et al. Development of semisolid preparations containing extract of thai polyherbal recipe for anti-inflammatory effect
CN115212157B (zh) 美白祛斑抗衰老的天然植萃复配草本原料制备方法及其应用
CN109125443A (zh) 一种治疗银屑病的中药组合物
KR102538957B1 (ko) 백선피, 형개, 사상자, 녹두, 목단피, 고삼, 대황, 및 지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5384B1 (ko) 잔대 추출물 및 희첨 추출물이 포집된 멀티라멜라 리포좀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4260B1 (ko) 돌외, 비누풀 및 금은화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2376B1 (ko) 생약 혼합물로부터 저온 숙성 공정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42714B1 (ko) 중/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에키네시아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Vijayalakshmi et al. Evaluation of herbal ointment containing ethanol extract of Plecranthus amboinicus root for the management of psoria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