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225B1 -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225B1
KR101885225B1 KR1020160091972A KR20160091972A KR101885225B1 KR 101885225 B1 KR101885225 B1 KR 101885225B1 KR 1020160091972 A KR1020160091972 A KR 1020160091972A KR 20160091972 A KR20160091972 A KR 20160091972A KR 101885225 B1 KR101885225 B1 KR 101885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ffect
mushroom
cosmetic composition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968A (ko
Inventor
서용창
주철규
함경만
박진오
이상종
최소영
허난영
김우림
Original Assignee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웰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웰코스 filed Critical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2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식물추출물을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탄력효과, 피부장벽강화효과,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국 전통 의학 서적 '비급천금요방'에 기록된 약재에 피부탄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곡물, 피부장벽 강화에 도움이 되는 버섯, 보습 및 모공수축에 도움이 되는 땅속뿌리줄기 소재들을 보강한 혼합 식물추춤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탄력효과, 피부장벽강화효과,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들은 피부탄력효과, 피부장벽강화효과,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COM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PLANTS EXTRACT HAVING EFFECTS OF IMPROVING SKIN-ELASTIC, ENHANCING SKIN-BARRIER, MOISTURIZING SKIN, AND MINIMIZING SKIN-PORE}
본 발명은,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천연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탄력효과, 피부장벽강화효과,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인체를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크게 진피(dermis), 표피(epidermis),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구분된다.
먼저, 진피는 콜라겐과 기타 단백질을 주로 합성하며, 소량의 지질을 생산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기질단백질은 진피층에 존재하며 세포사이를 채우는 성분으로, 크게는 90% 이상을 차지하는 교원질(collagen)과 3-4%를 차지하는 탄력질(elastin)로 구성된다. 피부 탄력은 탄력섬유와 교원섬유의 존재 상태에서 유지가 가능하다. 기질단백질은 주로 섬유아세포에서 생산되며 노화됨에 따라 매년 1%씩 감소한다. 기질단백질의 감소는 각 인체장기의 기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피부의 기질단백질의 감소로 인한 피부세포의 약화가 피부 탄력 저하를 일으킨다. 피부 탄력 저하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진피층의 감소는 크게 3가지 요소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째가 진피층 결합조직의 주세포인 섬유아세포(fibroblast) 수의 감소, 둘째가 섬유아세포에서 만들어져 결합조직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의 생성 감소이며, 셋째가 이미 생성된 결합조직 내 단백질들의 분해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기질 단백질은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젤라티나아제(gelatinase) 등의 MMPs(matrix metalloproteinase) 의해 분해되며, 이들 MMPs의 작용은 TIMPs(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에 의해 억제된다.
또한, 진피층은 탄력성이 있는 고형의 물질(섬유)들과 점성이 있는 액상의 물질들이 결합되어 있어 고유의 피부 탄력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피부는 기기적 장력에 대해 독특한 물성으로 인한 반응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를 점탄성이라고 한다. 점탄성을 갖는 물질들은 stress-strain 함수 관계에서는 비선형적인 함수 관계가 있고 time-strain 함수 관계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변형이 일어나는 점동의 특성이 있다. 피부가 이러한 점탄성을 갖게 되는 것은 프로테오글리칸류의 기질에 콜라겐 섬유와 엘라스틴 섬유가 특유의 삼차원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피부는 노화에 따라 탄력과 윤기를 잃어가며 각질화가 되어 거칠어지게 된다. 임상적으로 노화는 주름형성, 피부탄력감소, 피부세포의 손상 및 사멸로 특징지어지고, 조직적으로는 일광에 노출이 많은 안면이나 목덜미, 손등 등에 나타나는 광노화에서는 피부가 두꺼워지고 변성된 탄성 섬유 등이 축적하는 탄성 섬유증 등이 나타난다. 반면 복부나 등 부위 등의 일광에 거의 노출되지 않은 부위에 나타나는 자연 노화에서는 일반적으로 피부의 기능 저하와 위축성 변화가 나타나며 피부 세포수가 감소하거나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노화의 진행에 의해 피부의 탄성 섬유는 변형되어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거나 피부가 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피부 노화는 유전적 인자, 자외선에 노출 정도, 물리화학적 스트레스에 의한 활성산소의 생성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진행 속도 및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젊고 유연한 피부를 유지하지 위하여 노화과정을 막을 수 있는 영양 물질 등의 외부에서 공급하는 노력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피부 노화의 또 다른 원인으로는 일생동안 활성 산소종(ROS)에 의한 손상이 축적된 결과로 알려지고 있다. 시험관 내(in vitro) 실험 결과, 세포 내의 항산화 방어기전은 간, 뇌, 심장조직 등에서 노화에 따라 그 기능이 감소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인체에는 ROS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항산화 방어기전이 존재한다. 정상적인 세포기능을 유지하고, 인체의 노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ROS의 발생을 죽이고, ROS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는 항산화 방어기전이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여야 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표피는 주로 지질을 생성하고 콜라겐은 실질적으로 합성하지 않는 각질 형성 세포(keratinocyte)를 포함하고 있다. 피부의 최외각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는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방어 및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 기능은 각질 형성 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각질 형성 세포는 표피 최하층 (stratum basale)에서 지속적으로 증식된 기저 세포 (basal cell)가 각질층 (stratum corneum)으로 이동하면서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쳐 형성된 세포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오래된 각질 형성 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표피 최하층으로부터 올라온 새로운 각질 형성 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는 표피 분화 (epidermis differentiation) 또는 각화 (keratinization)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각화 과정에서 각질 형성 세포는 천연 보습 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같은 세포 간 지질을 생성하여 각질층이 외부와의 차단층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피부장벽 (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및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부분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다양한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어 있다. 피부 보습제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성분과 필수지방산 및 지질복합체 등 각질층에서의 수분보유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Rawlings A. V. et al, J. Invest. Dermatol., 5, pp731-741, 1994).
그러나, 최근 피부에 대한 위해 요인이 점점 증가되고 있고, 식생활 양상의 변화로 각질층의 생성, 탈락 속도가 늦어지며, 각질형성세포의 기능 저하로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각질층이 정상적인 피부 장벽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피부 장벽 기능의 와해는 피부 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질환들은 기존의 통상적인 수분보유기능을 갖는 보습제만으로도 증상 완화는 기대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유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모공이란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유분이 피부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작은 구멍으로, 털이 자라나는 입구를 말한다. 피부에는 ㎠당 100 ~ 120개의 모공이 존재하여 사람의 얼굴엔 약 2만개의 모공이 있다. 일반적으로 모공의 지름은 약 0.02 ~ 0.05mm로 매우 작아 보통 눈에 잘 띄지 않으나 나이, 계절, 여성의 생리주기, 임신, 스트레스 등에 의해 피지 분비가 과다해지면 눈에 띌 만큼 커져 버려 보기 흉해진다. 모공이 넓은 피부는 깨끗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항상 얼굴이 번들거려 지저분하게 보인다. 또한, 모공이 열려 있으면 모낭 내로 세균이 침입하기 쉬워져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이에 따라 많은 이들이 모공축소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어 화장품을 이용한 모공의 관리가 중요하게 되었다.
모공이 확장되는 원인에는 피지 과다 분비, 피부 노화, 모공 속 노폐물 축적 등이 있다. 우선 피지 과다 분비의 경우, 피지 분비가 많아지게 되면 많아진 피지를 배출하기 위해 모공이 커지게 되며, 피지가 모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생기게 되면 모공은 점점 더 커지게 된다. 사춘기 이후 본격적으로 피지 분비가 늘어나면 피지가 나오는 길인 모공은 넓어지게 되며,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면 모공이 피지 분비량을 따라가지 못해 막히고 이로 인해 여드름의 원인이 된다. 자외선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자외선은 피지 분비 촉진 작용을 하므로 여름철에는 금방 세안을 해도 곧 얼굴이 번들거린다. 그러나, 자외선 양이 덜한 겨울에는 지성피부라도 번들거리는 것이 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성 또는 여드름 피부인 사람들은 피지의 분비가 많으므로 점차 모공이 늘어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20대 후반부터 모공이 커지게 되는데, 이는 피부가 나이 들면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와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활성이 감소하게 되고, 콜라겐 합성능력 및 엘라스틴 합성능력의 감소, 수분보유능력이 감소하면서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면서 모공이 커지게 된다.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모공 벽을 지지하던 콜라겐과 탄력섬유가 점차 감소하고, 모공을 조여주는 힘이 떨어지기 때문에 모공이 늘어나게 된다.
모공이 넓어지면 그 속으로 세균들이 침입하기 쉬우므로 여드름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또한, 화장이 잘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칙칙하고 지저분하게 보인다. 미세한 먼지나 화장 찌꺼기 등 노폐물이 끼어 큰 모공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므로 깨끗한 피부를 가지지 못하고 얼굴이 지저분해지는 결과를 얻게 된다.
모공과 관련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수렴제로서 홍경천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공을 수축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1999-0051310호),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복용함으로써 피지선에서의 피지분비량을 감소시켜 피지분비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 05-294836호). 또한, 허브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시켜 피지분비를 억제하여 모공수축의 효과를 얻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29014호). 그러나, 단편적 원인만을 해결하여서는 모공 크기의 증가를 억제할 수 없으며, 피지분비 억제기능과 단백질을 응고시켜 조직을 수축시킴으로써 모공을 축소하는 효과 및 피부 냉감 효과를 부여하는 성분을 더 함유하는 경우, 이들의 높은 승화열로 인하여 피부에 빠른 흡열반응을 일으켜 피부 표면에 냉감 효과를 이끌어내어 모공을 더욱 축소하게 되는 등의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탄력 저하, 피부장벽 손실, 피부 보습 저하 및 모공 확장 등의 피부 손상을 해결하고자 피부탄력효과, 피부장벽강화효과,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천연물을 선별하고 이에 대한 천연물들을 혼합 식물추출물로 제조하여 그 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며, 이러한 혼합 식물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하는데 있다.
KR 특1999-0051310 A (1999.07.05.) JP 平05-294836 A (1993.11.09.) KR 10-0529014 B1 (2005.11.09.)
본 발명은 혼합 식물추출물을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중국 전통 의학 서적 '비급천금요방'에 기록된 약재인 당귀, 도인, 천궁에 피부탄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곡물 소재인 밀, 메밀, 녹두, 피부장벽 강화에 도움이 되는 버섯 소재인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보습 및 모공수축에 도움이 되는 땅속뿌리줄기 소재인 연근, 산약을 보강한 혼합 식물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탄력효과, 피부장벽강화효과,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당귀, 도인, 및 천궁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재;
밀, 메밀, 및 녹두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곡물;
흰목이버섯, 및 송이버섯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버섯류; 및
연근, 및 산약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땅속뿌리줄기를 포함하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식물추출물은,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을 건조중량으로서 각각 1∼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식물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수축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패치, 바디 로션, 바디 워시, 바디 오일, 바디 젤, 샴푸, 린스, 헤어 콘디셔너, 헤어젤, 피부접착용 겔,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당귀, 도인, 및 천궁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재; 밀, 메밀, 및 녹두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곡물; 흰목이버섯, 및 송이버섯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버섯류; 및 연근, 및 산약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땅속뿌리줄기를 건조중량으로서 각각 1~15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물, 발효주정,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이소펜틸디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혼합 식물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혼합 식물추출물을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액을 농축 및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유래인 혼합 식물추출물은 중국 전통 의학 서적 '비급천금요방'에 기록된 약재인 당귀, 도인, 천궁에 피부탄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곡물 소재인 밀, 메밀, 녹두, 피부장벽 강화에 도움이 되는 버섯 소재인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보습 및 모공수축에 도움이 되는 땅속뿌리줄기 소재인 연근, 산약을 보강한 혼합 식물추출물로서, 피부탄력효과, 피부장벽강화효과,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하여 혼합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는 피부탄력효과, 피부장벽강화효과,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국 전통 의학 서적 '비급천금요방'에 기록된 약재인 당귀, 도인, 천궁에 피부탄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곡물 소재인 밀, 메밀, 녹두, 피부장벽 강화에 도움이 되는 버섯 소재인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보습 및 모공수축에 도움이 되는 땅속뿌리줄기 소재인 연근, 산약을 보강한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중국 전통 의학 서적 '비급천금요방'은 중국 당나라 손사막이 편찬한 의서로 중국 최초의 임상백과사전이라는 명예를 얻고 있으며, 임상 각과의 진료 치료 방법, 음식요법과 예방, 위생 등의 내용을 상세히 논술하고 있다. 비급천금요방에 기재된 한방 소재 중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이 가능한 당귀, 도인, 천궁을 선정하였으며 피부 탄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곡물 소재인 밀, 메밀, 녹두, 피부장벽강화에 도움이 되는 버섯 소재인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보습 및 모공 수축에 도움이 되는 땅속뿌리줄기 소재인 연근, 산약를 보강하여, 중국 전통 의학 서적인 비급천금요방의 처방을 보다 현대적으로 재해석 하여 피부에 적합하고 효과적으로 탄생시킨 혼합 식물추출물이다.
당귀 (Gigantic Angelica)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로,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등의 쿠마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엽산, 비타민A, 비타민 B12, 비타민 E, 베타시토스테롤 (β-Sitosterol) 등이 풍부해 피부 재생, 윤기, 탄력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피부에 착색되는 멜라닌의 형성을 억제시켜주므로, 미백 및 주근깨, 황갈색 반점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당귀를 먹으면 자신의 몸이 튼튼해지고 피부도 아름다워져 싸움터로 보낸 사랑하는 임이 돌아왔을 때 맘껏 사랑을 나눌 수 있다고 믿었으며, 예로부터 당귀를 넣은 물에서 목욕을 하면 피부에 윤기가 흐르고 혈액순환을 도와 신경이 안정되며, 달인 물로 세안을 하면 건조한 피부가 촉촉해지고 매끄러워진다고 하였다.
도인 ( Persicae Semen Amygdalin )
도인은 Persicae Semen Amygdalin 복숭아의 씨로 혈결(血結), 어혈, 소염, 진통, 월경불순, 변비에 효과 있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작용도 있다. 일반적으로 장미과 에 속하는 복사나무의 과실이 성숙한 후 채취하며 과육과 핵곡을 제거하고 종인만 취하여 건조한 후 분말을 내어 사용하는데, 성분은 지방유 40∼50%, 청산 배당체 amygdalin 3.49%, prunasin 0.38%, emusin, 그리고 항응혈 활성 물질 등으로 되어 있으며, 항 응혈작용(抗凝血作用)과 약한 용혈작용(弱溶血作用)이 있어 피가 굳는 것을 풀어주므로 어혈을 풀어주고 건조한 것을 부드럽게 함으로써 타박상이나 어혈종통(瘀血腫痛)을 풀어주고(중약대사전, p1788)피를 잘 돌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A, C 및 수분이 풍부하여 피부 노화 예방, 미백, 보습에 도움이 된다. 동의보감, 향약집선방, 본초비요 등의 옛 문헌에 도인은 피부를 곱게하고 미백 효과가 있어 얼굴색을 좋게 하며, 부기를 내리고 각기병을 다스린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피부 가려움, 건조 등의 피부 질환, 기미, 주근깨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천궁 ( Cnidium officinale )
한방에서 뿌리줄기가 진정·진통·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빈혈증·부인병 등에 사용한다. 또한, 천궁은 페룰릭산, 정유, 카페인 등이 함유되어 모발 및 피부에 적용 시 피부조직 재생작용, 각질을 제거하는 필링작용, 피부진정 등에 좋고, 크니딜라이드(cnidilide)와 리구스틸라이드(ligustilide)는 피부 사상균을 억제하고, 피부 가려움을 방지하고, 피부 조직을 재생시켜 피부 진정 작용을 한다. 또한, 세포 산화로 인한 피부 손상을 보호하고 피부의 염증반응을 빠르게 가라앉히며, 콜라겐의 파괴를 막아 피부의 노화현상을 늦추고, 폴리페놀 성분은 유해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활력을 되찾아주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피부에 해로운 외부 물질이 피부에서 증식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피부 과민 반응을 차단하거나 축소시키며 가려움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주고, 당귀와 비슷하여 보혈과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해주고, 보습력을 강화하며, 건성피부를 윤택하게 만든다.
밀 ( Triticum aestivum LINNAEUS )
밀은 1∼2년생 초본이며 높이가 1m 정도이고 2∼3대가 같이 나와서 자라며 밋밋하고 마디가 길다. 5월에 꽃이 피고 6~7월에 열매가 성숙되고 영과(穎果)는 넓은 타원체이며 갈색이고 영(穎)에서 잘 떨어진다. 열매성분으로는 녹말 53∼70%, 단백질 11% 안팎, 당분(자당, 포도당 등) 2∼7%, 텍스트린 2∼10%, 기름 1.6% 안팎, 시토스테롤, 레시틴, 알란토인 등을 함유한다. 밀눈에는 토코페놀이 함유되어 있어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를 탄력있게 해준다. 또한 리그난(폴리페놀)과 비타민E 성분이 풍부하여 피부 탄력 증진에 도움이 되며, 식은땀, 골증허열, 소화약으로도 쓰인다. (한국의 자원식물 Ⅴ, 지은이: 김태정, Page: 49)
메밀 (( Fagopyrum esculentum ) Moench )
메밀은 일반적으로 꽃이 피기 시작할 때 잎과 꽃이 붙은 윗가지를 베어 그대로 말려서 제약원료로 쓴다. 메밀은 미네랄과 루틴(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하여 피부 장벽 강화와 피부 탄력에 도움이 된다. 루틴의 함량은 재배 기간 및 물부위, 약초를 말리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루틴함량은 씨를 심어 싹이 돋아날 때부터 25~30일이 지나서 가장 높고 꽃이 피기 직전이 가장 높다. 부위별로 루틴의 함량은 꽃봉오리 4.5%, 핀꽃은 14%, 잎은 9~10%, 줄기는 0.3~0.4%이다. 루틴의 비타민 P의 작용에 의해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낮추고 취약성을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다. 작용기전이 확실하지는 않으나 아드레날린과 아스코르브산의 산화를 억제하여 체내 축적량을 늘림으로서 혈관저항성을 높인다고 여겨진다. 동의칠에서 밀쌀을 적체, 종창, 어린이 단독, 이지 등의 항염증, 독풀이 열 내림의 목적으로 사용하였으며, 민간에서는 고혈압, 간염을 앓을 때에 메밀가루 반죽, 메밀 죽을 만들어 먹으며, 루틴은 알약으로 제조하여 모세혈관출혈, 뇌출혈의 예방 및 동맥경화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두 ( Phaseolus aureus , Phaseolus radiatus , Mung Bean, Green Bean)
녹두는 강한 해열, 해독작용으로 한방에서 해열 및 해독제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이소플라본(플라보노이드)과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피부 탄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동의보감 등의 문헌에 나타난 피부미용과 관련된 처방을 보면 비누처럼 사용하면 얼굴이 옥처럼 예뻐진다는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 피부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한 피부에 효과적인 여옥산(如玉散), 기미를 없애주는 영기여옥산(營期如玉散), 여름에 잘 발생하는 땀띠를 제거해 주는 옥녀영(玉女英) 등이 있다. 그리고 피부 각질층에 피부 사상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황수창(부스럼)에 녹두가 이용되었으며, 옹종(종기),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등에서도 녹두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민간 생활에서도 녹두가 피부미용에 이용되어 왔다.
흰목이 버섯( Tremella fuciformis )
흰목이과에 속하며, 원산지는 중국, 일본, 한국이며 구릉지대 및 산간부의 활엽수의 썩은 나무와 넘어진 나무에 발생하는 버섯이다. 자실체의 지름은 3-8㎝이고 높이는 2-5㎝쯤 된다. 건조하면 오므라들어 단단해진다. 자실체는 순백색이고 반투명한 젤라틴 같으며, 인간의 귀와 닮았기 때문에 은이(銀耳)라고 불리기도 한다. 중국 전통 약학 이론에 따르면, 흰목이 버섯은 만성기관지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중국고대의 한방의학서 <천금요방>, <어약원방>, <태평성혜방>의 기록에 의하면, 당, 송대 시대에는 흰목이 버섯을 미용 식품으로써 섭취하고 있었으며, 중국에서 강장제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약물이다. 또한, 흰목이버섯은 피부를 가장 이상적인 수분 함유 상태로 만들어 피부 수축과 이완을 방지하고 피부탄력에 도움을 주는 대표적인 천연 성분이다. 뿐만 아니라 비타민 B1, B2, D 등 다양한 활성성분을 함유해 천연모습 및 항노화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풍부한 콜라겐이 들어있어 피부 탄력에 효과적이다. 또한, 중국 당나라 절세미인 양귀비는 목욕하는데 흰목이버섯을 사용했다고 하며, 베타글루칸과 카테킨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항산화 물질이 풍부해, 피부미용과 노화방지에 효능을 가지고 있다.
송이버섯( Tricholoma matsutake )
송이버섯은 비타민, 무기질, 아미노산 및 당 성분들이 고르게 함유되어 있고 에르고스테롤이라는 송이버섯에서만 발견되는 항산화 성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다양한 활성 성분들이 피부의 외부 저항성을 강화시킨다. 또한, 베타글루칸과 에고스테롤(비타민D)가 풍부하여 피부 장벽 강화에 도움이 된다.
산약 ( Dioscorea Rhizoma )
산약은 마 또는 참마의 뿌리줄기(담근체)로서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약으로 거의 냄새와 맛이 없다. 이는 어혈성으로 인한 관상 동맥 장애로 심장에 통증이 있는 것을 다스리고, 해수와 천식을 가라 앉히는 효능이 있으며, 신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뼈와 인대를 튼튼하게 하고, 정신의 안정을 유지하며 비장과 위의 소화를 촉진하고 당뇨병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산약은 다당류(뮤신)와 탄닌이 풍부하고 사포닌, 콜린, 비타민-C, 폴리페놀류 등을 함유하고 있어 보습과 모공 수축에 도움이 된다. 산약은 한방에서 기력회복이나 항당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근( Nelumbo nucifera Gaertn .)
연근은 수생식물인 연(Nelumbo nucifera)의 땅속 줄기이다. 연은 한국, 시베리아 지역의 못이나 늪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수초로서 예전에는 연꽃을 관상용으로, 연은 차와 술로 이용되었으나 근대에 이르러 연근 및 연잎, 연꽃을 식용이나 약용으로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 특히 뿌리줄기의 끝부분이 굵어져 식용으로 사용하는 부분인 연근(Nelumbo nucifera Gaertn.)은 다당류(뮤신)와 미네랄이 풍부하여 보습과 피부 장벽 강화에 도움이 된다. 또한, 한방과 민가에서 어혈을 풀거나 신경통 및 류머티즘의 치료에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연근과 연잎은 메틸코리팔린(methylcorypalline), 디메틸코캐우린(diemthylcocaeurine), 베타-시스토스테롤(β-sistosterol), 캠페롤(kaempferol), 쿼세틴(quercetine) 및 탄닌산(tannic acid)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연근 및 연잎의 효능에 관한 연구는 혈장 콜레스테롤 감소, 심장병과 대장암 예방효과, 당뇨병 예방효과, 항암효과 및 항산화 효과 등이 보고되어 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이거나, 물, 발효주정,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이소펜틸디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용매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식물추출물은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을 건조 중량기준으로 각각 1∼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하여 제조된다. 또한,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은 성분 각각을 상기 용매로 추출한 후 혼합한 복합추출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식물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뛰어난 피부탄력효과, 피부장벽강화효과,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먼저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을 세절한 후 건조중량비로서 각각 1∼15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어 상기 혼합물 중량의 1∼10배 중량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액을 제조한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 추출된 추출액을 농축한 후 건조하여 혼합 식물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은 그 상승작용에 의하여 피부탄력효과, 피부장벽강화효과,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을 포함하며, 0.001∼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량비는 0.001 중량% 미만에서는 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비해 그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고, 세포 독성이 있을 수 있으며, 제형 안정성이 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탄력효과, 피부장벽강화효과,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 될 수 있고,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패치, 바디 워시, 바디 로션, 바디 오일, 바디 젤, 샴푸, 린스, 헤어 콘디셔너, 헤어젤, 피부접착용 겔,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이들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보조제와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등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의 통상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실시예
<실시예 1>
중국 전통 의학 서적 '비급천금요방'에 기록된 약재인 당귀, 도인, 천궁, 곡물 소재인 밀, 메밀, 녹두, 버섯 소재인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땅속뿌리줄기 소재인 연근, 산약을 각각 같은 비율로 5 g씩을 추출 챔버에 첨가한 후, 추출부에는 물 950 g을 첨가한 후 80℃에서 2시간 동안 추출을 진행한다. 이렇게 추출된 추출물을 0.8 um, 0.45 um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이하에서 농축을 실시하고,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혼합 식물추출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1"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중국 전통 의학 서적 '비급천금요방'에 기록된 약재인 당귀, 도인, 천궁을 각각 16.6 g씩 추출 챔버에 첨가한 후, 추출부에는 물 950 g을 첨가한 후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을 진행한다. 이렇게 추출된 추출물을 0.8 um, 0.45 um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이하에서 농축을 실시하고,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약재 추출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2"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곡물 소재인 밀, 메밀, 녹두를 각각 16.6 g씩 추출 챔버에 첨가한 후, 추출부에는 물 950 g을 첨가한 후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을 진행한다. 이렇게 추출된 추출물을 0.8 um, 0.45 um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이하에서 농축을 실시하고,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곡물 추출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3"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버섯 소재인 흰목이버섯, 송이버섯을 각각 25 g씩 추출 챔버에 첨가한 후, 추출부에는 물 950 g을 첨가한 후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을 진행한다. 이렇게 추출된 추출물을 0.8 um, 0.45 um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이하에서 농축을 실시하고,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버섯류 추출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4"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4>
땅속뿌리줄기 소재인 연근, 산약을 각각 25 g씩 추출 챔버에 첨가한 후, 추출부에는 물 950 g을 첨가한 후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을 진행한다. 이렇게 추출된 추출물을 0.8 um, 0.45 um 필터로 여과를 수행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고, 이 여과액을 농축기(Rotary Evaporator NE-series, Eyela, Japan)를 이용하여 60℃이하에서 농축을 실시하고, 이 농축물을 -21℃ 조건에서 동결 전처리 후 동결건조기(Bondiro, Ilshin, Korea)를 이용하여 -80℃, 48시간 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땅속뿌리줄기 추출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5"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본 발명의 상기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의 피부세포 증식 촉진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피부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생존 세포수의 증감 측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MTT (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rtazolinum bromide) 검사를 수행하였다. 우선, 사람의 표피 조직으로부터 피부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s)를 10%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로 5×104 cells/㎖가 되도록 희석하여 세포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실험군으로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 및 대조군으로서 FBS(Fetal bovin serum)을 각각 1%의 양으로 첨가한 후, 48시간 동안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각의 well을 인산염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200 ㎕로 2회 세척하고, 1 ㎕/㎖로 DMEM에 녹인 MTT(M5655, Sigma) 200 ㎕를 각각의 well에 부가한 후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96 well plate의 각각 well로부터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각 well에 DMSO(Dimethyl Sulfoxide)용액을 150 ㎕ 가한 후, 흔들어 주면서 세포 안에 침착된 포르마잔(formazan)을 녹여내었다. 그런 다음, 각 well에 존재하는 용액에 대하여 엘리사 리더(ELISA leader)로 552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증식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 DMSO(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였고, 상기과정을 실시하여 하기 수학식 1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구해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포증식효과 (%)
시료1(실시예 1) 28.4
시료2(비교예 1) 18.2
시료3(비교예 2) 23.1
시료4(비교예 3) 22.3
시료5(비교예 4) 17.8
대조군FBS(Fetal bovin serum) 29.31
상기 표 1 과 같이, 모든 시료에서 세포증식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중 곡물 소재의 추출물인 시료 3의 세포증식효과가 23.1%, 버섯 소재의 추출물인 시료 4의 세포증식효과가 22.3%로 우수한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인 시료 1은 28.4%로 대조군으로 사용한 FBS(Fetal bovin serum)와 비슷한 효과인 28.4%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탄력증진에 있어 중요한 콜라겐, 엘라스틴, 인테그린 및 라미닌의 생합성 증가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시험예 2]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
본 발명의 상기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의 피부에 대한 탄력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험관 내(in vitro) 실험 방법으로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촉진 효과를 검토하였다. PIP(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어세이로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였으며, 가장 많이 합성이 이루어지는 제I형 전구 콜라겐 C 말단 펩타이드(PICP)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24 well plate에 1× 104 cells/㎖의 세포를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혈청을 포함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해주고 각각의 시료를 50 ㎍/㎖의 농도로 첨가하여, 37 ℃,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C를 대조군으로 하여 각 well에 50 ㎍/㎖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 상층액인 배지를 원심 분리하여 키트(PIP EIA KIT)에 사용하였다. PIP에 대한 마우스 단클론항체가 코팅되어있는 96 well plate에 퍼록시다제(peroxidase)로 표지한 항체-POD 컨쥬게이트(MK1O1, TAKARA BIO INC.)를 넣어 반응시키고, 여기에 배양액을 20 ㎕/well을 첨가하였다.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시간 반응시킨 후 기질용액인 ρ-페닐렌디아민 (phenylenediamine)을 100 ㎕/well에 넣어 발색시켰다. 실내온도에서 15분간 방치 후 반응중지용액을 100 ㎕/well 넣어 반응을 중지시켰다. 5분 이내에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PICP 표준농도로 그래프를 작성하여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합성량 (ng/ml)
시료1
(실시예 1)
356
시료2
(비교예 1)
252
시료3
(비교예 2)
294
시료4
(비교예 3)
308
시료5
(비교예 4)
244
대조군
(비타민 C)
315
대조군인 비타민 C의 콜라겐 합성량은 315 ng/ml 이었으며, 본 발명의 시료 중 그 중 곡물 소재의 추출물인 시료 3과 버섯 소재의 추출물인 시료 4에서 유사한 정도의 콜라겐 합성량을 보였으며,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인 시료 1의 경우 대조군보다 높은 356 ng/ml로 탁월하게 높은 콜라겐 합성량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 실험
0.267 M 트리스(Tris)액을 pH 8.0이 되도록 0.267 M 염산(HCl)액으로 조정한 완충액 60 ㎕에 엘라스타제 기질 Succ-Ala-Ala-Ala-p-nitroanilide 표준품을 8.8 mM로 한 기질액 20 ㎕, 상기 시료 1 내지 5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정제수로 일정농도로 희석하여 제조한 시료를 각 100 ㎕를 넣어 혼합하고, 돼지 췌장 엘라스타제(Porcine Pancreatic Elastase) 표준품을 10 ㎍/㎖로 한 효소액 20 ㎕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25℃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파라-니트로아닐린(pnitroaniline)의 생성량을 파장 410 nm에서 흡광도 B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완충액 60 ㎕에 기질액 20 ㎕, 정제수 20 ㎕, 시료 1 내지 5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정제수로 일정한 농도로 희석하여 제조한 시료를 각 100 ㎕씩 넣어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득한 후 이를 대조액으로 하여 흡광도 C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의 시료 대신 정제수 100 ㎕를 가지고 검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공시험액으로 하여 그 흡광도 A를 측정하였으며, 효소액 및 검액 대신 정제수 120 ㎕를 넣어 검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색 보정액으로하여 그 흡광도 D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엘라스타제 억제율 (%)을 구하였다.
[수학식 1]
엘라스타제 저해율 (%) = [1-{각 시료의 효소활성도 (B-C)} over {대조군의 효소활성도 (A-D)}] × 100
각 시료에 대한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IC50은 엘라스타제의 기질을 50% 저해하는데 요구되는 시료의 농도 (㎍/㎖)로써 표시하였다.
IC50 (㎍/㎖)
시료1
(실시예 1)
135
시료2
(비교예 1)
301
시료3
(비교예 2)
253
시료4
(비교예 3)
275
시료5
(비교예 4)
312
상기 시험 수행의 결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인 시료 1의 경우에는 가장 높은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IC50 = 135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피부장벽강화 효능 평가 (TGase-1 assay)
상기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의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람 유래의 각질 형성 세포(HaCaT cell)을 배양접시의 바닥에 접종한 후, 페니실린 (100 U/㎖), 스트렙토마이신 (100 ㎍/㎖), 10% FBS (Fetal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medium) 배지를 넣고 37℃,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한다. HaCaT cell을 96 well plate에 5× 104 cells/ml의 농도로 희석하여 100 ㎕씩 접종한 후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하여 시료를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각 시료를 well 당 100 ㎕씩, 3반복 처리한 후, 48시간 추가 배양한다. 이때 사용하는 배지는 Calcium-free media (hyclone,SH.30319. 01)에 CaCl2를 넣어 저 칼슘 (0.03 mM) 처리군과 고칼슘 (1.2 mM) 처리군으로 각각 음성/양성대조군을 설정하고, 시료 1내지 5는 농도별로 저 칼슘 배지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배지 제거 후 freezethawing을 3회 반복한다 (-20℃에서 얼린 후 녹이기, -70℃도 가능). -20℃에 보관한 아세톤 : 에탄올 (1:1, v/v)을 처리한 후, 4℃에서 30분간 fixation 후, 유기용매가 증발될 때까지 상온에서 방치한다. 1% BSA (in PBS)를 well 당 200 ㎕로 분주한 후 상온에서 1시간 Blocking한다. BSA 제거 후, PBS로 washing 한다. Transglutaminase1(E-6) antibody (SC-166467)를 1% BSA용액 (in PBS)에 희석하여 well당 100 ㎕ 처리 한 후(1% BSA in PBS), 1시간 상온에서 Incubation 한다. 1X PBS-T (0.05% Tween-20 in PBS)로 3번 washing 한다. 2'Antibody를 1% BSA용액 (in PBS)에 희석하여 well당 100 ㎕ 처리한 후, 1시간 상온에서 Incubation 한다. 1X PBS-T (0.05% Tween-20 in PBS)로 3번 washing 한다. 각 well의 수분을 건조한 후, OPD (o-phenylenediamine)을 well당 200 ㎕씩 처리 후, 30분간 incubation한다 (R/T in dark room). 이를 490 nm에서 흡광을 측정한다.
TGase-1 발현율 (% of control)
처리 농도 (㎍/㎖)
25 50 100 200
시료1
(실시예 1)
130.2 165.6 194.2 230.3
시료2
(비교예 1)
110.5 138.1 170.1 195.2
시료3
(비교예 2)
118.4 147.5 178.9 204.8
시료4
(비교예 3)
122.5 150.2 182.5 215.8
시료5
(비교예 4)
105.1 132.5 168.4 185.1
저 칼슘 (0.03 mM) 용액
(음성 대조군)
100.0
고칼슘 (1.2 mM) 용액
(양성대조군)
310.5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TGase-1 발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중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인 시료 1 (200㎍/㎖)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230.3%까지 증가시켜 본 발명의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인 시료1이 가장 우수한 피부장벽강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
피부장벽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부실한 피부장벽이 아토피 증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상기의 시료 1 내지 5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피수분증발량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의 회복율을 피부 내부로부터 수분이 증발하는 양을 측정하는 TEWAMETER (CM 825, 독일국, CK Electronics)로 측정하였다. 시험에 앞서 40명의 아토피 증상이 있는 6세에서 50세까지의 사람들의 경피수분증발량을 측정한 후, 동일한 위치에 테이프를 붙였다 떼어 붙이는 것을 15∼20회 정도 반복하면서 수분증발량이 40∼50 g/hm2 정도에 이를 때까지 반복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TEWL recovery (%)
시간 (h)
0 6 12 24
시료1
(실시예 1)
0 78.5 85.0 90.2
시료2
(비교예 1)
0 65.2 71.5 77.5
시료3
(비교예 2)
0 65.8 72.5 78.1
시료4
(비교예 3)
0 72.2 78.4 84.8
시료5
(비교예 4)
0 68.1 76.4 80.1
그 결과,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4시간 경과 후 시료 1 내지 5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피흡수증발량 (TEWL)의 회복율 (TEWL recovery (%))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시료 1의 경우에는 시료 2 내지 5보다 경피수분증발량의 손실이 적어 피부 장벽 기능의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높았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중국 전통 의학 서적 '비급천금요방'에 기록된 약재만은 사용한 시료 2, 곡물 소재인 시료 3, 버섯 소재인 시료 4, 땅속뿌리줄기 소재인 시료 5를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였을 경우 일반적으로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나, 각각의 성분들을 단순하게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 전통 의학 서적 '비급천금요방'에 기록된 약재만은 사용한 시료 2에 곡물, 버섯, 땅속뿌리 줄기 소재를 조합하였을 때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모공 수축 효과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공 수축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피부를 대신할 단백질로 헤모글로빈을 사용하여 모공수축효과를 시험하였다. 0.9% Phosphate Buffer Saline (0.1 mM, pH 7.4)으로 헤모글로빈 용액 (0.05 g / 50 ml)을 제조하여 헤모글로빈 용액 2 ml에, 시료 1내지 5를 2%의 농도로 2 ml 가한 후, 30초 동안 진탕 혼합한 다음 3,5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그 상등액 1 ml에 정제수 2 ml을 가하여 407 nm에서 UV-Visible spectrum으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추출물 시료 대신 시료 용매 (정제수)를 2mL 가하였다. 블랭크(blank)는 헤모글로빈용액 대신 PBS (Phosphate Buffer Saline) 2 mL을 넣었다. 헤모글로빈의 침전량을 측정하여 수축효과를 평가하였고, 헤모글로빈의 침전(%)가 높을수록 모공수축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별하였다.
헤모글로빈의 침전
(% of control)
시료1
(실시예 1)
15.2
시료2
(비교예 1)
7.2
시료3
(비교예 2)
8.1
시료4
(비교예 3)
7.5
시료5
(비교예 4)
10.1
대조군
(정제수)
3.8
헤모글로빈의 침전량을 측정하여 수축효과를 평가하였고, 헤모글로빈의 침전(%)가 높을수록 모공수축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별하였다. 하기 표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인 시료1이 가장 우수한 모공수축효과를 나타냈다.
[시험예 7]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평가
본 발명의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피부가 건조한 25세∼40세의 남녀 성인 8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시료 1 내지 5를 함유한 에멀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였다. 10명씩 12개의 조로 나누어 상기 시료 1 내지 5를 함유한 에멀젼을 도포하고 도포전과 도포 2주, 도포 4주 후 코르네오미터(Corneometer CM 820, Courage & Khazaka)를 이용하여 피부보습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실내온도 24±2℃, 상대 습도 40±2℃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였고 각 조건 당 3회씩 측정하여 얻어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결과 값은 초기 시료 1 내지 5를 함유한 에멀젼을 도포하기 전 피부 전도도를 100% 기준으로 하여 도포 2주 후, 4주 후에 따른 전도도 증가율을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증가율 (%)
도포전 2주 후 4주 후
시료1
(실시예 1)
100 114 128
시료2
(비교예 1)
100 103 104
시료3
(비교예 2)
100 104 106
시료4
(비교예 3)
100 109 113
시료5
(비교예 4)
100 108 111
그 결과,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료 1 내지 5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부 보습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시료 1의 경우에는 시료 2 내지 5보다 피부 보습 효과가 현저하게 높았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중국 전통 의학 서적 '비급천금요방'에 기록된 약재만은 사용한 시료 2, 곡물 소재인 시료 3, 버섯 소재인 시료 4, 땅속뿌리줄기 소재인 시료 5를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였을 경우 일반적으로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나, 각각의 성분들을 단순하게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 전통 의학 서적 '비급천금요방'에 기록된 약재만은 사용한 시료 2에 곡물, 버섯, 땅속뿌리 줄기 소재를 조합하였을 때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유연 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 화장수, 마사지 크림, 에센스 및 팩을 예시하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의 통상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제형예1] 유연화장수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5.00
2 1,3-부틸렌 글라이콜 3.00
3 PEG 1500 1.00
4 알란토인 0.10
5 DL-판테놀 0.30
6 EDTA-2Na 0.02
7 벤조페논-9 0.04
8 에탄올 10.00
9 옥틱도데세스-16 0.20
10 폴리솔베이트 20 0.20
11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 5.0
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3 증류수 잔량
[제형예2] 수렴화장수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2.00
2 1,3-부틸렌 글라이콜 2.00
3 알란토인 0.10
4 DL-판테놀 0.30
5 EDTA-2Na 0.02
6 벤조페논-9 0.04
7 에탄올 15.00
8 폴리솔베이트 20 0.20
9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 3.0
10 구연산 미량
11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2 증류수 잔량
[제형예3] 영양화장수
번호 성 분 함량(%)
1 세테아릴 알콜 1.0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0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0
6 스쿠알란 4.00
7 샤플라워오일 4.00
8 부틸렌글라이콜 4.00
9 글리세린 4.00
10 카보머 0.10
11 트리에탄올아민 0.10
12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 1.00
1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4 증류수 잔량
[제형예4] 에센스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10.00
2 베타인 5.00
3 PEG 1500 2.00
4 알란토인 0.10
5 DL-판테놀 0.30
6 EDTA-2Na 0.02
7 벤조페논-9 0.04
8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0
9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0
10 트리에탄올아민 0.18
11 옥틸도데칸올 0.30
12 옥틸도데세스-16 0.40
13 에탄올 6.00
14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 5.00
15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6 증류수 잔량
[제형예5] 팩
번호 성 분 함량(%)
1 폴리비닐 알콜 15.00
2 셀룰로오스 검 0.15
3 글리세린 3.00
4 PEG 1500 2.00
5 시이크데스트린 0.15
6 DL-판테놀 0.30
7 알란토인 0.10
8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20
9 니코틴 아미드 0.40
10 에탄올 5.00
11 PEG 40 경화피마자유 0.30
12 당귀, 도인, 천궁, 흰목이버섯, 송이버섯, 밀, 메밀, 녹두, 연근, 산약의 혼합 식물추출물 1.00
1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4 증류수 잔량

Claims (10)

  1. 당귀, 도인, 및 천궁을 포함하는 약재;
    밀, 메밀, 및 녹두를 포함하는 곡물;
    흰목이버섯, 및 송이버섯를 포함하는 버섯류; 및
    연근, 및 산약를 포함하는 땅속뿌리줄기를 포함하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 식물추출물은, 건조중량 기준으로, 당귀 : 도인 : 천궁 : 흰목이버섯 : 송이버섯 : 밀 : 메밀 : 녹두 : 연근 : 산약 = 1∼15 : 1∼15 : 1∼15: 1∼15: 1∼15: 1∼15 : 1∼15 : 1∼15 : 1∼15 : 1∼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 식물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부탄력증진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부보습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모공수축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패치, 바디 로션, 바디 워시, 바디 오일, 바디 젤, 샴푸, 린스, 헤어 콘디셔너, 헤어젤, 피부접착용 겔,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KR1020160091972A 2016-07-20 2016-07-20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72A KR101885225B1 (ko) 2016-07-20 2016-07-20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72A KR101885225B1 (ko) 2016-07-20 2016-07-20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968A KR20180009968A (ko) 2018-01-30
KR101885225B1 true KR101885225B1 (ko) 2018-08-03

Family

ID=6107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972A KR101885225B1 (ko) 2016-07-20 2016-07-20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743B1 (ko) 2019-06-18 2020-04-02 원경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6649A (ko) 2019-09-26 2021-04-05 주식회사 비앤에이치웍스 피부강화칵테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3603A (zh) * 2018-04-02 2018-07-17 吴伟华 一种劳保护肤膏的制备方法
KR102454574B1 (ko) * 2020-11-16 2022-10-14 주식회사 래디안 피부각질 주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103177A1 (ko) * 2020-11-16 2022-05-19 주식회사래디안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CN112426568B (zh) * 2020-12-03 2021-09-24 中山大学 一种基于藕的组织工程支架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332989B1 (ko) * 2021-05-28 2021-12-01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누룩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7210B1 (ko) * 2022-06-23 2023-07-20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화용 조성물
KR102526200B1 (ko) * 2022-08-12 2023-04-26 양지혜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499B1 (ko) * 2006-06-15 2006-09-07 김인자 미용팩 조성물
KR101308669B1 (ko) * 2013-05-30 2013-09-13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499B1 (ko) * 2006-06-15 2006-09-07 김인자 미용팩 조성물
KR101308669B1 (ko) * 2013-05-30 2013-09-13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743B1 (ko) 2019-06-18 2020-04-02 원경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6649A (ko) 2019-09-26 2021-04-05 주식회사 비앤에이치웍스 피부강화칵테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968A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225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탄력증진, 피부장벽강화, 피부보습 및 모공 수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85224B1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1233727A (ja) 化粧品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02753B1 (ko) 불미나리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2017013754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1150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45927A (ko)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2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1150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