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029A -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029A
KR20150105029A KR1020140027183A KR20140027183A KR20150105029A KR 20150105029 A KR20150105029 A KR 20150105029A KR 1020140027183 A KR1020140027183 A KR 1020140027183A KR 20140027183 A KR20140027183 A KR 20140027183A KR 20150105029 A KR20150105029 A KR 20150105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mixed
herbal medicine
mulb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한창성
김건용
정현식
조현영
최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리베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리베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140027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5029A/ko
Publication of KR2015010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건한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오디) 및 상목이(상황버섯)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한 생약재를 청주, 식초, 소금, 생강즙 또는 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한 생약재를 가열 건조하는 단계; 및 초건한 생약재를 추출용매로 추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약 혼합 추출물은 항노화, 높은 피부보습효과 및 피부탄력개선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Morus Alba Leaf, Ramulus Mori, Mori radicis Cortex, Mulberry and Phellinus linteus mixed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음건한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오디) 및 상목이(상황버섯)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한 생약재를 청주, 식초, 소금, 생강즙 또는 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한 생약재를 가열 건조하는 단계; 및 초건한 생약재를 추출용매로 추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선에 노출된 피부는 가벼운 염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엘라스타아제가 망상 조직에 작용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엘라스틴과 콜라겐 섬유에 손상을 일으켜 피부가 늘어지는 노화현상으로 진행된다(Motoyoshi, K.,Takenouch, M., Proceedings of the 19th IFSCC congress Sydney pp22-25, October 1996). 40대 이후의 피부는 엘라스타아제의 작용으로 피부 탄력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나는데, 이는 나이를 먹음에 따라 엘라스타아제의 작용이 매우 활발해져 엘라스틴 섬유의 소멸이 일어나기 때문이다(Bissett, D. L., Photochem. Photobiol., 46, pp367-368, 1987). 피부에서 엘라스틴 조직은 콜라겐 조직과 함께 망상구조로 피하조직을 이루고 있다. 엘라스타아제는 이러한 엘라스틴을 가수 분해 시키는 단백질 분해효소이다. 이 효소는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골격과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엘라스틴,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케라틴 등을 비 선택적으로 가수 분해 시킨다(Wiedow, O., Schroder, J. M., E. J. Biol. Chem.,265(25), p14791, 1990). 최근 상기의 엘라스타아제 저해제를 찾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항산화력이 있는 식물 추출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엘라스타아제 억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를 응용해 피부 노화 또는 주름을 예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Bizot-Foulon V., Godeat G., W. Int J. Cos. Sci. 17, 255-264, 1995).
사람의 인체는 대략 70-75%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는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함과 동시에 피부 내부의 수분을 막는 장벽 기능을 가지고 있다. 피부에 함유하고 있는 수분량은 15~20%정도이며, 유분과 함께 피부에 존재하고 있다. 구조적으로 각질층(Stratum corneum)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의 세포간 지질들은 몰타르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서의 수분유지는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시간경과에 따른 저항력의 약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인위적인 실내 온도조절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과 사회생활에서 발생 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노화로 인한 내부적인 요인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어 심지어는 갈라지기까지 하는 증상이 나타나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습제의 보습 목적을 위해 응용하는 물질은 피부 각질층의 구성성분인 NMF 성분들, 세포 간지질 성분 및 가장 일반적인 다가 알코올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습제는 피부에 끈적임을 발생하는 결점이 있고, 피부에 충분한 보습효과의 부족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 적용이 제한되어 왔다.
여러 가지 화장료 조성물들은 피부의 건조함을 극복하기 위해 오일, 당 및 폴리올 등 다양한 보습제를 이용하여 피부의 건조함을 개선하고자 노력해 왔다. 예컨대, 피부 구성 성분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등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피부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을 억제하거나 피부 표면에서 수분과 결합하는 능력이 강한 당, 폴리올 등을 이용해 피부 수분 보유 능력을 강화해 피부의 보습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대습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그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어렵고, 상대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오히려 불쾌감을 주어 상대 습도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a) 사용감 (예: 끈적임 및/또는 매끄러운 감)의 개선; (b)보습 효과의 개선; 그리고 (c) 보습 효과의 지속성 개선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한국 공개특허 10-2013-0126969).
피부의 탄력은 진피 조직의 세포외 기질(ECM; extracelluar matrix) 성분이 담당하게 되는데, ECM은 크게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ECM 전체의 약 2~4%를 차지하는 탄력섬유(elastic fiber)이며, 또 다른 하나는 ECM 전체의 약 70~80%를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이다. 탄력섬유는 엘라스틴(elastin)이라는 무정형의 기질에 미원섬유(microfibrils)들이 박혀 있는 형태를 띠고 있으며, 엘라스틴은 라이신에서 유래한 데스모신(desmosine)과 아이소데스모신(isodesmosine)이라는 탄력섬유에서만 발견되는 아주 독특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다. 이러한 데스모신과 아이소데스모신 등은 긴 펩타이드 사슬 안에서 가교(cross-links)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엘라스틴으로 하여금 고무와 같은 성질을 갖게 한다.
또한,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섬유는 콜라겐(collagen)이라고 하는 교원섬유와 함께 존재하는데,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유지가 가능하다. 피부 탄력의 저하는 노화나 자외선 등에 의해 유발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 저하 또는 파괴에 기인한다(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56300).
특히,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와 엘라스타아제(elastase) 같은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matrix metalloprotease)의 발현으로 인하여 피부 내에서 정상적으로 생성된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분해되어 피부 탄력이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탄력감소의 원인이 되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를 억제하려는 목적으로 여러 가지 물질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레티놀과 레티노익산 등의 레티노이드 등은 탄력개선 효과를 나타내고(Dermatology therapy, 1998, 16, 357~364), 레구미노사 종자(Leguminosae Seeds)에서 얻어진 단백질분획은 탄력증대효과를 나타내며(미국특허 제5,322,839호), 맥아추출물(malt extract)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를 억제하는데 응용되고 있다(일본특허 제5,105,693호). 하지만, 이들 레티노이드들은 소량만을 피부에 적용하여도 자극이 나타난다는 단점을 가지며 대부분의 천연물 유래의 원료들은 단순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되어 왔고, 그 추출물들이 보이는 효능이 정확하게 어떤 물질에 의한 것인지 밝혀지지 않아 그 추출물의 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 제어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뽕나무는 장미목 뽕나무과의 속이다. 종의 대부분이 아시아 원산이다. 유전적으로 닥나무속(Broussonetia)과 가깝다. 뽕나무속은 어릴 때 속성수이나, 금세 성장이 느려져 키가 10~15m에 미치지 못한다. 열매가 익으면 짙은 자주에서 검정색이 나고 먹을 수 있으며, 몇 종의 열매는 매우 달다. 뿌리껍질을 상백피, 열매를 오디(상심자) 잎을 상엽, 가지를 상지라고 한다.
식물분류학상 뽕나무는 Morus alba L. 로 표시되는 교목식물이다. 뽕나무(Mulberry)는 열매(桑子)로부터 잎(桑葉), 가지(桑枝), 뿌리껍질(桑白皮), 뽕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桑寄生), 상황버섯(桑黃), 누에(白蠶), 동충하초(冬蟲夏草)에 이르기까지 하나도 버릴게 없는 신목으로서 ‘동의보감’ 및 ‘본초강목’에는 고혈압과 동맥경화, 중풍을 비롯해 각기에 의한 부종, 신경통과 관절염, 감기의 기침과 가래 등에 효과가 있고, 자양강장 효과도 있는 것으로 적혀있다(약품식물학연구회, 신약품식물학, 학창사, p. 242, 1994; Tsuneo Namba 和漢藥百科圖鑑 I, 보육사, p 320, 1980).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엽(Morus Alba Leaf)은 뽕나무 잎을 말한다. 뽕나무를 뜻하는 상(桑)은 동방의 성스러운 신목을 뜻하는 약과 나무 목을 합친 글자라고 한다. 이것은 누에가 먹는 나무인 뽕나무가 신목처럼 효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 둘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이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차다. 상엽은 해수, 구갈, 피부 두드러기 등에 쓰인다(한국 공개특허 10-2013-0011504). 또한 상엽(桑葉, Mori folium)은 뽕나무 및 동속 근녹식물의 잎을 건조한 것으로 맛은 고감하고 성질은 한하며 폐, 간경에 들어간다. 잎에는 루틴(rutin), 쿼서틴(quercetin), 모라세틴(moracet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루페올(lupeol), 미오이노시놀(yoinositol), 이노코스테론(inokoster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상엽은 양혈조습(피의 열을 없애고 수분을 줄여줌), 거풍명목(풍기운을 없애고 눈을 맑게 해줌), 말복 지도한(분말로 복용하면 식은땀을 없앰)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초강목 등의 동양의약서에 상백피, 누에고치 등과 함께 소갈증에 효과가 있음이 기록되어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지(Ramulus Mori)는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 가지를 말린 것이다. 뽕나무속 식물로는 뽕나무(Morus alba,Linne), 처진뽕나무(Morus alba for. Peldulls DIPPEL), 산뽕나무(Morus bombycis, Koidzumi), 꼬리뽕나무(Morus bombycis var. Caudatifolia), 섬뽕나무(Morus bombycis var. maritima KOIDZ), 가새뽕나무(Morus bombycis for. Kase VYKEI), 몽고뽕나무, 왕뽕나무,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가 있으며, 이들은 낙엽활엽성의 교목으로 한국의 대부분 지역에 걸쳐 표고 500 내지 1,400 m에 수평적으로 분포하며, 산골 마을 부근이나 산기슭에 자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지의 모양은 긴 원주형으로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직경은 0.5-1.5 cm 이다. 표면은 회황색 혹은 황갈색으로 다수의 황갈색 점상 피공과 미세한 종문이 있으며, 회백색을 띤 반원형 잎 흔적과 황갈색의 액아가 있다. 절편의 두께는 0.2 - 0.5 cm로 외피 부위는 비교적 얇고, 목질 부위는 황백색이며, 사선은 방사상이고, 수부는 백색 또는 황백색이다. 상지의 채취 시기는 늦은 봄과 초여름 사이가 바람직하며, 잎을 제거한 후, 신선할 때 30 내지 60cm 크기로 잘라 햇볕에 말린 것이 좋다. 통상적으로 상지는 약간 쓴맛이 나며, 소염, 이뇨, 강장, 발한 및 풍을 제거하는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오래전부터 한약재로 쓰이고 있다.(한국 등록특허 10-023013호).
상백피(桑白皮, Mori radicis Cortex)는 뽕나무 (Morus alba L.) 및 동속 근녹식물 근피의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으로, 겨울에 뿌리를 캐내 깨끗이 씻어 신선할 때 코르크층을 벗겨내고 세로로 갈라서 나무망치로 두드려 목부와 피부를 분리시켜 백피만 취한 것이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주요 생리활성성분으로는 움벨리페론(umbelliferone), 스코폴레틴(scopolet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의 모루신(morusin), 멀베린(mulberrin), 멀베로크로멘(mulberrochromene), 시클로멀베린(cyclomulberrin), 시클로멀베로크로멘(cyclomulberrochrome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아세틸콜린(acetyl choline)과 작용이 유사한 항염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오디는 뽕나무 열매로 오디에는 포도당, 과당, 칼슘, 철분, 칼륨, 마그네슘, 아연, 비타민 A, B1, C가 들어 있어 과일 중의 황제라고 일컫는다. 오디에는 철분이 다른 과일에 비해 4~5배 이상, 칼슘은 딸기의 2배 이상, 칼륨은 사과의 2배 이상, 그 밖에 마그네슘, 아연 등을 다량 함유한다. 네오헤스페리딘이라는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물질로 피부의 지질과 산화를 막아 피부조직을 튼튼하게 하여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알려져 있고, AHA9알파 하이드록시산은 피부의 이상각화를 조절하여 항상 깨끗한 피부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오디에는 노화억제 항산화 색소인 "C3G(cyanidin-3-glucoside)"가 다량 함유돼 있다. 안토시아닌의 일종인 C3G는 토코페롤보다 7배나 강한 노화 억제 효과를 보이며, 오디의 C3G 최고 함량은 1.27%로 포도의 23배에 달한다고 농촌진흥청은 밝혔다. 뽕나무 오디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색소(C3G)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노화억제, 당뇨병성 망막장애 치료, 항산화 작용 등을 기대할 수 있다면서 오디의 씨에 다량 존재하는 불포화지방산인 리놀산은 혈중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함량을 효과가 있고, 고혈압 억제 물질인 루틴 함량이 메밀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한국 공개특허 10-2012-0021929).
한편, 상황(桑黃) 버섯은 옛날부터 중국에서는 상이(桑耳)라고도 하여 대부분 뽕나무에 기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왔으나,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뽕나무 이외에 일부 활엽수의 심재부에서도 야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소나무 비늘 버섯과(Hymenochaetaceae)의 진흙버섯속 (Phellinus Quel. em. lmaz)에 속하며 우리나라에서 상황버섯이라 하는 것은 목질 진흙버섯(Phellinus Linteus)을 지칭한다.
이 진흙버섯 속에는 전 세계 약 48종의 상황버섯이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녹슨진흙버섯(P. ferruginosus), 마른진흙버섯(P. gilvus), 말똥진흙버섯(P. igniarius), 가지진흙버섯(P. laevigatus), 벚나무진흙버섯(P. pomaceus), 찰진흙버섯(P. robustus), 전나무진흙버섯, 낙엽진흙버섯(P. pini)등의 8종의 상황버섯이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버섯은 항암효과, 면역강화기능, 종양저지효과 등의 약리효과를 가지며, 자궁출혈, 월경불순 등의 부인병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황버섯 추출물에는 여러 종류의 당과 플라보노이드 성분, 섬유질, 이소플라본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화장품으로 사용할 때 보습력과 피부노화 방지기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피부미백효과 면에서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상황버섯은 다양한 분야, 특히 피부 개선용 화장품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출원 제 1996-57166호는 상황의 균사체 또는 그의 배양액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공지하고 있고, 특허출원 제 1996-69542호는 상황버섯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손상방지 및 개선효과, 면역증강효과, 미백효과, 항산화효과 등이 우수한 조성물에 대하여 공지하고 있으며 특허출원 제 1999-11685호는 상황추출물, 상황 분말, 상황 균사체, 상황 배양물 등의 상황 성분을 함유하는 제균 및 항균 화장 비누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특허출원 제 2001-8433호는 자연산 상황버섯 추출물 함유 니오좀을 함유하는 피부보습력, 탄력, 안정성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음건한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오디) 및 상목이(상황버섯)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한 생약재를 청주, 식초, 소금, 생강즙 또는 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한 생약재를 가열 건조하는 단계; 및 초건한 생약재를 추출용매로 추출 후 여과하는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혼합 추출물의 경우, 항노화, 높은 피부보습효과 및 피부탄력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KR10-2013-0126969 A
(특허문헌 2) KR10-2009-0056300 A
(특허문헌 3) KR10-023013 B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항노화, 높은 피부보습효과 및 피부탄력개선효과를 갖는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오디) 및 상목이(상황버섯)를 준비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준비한 생약재를 청주, 식초, 소금, 생강즙 또는 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 전처리하는 단계;
c) b) 단계에서 전처리한 생약재를 가열 건조하는 단계; 및
d) c) 단계에서 초건한 생약재를 추출용매로 추출 후 여과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청주, 식초, 소금, 생강즙 또는 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 전처리하지 않은 생약 혼합 추출물의 경우, 항노화, 피부보습 및 피부탄력에서 큰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상기 청주, 식초, 소금, 생강즙 또는 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 전처리 시, 상기 효과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엽, 상지, 상백피, 오디(상심자) 및 상황버섯은 2 ~ 3 : 2 ~ 3 : 1 ~ 2 : 4 ~ 5 : 1 ~ 2의 혼합비율로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청주는 생약대비 10 ~ 15 중량%, 식초는 생약대비 10 ~ 15 중량%, 소금은 생약대비 1 ~ 3중량%, 생강즙은 생약대비 5 ~ 15 중량% 또는 꿀은 생약대비 20 ~ 30중량% 로 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청주, 식초, 생강즙 또는 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물을 첨가한 후 삶거나, 찌거나, 불에 볶거나 또는 불에 굽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추출용매는 종래에 사용되어진 어떠한 추출용매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식물의 추출방법 예를 들면, 열수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초임계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생약재들을 상기 용매에 투여하고 4 ~ 6시간 동안 2 ~ 4회 환류 추출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 후, 추출물을 냉침 한 후 여과지로 여과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환류냉각 추출을 이용하였으며 70%(w/w)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환류냉각 추출을 이용하였으며 70%(w/w)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이후에 여과된 추출물을 동결건조 후 용매에 용해시켜 생약 혼합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매로는 물,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부틸렌글리콜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은 30 ~ 50℃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 하였으며, 수득된 동결 건조물은 5 ~ 15중량% 함유되도록 상기 혼합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생약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 피부보습효과 또는 피부탄력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험예에 따르면, 청주, 식초, 소금, 생강즙 또는 꿀로 전처리한 본 발명의 생약 혼합 추출물(실시예 1 내지 5)은 그렇지 않은 생약 혼합 추출물(비교예 1)보다 보습효과, 엘라스타아제 발현 억제 효과 및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더 뛰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생약 혼합 추출물은 보습효과, 피부탄력효과 및 항노화효과를 주는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총 중량 대비 0.00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담체 이외에 다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보존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주, 식초, 소금, 생강즙 또는 꿀로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은 보습효과가 뛰어나며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효능이 더욱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생약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로 제조한 여과액을 화장료 조성물로 함유 시, 우수한 항노화 효과, 피부보습효과 및 피부탄력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청주, 식초, 소금, 생강즙, 꿀로 전처리된 상엽, 상지, 상백피, 오디(상심자), 상황버섯으로 이루어진 생약 혼합 추출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전처리 단계.
세절된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오디), 상목이(상황버섯)를 청주, 식초, 소금, 생강즙 또는 꿀로 일정비율로 혼합 한 후 삶기, 찌기, 불에 볶기, 불에 굽기 및 불에 달구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처리를 행하며, 또는 상기 방법들을 혼합하여 전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삶는 경우는 100 ~ 180 ℃에서 0, 1 ~ 1시간, 찌는 경우에는 150 ~ 200℃에서 1 ~ 48시간, 볶는 경우 100 ~ 300℃에서 0 ~ 1시간, 굽는 경우 180 ~ 300℃에서 0 ~ 5시간 등의 조건에서 가공할 수 있다.
(2) 추출물을 수득 단계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1) 단계를 거친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오디), 상목이(상황버섯)의 추출물을 수득한다.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비교예 1 : 생약 혼합물로부터 추출물 제조 단계(단순 추출)
서울 경동시장에서 구입 후, 세절하여 음건한 상엽 200g, 상지 200g, 상백피100g, 상심자(오디) 400g, 상목이(상황버섯) 100g을 혼합하여 70%(w/w) 에탄올 수용액 10kg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 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 시킨 후, 수득된 동결 건조물을 10 중량% 함유되도록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혼합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생약혼합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생약 혼합물 청주 전처리 추출물의 제조
서울 경동시장에서 구입 후, 세절하여 음건한 상엽 200g, 상지 200g, 상백피100g, 상심자(오디) 400g, 상목이(상황버섯) 100g을 각각 일정량의 청주(생약 대비 10 ~ 15%)를 골고루 뿌려 술이 모두 흡수될 정도로 축축해지도록 담가 두고 이것을 초제 용기에 넣어 100 ~ 180℃에서 15 ~ 30분 동안 볶는다. 초건(炒乾)한 생약재를 혼합하여 열풍건조기로 건조 한 후 70%(w/w) 에탄올 수용액 10kg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 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시킨 후, 수득된 동결 건조물을 10 중량% 함유되도록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혼합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청주 전처리 생약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생약 혼합물 식초 전처리 추출물의 제조
서울 경동시장에서 구입 후, 세절하여 음건한 상엽 200g, 상지 200g, 상백피100g, 상심자(오디) 400g, 상목이(상황버섯) 100g을 각각 일정량의 식초(생약 대비 10 ~ 15% 사용)를 골고루 뿌려 식초가 모두 흡수될 정도로 축축해지도록 담가 두고 이것을 초제 용기에 넣어 100 ~ 180℃에서 15 ~ 30분 동안 볶는다. 초건(炒乾)한 생약재를 혼합하여 열풍건조기로 건조 한 후 70%(w/w) 에탄올 수용액 10kg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시킨 후, 수득된 동결 건조물을 10 중량% 함유되도록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혼합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식초 전처리 생약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생약 혼합물 소금 전처리 추출물의 제조
서울 경동시장에서 구입 후, 세절하여 음건한 상엽 200g, 상지 200g, 상백피100g, 상심자(오디) 400g, 상목이(상황버섯) 100g을 각각 일정량의 정제수에 용해된 소금(생약 대비 2% 사용)를 골고루 뿌려 소금물이 모두 흡수될 정도로 축축해지도록 담가 두고 이것을 초제 용기에 넣어 100 ~ 180℃에서 15 ~ 30분 동안 볶는다. 초건(炒乾)한 생약재를 혼합하여 열풍건조기로 건조 한 후 70%(w/w) 에탄올 수용액 10kg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 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시킨 후, 수득된 동결 건조물을 10 중량% 함유되도록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혼합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소금 전처리 생약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생약 혼합물 생강즙 전처리 추출물의 제조
신선한 생강을 마쇄한 후 적당한 양의 정제수에 넣고 눌러 짜서 즙액을 취하고, 생강의 찌꺼기를 다시 적당량의 물을 넣고 끓인 즙액과 합쳐서 즙액을 만든다. 서울 경동시장에서 구입 후, 세절하여 음건한 상엽 200g, 상지 200g, 상백피100g, 상심자(오디) 400g, 상목이(상황버섯) 100g의 각각 생약 원료에 상기 생강 즙액(생약 대비 10%)을 골고루 뿌려 골고루 축인 후 생강즙이 스며들면 이것을 초제 용기에 넣어 100 ~ 180℃에서 15 ~ 30분 동안 볶는다. 초건(炒乾)한 생약 혼합물을 꺼내서 혼합한 후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70%(w/w) 에탄올 수용액 10kg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 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시킨 후, 수득된 동결 건조물을 10 중량% 함유되도록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혼합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생강즙 전처리 생약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생약 혼합물 꿀 전처리 추출물의 제조
서울 경동시장에서 구입 후, 세절하여 음건한 상엽 200g, 상지 200g, 상백피 100g, 상심자(오디) 400g, 상목이(상황버섯) 100g의 각각 생약재를 일정량의 정제수에 용해된 꿀(생약 대비 20 ~ 30% 사용)을 골고루 뿌려 꿀물이 모두 흡수될 정도로 축축해지도록 담가 두고 이것을 초제 용기에 넣어 100 ~ 180℃에서 15분 ~ 30분 동안 볶는다. 초건(炒乾)한 생약 혼합물을 꺼내서 혼합한 후 열풍건조기로 건조 하여 70%(w/w) 에탄올 수용액 10kg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 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 시킨 후, 수득된 동결 건조물을 15 중량% 함유되도록 정제수, 부틸렌글리콜 혼합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꿀 처리 생약 혼합추출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 보습효과 측정( Corneometer 825)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해서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만한 피부질환이 없는 22 ~ 33세의 남녀 20(남자 5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각 대상들은 시료 적용 전 실험부위를 물로 세정한 후 30분 동안 외적 환경에 적응하게 하였다. 실험 환경조건은 실내온도 22 ~ 24℃, 실내습도 45 ~ 50%로 유지시킨 동일한 장소에서 시행하였다. 시료를 각각 10uL씩 상완 내측 2 × 2cm2로 도포하고 1분간 건조했다. 그 후 각 도포부위에 정제수 20uL씩 도포하고, 킴와이프로 수분을 닦아낸 직후로부터 1분 간격으로(0분, 1분, 2분, 3분, 4분, 5분, 6분, 7분, 8분, 9분) 각 도포부위의 피부표면 정전용량을 Corneometer CM 825(Courage and Khazaka, K?ln, Germany)로 측정하였고 하기 식 1에 따라 보습 개선율(%)의 결과 값은 표 1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Corneometer value(Cv)로 나타냈다.
[식 1]
Figure pat00001

시료 시간(분)
0 2 4 6 8 10
비교예 1 164.3 70.7 60.3 52.0 45.4 41.4
실시예 1 163.5 71.2 65.5 54.0 50.6 48.4
실시예 2 168.2 75.4 67.1 58.1 56.7 58.6
실시예 3 163.2 70.2 65.1 53.4 51.8 51.0
실시예 4 164.6 69.0 65.2 59.6 56.3 52.0
실시예 5 169.5 72.1 67.3 65.9 62.1 61.4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로 부터 얻은 단순 혼합 추출물과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의 보습효과 측정 결과, 단순 혼합 추출물인 비교예 1보다 전처리된 생약 혼합추출물이 보습 개선율이 높게 측정이 된 것으로 보아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이 보습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 수 있었다. 그 중 꿀로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 엘라스타아제 발현 억제 효능 측정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로부터 얻은 단순 혼합 추출물과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생성 저해능을 토코페롤 및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배지로 24시간 배양하고, 무혈청 배지에 녹여진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의 단순 혼합 추출물과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 토코페롤 및 EGCG를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엘라스타아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의 엘라스타아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엘라스타아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엘라스틴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발색반응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띠게 되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식 2에 의해 엘라스타아제의 발현 정도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식 2]
Figure pat00002

화합물 발현정도(%)
대조군 100
토코페롤 89
EGCG 67
비교예 1 90
실시예 1 71
실시예 2 72
실시예 3 77
실시예 4 82
실시예 5 56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관내(in vitro)에서 실시예 1 내지 5의 엘라스타아제 발현 정도가 일반 단순 추출물인 비교예 1에 비교하여 낮은 것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발현 저해 효과가 더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엘라스타아제 발현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토코페롤 및 EGCG와 비교하여서도 본 발명에 의한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발현 저해 효과가 토코패롤보다는 우수하고 EGCG와는 비슷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 중 꿀로 전처리된 혼합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발현 저해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로부터 얻은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생성 저해능을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70 ~ 80 % 정도 자랄 때까지 CO2 5%, 37℃ 배양기(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의 전처리 된 생약 혼합 추출물을 10-4 몰농도로 24 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콜라게나아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 Catalog #: RPN 2610)를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의 콜라게나아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아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3,3’,5,5’-tetramethylbenzidine, sigma)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발색반응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띠게 되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식 3에 의해 콜라게나아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채취한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식 3]
Figure pat00003
화합물 발현정도 (%)
비처리군 100
레티노익산 75
비교예1 96
실시예1 71
실시예2 77
실시예3 73
실시예4 75
실시예5 64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관내(in vitro)에서 실시예 1 내지 5의 콜라게나아제 발현 정도가 단순 추출물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낮은 것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발현 저해 효과가 더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콜라게나아제 발현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서도 본 발명에 의한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발현 저해 효과가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크게 다르지 않는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그 중 꿀로 전처리된 생약 혼합추출물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처리된 생약 혼합 추출물은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MMP-1)를 저해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1 :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조
비교예 1을 함유하는 비교 제형예 1과 실시예 1 내지 5를 함유하는 제형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장료는 크림형태이고, 그 조성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우선 표 4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 ℃에 보존하였고, 나)상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 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서서히 냉각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단위: 중량%) 대조군 비교
제형예1
제형예1 제형예2 제형예3 제형예4 제형예5
스테아릴 알콜 8 8 8 8 8 8 8
스테아린산 2 2 2 2 2 2 2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2 2 2 2 2 2
스쿠알란 4 4 4 4 4 4 4
2-옥틸도데실알콜 6 6 6 6 6 6 6
플리옥시에틸렌
(25몰부가)알콜에스테르
3 3 3 3 3 3 3
글리세릴모노TM테아린산 에스테르 2 2 2 2 2 2 2
비교예1 - 1 - - - - -
실시예1 - - 1 - - - -
실시예2 - - - 1 - - -
실시예3 - - - - 1 - -
실시예4 - - - - - 1 -
실시예5 - - - - - - 1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5 5 5
적량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4 : 화장료의 피부 탄력 개선효과 측정
상기 비교제형예 1 및 제형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대조군, 비교제형예 1 및 제형예 1 내지 5의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자(20세~ 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피검자의 눈가의 왼쪽에는 상기 대조군의 크림을, 오른쪽에는 비교제형예 1 또는 제형예 1 내지 5의 크림을 도포하게 하였다. 피부 탄력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474,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각 그룹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고 그 평균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피부 탄력 향상도(%)
대조군 15
비교제형예1 35
제형예 1 58
제형예 2 49
제형예 3 46
제형예 4 48
제형예 5 64
그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처리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1 내지 5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피부탄력 향상도가 각각 3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단순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 제형예 1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서도 피부 탄력 향상도가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꿀로 전처리된 생약 혼합추출물과 청주로 전처리된 생약 혼합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피부 탄력 향상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a)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오디) 및 상목이(상황버섯)를 준비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준비한 생약재를 청주, 식초, 소금, 생강즙 또는 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물로 전처리하는 단계;
    c) b) 단계에서 전처리한 생약재를 가열 건조하는 단계; 및
    d) c) 단계에서 초건한 생약재를 추출용매로 추출 후 여과하는 단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엽, 상지, 상백피, 오디(상심자) 및 상황버섯은 2 ~ 3 : 2 ~ 3 : 1 ~ 2 : 4 ~ 5 : 1 ~ 2의 혼합비율로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청주는 생약대비 10 ~ 15 중량%, 식초는 생약대비 10 ~ 15 중량%, 소금은 생약대비 1 ~ 3중량%, 생강즙은 생약대비 5 ~ 15 중량% 또는 꿀은 생약대비 20 ~ 30중량% 로 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청주, 식초, 생강즙 또는 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물을 첨가한 후 삶거나, 찌거나, 불에 볶거나 또는 불에 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이후에 여과된 추출물을 동결건조 후 용매에 용해시켜 생약 혼합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또는 부틸렌글리콜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8. 제 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 피부보습효과 또는 피부탄력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총 중량 대비 0.01 ~ 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27183A 2014-03-07 2014-03-07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05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183A KR20150105029A (ko) 2014-03-07 2014-03-07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183A KR20150105029A (ko) 2014-03-07 2014-03-07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029A true KR20150105029A (ko) 2015-09-16

Family

ID=5424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183A KR20150105029A (ko) 2014-03-07 2014-03-07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502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041A (ko) 2018-06-12 2019-07-09 윤효태 삼붕초와 상백피의 추출물을 주재료로 하는 비만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0050858A (zh) * 2019-04-24 2019-07-26 诗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桑青及其改性方法
KR20200038355A (ko) 2018-10-02 2020-04-13 윤효태 삼붕초와 뽕잎을 포함한 상백피의 추출물을 주재료로 하는 당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20127500A (ko) 2021-03-11 2022-09-20 윤효태 삼붕초분말 및 삼붕초추출물분말과 상백피및 뽕잎추출물분말을 주재로 하는 당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041A (ko) 2018-06-12 2019-07-09 윤효태 삼붕초와 상백피의 추출물을 주재료로 하는 비만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38355A (ko) 2018-10-02 2020-04-13 윤효태 삼붕초와 뽕잎을 포함한 상백피의 추출물을 주재료로 하는 당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0050858A (zh) * 2019-04-24 2019-07-26 诗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桑青及其改性方法
KR20220127500A (ko) 2021-03-11 2022-09-20 윤효태 삼붕초분말 및 삼붕초추출물분말과 상백피및 뽕잎추출물분말을 주재로 하는 당뇨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829B1 (ko) 유해 환경에서 유래되는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효능을 갖는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85225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CN113873997A (zh) 一种含有植物提取物为活性成分的功能性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16680B1 (ko) 자운고 발효 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2041927B1 (ko)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863722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0971629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5029A (ko)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2298B1 (ko) 셀레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6090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15418B1 (ko) 천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20912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102071218B1 (ko) 사향, 당귀, 산수유, 녹용 및 상황버섯, 영지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3757B1 (ko) 생약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4074B1 (ko)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