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642B1 -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642B1
KR102551642B1 KR1020220078149A KR20220078149A KR102551642B1 KR 102551642 B1 KR102551642 B1 KR 102551642B1 KR 1020220078149 A KR1020220078149 A KR 1020220078149A KR 20220078149 A KR20220078149 A KR 20220078149A KR 102551642 B1 KR102551642 B1 KR 10255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salicylic acid
cosmetic composition
ac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봉
장진석
박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텍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텍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텍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2007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Abstract

본 발명은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단독으로 사용할때보다 여드름균을 억제하는 항균효과를 극대화 함과 동시에 각질제거 효과 및 피지조절과 자극완화 효과도 우수하여 여드름성 피부를 개선시켜주는데 유익하며, 고압균질기를 이용한 리포좀공법으로 안정화하여 단순 혼합제제에 비해 더욱 피부 침투가 용이하고 여드름 피부 개선효과를 구현해 낼 수 있는 한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prone skin containing salicylic acid, oregano extract, cucumber grass extract, and bay leaf extract}
본 발명은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여드름균을 억제하는 항균효과를 극대화 함과 동시에 각질제거 효과 및 피지조절과 자극완화 효과도 우수하여 여드름성 피부를 개선시켜주는데 유익한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안면, 상흉부, 배부 및 상지에 폐쇄성 또는 개방성 면포, 구진, 농포, 낭종, 결절 등 다양한 피부병변을 나타내는 모낭피지선의 염증성 질환으로 사춘기와 젊은 연령층에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여드름의 주요 원인으로는 피지의 과다형성, 비정상적인 모낭각화종, Propionbacterium acnes의 증식 및 염증 등이 있으며, 그 외 호르몬이나 면역학적 요소가 관여할 수 있다. 특히 모낭 내에 정체된 피지는 모낭을 막아 공기의 순환을 차단하게 되어 모낭 내부에는 상주하는 혐기성 세균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된다. 이렇게 생성된 면포는 미생물의 생활환경을 조성하여 P. acnes, Staphylococcus epidermidis, Pityrosporum ovale 등이 생장하게 된다. 이들은 지방 친화성 미생물이며, S. epidermilis는 호기성이어서 외모낭 또는 모낭의 중간에 생장하고 P. acnes는 혐기성이어서 모낭의 안쪽에 생장한다.
한편, 염증성 여드름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로는 tetracycline, clindamycin, erythromycin등이며 오랜 기간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내성이 생겨 치료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국소도포요법 제제 중 benzyoyl peroxide, salicylic acid, resorcinol 및 sulfur 등은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으나 피부 정상균층을 파괴하고 항생제 내성균을 증식시키며 여드름의 주원인 중 하나인 과도한 피지분비를 조절 할 수 없으므로 근본적인 여드름 치료방법으로서는 한계가 있다.
살리실산은 o-옥시벤조산에 해당되며, 화학식 C7H6O3. 분자량 138.12, 승화성이 있고, 에테르 에탄올 등 유기용매에 녹는다. 산성이고, 또 페놀이기도 하므로 염화철(Ⅲ) 수용액을 가하면 보라색을 띤다. 99.9% 에탄올 수용액에서 14% 함량으로 가장 강력한 필링효과를 가져 피부과적으로 인위적인 화학박피술 제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의 목적으로 제조할 경우 씻는 제형에서 0.5%를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여드름 증상을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져 왔으나, 살리실산 만으로는 여드름의 증상을 치료하여 피부를 정상화하는데 한계가 있어 치료용 약품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항생제를 첨가하여 살균 및 염증 증상이 감소하도록 처방하고 있다. 또한, 살리실산은 피부 박리 효과로 인하여 피부에 자극을 주며 물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 고함량 사용할 수 없고, 저온에서 쉽게 석출되어 장기간 경시 안정성을 보장하기가 어려운 문제점과 알코올을 과량 처방하여야 하는 점으로 인하여 피부를 건조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2307186호(참고문헌 1)가 제안된 바 있다.
한편, 최근에는 천연물에서 추출하고 분리한 물질들이 보통 피부에 자극이 적고 수렴작용, 항균작용과 같은 기타의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짐에 따라 천연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다양한 시도가 연구되고 있다. 또한, 화학합성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균주가 발견되고 관련된 부작용들이 표출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고자 천연물 유래의 항균/항산화물질 탐색이 활발하게 연구되어 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2326886호(참고문헌 2)를 통해 어성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 및 항염증 조성물이 제안된 바 있고, 특허 제 10-2297957호(참고문헌 3)을 통해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식물유래 항균물질 탐색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이들 조성물들은 대부분 천연추출물로 국한되어 있어 인체에 적용하는 임상 시험을 통해 효과를 증명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다.
참고문헌 1 : 대한민국 특허 제10-2307186호. 참고문헌 2 : 대한민국 특허 제10-2326886호. 참고문헌 3 : 대한민국 특허 제10-2297957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살리실산을 포함하여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혼합하여 각각의 단독추출물에 비해 현저한 여드름균 억제 효과가 발휘되면서도 살리실산에 의한 자극을 완화시켜주고 각질제거와 피지조절 효과도 확인할 수 있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제제를 단순 혼합이 아닌 리포좀 공법으로 안정화하여 피부 침투가 용이하고 여드름 피부 개선에도 더욱 효과적인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살리실산은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1 ~ 2.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은 2 : 2 : 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0 ~ 90.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은 혼합하여 고압균질기를 이용해 리포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클렌징폼, 클렌징 크림, 샴푸, 린스, 헤어토닉, 마사지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살리실산을 포함하여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제제로써, 여드름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균인 P. acnes, 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력이 단독 성분을 함유하였을 때의 효과보다 더 우수하고 동시에 각질제거와 피지감소 효과도 나타냄으로써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단순 혼합이 아닌 고압균질기를 이용한 리포좀공법으로 안정화하여 유효성분의 피부 침투가 용이해 지면서 여드름성 피부에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지질합성(Lipogenesis)억제 시험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전문가에 의한 육안 평가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인체 적용 시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여드름성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살리실산과 함께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 중 어느 하나의 단독 추출물만 함유하는 경우에 비해 더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도록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혼합하여 현저한 여드름균 억제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살리실산에 의한 자극을 완화시켜주고 각질제거와 피지조절 효과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살리실산(Salicylic acid)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물질로서, 유기산의 하나로 pH가 2.4로 산성이 매우 강하며 화학식은 C7H6O3이다. 이러한 살리실산은 식물 호로몬으로 작용하며 카복실산 중에서도 BHA(beta hydroxy acid)에 해당되는데, B라 함은, beta- position 즉 카복실기의 탄소와 수산화기가 붙어있는 탄소가 2번째 탄소인 베타탄소에 붙어 있음을 의미하며 가장 흔항 BHA(베타-히드록시부탄산, beta-hydroxybutanoic acid)이다. 또한 살리실산은 각종 화장품에 첨가 되어 각질 연화제로 쓰이고, 주로 클렌징폼과 같은 화장품에 첨가하여 각질을 연하게 하여 떼어내고 모공을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모공 속 피지의 배출을 돕고, 피부를 깨끗하게 유지 시킬 수 있다. 살리실산이 2% 농도에서 여드름균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지만 직접 균을 죽이는 효과는 없다. 살리실산은 항염효과가 있으나, 농도에 따라 정도가 다르다.
Figure 112023064281617-pat00001
또한, 상기 오레가노(학명 : Origanum vulgare)는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꽃박하'라고도 하며, 유럽, 서남아시아, 미국 등에 서식하며, 톡쏘는 박하 같은 향기를 가진다. 원산지는 그리스로 그리스 요리에서 결코 빠질 수 없는 필수요소로 자리 잡았다. 키는 보통 30 ~ 60cm이며, 잎은 길이 1.5cm 정도이고 좋은 향기와 쓴맛이 있으며, 상쾌함을 주고, 꽃이 피는 시기에 수확하여 건조시켜 보존하는데 잎을 말린 것을 천연 향신료로 사용하는데 페놀산과 플라보노이드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일반적인 항생제는 바이오필름을 제거하지 못해 미생물의 억제가 어려우나, 오레가노는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천연추출물임에도 불구하고 항균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여드름균은 억제가 어려우나 오레가노는 여드름균 억제에도 효과가 뛰어나고, 무좀이나 습진 같은 여러가지 피부사상균과 칸디다균의 증식의 없애주어 antiinflammatory(소염효과), antibacterial(항균성효과), antifungal(항진균성/항균효과), antiviral(항바이러스효과)및 비타민C,E 등의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antioxidant(항산화물질)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뿌리줄기가 길게 옆으로 자라며, 줄기는 곧추 자라 키가 1.5m에 이르는 것도 있다. 타원형의 잎은 끝과 밑부분이 둥근 모양인 잔잎 5~11개가 모여 깃털처럼 달리고, 가장자리는 3각 형태의 톱니가 고르게 있다. 짙은 붉은색의 꽃은 7~9월경 긴 꽃대에 수상(穗狀) 꽃차례로 핀다. 꽃은 길이가 2.5㎝ 정도이고, 꽃받침 4장, 수술은 4개이다. 4 각형의 열매는 날개가 달린 수과(瘦果)로 10월에 익는다. 잎을 자르면 상큼한 오이냄새가 나기 때문에 오이풀이라고 한다. 뿌리는 한약재명으로 ‘지유’라고 불리고, 약성이 뛰어나 약재로 사용되는데 주요성분인 생기소르비에닌(Sanguisorbienin)과 타닌 등이 함유되어 있어 지혈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오이풀은 화상에 최고의 명약으로 잎이나 뿌리줄기를 짓찧어 화상이 난 곳에 붙이면 2도화상은 3 ~ 4일만에 흉터없이 깨끗하게 낫는다고 한다. 오이풀뿌리는 독성이 있는 유기용매를 통한 추출이 아닌 물로 추출했을 때 페놀, 플라보노이드( Euscaphic acid, Coumarin, Quercetin 등), 테르펜노이드, 탄닌 등이 풍부하여 여드름균에 대해 항균력을 가져 여드름균의 생장을 억제한다. 한국에 서식하는 비슷한 식물로는 가는 오이풀(S. tenuifolia var.alba), 큰 오이풀(S. stipulata), 산오이풀(S. hakusanensis), 긴오이풀(S. longifolia) 등이 있다.
그리고 월계수잎은 상록 교목으로 원산지는 남부 유럽의 지중해 연안이고, 쓴맛이 약간 있으나, 건조시킨 잎은 단맛이 강하고 독특한 향기가 있어 서양요리에서는 필수적일 만큼 널리 쓰이는 향신료이다. 여드름 균은 피부의 TLR2 수용체에 결합하여 염증 신호 전달을 개시하는데, 월계수잎 추출물은 염증 신호 전달의 초기 반응을 억제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또한, 월계수잎은 알러지, 아토피, 및 염증 완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알러지, 항아토피 등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천연추출물 제조방법에 따를 수 있으며 바람직한 제조예 등을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제조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으 지식을 가지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살리실산, 오레가노, 오이풀, 월계수잎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복합 조성물로 사용함으로써,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한 살리실산의 효능과 항균효과가 우수한 오레가노, 오이풀의 효능, 그리고 피지조절 효과와 자극 완화 효능을 갖고 있는 월계수잎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 비해 상호간의 상승작용으로 우수한 항여드름성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살리실산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2.0 중량%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살리실산은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미만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살리실산의 효능이 미비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자극에 대한 우려와 용해되기도 어렵고 분리될 수 있어 안정성 및 효능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살리실산은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에서 가장 안정하면서도 최적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은 1.5 ~ 2.5 : 1.5 ~ 2.5 : 0.5 ~ 1.5의 중량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은 2 : 2 : 1의 중량비율로 함유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가장 여드름균에 대한 효과가 우수하면서 자극완화와 피지조절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혼합추출물은 전체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100%에서 1.0 ~ 9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이때 상기 혼합추출물을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미만으로 함유시에는 기대하는 여드름성 피부개선 효과를 얻기가 쉽지 않고, 90.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시에는 추가적인 여드름성 피부개선 효능의 증가를 기대하기가 어럽다.
아울러 상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혼합제제를 단순 혼합이 아닌 고압균질기를 이용한 리포좀공법으로 안정화하여 피부 침투가 용이하고 여드름 피부 개선에도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 제조예 1 : 오레가노추출물의 제조 >
오레가노 전초 1kg을 세척하고 그늘에서 건조시킨 후 5배 중량의 물을 넣고 80℃에서 3시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예를 들어, PVTFD10A, (주)일신랩, Korea)로 -70 ℃에서 24시간 동안 냉동시키고 72시간 동안 건조시켜 분말화하여 25.5g의 오레가노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2 : 오이풀추출물 제조 >
오이풀은 농원(예를 들어, 대림농원)에서 구매한 것을 약 500g에 10배 중량의 물을 넣고 균질기(waring blendor)를 사용하여 파쇄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80℃에서 3시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예를 들어, PVTFD10A, (주)일신랩, Korea)로 -70 ℃에서 24시간 동안 냉동시키고 72시간 동안 건조시켜 분말화하여 18.3g의 오이풀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3 : 월계수잎추출물 제조 >
원산지 터기산인 월계수잎 200g을 구매하여 10배 중량의 물을 넣고 80 ℃에서 3시간 동안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PVTFD10A, (주)일신랩, Korea)로 -70 ℃에서 24시간 동안 냉동시키고 72시간 동안 건조시켜 분말화하여 10.1g의 월계수잎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의 침적온도는 40 내지 1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정도로 유지하고, 침적시간은 1 내지 30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10시간으로 하는 것이 부패, 변색 및 변취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균의 활성 제어와 피지조절 및 자극완화의 효과가 있어 여드름성 피부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다양한 화장품 제형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클렌징폼, 클렌징 크림, 샴푸, 린스, 헤어토닉, 마사지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의 시험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고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시험예 1 : 천연추출물의 항균력 시험 >
먼저, 전술한 제조예 1 내지 3의 추출물을 가지고, 하기 표 1과 같은 배합비율로 섞어 다양한 배합비율의 혼합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여 항균효과 평가에 사용된 균주인 항균력 효과 검정시험으로 Paper disc method법에 의하여 항균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균주로 P. acnes, S. aurus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P. acnes는 37℃, 혐기성 환경, DifcoTM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BD, USA)에서 배양되었고, 혐기성환경은 GasPak EZ Anaerobic Container System(BD, USA)을 이용한 혐기성 병에서 조성되었다. S. aureus는 37℃, BactoTM Tryptic Soy Broth(BD, USA)에서 배양되었다.
Paper Disc 확산법을 통해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각 균주를 액체 배양 배지에 접종한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흡광도 측정시 600nm에서 optical density(O.D) 0.5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1/100 희석한 배양액 100 ㎕를 한천 배지에 도포하고 8mm의 멸균된 Paper Disc를 배지위에 올린 후 농도별로 표 1의 시료를 각각 20㎕씩 처리하였다. P. acnes의 경우 혐기성 병에 넣어 37℃에서 3일간 배양하고, S. aureus는 37℃ 배양기에서 1일간 배양하여 Paper Disc 주위 투명환의 지름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정제수 Clear Zone(mm)
P. acnes S. aureus
비교예1 - - - 40 2.2 1.5
비교예2 60 - - 40 7.3 8.3
비교에3 - 60 - 40 6.4 4.4
비교예4 - - 60 40 3.5 2.2
실시예1 20 20 20 40 6.1 7.4
실시예2 30 15 15 40 7.3 8.1
실시예3 15 30 15 40 8.5 8.7
실시예4 15 15 30 40 5.0 6.8
실시예5 24 24 12 40 10.7 9.8
실시예6 24 12 24 40 8.4 7.4
실시예7 12 24 24 40 7.7 6.2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5의 조성물의 경우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P. acnes)균과 스테피로코쿠스 아우레우스(S. aurus)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즉,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 사용할때 보다 오레가노추출물 : 오이풀추출물 : 월계수잎추출물이 2 : 2 : 1의 중량비율로 배합하였을 때 최적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 시험예2 : 지질합성(Lipogenesis) 억제 시험 >
지질 합성에 필요한 탄소 원소의 소비(uptake) 정도를 정량하여 지질 합성 저해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피지선에서의 지질합성 저해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지선이 많은 햄스터 귀 조직을 생검(biopsy)하여 C14이 라벨된 배지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하고 방사능 측정기로 대조군과 시료군을 비교 정량하여 저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시료군으로는 햄스터 오른쪽 귀 조직을 이용 배지에 시료 용액 0.01%를 가하여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는 햄스터 왼쪽 귀 조직을 이용 배지에 생리 식염수 0.01%를 가하여 사용하였다. 그룹별로 5마리의 햄스터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3064281617-pat00002
구분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 정제수 저해율(%)
비교예1 - - - 40 0
비교예2 60 - - 40 57
비교예3 - 60 - 40 87
비교예4 - - 60 40 45
실시예1 20 20 20 40 66
실시예2 30 15 15 40 70
실시예3 15 30 15 40 85
실시예4 15 15 30 40 59
실시예5 24 24 12 40 80
실시예6 24 12 24 40 65
실시예7 12 24 24 40 7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월계수잎추출물은 지질합성 저해효과가 있으며, 특히 오이풀추출물의 효과가 뛰어나 실시예 3 및 실시예 5에서와 같이 혼합(복합)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혼합사용하면 지질합성이 억제됨으로써 피지감소가 되어 여드름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3 : 각질제거 및 여드름에 대한 개선 정도 측정 >
가) 여드름 개선 스킨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여드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을 함유한 로션을 표 3와 같이 제조하여 시험번호, 제품명, 저장방법, 사용설명서가 명시된 라벨을 부착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A)정제수에서 L-아르기닌를 포함하는 수상파트를 50℃에서 교반하여 혼합하는 단계; B) 토코페롤에서 향료를 포함하는 가용화파트를 50℃에서 교반하여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수상파트와 가용화파트를 혼합, 교반하여 1차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1차 조성물을 1,000~1,500bar의 압력하에 고압균질기(Micro Fluidizer)에 2~3회 통과시키고 냉각시켜 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나) 사용법
인체를 대상으로 만19 ~ 40세 경증 여드름 및 붉은기를 보유한 여성 20명을 4주간 통원치료가 가능한 환자를 선별하여 4주간 사용량을 피험자에게 지급하고 1일 2회 아침과 저녁으로 나누어 세안 후 얼굴에 도포하게 하였다.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구분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0 0.10 0.10 0.10 0.10
판테놀 0.10 0.10 0.10 0.10 0.10
1,2-헥산디올 2.00 2.00 2.00 2.00 2.00
에칠헥실글리세린 0.05 0.05 0.05 0.05 0.05
살리실산 - - 1.0 1.0 1.0
오레가노추출물 - 30.0 - 30.0 30.0
오이풀추출물 - 30.0 - 30.0 30.0
월계수잎추출물 - 15.0 - 15.0 15.0
L-아르기닌 - - 1.0 1.0 1.0
토코페롤 0.02 0.02 0.02 0.02 0.02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5.00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50 0.50 0.50 0.50 0.5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 - - - 3.00
향료 0.15 0.15 0.15 0.15 0.15
다) 시험방법
상기 표 3의 비교예 5 ~ 7 및 실시예 8의 조성물을 5명씩 5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조성물을 나누어 주어 사용하게 하였고, 2주 및 4주 경과 후 각질 제거효과, 피부 유분함유량 측정, 전문가에 의한 육안평가를 하여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각질제거효과 항목은 길질이 잘 제거되는지 여부를 설문을 통해서 평가하였고 평가점수는 5점척도로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하였으며, 피부 유분함유량 측정은 Sebumeter SM815(Courage-Khazaka ele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T존 부위 중 미간 사이를 측정하였다. 피부에 접촉시킨 후 약 20초동안 획득되는 피지량을 광학적 반사원리로 단위면적당 유분량(ug/cm)으로 측정하는 장비로써, 측정값과 피지량은 비례한다. 그리고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육안평가는 피험자의 여드름 정도는 피부과 전문의 2인을 시험자로 하여 인체적용 시험 시작전(0주), 2주, 4주 경과 후에 연구소를 방문한 시험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피부과 전무의 2인의 평가에 차이가 있을 경우 많은 개수를 선택한다. 코와 턱부위를 제와한 안면의 패쇄면포와 개방면포의 개수를 세어 평가자료로 사용하였다.(표 4)
면포성 여드름의 분류
폐쇄면포 흰색깔을 띠며 모낭 속에 고여 딱딱해진 피지를 의미한다.
개방면포 멜라닌의 침착으로 검은 색깔을 띠며 모낭 속에 고여 딱딱해진 피지를 의미한다.
라) 시험결과
- 피험자 정보 : 본 임상시험에 참여한 피험자 20명의 평균 연령은 만 33.7세로 20대 8명, 30대 8명, 40대 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성별은 모두 여성이다.
피부 각질제거 변화는 하기 표 5에 나타난 것처럼 비교예 7과 실시예 8에서 효과가 우수하였다.
방문 각질제거 정도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0주
2주
4주
3.5
3.1
2.7
2.8
2.9
2.4
3.1
3.8
4.2
3.4
4.1
4.5
3.5
4.2
4.5
방문 유분함류량 ( Mean ±SD)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실시예 8 % 실시예 9 %
0주
2주
4주
102.4 ±33.14
95.4 ±30.12
87.3 ±32.95

7.3
17.2
101.7 ±42.47
88.2 ±38.10
80.3 ±29.95

15.2
26.5
103.3 ±40.47
93.4 ±40.12
87.3 ±33.95

10.5
18.2
100.2 ±35.47
83.2 ±30.44
72.3 ±22.75

20.5
38.6
103.2 ±35.47
80.1 ±24.44
68.4 ±20.78

28.8
50.8
- 피부 전문가에 의한 육안 평가 : 개방형 면포 개수 및 폐쇄형 면포개수의 변화를 시험제품 사용 전과 비교하여 표 7 및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사용 2주 후, 4주 후 모두에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방문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개방형
면포수
폐쇄형
면포수
개방형
면포수
폐쇄형
면포수
개방형
면포수
폐쇄형
면포수
개방형
면포수
폐쇄형
면포수
개방형
면포수
폐쇄형
면포수
0주 4.0±0.24 14.6±0.23 6.0±0.24 20.9±0.48 8.4±0.26 18.5±0.42 6.0±0.43 22.6±0.03 5.0±0.50 18.4±0.28
2주 4.5±0.25 13.7±0.15 6.5±0.45 19.4±0.25 7.5±0.24 15.4±0.15 4.2±0.16 18.0±0.65 3.9±0.48 15.0±0.24
4주 4.6±0.15 15.4±0.78 5.0±0.43 16.7±0.52 6.3±0.48 13.8±0.19 3.5±0.20 14.2±0.39 2.8±0.24 11.9±0.61
% 2주
4주
-11.2
-13.1
6.5
-5.2
-7.7
20.0
7.7
25.1
12.0
33.3
20.1
34.0
42.8
71.4
25.5
59.1
28.2
78.6
22.6
54.6
상기 표 5, 표 6, 표 7 및 도 1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8 및 실시예 9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비교예 5 ~ 7에 비하여 모든 항목에서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살리실산에 의한 항균효과와 각질제거효과와 더불어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의 혼합추출물에 의한 항균효과와 피지조절 효과가 어우러져 여드름성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하였다.
< 시험예 4 : 피부 자극완화 효과 >
살리실산은 뛰어난 각질제거 효과와 항균효과가 있는 반면 함량이 높을수록 피부발진, 부종, 피부 기피증등을 일으킬 수 있어 적절한 함량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살리실산에 대한 피부자극에 미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가지고 정상인의 팔뚝 피부를 대상으로 첩포시험(Patch test)을 수행하였다. 첩포시험은 각 그룹당 10명으로 하여 48시간 동안 테스트하였다. 첩포시험 결과로부터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자극지수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3064281617-pat00003
구분 비교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살리실산 0.5 0.5 0.5 0.5 1.0 1.0 1.0
오레가노추출물 - 10.0 20.0 30.0 10.0 20.0 30.0
오이풀추출물 - 10.0 20.0 30.0 10.0 20.0 30.0
월계수잎추출물 - 5.0 10.0 15.0 5.0 10.0 15.0
L-아르기닌 0.5 0.5 0.5 0.5 1.0 1.0 1.0
글리세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1,2-헥산다이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평가기준수치
평가기준수치 피부 자극성 판정
(0.0) 자극 없음 10 이하 최소 자극
±(0.5) 경미한 홍반 10.1 ~ 20.0 온화한 자극
+ (1.0) 명확한 홍반 20.1 ~ 30.0 보통 자극
++ (1.5) 부종을 수반한 홍반 30.1 ~ 심한 자극
+++ (2.0) 물집을 수반한 홍반
피부자극결과
구분 자극 평가 결과 평균 자극 자극성판정 비고
+++ ++ + +- -
무도포       5 5 12.5 온화한 자극
비교예8   1 3 4 2 32.5 심한 자극
실시예9 3 3 4 22.5 보통 자극
실시예10 1 5 4 17.5 온화한 자극
실시예11 1 3 6 12.5 온화한 자극
실시예12   2 6 2 25.0 보통 자극
실시예13 2 5 3 22.5 보통 자극
실시예14   1 4 5 15.0 온화한 자극
상기 표 9의 평가기준수치를 참고하면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8과 같이 살리실산 0.5 중량%에 의한 피부자극은 심한자극을 나타내고 있으나 실시예 9 ~ 14의 결과에서 보듯이 혼합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자극 수치는 감소하였으며 살시실산의 함량이 1.0중량%로 증가하였을때에도 혼합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피부자극 수치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이 살리실산의 피부자극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임이 확인 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Claims (6)

  1.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혼합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0중량%, 판테놀 0.10중량%, 1,2-헥산디올 2.00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 0.05중량%, 살리실산 1.0중량%, 오레가노추출물 30.0중량%, 오이풀추출물 30.0중량%, 월계수잎추출물 15.0중량%, L-아르기닌 1.0중량%, 토코페롤 0.02중량% 및 부틸렌글라이콜 5.0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78149A 2022-06-27 2022-06-27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1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49A KR102551642B1 (ko) 2022-06-27 2022-06-27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49A KR102551642B1 (ko) 2022-06-27 2022-06-27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642B1 true KR102551642B1 (ko) 2023-07-11

Family

ID=8716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149A KR102551642B1 (ko) 2022-06-27 2022-06-27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6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062A (ko) * 2006-02-06 2007-08-09 김재용 여드름억제에 효과적인 식물추출물의 리포좀 기술을 이용한안정화 기술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제조방법
KR20080006568A (ko) * 2005-03-30 2008-01-16 레반스 테라퓨틱스, 아이엔씨.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KR20180033179A (ko) * 2015-06-19 2018-04-02 글로벌 헬스 솔루션즈, 엘엘씨 활성 성분들을 위한 페트롤라툼-계 전달 시스템
KR20200143515A (ko) * 2012-12-27 2020-12-23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97957B1 (ko) 2019-12-13 2021-09-03 한국식품연구원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07186B1 (ko) 2021-05-03 2021-09-30 주식회사 네이처앤네이처 살리실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6886B1 (ko) 2019-08-09 2021-11-17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어성초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 및 항염증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568A (ko) * 2005-03-30 2008-01-16 레반스 테라퓨틱스, 아이엔씨.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KR20070080062A (ko) * 2006-02-06 2007-08-09 김재용 여드름억제에 효과적인 식물추출물의 리포좀 기술을 이용한안정화 기술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제조방법
KR20200143515A (ko) * 2012-12-27 2020-12-23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3179A (ko) * 2015-06-19 2018-04-02 글로벌 헬스 솔루션즈, 엘엘씨 활성 성분들을 위한 페트롤라툼-계 전달 시스템
KR102326886B1 (ko) 2019-08-09 2021-11-17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어성초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 및 항염증 조성물
KR102297957B1 (ko) 2019-12-13 2021-09-03 한국식품연구원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07186B1 (ko) 2021-05-03 2021-09-30 주식회사 네이처앤네이처 살리실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4700B2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20180052823A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1140B1 (ko) 장딸기 열매 추출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52560B1 (ko)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1642B1 (ko)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29014B1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JP2001233727A (ja) 化粧品
KR20160092165A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587446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2227874B1 (ko) 아토피와 각종 피부염증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66470B1 (ko) 캐모마일꽃, 찔레꽃 및 산구절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2917B1 (ko) 쓴쑥, 범부채, 돌나물, 미역취 및 개다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08418B1 (ko) 피부 수렴효과를 갖는 아선약, 계피, 지유, 연꽃, 제라늄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0480B1 (ko) 홍지네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