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515A -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515A
KR20200143515A KR1020207036214A KR20207036214A KR20200143515A KR 20200143515 A KR20200143515 A KR 20200143515A KR 1020207036214 A KR1020207036214 A KR 1020207036214A KR 20207036214 A KR20207036214 A KR 20207036214A KR 20200143515 A KR20200143515 A KR 20200143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tract
skin
ascorbic aci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시부야
아키코 미야케
타츠야 이시하라
마사키 미야케
히토미 와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Priority to KR1020217027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7920A/ko
Publication of KR20200143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iabetes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이 듦, 노화에 따른 주름, 잔주름, 기미, 처짐 등, 피부의 외관상의 트러블을 예방 또는 개선함과 아울러,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을 유지 또는 항진하기 위한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수성 매체를 기제로 하고, 유효성분으로서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SKIN-EXTERIOR ANTI-AGEING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주름, 잔주름, 기미, 또는 처짐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과 그를 포함하는 기초 화장품 및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언제까지나 젊게 있고 싶은 마음은 인류 공통의 보편적인 소원이지만, 나이를 먹음에 따라 사람의 피부에 주름, 잔주름, 기미, 처짐 등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은 인류가 오랜 세월 동안 경험해 온 바이며, 나이가 들수록 피부도 노화하고 피부에 주름, 잔주름, 기미, 처짐 등의 외관상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은 말하자면 자연의 섭리로,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져왔다.
그런데, 근래, 인간의 피부 구조나 그 신진대사의 메커니즘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나이가 듦에 따라 사람의 피부에 주름, 잔주름, 기미, 처짐 등의 변화가 나타나는 원인이나 메커니즘이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즉,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피부는 외측의 얇은 표피(상피조직)와 그 아래층의 두꺼운 진피(결합조직)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피는 몸의 최외층으로서, 외부로부터 생체를 보호함과 동시에 내부의 수분이나 영양분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막으며, 한편, 진피는 주로 섬유아세포, 교원섬유(콜라겐), 탄성섬유(엘라스틴), 프로테오글리칸 등이 복합적으로 3차원 형태로 퍼진 구조를 갖는 결합 조직으로서, 피부에 강도, 신전성 및 탄력성을 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피지나 수분의 양이 감소하면, 피부 표면의 각질층의 보습력을 잃게 되어 건조 등으로 인한 주름이나 피부의 버석거림이 쉽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간의 표피는 외측으로부터 "각질층(각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성되며, 기저층에서 생겨난 표피 세포(케라티노사이트)가 순차적으로 외측으로 이동하여 각질층이 되고, 결국에는 벗겨져 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라티노사이트가 표피의 가장 안쪽에 있는 기저층에서 증식하고 분화하여 상층으로 밀어 올려지며, 최종적으로 표피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각질층(각층)이 되고, 때가 되어 탈락하게 된다. 이 케라티노사이트의 증식, 이동, 분화, 탈락의 일련의 과정을 턴오버라고 하며, 케라티노사이트가 일정 주기로 새롭게 생성되어 변해감으로써 피부의 항상성이 유지되고 있는데, 나이 듦에 따라 피부의 턴오버 속도가 느려지고, 그 결과, 주름이나 처짐이나 피부거침이 생긴다고 한다. 피부의 턴오버 속도는 인간의 몸의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건강한 10대의 사람 피부의 턴오버는 약 20일이라고 하며, 20대에는 약 28일, 30대에는 약 40일, 40대에는 20대의 약 2배인 약 55일이 되고, 50대에는 약 75일이 된다고 한다. 참고로, 피부의 턴오버는 빨라도 늦어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피부의 정상적인 턴오버는 20대의 28일로 여겨지고 있다. 이는 턴오버 속도가 빠르면, 피부에서 자외선을 흡수하는, 멜라노사이트가 생산하는 멜라닌 색소의 양이 증가하여, 자외선에 의해 미용상 바람직하지 않은 멜라닌 침착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의 견해로서, 피부의 생체내 당화 반응(이하, 단순히 "당화 반응"이라 한다.)이 피부의 턴오버 속도의 지연에 관여하며 피부 노화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당화 반응이란 메이라드 반응(갈변화 반응)이라고도 불리며, 글루코오스나 푸룩토오스 등의 환원당이 진피(콜라겐)나 각질층(케라틴)과 비효소적으로 결합하여, 당화 최종 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 AGEs)이라 불리는 물질의 생성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의미한다. AGEs는 피부조직에 침착되며, RAGE(receptor for AGEs)라 불리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피부와 다른 조직에 염증성 변화를 야기함과 동시에, AGEs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콜라겐의 분자내 및 분자간에 무질서한 가교를 형성하고 콜라겐에 물리적, 생리적 변화(변성)를 유발하여, 주름, 피부거침, 잡티 혹은 팽팽함 저하 등 피부 노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당화 반응으로 인해, 분자내 및 분자간에 무질서한 가교가 형성된 콜라겐은 탄력성을 잃게 됨과 동시에, 생체 내의 프로테아제에 의해 잘 분해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피부의 턴오버 속도의 지연을 초래하는 것은 아닌가라고 말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상기와 같이, 나이 듦에 따른 피부의 턴오버 속도의 지연은 주름, 처짐이나 피부거침을 초래한다고 하기 때문에, 이들 피부 증상이 신경이 쓰이기 시작하는 30세 전후부터 50세 전의 연령층을 포함하는 소위 프리에이징 세대의 피부에서는 그 턴오버 속도를 20대의 정상적인 피부의 턴오버 속도로 되돌리는 것은 어렵다고 하더라도, 어떠한 수단에 의해, 나이 듦에 따른 턴오버 속도의 지연을 되돌릴 수가 있다면, 주름이나 처짐이나 피부거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케라티노사이트의 증식, 이동, 분화, 탈락의 일련의 과정 중 적어도 한 과정을 촉진함으로써 턴오버 속도를 높이거나, 혹은 턴오버 속도의 지연을 초래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당화 반응을 저해함으로써도 턴오버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아직 실용적인 해결 수단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또한, 나이 듦에 따라 진피에서 섬유아세포나 히알루론산이 감소하거나 콜라겐의 절단이나 엘라스틴의 변성이 일어나면, 주름이 형성되거나 피부의 탄성이 저하되어 처짐이나 피부거침이 생긴다고 한다. 또한, 멜라노사이트로부터 표피 세포에 배출된 멜라닌이 표피 세포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것이 피부로의 색소 침착(기미)과 피부 칙칙함의 원인이 된다는 견해도 있다.
이들 연구 성과나 견해를 토대로, 현재는 나이 듦에 따라 인간의 피부에 주름, 잔주름, 기미, 처짐 등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과학적인 견지에서 합리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하는, 이른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제가 다수 제안(예를 들면, 특허 문헌 1~7 참조)되기에 이르렀으며, 인류는 언제까지나 젊고 싶다는 생각의 실현에 한 걸음씩 가까워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안되어 있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제는 수많은 가능성 중 극히 일부의 가능성을 추구하여 실현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안티에이징 효과가 나타나는 특이한 메커니즘이나 사용 편의성, 나아가 제조 용이성 등의 관점도 포함하며, 보다 다방면의 각도에서 새로운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 여전히 요망되고 있는 것인 현 실정이다.
재공표특허 WO2007/01106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7-29110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8-16919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8-25502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8-26072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9-04069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9-249306호 공보
『더 저널 오브 클리니컬 인베스티게이션』, 슈나이더 에스 엘 등, 제67권, 1630~1635 페이지(1981년)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현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나이 듦에 따라 나타나는 인간 피부의 주름, 잔주름, 기미, 처짐 등의 변화를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신규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과 그를 포함하는 기초 화장품, 및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심히 연구 노력을 거듭한 결과,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이 뛰어난 안티에이징 효과, 즉, 턴오버 개선, 피부 장벽(barrier) 기능의 유지 또는 항진, 및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나이 듦에 따른 피부의 주름, 잔주름, 기미, 처짐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안티에이징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발견함과 동시에, 상기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은 상기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또는 그들의 염을 기제가 되는 수성 매체와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수성 매체를 기제로 하고, 유효성분으로서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 염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상기 안티에이징용 피부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초 화장품을 제공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의 유도체 및 그들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기제인 수성 매체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기초 화장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기초 화장품의 유효성분은 기본적으로는 L-아스코르빈산이다. 그러나 L-아스코르빈산은 환원성을 가지며, 극히 불안정하고 생리 활성을 잃고 쉽기 때문에, L-아스코르빈산 그 자체보다도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L-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는 염의 형태에 있는 것이어도 좋다. L-아스코르빈산의 염으로부터는 수성 매체 중에서 L-아스코르빈산이 유리(遊離)하고,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염으로부터는 수성 매체 중에서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가 유리하며, 유리된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는 인간의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인간 생체에 존재하는 효소의 작용에 의해 더욱 L-아스코르빈산을 유리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기초 화장품에서는 L-아스코르빈산 뿐만 아니라,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L-아스코르빈산의 염 및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나이 듦에 따른 피부의 주름, 잔주름, 기미, 처짐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안티에이징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된다.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로서는 L-아스코르빈산의 글리코실 유도체, 아실화 유도체 또는 인산화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L-아스코르빈산의 글리코실 유도체인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나트륨염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 내지 기초 화장품에 배합하여 매우 안정적이며, 현저한 안티에이징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 및 그 나트륨염은 각각 결정형태에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의 결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동일 출원인이 일본특허공개 평3-13599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2-67013호 공보 등에서 개시한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 무수결정 함유 분말을 들 수 있다.
한편,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의 나트륨염의 결정으로서는 분말 X선 회절에 있어, 회절각(2θ) 6.8 °, 8.2 °, 14.3 °, 17.8 ° 및 18.4 °에서 회절 피크를 나타내는 함수결정, 또는 회절각(2θ) 8.0 °, 9.0 °, 16.4 °, 17.9 ° 및 20.8 °에서 회절 피크를 나타내는 무수결정을 들 수 있다. 이들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의 나트륨염의 함수결정 및 무수결정은 본 발명자들의 창제에 따른 신규 결정이며, 결정화로 인한 고순도화가 용이하므로, 그 물성이나 유효성, 나아가서는 안전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 이외에, 고순도의 것을 비교적 쉽게 조제하여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구비하고 있어,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L-아스코르빈산의 글리코실 유도체인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은 수성 매체 중에서는 비교적 강한 산성을 나타내며, 이것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하는 피부 외용제나 화장품에 배합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적절한 알칼리를 사용하여 pH가 5 내지 9 정도가 되도록 중화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상술한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의 나트륨염의 함수결정 및 무수결정은 수성 매체 중에서 알칼리성을 나타내므로,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과 그 나트륨염의 결정을 병용할 경우에는 양자의 배합 비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알칼리를 사용하여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을 중화하지 않고, pH가 원하는 범위 내에 있는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기초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극히 뛰어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양자를 병용할 경우에는 수성 매체와의 혼합 후의 pH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미리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 및 그 나트륨염의 함수결정 및/또는 무수결정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한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예를 들면 세안료와 같이 pH가 알칼리성이어도 좋은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기초 화장품의 경우에는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과 병용하지 않고,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의 나트륨염의 함수결정 및/또는 무수결정만을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은 그 단독으로도 안티에이징의 피부 외용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적절한 화장품 성분을 첨가하여 각종 기초 화장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은 이에 에탄올 및 보습제를 첨가하여 화장수로 만들어도 좋으며, 이 화장수에는 추가로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렴제, 각질연화제, 피부연화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여도 좋다. 이러한 화장수에, 추가로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의 향료, 색소, 방부제, 살균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봉쇄제 또는 완충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은 이것에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염(비누)을 첨가하여 세안료로 만들어도 좋고, 이 세안료에는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의 향료, 색소, 산화방지제 또는 금속봉쇄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이러한 세안료에 추가로 글리세린, 에탄올, 설탕, 다가 알코올 또는 살균제를 배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은 이것에 보습제 및 피부연화제를 첨가하여 미용액으로 만들어도 좋고, 이 미용액에는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의 향료, 자외선 흡수제, 미백제, 항염증제, 방부제 또는 살균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은 이것에 적절한 유성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유액으로 만들어도 좋고, 이 유액에는 각각 적절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보습제, 피부연화제, 혈행촉진제 또는 고분자 물질을 배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은 이것에 적절한 유성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크림 형태로 만들어도 좋고, 이 크림에는 고래왁스, 세탄올, 라놀린, 유동 파라핀, 바셀린, 글리세린 또는 스쿠알렌을 적절히 배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턴오버 개선이란, "각질층(각층)", "과립층", "유 극층" 및 "기저층"으로 구성된 인간 표피의 베이스가 되는 표피 세포(케라티노사이트)의 증식, 이동, 분화, 탈락의 일련의 과정(턴오버)을 건전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이 듦에 따라 저하되는 피부의 턴오버 속도를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피부 장벽 기능의 유지 또는 항진이란, 피부에서 이른바 1차 배리어(barrier)라 불리는 피지막의 기능과 대비되는, 2차 배리어라 불리는 각질층의 기능, 즉 생체외로부터 생체내로의 이물질 침입이나 생체내로부터 생체외로의 과도한 수분 방출을 방지하는 기능, 및 각질층에 인접한 표피 과립층에 존재하는 타이트 정션(TJ)이라 불리는 세포간 접착 구조에 따른, 생체의 안과 밖을 나누는 기능을 유지 또는 항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각질층은 각질 세포가 겹겹이 겹쳐 구성된 층으로, 각질 세포의 최외층에는 각질 세포의 내부를 지키는 각질세포막(cornified envelope, CE)이라 불리는 인볼루크린(involucrin) 등의 다양한 단백질로 구성된 견고한 막이 존재한다. 상기 CE와 TJ는 피부의 장벽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피부의 장벽 기능이 저하되면, 자외선, 특히 진피에까지 도달하는 장파장인 A파에 의해,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등이 손상을 입는다. 또한, 피부의 장벽 기능이 저하되면, 피부가 건조하고 피지의 과잉 분비가 촉진되어 성인 여드름을 유발하거나 턴오버의 혼란을 초래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나이 듦에 따라 피부의 장벽 기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피부의 주름, 잔주름, 기미, 처짐 등이 야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이란, 피부의 히알루론산 생산 세포로부터의 히알루론산 생산량의 증강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피부의 장벽 기능의 유지, 항진이 도모되고 안티에이징 효과가 유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당화 반응 억제란, 글루코오스나 프룩토오스 등의 환원당이 진피(콜라겐)이나 각질층(각질)과 비효소적으로 결합하여, 당화 최종 산물(AGEs)이라 불리는 물질을 생성하는 반응(메이라드 반응 또는 갈변화 반응이라고도 한다.)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AGEs는 주름, 피부거침, 잡티 혹은 팽팽함 저하 등 피부 노화를 초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그를 함유하는 기초 화장품에 따르면, 주름, 잔주름, 기미, 처짐 등, 나이 듦에 따른 피부의 변화를 유효하게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는 뛰어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유효성분으로서, L-아스코르빈산의 글리코실 유도체인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나트륨염을 사용할 경우에는 조제된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기초 화장품 중에서, 유효성분이 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피부에 적용했을 때 현저한 안티에이징 효과를 발휘한다는 뛰어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 및/또는 그 나트륨염으로서 결정 형태에 있는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원료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적극적으로 배제하여 매우 고순도의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 및/또는 그 나트륨염을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기초 화장품의 유효성분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높고, 안심하고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그를 함유하는 기초 화장품을 제조함에 있어,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과 그 나트륨염을 병용할 경우에는 수성 매체와 혼합했을 때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이 비교적 강한 산성을 나타내는 것에 비해, 그 나트륨염은 알칼리성을 나타내므로, 양자의 비율을 적절히 감안함으로써, 알칼리를 사용하여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을 중화하지 않고, 원하는 범위의 pH를 갖는 피부 외용제 또는 기초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함수결정)의 현미경 사진.
도 2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무수결정)의 현미경 사진.
도 3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과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 무수결정의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을 비교한 도면.
도 4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함수결정 및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의 분말 X선 회절도를 비교한 도면.
도 5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의 단결정 X선 회절 패턴.
본 발명은 수성 매체를 기제로 하고, 유효성분으로서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이러한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초 화장품, 그리고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먼저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 본 발명의 기초 화장품 및 그들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이하, 단순히 "피부 외용 조성물"이라 한다.)은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L-아스코르빈산은 비타민 C로서 생체에서 중요한 생리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산화방지제 및 항염증제로서도 사용되며, 또한, 미백 작용이나 콜라겐 생산 증강 작용을 갖기 때문에, 화장품 분야에서도 종래부터 유용한 성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이다. L-아스코르빈산은 피부 외용 조성물에 배합하여 주름, 잔주름, 기미, 처짐을 유효하게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L-아스코르빈산은 환원성을 갖기 때문에 극히 불안정하며, 산화 분해를 받아 생리 활성을 잃기 쉽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L-아스코르빈산은 저장이나 취급에 세심한 주의를 요할 뿐만 아니라,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경우에는 사용시까지 산화 분해되는 양을 예측하여, 본래의 필요량을 훨씬 웃도는 양을 배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는 L-아스코르빈산 그 자체보다도 안정적이고, 또한 생체 내에서 L-아스코르빈산을 유리하여 L-아스코르빈산 본래의 기능이 발휘되는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또는 그 염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바람직한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는 유도체 그 자체가 L-아스코르빈산보다도 안정적이며, 생체 내에서 L-아스코르빈산을 유리하여 L- 아스코르빈산 본래의 기능이 발휘되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L-아스코르빈산의 글리코실 유도체, L-아스코르빈산의 아실화 유도체 및 인산화 유도체를 들 수 있다.
L-아스코르빈산의 글리코실 유도체로서는 L-아스코르빈산의 2위 위치에 글리코실기가 결합된 유도체가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유도체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3-13599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3-139288호 공보 등에 개시된 L-아스코르빈산의 2위 위치에 글루코실기, 말토실기, 말토트리오실기 등 일련의 글리코실기가 α-결합된 2-O-α-글리코실-L-아스코르빈산(아스코르빈산 2-글리코시드)이나,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6-263790호 공보에 개시된 L-아스코르빈산의 2위 위치에 갈락토실기가 β-결합된 2-O-β-D-갈락토실-L-아스코르빈산(아스코르빈산 2-갈락토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L-아스코르빈산의 아실화 유도체(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소59-1050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소63-10497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6-24795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4-331524호 공보 등에 개시된 아스코르빈산-팔미틴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디팔미틴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테트라헥실데칸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빈산-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L-아스코르빈산의 인산화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소61-152613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5-339123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2-333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6-63060호 공보 등에 개시된 아스코르빈산 2-인산 에스테르나 그 각종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L-아스코르빈산의 각종 유도체 중에서는 L-아스코르빈산의 글리코실 유도체가 안정성이 높아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L-아스코르빈산의 2위 위치에 글루코실기가 α-결합한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로 약칭한다.)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L-아스코르빈산의 상술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이며, 직접적으로 환원성을 나타내지 않고, 안정적이며, 또한 생체 내에서는 생체 내 효소에 의해 L-아스코르빈산과 D-글루코오스로 분해되어 L-아스코르빈산 본래의 생리 활성을 발휘한다는 획기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3-13599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3-139288호 공보 등에 개시된 대로, L-아스코르빈산과 전분질을 함유하는 용액에 당전이효소로서 시클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랜스페라아제를 작용시킨 후, 얻어진 아스코르빈산 2-글리코시드에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키는 방법에 의해 공업적 규모로 제조할 수 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로서는 일부 또는 전부가 결정 형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즉, 사용하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전체에서 차지하는 결정의 비율은 많은 편이 순도가 높고, 또한 물성도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사용하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전체가 완전히 결정 형태에 있을 필요는 없으며, 일부 비정질의 것이 혼재하는 결정 함유 분말이어도 좋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에는 무수결정의 존재가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결정으로서는 상술한 일본특허공개 평3-135992호 공보나 국제공개 WO2012/121297호 팜플렛에 개시된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 무수결정 함유 분말을 들 수 있고, 시판품으로서는 화장품 및 의약부외품 소재로서 판매되고 있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L-아스코르빈산 또는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는 수성 매체와 혼합했을 때 L-아스코르빈산 또는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를 해리하는 한, 염의 형태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염으로서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을 들 수 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은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수용액을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를 사용하여 중화한 후, 건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은 수성 매체에 용해하면, pH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적어도 그 일부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나트륨으로 해리되므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마찬가지로 결정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의 결정은 본 발명자들이 창제한 신규 결정이다. 즉,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금속염의 결정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알루미늄염이나 아연염의 결정성 분말이 일본특허공개 평6-220081호 공보에서 보고되어 있지만, 나트륨염의 결정에 관한 보고는 존재하지 않는다. 덧붙여, 상기 공보에서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알루미늄 화합물을 찬물에 용해하여 교반, 원심 분리한 후, 상청액을 동결 건조하거나, 아연 화합물에 NaOH를 첨가하여 교반, 원심 분리한 후, 얻어진 침전물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수용액에 넣어 여과분별한 후 여과액을 동결 건조함으로써, 각각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알루미늄염 또는 아연염의 결정성 분말이 얻어졌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의 결정을 얻기 위해, 상기 공보와 마찬가지 방법을 반복하였지만, 알루미늄염 또는 아연염의 결정성 분말이 얻어졌다고 하는 어떤 방법에 의해서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의 결정성 분말은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그 후, 더욱 연구를 거듭하여 시행착오를 반복한 결과, 의외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에 과잉량의 수산화나트륨을 수용액 형태로 첨가하여 알칼리성 용액으로 만든 후, 이 알칼리성 용액에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정치함으로써,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결정을 얻는 데에 성공했다.
후술하는 실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이 발견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 결정은 함수결정과 무수결정 중의 어느 형태든 취할 수 있으며,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은 분말 X선 회절에 있어, 회절각 (2θ) 6.8 °, 8.2 °, 14.3 °, 17.8 ° 및 18.4 °에 특징적인 회절 피크를 나타내며,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은 분말 X선 회절에 있어, 회절각 (2θ) 8.0 °, 9.0 °, 16.4 °, 17.9 ° 및 20.8 °에 특징적인 회절 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에 관해서는 X선 결정구조 분석이 가능한 크기의 단결정을 얻는 데에도 성공하여, 후술하는 실험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선 결정구조 분석에 의해, 해당 함수결정이 사방정계에 속하며, 공간군은 Pbca(#61), 격자상수가 a=6.9733Å, b=14.4839Å, c=19.3221Å을 나타내는 결정인 것을 밝히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발광분광분석에 따르면, 해당 나트륨염의 무수결정에서의 나트륨 함량은 약 8.7질량%였다. 한편, 상기 무수결정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나트륨과 수산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의 비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1분자에 대해 나트륨이 1원자, 수산화나트륨이 (1/2)분자이라고 가정하면, 나트륨 함량의 이론값은 8.8질량%가 되어, 측정값과 매우 잘 일치한다. 이 때,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나트륨의 몰비는 대략 1:1.5가 되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2개에 대해 3개의 나트륨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수분 함량의 측정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의 함수결정에서 수분 함량은 약 15질량%이며, 해당 함수결정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나트륨과 수산화나트륨을 무수결정에서와 같은 몰비로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물 분자의 몰비는 대략 1:4가 되어, 함수결정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1분자에 대해 4분자의 결정수(水)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화합물은 결정 다형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동일한 화합물일지라도 복수의 다른 결정구조를 취할 수 있고, 그 결정구조의 차이에 따라, 용해성을 비롯한 각종 물성이 다른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유기 화합물을 예를 들면 피부 외용 조성물이나 기초 화장품에서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용도에 적합한 물성을 안정적으로 유지, 확보하기 위해서도, 해당 유기 화합물에 결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결정을 얻고, 나아가서는 그 결정 구조를 밝혀 두는 것은 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기초 화장품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을 적합한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인데, 이번에, 본 발명자들에 의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의 결정이 얻어지고, 해당 결정에는 무수결정과 함수결정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지게 되어, 그들 결정을 특징짓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이나 결정구조의 분석이 이루어졌으므로, 상기 무수결정 또는 함수결정의 형태에 있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을 사용할 경우에는 고순도의 소재를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는 장점 이외에, 그 취급성이나 유효성, 안전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항상 일정한 이미 알려진 안정된 물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의 제조방법은 소기의 결정을 얻을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정치함으로써 결정을 석출시키고, 이어, 원심분리 등의 고액(固液) 분리법을 사용하여 결정을 회수함으로써,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 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원료로서 사용하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고순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 순도 9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질량% 이상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을 원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함수결정을 함수 에탄올로 세척함으로써 고순도의 함수결정으로 할 수 있다. 얻어진 함수결정은 필요에 따라 분쇄, 건조함으로써,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 함유 분말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함수결정은 가온하면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무수결정은 상대 습도 75% 이상의 조건에서 흡습시킴으로써, 다시 함수결정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결정을 석출시킴으로써 얻어진 마세큐트(massecuite)를 분무 건조함으로써,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함수결정 함유 분말 또는 무수결정 함유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 또는 함수결정의 특징 중 하나로서는, 해당 무수결정 또는 함수결정은 물에 용해한 경우, 얻어지는 수용액이 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이 물에 용해된 경우, 얻어지는 수용액이 비교적 강한 산성을 나타내는 것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들이 창제한 신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나트륨염 결정은 종래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에서는 수용액이 비교적 강한 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량이나 사용형태, 나아가 사용 자체가 제한되는 용도에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알칼리성이 요구되는 비누계의 피부 외용 조성물, 예를 들면, 비누, 샴푸, 세안 폼, 바디워시 등에 사용하는 경우, 종래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성 매체에 용해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산성 용액을 미리 알칼리로 중화하는 조작이나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의 첨가가 필수이지만,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을 용해하여 얻어지는 수용액은 통상적으로 알칼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해당 피부 외용 조성물에 배합할 때, 알칼리를 사용하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중화하는 조작이 불필요하며, 완충제의 병용도 불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 또는 함수결정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과 병용하는 경우에는 양자의 배합비를 조정함으로써, 수성 매체에 용해했을 때의 pH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 예를 들면 약알칼리성 내지 약산성의 범위 내가 되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얻어진다. 따라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 또는 함수결정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과 병용하는 경우에는 별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 또는 함수결정 이외의 알칼리를 사용하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중화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이나 기초 화장품을 포함해, 전체의 pH가 약알칼리성 내지 약산성의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한 각종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양자를 병용할 때에는 각종 조성물의 제조시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과,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 또는 함수결정을 각각의 배합비에 따라 양만큼 계량하여 사용하여도 좋지만,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에 필요로 되는 pH에 따라 미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과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 또는 함수결정을 소정의 배합비로 배합한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무수물 환산의 질량비로 60:40 내지 45:55의 배합비로 배합한 조성물로 해 두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이나 기초 화장품에 배합하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 또는 함수결정, 또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의 배합량은 L-아스코르빈산 무수물 환산으로의 합계로, 통상, 피부 외용 조성물이나 기초 화장품의 질량당 0.0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질량%,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질량%로 한다. 상기 배합량의 하한을 밑도는 경우 또는 상기 배합량의 상한을 웃도는 경우, 소기의 효과가 현저히 저감하거나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및/또는 그 나트륨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나트륨염은 수성 매체 중에서 적어도 그 일부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나트륨으로 해리되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생성한다. 또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생체 내에서 생체 내 효소, 예를 들면, α-글루코시다아제의 작용으로 인해 L-아스코르빈산 및 D-글루코오스로 가수분해되어 L-아스코르빈산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를 배합함으로써, 피부에 적용한 경우의 L-아스코르빈산의 생성을 늦추어, 그 안티에이징 효과를 지속성 내지는 후행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화제를 배합함으로써, 피부에 적용한 경우의 L-아스코르빈산의 생성을 앞당겨, 효과에 즉효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상기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로는 길항형 및 비길항형 억제제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로서는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말토펜타오스, 말토헵타오스, 파노스(panose) 등의 전분 가수분해물; 말티톨, 말토트리이톨, 말토테트라이톨, 말토펜타이톨, 말토헥사이톨, 말토헵타이톨, 에리스리톨, 1-티오-D-글루시톨 등의 당 알코올; 아라비노오스, 후코오스, 2-데옥시-D-갈락토오스, 자일로오스, 리보오스, 타가토오스, 리브로오스, 릭소오스, 자일룰로오스, α-메틸-D-자일로시드 등의 단당; 후코다인 유래 올리고당, 대두 유래 다당 등의 올리고당 또는 다당; 아데닐산, 구아닐산, 시티딜산, 우리딜산, 이노신산 등의 뉴클레오티드; 구아노신, 디옥시구아노신, 아데노신, 디옥시아데노신, 시티딘, 우리딘, 이노신, 디옥시이노신 등의 뉴클레오시드; 인삼, 알로에베라, 고추나물, 당아욱, 살라시아(Salacia reticulata), 콘나루스 코키넨시스(Connarus cochinensis), 산오구(Sapium discolor), 크산토필룸 안나멘세(Xanthophyllum annamense), 네잎삿갓나물, 용안(Dimocarpus longan), 에리트록실론 캄보디아눔(Erythroxylon cambodianum), 진두가(Diospyros malabarica), 터치(touchi), 카레야 아르보레아(Careya arborea), 뽕나무, 세메카푸스 코킨키넨시스(Semecarpus cochinchinensis), 칼로필룸 칼라바(Calophyllum calaba), 소레아 구이소(Shorea guiso), 두아방가 손네라티오이데스(Duabanga sonneratioides), 크라톡실론 포르모숨(Cratoxylon formosum), 아키데드론 토르기둠(Archidendron Turgidum), 나우클리어 오픽날리스(Nauclea officinalis), 에우파토리움 오도라튬(Eupatorium odoratum), 히비스커스 메스뉴이(Hibiscus mesnyi), 미르시아 스패로카르페(Myrcia sphaerocarpe), 밀레티아 딥테라(Milletia diptera), 밀레티아 콘라우이(Milletia conraui), 아스코필룸 노도슘(Ascophyllum nodosum), 브루케아 야바니카(Brucea javanica), 만기패라 인디키아(Mangifera indicia), 세스바니아 그랜디플로라(Sesbania grandiflora), 그리큐리자 우라랜시스(Glycyrrhiza uralensis), 루맥스 부케파로포루스(Rumex bucephalophorus), 무르텍스 콤뮤니스(Murtex communis), 타락사쿰 오피키날레(Taraxacum officinale), 비스쿰 알붐(Viscum album), 가노데르마 루키둠(Ganoderma lucidum), 피누스 덴시플로라(Pinus densiflora), 페나루스 스쿨제이(Penarus schulzei), 오리가눔 마요라나(Origanum majorana), 그리폴라 프론도사(Grifola frondosa), 산그지-라뮬루스 모리(Sangzhi-Ramulus mori), 로벨리아 키넨시스(Lobelia chinensis), 당귀, 시지귐 아로마티쿰(Syzygium aromaticum), 코멜리나 콤뮤니스(Commelina communis), 살락키아 레티쿨라타(Salacia reticulata), 에우콤미아 울모이데스(Eucommia ulmoides), 앙글로카륙스 보우티구에아누스(Angylocalyx boutiqueanus), 아라쿠니오데스 스탄디시(Arachniodes standishii), 월계수, 가바, 붓순나무, 밤 속껍질, 땅콩 속껍질, 흑미 등의 식물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화제로서는 아르니카(arnica), 캐모마일 꽃, 세이지, 대두, 쑥 등의 식물 추출물이나, 효모, 비피더스균, 유산균 등의 미생물 추출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은 그 자체로 턴오버 개선 작용, 피부 장벽 기능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및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그 단독으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지만, 추가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배합했을 때에는 유효성분인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이 발휘하는 상기 작용 효과는 물론, 그들 유효성분에 의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 미백 작용, 나아가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을 상가효과(additive effect)를 초과할 때까지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이 발휘하는 턴오버 개선 작용, 피부 장벽 기능의 유지 또는 항진 효과, 및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효과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병용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특히 유용하다.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
상기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로서는 참깨, 지황, 복숭아, 감초, 선인장, 밀 배아, 야생 딸기, 세이지, 민트, 페퍼민트, 삼백초, 캣츠 클로(Cat's Claw), 차조기(자소), 비파, 동백, 대조(건대추), 쪽, 으름덩굴, 신선초, 나한백, 아세로라, 알테아(althaea), 알로에, 은행나무, 황벽나무, 고추나물, 올리브, 오렌지, 캐모마일, 퀸스시드(Quince Seed), 자몽, 계피, 무늬월도, 지유, 박달나무, 스타프루트(carambola), 쓴풀, 쌍백피, 차, 정향, 당근, 하마메리스(풍년화), 장미, 히말라야 라즈베리, 브처스 브룸(butcher's broom), 자두, 목단피, 마로니에, 달맞이꽃, 도깨비부채, 유칼리, 바위취, 유자, 율무, 난초, 레몬, 자운영, 로즈힙, 로즈메리, 벚꽃, 푸쿠스(Fucus), 낭독(狼毒), 금과람, 사상자, 볼도(Boldo), 아주까리, 사사프라스나무, 안젤리카, 피뿌리풀, 유향나무, 감수, 봉선화, 개나리, 자주개자리, 몰약나무, 퀸즈 딜라이트, 석송, 중대가리풀, 벌사상자, 무화과, 목련, 백목련, 자작나무, 얇은명아주, 인동덩굴, 치자나무, 도인(桃仁), 대조(건대추) 등의 식물 추출물, 해조, 클로렐라, 로얄젤리, 진피, 카르니틴, 니코틴산 아미드, 피리독신염산염, 히알루론산, 글리콜산, 구연산, 젖산, 사과산, 타르타르산, 2-하이드록시부티르산, 3-하이드록시부티르산, 타르트론산, 비타민 A류,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알란토인, 디클로페낙, 펠비낙,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록소프로펜 및 그들의 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그것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중, 노송나무과 식물(나한백 등), 은행나무과 식물(은행나무 등), 감귤과 식물(황벽나무, 오렌지, 자몽, 유자, 레몬 등), 차조기과 식물(민트, 페퍼민트, 차조기, 로즈메리 등), 삼백초과 식물(삼백초 등), 및 두충과 식물(두충 등)의 추출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 나한백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차조기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두충차 잎 추출물은 후술하는 당화 반응 억제 작용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 염과의 조합에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 각각의 바람직한 배합량으로서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이를 배합한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혹은 크림 중에 포함되는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총량(무수물 환산)의 1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000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질량부의 범위에서 배합된다. 상기 배합량의 하한을 밑도는 경우 또는 상기 배합량의 상한을 웃도는 경우, 소기의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거나 발휘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은 그 자체로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 피부 장벽 기능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및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그 단독으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 필요에 따라, 상기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물론, 후술하는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배합했을 때에는 유효성분인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이 발휘하는 상기 작용 효과는 물론, 그들 유효성분에 의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 미백 작용, 나아가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을 상가효과를 넘을 때까지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이 발휘하는,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 피부 장벽 기능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및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상기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병용은 본 발명의 실시에서 특히 유용하다.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
상기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로서는 돼지감자, 좁쌀풀(아이브라이트), 모시물통이, 보리수나무, 애그리모니(Agrimony), 아그니 과실, 으름덩굴, 아사이 과실, 아슈와간다(ashwagandha), 나한백, 아선약(阿仙藥)나무, 굴참나무, 돌외, 아니스, 아메리칸위치하젤, 알리스틴, 음양곽, 호장근, 은행나무, 노루발, 딸기, 큰솔나리, 실풀, 천선과나무, 이페나무 껍질, 단풍나무, 날개하늘나리, 회향, 위치하젤, 윈터그린, 심황, 매화, 참가시나무, 에피메디움 브레비코르넘(Epimedium brevicornum), 찔레나무 열매, 에키네시아, 가스오가피, 애니시다(cytisus scoparius) 금작화, 엘칸푸레(hercampure), 엘더(elder), 엘바마테, 보라수스 플라벨리페르(Borassus flabelifer), 황벽나무, 황련, 엉겅퀴, 귀리, 큰황새냉이, 수송나물, 소녀백합, 뽀리뱅이, 노랑참나리, 오레가노, 오렌지, 단호박 씨앗, 카투아바 껍질, 사슴백합, 과라나, 카르카데(karkade), 족도리풀, 관동, 도라지, 참소리쟁이, 누리장나무, 카말라(kamala), 말나리, 호두, 월귤, 물달개비, 사가라메(Eisenia arborea), 석류, 고구마, 사르사, 산사나무, 산초통나무, 차조기, 사릉두, 터리풀, 작약, 금문대황, 취나물, 명아주, 까실쑥부쟁이, 서양질경이, 적설초, 메밀, 철포나리, 황새냉이, 다빌라 루고사(davilla rugosa), 타모토 백합, 차데부그레(chadebugure), 정향나무, 틴벨리세나(tinnevelly senna), 병풀, 데이지, 딜(dill), 데빌스크로(devils crow), 털머위, 나팔나리(백향나리), 데빌스크로 뿌리, 첨차(Tencha), 복숭아씨, 삼백초, 자리(Rosa roxburghii), 두충차잎, 토마토, 포르멘틸라(potentilla), 소리쟁이, 딱총나무, 한련, 까실쑥부쟁이, 박하, 하카타백합, 싸리속, 타이 자이언츠(Colocasia gigantea), 시계초(passion flower), 시계초 열매, 파피아 뿌리, 잭프루트, 타이완 벚나무, 해바라기, 우산물퉁이, 하늘나리, 비라코(birako), 빈랑수, 머위, 제비콩, 블랙코호시(black cohosh), 주홍서나물, 개다래나무, 마치루스(machirusu), 소나무, 모밀잣밤나무, 마테차, 흰백합, 밀크씨슬(서양엉겅퀴), 고추나무, 멀꿀, 큰실말, 버드나무, 원추리, 야마토 만여지(annona Montana), 산나리, 공심채, 쑥부쟁이, 여지(Litchi chinensis)씨, 리갈백합, 사과 미숙과, 린덴(Linden)꽃, 루이보스, 양상치, 레몬, 레몬그라스, 레몬타임, 레몬 바베나, 레몬밤, 로즈힙, 핑크 장미 봉우리, 로즈메리, 로즈레드, 월계수(laurel), 로제아(Rosea), 로그우드(logwood), 오이풀, 자운영, 감잎, 감초잎, 검은콩씨의 껍질, 흑미씨앗, 월도엽, 세엽 백합, 서양 버드나무, 두충초, 명일엽 잎 등의 식물 추출물, 애기풀가사리, 붉은 청각채, 청각 등의 해조 추출물, 커피생두, 고구마 소주 지게미, 아가리쿠스 균사체 등의 추출물 및 에쿠올, 이소플라본, 1,4-안트라퀴논, 1-아미노-2-히드록시메틸안트라퀴논, 4-아미노페놀, 1,3,5-트리히드록시벤젠, 코지산, 3,4-디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카페인산, 이펜프로딜, 6-히드록시-2,5,7,8-테트라메틸크로만-2-카르본산, 6-히드록시인돌, 7-히드록시-4,6-디메틸프탈리드, α-리포산, 4-히드록시칼콘, 진주 단백질 가수분해물, 아미노구아니딘, 에리스로신나트륨, 에르고티오네인, 레스베라트롤, 3,3', 5,5'-테트라히드록시스틸벤 등의 히드록시스틸벤류, 옥시인돌, 칼노신, 살리실산, 살솔리놀 브롬화 수소산염, 시나핀산, 토코페릴 니코티네이트, 니코틴산 아미드,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틴산, 프로안토시아닌, 만니톨, 가수분해 카제인, 가수분해성 탄닌, 카테콜, 클로로겐산, 이소클로로겐산, 네오클로로겐산, 크립트클로로겐산, 페룰릴카페오일퀸산 등의 클로로겐산류, 로이코시아니딘, 프루닌, 프로시아니돌 올리고머, 글루코실 루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중, 아슈와간다(ashwagandha), 나한백, 아선약나무, 은행나무, 윈터 그린, 황벽나무, 오렌지, 단호박 씨앗, 카투아바 껍질, 비당나무, 글루코실 루틴, 월귤, 차조기, 메밀잎, 다빌라 루고사(Davilla Rugosa), 삼백초, 멍울풀, 주홍서나물, 개다래, 류구죽, 검은딸기, 사과 미숙과, 감잎, 감초잎, 무늬월도잎, 두충잎 추출물 및 에쿠올, 이소플라본, 이펜프로딜, 진주 단백질 가수분해물, 카테콜, 카페인산 및 프루닌은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에 의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주름 작용, 미백 작용, 그리고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보다 바람직한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중, 노송나무과 식물(나한백 등), 은행나무과 식물(은행나무 등), 감귤과 식물(황벽나무, 오렌지, 레몬 등), 차조기과 식물(차조기, 로즈메리 등), 삼백초과 식물(삼백초 등), 및 두충과 식물(두충 등)의 추출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 나한백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차조기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두충잎 추출물은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과의 조합에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병용하는 때에는 당화 최종 산물(AGEs)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AGEs의 피부조직으로의 침착을 저감 또는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AGEs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콜라겐의 분자 내 및 분자 간에 무질서한 가교가 형성되어, 콜라겐에 물리적, 생리적 변화(변성)가 야기되는 것을 저감 또는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주름, 피부거침, 칙칙함 혹은 팽팽한 저하 등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병용할 때에는 그들 식물 추출물에 기인하는 이상한 맛, 이상한 냄새가 마스킹됨과 동시에, 저장 안정성이 현격히 높아지는 이점이 발휘된다.
상기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 각각의 바람직한 배합량으로서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혹은 크림 중에 포함되는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총량의 1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001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질량부의 범위에서 배합된다. 상기 배합량의 하한을 밑도는 경우 또는 상기 배합량의 상한을 웃도는 경우, 소기의 효과가 현저히 저감하거나 발휘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 상기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과 함께, 상기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통상, 대략 동량씩 조성물당 총 0.01 내지 1질량%와,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총량(무수물 환산)으로 1 내지 10질량% 배합했을 때에는 유효성분인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에 의한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이 높아짐과 동시에, 상기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과, 후술하는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작용이 서로 어울려,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 미백 작용, 나아가서는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을 상가효과를 초과할 때까지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B. 기초 화장품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은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등의 화장품 분야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피부에 직접 적용하는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크림 등의 기초 화장품에 배합한 경우에 그 뛰어난 안티에이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초 화장품에 대해 설명한다.
<화장수>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은 상술 한 바와 같이, 수성 매체를 기제로 하는 것으로, 이에 에탄올 및 보습제를 더 배합함으로써 화장수로 만들 수 있다. 화장수는 피부의 각질층에 수분이나 보습 성분을 보급함과 동시에 피부의 생리 작용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화장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청정용 화장수, 수렴성 화장수, 유연성 화장수, 다층형 화장수 등을 들 수 있으며, 스킨 로션, 바디 로션, 핸드 로션, 피부 연화 로션 등도 포함된다.
(보습제)
본 발명의 화장수에 사용되는 보습제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즉,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3-메틸-1,3-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디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헵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이소펜틸디올, 헥실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2-메타크릴로일 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 테트라히드로퍼퓨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POE) 테트라 히드로퍼퓨릴알코올, 폴리옥시프로필렌(POP) 부틸에테르, POP·POE 부틸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 글리세린에테르, POP 글리세린에테르 인산, POP·POE 펜타에리스리톨에테르, 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공중합체, 피탄트리올, 에리스룰로오스(erythrulose) 등의 다가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헥실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모노올레일 글리세르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알킬에테르류,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말티톨, 말토트리이톨, 말토테트라이톨, 전분 가수분해물의 수소첨가물 등의 당알코올류, 수크로오스, 람노오스,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토레오스, 자일로오스, 아라비노오스, 푸코오스(fucos), 리보오스, 데옥시리보오스,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트레할로오스, 락토오스, 라피노오스,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코실트레할로오스, 말토실 트레할로오스, 말토트리오실 트레할로오스, 말토테트라오실 트레할로오스 등의 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황산화 트레할로오스,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국제공개 WO02/10361호 팜플렛에서 개시한 시클로{→6)-α-D-글루코피라노실-(1→3)-α-D-글루코피라노실-(1→6)-α-D-글루코피라노실-(1→3)-α-D-글루코피라노실-(1→}의 구조를 갖는 환상 4당(시클로니게로실니겔로오스 : Cyclonigerosylnigelose), 일본특허공개 2005-95148호 공보에 기재한 시클로{→6)-α-D-글루코피라노실-(1→4)-α-D-글루코피라노실-(1→6)-α-D-글루코피라노실-(1→4)-α-D-글루코피라노실-(1→}의 구조를 갖는 환상 4당(시클로말토실말토오스 : Cyclomaltosylmaltose), 풀루란, 이성화당, 자일리틸 글루코시드 등의 당류,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리신(lysine),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티로신,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글루타민산나트륨, 히드록시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히스티딘, 피롤리돈카르본산 등의 아미노산, 젖산 나트륨, 요산, 피롤리돈카르본산 나트륨 등의 NMF 성분(천연보습성분), 글리코겐, 덱스트란, 로커스트빈 검, 크실로글루칸, 퀴스시드, 카라기난, 펙틴, 만난, 카드란, 석시노글루칸, 갈락탄, 아라비노갈락탄, 데르마탄 황산, 케라탄 황산, 콘드로이틴, 콘드로이틴 황산, 무코이틴 황산, 케라토 황산, 키틴, 키토산, 헤파린, 헤파란 황산, 히알루론산 등의 무코 다당류나 이들 무코 다당류의 가수분해물, 대두 단백 분해 펩타이드, 밀 단백 분해 펩타이드, 가수분해 밀 단백질, 카제인 분해 펩타이드, 팔미토일 올리고 펩타이드 등의 아실화 펩타이드류, 실릴화 펩타이드류, 콘키올린 분해 펩타이드, 가수분해 콘키올린, 실크나 콜라겐 등의 단백질·펩타이드나 이들 가수분해물, 가수분해 히알루론산, 가수분해 난각막 등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이들 염류, 대두 유래, 난황 유래 등의 레시틴,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포스파티딜 세린,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딘산, 스핑고미엘린 등의 인지질, 스핑고 지질, 올리브유, 호호바유, 스쿠알란 등의 유지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실록산 등의 실리콘류, 유산균·비피더스균 등의 배양 상청, 로얄 젤리 엑기스, 효모 추출액, 난각막 단백, 소 악하선(顎下腺) 뮤신, 히포타우린, 갈락토 아라비난, 참깨 리그난 배당체, 알부민, 유청, 염화 콜린, 포스포릴 콜린, 태반 추출액, 율무 엑기스, 모란 엑기스, 해조 엑기스, 용담 엑기스, 바위취 엑기스, 차조기 엑기스, 가수분해 쌀겨 엑기스, 자두 효소 분해물, 트리메틸글리신, N-메틸-L-세린, 니코틴산 아미드, 황금 엑기스, 차 엑기스, 병풀 엑기스, 뽕나무 엑기스, 알칼리제네스 생산 다당체, 백겨자 가수분해 엑기스, 아세틸히알루론산 나트륨, 알테아(althea) 엑기스, 당귀 엑기스, 알로에 엑기스, 중국해당화 엑기스, 디옥시리보핵산 나트륨, 백렴 엑기스, 당근 엑기스, 삼백초 엑기스, 우롱차 엑기스, 밀 배아 엑기스, 크실로비오스 혼합물, 목통(Akebiae Caulis) 엑기스, 황벽나무 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갈근 엑기스, 유청, 벚나무 잎 추출액, 작약 엑기스, 오이풀 엑기스, 아세로라 엑기스, 범부채 엑기스, 에델바이스 엑기스, 아몬드 엑기스, 글루코실 헤스페리딘, 옐로우 히말라야 라즈베리 뿌리 엑기스, 서양 박하 엑기스, 지황 엑기스, 메발로노락톤, 신선초 엑기스, 은행나무 엑기스, 쇠뜨기 엑기스, 가수분해 검은콩 엑기스, 백리향 엑기스, 황련 엑기스, 아데노신일인산,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 dl-α-토코페롤, DL-사과산나트륨, γ-아미노-β-히드록시부티르산, 나한백 추출액, 아스파라거스 엑기스, 루이보스(Aspalathus Linearis) 엑기스, 아보카도 엑기스, 살구 과즙, 홍합 글리코겐, 이노시톨, 범꼬리 추출액, 쐐기풀 엑기스, 울금 엑기스, 우바우르시 유동엑기스, 찔레나무 열매 엑기스, 에키네시아 잎 엑기스, 에틸 글루코시드, 바나바 엑기스, 인삼 엑기스, 레스트해로우 뿌리 엑기스, 올리브 잎 엑기스, 감 엑기스, 애기부들 엑기스, 카무카무 엑기스, 카무카무씨 엑기스, 당근뿌리 엑기스, 나무딸기 엑기스, 키위 엑기스, 구아바 엑기스, 치자나무 엑기스, 얼룩조릿대 엑기스, 고삼 엑기스, 글리콜산, 자몽 엑기스, 클레메티스 엑기스, 클로렐라 엑기스, 케이프 알로에 엑기스, 이질풀 엑기스, 커피 엑기스, 석신산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구아니딘, 쌀겨 추출물 가수분해액, 콜라겐·트리펩타이드, 초이삼 엑기스, 석시닐 아테로 콜라겐, 산사나무 엑기스, 산편두 엑기스, 시아노코발라민, 시글라스 엑기스, 피나무 엑기스, 디메틸실라놀 히알루론산 축합액, 터리풀 엑기스, 창포뿌리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실크 추출액, 실크 분말, 인동덩굴 엑기스, 스타프루트 잎 엑기스, 딸기 과즙, 서양 아이비 엑기스, 서양 산사나무 엑기스, 선복화 엑기스, 쓴풀 엑기스, 쌍백피 엑기스, 소르비톨 발효다당액, 대두 엑기스, 대추 엑기스, 동백나무 엑기스, 데이지 추출액, 테루미날리아(terminalia) 엑기스, 첨차 엑기스, 복숭아씨 엑기스, 등피 엑기스, 옥수수 엑기스, 토마토 과즙, 들장미 엑기스, 하이비스커스 엑기스, 루피너스 엑기스, 맥아 엑기스, 레이디스맨틀 엑기스, 연꽃씨 유산균 발효액, 파슬리 엑기스, 해당화 엑기스, 하마메리스 엑기스, 장미 엑기스, 파리에타리아(parietaria) 엑기스, 판크라티움 마리티뭄(pancratium maritimum) 엑기스, 범부채 추출액, 비파나무잎 엑기스, 피토글리코겐, 부처스 브룸(butcher's broom) 엑기스, 봉선화 엑기스, 폴리아스파라긴산 나트륨액, 마요나라 엑기스, 백합 엑기스, 남수 추출액, 마로니에 추출물, 엘라스틴, 천연형 세라미드(타입 1,2,3,4,5,6), 히드록시 세라마이드, 의사 세라마이드, 스핑고 당지질, 세라마이드 및 당 세라마이드 함유 엑기스 등의 세라마이드류, 해양 심층수, 알칼리 단순 온천수, 폴리옥시에틸렌 메틸 글루코시드, dl-피롤리돈카르본산나트륨, L-옥시프롤린, 아세틸 글루코사민, 타우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수의 경우에는, 보습 효과가 뛰어나,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조합함으로써, 피부거침 개선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이하의 보습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3-메틸-1,3-부탄디올, 펜타에리스리톨,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레할로오스, 세라마이드류, 2-메타크릴로일 옥시에틸포스포릴 콜린,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 황산, 가수분해 히알루론산, 효모 추출액, 율무 엑기스, 해조 엑기스, 용담 엑기스, 트리메틸글리신, N-메틸-L-세린, 니코틴산 아미드, 로얄젤리 엑기스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보습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제는 각각 통상 본 발명의 화장수 질량당 0.00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의 범위에서 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수는 그 목적과 기능에 따라, 하기에 기재된 수렴제, 각질연화제, 피부연화(유연)제 및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수 있다.
(수렴제)
수렴제로서는 구연산, 타닌산, 아세톡시프로피온산, 이소발레르산, 아미노 발레르산, 에톡시아세트산, 에톡시프로피온산, 이소아미노발레르산, 에폭시올레인산, 엘라이딘산, 아미노부티르산, 에루카산, 옥살로아세트산, 포름산, 이코산산, 글루쿠론산, 이즈론산, 크로톤산, 클로로이소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아세트산, 디히드로리포산, 타르타르산, 에틸크로톤산, 디페닐아세트산, 디메톡시프탈산, 에틸히드록시부티르산, 석신아미드산, 스테아린산, 스테아롤산, 소르빈산, 티글린산, 티록신, 데칸산, 트로파산, 젖산, 히드록시이소부티르산, 히드록시발레르산, 피루빈산, 부틸아세트산, 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브란진산, 프로피올산, 피로피온산, 브로모이소발레르산, 브로모이소부티르산, 브로모프로피온산, 헥산산, 헥센산, 페트로세린산, 헵타데칸산, 헵탄산, 아레아닐산, 말레아미드산, 미콜산, 미리스틴산, 메타크릴산, 메틸발레르산, 메틸티오아세트산, 메틸부티르산, 메발론산, 멜리신산, 메르캅토아세트산, 요오드아세트산, 라우린산, 리시넬라이딘산(Ricinelaidic acid), 리시놀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코닛트산, 옥살로석신산, 옥소글루탈산, 아디핀산, 칼제인, 카르복시페닐아세트산, 아세톡시석신산, 카르복시코메론산, 캠포론산(camphoronic acid), 이소캠포론산, 글루타콘산, 글루타르산, 이소구연산, 크로세틴, 석신산, 프탈산, 푸마르산, 이소신코메론산(Isocinchomeronic Acid)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이소프탈산, 시트라말산, 디니코틴산, 이타콘산, 디브로모석신산, 디클로로석신산, 에틸말론산, 디메틸석신산, 옥살산, 신코메론산(Cinchomeronic Acid), 헤미메리트산, 펠라르곤산, 베르베론산(berberonic acid), 벤젠헥사카르본산, 벤젠펜타카르본산, 말레인산, 말론산, 메사콘산, 메소타르타르산, 메소옥살산, 메틸이소프탈산, 메틸석신산, 메틸말론산, 메르캅토석신산, 멜로판산(mellophanic acid), 페록시프탈산, 사과산, 루티딘산, 류코트리엔 브로모 안트라닐산, 아미노 계피산, 이소프로필 계피산, 옥사닐산, 아레카이딘(arecaidine), 카르복시 계피산, 계피산, 갈로일 몰식자산, 트라넥삼산, 니트로계피산, 히드록시계피산, 메톡시계피산, 히드록시하이드로 계피산, 페닐 계피산, 엘라그산, 오로트산, 캄판산(camphanic acid), 퀸산, 히드록시 프롤린, 에티오콜란산, 카울모오그릭 애시드(chaulmoogric acid), 카르노신, 카르바졸 아세트산, 퀴놀린카르본산, 퀴놀린산, 퀴놀린디카르본산, 쿠마린산, 클로로페녹시 아세트산, 케노데옥시콜산, 콜란산, 콜산, 산토닌산, 디히드로오르토산, 석시니날산, 티오펜카르본산, 테트라히드로폴산, 디히드로콜산, 터페닐산, 히드록시피론카르본산, 히드록시피론디카르본산, 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비페닐디카르본산, 호모겐티신산, 만델산, 무리콜산(Muricholic acid), 메틸도파(methyldopa), 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퓨란카르본산, 메틸 레드, 메페남산, 리세르그산, 리토콜산, 리포산, 레세르핀산, 레티노산, 레보피말산, 글리콜산, 살리신산, 파라페놀설폰산 아연, 알테아, 아르니카, 범꼬리, 붓꽃, 회향, 부처꽃(giant crape myrtle), 오렌지, 나무딸기, 구아바, 블랙커런트(black currant), 이질풀, 산사나무, 터리풀, 작약, 자작나무, 인동덩굴, 쇠뜨기, 서양 아이비, 타임, 차, 파슬리, 하마메리스, 포도, 수레국화, 레몬, 자운영, 오이풀, 키나, 사루비아, 보리수, 인삼, 노간주나무, 미질향(로즈메리), 고추나물, 은행나무, 레몬밤, 오노니스, 마로니에, 쓴풀, 마늘, 캐모마일, 백리향, 박하, 쐐기풀, 고추, 생강, 홉, 서양 칠엽수, 라벤다, 당근, 겨자, 케이, 소나무, 천궁, 딱총나무, 멧미나리, 미치광이풀, 모란, 소귀나무, 삼백초, 개연꽃, 날감, 금잔화(marigold petals), 양귀비, 일본용담, 빈방풍, 광귤(bitter orange), 유자, 창포, 여름 밀감, 멜리로트(melilot), 산초나무, 유칼리, 쑥, 연명초, 쌀, 고삼, 생강, 정향나무, 호두나무 잎, 황금, 세이지, 로즈메리, 하수오, 황련, 황벽나무, 황령, 약모밀, 진피, 인삼, 등심초, 질경이택사, 탄닌, 화목타르 등의 식물 추출물,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효모 추출물, 투베로즈폴리사카라이드 용액, 우롱차, 명반, 염화아연, 황산아연, 황산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알란토인클로르히드록시알루미늄, 알란토인디히드록시알루미늄, 클로르히드록시알루미늄, 산화아연, 황화아연, 술포석탄산아연, 술포석탄산나트륨, 알루미늄, 지르코늄의 유기 복합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렴제는 각각 통상 본 발명의 화장수 질량당, 0.00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의 범위에서 배합된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수의 경우에는 수렴 효과가 뛰어난 구연산, 석신산, 타르타르산, 레티노산, 사과산 등의 산성제, 레티놀, 염화아연, 알루미늄 분말, 황산 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 화합물, 명반 및 변성 알코올, 에탄올, 알테아 엑기스, 아르니카 엑기스, 범꼬리 추출액, 쐐기풀 엑기스, 아이리스 뿌리 엑기스, 회향목 엑기스, 우롱차 엑기스, 에탄올, 부처꽃 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오렌지 플라워수, 오렌지과즙, 사철쑥 엑기스, 나무딸기 엑기스, 구아바 엑기스, 블랙커런트 과실 엑기스, 게라니올(geraniol), 이질풀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터리풀 엑기스, 작약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인동덩굴 엑기스, 쇠뜨기 엑기스, 서양 아이비 엑기스, 서양 산사나무 엑기스, 타임 엑기스, 차 엑기스, 삼백초 엑기스, 파슬리 엑기스, 하마메리스 엑기스, 포도잎 엑기스, 소나무 엑기스, 멜리사 엑기스, 수레국화 엑기스, 쑥 엑기스, 레몬과즙, 자운영 엑기스, 오이풀 엑기스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렴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질연화제)
각질연화제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판올, 부탄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벤질알코올, 페닐에틸알코올, 탄산프로필렌, 헥실도데칸올,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에틸라우릴레이트, 라놀린, 지방산 디알킬롤아미드, 우레아, 유황, 레졸신, 피틴산, 젖산, 젖산염, 글리콜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수의 경우에는 각질연화효과에 뛰어난 우레아, 유황, 에탄올, 젖산, 글리콜산, 살리실산, 황산나트륨 등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연화제)
피부연화(유연)제로서는 주로 피지에 가까운 유성성분이 바람직하고, 유성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삼씨 오일, 아스트로칼륨 무르무르 버터, 유채씨유, 와일드망고커넬버터, 양구슬냉이씨오일, 아르간 오일, 아르간트리커넬오일, 살구커넬오일, 산자나무 오일, 블루위드씨오일, 에뮤오일, 오렌지라피유(Orange Roughy Oil), 카놀라유, 비자오일(Torreya nucifera seed oil), 가르시니아 인디카 종자유, 캐러웨이 종자유, 행인오일, 쿠쿠이너츠오일, 아비시니아케일씨오일, 클랜베리 종자유, 호두씨유, 블랙커런트종자유, 월귤 종자유, 쌀베아유, 섬잣나무종자유, 산다화 오일, 살트리씨버터, 산화옥수수오일, 시아버터유, 쇼레아 스테놉테라 버터(Shorea stenoptera butter), 화이트 루빈 종자유, 수첨 아보카도유, 수첨 올리브유, 수첨 우지, 수첨 대두유, 수첨 유채 종자유, 수첨 유지, 수첨 팜핵오일, 수첨 팜유, 수첨 피마자유, 수첨 호호바유, 수첨 야채유, 수첨 야자유, 비르오일(Sclerocarya birrea oil), 타조유, 시계꽃씨 오일(Passiflora incarnata seed oil), 녹차씨 오일(Camellia sinesis seed oil), 동백유, 넌출월귤 종자유, 코포아수씨드버터(Theobroma grandiflorum seed butter), 돈지, 유지, 율무오일, 바아바수유,피너츠오일, 피스타치오 종자유, 산자나무 오일, 해바라기씨유, 빌베리종자유, 포도씨유, 부분 수첨 들기름, 부분 수첨 마유, 자두씨유, 브로콜리 종자유, 수세미 종자유, 페퍼호박 종자유, 아스타크산틴 오일, 진뜰딸기씨 오일, 해송자오일(Pinus koraiensis seed oil), 망고씨버터, 망고씨유, 밍크 오일, 인도멀구슬나무씨 오일(Melia azadirachta seed oil), 복숭아씨유, 야채유, 유차유(Camellia oleifera seed oil), 유럽나무딸기종자유, 사과씨유, 보라지오일, 로즈힙 오일, 드럼스틱나무씨오일, 마카데미아너츠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카카오 오일, 동백유, 야자유, 팜유, 목랍, 호호바 오일, 포도씨유, 아보카도 오일, 잇꽃 오일, 참기름, 차유, 달맞이꽃 오일, 밀배아유, 헤이즐넛 오일, 메도폼씨드 오일, 퍼식오일(Persic oil), 박하유, 티트리 오일, 옥수수 오일, 유채오일, 해바라기 오일, 아마씨유, 면실유, 대두유, 땅콩유, 쌀겨유, 카카오 버터, 시아버터, 회향유, 들기름, 캐모마일유, 당근뿌리 오일, 오이 기름, 난황유, 우지, 말기름, 어유, 거북이 기름, 오렌지 라피유 등의 식물유지류 또는 동물유지류, 옻나무 과피 왁스, 스페니쉬자스민꽃 왁스, 오렌지껍질 왁스, 오렌지꽃 왁스, 가수분해 호호바 에스테르, 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시인수선화꽃 왁스, 쌀겨 왁스, 베이베리열매 왁스, 스위트아카시아꽃 왁스, 포리안테스투베로자 왁스, 벌꿀 왁스, 고래왁스, 오렌지라피유, 라놀린, 쌀겨 왁스, 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등의 왁스류, 이소에이코산,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디에틸헥실 시클로헥산, 펜타히드로 스쿠알렌, 미네랄 오일, 유동 파라핀, 폴리이소부텐, 수첨 이소부텐, 폴리부텐, 스쿠알란, 스쿠알렌,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세레신 왁스, 파라핀 왁스, 바셀린, 오조케라이트(ozocerite), α-올레핀 올리고머, 테트라데센 등의 탄화수소류, 이성화 리놀레산, 우지 지방산, 지방산(C14-28), 지방산(C20-40), 수첨 야자 지방산, 팜 핵 지방산, 10-히드록시데칸산, 분지지방산(C14-28), 분지지방산(C12-31), 베헨산, 카프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헤닌산, 라놀린 지방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라우린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운데실렌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팔미트올레인산, 엘루카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이소헥사데칸산, 안테이소헨이코산산, 이소노난산, 2-에틸헥산산 등의 천연 및 합성 지방산류 그리고 그들의 염류, (C12-16)알코올, (C14-22)알코올, (C20-22)알코올, (C20-40)알코올, (C30-50)알코올, 평지씨 스테롤, 이소세틸알코올, 이소프로판올, 카프리릴 글리콜, 쌀겨 스테롤, 수첨 카놀라유 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 알코올,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라우릴 알코올, 카프릴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아랄킬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호호바 알코올, 키밀 알코올, 세라킬 알코올, 베틸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놀린 알코올, 수첨 라놀린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등의 천연 및 합성 고급 알코올류, (C12-15)파레스-9 카르본산 이소프로필, 피롤리돈카르본산 옥틸도데실, 피롤리돈카르본산 멘틸, 피롤리돈카르본산 라우릴, PEG-2 이소데세스-7 카르본산 세틸, 아디핀산 디PPG-3 미리스틸, 아디핀산 디PPG-2 미레스-10, 아디핀산 디이소프로필, 아디핀산 디헵틸운데실, 아보카도 지방산 에틸, 아보카도오일 지방산 부틸, 안식향산 메틸 글루세스-20, 이소스테아린산 에틸, (이소스테아린산/석신산)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린산 수첨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린산 베틸, 이소스테아린산 헥실데실, (이소스테아린산/밀랍/석신산) 피마자유, 이소노난산 이소데실,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이소노난산 옥틸, 이소노난산 세테아릴, 이소부티르산 아세트산 수크로오스, 에이코센산 카프리릴, 에틸헥산산 부틸에틸 프로판디올, 엘루카산 옥틸도데실, 엘루카산 올레일, 옥탄산알킬(C14,16,18), (옥탄산/스테아린산/아디핀산)글리세릴, 옥탄산 세틸, 옥탄산 세테아릴, 옥탄산 헥실데실, 올리브 지방산 에틸, 올레인산 올레일, (카프릴/카프린산)글리셀리즈, (카프릴/카프린/야자지방산)글리세릴, (카프릴산/카프린산/석신산)트리글리세릴, 카프린산 세틸, 구연산 트리이소스테아릴, 구연산 트리이소옥틸도데실, (구연산/젖산/리놀레산/올레인산)글리세릴, 석신산 이소스테아릴 디글리세릴, 석신산 디에톡시에틸, 석신산 디옥틸, 쌀겨유 지방산 피토스테릴, 아세트산 세틸, 아세트산 파르네실, 아세트산 라놀린 알코올, 아세트산 리날릴, 디이소스테아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디이소스테아린산 다이머 디리놀레일, 디이소스테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헥사넨산 네오펜틸글리콜, 디올레인산 PEG-18 피마자유, 디(카프릴·카프린산)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 이소솔바이드, 디(카프릴산·카프린산)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릴 구연산 디코코일 펜타에리스리틸,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린산 PG-20 메틸글루코오스, 디스테아린산 펜타에리스리틸, 디네오펜탄산 디에틸펜탄디올, 디네오펜탄산 메틸펜탄디올, 디노난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C10-30)(콜레스테릴/라노스테릴), 지방산(C12-18)세틸, 디라우린산 글리콜, 디리놀레산 디이소프로필, 수첨 로진산 펜타에리스리틸, 수첨 로진산 메틸, (수첨로진/디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스테아린산에틸헥실, 스테아로일 옥시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스테아로일 옥시스테아린산 옥틸도데실, 세바신산 디부틸옥틸, 다이머 디리놀레산 옥틸도데실/PPG-3 미리스틸에테르, 다이머 디리놀레산 디(이소스테아릴/피토피토릴), 다이머 디리놀레산 디세테알릴/PPG-3 미리스틸에테르, 다이머 디리놀레산 다이머 디리놀레일, 다이머 디리놀레산 다이머 디리놀레일 비스(베헤닐/이소스테아릴/피토피토스테릴), 다이머 디리놀레산(피토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다이머 디리놀레일 수첨로진 축합물, 탄산 디알킬(C14, 15), 탄산 디에틸헥실, 탄산 디카프리릴,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옥탄산 펜타에리스리틸, 도데카(카프릴산/카프린산)폴리글리세릴-10, 도데칸2산디이소세틸, 도데칸2산 디옥틸도데실, 트리이소스테아린, 트리에틸헥산산 에리스리틸, 트리에틸헥산산 디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옥타노인, 트리옥탄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카프릴린,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스테아린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미리스틴산/스테아린산)글리세릴, 트리지방산(C8-C12)글리세리드, 트리스테아린, 트리팔미틴, 트리팔미톨레인, 트리히드록시스테아린, 트리베헤닌, 트리폴리히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트리미리스틴, 젖산알킬(C12-15), 젖산에틸, 젖산옥틸도데실, 젖산부틸, 젖산멘틸, 네오펜탄산 이소데실, 네오펜탄산 미리스틸, 노난산 옥틸, 노난산 콜레스테릴, 팔미틴산 에틸헥실, 팔미틴산 세틸, 비스디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1, 비스디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히드록시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히드록시스테아린산 에틸헥실, 히드록시스테아린산 옥틸, 히드록시스테아린산 수첨피마자유, (히드록시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로진산)디펜타에리스리틸, 히드록시스테아린산 피토스테릴, 피마자 지방산 PPG-5.5, 피마자 지방산 메틸, 프로피온산 미리스틸, 분지지방산(C12-31) 콜레스테릴, 헥사히드록시 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로진산)디펜타에리스리틸, 헵탄산 스테아릴, (베헨산/에이코산2산)글리세릴, 호호바 에스테르, 호호바 지방산 이소프로필, 마카다미아너츠 지방산 에틸, 마카다미아너츠 지방산 콜레스테롤, 마카다미아너츠 지방산 피토스테릴, 말레인산 디옥틸, 말론산 디에틸헥실 시린질리덴, 미리스토일 메틸아미노 프로피온산 헥실데실, 메틸크로톤산 시트로네릴, 메도우폼 에스톨리드, 메도우폼유 지방산 옥틸도데실, (야자유지방산/구연산/젖산)글리세릴, 야자유지방산 데실, 부티르산 콜레스테릴, 부티르산 디히드로콜레스테릴, 라롤린 지방산 옥틸도데실, 라놀린 지방산 콜레스테릴, 리시놀레인산 옥틸도데실, 사과산 디에틸헥실, 인산 트리올레일, 인산 트리세틸,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2-에틸헥산산 세틸, 디 2-에틸헥산산 네오펜틸글리콜,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부틸,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 에틸, 팔미틴산 옥틸,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스테아린산 부틸, 리놀레산 에틸, 리놀레산 이소프로필, 올레인산 에틸, 미리스틴산 이소세틸, 미리스틴산 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세바신산 디에틸, 디핀산 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 이소아랄킬, 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 2-에틸헥산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테트라 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카프릴산 세틸, 라우린산 데실, 라우린산 헥실, 미리스틴산 데실,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미리스틸산 세틸,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스테아릴, 올레인산 데실, 리시놀레인산 세틸, 라우린산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 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 이소세틸, 스테아린산 옥틸,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올레인산 이소데실, 올레인산 옥틸도데실, 리놀레산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 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린산 헥실, 디옥탄산 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 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린, 디카프릴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 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 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네오펜탄산 옥틸도데실, 옥탄산 이소스테아릴, 네오데칸산 헥실데실, 네오데칸산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린산 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 올레인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이소스테아린산 에스테르, 탄산 디프로필, 탄산 디알킬(C12-18), 구연산 트리이소세틸, 구연산 트리이소아랄킬, 구연산 트리이소옥틸, 젖산 라우릴, 젖산 미리스틸, 젖산 세틸, 젖산 옥틸데실, 젖산 라놀린, 구연산 트리에틸, 구연산 아세틸트리에틸, 구연산 아세틸트리부틸, 구연산 트리옥틸,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린산 2-에틸헥실, 석신산 디 2-에틸헥실, 아디핀산 디이소부틸,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 디옥틸,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올레인산 콜레스테릴, 올레인산 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린산 피토스테릴, 올레인산 피토스테릴, 12-스테아로일 히드록시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12-스테아로일 히드록시 스테아린산 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 히드록시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릴,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등의 에스테르류,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흡착 정제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 아세트산 액상 라놀린, 히드록시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경질 라놀린 지방산, 아세트산(세틸·라놀린)에스테르 등의 라놀린류, 레시틴,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 세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 인지질, 포스파티딘산, 리졸레시틴 등의 인지질류,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부분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수소첨가 난황 인지질, 부분수소첨가 난황 인지질 등의 인지질 유도체류, 디히드로 콜레스테롤, 라노스테롤, 디히드로 라노스테롤, 콜산 등의 스테롤류,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메틸 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옥타 메틸 시클로테트라실록산, 스테아록시 실리콘, 데카메틸 시클로펜타실록산, 테트라메틸 테트라 하이드로젠 시클로테트라실록산, 도데카메틸 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유제, 사포게닌류, 사포닌류,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 데칼린, 퍼플루오로 옥탄 등의 불소계 유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수의 경우에는 피부연화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세탄올, 라우릴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라놀린 알코올, 수첨 라놀린 알코올, 헥실데칸올 및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2-에틸 헥산산 세틸, α-올레핀 올리고머,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이소노난산 세테아릴, 올레산 에틸, 올레인산 올레일, 팔미틴산 에틸 헥실, 카프리릴 글리콜,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피부연화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로는 모노라우린산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소르비탄, 디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소르비탄,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팔미틴산 소르비탄, 세스키올레인산 소르비탄, 세스키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린산 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린산 디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리드, 디스테아린산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자기유화형 스테아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리시놀레인산 글리세릴, 리시놀레인산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디올레인산 프로필렌 글리콜, 라우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리놀레산 글리세릴, 디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릴, 세스키올레인산 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린,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아세토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탄산 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릴, 피로글루타민산 올레인산 글리세릴, 데카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린산 사과산 글리세릴, 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알킬(12-14) 에테르(7E.O.), 폴리옥시에틸렌 알킬(12-14) 에테르(12E.O.)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20E.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토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베헤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12,13) 에테르(10E.O.), 폴리옥시에틸렌 옥틸도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스테아릴 디에테르, 세스키 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메틸 글루코시드, 카르복실화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옥탄산 폴리에틸렌 글리콜(4) 폴리옥시 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14E.O.) 혼합물,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알코올, 폴리옥시 에틸렌(5) 라놀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10) 라놀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15) 라놀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20) 라놀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25) 라놀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40) 라놀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알킬롤·라놀린 알코올)에테르(16E.O.), 아세트산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환원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라놀린(40E.O.),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환원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액상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린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 디노닐페닐 에테르, 모노라우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라우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팔미틴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팔미틴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팔미틴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올레인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올레인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 모노올레인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36),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20E.O.),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지방산 소르비탄(20E.O.), 모노팔미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20O.E.), 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40E.O.),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6E.O.),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20E.O.),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20E.O.),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6E.O.),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20E.O.), 트리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6E.O.), 헥사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3E.O.),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밀랍,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15) 부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5) 폴리옥시프로필렌(28) 부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6) 폴리옥시프로필렌(36) 부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7) 폴리옥시프로필렌(38) 부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 테트라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올리고 석시네이트(3E.O)(20P.O),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헥실렌 글리콜 에테르(300E.O)(75P.O), 트리(폴리옥시에틸렌 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 프로판(3E.O.),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인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10)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30), 폴리옥시에틸렌(16)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30), 폴리옥시에틸렌(25)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30), 폴리옥시에틸렌(160)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30), 폴리옥시에틸렌(30)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35), 폴리옥시에틸렌(200)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40), 폴리옥시에틸렌(200)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70),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15) 부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6)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30), 폴리옥시에틸렌(1) 폴리옥시프로필렌(4)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 폴리옥시프로필렌(8)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4)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8)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9) 디글리세릴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스테아릴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옥시에틸렌(6E.O.) 카프릴/카프린산 글리세린, 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르, 야자유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디에탄올아민 라우린산 에스테르(4E.O.), 라우로일 글루타민산 디옥틸도데실, 라우로일 글루타민산 디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디에스테르, 라우로일 글루타민산 폴리옥시에틸렌 옥틸 도데실 에테르 디에스테르, 피로글루타민산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피로글루타민산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카프린산 디에탄올 아미드, 운데실렌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1:2형),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라우린산 에탄올 아미드, 라우린산 디에탄올 아미드, 라우린산 이소프로판올 아미드,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디에탄올 아미드,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트리에탄올 아민, 미리스틴산 디에탄올 아미드, 팔미틴산 에탄올 아미드, 스테아린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스테아린산 디에탄올 아미드, 스테아린산 디에틸아미노 에틸 아미드, 이소스테아린산 디에탄올 아미드, 올레인산 디에탄올 아미드, 리놀레산 디에탄올 아미드, 우지 지방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우지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경화 우지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라놀린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5E.O.), 폴리옥시에틸렌(2) 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5) 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10) 야자유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우지 알킬디에탄올 아민(2E.O.),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야자유지 알킬 디메틸아민 옥사이드액, 스테아릴 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올레일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 디히드록시 에틸라우릴아민 옥사이드 용액, 로진산 펜타에리스리톨, 올레인산 헥사글리세릴, 세스키스테아린산 메틸 글루코시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올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글리콜 디에테르, 라우로일 디에탄올 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 아미드, 말티톨 히드록시 지방산 에테르, 알킬화 다당, 알킬 글루코시드, 모노미리스틴산 트레할로오스,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트레할로오스, 모노운데실렌산 트레할로오스 등의 트레할로오스 모노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디올레인산 메틸 글루코시드(120E.O.),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등의 슈가에스테르, 친유형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자기유화형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린 알킬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화 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화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화 밀랍,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PO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POE 알킬 에테르, POE 지방산 에스테르, POE 경화 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공중합체, POE·POP 알킬 에테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라우린산 알칸올 아미드, 알킬아민 옥사이드,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카프리릴 글루코시드, 구연산 지방산 글리세릴, 구연산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옥수수유 PEG-8 에스테르즈, 코카미도 DEA, 코카미도 MEA, 코카미도 MIPA, 아세트산 스테아린산 수크로오스, 수첨 팜핵유 지방산 글리세리즈, 수첨 팜유 지방산 PEG-200 글리세릴, 수첨 팜유 지방산 글리세리즈, 세스키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세스키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2, 세스키카프릴산 폴리글리세릴-2, 세스키스테아린산 PEG-20 메틸글루코오스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스테아린산 나트륨,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이소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스테아린산 트리에탄올 아민, 팔미틴산 칼륨, 세틸 황산나트륨, 라우릴 인산나트륨, 라우릴 인산 2나트륨, 팔미틴산 트리에탄올 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인산나트륨, N-아실 글루타민산 나트륨, 팔미틴산 나트륨, 라우린산 나트륨, 라우린산 칼륨, 라우린산 아연, 라우린 트리에탄올 아민, 라우릴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칼륨, 라우릴 황산 암모늄, 라우릴 황산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 황산 디에탄올아민,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나트륨, 알킬 황산 트리에탄올 아민 에테르, 로드유(turkey red oil), 리니어 도데실 벤젠 황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말레인산, 아실 메틸 타우린, 지방산 비누, α-아실설폰산염, 알킬 설폰산염, 알킬알릴 설폰산염, 알킬나프탈렌 설폰산염, 알킬 황산염, POE 알킬에테르 황산염, 알킬아미드 황산염, 알킬 인산염, POE 알킬 인산염, 알킬아미드 인산염, 알킬로일 알킬 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 카르본산염, 알킬설포석신산염, 알킬설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이세티온산염,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염, 퍼플루오로 알킬 인산에스테르, 비누용 소지, 칼리 비누, 운데실렌산 아연, 칼륨함유 비누용 소지, 야자유 지방산 칼륨, 황산화 피마자유, 미리스틴산 나트륨, 미리스틴산 칼륨, 미리스틴산 아연, 미리스틴산 마그네슘, 올레인산 나트륨, 올레인산 칼륨, N-아실-L-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 아민, N-아실-L-글루타민산 나트륨, N-야자유지방산 아실-L-글루타민산 나트륨, N-야자유 지방산·경화우지 지방산 아실-L-글루타민산 나트륨, N-야자유 지방산 아실-L-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 아민, 스테아로일-L-글루타민산 2나트륨, N-경화우지 지방산 아실-L-글루타민산 나트륨,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나트륨, N-스테아로일-L-글루타민산, N-라우로일-L-라이신, 라우로일-L-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아민, L-아르기닌에틸·DL-피롤리돈카르본산염, N-야자유지방산 아실-L-아르기닌 에틸·DL-피롤리돈카르본산염, 야자유지방산 살코신, 야자유지방산 살코신 나트륨, 야자유지방산 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 살코신, 라우로일 살코신 나트륨, 라우로일 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카르복실화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에테르 나트륨염(3E.O.), β-라우릴아미노 프로피온산 나트륨, 라우릴아미노 프로피온산액, 야자유지방산 메틸 타우린 칼륨, 야자유지방산 메틸 타우린 나트륨, 라우로일 메틸 타우린 나트륨, 라우릴 설포아세트산 나트륨, 야자유지방산 메틸알라닌 나트륨액, 야자유 지방산 트리에탄올 아민액, 라우로일 메틸-β-알라닌 나트륨액, 라우릴-N- 카르복시 메톡시 에틸-N-카르복시 메틸 이미다졸리늄 디나트륨 도데카노일 살코신, 야자유 알킬-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나트륨, 야자유 알킬 -N-카르복시 에톡시 에틸-N-카르복시 에틸 이미다졸리늄 디나트륨 히드록시드, 야자유 알킬-N-카르복시 메톡시 에틸-N-카르복시 메틸 이미다졸리늄 디나트륨 히드록시드, 야자유 알킬-N-카르복시 메톡시 에틸-N-카르복시 메틸 이미다졸리늄 디나트륨 라우릴 황산, 미리스토일 메틸-β-알라닌 나트륨액, 스테아로일 메틸 타우린 나트륨, 테트라 데센 설폰산 나트륨, 도데실 벤젠 설폰산 나트륨, 도데실 벤젠 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알칸 설폰산 나트륨, 알킬 황산 암모늄, 옥틸페녹시 디에톡시 에틸 설폰산 나트륨, 야자유 알킬 황산마그네슘·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틸 황산 나트륨, 세토스테아릴 황산 나트륨, 올레일 황산 나트륨, 올레일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황산 암모늄(2E.O.),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암모늄(3E.O.)액,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 디에탄올아민(3E.O.)액,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3E.O.)액,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나트륨(3E.O.)액,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5)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인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12-14) 에테르 인산(2E.O),(8E.O.),(10E.O),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콜레스테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인산 디에탄올 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인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세틸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 프로필렌 글리세릴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 프로필렌 부틸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설포석신산 라우릴 2나트륨, 야자유지방산 에틸 에스테르 설폰산 나트륨, 설포석신산 디옥틸 나트륨, 옥틸페녹시 디에톡시에틸 설폰산 나트륨, 설포석신산 라우릴 2나트륨, 올레인산 아미드 설포석신산 2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C12-15)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C12 -14) 설포석신산 2나트륨(7E.O.), 설포석신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로일 에탄올아미드 2나트륨(5E.O.), 이소스테아로일 젖산 나트륨, 운데실레노일 가수분해 콜라겐 나트륨, 운데실레노일 가수분해 콜라겐 칼륨, 운데실 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나트륨, 라우린산 가수분해 콜라겐 나트륨, 야자유지방산 가수분해 콜라겐 나트륨, 야자유지방산 가수분해 콜라겐 칼륨, 야자유지방산 가수분해 콜라겐 칼륨액, 야자유지방산 가수분해 콜라겐 트리에탄올아민, 이소스테아로일 가수분해 콜라겐, 이소스테아로일 가수분해 실크, 이소스테아로일 가수분해 콜라겐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염, 에틸렌디아민-N,N,N',N'-테트라키스(2-히드록시프로필)디올레인산염, 도데카노일 살코신, 라우릴아미노 디프로피온산 나트륨액(30%), 올레오일 살코신, 미리스토일-β-알라닌 나트륨액, 운데실 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나트륨, 알킬(C12,13,16) 황산암모늄, 알킬(C11,13,15) 황산 트리에탄올아민(1), 알킬(C11,13,15) 황산 트리에탄올아민(2), 알킬(C12-15)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알킬(C12-14)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3)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3E.O.)액, (C11-15)파레스-3 황산나트륨, (C12,13)파레스-3 황산나트륨, (C12-15)파레스-3 황산나트륨, (C12,13)파레스-3 황산 TEA, (C12,13)파레스-3 황산(TEA/Na), PEG-3 야자지방산 아미드 MEA 황산Na, PEG-5 야자지방산 아미드 MEA 인산, PEG-5 라우릴 구연산 설포석신산 2Na, PEG-5 세테스-10 인산, PEG-25 부틸 인산, 알킬(C14-18) 설폰산 나트륨, 알킬(C20-22) 인산, 이소라우레스-4 인산, 운데실레노일 글리신, 올리브 지방산 칼륨, 올레일 살코신, 올레일 메틸 타우린 나트륨, 올레스-3 인산, 올레스-4 인산, 올레스-5 인산, 올레스-10 인산, 올레스-20 인산, 올레스-7 인산나트륨, 올레스-8 인산나트륨, 올레핀(C14-16) 설폰산 나트륨, 카프릴로일 글리신, 코코일아미노산 나트륨, 코코일알라닌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이세티온산 나트륨, 코코일이세티온산 암모늄, 코코일 글리신 칼륨, 코코일 글리신 나트륨, 코코일 글루타민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글루타민산, 코코일 글루타민산 2나트륨, 코코일 글루타민산 칼륨 등의 코코일 글루타민산염류, 코코일 살코신, 코코일살코신 나트륨, 코코일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타우린 나트륨, 코코일 메틸 알라닌, 코코일 메틸 알라닌 나트륨, 코코일 메틸 타우린, 코코일 메틸 타우린 칼륨, 코코일 메틸 타우린 마그네슘, 코코일 메틸 타우린 나트륨, 코코일 사과 아미노산 나트륨, 코세스 황산나트륨, 디(C11-15)파레스-2 인산, 디(C12-15)파레스-4 인산, 디(C12-15)파레스-8 인산, 디(C12-15)파레스-10 인산, 디올레일 인산, 디올레스-8 인산나트륨, 디올레스-8 인산나트륨, 디코코일 에틸렌 디아민 PEG-15 황산나트륨, 디라우레스-10 인산나트륨, 스테아레스-2 인산, 스테아레스-3 인산, 스테아로일 젖산 칼슘, 스테아로일 젖산 나트륨, 설포석신산 운데실레나미드 MEA-2Na, 설포석신산 라우라미드 MEA-2Na, 설포석신산 라우레스 2나트륨, 세틸 인산 DEA, 세틸 인산 칼륨, 세테아릴 황산나트륨, 세테스-10 인산, 세테스-20 인산, 트리세테아레스-4 인산, 트리세데스-4 카르본산, 트리세데스-8 카르본산, 트리세데스-4 카르본산 나트륨, 트리세데스-7 카르본산 나트륨, 트리세데스-3 아세트산 나트륨, 트리세데스-7 인산 칼륨, 트리라우레스-4 인산, 젖산 올레일, 팜 지방산 글루타민산 나트륨, 팔미토일 글루타민산 마그네슘, 팔미토일 살코신 나트륨, 팔미토일 프롤린, 팔미토일 프롤린 나트륨, 팔미토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 칼륨,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 나트륨, 미리스토일 살코신 나트륨, 미리스토일메틸 타우린 나트륨, 야자지방산 칼륨, 야자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야자지방산 알기닌, 라우라미노 디아세트산 나트륨, 라우릴 글리콜 아세트산 나트륨, 라우레스-5 카르본산, 라우레스-6 카르본산, 라우레스-11 카르본산, 라우레스-5 카르본산 나트륨, 라우레스-6 카르본산 나트륨, 라우레스-11 카르본산 나트륨, 라우레스-5 아세트산, 라우레스-6 아세트산, 라우레스-4,5 아세트산 칼륨, 라우레스-3 아세트산 나트륨, 라우레스-4 아세트산 나트륨, 라우레스-5 아세트산 나트륨, 라우레스-6 아세트산 나트륨, 라우레스-11 아세트산 나트륨, 라우레스 황산 MIPA, 라우레스 황산 나트륨, 라우레스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레스-2 황산 암모늄, 라우레스-3 황산 암모늄, 라우레스-1 인산, 라우레스-2 인산, 라우레스 4-인산, 라우로일 아스파라긴산 나트륨, 라우로일 귀리아미노산 나트륨, 라우로일 젖산 나트륨, 라우로일 메틸 알라닌칼륨, 라우로일 메틸 알라닌 트리에탄올아민, 인산 디세틸, 인산 세틸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염화 라우릴 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디코코일 디메틸 암모늄, 염화 미리스틸 디메틸 벤질 암모늄, 염화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염화 라우릴 피리디늄, 염화 세틸 피리디늄, 염화 벤제토늄,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잘코늄액, 라우릴 아민옥사이드, 염화 알킬 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스테아릴 디메틸 벤질 암모늄, 염화 디메틸 스테아릴 암모늄 처리 헥토라이트, 염화 벤질 디메틸 스테아릴 암모늄 처리 헥토라이트, 염화 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염화 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처리 벤토나이트, 염화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염화 트리(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암모늄(5E.O.), 염화 디(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메틸 암모늄(2E.O.) 염화 스테아로일 콜라미노 포르밀 메틸 피리디늄, 염화 폴리옥시 프로필렌 메틸 디에틸암모늄, 염산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액, 브롬화 알킬 이소퀴놀리늄액, 브롬화 라우릴 트리메틸 암모늄, 브롬화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브롬화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세틸트리메틸 암모늄 사카린,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사카린, 폴리에틸렌 글리콜·에피클로로히드린·야자유알킬아민·디프로필렌트리아민 축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에피클로로히드린·우지알킬아민디프로필렌트리아민 축합물, 에틸 황산라놀린 지방산 아미노프로필에틸 디메틸 암모늄(1),(2), 브롬화 베헤닐 트리메틸 암모늄, 염화 베헤닌산 아미드 프로필디메틸 히드록시 프로필 암모늄, 스테아린산 디에틸아미노에틸 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4급 암모늄염, PEG-5 올레아민, PEG-2 올레암모늄클로라이드, PET-2 코카민, PEG-3 코카민, PEG-5 코카민, PEG-10 코카민, PEG-15 코카민, PEG-2 디메도우폼 아미드 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알킬(C12,14)옥시히드록시프로필 알기닌 염산염, 알킬(16,18) 트리모늄클로라이드, 이소알킬(C10-40)아미드 프로필에틸디모늄 에토설페이트, 이소스테아릴에틸 이미다졸리늄 에토설페이트, 카이살피니아 스피노사(caesalpinia spinosa) 히드록시 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쿼터늄-33, 쿼터늄-91, 코카미드 프로필 PG 디모늄 클로리돈산, 코카미드 프로필 베타인 아미드 MEA 클로라이드, 코코일 알기닌 에틸 PCA, 코코트리모늄 메토설페이트, 호로파(fenugreek) 히드록시 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아세트산(미리스타미드/팔미타미드)부틸 구아니딘, 디알킬(C12-18)디모늄 클로라이드, 디코코일에틸 히드록시 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디코코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 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로일에틸 히드록시에틸 암모늄 메토설페이트, 디세틸디모늄 클로라이드, 다팔미토일에틸 히드록시 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디히드록시 플로필 PEG-5 리놀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메틸 PABA 아미드 프로필 라우릴 디모늄 토실산, 디메틸 스테아라민, 스테아라미드 에틸 디에틸아민, 스테아라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민, 스테아랄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모늄 사카린, 스테아릴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모늄 브로마이드, 스테알록시 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세탈코늄 클로라이드,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세트리모늄 브로마이드, 세트리모늄 메토설페이트, 소이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팔미타미드 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판테닐 히드록시 프로필 스테아릴 디모늄 클로라이드, 히드록시 에틸세틸 디모늄 인산, 히드록시 프로필 트리모늄 허니, 히드록시 프로필 비스히드록시 에틸 디모늄 클로라이드, 베헤나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민, 베헤나미드 프로필 디메틸아민,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베헨트리모늄 메토설페이트, 폴록사민 701, 폴록사민 702, 폴록사민 704, 말론산 비스히드록시 에틸세틸 아미드, 야자유 알킬 PG 디모늄 클로라이드 인산나트륨, 라우릴 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리놀레아미드 프로필 PG 디모늄 클로라이드 인산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라우릴 디메틸 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운데실-N-히드록시에틸-N-카르복시메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야자유 알킬 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 베타인, 스테아릴 디히드록시에틸 베타인, 스테아릴 디메틸 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비스(스테아릴-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린)클로르아세트산 착체, 야자유 지방산 가수분해 콜라겐, 올레오일 가수분해 콜라겐, 가수분해 콜라겐 헥사데실,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 베타인액, 미리스토일 가수분해 콜라겐액, 염산 알킬아미노에틸 글리신액, 레시틴 등의 카르복시 베타인형, 아미드 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히드록시 설포베타인형, 아미드설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 카르본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PEG-3 라우라민옥사이드, 올레아민옥사이드, 올레일 베타인, (카프릴/카프라미드)프로필 베타인, 코코아민 옥사이드, 코코암포아세트산 나트륨, 코코암포디아세트산 나트륨, 코코암포디아세트산 2나트륨, 코코암포프로피온산 나트륨, 디히드록시에틸 라우라민 옥사이드, 스테아라민 옥사이드, 스테아릴 베타인, 팜 핵 지방산 아미드에틸 히드록시에틸 아미노프로피온산 나트륨, 팜 핵 지방산 아미드프로필 베타인, 히드록시 알킬(C12,14) 히드록시에틸 알라닌, 헵타데실 히드록시에틸 카르복실레이트 메틸 이미다졸리늄 클로라이드/헵타데실 비스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미리스타미드 프로필 베타인, 미리스타민 옥사이드, 미리스틸 베타인, 라우라미드 프로필아민 옥사이드, 라우라미드 프로필 히드록시 술타인, 라우라미드 프로필 베타인, 라우라미노 프로피온산 나트륨, 라우라민 옥사이드, 라우리미노 디프로피온산 나트륨, 라우릴 히드록시 술타인, 라우릴 베타인, 라우로암포아세트산 나트륨, 라우로일라이신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에스신, 서팩틴 나트륨, 사포닌, 수산화레시틴, 수첨 리졸레시틴, 수첨 레시틴, 세파린, 포스파티딜 세린, 리졸레시틴, 인지질, 레시틴, 수용성 콜라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 중,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온성 계면활성제는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을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화장수의 경우에는 화장품의 시간 경과에 따른 탁함, 침전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고, 화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하기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L-아르기닌에틸·DL- 피롤리돈카르본산염, 피로글루타민산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 에틸 디메티콘, 야자유 지방산 소르비탄,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데실 테트라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메틸 글루코시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수첨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 나트륨, 스테아로일 젖산 나트륨, 세스키 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세스키 올레인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알킬(C12-15)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콜레스테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세토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 베헤닐 에테르,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20E.O),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라우로일 글루타민산 디옥틸도데실, 가수분해 콜라겐액,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릴, 수소첨가 대두 리소인지질,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및 수용성 콜라겐으로부터 선택되는 계면활성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수에는 그 품질과 안정성 향상을 위해, 하기에 기재된 향료, 색소, 방부제, 살균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봉쇄제 및 완충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할 수 있으며, 그들은 각각 통상 본 발명의 화장수 질량당 0.00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의 범위에서 배합된다.
(향료)
향료로서는 벤즈알데히드, 신나믹 알데히드, 시클라멘 알데히드, 시트랄, 시트로네랄, 2-메틸-3-(4-메틸페닐)-프로파날, 운데세날, 메틸노닐아세트알데히드, 3,7-디메틸-1-옥타날, 히드록시 시트로네랄, 메톡시 시트로네랄, 페릴라알데히드, 미르테날(Myrtenal),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알데히드, n-헥살, 2-메틸부타날, 이소발레르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n-헵타날, n-옥타날, n-노나날, 2-메틸옥타날, 3,5,5-트리메틸헥사날, 1-데카날, 운데카날, 도데카날, 2-메틸데카날, 2-메틸운데카날, 트리데카날, 테트라데카날, 2-펜테날, cis-3-헥세날, trans-2-헥세날, trans-2-헵테날, 4-헵테날, trans-2-옥테날, trans-2-노네날, cis-6-노네날, 2,6-디메틸-5-헵테날, trans-4-데세날, cis-4-데세날, trans-2-데세날, 2,5,6-트리메틸-4-헵테날, 10-운데세날, trans-2-운데세날, trans-2-도데세날, 3-도데세날, trans-2-트리데세날, 2,6,10-트리메틸-9-운데센-1-알, 2,4-헥사디에날, 2,4-헵타디에날, 2,4-옥타디에날, 2,4-노나디에날, 2,6-노나디에날, 2,4-데카디에날, 2,4-운데카디에날, 2,4-도데카디에날, 5,9-디메틸-4,8-데카디에날, 3,7,9-트리메틸-2,6-데카디엔-1-알, 2,6,10-트리메틸-5,9-운데카디에날, α-메틸렌시트로네랄, 캠폴렌 알데히드(Campholenaldehyde), 시클로시트랄, 이소시클로시트랄, 2,6,6-트리메틸-1,3-시클로헥사디엔-1-카르복시알데히드, 6,10-디메틸-3-옥사-9-운데세날, 게라닐옥시 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테트라히드로 벤즈알데히드, 3-프로필 비시클로[2,2,1]-5-헵텐-2-카르복시알데히드, 메톡시 디시클로 펜타디엔 카르복시 알데히드, 4-트리시클로데실리덴 부타날, 4-(4-메틸-3-시클로헥세닐리덴-1)펜타날, 4(3)-(4-메틸-3-펜텐-1-일)-3-시클로헥센-1-카르복시알데히드, 세토날, 이노날, 테레스트랄, p-트릴알데히드, 페닐아세트알데히드, 3-페닐부타날, 큐민알데히드, p-메틸페닐아세트알데히드, p-이소프로필페닐 아세트알데히드, 히드라트로파알데히드(Hydratropaldehyde), p-메틸히드라트로파알데히드, p-이소프로필 히드라트로파 알데히드, 페닐프로피온 알데히드, β-메틸히드로 신나믹 알데히드, 자스모란 지(Jasmorange), 브루지오날(bourgeonal), 플로랄로존(Floralozone), 스자랄, 살리실 알데히드, 아니스 알데히드, o-메톡시 벤즈알데히드, o-메톡시 신나믹 알데히드, 칸톡살(Canthoxal), 바닐린, 에틸 바닐린, 메틸 바닐린(3,4-디메톡시 벤즈알데히드), 헤리오날, 페녹시아세트알데히드, p-메틸 페녹시 아세트알데히드, 퍼퓨랄, 5-메틸 퍼퓨랄, 5-히드록시메틸-2-퍼퓨랄, 푸릴 아크롤레인, 라이랄(Lyral), 베른 알데히드, 호모마이락 알데히드, 쥬니팔(Junipal), 벨트랄, 릴리알(lilial), 메프라날(Mefranal), 에글란탈, 코카르(Cocar), α-메틸신나믹 알데히드, α-부틸신나믹 알데히드, α-아밀신나믹 알데히드, α-헥실신나믹 알데히드, 포르밀에틸 테트라메틸 테트랄린 등의 알데히드류, 아세트산 테레피넬, 아세트산 베티베릴, 아세트산 벤질, 아세트산 리나릴, 살리신산 이소펜틸, 살리실산 벤질, 헥실 살리실레이트, 시스-3-헥세닐 살리실레이트, 포름산 에틸, 포름산 시스-3-헥세닐, 포름산 리나릴, 포름산 시트로네릴, 포름산 게라닐, 포름산 벤질, 포름산 페닐에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아세트산 이소아밀, 시클로펜틸리덴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 헥실, 아세트산 시스-3-헥세닐, 아세트산 트랜스-2-헥세닐, 아세트산 이소노닐, 아세트산 시트로네릴, 아세트산 라반듀릴, 아세트산 게라닐, 아세트산 미르세닐, 아세트산 터피닐, 아세트산 멘틸, 아세트산 멘타닐, 아세트산 노필, 아세트산 n-보르닐, 아세트산 이소보르닐, 아세트산 p-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 o-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 트리시클로데세닐, 아세트산 2,4-디메틸-3-시클로헥센-1-메타닐, 아세트산 페닐에틸, 아세트산 스티랄릴, 아세트산 디메틸 벤질 카르비닐, 아세트산 신나밀, 아세트산 아니실, 아세트산 파라크레질, 아세트산 헬리오트로필, 아세틸 유제놀, 아세틸 이소유제놀, 아세트산 구아일(Guaiyl Acetate), 아세트산 세드릴, 프로피온산 에틸, 프로피온산 이소아밀, 프로피온산 시트로네릴, 프로피온산 게라닐, 프로피온산 리나릴, 프로피온산 터피닐, 프로피온산 벤질, 프로피온산 신나밀, 시클로헥실 프로피온산 알릴, 프로피온산 트리시클로데세닐, 브티르산 에틸, 2-메틸 부티르산 에틸, 브티르산 부틸, 브티르산 이소아밀, 부티르산 헥실, 부티르산 리나릴, 부티르산 게라닐, 부티르산 시트로네릴, 부티르산 벤질, 이소부티르산 시스-3-헥세닐, 이소부티르산 시트로네릴, 이소부티르산 게라닐, 이소부티르산 리나릴, 이소부티르산 벤질, 이소부티르산 페닐에틸, 이소부티르산 트리시클로데세닐, 이소발레르산 에틸, 발레르산 프로필, 이소발레르산 시트로네릴, 이소발레르산 게라닐, 이소발레르산 벤질, 이소발레르산 신나밀, 이소발레르산 페닐에틸, 카프론산 에틸, 카프론산 알릴, 에난트산 에틸, 에난트산 알릴, 카프린산 에틸, 티그린산 시트로네릴, 안식향산 메틸, 안식향산 에틸, 안식향산 이소부틸, 안식향산 이소아밀, 안식향산 게라닐, 안식향산 리나릴, 안식향산 벤질, 안식향산 페닐에틸, 페닐 아세트산 메틸, 페닐 아세트산 에틸, 페닐 아세트산 이소부틸, 페닐 아세트산 이소아밀, 페닐 아세트산 게라닐, 페닐 아세트산 벤질, 페닐 아세트산 페닐에틸, 페닐 아세트산 p-크레질, 신남산 메틸, 신남산 에틸, 신남산 벤질, 신남산 신나밀, 신남산 페닐 에틸,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에틸, 살리실산 이소부틸, 살리실산 아밀, 살리실산 헥실, 살리실산 시스-3-헥세닐, 살리실산 페닐에틸, 쟈스몬산 메틸, 디히드로쟈스몬산 메틸, 프루테이트, 2-펜틸옥시 글리콜산 알릴, 3-메틸-3-페닐글리시드산 에틸, 에틸 2-펜타노에이트, 4-아세톡시-3-아밀테트라히드로피란, 시클로헥실살리실레이트, 2-시클로헥실프로피온산 에틸, 에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2-카르복실레이트, 2-메틸펜틸 2-메틸펜틸레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γ-운데카락톤, 펜타리드(시클로펜타데카놀리드), 하바놀리드(habanolide)(옥사시클로헥사데센-2-온), 암브레톨리드(Ambrettolide), 시클로헥사데카놀리드, 10-옥사헥사데카놀리드, 11-옥사헥사데카놀리드, 12-옥사헥사데카놀리드, 에틸렌도데칸디올에이트,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앙겔리카락톤(angelicalactone), γ-헥사락톤, γ-헵타락톤, γ-옥타락톤, γ-노나락톤, 3-메틸-4-옥타놀리드, γ-데카락톤, γ-도데카락톤, γ-쟈스모락톤, 쟈스민락톤, 시스쟈스몬락톤, 락토쟈스톤, 쟈스모락톤, 멘타락톤, n-부틸프탈리드, 프로필리덴프탈리드, 부틸리덴프탈리드, δ-헥사락톤, δ-옥타락톤, 트리발론, δ-노나락톤, δ-데카락톤, δ-2-데세노락톤, δ-운데카락톤, δ-도데카락톤, δ-트리데카락톤, δ-테트라데카락톤, 락토스카톤(Lactoscatone)(데카히드로-4,α-히드록시-2,8,8-트리메틸나프탈린-2-카르복시애시드-δ-락톤), 쿠마린, 디히드로쿠마린, 시클로헥실락톤, 6-메틸쿠마린, ε-데카락톤, ε-도데카락톤 등의 락톤류, 아세틸 카리오필렌, 카르본(carvon), 풀레곤(pulegone), 피페리테논, 피페리톤, 캄퍼(camphor), 이소론기폴라논( isolongifolanone), 누트카톤(Nootkatone), 2-헵타논, 2-펜타논, 3-헥사논, 3-헵타논, 4-헵타논, 2-옥타논, 3-옥타논, 2-노나논, 3-노나논, 2-운데카논, 2-트리데카논, 메틸이소프로필케톤, 에틸이소아밀케톤, 메시틸옥사이드, 부틸리덴 아세톤, 메틸헵타디엔, 메틸헵테논, 디메틸옥테논, 4-메틸렌-3,5,6,6-테트라메틸-2-헵타논, 게라닐 아세톤, 파르네실 아세톤, 아세토인, 5-히드록시-4-옥타논, 메틸 라벤더 케톤, 디아세틸, 2,3-펜타디온, 2,3-헥사디온, 3,4-헥사디온, 2,3-헵타디온, 아세틸 이소발레릴, 아밀시클로펜타논, 아밀시클로펜테논, 2-시클로펜틸 시클로펜타논, 헥실시클로펜타논, 2-n-헵틸시클로펜타논, cis-쟈스몬, 디히드로쟈스몬, 이소쟈스몬, 트리메틸펜틸 시클로펜타논, 세다몬(2-부틸리덴-3,5,5(3,3,5)-트리메틸시클로펜타논), 산덱스, 시클로텐, 3,5-디메틸-1,2-시클로펜타디온, 메틸코릴론, 2-tert-부틸시클로헥사논, p-tert-부틸시클로헥사논, 3,3-디메틸시클로헥실 메틸케톤, 2-sec-부틸시클로헥사논, 아르테몬(Artemone), 셀러리 케톤, 크립톤, p-tert-펜틸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시트론, 네론, 4-시클로헥실-4-메틸-2-펜타논, 하바놀, 말톨, 에틸말톨, 옥사이드 케톤, 에목시 프론, 호모플로르, 소톨론, 퓨라네올(furaneol), 아세틸 디메틸퓨란, 퍼퓨랄 아세톤, 2-아세틸-5-메틸퓨란, 2-아세틸푸란, 메틸 테트라 히드로퓨라논, 디벤질케톤, 벤조페논, 메틸나프틸케톤, 4-다마스콜(4-Damascol), 4-메틸-4-페닐-2-펜타논, α-메틸아니살아세톤, 헬리오 트로필아세톤, 아니실리덴 아세톤, 아니실 아세톤, p-메톡시 페닐 아세톤, 라즈베리 케톤, 라반도존, 벤질리덴 아세톤, p-메톡시 아세토페논, p-메틸아세토페논, 프로피오페논, 아세토페논, 이소다마스콘, α-다이나스콘(Dynascone), 일리톤(lritone), 아이오논(ionone), 슈도아이오논(Pseudoionone), 메틸아이오논, 메틸일리톤, 2,4-디-tert-부틸시클로헥사논, 알릴아이오논, 2,6,6-트리메틸-2-시클로헥센-1,4-디온, 2-아세틸-3,3-디메틸노르보르난, 플로렉스, 프리카톤, 옥소세드란, 베르토픽스, 베르베논, 펜콘(fenchon), 칼론, 트리모픽스 O, 에피톤, 아트리논, 캐시메란(cashmeran), 3-메틸시클로펜타데카논-1, 시클로헵타데카-9-엔-1-온, 시클로펜타데카논, 시클로헥사데세논, 판톨리드(Phantolide), 4-아세틸-6-tert-부틸-1,1-디메틸인단, 트라세올라이드, 토날리드(Tonalid), 비타라이드, 디히드로카르본, 디오스페놀, 진게론, 이소 E 슈퍼 등의 케톤류, 페닐 아세트산, 산다롤, 리날룰(linalool), 무스크 케톤, 메틸 아이오논, 아이리스유(iris oil), 이론(irone), 인돌, 일랑일랑유, 에스트라골, 오크모스, 오포포낙스 레지노이드, 유제놀(Eugenol), 오란티올,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카르바크롤, L-카르본, 캠퍼, 캐논, 당근씨오일, 클로브 오일, 게라니올, 게라닐니트릴, 박달나무유, 시클로펜타데카놀리드, 디히드로미르세놀(Dihydromyrcenol), 자스민엡솔루트, 시나몬바크오일, 1,8-시네올, 스타이렉스 레지노이드(styrax resinoid), 삼목유(cedar wood oil), 세드렌, 세드롤, 샐러리시드유, 타임유, 다마스콘, 다마세논, 티몰, 튜베로즈 앱솔루트, 데카락톤, 테르피네올, r-테르피넨, 트리플알(Triplal), 2,6-노나디에놀, 노나락톤, 파촐리 알코올, 파촐리유, 페네틸알코올, 페티그레인 오일, cis-3-헥세놀, 페루 발삼, 베티버오일, 베티베롤, 페퍼민트유, 페퍼오일, 헬리오트로핀, 베르가못 오일, 보르네올, 미르레지노이드(Myrrh resinoid), 멘톨, L-멘톨, L-멘톤, 유칼리 오일, 베타 아이오논, 라임오일, 라벤다 오일, D-리모넨, 레몬오일, 로즈 앱솔루트, 로즈 옥사이드, 장미 오일, 로즈메리 오일, 아사페티다 레지노이드, 아조완 오일, 스타아니스 오일, 아비에스 오일, 아미리스 오일, 앤브레스시드 오일(Anbrette seed oil), 앰버그리스 팅크(Ambergris tincture), 일랑일랑 앱솔루트, 아이리스 레지노이드, 아이리스 앱솔루트, 윈터그린 오일, 엘레미 올레오레진(elemi oleoresin), 엘레미 레지노이드 앱솔루트, 엘레미 팅크, 오크모스 콘크리트, 오크모스 앱솔루트, 오크모스 레진, 오크모스 레지노이드, 오코티아 오일(Ocotea Oil), 오스만투스 앱솔루트, 오스만투스 콘크리트, 오포파낙 레지노이드, 오포파낙스 앱솔루트, 오포파낙스 오일, 오리바남 레지노이드, 오리바남 앱솔루트, 오리바남 오일, 올스파이스 오일(allspice oil), 오레가노 오일, 오레가노 오렌지, 오렌지플라워 앱솔루트, 오렌지플라워 콘크리트, 카낭가유, 구륜발삼(gurjun balsam), 구륜발삼 오일, 카스카릴라 바크 오일, 카스트리움 앱솔루트, 카시(cassie) 앱솔루트, 카시플라워 오일, 카시아(cassia) 오일, 가드니아 앱솔루트, 카네이션 앱솔루트, 카브로바 오일, 캐모마일 오일, 카다몬 오일, 갈바남 오일(Galvanum oil), 갈바남 레진, 갈바남 레지노이드, 캐러웨이 시드 오일, 과이액 우드 오일, 과이액 레진, 과이액 콘크리트, 녹나무 오일, 쿠베바 오일, 쿠민 오일, 쿠민 앱솔루트, 쿠민 올레오레진 수지, 클라리세이지 오일, 자몽유, 코스타스 오일(Costus oil), 코파이바 발삼, 코바이바 발삼 오일, 코파이바 발삼 레진, 고수기름, 사사프라스 오일, 쥬네 앱솔루트, 차조기 오일, 시트로넬라 오일, 자스민 콘크리트, 주니퍼베리 오일, 사향(civet) 앱솔루트, 사향 팅크, 황수선화 앱솔루트, 침향 오일, 진저 오일, 시나몬 오일, 시나몬 잎 오일, 삼나무 오일, 때죽나무(Styrax) 오일, 스페아민트 오일, 세이버리 오일, 세이지 오일, 향나무 오일, 향나무 잎 오일, 타겟오일, 타라곤 오일, 딜(dill) 오일, 티트리 오일, 트리모스 앱솔루트, 톨루 발삼, 육두구 오일, 수선화 앱솔루트, 등화유, 바이올렛 잎 앱솔루트, 파인 오일, 바질 오일, 파슬리잎 오일, 파슬리씨드 오일, 파슬리 허브 오일, 박하 오일, 바닐라 앱솔루트, 허니서클 앱솔루트, 팔마로사 오일, 발레리안 오일, 비타오렌지 오일, 히솝 오일, 노송나무 오일, 히야신스 앱솔루트, 펜넬 오일, 무화과 액솔루트, 부추 오일, 페니로얄 오일, 페퍼민트 오일, 벤조인 팅크, 벤조인 레지노이드, 보아드로즈 오일, 파츈유, 홉 오일, 홉 콘크리트, 홉 앱솔루트, 마저럼 오일, 만다린 오일, 오렌지 오일, 미모사 콘크리트, 미모사 앱솔루트, 미모사 오일, 미르 앱솔루트, 미르 오일, 무스크 앱솔루트, 무스크 팅크, 유자 오일, 쑥 오일, 반일화 오일, 반일화 레지노이드, 라벤다 앱솔루트, 라밴딘 오일, 라밴딘 앱솔루트, 리날로에 오일, 레몬그라스 오일, 로즈 콘크리트, 라베지오일(Lavage oil), 월계수 오일, 월계수잎 오일, 향쑥유, 사향, 영묘향, 용연향, 해리향, 사향쥐향, α-피넨, β-피넨, 캄펜(camphene), 미르센, 테르피네올, 테르피놀렌, 오시멘, γ-테르피넨, α-펠란드렌, p-싸이멘, β-카리오필렌, β-파르네센, 1,3,5-운데카트리엔, 디페닐메탄 등의 탄화수소, 아니스 알코올, 신나믹 알코올, 페닐프로필알코올, 디메틸벤질 카르비놀, 페닐에틸 메틸에틸 카르비놀, 3-메틸-5-페닐 펜탄올, 오르시놀 모노메틸에테르, 이소유제놀, 산타롤, 이소보닐 시클로헥사놀, 산달로어(sandalore), 박다놀, 산달마이소르코어(Sandalmysore core), 브라마놀, 에바놀, 폴리산톨, 2-에톡시-4-메톡시메틸페놀, 트랜스-2-헥세놀, 시스-3-헥세놀, 3-옥타놀, 1-옥텐-3-올, 2,6-디메틸-2-헵타놀, 9-데세놀, 4- 메틸-3-데센-5-올, 10-운데세놀, 트랜스-2-시스-6-노나디에놀, 네롤, 시트로네롤, 로디놀, 미르세놀, 라반듀롤, 테트라 히드로 게라니올, 테트라 히드로 리날롤, 히드록시 시트로네롤, 알로오시메놀, 테르피넨-4-올, 이소풀렉올(isopulegol), 노폴(nopol), 파르네솔, 네롤리돌, 비사보롤, 파촐리 알코올(Patchouli alcohol), 2,4-디메틸-3-시클로헥센-1-메탄올, 4-이소프로필시클로헥사놀, 4-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메탄올 1-(4-이소프로필시클로헥실)-에탄올, 2,2-디메틸-3-(3-메틸페닐)-프로판올, p-t-부틸시클로헥사놀, o-t-부틸시클로헥사놀, 암브리놀(Ambrinol), 벤질알코올, 페닐에틸알코올, 페녹시에탄올, 스티랄릴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 디히드로 쟈스모네이트, 테트라 히드로 퍼퓨릴 3-메르캅토 프로피오네이트, 코바놀, 제라늄 오일, 버치 오일(birch oil), 아르모이제 오일 아세틸 세드렌, 아밀 신남 알데히드, 알릴아밀 글리콜레이트, β-아이오논, 이소부틸퀴놀린, 네롤 옥사이드, 미록사이드, 로즈 옥사이드, 리메톨(Limetol), 멘토퓨란(Menthofuran), 리날롤 옥사이드, 부틸 디메틸 디히드로 피란, 아세톡시 아밀 테트라 히드로피란, 세드릴 메틸에테르, 메톡시 시클로도데칸, 1-메틸-1-메톡시시클로도데칸, 에톡시메틸 시클로도데실 에테르, 트리시클로 데세닐 메틸에테르, 루보픽스, 세도록사이드, 암브록산(Ambroxan), 글리살바(Grisalva), 보와지리스, 아니솔, 디메틸하이드로퀴논, 파라클레질 메틸 에테르, 아세토 아니솔, 아네톨, 디히드로 아네톨, 디페닐 옥사이드, 메틸 유제놀, 메틸 이소유제놀, 벤질 이소유제놀, 페닐에틸 이소아밀 에테르, δ-나프틸메틸에테르, δ-나프틸에틸에테르, δ-나프틸이소부틸에테르, 2,4-디메틸-4-페닐테트라 히드로퓨란,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2,2,5,5-테트라메틸-4-이소프로필-1,3-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등, 각종 정유 등의 합성향료, 천연향료 및 각종 조합향료를 예시할 수 있다.
(색소)
색소로서는 아나토, 크로신, 카프산틴, 시소닌, 하이비스커스 색소, 그레이프 스킨 익스트랙, 사프롤 엘로우, 카카오 색소, 락카인산, 카민산, 커큐민, 베타닌, 모나스코부린(Monascorvbirin), 브라질린(brazilin), 캬라멜, 잇꽃 색소, 치자 색소, 자근 색소, 코치닐 색소를 비롯한 안트라퀴논계, 안토시아닌계, 카루콘계, 카로티노이드계, 플라보노이드계, 플라빈계, 퀴논계, 포르피린계, 디케톤계, 펜타시아니딘계 색소 등의 천연착색료, 감광소 101호, 감광소 201호, 감광소 301호, 감광소 401호 등의 감광소, 적색 2호, 적색 3호, 적색 102호, 적색 104호, 적색 105호, 적색 106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3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06호, 적색 207호, 적색 208호, 적색 213호, 적색 214호, 적색 215호, 적색 218호, 적색 219호 적색 220호, 적색 221호, 적색 223호, 적색 225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호, 적색 231호, 적색 232호, 등색 201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등색 205호, 등색 206호, 등색 207호, 황색 4호, 황색 5호, 녹색 3호, 녹색 201호, 녹색 202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황색 201호, 황색 202 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황색 402호, 황색 403호, 황색 404호, 황색 405호, 황색 406호, 황색 407호, 녹색 401호, 녹색 402호, 청색 403호, 자색 401호, 흑색 401호, 청색 404호, 적색 401호, 적색 404호, 적색 405호, 적색 501호, 적색 502호, 적색 503호, 적색 504호, 적색 506호, 등색 401호, 등색 402호, 등색 403호, 적색 505호 및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202호, 청색 203호, 청색 204호, 청색 205호, 갈색 201호, 자색 201호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 분말, 상기 유기 분말에 자근 색소, 잇꽃 색소 등의 천연 색소나 유기 합성 색소 등을 배합한 색소를 예시할 수 있다.
(방부제 또는 살균제)
방부제 또는 살균제로서는 페놀, 파라클로로 페놀, 파라클로로 메타크레졸, 파라클로로 메타크실레놀, 레졸신, 레졸신 모노아세테이트, 오르토 페닐 페놀, 이소부틸 파라벤, 에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나트륨, 부틸 파라벤, 부틸 파라벤 나트륨, 프로필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나트륨, 메틸 파라벤, 메틸 파라벤 나트륨 등의 파라옥시 안식향산 알킬 에스테르, 페녹시 에탄올, 티몰, 크레졸, 히노키 티올, 히드록시 벤자티올 등의 페놀류, 안식향산 및 그 염류, 살리실산 및 그 염류, 소르빈산 및 그 염류, 디히드로아세트산 및 그 염류,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헥사클로로펜, 비티오놀, 디클로로펜 등의 할로겐화 비스페놀류, 3,4,4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3-트리플루오로메틸 4,4'-디클로로카르바닐리드, 3,4' 5-트리브로모 살리실 아닐리드, p-아미노 벤젠 설폰 아미드, 운데실렌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염화 벤잘코늄, 브롬화 알킬 이소퀴놀리늄, 염화 벤제토늄,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데칼리늄, 염화 알킬트리메틸 암모늄 등의 4급 암모늄 화합물류, 염화 알킬아미노에틸 글리신, 염화 스테아릴 히드록시에틸 베타인나트륨 등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테트라메틸 티우람 디설파이드, 감광소 101호, 감광소 201호, 감광소 301호, 감광소 401호, 감광소 NK-143 등의 감광소류, 1-히드록시피리딘-2-티온(징크피리티온),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N-트리클로로메틸·메르캅토-4-시클로헥센 1,2-디카르복시이미드, 염화 리소자임, 클로르페네신, 클로로부탄올, 2-브롬-2-니트로-1,3-프로판디올, 아니스 오일, 바다사자 오일, 시트로네롤, 유제놀, 벤질 알코올, 에탄올, 1,3-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1,2-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2-펜탄디올(펜틸렌 글리콜), 1,2-헥산디올, 1,2-헵탄디올, 1,2-옥탄디올, 1,2-노난디올, 1,2-데칸디올 등의 알코올류, 파라클로르메타크레졸, 염화클로르헥시딘, 비스(2-피리딜 티오-1-옥사이드)아연, 티안톨, 이소프로필메틸 페놀, 6-아세톡시-2,4-디메틸-m-디옥산,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염소, 차아염소산 나트륨, 표백분, 요오드, 포름알데히드, 글루타르알데히드, 피로탄산 디에틸, 에틸렌옥사이드, β-프로피오락톤, 과산화수소수, 유황, 글루콘산 칼륨, DMDM 히단토인, 알킬(C12-14) 디에틸아미노에틸 글리신염산염, 쿼터늄-80, 쿼터늄-87, 클로라민 T, 시멘-5-올,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필, 폴리아미노 프로필 비구아니드,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메틸클로로 이소티아졸리논, 요오드화 디메틸아미노 스티릴 헵틸 메틸 티아졸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에키네시아 잎 엑기스, 황벽나무 엑기스, 올리브 잎 엑기스, 오렌지 과즙, 사철쑥 엑기스, 감초 플라보노이드, 얼룩조릿대 엑기스, 자몽 추출물, 클로르페네신, 금은화 엑기스, 페녹시에탄올, 바위취 엑기스, 오이풀 엑기스 등의 식물 추출물도 항균제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균제 중, 특히 1,2-알칸디올이나 1,3-부틸렌 글리콜 등의 비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테르계 항균제는 피부에 대한 낮은 자극성, 높은 방부 효과 및 보습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1,2-알칸디올로서는 탄소수 4 내지 10의 1,2-알칸디올이 바람직하고, 특히 1,2-펜탄디올(펜틸렌글리콜), 1,2-헥산디올, 1,2-헵탄디올 및 1,2-옥탄디올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1,2-알칸디올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 그 나트륨염과의 상용성이 특히 뛰어나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에틸 에스테르, N,N-디에톡시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부틸 에스테르 등의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계 자외선 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신남산, 옥시벤존-3, 옥시벤존-4, 옥시벤존-5, 옥시벤존-9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1,3-프로판디온 유도체에 당 또는 당 알코올이 결합한 당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 및 그 나트륨염, 아밀 살리실레이트, 멘틸 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 페닐 살리실레이트, 살리실산 디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틸 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 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 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 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 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 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 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 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p-메톡시 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 신나메이트(시녹세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 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 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α-시아노-β-페닐 신나메이트(옥토클린), 글리세릴 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 신나메이트, 페룰라산 및 그 유도체 등의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 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 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 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 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 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 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 벤조페논-5-설폰산, 4-페닐 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 -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 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 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3-벤질리덴-d,l-캠퍼,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페닐 벤조트리아졸, 디벤잘아진, 디아니소일 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4-메톡시-4'-t-부틸벤조일메탄, 4-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옥틸트리아존, 우로카닌산 및 우로카닌산 에틸 등의 우로카닌산 유도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1-(3,4-디메톡시페닐)-4,4-디메틸-1,3-펜탄디온, 디메톡시 벤질리덴 디옥소 이미다졸리딘 프로피온산 옥틸, 디메톡시 벤질리덴 디옥소 이미다졸리딘 프로피온산 2-에틸헥실 등의 히단토인 유도체, 페닐 벤즈이미다졸 설폰산, 테레프탈릴리덴 디캠퍼설폰산,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안트라닐산 메틸, 루틴 및 그 유도체, 오리자놀 및 그 유도체, 옥틸디메틸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산화티탄, 산화아연, 카올린, 탈크, 에틸헥실트리아존, 옥토크릴렌, 디메틸 PABA 옥틸, 호모살레이트, 메틸렌 비스벤조 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 페놀, 메톡시 신남산 에틸헥실, 메톡시 신남산 옥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금속봉쇄제)
금속봉쇄제로서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EDTA2Na, EDTA3Na, EDTA4Na 등의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염, 히드록시 에틸 에틸렌 디아민 트리아세트산 삼나트륨염 등의 히드록시 에틸 에틸렌 디아민 트리아세트산, 트리폴리인산,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염류, 피틴산, 에티드론산 등의 포스폰산 및 그 나트륨염 등의 염류, 옥살산 나트륨, 폴리아스파라긴산, 폴리글루타민산 등의 폴리 폴리아미노산류,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인산 나트륨, 인산, 피롤린산염, 헥사메타 인산염, 구연산 나트륨, 구연산, 알라닌, 디히드록시 에틸 글리신, 글루콘산, 석신산, 타르타르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완충제)
완충제(pH 조정제)로서는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젖산, 젖산 나트륨, 글리콜산, 석신산, 아세트산, 아세트산 나트륨, 아세트산 칼륨, 사과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인산, 염산, 황산, 붕산, 붕사, 니트릴로 트리에탄올, 모노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이소프로판올 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 아민, 2- 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아르기닌, 수산화 암모늄,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인산수소 칼륨 암모니아수, 탄산 구아니딘, 탄산 암모늄, 탄산 나트륨, 탄산 칼륨, 중탄산 칼륨, 중탄산 나트륨, 산화 마그네슘, 산화 칼슘, 인산 암모늄, 인산일수소 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나트륨, 인산 칼륨, 인산 마그네슘, 인산 칼슘, 붕산 나트륨, 메타붕산나트륨, 구연산 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수는 화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연산나트륨, 글리콜산, 석신산, 인산일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완충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본 발명의 화장수의 pH를 통상 pH 5 내지 9, 바람직하게는 pH 6 내지 8,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6.5 내지 7.5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는 양만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세안료>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은 세정 작용을 갖는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세안 료로 만들 수 있다. 피부상의 더러움에는 피부 본래의 생리 작용에 의한 때, 즉, 피지막이 산패, 변질된 것과 각질층이 박리된 것 외에 공기 중의 먼지 등의 더러움이 혼연일체가 된 것과,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이 있으며, 세안료는 이들을 씻어내어 피부를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거의 매일 사용된다. 세안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비누, 바디 샴푸, 세안 크림, 메이크업 리무버 등을 들 수 있다. 세정 작용을 갖는 성분으로는 고급지방산의 알칼리염(비누)을 들 수 있으며, 고급지방산의 알칼리염은 주로 C10 내지 C18 지방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아민염이다.
세안료는 품질 향상, 안정화를 위해 추가로 향료, 색소, 산화방지제 및 금속봉쇄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할 수 있으며, 그들은 각각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세안료 질량당 0.00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의 범위에서 배합된다. 향료, 색소 및 금속봉쇄제로서는 상기 화장수의 항에서 상세히 기술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에 기재된 산화방지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로는 레티놀, 디히드로 레티놀, 아세트산 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산, 비타민 A 오일 등의 비타민 A류 및 그들의 유도체 및 그들의 염, α-카로틴, β-카로틴, γ-카로틴, 크립토산틴, 아스타산틴, 푸코크산틴 등의 카로티노이드류 및 그 유도체, 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살-5-인산에스테르, 피리독사민 등의 비타민 B류, 그들의 유도체 및 그들의 염,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1,2,5-디히드록시-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류, 그들의 유도체 및 그들의 염,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α-토코트리에놀, β-토코트리에놀, γ-토코트리에놀, δ-토코트리에놀, 아세트산 토코페롤, 니코틴산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그들의 유도체 및 그들의 염, 트롤록스(trolox),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디히드록시 톨루엔, 부틸히드록시 톨루엔, 부틸히드록시 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 톨루엔, α-리포산, 디히드로 리포산, 글루타티온,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요산, 에리소르빈산, 에리소르빈산 나트륨 등의 에리소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몰식자산, 몰식자산 프로필 등의 몰식자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루틴, α-글리코실-루틴 등의 루틴,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트립토판,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히스티딘,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N-아세틸 시스테인, N-아세틸 호모시스테인, N-옥타노일 시스테인, N-아세틸 시스테인 메틸 에스테르 등의 시스테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N,N'-디아세틸 시스틴 디메틸 에스테르, N,N'-디옥타노일 시스틴 디메틸 에스테르, N,N'-디옥타노일 호모시스틴 디메틸 에스테르 등의 시스틴 유도체 및 그들의 염, 카르노신 및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호모카르노신 및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안세린과 그 유도체 및 그 염, 카르시닌 및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히스티딘 및/또는 트립토판 및/또는 히스타민을 포함하는 디펩타이드 또는 트리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들의 염, 플라바논, 플라본, 안토시아닌, 안토시아니딘, 플라보놀, 퀘르세틴, 퀘르시트린, 미리세틴, 피세틴, 하마멜리탄닌(hamamelitannin),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긴 갈레이트 등의 플라보노이드류, 탄닌산, 카페산, 페룰라산, 프로토카테큐산(protocatechuic acid), 칼콘, 오리자놀, 카르노솔, 세사몰, 세사민, 세사모린, 진게론, 커큐민, 테트라히드로커큐민, 클로바미드(clovamide), 디옥시 클로바미드, 생강 올, 캡사이신, 바니릴 아미도, 엘라그산, 브롬 페놀, 플라보 글라신, 멜라노이딘, 리보플라빈, 리보플라빈 부티르산 에스테르,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티드, 플라빈 아데닌 뉴클레오티드, 유비퀴논, 유비퀴놀, 만니톨, 빌리루빈, 콜레스테롤, 엡셀렌(ebselen), 셀레노메티오닌, 세룰로플라스민, 트랜스페린, 락토페린, 알부민,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카탈라아제,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아제, 메탈로티오네인, 티오레독신, 티오타우린, O-포스포노-피리독실리덴 로다민, 및 N-(2-히드록시벤질)아미노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및 N-(4-피리독실메틸렌)아미노산과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 리신, 1-메티오닌, 프롤린, 시리마린, 차 추출물, 포도 껍질/씨 추출물, 멜라닌, 로즈메리 추출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기타 성분)
세안료에는 추가로, 글리세린, 에탄올, 설탕, 다가 알코올 및 살균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상기 화장수의 항에서 상세히 기술한 방부제, 살균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데, 세안료 등 비누계 세정제의 경우에는 소독, 살균, 방취의 목적으로 염산 클로르헥시딘, 이소프로필 메틸 페놀, 감광소 101호, 크레졸, 클로르크실레놀,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할로카르반, 페놀, 클로르크레졸, 페녹시에탄올, 트리클로르히드록시페닐에테르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용액>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은 보습 및 피부연화제를 함유함으로써 미용액으로 만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용액이란, 화장수와 달리 점도가 있어 사용감 및 보습성이 뛰어난 타입의 화장품으로, 보습기능과 피부연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보습제 및 피부연화제로서는 화장수의 항에서 상술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제형은 가용화형, O/W 유화형, 유액형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미용액은 추가로 향료, 자외선 흡수제, 미백제, 항염증제, 방부제 및 살균제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함으로써, 보습기능과 피부연화기능 이외의 기능을 주장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 배합성분 중, 향료, 자외선 방지제, 방부제 및 살균제에 대해서는 상기 화장수의 항에서 상세히 기술한 각각의 성분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미백제 및 항염증제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에 기재된 미백제 및 소염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미백제)
한편, 미백제로서는 3-메톡시 살리실산, 3-에톡시 살리실산, 4-메톡시 살리실산, 4-에톡시 살리실산, 4-프로폭시 살리실산, 4-이소프로폭시 살리실산, 4-부톡시 살리실산, 5-메톡시 살리실산, 5-에톡시 살리실산, 5-프로폭시 살리실산 등의 알콕시 살리실산류 및 그 염류,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α-알부틴, 하이드로퀴논 α-L-글루코오스, 하이드로퀴논 β-L-글루코오스, 하이드로퀴논 α-D-갈락토오스, 하이드로퀴논 β-D-갈락토오스, 하이드로퀴논 α-L-갈락토오스, 하이드로퀴논 β-L-갈락토오스, 하이드로퀴논 α-D-리보오스, 하이드로퀴논 β-D-리보오스, 하이드로퀴논 α-L-리보오스, 하이드로퀴논 β-L-리보오스, 하이드로퀴논 α-D-아라비노오스, 하이드로퀴논 β-D-아라비노오스, 하이드로퀴논 α-L-아라비노오스, 하이드로퀴논 β-L-아라비노오스, 하이드로퀴논 α-D-글루코사민, 하이드로퀴논 β-D-글루코사민, 하이드로퀴논 α-L-글루코사민, 하이드로퀴논 β-L-글루코사민, 하이드로퀴논 α-D-갈락토사민, 하이드로퀴논 β-D-갈락토사민, 하이드로퀴논 α-L-갈락토사민, 하이드로퀴논 β-L-갈락토사민, 하이드로퀴논 α-D-글루쿠론산, 하이드로퀴논 β-D-글루쿠론산, 하이드로퀴논 α-L-글루쿠론산, 하이드로퀴논 β-L-글루쿠론산, 하이드로퀴논 α-D-갈락트론산, 하이드로퀴논 β-D-갈락트론산, 하이드로퀴논 α-L-갈락트론산, 하이드로퀴논 β-L-갈락트론산 등의 우론산 배당체 등의 하이드로퀴논이나 그 배당체 등의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트라넥삼산이나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류, 레졸신 또는 4-n-부틸레졸시놀 등의 레졸신 유도체, 코지산이나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류, 엘라그산이나 리놀산 및 그들의 염류, 아니스 추출물, 호장근(Japanese Knotweed) 추출물, 천리향 추출물, 결명자 추출물, 황기 추출물, 노랑황기 추출물, 괄루근 추출물, 창이자 추출물, 천마 추출물, 피라칸타 추출물, 왕호장근 추출물, 천태오약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포황 추출물, 감수 추출물, 선학초 추출물, 조장나무(Lindera umbellata) 추출물, 흑운초 추출물, 사이잘삼 추출물, 클레마티스 추출물, 으아리 추출물, 위령선 추출물, 오시마벚나무 추출물, 오야마벚나무 추출물, 좀벗나무 추출물, 미네벚나무 추출물, 코히간 벚나무 추출물, 겹벚나무 추출물, 자원 추출물, 왜종려 추출물, 흰아이리스 추출물, 대료추출물, 신이 추출물, 바위떡풀 추출물, 달맞이꽃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실새삼 추출물, 새삼 추출물, 고애(약쑥) 추출물, 톱풀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딜(dill) 추출물, 팔장호장 추출물, 남가새 추출물, 석위 추출물, 부들 추출물, 백지 추출물, 프로랄 블랑카 추출물, 하뮬러 추출물, 비쑥 추출물, 서양메꽃 추출물, 백단향 추출물, 영지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갯버들 추출물, 왕버들 추출물, 갯버들 추출물, 개고리버들 추출물, 능수버들 추출물, 고리버들 추출물, 용버들 추출물, 심산버들 추출물, 산버들 추출물, 큰잎버들 추출물, 육지꽃 버들 추출물, 여우버들 추출물, 백양 추출물, 양매피 추출물, 용설란 추출물, 파란 용설란 추출물, 후쿠린용설란 추출물, 삼지닥나무 추출물, 파래 추출물, 잎파래 추출물, 가시파래 추출물, 납작파래 추출물, 창자파래 추출물, 격자파래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참다시마 추출물, 리시리 다시마 추출물, 애기다시마 추출물, 미츠이시 다시마 추출물, 미역 추출물, 넓곽(Undaria undarioides) 추출물, 파란 미역 추출물, 톳 추출물, 히바마타 추출물, 부챗말 추출물, 엷은잎부챗말 추출물, 키레바부챗말 추출물, 아카바부챗말 추출물, 분부챗말 추출물, 주걱가시그물바탕말 추출물, 애가부챗말 추출물, 에츠키 부챗말 추출물, 가시유케마 추출물, 아마쿠사유케마 추출물, 유케마 추출물, 아르놀디 유케마 추출물, 진두발 추출물, 애기진두발 추출물, 가락진두발 추출물, 가시깃꼴진두발 추출물, 돌가사 추출물, 가시돌가사리 추출물, 애기돌가사리 추출물, 그물말 추출물, 가시뼈대그물말 추출물, 잔가지말 추출물, 다시마류(Cymathaere) 추출물, 다시마류(Cymathaere Japonica) 추출물, 짝잎 모자반 추출물, 세기이 모자반(Sagassum segii) 추출물, 고사리모자반 추출물,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검둥모자반 추출물, 구슬모자반 추출물, 말린 멸치새끼 추출물, 쌍발이 모자반 추출물, 지충이 추출물, 큰잎 모자반 추출물, 참치누아리 추출물, 부채흐늘풀 추출물, 검정부채흐늘풀 추출물, 지누아리사촌 추출물, 참까막살 추출물, 큰코시래기 추출물, 홍조(Ceratodicytyon spongiosum) 추출물,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Harvey) 추출물, 가는마디잘록이 추출물, 넓은마디잘록이 추출물, 흑서실(Laurencia intermedia Yamada) 추출물, 혹서실(Laurencia undulata Yamada) 추출물, 깃꼴개서실 추출물, 브롱니아서실 추출물, 참빗풀 추출물, 틸라 추출물, 카모테데 아자프랜 추출물, 하마이카 추출물, 폴레오벨데 추출물, 래디쉬 추출물, 알쏭이 모자반추출물, 셀만모자반, 꽈베기모자반, 톳나물 추출물, 넓은잎 톳나물 추출물, 태반추출물, 루씨놀, 실크 추출물, 아카시아 추출물, 아세로라 추출물, 어저귀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몰식자 추출물, 밤나무 추출물, 흰오리방 추출물, 흑화 방아풀 추출물, 연명초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메밀 추출물, 다빌리어 추출물, 냉이 추출물, 난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치자나무 추출물, 당귀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고삼 추출물, 쑥 추출물, 인동덩굴 추출물, 황다랭이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복령 추출물, 율무 추출물, 광대수염 추출물, 홉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유칼리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알테아 추출물, 계피 추출물, 만형자 추출물, 하마메리스 추출물, 들뽕나무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속수자 추출물, 사간 추출물, 마황 추출물, 천궁이 추출물, 독활 추출물, 시호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빈방풍 추출물, 황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작약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갈근 추출물, 감초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승마 추출물, 잇꽃 추출물, 녹차 추출물, 홍차 추출물, 아선약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남초 추출물, 유용성 감초 엑기스, 서하류 엑기스, 바위취 엑기스 등의 식물 엑기스, 페닐 수은 헥사클로로펜, 산화 제2수은, 염화 제1수은, 과산화수소 수소, 과산화 아연, 2-아미노페놀 및 그 유도체, 페룰라산 및 그 유도체, 플라센타 엑기스, 글루타티온, 오리자놀, 부틸 레졸시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항염증제)
또한, 본 발명의 미용액에 배합할 수 있는 항염증제로서는 디프로피온산 베타메타손, 프로피온산 클로베타솔, 프로피온산 플루티카손, 하이드로코르티손-21-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시클로펜틸 프로피오네이트, 디프로피온산 베크로메타손 등의 프로피온산 유도체, 알란토인, 알란토인아세틸-dl-메티오닌, 알란토인 클로르히드록시알루미늄, 알란토인 디히드록시 알루미늄, 알란토인 폴리갈락트론산 등의 알란토인 또는 그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레틴산 알란토인, 글리시레틴산 글리세린,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 스테아린산 글리시레티닐, 3-석시닐 옥시 글리시레틴산 2나트륨,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등의 글리시레틴 또는 그 유도체, 판토텐산, 판토테닐 알코올, 판토테닐 에틸에테르, 벤조일 판토테닐 에틸에테르, 판토텐산 칼슘, 판토텐산 나트륨, 아세틸 판토테닐 에틸에테르, 안식향산 판토테닐 에틸에테르 에스테르, 판테틴 등의 판토텐산의 유도체,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니코틴산 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리놀레산 토코페롤, 페룰라산 토코페롤, 토코페롤 인산 에스테르 등의 토코페롤 유도체, 토코트리에놀, 비타민 E 아세테이트, 석신산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또는 그 유도체, 2-아미노페놀 및 그 유도체, 술린닥, 디클로페낙, 펜부펜 등 아세트산 유도체, 염산 피리독신, 멘톨, 비오틴, 캠퍼, 테르펜유, 산화아연, 아줄렌, 구아이아줄렌 및 그 유도체, 메페남산 및 그 유도체, 페남산 및 그 유도체, 페닐부타존 및 그 유도체, 인도메타신 및 그 유도체, 이부프로펜 및 그 유도체, 비페닐카르본산 유도체, 옥시캄, 살리실산, 아세틸 살리실산, 나프록센, 베녹사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페노프로펜, 인도프로 펜, 피르프로펜, 카르프로펜, 옥사프로진, 프라노프로펜, 미크로프로펜, 티옥사프로펜, 수프로펜, 알루미노프로펜, 티아프로펜산, 플루프로펜, 케토프로펜 및 그 유도체, ε-아미노 카프론산, 디클로페낙 나트륨, 디펜 히드라민,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콜티손 및 그 에스테르, 하이드로코르티손 및 그 에스테르,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등의 부신피질 호르몬, 항히스타민제, 부록식 애시드, 아파존, 브롬페낙, 세레콕시브, 디펜피라미드, 디프루니살, 에토돌락, 플루페나민산, 케토롤락, 메클로페나메이트, 메페나민산, 메토록시캄, 나부메톤, 피록시캄, 부티부펜, 로페콕시브, 톨메틴, 케토롤락트로 메타민, 클로르페니라민, 디펜히드라민 염산염, 말레인산 클로르페닐라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알크로메타손, 덱사메타손, 플루메타손, 하이드로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티손-21-모노에스테르, 하이드로코르티손-21-아세테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21-부티레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21-발레에이트,하이드로코르티손-17,21-디에스테르, 하이드로코르티손-17,21-디아세테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17-아세테이트-21-부티레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17,21-디부티레이트, 메틸 프레드니솔론, 안식향산 베타메타손, 디플로라손 디아세테이트, 플루오시노니드,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국소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히드록시 트리암시놀론, 알파-메틸 덱사메타손, 덱사메타손 포스페이트, 발레르산 클로베타솔, 데소니드, 데속시메타손, 데속시 코르티코스테론 아세테이트, 디클로리손, 디플로라손 디아세테이트, 발레르산 디플루코톨론, 플루아드레놀론, 플루클로로론아세토니드, 플루드로코르티손, 피발산 플루메타손,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니드, 플루코르티손 부틸 에스테르, 플루오코톨론, 아세트산 플루프레드니덴(플루프레드닐리덴), 플루란드레놀론, 할시노니드, 아세트산 하이드로코르티손, 부티르산 하이드로코르티손,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코르토독손, 플루세토니드, 메드리손, 암시아펠, 암시나피드, 베타메타손, 클로로프레드니손, 아세트산 클로로프레드니손, 클로코르텔론, 클레시놀론, 디플루프레드네이트, 플루클로로니드, 플루니솔리드, 플루오로메타손, 플루페롤론, 플루프레드니솔론, 발레르산 하이드로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타메이트, 메프레드니손, 파라메타손, 트리암시놀론, 이속시캄, 테녹시캄, 수독시캄, CP-14, 304, 진성 알로에, 식물스테롤, 피토스테롤, 남초(藍草), 아선약, 감차, 알테아, 아르니카, 알로에, 큰까치수염, 쐐기풀, 찔레나무 열매, 자주루드베키아, 연명초, 심황, 황금, 여섯줄 보리, 고추나물, 오렌지, 쥐오줌풀, 부들, 캐모마일, 캐럿, 사철쑥, 감초, 오이, 금은화, 구갈(Guggal), 치자나무, 얼룩조릿대, 물냉이, 용담, 이질풀, 콜라, 우엉, 캄푸리, 오가피, 현삼 추출물, 사루비아, 산초나무, 향채, 자근, 차조기, 작약, 자작나무, 세이지, 서양 고추나물, 서양 박고지, 서양 노간주나무, 서양톱풀, 서양박하, 천궁, 쓴풀, 상백피, 대추, 타임, 중국파슬리, 병풀, 동과자, 복숭아씨, 삼백초, 토멘틸,일본인디고, 차, 당귀, 금잔화(카렌둘라), 딱총나무, 당근, 파슬리, 박하, 백단향, 비파나무, 브처스 브룸, 포도, 브로콜리, 잇꽃, 포황, 보리수, 모란, 마지쉬타, 마로니에,무환자나무, 붉은회초리 산화 추출물, 자주닭의장풀, 겹달맞이꽃, 복숭아,도깨비부채, 유칼리, 쑥, 양매피, 라벤더, 로마카밀레, 로즈메리 등의 식물 또는 식물 유래 추출물 등의 성분 및 그들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을 배합한 미용액의 경우에는 천연 성분 유래의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등의 글리시레틴 또는 그 유도체, 용담 엑기스, 차조기(자소) 엑기스, 세이지 엑기스, 딱총나무 엑기스, 병풀 엑기스, 삼백초 엑기스, 당귀 엑기스, 모란 엑기스, 달맞이꽃 엑기스, 무환자 엑기스, 바위취 엑기스, 쑥 엑기스, 사과 엑기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항염증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들은 각각 통상 본 발명의 미용액 질량당 0.00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의 범위에서 배합된다.
<유액>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은 수성 매체를 기제로 하는 것으로, 유성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유액으로 만들 수 있다. 유액의 사용 목적은 피부 청정, 화장 지우기, 피부의 보호, 보습 및 유연, 그리고 피부의 혈행 촉진에 있다. 유액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림에 비해 오일량이 적고, 유동성이 있는 에멀젼이기 때문에, 일명 '액체 크림'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유화 타입은 O/W 형 및 W/O 형의 양자가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O/W형이며, 수상의 비율이 많기 때문에 피부에 도포했을 경우, 얇게 펴져 촉촉한 감촉을 준다. 유성성분 및 계면활성제로서는 상기 화장수의 항에서 상세히 기술한 각각의 성분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액은 추가로, 목적과 기능에 따라 보습제, 피부연화제, 혈행촉진제 및 고분자 물질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할 수 있으며, 그들은 각각 통상 본 발명의 유액 질량당 0.00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의 범위에서 배합된다. 보습제 및 피부연화제로서는 상기 화장수의 항에서 상세히 기술한 각각의 성분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혈행촉진제 및 고분자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에 기재한 혈행촉진제 및 고분자 물질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혈행촉진제)
혈행촉진제로서는 쓴풀(Swertia japonica), 인삼, 은행, 쐐기풀, 생강, 마늘, 신선초, 아르니카, 살구, 회향, 연명초, 고추나물, 오노니스, 네덜란드떡갈나무, 모과, 캐모마일, 로마카밀레, 나무딸기, 키나, 양귀비, 고삼, 용담, 케이, 개연꽃, 우엉, 쌀, 사루비아, 산초나무, 산사나무, 표고버섯, 지황, 떫은감, 작약, 생강, 창포, 서양산사나무, 서양 칠엽수, 서양노간주나무, 천궁, 비터오렌지, 타임, 정향나무, 고추, 당귀, 금잔화, 복숭아씨, 등피, 삼백초, 두송, 박하, 빈방풍, 하마메리스, 브처처 브룸, 포도, 보리수, 홉, 모란, 소나무, 마로니에, 로즈메리, 로즈힙, 진피, 복숭아, 호두, 쇠뜨기, 창포뿌리, 알로에, 산복숭아, 유칼리, 쑥 등의 식물에 유래하는 물질, 헤스페리딘, 당전이 헤스페리딘, 루틴, 당전이 루틴, 아세틸 콜린, 염화 카르프로늄, 염산디펜히드라민, γ-오리자놀, l-멘톨, 세파란틴, 비타민 E, δ-토코페롤, α-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리놀레산 토코페롤, 니코틴산 메틸, 니코틴산 토코페롤, 석신산 토코페롤, 비타민 E, 니코티네이트 등의 비타민 E 유도체, 미녹시딜, 니코틴산 아미드, 노닐산 바니릴아미드, 탄산가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고분자 물질)
또한, 유액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물에 미리 고분자 물질을 보호 콜로이드의 목적으로 첨가하는 경우가 많으며, 고분자 물질로서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 아크릴 중합체,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CMC) 등을 들 수 있다.
<크림>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은 수성 매체를 기체로 하는 것으로, 유성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크림으로 만들 수 있다. 유화 타입은 유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O/W형 및 W/O형의 양자가 있는데, 크림은 일반적으로 유액에 비해 오일량이 많기 때문에 유동성이 없는 에멀젼이다. 크림의 사용 목적은 유액과 마찬가지로, 피부 청정, 화장 지우기, 피부 보호, 보습 및 유연, 그리고 피부의 혈행촉진 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렌징 크림, 에몰리언트 크림, 영양 크림, 나이트 크림, 베이스 크림, 배니싱 크림, 모이스처 크림, 마사지 크림, 콜드 크림, 립밤 등을 들 수 있다.
크림에 사용하는 유성성분 및 계면활성제로서는 상기 화장수의 항에 기재한 각각의 성분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림에는 유성성분의 보조 성분으로서 고래왁스, 세탄올, 라놀린, 유동 파라핀, 바셀린, 글리세린 또는 스쿠알란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배합할 수 있으며, 그들은 각각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크림 질량당 0.00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의 범위에서 배합된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혹은 크림은 상술한 여러 가지 성분 이외에도, 이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하기에 기재된 증점제,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주름 방지제, 해조 추출물, 세포부활제, 경피흡수촉진제, 발포제, 가용화제, 각질용해제, 호르몬류, 안료, 가소제, 무기 분말, 유기 분말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증점제)
증점제로는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퀸스시드,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검, 타라검, 타마린드, 퍼셀라란, 카라야검, 닥풀, 캬라검, 트라간트검, 펙틴, 펙틴산 및 나트륨염 등의 염, 알긴산 및 나트륨염 등의 염, 만난, 쌀, 옥수수, 감자, 밀 등의 전분, 덱스트린, 잔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커들란, 히알루론산 및 그 염, 잔탄검, 풀룰란, 젤란검, 키틴, 키토산, 한천, 갈조 엑기스, 콘드로이틴 황산, 카제인, 콜라겐, 젤라틴, 알부민,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및 그 나트륨 등의 염, 메틸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나트륨,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황산 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 메틸 전분, 메틸 히드록시 프로필 전분, 메틸 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염화 히드록시 프로필 트리모늄 전분, 옥테닐 석신산 옥수수전분 알루미늄 등의 전분 유도체,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등의 알긴산 유도체, 폴리비닐피돌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비닐피돌리돈·비닐알콜 공중합체, 비닐알코올·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acrylates)/아크릴산스테아릴/메타크릴산에틸아민옥사이드) 코폴리머 등의 양성 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MP, 폴리아세트산비닐 부분 검화물, 말레인산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산디알킬아미노알킬 공중합체; 아크릴수지 알칸올아민,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에틸 등의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및 그 나트륨염 등의 염,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폴리쿼터늄-10 등의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폴리쿼터늄-7 등의 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22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39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 메타아크릴산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47 등의 아크릴산·아크릴산메틸·염화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공중합체, 염화 메타크릴산콜린에스테르 중합체, 양이온화 올리고당, 양이온화 덱스트란,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화 다당류,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폴리쿼터늄-51 등의 2-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포릴콜린의 중합체 및 메타크릴산부틸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 아크릴수지 에멀젼, 폴리아크릴산에틸 에멀젼,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 에멀젼, 폴리아세트산비닐수지 에멀젼, 천연고무 라텍스, 합성 라텍스 등의 고분자 에멀젼,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류 및 각종 공중합체, 각종 실리콘류, 아크릴-실리콘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계 각종 공중합체, 각종 불소계 고분자,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및 그 염, 팔미틴산 덱스트린, 미리스틴산 덱스트린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실리카, 연무형상 실리카(초미립자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산나트륨 마그네슘, 금속 비누, 디알킬인산 금속염,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유기변성 점토광물,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프락토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 마르멜로 씨앗 추출물, 히드록시에틸 구아검, 카르복시메틸 구아검, 전분, 카르복시메틸 키틴 등의 천연 고분자 물질, 반합성 고분자 물질 혹은 합성 고분자 물질을 예시할 수 있다.
(비타민)
비타민류로서는 레티놀, 아세트산 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등의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티아민 염산염, 티아민 황산염, 리보플라빈, 아세트산 리보플라빈, 염산 피리독신, 피리독신 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 디팔미테이트,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시아노코발라민, 엽산류, 니코틴산아미드·니코틴산벤질 등의 니코틴산류, 콜린류, 비타민 B6 염산염, 비타민 B6 트리팔미테이트, 비타민 B6 디옥타노에이트, 비타민 B12,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5 및 그들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니코틴산 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리놀레산 토코페롤, 페룰라산 토코페롤, 토코페롤 인산에스테르 등의 토코페롤 유도체, 토코트리에놀, 비타민 E 아세테이트, 석신산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비타민 D류, 비타민 H, 판토텐산, 판테틴, 비타민 F, 비타민 K, 비타민 P 등의 플라보노이드류나 그 유도체, 비타민 U, 페룰라산, γ-오리자놀, α-리포산, 오로트산, 코엔자임 Q10, 비오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아미노산류)
아미노산류로서는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라이신,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티로신, 프롤린, 히드록시 프롤린,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히드록시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히스티딘, 타우린, 카르니틴 등이나, 그들의 황산염, 인산염, 질산염, 구연산염 또는 피롤리돈카르본산 및 그들의 유도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주름 방지제)
주름 방지제로서는 글리세린, 비타민 A 또는 그 유도체, 글리콜산, 아실화 글루코사민, 카이네틴, 비타민 E 또는 그 유도체, 알로에 추출물, 콜라겐, 히알루 론산, 트리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 등의 펩타이드류, 해조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로즈메리 추출물, 도깨비부채 추출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해조 추출물)
해조 추출물로서는 갈조, 홍조, 녹조, 남조 등으로부터의 추출액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다시마, 참다시마, 미역, 톳, 우뭇가사리, 산호말, 팔마리아, 진두발(Chondrus ocellatus Holmes), 김, 파래, 구멍갈파래, 아스코필룸, 푸커스, 큰실말, 오키나와 큰실말, 히만탈리아 등으로부터의 추출물을 예시할 수 있다. 거머리말 등의 수용성 식물로부터의 추출물도 이에 포함된다.
(세포부활제)
세포부활제로서는 유청, 아르니카, 황벽나무, 클로렐라, 홉, 순무 등의 식물의 추출물, γ-아미노부티르산, ε-아미노프론산 등의 아미노산류,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염산 피리독신, 판토텐산류 등의 비타민류, 글리콜산, 젖산 등의 α-히드록시산류,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알란토인, 감광소 101호, 감광소 301호, 감광소 401호, NK-4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경피흡수촉진제)
경피흡수촉진제로서는 우레아, 젖산, 과일산, 글리콜산 등의 α-히드록시산, 살리실산 등의 β-히드록시산, 올레인산, 운데카노인산, 옥탄올, 노나놀, 멘톨, 티몰, 리모넨, 디메틸설폭사이드, 도데실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라우릴황산나트륨, N,N-비스(2히드록시에틸) 올레일아민,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도데실디메틸암모니오프로판설폰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n,n-디메틸-m-톨루아미드, 디에틸-m-톨루아미드, 라우로카프람, 1-도데실아자시클로헵탄-2-온,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N-모노 또는 디 치환-p-멘탄-3-카르복시아미드, 2-(2-메톡시-1-메틸에틸)-5-메틸시클로헥사놀, 아자시클로알칸 유도체, 시클로덱스트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발포제)
발포제로서는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바륨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아조비스이소 부티로니트릴, 아조디카르본산아미드,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트리니트로트리메틸트리아민, 4,4'-옥시비스(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파라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 디페닐설폰-3,3'-디설포닐히드라지드, 알릴비스(설포닐히드라지드), p-톨루일렌설포닐세미카르바지드, 4,4'-옥시비스(벤젠설포닐세미카르바지드),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 모노플루오로메탄 등의 불화알칸, 5-모폴릴-1,2,3,4-티아트리아졸,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아질산암모늄, 수소화붕소나트륨, 아지드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가소제)
가용화제로서는 에탄올, 페녹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틸 알코올, 벤질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이소프렌 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2,3-펜탄디올, 2,4-펜탄디올, 소르비톨, 말비톨, 라피노오스, 헥실렌 글리콜, 라우린산 디에탄올 아미드,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등의 폴리올,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레놀레일 알코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테트라알킬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트리메틸 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지방산염, 알킬 황산염,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알킬 황산 트리에탄올 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로일 글루타민산 나트륨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라우릴 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등의 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설포아미노미산형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레시틴, 리소 포스파디딜콜린, 세라마이드, 세레브로시드, 서펙틴 나트륨 등의 천연 계면활성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각질용해제)
각질용해제로서는 글리콜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구연산, 젖산, 피루브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사과산,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아세트산, 페놀, 레졸신, 레티노산, 아다팔렌, 트리클로로아세트산, 5-플루오로우라실, 아젤라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호르몬류로서는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콜레칼시페롤, 에스트로겐, 프레그네놀론, 부신피질 호르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안료)
안료로서는 탈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무수 규산 등의 체질 안료, 산화 티탄, 산화 아연 등의 백색 안료, 황산화철, 벵갈라, 흑산화철, 군청, 감청, 산화 크롬, 수산화 크롬, 카본 블랙 등의 착색 안료, 물고기 비늘박, 옥시 염화 비스무트, 운모 티탄, 착색 운모 티탄 등의 펄 안료,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칼슘 및 알루미늄염, 라우린산, 팔미틴산, 미리스틴산 아연염, 전분가루, 실크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폴리메타아크릴산 메틸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등의 분체 안료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로서는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구연산 아세틸 트리부틸, 캠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무기 분말)
무기 분말로서는 인산 수소 칼슘, 유기 변성 몬모릴로나이트, 규산, 무수 규산, 규산 마그네슘, 운모, 벤토나이트, 티탄 피복 운모, 옥시 염화 비스무트, 산화 지르코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아연,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감청, 산화크롬, 칼라민, 제올라이트 및 카본 블랙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분말로서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 수지, 우레아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상기 화합물의 단량체의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혹은 크림에는 상기 이외에도 추가로 항생물질, 당전이 글리시리진, 글리시리진, 알펜로제 추출물, 골든 크로커스(Crocus chrysanthus) 추출물, 기장씨앗 추출물, 석류꽃 추출물, 초두구 추출물, 뿔나팔버섯 자실체 추출물, 일본목련 추출물, 난노클로롭시스 추출물, 비히타키 추출물, 비브리오 알지놀리티쿠스 발효액, 인간 올리코 펩타이드, 흑효모 배양액, 누룩곰팡이/밤속껍질 발효엑기스, 알테로모나스 발효엑기스, 가수분해 효모 엑기스, 효모 엑기스, 효모다당체, 쌀발효액, 서머스 서모필러스 배양물, 술지게미 엑기스, 사카로미세스/Ca 배양물, 사카로미세스/K 배양물, 사카로미세스/Mg 배양물, 사카로미세스/아연 배양물, 사카로미세스/해염배양물(사카로미세스/자일리넘) /홍차배양물, 사카로미세스/ 규소 배양물, 사카로미세스/게르마늄 배양물,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에 엑기스, 사카로미세스/셀렌 배양물, 사카로미세스/ 철 배양물, 사카로미세스/구리 배양물, 사카로미세스 배양용해질액, 사카로미세스/망간 배양물, 사카로미세스 용해질 엑기스, 슈도알테로모나스(Pseudoalteromonas) 발효 엑기스, 스클레로튬검(Sclerotium gum), 스핑고모나스(Sphingomonas paucimobillis) 엑기스, 대두 발효 엑기스, 두유 발효액, 유산간균/에리오딕티온 칼리포르니쿰 발효엑기스, 유산간균/올리브잎 발효 기스, 유산간균/카카오 열매 발효액, 유산간균/퀴노아 발효 엑기스, 유산간균/쌀 발효엑기스, 유산간균/서양배 과즙 발효액, 유산간균/대두발효 엑기스, 유산간균/토마토 발효엑기스, 유산간균/대추야자열매 발효엑기스, 유산간균/(젖/Ca/인/Mg/아연) 발효물, 유산간균/하이비스커스 발효액, 유산간균/(콩 종자 엑기스/글루타민산Na) 발효액, 유산간균/포도과즙 발효액, 유산간균/페퍼호박 과실 발효 엑기스, 유산간균/(영지엑기스/표고버섯 엑기스) 발효액, 유산간균/레몬 과피 발효엑기스, 유산간균/고추냉이 뿌리 발효엑기스, 유산구균 배양액, 바칠루스/(쌀겨엑기스/ 대두엑기스) 발효액, 바실루스 발효물, 비피더스균 발효엑기스, 미크로코커스 용해액, 요구르트액, 라넬라/대두단백 발효물, 와인 엑기스, 베타-D 글루쿠론산, α-L-이두론산, β-D-글루쿠론산이 연결된 3당 구조를 기본 단위로 해서 연속해있는 산성다당을 주성분으로 하는 말뚝버섯유래 젤라틴 모양의 물질, 해바라기싹 추출물, 잭푸르트(씨) 추출물, 용안 추출물, 파라크레스 추출물, 꽃사과 추출물, 양제갑(보히니아) 추출물, 펠라르고니딘 추출물, 키네틴, 글리실 프롤린, 에틸헥실 글리세린, 에톡시 디글리콜, 올레일 글리세릴, 글루코노락톤, 디카프리릴 에테르, 디히드록시 아세톤, 판테니 에틸, 히드록시 알킬(C16-18) 히드록시 다이머 디리놀레일 에테르, 히드록시 알킬(C12-14) 히드록시 다이머 디리놀레일 에테르, 메톡시 에탄올 등의 에테르 및 케톤류, 아시아틴산, 알류리틱애시드(Aleuritic Acid), 우르솔산 나트륨, 올레아놀산, 구아니딘 염산염, 구연산 알루미늄, 구연산 나트륨, 구연산 디암모늄, 구연산 트리(테트라메틸 히드록시 피페리디놀), 석시닐 글리시레틴산 나트륨, 디티오글리콜산, 디티오글리콜산 MEA, 디티오글리콜산 디암모늄, 세바스산,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MEA,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티오젖산, 티오젖산 암모늄, 판테테인 설폰산 칼슘, 프로피온산 칼슘, 프로피온산 나트륨, 펜테트산, 펜테트산 5나트륨, 마데카신산 등의 유기산 또는 그 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아미노메틸프로판디올, 디이소프로판올아민, 시스테아민 염산염,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등의 아민류, 디옥시리보핵산(DNA), 디옥시리보핵산 칼륨염, 리보핵산(RNA), 리보핵산 나트륨염, 아몬드 단백, 아스파탐, 아데노신 인산, 아데노신 인산 2나트륨, 알라닐 글루타민, (아르기닌/라이신)폴리펩타이드, 운데시레노일 페닐알라닌, 에르고티오네인, 올리고펩타이드-6, 오르니틴 염산염, 가수분해 DNA, 가수분해 RNA, 가수분해 아몬드 단백, 가수분해 액틴, 가수분해 엘라스틴, 가수분해 카제인, 가수분해 귀리 단백, 가수 분해 케라틴, 가수분해 효모 단백, 가수분해 쌀 단백, 가수분해 콘키올린, 가수분해 실크, 가수분해 화이트 루핀(white lupin) 단백, 가수분해 대두 단백, 가수분해 옥수수 단백, 가수분해 유단백, 가수분해 꿀 단백, 가수분해 개암 단백, 가수분해 호호바 단백, 가수분해 야채 단백, 가수분해 로얄젤리 단백, 귀리 커넬 단백질 우유 당단백, 구아닐산 2나트륨, 크레아틴, 케라틴, 밀 글루텐, 밀 단백, 살코신, 시트룰린, 디팔미토일 히드록시 프롤린, 디펩타이드-2, 세리신, 대두 단백, 헥사펩타이드-2, 헥사펩타이드-3, 헥사펩타이드-9, 헥사펩타이드-10, 헥사펩타이드-11, 펜타펩타이드-3, 유청 단백 등의 단백 및 핵산류, 코엔자임 A, 서틸레인(sutilains), 파파인, 프로테아제, 브로멜라인, 리파아제, α-글루코시다아제 등의 효소류, 멘톤글리세린아세탈 등의 테르펜류(C30-38 올레핀/말레인산이소프로필/말레인산) 코폴리머, (HDI/PPG/폴리카프로락톤) 크로스폴리머, PEG-4, PEG-6, PEG-8, PEG-12, PEG-16, PEG-20, PEG-30, PEG-32, PEG-40 등의 폴리에틸렌 글리콜류, PPG-3, PPG-7 등의 산화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그 유도체, (VA/크로톤산/네오데칸산비닐) 코폴리머, (VP/아크릴산 DMAPA) 코폴리머, (VP/비닐카프로락탐/아크릴산 DMAPA) 코폴리머, (VP/메타크릴아미드/비닐이미다졸)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암모늄)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아크릴산)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 코폴리머, (아크릴산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 코폴리머, (아크릴산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코폴리머, (아크릴산/아크릴아미드메틸프로판설폰산) 코폴리머,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C10-30)) 코폴리머, (아크릴산아미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아크릴산알킬/옥틸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아크릴산알킬 코폴리머 또는 그 유도체,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아모디메티콘) 코폴리머 AMP,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MP,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MPD, (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아크릴산부틸/아크릴산메톡시에틸) 코폴리머, (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아크릴산메톡시에틸) 코폴리머, (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나트륨)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Acrylates)/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알킬 (C10-30))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알킬스테아릴/메타크릴산에틸아민옥사이드)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Acrylates) 코폴리머, 카르보머,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틸) 코폴리머, 합성 왁스, 수첨 C16-14 올레핀 폴리머,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렌 이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옥타늄-5, 폴리옥타늄-6, 폴리옥타늄-7, 폴리옥타늄-11, 폴리옥타늄-16, 폴리옥타늄-22, 폴리옥타늄-28, 폴리옥타늄-32 등의 폴리옥타늄류, 폴리글루쿠론산, 폴리데센, 폴리프로필 실세스키옥산, 폴리메타크릴산 글리세릴, 폴리메타크릴로일에틸 베타인, 폴리메타크릴로일에틸 베타인, 레파게르마늄 등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 아세틸 디펩타이드-1 세틸, 아세틸 테트라펩타이드-2, 아세틸 테트라펩타이드-5, 아세틸 헥사펩타이드-1, 아세틸 헥사펩타이드-3, 이소알킬(C8-16) 석신산 락토글로불린 설폰산 나트륨 등의 화장품을 비롯한 피부 외용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뿐만 아니라, 상기 이외에도 기존의 화장품 원료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장품 원료기준 제2판 주해』, 일본공정서협회 편, 주식회사 약사일보사, 1984년 발행, 『화장품 원료기준외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심사과 감수, 주식회사 약사일보사, 1993년 발행, 『화장품 원료 기준외 성분 규격 추가보충』, 후생성 약무국심사과 감수, 주식회사 약사일보사, 1993년 발행, 『화장품 종별 허가기준』, 후생성 약무국심사과 감수, 주식회사 약사일보사, 1993년 발행,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심사과 감수, 주식회사 약사일보사, 1997년 발행, 『최신 화장품 과학-개정 증보 Ⅱ』, 일본화장품기술자회 편, 주식회사 약사일보사, 1992년 발행 및 『화장품 사전』, 일본화장품기술자회 편, 마루젠 주식회사, 2003년 발행, 『일본 화장품 원료집 2007』, 일본화장품공업연합회 편, 주식회사 약사일보, 2007년 발행 등에 기재되어 있는 모든 화장품 원료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C. 제조방법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혹은 크림 등의 기초 화장품은 기제인 수성 매체에 유효성분인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제인 수성 매체에 유효성분인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고 용해하여 용액의 pH를 3 내지 11,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로 한 후, 목적으로 하는 제품의 종류에 따른 적절한 처리방법에 따라, 원하는 제품이 완성될 때까지의 적절한 공정으로 함유시키면 된다. 각 성분을 배합하는 방법, 순서나 여러 가지 처리를 실시하는 시기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적절한 방법, 순서를 채용할 수 있다.
특히,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 또는 무수결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혹은 크림 등의 기초 화장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미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과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을 적절한 배합 비율로 배합한 조성물로 해 둠으로써, 종래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별도 알칼리로 중화하는 일 없이, 수성 매체에 용해했을 때의 pH를 원하는 3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따르면, 별도 알칼리를 사용하는 중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알칼리 나 완충제의 첨가로 인한 염 농도의 상승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혹은 크림 등의 기초 화장품에서의,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지만, 통상, 제품 질량당, 고형물 환산(무수물 환산)으로, L-아스코르빈산으로서 0.1질량% 내지 90질량%, 바람직하게는 0.5질량% 내지 5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질량%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질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혹은 크림 등의 기초 화장품은 유효성분으로서, L-아스코르빈산, 그 유도체 및 그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턴오버를 개선하고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을 유지 또는 항진하며 또한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산을 유지 또는 항진하여, 주름 방지, 잔주름 방지, 기미 방지, 처짐 방지 등이 뛰어난 안티에이징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 1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피부에서의 턴오버에 대한 작용>
본 명세서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표피는 외측으로부터 "각질층(각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성되어, 기저층에서 생성된 표피 세포는 순차적으로 외측으로 이동하여 각질층이 되며, 결국 벗겨져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주기는 일반적으로 턴오버라 불리고 있으며, 나이 듦에 따라 턴오버가 지체될 경우, 피부 처짐이나 주름, 잔주름이 발생하는 등,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의 턴오버에 대한 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1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피부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정상적인 인간의 신생아 포피 표피 각화세포(쿠라보우사 판매, 이하 "NHEK 세포"라고 약칭한다.)를 세포증식첨가제(EDGS: EpiLife Defined Growth Supplement) 함유 EpiLife 배지(Invitrogen사 판매, 이하, EDGS 함유 EpiLife 배지를 "EpiLife 배지"라고 약칭한다.)에 현탁하여, 5용적% CO2 존재하에, 37℃의 조건에서 60 내지 80%의 컨플루언트로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세포를 박리 세정한 후, HuMedia-KB2 배지(쿠라보우사 판매)로 7.5×103 세포/mL로 조정한 후, 콜라겐(닛타젤라틴사 판매, 상품명 "Cellmatorix Type IV")을 코팅한 24웰 플레이트에 0.4mL/웰로 접종하고, 5용적% CO2 존재하에, 37℃의 조건하에서 1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상청을 제거한 후, 하이드로코르티손 및 인슐린 첨가 HuMedia-KB2 배지(쿠라보우사 판매, 이하 "KB2-HI 배지"라고 약칭한다)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의 최종농도가 0 내지 900μM이 되도록 용해시킨 것을 0.6mL/웰 만큼씩 첨가하고 5용적% CO2 존재하, 37℃의 조건하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25체적%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을 60μL/웰 만큼씩 첨가하여 세포를 고정한 후, 상청을 제거하고 물로 세정한 후, 메틸렌 블루 용액을 0.24mL/웰로 첨가하여 핵 염색을 실시하였다. 물에 의한 세정 후, 0.33N 염산을 0.5mL/웰 만큼씩 첨가하여 색소를 추출하고, 96 웰 플레이트에 0.1mL/웰 만큼씩 옮겨 595nm 및 650nm의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650nm 파장의 흡광도값에서 595nm 파장의 흡광도값을 뺀 값을 세포증식률의 지표로 삼았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포함하지 않는 KB2-HI 배지를 사용한 경우를 대조구로 하고, 그 경우의 값을 100%로 하여 세포증식률을 상대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농도
(μM)
세포증식률
(%)
0 100
100 148
300 157
900 169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NHEK 세포에 대해 강한 증식촉진효과를 나타내며, 그 상대적인 세포증식률은 100μM에서 148%, 300μM에서 157%, 900μM에서 169%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승하였다. 상기의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가 피부 표피 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피부의 턴오버를 개선하여 주름, 잔주름이나 처짐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참고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실험에 사용한 NHEK 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해 L-아스코르빈산을 유리시키므로, 상기의 작용은 L-아스코르빈산의 작용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실험 1-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실험 1-2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피부 세포의 분화 마커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근래, 표피 세포의 분화 마커 단백질로서 인볼루크린(involucrin), 필라그린(filaggrin)이 주목받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이들 분화 마커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상적인 인간의 신생아 포피 표피 각화세포(NHEK 세포)를 EpiLife 배지에서 2.5×105 세포/mL로 조제한 후, 12 웰 플레이트에 1mL/웰 만큼씩 접종하여 5용적% CO2 존재하에 37℃의 조건하에서 1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상청을 제거한 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최종농도 300, 600μM가 되도록 첨가한 배지를 1mL/웰로 첨가하고, 5용적% CO2 존재하, 37℃의 조건하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또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에서 마찬가지로 배양한 것을 대조구로 삼았다. 각각 같은 농도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을 첨가한 배지를 1mL/웰 만큼씩 추가로 첨가하고, 또한 동일 조건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상청액을 제거한 후, 인산 완충식염수(PBS)로 세정하고, 그 후 세포추출용 완충액(프로테아제 억제제, 2w/v% SDS, 1mM EDTA 함유 20mM 트리스 염산 완충액, pH 8.0)으로 세포를 용해하고, 20분간 얼음 위에서 반응한 후, 소니파이어(BRANSON사제)를 이용하여 초음파 파쇄에 의해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회수하고, 그 일부를 단백질 정량으로 제공하였다. 나머지 상청액에 4배 농축 샘플완충액 (50mM DTT, 40w/v% 글리세린, 0.02w/v% 브롬페놀 블루 함유 250mM 트리스 염산 완충액 pH 6.8)를 1/3 양만큼 혼합하여 99℃에서 5분간 유지한 것을 웨스턴 분석용 샘플로 사용하였다. 1레인에 단백질 양이 20μg가 되도록 충전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실시한 후, 젤 중의 단백질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폴리불화비닐리덴(PVDF)막으로 옮겨, 블록 에이스(Block Ace)(DS 파머 바이오메디컬사제)에 침지하여 블록킹하였다. PVDF막을 항인볼루크린 항체 또는 항필라그린 항체(Santa Cruz사 판매)를 10용적% 블록 에이스 함유 50mM TBS(200mM NaCl 함유 50mM Tris-HCl(pH7.4)) 완충액(이하 "TBS 완충액" 이라 한다.)으로 100배 희석한 용액에, 실온에서 1시간 침지한 후, 0.05용적% 트윈 20을 포함하는 50mM TBS 완충액으로 세정하여 과잉 항체를 제거하였다. PVDF막을, HRP 표지된 항마우스 IgG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DAKO사 판매) 용액에 실온에서 2시간 침지하였다. 이 막을 0.05용적% 트윈 20을 포함하는 50mM TBS 완충액으로 30분간 세정한 후, 시판하는 웨스턴 블로팅 검출 키트(지이 헬스케어 바이오사이언스사 판매, 상품명 "ECL Prime Western Blotting Detection System")를 이용하여 검출하고, 화상 분석 소프트웨어("ImageJ", NIH 개발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화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부 표준으로서 α-튜불린을 사용하여, 각 단백질의 발현을 α-튜불린의 발현에 대한 상대적 발현량으로 보정하여(대조구를 50%로 함)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농도(μM)
상대발현량(%)
인볼루크린 필라그린
0 50 50
300 74 65
600 84 71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농도에 의존하여 분화 마커 단백질인 인볼루크린 및 필라그린의 모든 발현량이 증강되었다. 상기의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작용에 의해 피부 표피 세포의 분화가 촉진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화장품은 피부에서의 턴오버 개선 작용이 뛰어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 2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기미방지작용>
여성 피험자 16명(연령 37 내지 55세)에 대해, 안면에 발생한 색소침착부위 (기미부위)를 피험부위로 하고,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하기 배합의 크림을 1일 2회(아침과 저녁), 1회 2g, 90일간 도포시켰다. 크림의 도포 전, 도포 45일 및 90일째에, 각 피험자의 피험부위의 색조를 팬톤컬러 포뮬러 가이드 747 XR을 사용해 조사하고, 색도계 CR-200(미놀타사제)을 사용해 피험부위의 밝기(L*값)를 각각 측정하여, 16명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 크림의 배합 조성>
<A상>
배합 성분 (질량부)
물 53.29
카보머 2w/v% 용액 15.0
EDTA2 나트륨 0.1
글리세레스-26 3.0
<B상>
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릴 5.0
알킬안식향산(C12-15) 7.5
시클로펜타실록산, 시클로헥사실록산 3.0
디메티콘 0.5
스테아린산 2.5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2.0
세테알릴알코올 1.75
<C상>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D상>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2.0
(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E상>
프로필렌글리콜 56체적%, 디아졸리디닐우레아 30체적%, 1.0
메틸파라벤 11체적%, 프로필파라벤
3 체적%
A상 성분을 가열하면서 혼합하고, 마찬가지로 B상 성분을 가열하여 혼합한 후, B상을 A상에 첨가하였다. 이에 C상을 첨가하여 냉각하고, D상과 E상을 첨가한 후, 트리에탄올아민으로 pH 6.5으로 조정하였다.
크림의 도포기간
(일)
기미 부위의 L*값
0 56
45 58
90 6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포 일수에 따라, 피험부위의 L*값(밝기)이 증가하고, 색소침착부위의 색이 옅어졌다. 통상, 기미는 햇볕에 탄 것과는 달리, 시간이 지날수록 소실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상기의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피부의 색소침착부위를 담색화하여 기미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 3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글루타티온 생산에 미치는 영향(1)>
글루타티온은 생체 내에서 항산화성분 및 조효소로서 기능하는 펩타이드이며, 통상, 산화형으로 존재하고 있지만, 효소에 의해 환원형으로 변환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생체 내에서는 글루타티온 레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글루타티온 레벨의 저하는 노화의 요인 중 하나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글루타티온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을 인간의 상피유사세포암 유래 세포주(A431 세포, 휴먼사이언스연구자원뱅크, JCRB0004) (이하, "A431 세포"로 약칭한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시험용액>
10체적% 소태아혈청 및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Dulbecco의 MEM 배지(이하 "D-MEM 배지"로 약칭한다)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시약 급)와 L-아스코르빈산(와코쥰야쿠 공업주식회사 판매, 특급)을,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또는 L-아스코르빈산의 최종농도가 1.0, 2.0mM이 되도록 용해하여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A431 세포에서의 글루타티온 생산량의 정량방법>
D-MEM 배지를 사용하여 계대 배양한 A431 세포를 회수하여, D-MEM 배지에 재현탁하고, 10cm 지름의 세포배양용 플레이트에 1×106 세포/10ml/플레이트로 파종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흡인제거하고, 시험액 중 어느 하나를 10ml/플레이트로 첨가하여 24시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구로서, D-MEM 배지만을, 10ml/플레이트로 첨가하여 24시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 상청을 제거한 각 플레이트에, 얼음으로 냉각한 Dulbecco PBS(-)(닛스이제약 주식회사 판매)를 첨가하여 세포를 세정한 후, 스크래이퍼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시판하는 글루타티온 측정 키트(Bio vision사 판매, 상품명 "Gluthatione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은 대조액 혹은 시험액에 대해 각각 3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플레이트당 글루타티온 양의 평균을 구하여 글루타티온 생산량으로 하였다. 또한, A431 세포의 배양은 어떠한 경우에도 5용량% 탄산가스 배양장치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D-MEM 배지에서만 배양한 경우의 A431 세포의 환원형 또는 총 글루타티온 생산량을 각각 100%로 해서 상대값을 구하고,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mM)
환원형 글루타티온
(%)
총 글루타티온
(%)
무첨가(대조구) - 100 10
L-아스코르빈산 1 -* -*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
1 123 106
2 157 131
* : 세포 장애 때문에 측정할 수 없음.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L-아스코르빈산을 1.0mM 첨가한 D-MEM 배지에서는 세포 장애가 발생하여, A431 세포에서의 환원형 글루타티온 및 총 글루타티온은 측정할 수 없었다. 또한, L-아스코르빈산을 상기의 조건에서 세포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농도의 상한인 0.1mM 첨가한 경우, A431 세포의 총 글루타티온 및 환원형 글루타티온 생산량은 각각 103% 및 102%로 무첨가인 경우와 동일한 정도이며, L-아스코르빈산에 의한 글루타티온 생산량의 증가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반해, D-MEM 배지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1.0mM 또는 2.0mM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A431 세포의 경우에는 세포 장애를 일으키는 일 없이 총 글루타티온 생산량은 증가하여 각각 115%, 508%가 되며,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첨가량에 의존하여 총 글루타티온생산의 증강이 확인되었다. 또한, 환원형 글루타티온 생산량은 각각 313%, 6816%가 되며,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첨가량에 의존하여 환원형 글루타티온 생산의 증강이 확인되었다. 또한, 총 글루타티온의 증가에 대해 환원형 글루타티온의 증가 정도가 컸는데, 이는 특히 환원형 글루타티온 레벨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431 세포의 경우,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로부터 세포 장애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L-아스코르빈산이 유리되어 글루타티온의 생산 증강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 4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글루타티온 생산에 미치는 영향 (2)>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글루타티온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을 정상적인 인간 신생아 표피 각화세포(NHEK 세포, 쿠라보우사) (이하 "NHEK 세포"로 약칭한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시험용액>
실험 1-1에서 이용한 EpiLife 배지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시약급)와 L-아스코르빈산(와코쥰약 공업주식회사 판매, 특급)을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또는 L-아스코르빈산의 최종 농도가 0.5, 1.0, 2.0mM가 되도록 용해하여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NHEK 세포에서의 글루타티온 생산량의 정량방법>
EpiLife 배지를 사용하여 계대 배양한 NHEK 세포를 회수하여, EpiLife 배지에 재현탁하고, 10cm 지름의 세포배양용 플레이트에 1×106 세포/10ml/플레이트로 파종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흡인제거하고, 시험액 중 어느 하나를 10ml/플레이트로 첨가하여 24시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구로서, EpiLife 배지만을 10ml/플레이트로 첨가하여 24시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 상청을 제거한 각 플레이트에, 얼음으로 냉각한 Dulbecco PBS(-)(닛스이제약 주식회사 판매)를 첨가하여 세포를 세정한 후,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시판하는 글루타티온 측정 키트(Bio vision사 판매, 상품명 "Gluthatione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은 대조액 혹은 시험액에 대해 각각 3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플레이트당 글루타티온 양 및 그 평균을 구하여 글루타티온 생산량으로 하였다. 또한, NHEK 세포의 배양은 어떠한 경우에도 5용량% 탄산가스 배양장치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EpiLife 배지에서만 배양한 경우의 NHEK 세포의 환원형 또는 총 글루타티온 양을 각각 100 %로 하여 상대값을 구하고,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mM) 환원형 글루타티온(%) 총 글루타티온(%)
무첨가(대조구) - 100 100
L-아스코르빈산 0.5 -* -*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
0.5 106 106
1.0 111 111
2.0 117 117
* : 세포 장애 때문에 측정할 수 없음.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L-아스코르빈산을 0.5mM 첨가한 EpiLife 배지에서는 세포 장애가 생겨, NHEK 세포에서의 환원형 글루타티온 및 총 글루타티온은 측정할 수 없었다. 또한, L-아스코르빈산을 상기 조건에서 세포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농도의 상한인 0.1mM 첨가한 경우, NHEK 세포의 총 글루타티온 및 환원형 글루타티온 생산량은 각각 103% 및 102%로 무첨가의 경우와 동일한 정도이며, L-아스코르빈산에 의한 글루타티온 생산량의 증가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반해, EpiLife 배지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0.5, 1.0mM 또는 2.0mM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NHEK 세포의 경우에는 총 글루타티온 생산량은 각각 106%, 111%, 117%가 되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첨가량에 의존하여 총 글루타티온 생산의 증강이 확인되었다. 또한, EpiLife 배지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0.5, 1.0mM 또는 2.0mM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NHEK 세포의 경우에는 환원형 글루타티온 생산량은 각각 106%, 111%, 117%가 되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첨가량에 의존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에 의한 환원형 글루타티온 생산의 증강이 확인되었다. 또한, 환원형 글루타티온의 증가 정도가 총 글루타티온과 같은 정도이며, 이는 환원형 글루타티온 레벨이 저하하는 일 없이 총 글루타티온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 3의 A431 세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NHEK 세포의 경우에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로부터 세포 장애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L-아스코르빈산이 유리되어 글루타티온의 생산 증강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 3 및 4의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총 글루타티온 생산 및 환원형 글루타티온 생산을 강화하는 현저한 작용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총 글루타티온의 생산 증강제 또는 환원형 글루타티온의 생산 증강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작용을 통해 생체의 노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실험 5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Dickkopf-1 생산에 미치는 영향>
사람의 피부에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기미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의 생성 및 축적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는, Dickkopf-1(이하 'DKK1"로 약칭함.) 생산에 미치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DKK1 생산 능을 갖는 정상적인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인 NHDF 세포(쿠라보우사 판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NHDF 세포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DKK1 생산에 미치는 영향>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 농도 1x104개/웰이 되도록, 배양 배지로 희석한 NHDF 세포를 파종하였다. 파종하고 나서 24시간 후에 플레이트의 각 웰 중의 상청을 제거하고,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최종 농도가 0.5, 1, 2, 4 또는 8mM이 되도록 각 웰에 첨가하였다. 대조구로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첨가하지 않는 시스템을 마련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첨가 후, 배양 1일째, 3일째에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의 상청을 채취하여, 상청 중의 DKK1을 DKK1 측정용 ELISA(상품명 "RayBio", 레이바이오텍사제)로 정량(n=3)하였다. 측정값의 통계학적 분석은 t검정(t-test) (『기초통계학 III 자연과학의 통계학』, 재단법인 도쿄대학 출판회 발행, 187페이지(2008년) 참조)에 의해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 농도(mmol/L)
DKK1 생산량(ng/ml)
1일째 3일째
0 0.115±0.012 0.217±0.021
0.5 0.117±0.018 0.317±0.035**
1 0.129±0.017 0.315±0.042**
2 0.149±0.037 0.339±0.030**
4 0.146±0.016* 0.392±0.014**
8 0.179±0.032* 0.413±0.033**
* : P<0.05 ** : P<0.01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농도의존적으로 NHDF 세포로부터의 DKK1 생산을 유의적으로 촉진시킴과 아울러, 배양일수 1일째와 3일째의 DKK1 생산량의 관계로부터 배양시간 의존적으로 DKK1 생산을 유의적으로 촉진하였다.
본 실험 결과로부터,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생체에 투여함으로써 DKK1의 생산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산을 억제하며, 케라티노사이트로의 멜라노솜의 수송을 억제하여, 기미 방지, 미백 작용을 발휘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생체 내의 효소 작용에 의해 L-아스코르빈산 및 D-글루코오스로 가수분해되어 L-아스코르빈산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부터, L-아스코르빈산은 물론,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이외의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L-아스코르빈산의 염, 및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의 염도 생체에 투여함으로써, DKK1의 생산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산을 억제 하며 케라티노사이트에 멜라노솜의 수송을 억제하여, 기미 억제, 미백 작용이 발휘된다고 생각된다. 특히,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그 나트륨염의 결정은 L-아스코르빈산보다도 안정적이며, 또한 생체 내에서 L-아스코르빈산을 유리하여 L-아스코르빈산 본래의 기능이 발휘되기 때문에, DKK1 생산을 촉진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험 6: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소안구증 관련 전사인자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소안구증 관련 전사인자(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이하 'MITF'로 약칭한다.)는 비만세포, 파골세포, 색소세포나 심근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이며, 인산화됨으로써 활성화하여, 멜라노사이트나 알레르기 질환에 관여하는 여러가지 단백질의 발현에 관여하고 있다. MITF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알레르기 질환이나 멜라노사이트 증식 이상을 억제하여 피부거침 억제나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MITF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을 마우스 흑색종(melanoma) 세포주 B16세포(이하, "B16 세포 "로 약칭한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용액>
10체적% 소태아혈청 및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Dulbecco의 MEM 배지(이하 "D-MEM 배지"로 약칭한다.)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시약급)와 L-아스코르빈산(와코쥰약 공업주식회사 판매, 특급)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또는 L-아스코르빈산의 최종 농도가 2.0 또는 8.0mM이 되도록 용해하여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B16 세포에서의 MITF 생산량의 정량방법>
D-MEM 배지를 사용하여 계대 배양한 B16세포를 회수하여 D-MEM 배지에 재현탁하고, 6 웰 플레이트에 1×105 세포/2ml/웰로 파종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흡인제거하고, 시험액 중 어느 하나를 2ml/웰로 첨가하여 2시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구로서, D-MEM 배지만을 2ml/플레이트로 첨가하여 2시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 상청을 제거한 각 플레이트에, 얼음으로 냉각한 Dulbecco PBS(-)(닛스이제약 주식회사 판매)를 첨가하여 세포를 세정한 후, 62.5mM Tris-HCl pH6.8, 2w/v% SDS, 10w/v% 글리세롤, 50mM DTT, 0.01w/v% 브로모페놀 블루를 함유하는 SDS 샘플 버퍼를 0.1ml/웰로 첨가하여 스크레이퍼로 세포를 회수하였다. 이 세포액을 초음파 분쇄기(Osminics사)에서 처리한 후, SDS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니트로셀룰로오스막에 전기적으로 전사한 후, 1차 항체(Anti phospho-MITF (Ser473) 또는 Anti MITF), 이차 항체와 반응시켜 LumiGLO를 반응시킨 후, X선 필름을 노광하고, MITF 양성 밴드를 검출하였다. 얻어진 밴드강도 분석을 Scion Image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인산화 MITF 및 MITF의 양을 구하였다. 또한, B16 세포의 배양은 어떠한 경우에도 5용적% 탄산가스 배양장치를 사용하였다. 각 시험액에서 배양한 경우의 B16 세포의 β-액틴 양을 100%로 한 경우의 인산화 MITF 및 MITF의 상대적인 양 및 인산화 MITF/MITF 비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시료 농도(mM) 인산화 MITF(%) MITF(%) 인산화 MITF/MITF
무첨가(대조구) - 73 81 0.90
L-아스코르빈산 2.0 -* -*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2.0 59 99 0.60
8.0 36 101 0.36
* : 세포 장애 때문에 측정할 수 없음.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L-아스코르빈산을 2.0mM 첨가한 D-MEM 배지에서는 세포 장애가 생겨, B16 세포에서의 MITF 양은 측정할 수 없었다. 또한, 대조구(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첨가)의 D-MEM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의 B16 세포에서의 인산화 MITF/MITF는 0.90이었다.
이에 반해, D-MEM 배지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2.0 또는 8.0mM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B16 세포에서는, 인산화 MITF/MITF 비는 각각 0.60, 0.36이 되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첨가량에 의존하여 MITF의 인산화 억제가 인정되었다. 이들 실험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MITF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현저한 작용을 가짐을 나타내는 것으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MITF의 인산화에 의한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을 통해 피부거침 억제나 미백을 위해 기능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실험 7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에 의한 각질층의 CE(cornified envelope) 생산과, 세포간 접착 구조체인 타이트 정션(TJ)의 관련 단백질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각질 세포의 최외층에 존재하며, 각질 세포의 내부를 지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CE, 및 표피 과립층에 존재하며, 세포간 접착구조체로서 알려져 있는 TJ의 관련 단백질(이하 "TJ 관련 단백질"이라 한다.)은 모두,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형성의 열쇠를 쥐고 있는(Bikle DD 등, 『Molecular and Cellular Endocrinology』, 제177권, 161~171 페이지, 2001년; 타쿠오 유키(Takuo Yuki) 등, 『Experimental Dermatology』, 제16권, 324~330 페이지, 2007년 참조)것을 감안하여, 본 실험에서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세포 레벨에서 이들 CE와 TJ 관련 단백질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상기 인용 문헌에는 각각 칼슘(Ca)이 CE 및 TJ 관련 단백질의 생산을 항진하여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을 항진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실험 7-1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각질층의 CE 생산에 미치는 영향>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각질층의 CE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할 목적으로, 이하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표준적인 정상 인간의 표피 세포의 모델로서, 정상적인 인간의 신생아 포피 표피 각화세포(쿠라보우사 판매, 이하 "NHEK 세포"로 약칭한다.)를 EpiLife 배지(Invitrogen사 판매, 이하 "EpiLife 배지"라 한다.)(pH 7.4)에 현탁하여 12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세포 농도 1×105 세포/웰이 되도록 파종하여, 5용적% CO2 존재하, 37℃의 조건하에서 하룻밤 배양한 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최종 농도가 0.5 또는 1mM가 되도록, 또는 양성 대조구인 CaCl2를 최종 농도가 1mM가 되도록 각 웰에 첨가하고, 2일마다 각 웰의 배지를 상기 소정 농도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또는 CaCl2를 포함하는 신선한 EpiLife 배지로 교환하면서 5용적% CO2 존재하, 37℃의 조건하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세포 내 CE 함량의 측정은 타츠야 하세가와(Tatsuya Hasegawa) 등, 『리핏즈』, 제46권, 529~535 페이지, 2011년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즉, 배양 종료 후, 즉시 각 웰의 배양 상청을 제거하고, 2w/v% 도데실 황산나트륨(SDS) 함유 인산 완충식염수(PBS)(pH 7.4)를 사용하여 각 웰의 벽부에 부착된 세포를 피펫팅 조작에 의해 박리하면서 세포를 추출한 후, 원심분리(15,000rpm×10분)에 의해 불용성 분획물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불용성 분획물에 SDS 및 1,4-디티오트레이톨(DTT)을 각각 최종농도가 2w/v% 및 20mM이 되도록 첨가한 후, 2시간 끓여 불용성 분획물을 용해시키고, 샘플링하여 단백질 농도가 1mg/ml가 되도록 조정한 후, 분광광도계로 310nm 파장에서의 광학밀도(OD)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CE 생산량으로 하였다. 또한, 대조구로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는 시스템을 마련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OD 310nm의 값(CE 생산량)
무첨가(대조구) 0.63±0.07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0.5mM) 0.78±0.05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1mM) 1.04±0.11
CaCl2(1mM) 1.07±0.07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양성 대조구의 CaCl2와 마찬가지로, 표피 각화 세포에서의 CE 생산 유도능을 가지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또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농도의존적으로 CE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판명되었다.
본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피부 장벽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각질층에서의 CE 생산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나이 듦에 따라 저하하는 피부 장벽 기능을 유지 또는 항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실험 7-2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세포간 접착 구조체를 구성하는 TJ 관련 단백질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세포간 접착 구조체를 구성하는 TJ 관련 단백질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할 목적으로, 표피 과립층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 TJ 관련 단백질로서, 근래 각광을 받고 있는 오클루딘 (occludin)과 ZO-1에 주목하여 이하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표준적인 정상 인간 표피 세포의 모델로서, NHEK 세포를 EpiLife 배지(pH 7.4)에 현탁하여 12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세포농도가 1×105 세포/웰이 되도록 파종하고, 5용적% CO2 존재 하, 37℃의 조건에서 하룻밤 배양한 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최종농도가 0.5 또는 1mM이 되도록, 또는 양성 대조구로서 CaCl2를 최종농도가 0.5mM이 되도록 각 웰에 첨가하여, 5용적% CO2 존재하, 37℃의 조건하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종료 후, 1w/v% SDS 함유 PBS를 이용하여 각 웰의 벽에 부착된 세포를 피펫팅 조작에 의해 박리하면서 세포추출을 실시하였다. 각 웰의 세포추출액에 대해, 1레인당 20μg 단백질 상당량을 20mM DTT 함유 10w/v% 도데실 황산나트륨-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AGE)에 제공하여, 1차 항체로서 항오클루딘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상품명 "F-11", Santa Cruz사 판매) 또는 항ZO-1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상품명 "ZO1-1A12", Invitrogen사 판매)를 사용하고, 2차 항체로서 서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HRPO) 표지 항마우스 IgG(상품명 "P0447", DAKO사 판매) 또는 HRPO 표지 항토끼 IgG(상품명 "P0448", DAKO사 판매)를 사용하여, 공지의 웨스턴 블로팅 방법을 적용하여 각 세포추출액 중의 오클루딘 또는 ZO-1 농도를 α-튜불린을 내부표준으로 하는 프리믹스 화학발광검출시약(상품명 "Luminata Western HRP Substrates", Merck사 판매)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또한, 표 9 중, %가 붙은 수치는 양성 대조구인 CaCl2의 첨가시스템에서의 세포추출액 중의 오클루딘 농도 및 ZO-1 농도를 각각 100%로 하였을 때의 상대값을 나타낸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처리 농도(mM) CaCl2 처리 농도(mM)
0 0.5 1 1
세포추출액 중의 오클루딘 농도 63% 78% 85% 100%
세포추출액 중의 ZO-1 농도 38% 72% 92% 100%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양성 대조구인 CaCl2와 마찬가지로, 표피 각화 세포에서의 오클루딘 및 ZO-1의 생산 유도능을 가지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또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농도의존적으로 오클루딘 및 ZO-1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판명되었다.
본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피부 장벽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표피 과립층에서의 TJ 관련 단백질인 오클루딘 및 ZO-1의 생산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나이 듦에 따라 저하되는 피부 장벽 기능을 유지 또는 항진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 8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히알루론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
나이 듦에 따라 진피에서 히알루론산이 감소하면, 주름이 형성되거나 피부의 탄성이 저하되어 처짐이나 피부거침이 생긴다고 하는 것을 감안하여, 본 실험에서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즉, 『보습·미백·기미 방지·항산화 평가·실험법 매뉴얼』, 편저/감수: 마사키 진, 프레그런스 저널(Fragrance Journal)사 발행, 94~97 페이지, 2012년에 기재된 "히알루론산 합성촉진 평가법"에 준하여, 표준적인 정상적 인간 표피 세포의 모델로서, NHEK 세포를 EpiLife 배지(Invitrogen사 판매)(pH 7.4)에 현탁하고 12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세포농도가 5×104 세포/웰이 되도록 파종하여, 5용적% CO2 존재하, 37℃의 조건하에서 하룻밤 배양한 후, 배지를 신선한 HuMedia-KG2 배지(쿠라보우사 판매)와 교환하고,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최종 농도가 0.25, 0.5 또는 1mM이 되도록 각 웰에 첨가하여, 5용적% CO2 존재하, 37℃의 조건하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종료 후, 즉시 각 웰의 배양 상청을 채취하여, 상청 중의 히알루론산을 시판의 효소면역측정법(ELISA) 키트(상품명 "Hyaluronan, DuoSet Kit", 상품코드: DY3614, R&D사 판매)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또한, 대조구로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는 시스템을 마련하였다. 결과는 표 10에 나타낸다.
배양 상청 중의 히알루론산 농도(ng/ml)
무첨가(대조구) 1003±111.6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0.25mM) 1222±93.6*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0.5mM) 1268±125.2*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1mM) 1436±216*
* : p<0.05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표피 각화 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의 생산을 유도하고, 게다가 농도의존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는 피부의 보습에 관여하고 있는 히알루론산의 생산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나이 듦에 따라 저하하는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 양을 유지 또는 항진하여 피부의 건조를 예방 또는 개선하고, 건조로 인한 잔주름 발생을 억제, 개선 또는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실험 9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주름방지시험(1)>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배합한 크림을 사용하여, 피부에서의 주름 개선 작용를 알아보기 위해, 지원자에 의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얼굴의 주름 때문에 고민하는 37 내지 55세의 여성 16명을 피험자로서 선택하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로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사용하여, 이를 2질량% 배합하는 하기 배합의 시험 크림을 1회 1g, 아침 세안 후 및 저녁 목욕 후 1일 2회, 90일간에 걸쳐 좌우의 눈 주위에 도포하였다. 또한, 시험 크림은 시험기간 동안 가능한한, 피부에 도포된 상태를 유지시켰다. 시험기간 동안, 피험자에게는 주름개선효과를 표방하는 화장품 등의 사용을 피하는 것 이외는 통상적인 일상생활을 보내도록 지도하였다. 시험 개시시(0일째), 시험 중간(45일째) 및 시험 종료후(90일째)에, 하기의 방법에 의해 피부 표면 형상으로부터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여 평균을 구한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피부 표면 형상 주름의 삼차원 계측>
시험 개시시(0일째), 시험 중간(45일째) 및 시험 종료후(90일째)에, 양 눈가를 피검 부위로 하여, 반사용 레플리카 작성 키트 ABS-01-W(주식회사 아사히 바이오메드사제)를 이용하여 피부의 레플리카를 채취하였다. 반사용 레플리카 분석시스템 ASA-03R(주식회사 아사히 바이오메드사제)을 이용하여 레플리카의 표면 형상을 분석함으로써 주름 부분을 특정하여, 피검 부위에서의 기준면으로부터의 주름의 평균 깊이를 구하였다.
<시험 크림>
(배합 처방)
배합 성분 (질량%)
(1) 디메티콘 0.3
(2) 스쿠알란 2.0
(3) 이소노난산 세테아릴 1.0
(4) 트리에틸헥사노인 2.0
(5) 옥틸도데칸올 2.0
(6) 지방산(C-10-30)(콜레스테릴/라노스테릴) 3.0
(7) 미리스틴산 폴리글리세릴-10 3.5
(8) 세탄올 3.5
(9) 베틸알코올 1.0
(10) 팔미틴산 세틸 2.05
(11)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SE 2.5
(12) 스테아린산 베틸 2.5
(13) 1,3-부틸렌 글리콜 3.0
(14) 메틸파라벤 0.2
(15) 글리세린 4.5
(16) 트레할로오스의 당질유도체 함유 시럽 2.0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상품명 "토르나레")
(17)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2.0
(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18) 구연산 적량
(19) 구연산나트륨 적량
(20) 수산화칼륨 적량
(21) 정제수 적량
크림 도포 기간(일) 주름 깊이(μm) 감소율(%)
0 204 0
45 160 20.7
90 126 34.8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배합한 크림을 도포하면, 도포 일수에 따라 주름의 깊이가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피부에서의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짐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 10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주름방지시험(2)>
실험 9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험 9에서, 40세 전후의 지원자(volunteer)에게서는 양 눈가의 주름의 평균 깊이가 다른 연령의 지원자에 비해 보다 얕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별도로, 40±2세의 여성 지원자 10명을 피험자로 하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배합한 크림의 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조사했다. 즉, 시험기간을 42일간으로 한 것 이외는 실험 9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실험 9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배합한 크림을 사용하며, 실험 9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양 눈가의 잔주름 개선 효과에 대해 시험(이하 "추가 시험"이라 한다.)한 결과, 피험자 10명 중 6명에게서 현저한 눈가의 잔주름 개선 효과가 인정됨과 동시에 눈가 피부의 윤기나 보습상태도 양호하였다. 또한, 본 추가시험에서는 시험 개시 직전과 직후에, 눈가의 피부 턴오버를 조사할 목적으로, 각질층 세포 면적에 따른 각질층의 턴오버 측정법(슬라이드 방식)(『프레그랜스 저널(Fragrance Journal)』, 제36권, 제5호, 28~30 페이지, 2008년 참조)에 준하여, 피험자 10명의 양 눈가에 접착테이프를 개별적으로 각각 꽉 눌러 피부 표면의 각질층 세포를 채취하고, 염색하며, 각질층 세포 면적을 측정한 후, 본 시험 전에 측정했었던 각 피험자의 양 눈가의 각질층 세포 면적과 비교하였다. 또한, 상기 각질층 턴오버 측정법은 각질층 세포 면적(세포의 크기)을 측정함으로써, 피부의 턴오버 속도를 추정한다는 비교적 간편한 방법이다. 또한, 본 측정법은 각질층 세포 면적과 각질층의 턴오버의 관계로서, 각질층의 턴오버가 빨라질수록 각질층 세포 면적은 감소하는 점, 각질층의 턴오버는 케라티노사이트를 생성하는 기저 세포의 분열속도에 대응하는 점, 또한 각질층의 턴오버 속도와 피부의 턴오버 속도는 정비례 관계에 있는 점에 기초하고 있다.
상기 각질층 턴오버 측정결과에 따르면, 상기 피험자 6명의 양 눈가의 각질층 세포 면적은 시험 직전에 비해 평균적으로 약 5% 감소하고, 양 눈가의 각질층의 턴오버 속도(기저세포의 분열속도)가 평균적으로 약 1.2배 증가하였다. 본 추가시험에서 설정한 42일 동안이라는 시험기간은 지원자의 연령에 대응하는 피부의 턴오버 1주기분 미만에 해당하는 점, 또한 턴오버 지연이 잔주름을 유발한다고 하는 점을 감안하면, 본 시험 결과는 해당 크림이 피부의 턴오버 지연을 즉효적으로 개선하고 잔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40±2세라는 연령은 피부의 턴오버에 소요되는 일수가 20대의 약 2배가 되는 연령이며, 잔주름이 눈에 띄기 시작하는 연령이기 때문에, 해당 크림은 해당 연령층을 포함하여 소위 프리에이징 세대, 특히 중년 여성용의 잔주름 개선제로서 매우 유용하다.
<실험 11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결정>
<실험 11-1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의 제조>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제) 100g을 6N의 수산화나트륨 100ml에 용해시킨 후, 추가적으로 메탄올을 100ml 첨가하여 교반하고, 4℃에서 약 3주간 정치한 결과, 백탁이 확인되었으며,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결정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결정 현탁액을 유리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석출된 결정을 회수하여, 0.1N의 염산을 함유하는 70체적% 메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40℃에서 건조하여 약 35g의 결정 분말을 얻었다.
<실험 11-2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의 생성 조건의 검토>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제) 10g에 대하여, 하기 표 12에 나타낸 1 내지 10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10ml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메탄올을 10ml 첨가하여 혼합하고, 씨결정으로서 실험 11-1에서 얻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을 30mg 첨가한 후, 4℃에서 24시간 정치하여 결정의 석출 정도를 육안으로 조사하였다. 결정석출의 정도는
"-": 결정이 석출되지 않음
"+": 결정이 약간 석출됨
"+": 결정이 용량의 절반 정도 석출
"+++": 결정이 전체적으로 석출되어 고화됨
의 4단계로 나누어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무수물 환산, g)
NaOH*농도 NaOH/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몰비)
결정
생성
농도
(N)
액량
(ml)
10 10 10 3.3 +++
10 8 10 2.7 +++
10 6 10 2.0 ++
10 5 10 1.7 +
10 4 10 1.3 _
10 2 10 0.7 -
10 1 10 0.3 -
10 0 10 0.0 -
* : 수산화나트륨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을 5N, 6N, 8N 및 10N의 각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하고 메탄올을 첨가한 시료로부터 각각 결정의 석출이 확인되었으며, 결정의 석출양은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한편,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4N 이하인 경우, 결정의 석출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5N인 경우, 용액 중에서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나트륨의 몰비는 1.7이며,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의 생성에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에 대해 몰비로 1.7 이상의 수산화나트륨을 필요로 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험 11-3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
실험 11-1에서 얻은 결정분말 약 10g을 5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하였더니, 실험 11-1에서 얻은 결정과는 외관이 다른 결정 분말 약 8.4g이 얻어졌다. 얻어진 결정은 실험 11-1에서 얻은 결정과는 다른 새로운 결정으로 생각되었다.
<실험 12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에 대한 각종 분석>
실험 11-1 및 11-3에서 얻은 결정 각각에 대해, 결정형의 관찰, HPLC 분석, 나트륨 함량의 측정, 적외선흡수스펙트럼(FT-IR)의 측정, 및 분말 X선 회절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12-1 : 결정의 형상>
실험 11-1 및 11-3에서 얻은 결정을 각 슬라이드 유리 위에 올려 위상차 현미경을 사용하여 결정의 형상을 관찰하고 사진 촬영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결정의 사진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실험 11-1에서 얻은 결정의 형상은 얇은 판 형상 또는 기둥 형상이었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 11-3에서 얻은 결정의 형상은 형태가 무너진 것이 많지만 판 형상이었다.
<실험 12-2 : HPLC 분석>
실험 11-1 및 11-3에서 얻은 결정을 각각 적량의 순수에 용해하여 하기의 조건에 따른 HPLC 분석에 제공하였다. 대조구로서, 시약급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999", 순도 99.9% 이상, 주식회사 하야시바라제)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분석했다.
<HPLC 분석 조건>
컬럼 : Wakopak Wakobeads T-330 H+
(내경 10mm×길이 300mm) (와코쥰약 공업주식회사 판매)
용리액 : 0.0001N 질산 수용액
유속 : 0.5ml/분
온도 : 실온
검출 : 시차굴절계
실험 11-1 및 11-3에서 얻은 결정을 순수에 용해하여 HPLC 분석에 제공한 결과, 어느 크로마토그램에서든, 대조구인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피크만이 검출되었으며, 모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순도는 약 100%였다는 점으로부터, 실험 11-1 및 11-3에서 얻은 결정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구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결정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 12-3 : 수분 함량의 측정>
실험 11-1 및 11-3에서 얻은 결정 분말의 수분 함량을 통상적인 방법의 감압 건조법(50℃, 24시간)으로 측정한 결과, 각각 14.9 질량% 및 0.2 질량%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실험 11-1에서 얻은 결정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함수결정이며, 실험 11-3에서 얻은 결정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무수결정이라고 생각되었다 .
<실험 12-4 : 나트륨 함량의 측정>
실험 11-3에서 얻은 무수결정을 무수물 환산으로 25mg 재서 채취하고, 50ml의 순수에 용해하며, 순수한 물로 5배 희석하여 측정 시료로 하였다. 시료 중의 나트륨 양을 유도결합 플라즈마 발광분광분석장치(ICP-AES) CIROS-120(주식회사 리가쿠사제)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ICP-AES 측정 조건>
플라즈마 전력 : 1400W
플라즈마 가스 : 13.0L/분
보조 가스 및 네블라이저 가스 : 1.0L/분
블랭크 : 60 체적% 질산의 1000배 희석액
나트륨 검량선 용액 : ICP 멀티엘리먼트 스탠더드 IV(Merck사제)를 0.1 내지 10ppm으로 희석한 것
실험 11-3에서 얻은 무수결정의 고형분 중의 나트륨 함량은 8.7질량%이었다. 이 값은 실험 11-3에서 얻은 무수결정이 1몰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1몰의 나트륨과 1/2몰의 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한다고 가정, 즉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나트륨의 몰비가 1:1.5라고 가정한 경우의 나트륨 함량의 이론값 8.8 질량%와 근사한 값이었기 때문에, 얻어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2몰에 대하여, 나트륨으로서 3몰 함유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에서의 수분 함량은 약 15질량%이며,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나트륨 및 수산화나트륨을 상기의 몰비로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물 분자의 몰비는 대략 1:4가 되어, 함수결정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1 분자에 대해 4분자의 결정수(水)를 포함하게 된다.
실험 12-1 내지 12-4의 결과로부터, 실험 11-1에서 얻은 결정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이며, 실험 11-3에서 얻은 결정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 12-5 : FT-IR 스펙트럼>
실험 11-3에서 얻은 무수결정 분말 2mg에 적외선흡수스펙트럼 분석용 브롬화칼륨 200mg을 첨가하고, 마노제 막자사발에서 분쇄, 혼합하여 정제로 성형한 것을 분석에 제공하였다. 장치에는 적외선 분광광도계 FTIR-8300(주식회사 시마즈제작소제)을 사용하였다. 대조구로서, 시약급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999", 순도 99.9% 이상, 주식회사 하야시바라제)을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무수결정 분말의 FT-IR 스펙트럼에는 1580cm-1 부근에서 큰 흡수가 확인되었다. 한편,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구인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에서는 해당 위치에서 흡수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별도로, 1700cm-1 및 1770cm-1 부근에서 큰 흡수가 확인되었다. 나트륨염의 무수결정의 1580cm-1 부근에서의 커다란 흡수는 결정에 포함되는 나트륨의 영향으로 인한 카르보닐기의 신축 진동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었다. 양자의 FT-IR 스펙트럼의 차이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무수결정 분말에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가 염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에 비해, 대조구인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에서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는 유리산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실험 12-6 : 분말 X선 회절도>
분말 X선 회절장치(상품명 "X'Pert Pro MPD", 스펙트리스 주식회사제)를 사용하며, 실험 11-1에서 얻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과 실험 11-3에서 얻은 무수결정을 각각 시료로 하여, 모두 약 50mg을 실리콘제 무반사판에 올려놓고 회전시키면서 하기의 조건에서 Cu-Kα선을 조사하여, 반사법으로 분말 X선 회절도를 구하였다. 얻어진 분말 X선 회절도를 도 4A 및 B에 나타내었다. 대조구로서, 국제공개 WO2012/033218호 팜플렛에 개시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함수결정 함유 분말(순도 99.5%, 주식회사 하야시바라제) 및 시약급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999", 순도 99.9% 이상, 주식회사 하야시바라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측정하여, 얻어진 분말 X선 회절도를 도 4C 및 D에 나타내었다.
<Cu-Kα선 조사 조건>
X선관 전류 : 40mA
X선관 전압 : 45kV
파장 : 1.5405Å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은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절각(2θ) 6.8 °, 8.2 °, 14.3 °, 17.8 ° 및 18.4 °에 특징적인 회절 피크를 나타냈으며, 한편,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은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절각(2θ) 8.0 °, 9.0 °, 16.4 °, 17.9 ° 및 20.8 °에 특징적인 회절 피크를 나타내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과 무수결정은 각각 서로 상이한 분말 X선 회절도를 나타냈으며, 또한, 이들은 모두 종래 공지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함수결정 함유 분말 및 무수결정 함유 분말의 분말 X선 회절도와도 완전히 상이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 및 무수결정은 모두 신규 결정인 것이 판명되었다.
참고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을 온도 25℃, 상대습도 75.2% 이상에서 하룻밤 방치하면, 흡습하여 수분 함량이 약 15질량%에서 거의 일정하게 되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과 동일한 분말 X선 회절도를 나타낸 것으로 볼 때, 함수결정은 건조에 의해 무수결정으로, 또한 무수결정은 흡습에 의해 함수결정으로 각각 상전이 함으로써 상호 변환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실험 12-7 : 단결정 X선 결정구조 분석>
시약급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999", 순도 99.9% 이상, 주식회사 하야시바라제) 2g을 3N의 수산화 나트륨 10ml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을 30ml 첨가, 혼합하여 4℃에서 3주간 정치함으로써,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의 단결정을 석출시켰다. 얻어진 단결정으로부터 적당한 크기의 것을 선택하여, 파라톤(paraton) 오일로 코팅하고 X선 회절장치에 세팅한 후, 진동 사진법에 의해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X선 회절 패턴을 측정하였다. 측정장치에 R-AXIS RAPID-R(주식회사 리가쿠제)을 이용하여 분석 소프트웨어로 Crystal Structure Ver. 3.8.2(주식회사 리가쿠제)를 사용하였다.
<측정조건>
X선원 : Cu
출력 : 50kV-100mA
입사 X선 : Cu-Kα선
입사 X선 크기 : 약 0.5mmφ
결정크기 : 0.3×0.2×0.2mm
검출기 : 이미징 플레이트
측정온도 : 약 -170℃(질소가스 분사방식)
단결정 X선 회절패턴을 도 5에 나타내었다. X선 회절패턴에서, 회절 반점(spot)이 다수 확인되었으며, 해당 결정이 단결정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 단결정 X선 결정구조 분석에 의해 얻어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의 결정학적 파라미터를 표 13에 정리했다.
결정계 격자상수 공간군


사방정계
a=6.9733(4)Å
b=14.4839(8)Å
c=19.3221(11)Å
V=1951.54(19)Å3


Pbca(#61)
얻어진 X선 회절강도 데이터로부터,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은 사방정계에 속하며, 공간군은 Pbca(#61), 격자상수는 a=6.9733Å, b=14.4839Å, c=19.3221Å, V=1951.54Å3로 결정되었다.
<실험 13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과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과의 배합물의 pH>
상기 실험 11-3의 방법으로 얻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과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 999", 순도 99.9% 이상, 주식회사 하야시바라제)을 무수물 환산으로, 하기 표 14에 나타낸 100:0 내지 0:100의 중량비로 배합한 후, 배합물 질량의 10 배 용량의 순수에 용해하여 얻은 수용액의 pH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나트륨염 무수결정
(무수물환산,g)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무수물환산,g)
순수
(ml)
배합비(질량비)
(나트륨염 무수결정:무수결정)
pH
2 0 20 100:0 13.1
1.6 0.4 20 80:20 12.9
1.2 0.8 20 60:40 12.3
1.1 0.9 20 55:45 11.6
1.05 0.95 20 53:47 10.5
1.04 0.96 20 52:48 5.4
1.02 0.98 20 51:49 4.6
1 1 20 50:50 4.5
0.8 1.2 20 40:60 3.4
0.4 1.6 20 20:80 2.6
0 2 20 0:100 1.7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을 단독으로 용해시킨 수용액의 pH는 13.1이고,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을 단독으로 용해시킨 수용액의 pH는 1.7이었다. 한편,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과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의 배합물의 수용액의 pH는 그 배합비율에 따라 12.9 내지 2.6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과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사용하며, 그들을 무수물 환산으로 적절한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수용액을 산성으로부터 알칼리성의 넓은 범위에서 원하는 pH로 할 수 있으며, 특히, 55:45 내지 40:60의 범위로 배합한 경우, 화장품 제조에 있어 바람직한 약 알칼리성 내지 약산성의 pH를 나타냄이 판명되었다.
<실험 14 : 젤화제에 대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영향>
젤형 화장품의 제조에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화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겔화제로서, 표 15에 기재된 9종의 카르보머(카보폴(닛코 케미칼사제) 5종, 하이비스와코(와코쥰야쿠사제) 3종, 아크펙(스미토모세이카사제) 1종), 방부제 및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사용하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젤을 조제하는 모델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첨가시에 구연산 완충액 및 수산화나트륨으로 pH를 6.5로 조정한 경우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을 사용하여 중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구연산 완충액을 포함하지 않는 pH 6.5 부근의 젤을 조제한 경우에서, 얻어진 젤의 성상을 비교했다.
각 겔화제 5g과 방부제인 펜틸렌글리콜 7.5g을 물 237.5g에 용해하여 젤 베이스(농도: 2질량%)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험 12-1의 방법으로 얻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함수결정을 물에 용해시켜, 250g 중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20g을 함유하는 수용액(이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수용액"이라고 한다.)을 조제하였다. 각 젤 베이스 25g에 대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수용액 25g을 첨가하고, 추가로 물을 첨가하여 전량을 100g으로 하고, pH가 6.5 부근이 되는 젤을 조제하였다. 한편,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20g을 물 100g에 용해하고, 또한 구연산 완충액(구연산 1 질량%, 구연산 나트륨 15 질량%) 20g 및 10 질량% 수산화나트륨 24.7g을 첨가하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중화한 용액(총 164.7g, 이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중화 수용액"이라 한다.)을 조제하였다. 각 젤 베이스 25g에 대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중화 수용액 16.47g을 첨가하고, 추가로 10질량% 수산화나트륨 2g을 넣고 물을 첨가하여 전량을 100g으로 하며, pH가 6.5 부근이 되는 젤을 조제하였다. 각 젤(카르보머 농도 : 0.5질량%,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농도 : 2질량%)의 pH 및 젤의 성상을 관찰한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카르보머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을 사용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중화하여 사용
젤 성상 pH 젤 성상 pH
카보폴 940 6.45 × 6.55
카보폴 980 6.45 × 6.50
카보포 981 6.37 6.51
카보폴 ULTREZ 10 6.54 × 6.61
카보폴 ETD 2050 6.26 × 6.43
하이비스와코 103 6.26 × 6.31
하이비스와코 104 6.40 6.18
하이비스와코 105 6.36 6.38
아크펙 HV-505 6.31 × 6.46
×: 점성없음, △: 점성있음, ○: 형상유지성 있음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를 사용하고, 구연산 완충액 및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하여 조제한 젤 베이스는 일부 점성을 나타내는 것이 얻어졌지만, 모두 유동성이 높고, 겔로서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은 얻어지지 않았다. 한편,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을 사용하여 조제한 젤 베이스는 모두 점성을 유지하고 있어, 겔로서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얻어졌다. 이들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을 사용하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에서는 조제가 어려웠던 젤형 화장품을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실험 15 : 화장수의 주름방지작용>
표 16에 나타낸 처방(수치는 질량%)에 따라 3종류의 화장수, 즉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첨가의 화장수 1(대조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2질량% 배합하고 중화제로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며 pH 조절제로서 구연산 및 구연산나트륨을 사용한 화장수 2, 및 후술하는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무수결정 분말을 2질량% 배합하여 중화 조작을 수행하는 일 없이 조제한 화장수 3을 조제하여, 주름방지작용에 관한 지원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화장수 1) : 표 16의 (1), (4)~(7)을 정제수(14)에 용해하여 수상을 조제하고, 이에 미리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 알코올(8) 및 향료(10)를 에탄올(9)에 용해시킨 것을 혼합하고, 적량의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6.5로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화장수 2) : 표 16의 (1), (4)~(7)을 정제수(14)의 일부에 용해한 후,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2)로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사용하고, 이를 용해한 후,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중화하며, pH 조절제인 구연산(11) 및 구연산나트륨(12)을 첨가함으로써 pH를 6.5로 조정하고, 나머지 정제수를 첨가하여 수상을 조제한 것 이외는 화장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화장수 3)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3)으로서, 후술하는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무수결정 분말을 배합하고, pH를 6.5로 한 것 이외에는 화장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화장수 1
(대조구)
화장수 2 화장수 3
(1) 소르비톨 4 4 4
(2)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0 2 0
(3)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0 0 2
(4) 디프로필렌글리콜 6 6 6
(5)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5 5 5
(6) 메틸셀룰로오스 0.2 0.2 0.2
(7) 퀸시드 0.1 0.1 0.1
(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 알코올 0.5 0.5 0.5
(9) 에탄올 5 5 5
(1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11) 구연산 0 0.01 0
(12) 구연산나트륨 0 0.15 0
(13) 수산화나트륨 적량 적량 0
(14)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상기에서 얻은 화장수 1(대조구), 화장수 2 및 화장수 3에 대해 각각의 주름 방지작용, 잔주름 방지작용을 조사하였다. 즉, 주름, 잔주름으로 고민하는 37세~55세의 30명의 여성 피험자를 무작위로 10명씩 3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에 대해 화장수 1~3 중 어느 하나를 각각 1일 2회(아침과 밤) 4주간 연속 사용시켰다. 시험기간 동안, 피험자에게는 주름 개선 효과를 표방하는 화장품 등의 사용을 피하는 것 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일상생활을 보내도록 지도하였다. 시험기간 종료 후, 피험자 전원에게 주름, 잔주름의 개선, 피부의 탄력 개선 및 사용감에 대해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그룹에서, 주름, 잔주름 또는 피부의 탄력에 "개선 효과가 있었다" 및 "사용감이 좋았다"라고 대답한 인수를 표 17에 정리하였다.
평가항목 화장수 1
(대조구)
화장수 2 화장수 3
주름의 개선 1 7 7
잔주름의 개선 2 6 6
피부의 탄력개선 2 7 8
양호한 사용감 3 5 7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장수 1에서 주름, 잔주름이나 피부의 탄력에 "개선 효과가 있었다"고 답변한 것은 피험자 10명 중 2명 이하이었지만, 화장수 2와 3에서는 6명 이상이 "개선 효과가 있었다"고 답변하였다. 또한, 사용감에 대해서도 화장수 1이 "양호하였다"고 답변한 피험자는 10명 중 3명이었지만, 화장수 2에서는 5명, 화장수 3에서는 7명이 "양호하였다"고 답변하였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피부 트러블은 한 명도 없었고, 안전성에 있어서도 문제가 없었다. 상기의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또는 그 나트륨염을 이용한 화장수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첨가의 화장수에 비해 주름, 잔주름을 개선하고 피부에 탄력을 주는 효과가 뛰어난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 16 : 유액의 기미, 주근깨 방지 작용>
표 18에 나타낸 처방(수치는 질량%)에 따라, 3종류의 유액(에몰리언트 로션), 즉,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첨가의 유액 1(대조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3질량% 배합하고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중화 및 pH 조정한 유액 2, 및 후술하는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무수결정 분말을 3 질량% 배합하여 중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조제한 유액 3을 얻은 후, 기미, 주근깨 방지 작용에 관한 지원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유액 1) : 정제수(15)에 표 18의 (7)~(9), (14)를 첨가하여 가열 혼합하고,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 7.0의 수상으로 만들었다. 별도로, 표 18의 (1)~(5)를 혼합하고 70℃로 가열하여 유상으로 만들었다. 이 유상부를 상기 수상에 첨가하여 예비유화를 실시하고, 이어, 호모 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여 냉각한 후, 트리에탄올 아민(6), 카르복시비닐폴리머(10) 및 향료(11)를 첨가함으로써 유액을 제조하였다.
(유액 2)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12)로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사용하고, 이를 정제수(14)의 일부에 용해한 후, 수산화나트륨(14)을 첨가하여 중화 및 pH 7.0으로 조정한 것을 마지막으로 첨가한 것 이외는 유액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유액 3)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13)으로서 후술하는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무수결정 분말을 사용하고, 이를 정제수(14)의 일부에 용해한 것을 마지막으로 첨가하여 pH 7.0으로 조정한 것 이외는 유액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유액 1
(대조구)
유액 2 유액 3
(1) 스테아린산 3.5 3.5 3.5
(2) 세탄올 0.5 0.5 0.5
(3) 라놀린 0.5 0.5 0.5
(4) 유동파라핀 3 3 3
(5) 스쿠알란 2 2 2
(6)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적량 적량
(7) 프로필렌글리콜 3 3 3
(8) 소르비톨(70%) 2 2 2
(9) 1,2-펜탄디올 2 2 2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액(알칼리 중화액체) 8 8 8
(1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12)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0 3 0
(13)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0 0 3
(14) 수산화나트륨 적량 적량 0
(1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상기에서 얻은 유액 1(대조구), 유액 2 또는 유액 3에 대해, 기미, 주근깨 방지 작용을 조사하였다. 즉, 기미, 주근깨로 고민하는 22세~51세의 30명의 여성 피험자를 무작위로 10명씩 3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당 유액 1~3 중 어느 하나를 4주 동안 연속적으로 사용시켰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피험자에게는 기미, 주근깨 개선 효과를 표방하는 화장품 등의 사용을 피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일상생활을 보내도록 지도하였다. 시험기간 종료 후, 피부의 기미, 주근깨 개선 효과를 앙케이트 조사에 의해 판정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19에 나타내었다.

기미, 주근깨 개선작용의 판정
개선됨 약간 개선됨 개선되지 않음
유액 1(대조구) 1 2 7
유액 2 3 4 3
유액 3 4 4 2
표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액 1(대조구)에서 기미, 주근깨가 "개선됨"으로 답변한 것은 피험자 10명 중 1명이며, "약간 개선됨"으로 답변한 것은 피험자 10명 중 2명이었던 반면, 유액 2 및 3에서는 7명 이상이 "개선됨" 또는 "약간 개선됨"으로 답변하였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피부 트러블은 1명도 없었고, 안전성에서도 문제가 없었다. 상기의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또는 그 나트륨염을 사용한 유액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첨가 유액에 비해 기미, 주근깨를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 17 : 세안료의 처짐방지작용>
표 20에 나타내는 처방(수치는 질량%)에 따라, 3종류의 세안료(세안크림), 즉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첨가의 세안료 1(대조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2질량% 배합하고 수산화칼륨을 중화 및 pH 조정에 사용한 세안료 2, 및 후술하는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얻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무수결정 분말을 2질량% 배합하여 pH 조절제를 사용하지 않고 조제한 세안료 3을 얻은 후, 처짐방지작용에 관한 지원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세안료 1) : 정제수(14)에 표 20의 (11)~(13)을 용해하여 수상으로 제조하였다. 별도로, 미리 표 20의 (1)~(8)을 혼합, 융해하여 70℃로 조정해둔 유상에 상기 수상을 저어 섞으면서 서서히 첨가하고, 70℃로 유지하여 비누화 반응을 종료 시켰다. 이를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25℃까지 냉각함으로써, pH 9.0의 세안료(세안크림)를 제조하였다.
(세안료 2)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9)로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사용하고, 이를 미리 정제수(14)의 일부에 용해하여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여 중화한 후, 냉각 후의 세안료에 혼합한 것 이외는 세안료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세안료 3)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10)으로서, 후술하는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무수결정 분말을 사용하고, 정제수(14)의 일부에 용해하여 중화하지 않고 냉각 후의 세안료에 배합한 것 이외는 세안료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세안료 1
(대조구)
세안료 2 세안료 3
(1) 스테아린산 8 8 8
(2) 팔미틴산 5 5 5
(3) 미리스틴산 10 10 10
(4) 라우릴 황산 나트륨 8 8 8
(5) 라우릴산 디에탄올 아미드 4 4 4
(6) 라놀린 2 2 2
(7) 세탄올 3 3 3
(8) 글리세린 15 15 15
(9)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0 2 0
(10)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0 0 2
(11) 수산화칼륨 적량 적량 적량
(12) 1,2-헥산디올 1.5 1.5 1.5
(13) 향료 적량 적량 적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상기에서 얻은 세안료 1(대조구), 세안료 2 또는 세안료 3에 대한 처짐방지작용을 조사하였다. 즉, 피부의 처짐으로 고민하는 36세~58세의 30명의 남성 및 여성 피험자를 그룹 내의 남녀 비율이 거의 동일하도록 10명씩 3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그룹당, 세안료 1~3 중 어느 하나를 4주 동안 연속적으로 사용시켰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피험자에게는 피부의 처짐 개선 효과를 표방하는 화장품 등의 사용을 피하는 것 이외는 통상적인 일상생활을 보내도록 지도하였다. 시험기간 종료 후, 피부의 처짐 개선 효과에 대해 앙케이트 조사에 의해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21에 나타내었다.

처짐 개선 작용의 판정
개선됨 약간 개선됨 개선되지 않음
세안료 1(대조구) 2 2 6
세안료 2 4 4 2
세안료 3 3 5 2
표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안료 1(대조구)에서 피부 처짐이 "개선됨"으로 답변한 것은 피험자 10명 중 2명이며, "약간 개선됨"으로 답변한 것은 피험자 10명 중 2명이었던 반면, 세안료 2 및 3에서는 8명이 "개선" 또는 "약간 개선됨"으로 답변하였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피부 트러블은 1명도 없었고, 안전성에서도 문제가 없었다. 상기의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또는 그 나트륨염을 사용한 세안료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첨가의 세안료에 비해 피부 처짐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남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 18 : 미용액의 미백 및 주름방지작용>
표 22에 나타내는 처방(수치는 질량%)에 따라, 3종류의 미용액, 즉,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첨가의 미용액 1(대조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3질량% 배합하고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 6.5로 조정한 미용액 2, 및 후술하는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얻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무수결정 분말을 3질량% 배합하여 pH 조절제를 사용하지 않고 조제한 미용액 3을 조제하여, 미백 및 주름방지작용에 관한 지원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미용액 1) : 표 22의 배합 처리 방법에 따라, (1)~(5), (12)~(18)을 혼합하고, 여기에 미리 (9)~(11)을 혼합해 둔 것을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8)을 첨가하여 pH를 6.5로 조정함으로써,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미용액 2)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6)로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3질량% 배합하고, 수산화칼륨으로 pH 6. 5로 조정한 후 사용한 것 이외는 미용액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미용액 3)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7)으로서 후술하는 실시 예 2의 방법으로 조제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무수결정 분말을 배합하고, 수산화칼륨으로의 중화 작업을 수행하는 일 없이 pH 6.5로 조정한 이외는 미용액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미용액 1
(대조구)
미용액 2 미용액 3
(1) 글리세린 5 5 5
(2) 디프로필렌글리콘 10 10 10
(3) 에탄올 5 5 5
(4)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0.2
(5) 히알루론산나트륨 0.5 0.5 0.5
(6)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0 3 0
(7)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0 0 3
(8) 수산화칼륨 적량 적량 적량
(9) 폴리옥시에틸렌(20몰)소르비탄모노올레인산 에스테르 0.5 0.5 0.5
(10) 폴리옥시에틸렌(20)옥틸도데칸올 1 1 1
(11) 올리브유 0.15 0.15 0.15
(12) 플라센타 엑기스 0.1 0.1 0.1
(13)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 0.1 0.1
(14) 아황산 수소나트륨 적량 적량 적량
(15) EDTA·3Na 적량 적량 적량
(16) 향료 적량 적량 적량
(17) 1,3-부틸렌글리콜 적량 적량 적량
(18)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상기에서 얻은 미용액 1(대조구), 미용액 2 또는 미용액 3에 대해, 미백작용 및 주름방지작용을 조사하였다. 즉, 피부의 칙칙함, 주름으로 고민하는 26세~48세의 30명의 여성 피험자를 무작위로 10명씩 3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당 미용액 1~3 중 어느 하나를 4주 동안 연속적으로 사용시켰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피험자에게는 미백효과 및 주름개선효과를 표방하는 화장품 등의 사용을 피하기 것 이외는 통상적인 일상생활을 보내도록 지도하였다. 시험기간 종료 후, 피부미백효과 및 주름개선효과를 앙케이트 조사에 의해 판정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23에 나타내었다.

미백작용, 주름개선작용의 판정
개선됨 약간 개선됨 개선되지 않음
미용액 1(대조구) 1 1 8
미용액 2 4 3 3
미용액 3 5 2 3
표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용액 1(대조구)에서 미백에 효과가 있으며, 주름이 "개선됨"으로 답변한 것은 피험자 10명 중 1명이고, "약간 개선됨"으로 답변한 것은 피험자 10명 중 1명이었던 반면, 미용액 2 및 3에서는 7명이 "개선됨" 또는 "약간 개선됨"으로 답변하였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피부 트러블은 1명도 없었고 안전성에서도 문제가 없었다. 상기의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또는 그 나트륨염을 사용한 미용액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첨가의 미용액에 비해 미백 작용을 가지며,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장품 소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500g을 8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00ml에 용해시켰다. 이에 에탄올을 750ml 첨가하여 교반하고, 4℃로 5일간 정치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유리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석출된 결정을 회수하고, 소량의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40℃에서 건조하고 분쇄함으로써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 함유 분말을 326g 얻었다.
본 제품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신규의 결정 함유 분말이며, 종래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과 마찬가지로, 화장품 소재로서, 또한 의약부외품, 의약품, 식품 등의 소재로서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제품의 수용액은 알칼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종래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알칼리로 중화하는 방법으로는 불편함이 발생했던 제품의 제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화장품 소재>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 함유 분말 100질량부를 50℃에서 24시간 동안 감압 건조한 후, 분쇄함으로써,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 함유 분말 81질량부를 얻었다.
본 제품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의 신규 결정 함유 분말이며, 종래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과 마찬가지로, 화장품 소재로서, 또한 의약부외품, 의약품, 식품 등의 소재로서도 유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제품의 수용액은 알칼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종래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알칼리로 중화하는 방법으로는 불편함이 발생했던 제품의 제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화장품 소재>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 함유 분말 55질량부에 대하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45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말 형태의 화장품 소재를 얻었다.
본 제품은 신규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무수결정 함유 분말과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의 배합물이며, 종래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과 마찬가지로, 화장품 소재로서, 또한 의약부외품, 의약품, 식품 등의 소재로서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제품의 수용액은 약알칼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종래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원하는 pH로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4
<화장품 소재>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 함유 분말의 무수물 환산으로의 50질량부에 대하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50질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말 형태의 화장품 소재를 얻었다.
본 제품은 신규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 함유 분말과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의 배합물이며, 종래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과 마찬가지로, 화장품 소재로서, 또한 의약부외품, 의약품, 식품 등의 소재로서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제품의 수용액은 약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종래의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원하는 pH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있다.
실시예 5
<화장수>
(배합 처방)
배합성분 (질량%)
(1) 글리세린 4.0
(2) 프로필렌글리콜 3.0
(3) 1,2-펜탄디올 0.1
(4)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2.0
(5) 폴리옥시에틸렌(20몰)올레인알코올 0.5
(6) 바위취 엑기스 2.0
(7) 에탄올 5.0
(8) 향료 적량
(9) 정제수 잔량
상기 배합 처방의 성분(1) 내지 (4)를 정제수(9)에 용해한 후, 성분(5) 내지 (8)을 혼합한 것을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화장수를 조제하였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하는 뛰어난 화장수이며,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뿐만 아니라, 미백 작용, 더 나아가서는 주름 방지, 처짐 방지 작용,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도 뛰어난 안티에이징용 화장수로서 유용하다. 또한, 1,2-펜탄디올을 배합하고 있기 때문에, 방부 효과 및 보습성이 뛰어나며 피부에 대한 자극이 낮을 뿐만 아니라,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등 유효성분의 침전도 억제되어 있어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수이다.
실시예 6
<화장수>
(배합 처방)
배합성분 (질량%)
(1)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릴 0.5
(2) 올리브오일 0.5
(3) 글리세린 6.0
(4) 1,3-부틸렌글리콜 10.0
(5) 에탄올 5.0
(6)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1.0
(7) 알부틴 1.0
(8) 향료 적량
(9)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상기 배합처방의 성분(1)과 (2)를 7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여기에 성분(3)과 (4)와 정제수(9) 물의 일부를 혼합하고 가열한 것을 첨가 혼합하였다(A상). 알부틴(7)을 나머지 정제수(9)에 용해하였다(B상). B상에 A상을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한 후, 성분(5) 및 (8)을 혼합하고, (6)을 첨가하여 마이크로 에멀젼 형태의 화장수를 얻었다.
본 제품은 마이크로 에멀젼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투명하고 안정성도 높으며,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하는 뛰어난 화장수로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뿐만 아니라, 미백 작용, 나아가서는 주름 방지, 처짐 방지 작용,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도 뛰어난 안티에이징용 화장수로서 유용하다. 또한, 1,3-부틸렌글리콜을 배합하고 있기 때문에, 방부 효과 및 보습성이 뛰어나고 피부에 자극이 낮은 점에서도 뛰어난 화장수이다.
실시예 7
<유액>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1,2-헥산디올 5.0
(2) 옥틸도데칸올 4.0
(3) 코우지산 1.0
(4)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1.0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20E.O.) 1.0
(6) 스테아린산 0.5
(7) 시어버터 2.0
(8) 밀랍 4.0
(9)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0.2
(10) 마르멜로 씨앗 엑기스 5.0
(11) 잔탄검 0.1
(12) 피틴산 0.02
(13) 비타민 E 0.01
(14) 정제수 잔량
상기의 성분(1), (3), (10), (11) 및 정제수(14)를 혼합하여 수상으로 만들었다. 이어서, 성분(2), (5)~(9), (12) 및 (13)을 가열, 혼합하여 유상으로 만들었다. 유상에 수상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냉각하고, 성분(4)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액을 얻었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하는 우수한 유액이며,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 뿐만 아니라, 미백 작용, 나아가서는 주름 방지, 처짐 방지 작용,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도 뛰어난 안티에이징 유액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8
<젤타입 로션>
(배합 처방)
배합성분 (질량%)
(1) 스쿠알렌 5.0
(2) 트리옥타노인 6.0
(3) 올리브오일 5.0
(4) 마카데미안너트 오일 5.0
(5)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5.0
(6) 모노미리스틴산 글리세릴-10 5.5
(7) 이소스테아린산 POE(60) 글리세릴-10 3.0
(8) 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SE 2.0
(9)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5
(10) 수산화 칼륨 적량
(11) 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 15.5
(상품명 "토르나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12)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1.0
(13) 감초추출물 0.1
(14) 히알루론산 0.25
(15) 5'-글루코실아데노신 0.2
(16) 1,2-펜탄디올 3.5
(17) 향료 적량
(18) 정제수 잔량
정제수(18)의 일부에 성분(11) 내지 (16)를 용해한 후, 성분(1)~(10) 및 (17)을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유화하여, 젤 타입의 유액을 조제하였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미백 작용도 뛰어나며 끈적임이 없고 사용감도 양호한 화장젤이다. 또한, 본 제품은 구연산 완충액을 사용하지 않아 비교적 염 농도가 낮기 때문에, 젤의 안정성도 높고,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하는 우수한 화장 젤이며, 미백 작용, 나아가서는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작용도 뛰어난 안티에이징용 젤타입 유액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9
<화장용 유액>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스테아린산 2.5
(2) 세탄올 1.5
(3) 바셀린 5.0
(4) 유동파라핀 10.0
(5) 폴리옥시에틸렌 올리에이트 2.0
(6) 아세트산토코페롤 0.5
(7)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0.2
(8) 폴리에틸렌 글리콜(1500) 3.0
(9)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3.0
(10) 쪽의 물추출 엑기스 3.0
(11) 1,2-헥산디올 0.1
(12) 정제수 잔량
상기 처방에 따라, 배합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혼합한 후, 추가로 적량의 향료를 첨가하여 유액을 제조하였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미백 작용도 뛰어나며 피부에서의 배리어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도 뛰어난, 피부에 도포하여도 끈적임이 없는 사용감이 뛰어난 안티에이징용 유액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10
<화장용 크림>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스테아린산 5.0
(2) 세틸알코올 5.0
(3) 스쿠알란 8.0
(4) 바셀린 3.0
(5) 글리세롤 트리 2-에틸헥산산 에스테르 7.0
(6) 디프로필렌글리콜 6.0
(7) 글리세린 4.0
(8)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2.0
(9)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 3.0
(10)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알코올 에테르 3.0
(11) 1,2-헥산디올 0.2
(12) 향료 적량
(13) 정제수 잔량
정제수(13)에 성분(6), (7)을 넣고 60℃로 가온하여 수상을 조제하였다. 별도로, 성분(1) 내지 (5), (9) 내지 (12)를 혼합하고 70℃로 가온하여 유상을 조제하고, 먼저 조제한 수상에 첨가하였다. 이에 성분(8)을 첨가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유화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미백 작용도 뛰어나며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도 뛰어난, 끈적임이 없고 사용감도 양호한 안티에이징용 화장크림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11
<화장용 크림>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모노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1.2
(2) 모노미리스틴산 데카글리세릴 1.8
(3) 스테아릴알코올 0.5
(4) 베헤닐알코올 3.0
(5) 베틸알코올 1.0
(6) 팔미틴산 세틸 1.0
(7)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8
(8) 지방산(C10-30)(콜레스테릴/라노스테릴) 2.0
(9)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4.0
(10) 스쿠알렌 5.0
(11)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5.0
(12) 마카데미안너트 오일 0.5
(13) 트리옥타노인 1.8
(14) 디메티콘 0.3
(15) 부틸렌 글리콜 6.0
(16) 페틸렌 글리콜 2.5
(17) 진한 글리세린 12.0
(18) 폴리쿼터늄-51 0.25
(19)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2.0
(20) 무수결정 말티톨 3.0
(21) 향료 적량
(22) 정제수 잔량
상기 처방의 성분(1)~(14) 및 (21)을 가열 혼합하여 유상으로 조제하였다. 이어서, 성분(15)~(18), (20) 및 (22)를 혼합하여 수상으로 조제하였다. 유상에 수상을 혼합하고 냉각한 후, 성분(19)를 첨가 혼합하여 크림을 조제하였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미백작용도 뛰어나며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도 뛰어난, 끈적임이 없고 사용감도 양호한 안티에이징용 화장크림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12
<미용액>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말티톨 7.5
(2)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3.0
(3) 1,2-알칸디올 5.0
(4)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 1.0
(5) 에탄올 5.0
(6)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4
(7)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0.1
(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 에테르(20E.O.) 1.5
(9) 올리브유 0.2
(10)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0.1
(11) 수산화 칼륨 적량
(12) 향료 적량
(13) 정제수 잔량
상기 처방에 따라, 배합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미용액을 조제하였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미백 작용도 뛰어나며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도 뛰어난, 피부에 도포하여도 끈적임이 없는 사용감이 뛰어난 안티에이징용 미용액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13
<팩>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폴리비닐 알코올 5.0
(2) 풀루란 12.0
(3)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6.0
(4) 1,3-부틸렌 글리콜 6.0
(5) 에탄올 8.0
(6) 1,2-펜탄디올 0.1
(7)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3.0
(8)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0.5
(9) 향료 적량
(10) 정제수 잔량
상기 처방에 따라, 배합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팩을 조제하였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및 미백 작용도 뛰어난 안티에이징용 팩으로서 유용하며,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한 후 씻어내는 것도 용이하다.
실시예 14
<세안 폼>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부)
(1) 라우린산 칼륨 2.0
(2) 미리스틴산 칼륨 17.0
(3) 팔미틴산 4.0
(4) 스테아린산 4.0
(5) 팜핵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0
(6) 글리세린 10.0
(7) 1,3-부틸렌글리콜 10.0
(8) 트레할로오스의 당질유도체 함유 시럽 5.0
(상품명 "토르나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9)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3.0
(10)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4나트륨 0.2
(11)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10.0
(12) 정제수 잔량
상기 배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세안 폼을 조제하였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피부에서의 배리어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 작용, 기미 방지 효과도 뛰어나며 세안 후에도 촉촉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안티에이징용 세안 폼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15
<액체 비누>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부)
(1) 라우린산 4.0
(2) 스테아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0.2
(3) 옥틸데도세스-10 1.5
(4) 옥틸도데세스-20 1.5
(5) 세테아레스-60 미리스틸글루콜 2.0
(6) N-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리신 칼륨액 10.0
(7)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Sodium Cocoamphoacetate) 40.0
(8) 트레할로오스의 당질유도체 함유 시럽 4.0
(상품명 "토르나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9)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2.0
(10) 글리세린 2.0
(11)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2나트륨 0.2
(12) 메틸파라벤 0.1
(13) 정제수 잔량
상기 배합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액체 비누를 조제하였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 작용, 기미 방지 효과도 뛰어나며 세안 후에도 촉촉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안티에이징용 액체 비누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16
<바디워시>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부)
(1) 라우린산 5.0
(2) 올레인산 5.0
(3)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18.0
(4)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20.0
(5) 히알루론산 2.0
(6) 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 1.0
(상품명 "토르나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7)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2.0
(8) 염화나트륨 0.2
(9) 에티드론산 0.1
(10)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2나트륨 0.1
(11) 수산화 칼륨 적량
(12) 정제수 잔량
상기 배합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바디워시를 조제하였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 작용, 기미 방지 효과도 뛰어나며 세안 후에도 촉촉함을 얻을 수 있는 안티에이징용 바디워시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17
<클렌징>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부)
(1) 유동파라핀 35.0
(2) 바셀린 17.0
(3) 세틸 알코올 3.0
(4) 스테아린산 2.0
(5) 글리세린 3.0
(6) 프로필렌글리콜 2.0
(7)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세틸에테르(10E.O) 2.5
(8) 스테아린산 글리세리드 2.5
(9) 1,2-펜탄디올 0.2
(10)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1.0
(11) 향료 적량
(12) 정제수 잔량
상기 배합 처방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클렌징크림을 조제하였다. 본 제품은 피부의 세정, 화장 지우기에 사용하는, 세안 후에도 깔끔한 클렌징크림이다. 또한,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 작용, 기미 방지 작용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안티에이징용 클렌징크림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18
<미백용 자외선 차단제(수중유형 유화 타입)>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펜타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1.5
(2) 폴리옥시에틸렌(10몰)콜레스테릴에테르 1.0
(3)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1.5
(4) 글리세린 5.0
(5) 파라메톡시 신남산 2-에틸헥실 5.0
(6)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7) 알부틴 3.0
(8)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펜타나트륨염 0.1
(9)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1.0
(10) 사과산 0.2
(11) 에탄올 2.0
(12) 향료 적량
(13)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적량
(14) 수산화나트륨 적량
(15)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A. 성분(1)~(3), (5)를 75℃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B. 성분(4), (6)~(10), (14) 및 (15)를 75℃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용해한다.
C. A에 B를 첨가하여 유화한다.
D. C를 냉각하고 성분(11)~(13)을 첨가하여 자외선 차단제(미백타입)를 얻었다.
본 제품은 안정된 미백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도 뛰어나며 피부로의 퍼짐성이 균일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피부 결을 정돈하는 등의 보습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뛰어난 안티에이징용 자외선 차단제(수중유형 유화 타입)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19
<미백용 유액(수중유형 유화타입)>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펜타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0.5
(2) 폴리옥시에틸렌(10몰)콜레스테릴에테르 0.2
(3) 호호바 오일 3.0
(4) 수소첨가 대두인지질(상품명 "레시놀 S-10", 닛코 케미칼즈사제) 2.5
(5) 글리세린 5.0
(6)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7) 알부틴 7.0
(8)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얻은 화장품 소재 1.0
(9)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디나트륨염 0.1
(10) 석신산 0.1
(11) 에탄올 5.0
(12) 수산화나트륨 적량
(13)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A. 성분(1)~(4)를 75℃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B. 성분(5)~(10), (12) 및 (13)을 75℃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용해한다.
C. A에 B를 첨가하여 유화한다.
D. C를 냉각하고 성분(11)을 첨가하여 미백용 유액(수중유형 유화타입)을 얻었다.
본 제품은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 작용, 기미 방지 효과도 뛰어나며, 피부로의 퍼짐성이 균일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피부 결을 정돈하는 등의 보습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뛰어난 안티에이징 미백용 유액(수중유형 유화타입)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20
<피부의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25.0
(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2) α-글루코실 루틴 0.1
(상품명 "αG루틴", 토요세이토 주식회사 제조)
(3)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0.9
(4) 턴오버 개선작용을 가진 올리브 잎 추출물 0.01
(5) 수산화 칼륨 적량
(6) 구연산 나트륨 적량
(7) 정제수 잔량
상기 배합 처방의 성분(1) 내지 (7)을 실온 하에서 교반하여 혼합하고, 용해시킨 후, 막 여과함으로써, 피부의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pH 6.0)를 조제하고, 차광성 용기에 충전하였다. 본 제품은 각종 화장품에 배합함으로써,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 작용, 나아가서는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제품에은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올리브 잎 추출물과 α-글루코실 루틴이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성분(1)의 작용과 함께, 즉효성의 피부 턴오버 개선 작용 뿐만 아니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이나 산화방지작용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제품은 소위 프리에이징 세대는 물론, 중년 여성을 위한 즉효성 잔주름 개선제로서 각종 화장품에 적합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품을 적량 배합한 각종 화장품은 일상의 일에 쫓겨 피부 관리가 소홀해지기 쉬운 바쁜 여성에게 밤 취침 전에 그 적량을 피부에 도포하면, 취침 중에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하여 피부의 턴오버를 즉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21
<피부의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25.0
(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2) 영지버섯 추출물 또는 말뚝버섯 추출물 0.01
(3) 턴오버 개선 작용과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두충잎 추출물 0.02
(4)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0.8
(5) 히알루론산 나트륨 1.0
(6) 수산화 칼륨 적량
(7) 정제수 잔량
상기 배합 처방의 성분 (1) 내지 (7)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혼합하고 용해한 후, pH 6.0으로 조정하여 막 여과함으로써, 2종류의 피부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를 조제하였다. 본 제품은 각종 화장품에 배합함으로써, 피부의 턴오버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 작용, 그리고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제품에는 턴오버 개선 작용과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두충잎 추출물과 영지버섯 추출물 또는 말뚝버섯 추출물이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성분 (1)의 작용과 함께, 즉효성의 피부 턴오버 개선효과를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부의 노화억제효과도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병용하는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두충잎 추출물은 당화 최종산물(AGEs)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AGEs의 피부 조직으로의 침착을 저감 또는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AGEs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콜라겐의 분자내 및 분자간에 무질서한 가교가 형성되어, 콜라겐에 물리적, 생리적 변화(변성)가 야기되는 것을 저감 또는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주름, 피부거침, 칙칙함 혹은 팽팽함 저하 등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제품은 소위 프리에이징 세대를 포함한 중년 여성을 위한, 즉효성 잔주름 개선제로서 각종 화장품에 적합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품을 적량 배합한 각종 화장품은 일상의 일에 쫓겨 피부 관리가 소홀해지기 쉬운 바쁜 여성에게 밤 취침 전에 그 적량을 피부에 도포하면, 취침 중에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하여 피부의 턴오버를 즉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22
<피부의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25.0
(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2)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0.9
(3)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가진 올리브 잎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밀 배아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민트 추출물, 동백나무 잎 추출물,
쪽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올리브 잎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바위취 추출물, 유자 추출물, 레몬 추출물, 로즈메리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로얄젤리 추출물 또는 치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을 0.01 질량%
(4) 수산화 칼륨 적량
(5) 구연산 나트륨 적량
(6) 정제수 잔량
상기 배합 처방의 성분(1), (2), (3)에 나타낸 추출물 중 어느 1종 및 (4) 내지 (6)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혼합하고 용해시킨 후, 막 여과함으로써, 피부의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pH 6.0)를 조제하여, 차광성 용기에 충전하고, 17종류의 피부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를 얻었다. 본 제품은 각종 화장품에 배합함으로써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작용, 나아가서는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제품은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성분(1)의 작용과 함께, 즉효성의 피부 턴오버 개선 작용 뿐만 아니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이나 산화방지작용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제품은 소위 프리에이징 세대는 물론, 중년 여성을 위한, 즉효성의 잔주름개선제로서 각종 화장품에 적합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품을 적량 배합한 각종 화장품은 일상의 업무에 쫓겨 피부 관리가 소홀해지기 쉬운 바쁜 여성에게 밤 취침 전에 그 적량을 피부에 도포하면, 취침 중에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하여 피부의 턴오버를 즉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23
<방부살균 화장용 기재>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25.0
(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2) 감광소 201(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0.01
(3)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헵탄디올 또는 1,2-옥탄디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을 2.0질량%
(4) 히알루론산 1.0
(5)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작약 추출물 1.0
(6)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0.8
(7) 풀루란(상품명 "화장품용 풀루란",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0.4
(8) 수산화 칼륨 적량
(9) 정제수 잔량
상기 배합 처방의 성분 (1)과, 성분 (4) 내지 (9), (2) 및 (3) 중 어느 1종을 각각 실온에서 교반하여 혼합하고 용해한 후, 양자를 혼합하며, pH 6.0으로 조정하여 막 여과함으로써, 4종류의 방부살균 화장용 기재를 조제하여, 차광성 용기에 충전하였다. 특히, 본 제품에는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작약 추출물이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성분 (1)의 작용과 함께, 현저한 피부의 턴오버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부의 노화억제효과도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본 제품은 각종 화장품에 원하는 양만큼 배합함으로써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 작용, 나아가서는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을 부여할 수 있는 액상 화장용 기재이며, 특히 소위 프리에이징 세대를 포함한 중년 여성을 위한, 즉효성 잔주름 개선제로서 각종 화장품에 적합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품에는 방부살균 작용을 갖는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헵탄디올 또는 1,2-옥탄디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과 함께, 그들과의 상용성이 뛰어난 감광소 201이 고농도로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화장품에 적량 배합함으로써, 뛰어난 방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제품은 풀루란이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성분 (1)과 함께, 피부로의 보습 작용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화장용 기재로서도 유용하다. 또한, 본 제품을 적량 배합한 각종 화장품은 일상의 업무에 쫓겨 피부관리가 소홀해지기 쉬운 바쁜 여성에게 밤 취침 전에 그 적량을 피부에 도포하면, 취침 중에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하여 피부의 턴오버를 즉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24
<피부의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25.0
(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2) 히알루론산 1.0
(3)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야생딸기 추출물 0.01
(4) 턴오버 개선 작용과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에쿠올(equol) 0.01
(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0
(6) 수산화 칼륨 적량
(7) 구연산나트륨 적량
(8) 정제수 잔량
상기 배합 처방의 성분(1) 내지 (8)을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혼합하고 용해시킨 후, 막 여과함으로써, 피부의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pH 6.0)를 조제하여, 차광성 용기에 충전하였다. 특히, 본 제품에는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갖는 야생딸기 추출물과, 턴오버 개선작용 및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에쿠올이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성분(1)의 작용과 함께, 즉효적으로 피부의 턴오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 작용, 그리고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제품은 소위 프리에이징 세대를 포함한 중년 여성을 위한 즉효성 잔주름 개선제로서 각종 화장품에 적합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품을 적량 배합한 각종 화장품은 일상의 업무에 쫓겨 피부 관리가 소홀해지기 쉬운 바쁜 여성에게 밤 취침 전에 그 적량을 피부에 도포하면, 취침 중에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하여 피부의 턴오버를 즉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25
<피부의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25.0
(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2) 히알루론산 1.0
(3) 턴오버 개선 작용 및/또는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아슈와간다(Withania somnifera) 추출물, 나한백 추출물,
아선약나무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윈터 그린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단호박 씨앗 추출물,
카투아바 껍질 추출물, 비당나무 추출물, 월귤 추출물, 차조기 추출물,
작약 추출물, 메밀 잎 추출물, 다빌라 루고사(Davilla Rugosa)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멍울풀 추출물, 주홍서나물 추출물, 국화 추출물,
개다래 추출물, 류구죽 추출물, 검은 딸기 추출물, 사과 미숙과 추출물,
감잎 추출물, 감초 잎 추출물, 무늬월도 잎 추출물,
진주 단백질 가수분해물, 에쿠올, 이소플라본, 이펜프로딜, 카테콜,
카페인산, 또는 프루닌(prunin)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을 1.0질량%
(4)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0.8
(5) 수산화 칼륨 적량
(6) 정제수 잔량
상기 배합 처방의 성분 (1), (2), (3)에 나타낸 어느 1종, (4) 내지 (6)을 실온에서 교반 혼합한 후, pH 6.0으로 조정하여 막여과 함으로써, 32종류의 피부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를 조제하여 차광성 용기에 충전하였다. 특히, 본 제품은 턴오버 개선 작용 및/또는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다른 성분이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성분 (1)의 작용과 함께, 현저한 피부의 턴오버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피부의 노화억제효과도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또한, 본 제품은 각종 화장품에 원하는 양만큼 배합함으로써, 안정된 주름 방지 작용, 잔주름 방지 작용,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 작용, 그리고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을 부여할 수 있는 액상 화장용 기재이며, 특히 소위 프리에이징 세대를 포함한 중년 여성을 위한 즉효성 잔주름 개선제로서 각종 화장품에 적합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품을 적량 배합한 각종 화장품은 일상의 업무에 쫓겨 피부 관리가 소홀해지기 쉬운 바쁜 여성에게 밤 취침 전에 그 적량을 피부에 도포하면, 취침 중에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하여 피부의 턴오버를 즉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26
<피부의 턴오버 개선제>
하기 배합 처방에 따라, 4종류의 본 발명의 피부 턴오버 개선제를 조제하였다. 즉, 하기 성분 (17)로서, 실시예 20, 실시예 21(2종류 있는 피부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 중, 영지버섯을 배합한 것), 실시예 24에서 얻어진 피부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 또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을 사용하였다.
<시험 크림>
(배합처방)
배합성분 (질량%)
(1) 디메티콘 0.3
(2) 스쿠알렌 2.0
(3) 이소노난산 세테아릴 1.0
(4) 트리에틸헥사노인 2.0
(5) 옥틸도데카놀 2.0
(6) 지방산(C-10-30)(콜레스테릴/라노스테릴) 3.0
(7) 미리스틴산 글리세릴-10 3.5
(8) 세탄올 3.5
(9) 베틸알코올 1.0
(10) 팔미틴산 세틸 2.0
(11)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SE 2.5
(12) 스테아린산 베틸 2.5
(13) 1,3-부틸렌글리콜 3.0
(14) 메틸파라벤 0.2
(15) 글리세린 4.5
(16) 트레할로오스의 당질 유도체 함유 시럽 2.0
(상품명 "토르나레",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
(17) 실시예 20, 21 또는 24에서 얻은 피부 턴오버 개선화장용 기재를
20.0 질량%, 또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
(상품명 "AA2G", 주식회사 하야시바라 판매)을 5.0질량%
(18) 사과산 0.02
(19) 사과산 나트륨 0.3
(20) 수산화 칼륨 0.3
(21) 라놀린 0.1
(22) 정제수 적량
상기 4종류의 피부 턴오버 개선제 모두 뛰어난 잔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며, 나이 듦에 따른 잔주름 개선 작용이 뛰어나, 소위 프리에이징 세대를 포함한 중년 여성을 위한 즉효성 주름개선제로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실시예 21 또는 24에서 얻어진 피부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를 사용하여 조제한 피부 턴오버 개선제는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함께, 턴오버 개선 작용과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다른 성분이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와 함께, 턴오버 개선 작용을 가진 성분만이 배합된 실시예 20의 피부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를 사용하여 조제한 피부 턴오버 개선제에 비해 보다 우수한 피부 턴오버 속도 개선작용이 발휘된다. 또한, 실시예 20의 피부 턴오버 개선 화장용 기재를 사용하여 조제한 피부 턴오버 개선제는 상기 성분(17)으로서,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을 사용하여 조제한 피부 턴오버 개선제에 비해 보다 뛰어난 피부 턴오버 속도 개선작용이 발휘됨과 아울러,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작용, 미백 작용, 나아가서는 기미 방지 작용, 처짐 방지 작용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혹은 크림 등의 기초화장품은 뛰어난 주름 방지, 잔주름 방지, 기미 방지 및 처짐 방지 효과,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의 유지 또는 항진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언제까지나 젊고 싶은 인류 공통의 보편적인 소원을 실현하는 한 수단으로서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혹은 크림 등의 기초 화장품은 유효성분을 기제인 수성 매체와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유효성분인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또는 그 나트륨염으로서 결정 형태에 있는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불순물이 적은 고순도의 원료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물론, 항상 일정한 기존의 알려진 안정된 물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 결정과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하는 양자의 배합 비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알칼리를 사용하여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를 중화하지 않고 제품의 pH를 소정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화장수, 세안료, 미용액, 유액 혹은 크림 등의 기초 화장품을 적은 공정수로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뛰어난 다양한 이점을 갖춘 것으로, 그 산업상의 유용성은 매우 크다.
도 3에 있어서,
A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의 FT-IR 스펙트럼
B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대조구)의 FT-IR 스펙트럼
도 4에 있어서,
A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함수결정 분말 X선 회절도
B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나트륨염의 무수결정의 분말 X선 회절도
C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함수결정 함유 분말(대조구 1)의 분말 X선 회절도
D : 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무수결정 함유 분말(대조구 2)의 분말 X선 회절도

Claims (9)

  1. 수성 매체를 기제로 하며, 유효성분으로서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 및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L-아스코르빈산 유도체가 L-아스코르빈산의 글리코실 유도체, 아실화 유도체, 또는 인산화 유도체인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L-아스코르빈산의 글리코실 유도체가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이며,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 및/또는 그 나트륨염을 함유하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름, 잔주름, 기미, 또는 처짐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에서의 장벽 기능 및 히알루론산 생산을 유지 또는 항진하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 및/또는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 및/또는 당화 반응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합물이 노송나무과 식물 추출물, 은행나무과 식물 추출물, 감귤과 식물 추출물, 차조기과 식물 추출물, 삼백초과 식물 추출물, 두충과 식물 추출물, 또는 에쿠올인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노송나무과 식물이 나한백이고, 은행나무과 식물이 은행나무이고, 감귤과 식물이 황벽나무, 오렌지, 자몽, 유자, 또는 레몬이며, 차조기과 식물이 민트, 페퍼민트, 차조기, 또는 로즈메리이고, 삼백초과 식물이 삼백초이며, 그리고 두충과 식물이 두충인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조성물당, 2-O-α-D-글루코실-L-아스코르빈산을 L-아스코르빈산 무수물 환산으로 1 내지 10질량% 포함하고, 피부의 턴오버 개선 작용 및/또는 당화 반응 저해 작용을 갖는 식물 추출물, 및 에쿠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1 내지 1질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KR1020207036214A 2012-12-27 2013-12-26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3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7216A KR20210107920A (ko) 2012-12-27 2013-12-26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5958 2012-12-27
JPJP-P-2012-285949 2012-12-27
JP2012285949 2012-12-27
JPJP-P-2012-285958 2012-12-27
PCT/JP2013/077768 WO2014103475A1 (ja) 2012-12-27 2013-10-11 アンチエイジング用皮膚外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PCT/JP2013/077768 2013-10-11
PCT/JP2013/084817 WO2014104171A1 (ja) 2012-12-27 2013-12-26 アンチエイジング用皮膚外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343A Division KR102193902B1 (ko) 2012-12-27 2013-12-26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216A Division KR20210107920A (ko) 2012-12-27 2013-12-26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515A true KR20200143515A (ko) 2020-12-23

Family

ID=5102057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214A KR20200143515A (ko) 2012-12-27 2013-12-26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57020343A KR102193902B1 (ko) 2012-12-27 2013-12-26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217027216A KR20210107920A (ko) 2012-12-27 2013-12-26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343A KR102193902B1 (ko) 2012-12-27 2013-12-26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217027216A KR20210107920A (ko) 2012-12-27 2013-12-26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111822B2 (ko)
EP (2) EP3398585B1 (ko)
JP (3) JP6307444B2 (ko)
KR (3) KR20200143515A (ko)
CN (2) CN104918603A (ko)
BR (1) BR112015015170A8 (ko)
CA (3) CA2896646A1 (ko)
TW (2) TWI607764B (ko)
WO (2) WO2014103475A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707B1 (ko) * 2021-01-06 2021-03-29 김현숙 천연 추출물 및 천연 가루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2250B1 (ko) * 2021-01-15 2021-07-27 (주) 보종 림프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림프 아로마 오일
KR102333145B1 (ko) * 2021-06-14 2021-12-01 한도숙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53386B1 (ko) * 2021-06-22 2022-01-20 주식회사 록키스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0897B1 (ko) * 2021-08-19 2022-02-14 주식회사 시사포뮬라 파라크레스 함유 콜라겐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99609B1 (ko) * 2022-09-13 2023-02-14 주식회사 바노바기 리쥬버네이팅 에멀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9610B1 (ko) * 2022-09-13 2023-02-14 주식회사 바노바기 리쥬버네이팅 스킨 소프너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50533A (ko) * 2021-10-07 2023-04-17 라온커머스 주식회사 워시오프 톤업 화장용 크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8995B1 (ko) * 2022-10-25 2023-05-03 주식회사 퍼셀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1642B1 (ko) * 2022-06-27 2023-07-11 주식회사 넥스텍인터내셔널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1077B1 (ko) * 2023-06-29 2023-10-20 주식회사 스킨앤플러스 화장료 조성물
KR102605602B1 (ko) * 2023-03-08 2023-11-24 김학미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21129B1 (ko) * 2023-03-20 2024-01-08 김도현 곡물 및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64B1 (ko) * 2023-05-17 2024-03-05 한윤섭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8668A (ja) * 2014-03-10 2015-09-28 株式会社ダイセル エクオールを含有する抗糖化剤
WO2015149014A1 (en) * 2014-03-28 2015-10-01 Curazene, LLC Microbial-relief composition
JP2016006036A (ja) * 2014-05-26 2016-01-14 アークレイ株式会社 AGEs分解剤およびその用途
KR101661572B1 (ko) * 2014-10-01 2016-10-04 쎈텍 주식회사 밤꽃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US20170319440A1 (en) * 2014-10-22 2017-11-09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latex foam
KR101730852B1 (ko) * 2014-10-23 2017-04-27 비오비네이처 주식회사 5색 컬러푸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70367350A1 (en) * 2014-10-31 2017-12-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adherent botanical compositions
WO2016090252A1 (en) 2014-12-04 2016-06-09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trifluoroacetyl tripeptide-2
WO2016104524A1 (ja) * 2014-12-24 2016-06-30 ライオン株式会社 アドヘレンスジャンクション機能強化剤
JP2016196430A (ja) * 2015-04-03 2016-11-24 株式会社ダイセル エクオール及び保湿剤を含有する外用組成物
JP2016196428A (ja) * 2015-04-03 2016-11-24 株式会社ダイセル エクオール及びキレート剤を含有する外用組成物
JP6721413B2 (ja) * 2015-05-29 2020-07-15 株式会社コーセー 紫外線防御組成物
AU2016302401B2 (en) * 2015-08-04 2021-11-25 Eupharma Pty Ltd Emollient composition
GR1008957B (el) * 2015-10-12 2017-02-22 Δημητριος Αθανασιου Αναστασοπουλος Υγρη λοσιον (κρεμα δερματος) για την ενυδατωση και αναπλαση των κυτταρων για το προσωπο, το σωμα και τα χερια
KR101614659B1 (ko) * 2015-10-12 2016-04-21 이충식 주름을 개선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817244B1 (ko) * 2015-10-27 2018-01-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CN105193641B (zh) * 2015-11-03 2016-04-20 广州市高姿化妆品有限公司 一种美白淡斑护肤组合物
JP2017100991A (ja) * 2015-12-01 2017-06-08 花王株式会社 表皮cml形成抑制剤
WO2017098499A1 (en) * 2015-12-07 2017-06-15 Golan Tomer Composition for cleansing razor blades
US9999580B2 (en) * 2015-12-31 2018-06-19 L'oreal Skin tightening compositions
JP6627141B2 (ja) * 2015-12-31 2020-01-08 ディヴェロップメント センター フォー バイオテクノロジー ベニバナボロギク抽出物を調製する方法、それにより調製された抽出物、及び抽出物の使用
KR102261933B1 (ko) * 2015-12-31 2021-06-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4-(4-하이드록시페닐)-2-부타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4911A (ko) 2016-02-04 2018-10-19 앨러스틴 스킨케어, 인크. 침습 및 비침습 시술적 피부 관리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20190038542A1 (en) * 2016-02-08 2019-02-07 Mirexus Biotechnologies Inc. Moisturizing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monodisperse phytoglycogen nanoparticles and a further polysaccharide
PL3419588T3 (pl) * 2016-02-22 2023-09-18 Outplay Inc. Kompozycja do stosowania miejscowego na bazie kompleksu karnozyna-magnez
DE102016204472A1 (de) * 2016-03-17 2017-09-21 Ursapharm Arzneimittel Gmbh Kit zur kosmetischen Behandlung des Auges und der Haut und Kosmetikum zur Anwendung am Auge und auf der Haut
KR102585274B1 (ko) * 2016-03-30 2023-10-05 주식회사 랑벨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149814B1 (en) * 2016-04-06 2018-12-11 Brett Dines Lactic acid topical composi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70335304A1 (en) * 2016-05-23 2017-11-23 Arkray, Inc. Oxidized protein hydrolase activity enhancing agent and glycation stress inhibitor
BR112018072236A2 (pt) 2016-05-26 2019-02-12 Kimberly Clark Co método de inibir micróbios de se ligarem a uma superfície, composição antiaderente para impedir a ligação de micróbios a uma superfície, e, lenço para inibir a fixação de micróbios a uma superfície.
FR3054132B1 (fr) * 2016-07-21 2020-02-21 Isp Investments Llc Utilisation d’une combinaison d’hydrolysat peptidique de mais, de derive de vitamine c, de carnitine et d’adenosine pour augmenter la densite capillaire
KR101954525B1 (ko) * 2016-08-25 2019-03-06 문득곤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에 유용성분을 공급하는 방법
DE102016117728A1 (de) * 2016-09-20 2018-03-22 Mayser Pharma AG Kosmetische oder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für die Hautstraffung, Hautfixierung und Faltenreduzierung
EP3522865A4 (en) * 2016-10-04 2020-06-17 Mary Kay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TRETCH MARKS
KR101731926B1 (ko) * 2016-11-29 2017-05-02 (주)엔코스 이종 혼합 파우치 어셈블리
CN106511144B (zh) * 2016-12-16 2019-08-06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一种眼唇卸妆水及其制备方法
CN110099672B (zh) 2016-12-21 2022-05-24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具有氨基酸和烟酰胺化合物的局部皮肤增亮添加剂和组合物
US11260005B2 (en) 2016-12-21 2022-03-01 Conopco,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with glutathione precursor comprising 4-substituted resorcinols and amino acids
EA201991185A1 (ru) 2016-12-21 2020-01-13 Юнилевер Н.В.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содержащие цистин
US10751267B2 (en) 2016-12-21 2020-08-25 Conopco,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poorly soluble compounds
FR3061014B1 (fr) * 2016-12-22 2020-02-14 L V M H Recherche Extrait de fraisier des bois et utilisations
KR101940659B1 (ko) * 2017-01-13 2019-01-2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80201794A1 (en) * 2017-01-19 2018-07-19 The Boeing Company Sustainable additives for anti-corrosion coatings for substrates
CN106667844A (zh) * 2017-02-06 2017-05-17 周高超 草本柔润洁面乳
CN106691946A (zh) * 2017-02-11 2017-05-24 佛山市芊茹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糖化面贴膜
US10660847B2 (en) * 2017-03-17 2020-05-26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CN107041861B (zh) * 2017-03-28 2020-06-02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卸妆油及其制备方法
US10543158B2 (en) 2017-04-17 2020-01-28 W Skincare, LLC Autophagy activating complex,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298391B1 (en) * 2017-04-27 2022-04-12 Lorenol Laboratories, Inc. Topical skin health improvement compositions and administrations thereof
WO2018212147A1 (ja) * 2017-05-15 2018-11-22 江崎グリコ株式会社 肌くすみ抑制剤及び肌バリア機能維持又は改善剤
WO2018222902A1 (en) * 2017-06-02 2018-12-06 Extreme Fire Solutions, Llc Fire extinguishing system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8236304A2 (en) * 2017-06-09 2018-12-27 Actv Biyoteknoloji Laboratuvar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EFFICIENT PLANT-BASED RAW MATERIAL AGAINST SKIN IMPERFECTIO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11389392B2 (en) 2017-06-13 2022-07-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firming skin
CN107334701A (zh) * 2017-07-14 2017-11-10 德兴市宋氏葛业有限公司 一种葛根面膜及其制备方法
FR3069779A1 (fr) * 2017-08-02 2019-02-08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d'un extrait de pericarpe de nephelium lappaceum pour hydrater la peau et/ou les muqueuses
KR20200036007A (ko) 2017-08-03 2020-04-06 앨러스틴 스킨케어, 인크. 피부 이완 및 신체 윤곽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N107412060B (zh) * 2017-08-08 2020-07-24 广州无添加主义化妆品有限公司 一种防晒喷雾剂及其制备方法
KR102311724B1 (ko) * 2017-09-15 2021-10-13 (주)아모레퍼시픽 슈도알터로모나스 펩티도라이티카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09512710A (zh) * 2017-09-18 2019-03-26 玫琳凯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及方法
KR101987719B1 (ko) * 2017-09-29 2019-06-11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알로에 추출물 및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CN107648338A (zh) * 2017-10-12 2018-02-02 广州番禺职业技术学院 一种易于吸收的按摩乳及其制备方法
KR101952695B1 (ko) * 2017-10-19 2019-02-27 주식회사 익스플즌 천연물질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07714536A (zh) * 2017-10-19 2018-02-23 苏州安特化妆品股份有限公司 长效持妆气垫bb霜及其制备方法
JP6918359B2 (ja) * 2017-10-27 2021-08-11 株式会社スタジオライン 腋臭用デオドラント組成物
CN107823040A (zh) * 2017-10-31 2018-03-23 苏州安特化妆品股份有限公司 长效持妆粉饼及其制备方法
KR101982809B1 (ko) * 2017-11-10 2019-05-27 조예나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JPWO2019098352A1 (ja) * 2017-11-17 2021-01-14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美容組成物、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美容方法
KR101949713B1 (ko) * 2017-11-20 2019-02-19 김수경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가 있는 한방비누의 제조방법
FR3075797B1 (fr) * 2017-12-21 2019-11-08 L'oreal Derives 3-xylosides ascrobiques pour leur utilisation cosmetique
US10987394B2 (en) 2017-12-22 2021-04-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eparing an extract of Chrysanthemum morifolium with an effect of treating skin diseases, extract of Chrysanthemum morifolium with an effect of treating skin diseas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CN109966178A (zh) * 2017-12-27 2019-07-05 太阳星光齿磨公司 皮肤外用组合物及赋予或增强抗皱纹效果的方法
CN108208200A (zh) * 2018-01-15 2018-06-29 吴礼顺 一种开胃芝麻油及其制备方法
ES2720924B2 (es) * 2018-01-25 2021-06-07 Laboratorio Lanyn Sl Cosmético facial
US10137076B1 (en) * 2018-01-29 2018-11-27 Diane Sica Massage oil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9157164A1 (en) * 2018-02-09 2019-08-15 Innovus Pharmaceuticals, Inc. Sensitization cream comprising l-arginine and l-citrulline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KR101896211B1 (ko) * 2018-02-20 2018-09-06 정연호 마스크 팩
GB201803946D0 (en) * 2018-03-12 2018-04-25 Unex Designs Ltd Calming composition
KR101964071B1 (ko) * 2018-03-27 2019-04-01 (주)엔코스 카복시 마스크
KR102085967B1 (ko) * 2018-03-28 2020-03-06 주식회사 메가코스바이오 토마토, 밤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CN108379217A (zh) * 2018-04-26 2018-08-10 曾颂 一种多功效活肤液化妆品
CN108813246A (zh) * 2018-05-31 2018-11-16 陕西顾森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易吸收防流失的胶原蛋白肽抗衰组合物及其制备工艺
CN108498445A (zh) * 2018-06-26 2018-09-07 四川自然菲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抗衰老型精华液
CN108619007A (zh) * 2018-06-29 2018-10-09 广西浙缘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含油茶籽油面霜
TR201809525A2 (tr) * 2018-07-04 2018-07-23 Emine Karadeniz Natürel krem
WO2020017232A1 (ja) * 2018-07-20 2020-01-23 株式会社 資生堂 空気中微粒子付着防止用組成物
CN108841532A (zh) * 2018-07-24 2018-11-20 江苏健祥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桑葚酒
JP2020015699A (ja) * 2018-07-27 2020-01-30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皮膚化粧料
US11103455B2 (en) 2018-08-02 2021-08-31 ALASTIN Skincare, Inc. Liposom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210315799A1 (en) * 2018-08-23 2021-10-14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r Proliferation of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
KR102135220B1 (ko) * 2018-08-29 2020-07-1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참까막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U2019350699B2 (en) 2018-09-25 2024-05-23 Ponce De Leon Health Designated Activity Company Process of making calcium alpha-ketoglutarate
US11607438B2 (en) * 2018-10-02 2023-03-21 Eir Pharmaceuticals, LLC Topical cream-based cosmetic and wound healing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CN109188721A (zh) * 2018-10-22 2019-01-11 湖南大平安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防护眼镜
CN109125133B (zh) * 2018-10-24 2021-04-20 西安惟颐生物科技有限公司 女性胸部保养复方精油
KR102145174B1 (ko) * 2018-10-30 2020-08-18 코스맥스 주식회사 에테르/에스테르 복합 폴리우레탄 폼 화장품
FR3088197B1 (fr) * 2018-11-13 2021-05-21 Laboratoires M&L Composition cosmetique apte a se transformer en poudre
US11253467B2 (en) 2018-12-03 2022-02-22 Slc Skin Llc. Wrinkle treatment
US11191275B2 (en) * 2018-12-05 2021-12-0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Plant antimicrobial compositions including an emulsifier and/or ozone and methods of use
WO2020121017A1 (en) * 2018-12-09 2020-06-18 Afrasiabian Hamidollah Cream synthesis from platelet mediators with herbal penetration enhancers to increase the skin's collagen
JP7220457B2 (ja) * 2018-12-14 2023-02-10 丸善製薬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関節機能改善剤、及び経口用組成物
WO2020138023A1 (ja) * 2018-12-27 2020-07-02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変性エラスチンの分解低下の抑制剤、正常なエラスチン線維の維持剤、エラスチン-エラフィン複合体形成抑制剤及びエラスチン-エラフィン複合体形成抑制作用を有する物質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JP7454355B2 (ja) 2018-12-27 2024-03-22 ロート製薬株式会社 Dkk1産生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dkk1産生促進用美容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dkk1産生促進方法
CN109549210A (zh) * 2018-12-28 2019-04-02 德化县仙铭生态农林有限公司 一种用于消炎、抗癌、抗衰老的功能性保健品及其制备方法
US20200237626A1 (en) * 2019-01-28 2020-07-30 Jamrm, Llc Anti-Aging Corrective and Protective Formulation and Methods
WO2020160619A1 (en) * 2019-02-05 2020-08-13 Helium 3 Biotech Pty Ltd A glycation reduc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EP3928626A4 (en) * 2019-02-20 2022-12-07 Hayashibara Co., Ltd. POTASSIUM SALT CRYSTAL OF 2-O-ALPHA-D-GLUCOSYL-L-ASCORBIC ACID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102169116B1 (ko) * 2019-02-22 2020-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신경전달물질 분비 억제 조성물
KR102065185B1 (ko) * 2019-02-27 2020-01-13 구스타 주식회사 항균, 항염,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1557871A (zh) * 2019-03-29 2020-08-21 刘启平 一种小球藻面膜及其制备方法
TWI707691B (zh) * 2019-03-29 2020-10-21 傅柏舜 使大分子藥物經皮膚通透之組合物
CN109846744A (zh) * 2019-04-09 2019-06-07 广州昀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提取液修复功效化妆品
KR102047442B1 (ko) * 2019-04-18 2019-11-22 (주) 온뷰티 마스크 팩 조성물
WO2020217503A1 (ja) * 2019-04-26 2020-10-29 大塚製薬株式会社 アデノシンリン酸を含有するo/w型高粘度乳化組成物
CN111097036A (zh) * 2019-05-05 2020-05-05 刘祝成 眼部护理组合物、产品及其使用方法
CN110051601B (zh) * 2019-05-09 2021-12-10 伊犁弥玥泉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矿物泉水的活颜修护组合物
CN113811281B (zh) 2019-05-09 2024-05-28 蔻代丝美妆股份有限公司 防腐剂体系
CN110192993A (zh) * 2019-05-12 2019-09-03 广州芊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源皮肤修护霜及其制备方法
JP7330489B2 (ja) * 2019-05-14 2023-08-22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剤
CN110368334B (zh) * 2019-05-27 2022-08-16 河南大学淮河医院 具有抗皱亮肤功效的中草药护肤品
US11065188B2 (en) 2019-05-29 2021-07-20 Av Laboratories Llc Applications and formulations of optimized, modified human embryonic fertility culture media with biguanides and/or functional equivalents
CN110257140B (zh) * 2019-06-17 2022-02-15 厦门路辉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高效芯取磨边液
KR102096743B1 (ko) * 2019-06-18 2020-04-02 원경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0101627B (zh) * 2019-06-18 2020-05-12 杭州悦萱堂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悬浮微珠的精华露及其制备方法
JP7272882B2 (ja) * 2019-07-08 2023-05-12 株式会社林原 フロレチン-4-α-グルコシドの結晶
CN110279638B (zh) * 2019-07-11 2020-12-11 浙江康满家日用品有限公司 一种修复肌肤用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522680A (zh) * 2019-07-18 2019-12-03 广州雅心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护肤品载体及其制备方法
KR102047214B1 (ko) * 2019-07-22 2019-12-02 엘앤피코스메틱 (주) 두피 관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16576A1 (en) * 2019-07-25 2021-01-28 Skin Medicinals LLC Topical compositions
CN110237229A (zh) * 2019-07-31 2019-09-17 孟雨 一种减少皮肤色素及治疗疼痛度的中胚层疗法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220287932A1 (en) * 2019-08-06 2022-09-15 Natura Cosméticos S.A. Topical cosmetic composition,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nd mask for facial application
KR102089731B1 (ko) * 2019-08-13 2020-03-17 주식회사 도나 원스텝 버블 클렌징 패드
DE102019212328A1 (de) * 2019-08-19 2021-03-11 Beiersdorf Ag Kosmetische O/W-Emulsion mit Succinoglucan und hydrophilen UV-Filtersubstanzen
KR102171924B1 (ko) * 2019-09-16 2020-10-30 주식회사 무무코스메틱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420150A (zh) * 2019-09-16 2019-11-08 深圳市悦青春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辣木籽提取物的抗衰老护肤品组合物
TWI718069B (zh) * 2019-09-19 2021-02-01 奧倫國際有限公司 具除臭留香之組合物
KR102065607B1 (ko) * 2019-09-27 2020-01-13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
CN112826769B (zh) * 2019-11-22 2022-11-29 广州悦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改善面部菌群情况、舒缓、修护、保湿功效的面膜
CN110755327A (zh) * 2019-12-02 2020-02-07 翊森(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衰老的皮肤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840790A (zh) * 2019-12-03 2020-02-28 北京旋光普利生物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收敛控油纯露爽肤水(化妆水)的制备
KR102140652B1 (ko) * 2019-12-06 2020-08-03 (주)이시스코스메틱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FR3104987B1 (fr) * 2019-12-18 2023-06-30 Lvmh Rech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de l’acide 2-glucoside ascorbique et de l’acide hyaluronique acétylé ou l’un de ses sels
KR102343705B1 (ko) * 2020-01-14 2021-12-24 김범수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150694B (zh) * 2020-01-14 2022-08-02 广东迪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植物抑菌剂及其制备方法和包含该植物抑菌剂的日化产品
KR102114286B1 (ko) * 2020-03-17 2020-05-22 (주)더마랩 효소처리된 아가베시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781924B1 (ja) * 2020-03-31 2020-11-11 大正製薬株式会社 ミネラル代謝異常抑制剤
CN111499652B (zh) * 2020-04-29 2024-01-19 宁夏大学 一种青蒿素-哌嗪-呋喃酮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56898B1 (ko) * 2020-05-06 2020-09-16 정해덕 유산균발효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산화, 항염, 피부장벽 강화 및 피부흡수 기능을 개선한 섭취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CN111358748B (zh) * 2020-05-18 2020-11-17 广州富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海枣籽提取物的面膜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11529450A (zh) * 2020-06-08 2020-08-14 盈妆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深层补水修复组合物,其护肤品及制备方法
CN111632013B (zh) * 2020-06-09 2022-06-28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舒缓修护组合物、舒缓修护粉制剂及其制备方法
CN111700853B (zh) * 2020-07-22 2022-07-12 广州澳希亚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抗敏修复功效的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CN111686030A (zh) * 2020-07-28 2020-09-22 广州名妆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纯天然抗氧保湿肌密多元透白液
CN111840099A (zh) * 2020-07-28 2020-10-30 广州蜜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皂基复配氨基酸表面活性剂的洁面乳
CN113995687B (zh) * 2020-07-28 2023-12-26 东义大学校产学协力团 美白、皱纹改善和抗污染用功能性组合物
CN111904881B (zh) * 2020-08-11 2023-05-23 上海科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衰紧致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789807A (zh) * 2020-08-25 2020-10-20 浙江伊瑟奇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提取液的修复液及其制备方法
KR102281403B1 (ko) * 2020-08-27 2021-07-27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1763B1 (ko) * 2020-08-27 2021-04-19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동백유박 추출물과 비자 세라마이드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균 화장료 조성물
BE1028644B1 (nl) * 2020-09-29 2022-04-25 Sylphar Samenstelling voor huidverzorging voor cutane toepassing op de handen en gebruik daarvan
CN112371148A (zh) * 2020-10-22 2021-02-19 河南工业大学 一种用于高温高压合成金刚石的新型触媒的制备方法
KR102373819B1 (ko) * 2020-10-29 2022-03-14 임지영 항산화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EP3991801A1 (en) 2020-11-03 2022-05-04 UAB "Bioklinik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KR102209847B1 (ko) * 2020-11-06 2021-03-24 주식회사 본에스티스 피부 보습 및 진정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53095B1 (ko) * 2020-11-06 2021-05-17 주식회사 허브테라피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CN112501784B (zh) * 2020-11-24 2021-11-30 清远市伯鑫无纺制品有限公司 一种抗氧化亲肤复合纤维水刺无纺面膜布的制备方法
WO2022122136A1 (en) * 2020-12-09 2022-06-16 Symrise Ag Compositions comprising one or more (bio)-alkanediols with antioxidants
KR102632084B1 (ko) * 2020-12-10 2024-02-02 (주)다럼앤바이오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2545955B (zh) * 2020-12-17 2022-10-28 广州环亚化妆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衰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136897A1 (en) * 2020-12-23 2022-06-30 L V M H Recherc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or an hydroalcoholic extract of peony
CN112587457B (zh) * 2020-12-25 2022-04-29 广州诚予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衰老面膜的制作方法
WO2022147245A1 (en) * 2020-12-31 2022-07-07 Melaleuca, Inc. Diaper cream
CN112603849B (zh) * 2021-01-04 2022-08-12 广州瑞誉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抗衰老组合物、精华液及其制备方法
WO2022155682A1 (en) * 2021-01-15 2022-07-21 Trustees Of Tufts College Tunable silk-based biomaterials with saccharide substitution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CN112753956A (zh) * 2021-01-20 2021-05-07 重庆周师兄餐饮文化有限公司 一种腰片的加工方法
CN112868902A (zh) * 2021-02-20 2021-06-01 新疆希普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富含脱酚棉籽蛋白的组合物及其应用
CN112807263A (zh) * 2021-03-01 2021-05-18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I794766B (zh) * 2021-03-05 2023-03-01 葡萄王生技股份有限公司 含乳酸桿菌之組成物及其預防及/或改善皮膚老化的用途
KR102611907B1 (ko) * 2021-03-29 2023-12-11 가치플러스 주식회사 스피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842932A (zh) * 2021-03-31 2021-05-28 磐升瑞祥(山东)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促进睫毛生长的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13101254B (zh) * 2021-04-02 2022-11-15 仇俊鹏 一种植物基发酵化妆品原料及其制备方法
WO2022221377A2 (en) * 2021-04-15 2022-10-20 Ringer Chad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reducing microbes on a surface
CN113274334B (zh) * 2021-04-16 2022-07-22 云南白药集团股份有限公司 具有抗衰老作用的菠萝提取液组合物、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143820A (zh) * 2021-04-20 2021-07-23 东晟源研究院(广州)有限公司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方法
PL437731A1 (pl) 2021-04-29 2022-10-31 Vrfd Sa Kompozycja kosmetyczna, preparat kosmetyczny zawierający tę kompozycję i ich zastosowania oraz zastosowanie soli sodowej RNA
US11633425B2 (en) 2021-05-13 2023-04-25 Ahava—Dead Sea Laboratories Ltd. Anti-glycation compositions
CN113142474B (zh) * 2021-05-20 2022-08-12 四川省食品发酵工业研究设计院有限公司 酶制剂、使用该酶制剂制备糯米粉的方法及其产品
CN113244156B (zh) * 2021-05-28 2022-05-31 广东省科学院化工研究所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应用
CN113350490B (zh) * 2021-06-03 2022-12-30 上海友仁生物科技有限公司 椰油酰水解胶原钾在制备促进人皮肤修复的药膏或药膏贴中的应用
KR102587124B1 (ko) * 2021-06-07 2023-10-11 주식회사 알앤엠 보습성 및 롤링성이 향상된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WO2022260632A2 (en) * 2021-06-09 2022-12-15 Duzce Universitesi Rektorlugu Herbal cream containing hypericum perforatum oil and propolis
CN113304090B (zh) * 2021-06-11 2023-03-17 上海奈姿医疗美容门诊部有限公司 一种功能化可调节细胞膜的组合物
KR102373899B1 (ko) * 2021-06-14 2022-03-14 유지영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US20230050858A1 (en) * 2021-08-03 2023-02-16 Desert Harvest, Inc. Methods and compounds for natural organic intensive skin repair and healing
CN113576970B (zh) * 2021-08-09 2023-01-31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衰老植物提取组合物及其制备与应用
RU2771524C1 (ru) * 2021-09-06 2022-05-05 Шишкаева Хадижат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косметическом средстве
CN113633569B (zh) * 2021-09-27 2022-09-27 上海新高姿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皱紧致组合物及化妆品
CN113750013B (zh) * 2021-10-14 2023-10-31 花安堂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防脱育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908091B (zh) * 2021-10-14 2023-10-27 花安堂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防脱育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933427B (zh) * 2021-10-15 2024-05-14 北京中医药大学 基于uplc的小儿消积止咳口服液的指纹图谱建立方法及质量评价方法
KR102383715B1 (ko) * 2021-10-21 2022-04-08 한국콜마주식회사 피지억제 및 안정성이 우수한 약산성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CN114002362B (zh) * 2021-11-10 2023-07-18 广东宇华智环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食品多氯苯酚检测的前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14272194A (zh) * 2021-11-26 2022-04-05 马松峰 一种用于淡化痘印的骨髓间充质干细胞组合物
KR102373422B1 (ko) * 2021-11-29 2022-03-10 성현주 기능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질 세정용 조성물
US11771643B2 (en) * 2021-11-30 2023-10-03 Galaxy Surfactants Ltd. Cleansing compositions completely based on bio-renewable sources
CN114224768B (zh) * 2021-12-13 2024-03-15 江苏江山聚源生物技术有限公司 修复抗衰组合物及其制备方法
IT202100031400A1 (it) * 2021-12-15 2023-06-15 Cantassium Benessere 1968 S R L Composizione cosmetica a base di sostanze naturali ristrutturante e tonificante della cute, in particolare dei tessuti cutanei mammari
CN114031668B (zh) * 2022-01-11 2022-04-12 浙江湃肽生物有限公司深圳分公司 具有抗皱功效的乙酰基四肽-5类似物及含有其的保湿肽
CN114515261B (zh) * 2022-01-11 2023-05-05 仲恺农业工程学院 一种男士调理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2501683B1 (ko) * 2022-01-18 2023-02-21 오르바이오 주식회사 마이크로나노 버블을 포함하는 초음파 조영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3697B1 (ko) * 2022-01-19 2023-01-02 주식회사 헤슨바이오사이언스 생물막 생성의 저해, 여드름의 완화 및 항염 성분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14477833A (zh) * 2022-01-25 2022-05-13 重庆彼目加科技有限公司 一种轻质水泥基专用泡沫剂及其制备方法
CN114642614A (zh) * 2022-02-23 2022-06-21 广州品域美妆创新科技有限公司 含有灵芝茯苓的组合物及其应用
CN114522133B (zh) * 2022-02-26 2023-06-16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抑菌微乳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保湿水、保湿乳液、保湿膏霜及其制备方法
CN114634583B (zh) * 2022-03-02 2022-12-16 华南理工大学 一种具有显著抗光老化活性的海藻酸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601747A (zh) * 2022-03-07 2022-06-10 广州市万千粉丝化妆品有限公司 一种催生蛋白及rna具有延长细胞端粒和增殖的核蛋白端粒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14617088A (zh) * 2022-03-14 2022-06-14 海南金雨海洋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提高东风螺免疫力的养殖方法
KR102443181B1 (ko) * 2022-05-25 2022-09-14 주식회사 셀젠느 천연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고기능 약산성 클렌징 조성물
CN115025026B (zh) * 2022-06-07 2023-10-03 清远市望莎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舒缓、修复、抗敏功效的天然植物提取组合物
KR102455793B1 (ko) * 2022-06-28 2022-10-17 이석중 반려동물용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1315B1 (ko) 2022-08-02 2023-07-04 주식회사 미피션 하이드록시티로솔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용 조성물
CN115282102A (zh) * 2022-08-04 2022-11-04 羽楠(广州)化妆品有限公司 一种大西洋胄胸鲷油抗衰紧致精华及其制备方法
CN115227585A (zh) * 2022-08-05 2022-10-25 鄂尔多斯市朵兰歌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油性固态化妆品制备方法及工艺
CN115252457A (zh) * 2022-08-25 2022-11-01 上海百雀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提亮功效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WO2024059715A2 (en) * 2022-09-14 2024-03-21 Drexel University Microbubb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15381745B (zh) * 2022-09-27 2023-07-04 广州森野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祛痘控油组合物、祛痘控油精华及其制备方法
CN115463040B (zh) * 2022-09-27 2023-05-26 宝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乳双层迅时长效保湿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15531603B (zh) * 2022-10-21 2023-11-10 菏泽学院 一种多功能聚合物水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CN115487086A (zh) * 2022-10-28 2022-12-20 上海康华时代生物医学科技有限公司 用于提升后续护肤品皮肤保湿性能的组合物及化妆品
WO2024095311A1 (ja) * 2022-10-31 2024-05-10 株式会社ドクターズチョイス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含有組成物
CN115721774A (zh) * 2022-10-31 2023-03-03 博品(上海)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干细胞提取物的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531238A (zh) * 2022-11-07 2022-12-30 苏州日月年世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衰老组合物及制备方法
CN115778870A (zh) * 2022-11-30 2023-03-14 广州瑞誉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抗皱抗衰老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836987A (zh) * 2022-12-23 2023-03-24 广州市飞科贸易有限公司 一种抗衰老、高渗透性的透明质酸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957147A (zh) * 2022-12-29 2023-04-14 羽楠(广州)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抗皱功效的藻类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813795A (zh) * 2022-12-30 2023-03-21 泉后(广州)生物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抗皱组合物及其应用
CN116098833A (zh) * 2023-03-07 2023-05-12 芳香世家化妆品(广州)有限公司 抗皱抚纹化妆品组合物和抗皱抚纹霜
CN116211771B (zh) * 2023-04-10 2023-09-15 妙梵医药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具有防脱育发功效的植物提取物及其应用
KR102662972B1 (ko) * 2023-11-23 2024-05-03 주식회사 뜰꽃 목주름 및 입술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7790B1 (ko) * 2023-11-23 2024-04-17 주식회사 뜰꽃 천연추출물이 함유된 피부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2813B1 (ko) * 2024-01-22 2024-03-29 주식회사 비비엘 바이오코스메틱스 Nk세포배양액을 포함하는 신규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1066A1 (ja) 2005-07-22 2007-01-25 Kaneka Corporation 繊維芽細胞賦活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コラーゲン収縮促進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atp産生促進剤、メラニン生成抑制剤、皮膚外用剤
JP2007291102A (ja) 2006-04-21 2007-11-08 L'oreal Sa ヒドロキシル化ジフェニルメタン誘導体を含む組成物
JP2008169196A (ja) 2006-10-31 2008-07-24 Arura Tibetan Medical Center 皮膚外用剤
JP2008255020A (ja) 2007-04-02 2008-10-23 Fujifilm Corp 抗老化皮膚外用剤
JP2008260721A (ja) 2007-04-12 2008-10-30 Miiru Japan:Kk 皮膚外用剤
JP2009040690A (ja) 2007-08-06 2009-02-26 Zenyaku Kogyo Kk ソバガラの抽出物を含む皮膚外用剤
JP2009249306A (ja) 2008-04-03 2009-10-29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05A (ja) 1982-07-07 1984-01-20 Nisshin Oil Mills Ltd:The 油状美白化粧料
JPS61152613A (ja) 1984-12-26 1986-07-11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S63104971A (ja) 1986-10-22 1988-05-10 Kao Corp 2,3−ジ−o−(直鎖脂肪酸アシル)アスコルビン酸の製造法
EP0398484B1 (en) 1989-05-19 1995-05-31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Alpha-glycosyl-L-ascorbic acid, and its preparation and uses
JP2926412B2 (ja) * 1989-05-19 1999-07-28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α―グリコシル―L―アスコルビン酸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2832848B2 (ja) * 1989-10-21 1998-12-09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結晶2―O―α―D―グルコピラノシル―L―アスコルビン酸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095455B2 (ja) 1991-05-20 2000-10-03 株式会社ノエビア 化粧料
JP3290490B2 (ja) * 1993-01-25 2002-06-10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アスコルビン酸−2−O−α−グルコシドの金属塩およびその医薬用途
JP3253735B2 (ja) 1993-02-26 2002-02-04 日本サーファクタント工業株式会社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
JPH06263790A (ja) 1993-03-12 1994-09-20 Unitika Ltd 2−O−β−D−ガラクトピラノシル−L−アスコルビン酸またはその塩およびその製造法並びにその用途
FR2736829B1 (fr) 1995-07-20 1997-09-12 Oreal Composition pour lutter contre les taches et/ou le vieillissement de la peau, ses utilisations
AU757681B2 (en) * 1998-05-15 2003-02-27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Preventives/remedies for skin diseases
JP2000281555A (ja) * 1999-03-26 2000-10-10 Pentapharm Japan Kk 皮膚外用剤
JP4697697B2 (ja) * 2000-06-08 2011-06-08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2−O−α−D−グルコピラノシル−L−アスコルビン酸高含有物の製造方法
US6576446B2 (en) 2000-06-08 2003-06-10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Process for producing high 2-O-α-D-glucopyranosyl-L-ascorbic acid
JP2002003330A (ja) 2000-06-21 2002-01-09 Toyo Beauty Kk 化粧料
TWI312369B (en) 2000-08-01 2009-07-21 Hayashibara Biochem Lab A-isomaltosylglucosaccharide synthase,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US6737432B2 (en) * 2001-10-31 2004-05-1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Kg Crystalline form of telmisartan sodium
JP4129574B2 (ja) * 2002-08-06 2008-08-06 大塚製薬株式会社 老化防止剤
JP2004331524A (ja) 2003-05-01 2004-11-25 Nikko Chemical Co Ltd L−アスコルビン酸脂肪酸エステルの着色及び臭い発生の防止方法及び組成物、及び該方法及び組成物を用いた皮膚外用剤、化粧料、及び入浴剤
JP4568035B2 (ja) 2003-08-28 2010-10-27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環状マルトシルマルトース及び環状マルトシルマルトース生成酵素と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US20070129430A1 (en) * 2003-10-07 2007-06-07 Satomi Miyata Agent for enhancing the production of collagen, their preparation and use
JP2006063067A (ja) * 2004-07-30 2006-03-09 Ezaki Glico Co Ltd 皮膚外用剤
JP4707997B2 (ja) 2004-07-30 2011-06-22 昭和電工株式会社 L−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マグネシウムナトリウム塩、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塩を含有する化粧料
CA2601571C (en) * 2005-03-23 2012-07-31 Mary Kay Inc.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CN101384241A (zh) * 2006-02-14 2009-03-11 株式会社芳珂 维生素c转运体产生促进剂
CN101912352A (zh) * 2006-02-14 2010-12-15 株式会社芳珂 维生素c转运体产生促进剂
US20070248633A1 (en) 2006-04-21 2007-10-25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a hydroxylated diphenylmethane compound, methods of use
JP5019885B2 (ja) * 2007-01-05 2012-09-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分散組成物及びスキンケア用化粧料並びに分散組成物の製造方法
FR2924335B1 (fr) * 2007-11-30 2016-03-25 Lvmh Rech Utilisation de l'acide 2-glucoside ascorbique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contre le vieillissement.
JP2010195686A (ja) * 2009-02-20 2010-09-09 Seiwa Kasei Co Ltd リン酸アスコルビル誘導体又はその塩、その製造方法、及び化粧料。
BR112012004864B1 (pt) 2009-09-03 2019-06-25 Hayashibara Co., Ltd.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a composição particulada
JP5525264B2 (ja) * 2010-01-06 2014-06-18 株式会社ファンケル 水中油型乳化組成物
EP2615099B1 (en) * 2010-09-07 2015-04-29 Hayashibara Co., Ltd. Hydrous crystals of 2-o-d-glucosyl-l-ascorbic acid, particul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their preparation and uses
EP2484387A1 (en) * 2011-02-03 2012-08-08 Q-Med AB Hyaluronic acid composition
JP2012176903A (ja) * 2011-02-25 2012-09-13 Kracie Home Products Ltd 皮膚外用剤組成物
AU2012226907B2 (en) * 2011-03-07 2016-11-24 Hayashibara Co., Ltd. Method for producing 2-O-alpha-D-glucosyl-L-ascorbic acid anhydrous crystal-containing powder
JP2012246248A (ja) * 2011-05-27 2012-12-13 Kracie Home Products Ltd 化粧料
CN102366397B (zh) * 2011-11-29 2013-01-30 宝健(中国)日用品有限公司 一种美白淡斑亮肤组合物、含有该组合物的护肤品及制备方法
KR101620077B1 (ko) 2013-11-12 2016-05-12 주식회사 파미니티 보리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10361A1 (ja) 2018-11-26 2020-06-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表示板およ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1066A1 (ja) 2005-07-22 2007-01-25 Kaneka Corporation 繊維芽細胞賦活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コラーゲン収縮促進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atp産生促進剤、メラニン生成抑制剤、皮膚外用剤
JP2007291102A (ja) 2006-04-21 2007-11-08 L'oreal Sa ヒドロキシル化ジフェニルメタン誘導体を含む組成物
JP2008169196A (ja) 2006-10-31 2008-07-24 Arura Tibetan Medical Center 皮膚外用剤
JP2008255020A (ja) 2007-04-02 2008-10-23 Fujifilm Corp 抗老化皮膚外用剤
JP2008260721A (ja) 2007-04-12 2008-10-30 Miiru Japan:Kk 皮膚外用剤
JP2009040690A (ja) 2007-08-06 2009-02-26 Zenyaku Kogyo Kk ソバガラの抽出物を含む皮膚外用剤
JP2009249306A (ja) 2008-04-03 2009-10-29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外用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더 저널 오브 클리니컬 인베스티게이션』, 슈나이더 에스 엘 등, 제67권, 1630~1635 페이지(1981년)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707B1 (ko) * 2021-01-06 2021-03-29 김현숙 천연 추출물 및 천연 가루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2250B1 (ko) * 2021-01-15 2021-07-27 (주) 보종 림프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림프 아로마 오일
KR102333145B1 (ko) * 2021-06-14 2021-12-01 한도숙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53386B1 (ko) * 2021-06-22 2022-01-20 주식회사 록키스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0897B1 (ko) * 2021-08-19 2022-02-14 주식회사 시사포뮬라 파라크레스 함유 콜라겐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30050533A (ko) * 2021-10-07 2023-04-17 라온커머스 주식회사 워시오프 톤업 화장용 크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1642B1 (ko) * 2022-06-27 2023-07-11 주식회사 넥스텍인터내셔널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9610B1 (ko) * 2022-09-13 2023-02-14 주식회사 바노바기 리쥬버네이팅 스킨 소프너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9609B1 (ko) * 2022-09-13 2023-02-14 주식회사 바노바기 리쥬버네이팅 에멀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4058317A1 (ko) * 2022-09-13 2024-03-21 주식회사 바노바기 리쥬버네이팅 스킨 소프너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28995B1 (ko) * 2022-10-25 2023-05-03 주식회사 퍼셀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5602B1 (ko) * 2023-03-08 2023-11-24 김학미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21129B1 (ko) * 2023-03-20 2024-01-08 김도현 곡물 및 한약재를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64B1 (ko) * 2023-05-17 2024-03-05 한윤섭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1077B1 (ko) * 2023-06-29 2023-10-20 주식회사 스킨앤플러스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920A (ko) 2021-09-01
EP3398585B1 (en) 2020-02-26
WO2014103475A1 (ja) 2014-07-03
CA2895387C (en) 2021-09-07
EP2939657A4 (en) 2016-08-03
CN104918603A (zh) 2015-09-16
US20190008747A1 (en) 2019-01-10
US20150342854A1 (en) 2015-12-03
JP2018090631A (ja) 2018-06-14
JP6307444B2 (ja) 2018-04-04
CA3085042A1 (en) 2014-07-03
EP2939657B1 (en) 2018-08-08
JPWO2014104171A1 (ja) 2017-01-12
TWI675671B (zh) 2019-11-01
EP2939657A1 (en) 2015-11-04
TW201438756A (zh) 2014-10-16
CN105585601A (zh) 2016-05-18
WO2014104171A1 (ja) 2014-07-03
CN105585601B (zh) 2018-11-13
TWI607764B (zh) 2017-12-11
CA2895387A1 (en) 2014-07-03
JP2019203033A (ja) 2019-11-28
EP3398585A1 (en) 2018-11-07
BR112015015170A8 (pt) 2019-10-15
US10111822B2 (en) 2018-10-30
KR20150103138A (ko) 2015-09-09
KR102193902B1 (ko) 2020-12-22
TW201438757A (zh) 2014-10-16
CA2896646A1 (en) 2014-07-03
BR112015015170A2 (pt) 2017-07-11
CA3085042C (en)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902B1 (ko)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007471B2 (ja) 機能性粉体
CN102448450B (zh) 包含反式-叔丁基环己醇作为皮肤刺激缓解剂的组合物
JP6275296B2 (ja) ミトコンドリア機能改善剤、及び製造方法
JP2016222612A (ja)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JPWO2016067688A1 (ja) 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及び皮膚バリア機能改善用組成物
JP2014114290A (ja)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JP2016050196A (ja) 皮膚色改善剤及び皮膚色改善用組成物
KR20100023910A (ko) 신규한 로열 젤리 분획물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JP2007210915A (ja) 皮膚外用剤
WO2008041460A1 (fr) Éliminateur d&#39;oxygène actif, agent d&#39;activation et promoteur de la production de collagène comprenant chacun du cacalol
JP2013227353A (ja) 乳液状化粧料
CN106413677A (zh) 抗老化用皮肤外用剂
JP2010189368A (ja) 液状皮膚外用剤
JP2007238597A (ja) 皮膚外用剤
JP2005089427A (ja) 皮膚外用剤
JP2017109945A (ja) シネフリン含有イノシトール三リン酸受容体発現誘導剤
JP2018070452A (ja) 前駆脂肪細胞分化促進剤
JP2021104968A (ja) オートファジー誘導剤
JP2018095584A (ja) シトクロムp450−1a1の発現を阻害する薬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