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442B1 - 마스크 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442B1
KR102047442B1 KR1020190045529A KR20190045529A KR102047442B1 KR 102047442 B1 KR102047442 B1 KR 102047442B1 KR 1020190045529 A KR1020190045529 A KR 1020190045529A KR 20190045529 A KR20190045529 A KR 20190045529A KR 102047442 B1 KR102047442 B1 KR 102047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ask pack
weight
skin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균
신연이
Original Assignee
(주) 온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온뷰티 filed Critical (주) 온뷰티
Priority to KR102019004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트라펩타이드-4, 아미노산 복합물, 석류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은행 추출물, 누에 추출물, 실크 아미노산 및 금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름개선, 항염, 피부톤 개선, 탄력 및 보습의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팩 조성물{COMPOSITE FOR 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 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개선, 항염, 피부톤 개선, 탄력 및 보습에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마스크 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배기가스, 유해 화학물질, 오존층의 파괴 등으로 자외선, 수질오염 등에 의한 활성산소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활성산소는 인체에 침투하여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며, 특히 색소변화, 피부노화 등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과중한 사회적, 업무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골프 등과 같은 야외에서의 레저활동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야회에서의 레저활동 중에는 신체 피부가 상기한 오염원 등에 더욱 쉽게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피부훼손 및 피부노화를 피할 수 없는 실정이어서 야외 레저활동을 보다 적극적이고 쾌적하게 즐기고자 하는 추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기본적인 신진대사 과정을 통하여 우리 몸의 항상성을 저해하는 다양한 외부 요인으로부터 위해를 막아주는 일차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즉, 피부는 신체 가장 바깥쪽에 위치함으로써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장벽기능을 통한 보호작용, 체온조절작용, 감각작용, 분비 및 배설작용, 흡수작용, 저장작용, 재생작용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외부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 가장 손상을 받기 쉽다. 이러한 외부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는 자외선 노출, 배기가스, 황사, 환경오염물, 중금속, 온도변화, 미생물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마스크 팩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 팩은 사용 후 물로 씻어 내는 워시 오프형, 도포 후 수면을 취해 이를 그대로 흡수시키는 슬리밍 팩형, 기능성 물질을 시트에 함침시켜 사용 후 시트를 제거하는 시트형 등이 있으며, 그 제형 역시 젤 타입, 크림타입, 에멀젼 타입은 물론,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분말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 팩 산업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나 외형적인 발전속도와 비교하여 품질의 발전속도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더욱 우수한 보습, 피부톤 개선, 항산화, 주름개선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 팩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다.
KR 10-2017-0056148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트라펩타이드-4, 아미노산 복합물, 석류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은행 추출물, 누에 추출물, 실크 아미노산 및 금나노 입자를 포함하여, 피부 자극 없이 안정할 뿐만 아니라 탄력, 주름개선 및 보습의 효과가 우수하고, 여드름이나 아토피 피부염 또는 피부톤 개선용으로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마스크 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스크 팩 조성물은, 테트라펩타이드-4, 아미노산 복합물, 석류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은행 추출물, 누에 추출물, 실크 아미노산 및 금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산 복합물은, 글라이신, 세린, 글루타믹애씨드, 아스파틱애씨드, 류신, 알라닌, 라이신, 알지닌, 타이로신,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프롤린, 발린, 아이소류신, 히스티딘, 메티오닌 및 시스테인을 포함하며,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 모링가 잎의 발효 추출물 및 목서의 발효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은, 새싹인삼과 대추 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자색 옥수수 속대 추출물, 비타민 나무 추출물 및 자작나무 수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 조성물은, 주름개선, 항염, 피부톤 개선, 탄력 및 보습의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 조성물은, 크림 타입, 분말 타입으로 제조되어 슬리밍 팩, 워시오프 팩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시트형 타입의 팩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 조성물은, 테트라펩타이드-4, 아미노산 복합물, 석류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은행 추출물, 누에 추출물, 실크 아미노산 및 금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피부 진정, 보습, 영양공급, 생기개선, 피부톤 케어, 주름개선, 탄력 등의 효과를 부여한다.
먼저, 상기 테트라펩타이드-4(tetrapeptide-4)는 우수한 항균 및 항염활성을 가져, 염증 완화, 피부 트러블 억제, 자극 완화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마스크 팩 조성물 내 0.0001~0.002중량%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산 복합물은 보습, 세포증식, 콜라겐 합성능 증진, 피부탄력 및 피부주름개선 효과 등의 피부노화방지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마스크 팩 조성물 내 0.001~0.02중량%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미노산 복합물은 글라이신(Glycine), 세린(Serine), 글루타믹애씨드(Glutamic Acid), 아스파틱애씨드(Aspartic Acid), 류신(Leucine), 알라닌(Alanine), 라이신(Lysine), 알지닌(Arginine), 타이로신(Tyros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레오닌(Threonine), 프롤린(Proline), 발린(Valine), 아이소류신(Isoleucine), 히스티딘(Histidine), 메티오닌(Methionine) 및 시스테인(Cysteine)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바, 이러한 복합물은 피부 각질의 아미노산 조성과 유사하여 피부노화방지의 작용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라이신 12~36중량%, 세린 7~20중량%, 글루타믹애씨드 6~19중량%, 아스파틱애씨드 4~12중량%, 류신 3~10중량%, 알라닌 2~7중량%, 라이신 2~6중량%, 알지닌 2~6중량%, 타이로신 1.5~5중량%, 페닐알라닌 1.5~5중량%, 트레오닌 1.5~4.5중량%, 프롤린 1.5~4.5중량%, 발린 1.5~4.5중량%, 아이소류신 1~4중량%, 히스티딘 0.5~2중량%, 메티오닌 0.5~1.5중량% 및 시스테인 0.5~2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석류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통해 피부톤 개선, 항주름, 보습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아미노산 복합물과 함께 사용시 주름 개선의 효과가 특히 개선된다. 상기 석류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및 은행 추출물은 마스크 팩 조성물 내 각각 0.001~0.01중량%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각 시료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이를 여과 및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킨 후, pH 5.0~7.0, 35~40℃에서 1~7일간 발효하고,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멸균한 후, 추출, 여과 및 건조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nu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및 웨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으로,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누에 추출물은 인간의 피부 조직과 가장 가까운 누에의 단백질 성분인 세레신을 함유하여 피부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수분 보존성 및 탄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마스크 팩 조성물 내 0.01~1중량%로 포함됨이 적절한 보습과 지나친 피부자극을 주지 않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누에 추출물로는 시판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실크 아미노산(Hydrolyzed Silk, Butylen Glycol)은 누에고치를 가수분해하여 얻은 원료로,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손상된 피부를 회복하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건강하고 매끄러운 피부로 가꿔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크 아미노산은 마스크 팩 조성물 내 0.01~0.2중량%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나노 입자는 금을 나노(nm) 크기로 분말화한 것으로, 상기 금은 반자성 물질로서 이온작용으로 인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피부노화방지 및 기미제거에 좋고, 호르몬 분비촉진으로 인한 피부 활성화로 피부주름방지 및 주근깨 제거 등에 효과가 있으며, 해독작용으로 인한 상처치유로 인하여 피부염증방지 및 여드름치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마스크 팩 조성물 내 0.00001~0.0002중량%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나노 입자는 콜로이드형(Colloidal Gold), 나노구형(nanospheres), 나노라드(nanorods), 나노쉘(nanoshells), 나노큐브(nanocubes) 및 나노프리즘(nanopris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고, 입자의 크기는 100~300nm일 수 있는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테트라펩타이드-4, 아미노산 복합물, 석류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은행 추출물, 누에 추출물, 실크 아미노산 및 금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조성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성분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름개선, 항염, 항균, 피부톤 및 탄력 개선, 보습의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마스크 팩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 외 용매인 정제수는 물론, 기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보습제, 기능성 성분, 보존제 등, 예시적으로, 글리세린, 나이아신아미아드, 1,2-헥산다이올, 소듐하이알로네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카퍼트라이펩타이드-1,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알란토인, 폴리솔베이트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마스크 팩 조성물은,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 모링가 잎의 발효 추출물 및 목서의 발효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은, 항산화, 항알러지, 피부톤 개선 및 주름개선의 기능성이 우수한바, 마스크 팩 조성물 내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새싹인삼은 모종삼을 3~6주 내외로 재배하여서 수확한 것으로, 새싹인삼의 사포닌 함량은 기존 수삼보다 월등히 높으며, 특히 새싹인삼의 잎은 뿌리보다 사포닌 함량이 8~9배 많다는 것이 많은 연구결과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을 통해 우수한 항산화, 항알러지, 피부톤 및 주름개선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새싹인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이를 여과 및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킨 후, pH 5.0~7.0, 35~40℃에서 1~7일간 발효하고,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멸균한 후, 추출, 여과 및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nu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및 웨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새싹인삼과 함께, 대추 잎을 혼합하여 추출하고, 이를 유산균으로 발효할 경우 더욱 우수한 피부톤 개선 기능성을 갖는바, 새싹인삼, 대추 잎을 1:0.5~1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 및 발효하는 것이다.
상기 모링가 잎의 발효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통해 피부톤 개선 기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마스크 팩 조성물 내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링가 잎의 발효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모링가 잎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이를 여과 및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킨 후, pH 5.0~7.0, 35~40℃에서 1~7일간 발효하고,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멸균한 후, 추출, 여과 및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nu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및 웨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목서의 발효 추출물은 톤업,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등을 통해 우수한 안티에이징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마스크 팩 조성물 내 0.01~1중량%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목서의 발효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목서의 꽃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이를 여과 및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시킨 후, pH 5.0~7.0, 35~40℃에서 1~7일간 발효하고,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멸균한 후, 추출, 여과 및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nu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및 웨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 팩 조성물은, 자색 옥수수 속대 추출물, 비타민 나무 추출물 및 자작나무 수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색 옥수수 속대 추출물은, 안토시아닌 함량, 항산화 활성 등이 우수하여 탄력 및 주름개선, 멜라민 색소 형성을 억제하는 등의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마스크 팩 조성물 내 0.01~1중량%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색 옥수수 속대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자색 옥수수 속대를 적절히 세척, 세절하고, 이를 건조한 후, 그 건조물의 10~20중량배의 물, 에탄올, 메탄올 중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가하고, 이를 20~100℃에서 1~20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 농축 및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할 수 있다.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타민 나무 추출물은 상기 자색 옥수수 속대 추출물과 함께 사용시 탄력 및 피부톤 개선의 효과를 현저히 상승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마스크 팩 조성물 내 0.01~1중량%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타민 나무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비타민 나무의 잎을 적절히 세척, 세절하고, 이를 건조한 후, 그 건조물의 10~20중량배의 물, 에탄올, 메탄올 중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가하고, 이를 20~100℃에서 1~20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 농축 및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할 수 있다.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땅속에서 나무의 줄기를 통하여 잎으로 올라가는 액을 말하는 것으로, 마스크 팩 조성물 내 0.01~1중량%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우수한 보습은 물론, 미백효과를 갖는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낮과 밤의 기온차가 10 내지 15℃일 때 나무의 증산작용으로 수액 채취가 가장 용이하며, 시기적으로는 지역, 위치, 기상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4월 20일(곡우) 전후 10일이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일반적으로 자작나무 직경 10cm당 연간 약 75L를 채취할 수 있는데, 상기 자작나무 수액의 채취 방법은 지상 30cm 정도 나무줄기를 V자형으로 자르고 홈을 내어 채취하는 사구법과, 지상 30cm 정도 나무줄기에 지름 12cm 깊이 15cm 깊이의 천공을 낸 후 호스를 연결하여 채취하는 천공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방법이라도 무관하다.
상기와 같은 마스크 팩 조성물은 크림 타입으로 제형화되어 수면 마스크 팩, 워시 오프 마스크 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시트에 함침되어 시트 마스크 팩으로 활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마스크 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아미노산 복합물은 글라이신 20중량%, 세린 14중량%, 글루타믹애씨드 14.5중량%, 아스파틱애씨드 10중량%, 류신 7중량%, 알라닌 5중량%, 라이신 5중량%, 알지닌 4중량%, 타이로신 3중량%, 페닐알라닌 3중량%, 트레오닌 3중량%, 프롤린 3중량%, 발린 3중량%, 아이소류신 2중량%, 히스티딘 1.5중량%, 메티오닌 1중량% 및 시스테인 1중량%로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석류 추출물은 석류의 열매를 껍질을 제거하여 준비하고, 이를 건조한 후, 씨와 함께 50mesh 정도로 분쇄하고, 이 분쇄물 100g에 70% 에탄올 0.7L를 첨가하여 3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와트만(whatman)#3 여과지로 여과 후, 50℃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이 추출물에 정제수를 1:10 중량비로 투입하고, 유산균 종균을 1%(v/v)로 접종한 후, 이에 탄소원으로 포도당을 5g/ℓ만큼 투입하고, pH 6.0, 37℃에서 5일간 발효한 후,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하고, 멸균(121℃, 15분, 15기압)한 후, 50~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고,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60℃에서 감압농축하고, 90℃에서 1시간 동안 살균처리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눔을 이용하였다.
상기 무화과 추출물은 무화과 열매를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준비하고, 이를 건조한 후, 50mesh 정도로 분쇄한 것을 시료로 하여 상기 석류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상기 뽕나무열매 추출물은 뽕나무열매를 건조한 후, 50mesh 정도로 분쇄한 것을 시료로 하여 상기 석류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상기 은행 추출물은 껍질을 제거한 은행을 건조한 후, 50mesh 정도로 분쇄한 것을 시료로 하여 상기 석류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마스크 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의 조성(중량%)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테트라펩타이드-4 0.0010 0.0010 스테아릭애씨드 - 0.8900
아미노산 복합물 0.0100 0.0100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 0.0010
석류 추출물 0.0025 0.0025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 0.0010
무화과 추출물 0.0025 0.0025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 0.8800
뽕나무 열매 추출물 0.0025 0.0025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 0.9500
은행 추출물 0.0025 0.0025 우유단백질추출물 - 0.0010
누에 추출물 0.5000 0.5000 치자추출물 - 0.0400
실크 아미노산 0.1000 0.1000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 0.6400
금나노 입자(나노 구형, 200nm) 0.0001 0.0001 폴리솔베이트 60 - 0.8100
글리세린 - 6.0000 카프릴릴글라이콜 - 0.2000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 3.0000 부틸렌글라이콜 - 0.1000
나이아신아마이드 - 2.000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 0.5000
1,2-헥산다이올 - 1.000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0.5000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 0.7500 에틸헥실글리세린 - 0.25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0.7000 카보머 - 0.3500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 0.1500 잔탄검 - 0.5000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 - 0.8000 다이메티콘 - 0.8000
카퍼트라이펩타이드-1 - 0.0010 트레할로오스 - 0.5000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 - 0.0010 알란토인 - 0.1000
아데노신 - 0.0400 정제수 to 100 to 100
세테아릴알코올 - 0.9800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 0.02중량%, 모링가 잎의 발효 추출물 0.02중량% 및 목서의 발효 추출물 0.02중량%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은 새싹인삼을 건조한 후 100mesh 정도로 분쇄하고, 이 분쇄물 100g에 70% 에탄올 0.7L를 첨가하여 3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와트만(whatman)#3 여과지로 여과 후, 50℃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이 추출물에 정제수를 1:10 중량비로 투입하고, 유산균 종균을 1%(v/v)로 접종한 후, 이에 탄소원으로 포도당을 5g/ℓ만큼 투입하고, pH 6.0, 37℃에서 5일간 발효한 후,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하고, 멸균(121℃, 15분, 15기압)한 후, 50~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고,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60℃에서 감압농축하고, 90℃에서 1시간 동안 살균처리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눔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모링가 잎의 발효 추출물은, 모링가 잎을 건조하여 100mesh 정도로 분쇄한 것을 시료로 하여 상기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목서의 발효 추출물은 목서의 꽃을 건조하여 100mesh 정도로 분쇄한 것을 시료로 하여 상기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할 시, 대추 잎을 건조한 후 100mesh 정도로 분쇄하고, 이 대추 잎 분쇄물과 상기 새싹 인삼의 건조 분쇄물을 각각 50g씩 혼합한 것을 시료로 하여 추출 및 발효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자색 옥수수 속대 추출물 0.02중량%, 비타민 나무 추출물 0.02중량% 및 자작나무 수액 0.02중량%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자색 옥수수 속대 추출물은 자색 옥수수 속대를 깨끗한 물로 세척한 후, 10일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하여 100mesh 정도로 분쇄하고, 상기 분말화한 시료 150g에 증류수 2000ml를 가한 후, 약 2시간 동안 80℃에서 추출하여 250mesh 여과포로 여과하고,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한 후 300mesh 정도로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비타민 나무 추출물은 비타민 나무의 잎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 후, 10일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하여 100mesh 정도로 분쇄하고, 상기 분말화한 시료 150g에 증류수 2000ml를 가한 후, 약 2시간 동안 80℃에서 추출하여 250mesh 여과포로 여과하고,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한 후 300mesh 정도로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테트라펩타이드-4, 아미노산 복합물, 석류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은행 추출물, 누에 추출물, 실크 아미노산 및 금나노 입자를 사용하지 않았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 1의 마스크 팩이 주름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부노화가 진행 중인 30대 이상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6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 군에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제형을 주고, 12주간 주 5회 슬리밍 팩으로 안면에 사용하게 한 후, 눈가 주름 주형(replica)을 영상분석법으로 피부미세주름측정기(SV-600, C+K,Germany)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주름깊이 감소율로 나타내었으며, 감소율은 각 군의 평균치를 기재하였다. 주름깊이 감소율은, {(시작일 전 측정된 주름깊이-12주 후 측정된 주름깊이)/시작일 전 측정된 주름깊이}×100으로 계산하였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주름깊이 감소율(%) 4.0 4.2 4.7 4.8 4.4 0.8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주름깊이 감소율은 모두 4% 이상으로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 1의 마스크 팩이 피부톤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부노화가 진행 중인 30대 이상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6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 군에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제형을 주고, 4주간 주 5회 슬리밍 팩으로 안면에 사용하게 한 후, 8주 후 크로마미터(Minolta CM-3500d)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변화(△L)를 측정하여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피부톤 개선 정도는 각 군의 평균치를 기재하였다.
시험예 2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피부톤
개선 정도(△L)
3.8 4.0 4.7 4.9 4.7 1.2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현저히 우수한 피부톤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 1의 마스크 팩이 보습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40대의 건강한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6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 군에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제형을 주고, 4주간 주 5회 슬리밍 팩으로 안면에 사용하게 한 후, 코르네오미터(Corneometer CM 820, Courage & Khazaka)를 이용하여 피부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실내온도 24±2℃, 상대 습도 40±2℃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였고, 각 조건당 3회씩 측정하여 얻어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결과값은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의 사용 전 피부 전도도를 100% 기준으로 하여, 사용 4주 후에 따른 전도도 증가율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전도도 증가율(%) 125 131 138 140 135 105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피부 보습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 1의 마스크 팩이 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40대의 건강한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6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 군에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제형을 주고, 4주간 주 5회 슬리밍 팩으로 안면에 사용하게 한 후, 피부탄력을 측정할 수 있는 큐토미터(cutometer; SEM474,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얼굴 부위의 탄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 조건당 3회씩 측정하여 얻어진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결과값은 사용 전 탄력도를 기준으로 하여 4주 후 그 개선도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값은 피부탄력측정기의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의미한다.
시험예 4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탄력 개선도(%) 64 75 79 79 78 41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피부 탄력 개선도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RAW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cell/well로 조절한 후 12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뒤 12시간 동안 기아상태를 유지시킨 후, LPS 10ng/mL과 시료 200㎍/㎖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여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reaction(RT-PCR)을 통해 TNF-α의 발현억제율을 확인하였다. TNF-α 발현억제율은 100-[(시료 TNF-α발현양 / 음성대조군 TNF-α발현양)×100]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5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대조군
TNF-α 발현억제율(%) 61.2 62.5 63.1 64.2 62.8 63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대조군인 덱사메타손과는 유사한 수준의 TNF-α 발현 억제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피부노화가 진행 중인 성인 여드름을 갖는 30대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6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 군에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제형을 주고, 4주간 주 5회 슬리밍 팩으로 안면에 사용하게 한 후, 보습, 탄력 개선, 주름 개선, 색소침착 개선, 피부톤 개선, 각질 개선과 전체적인 만족도를 9점 척도로 평가토록 하였다. (1점은 매우 악화됨, 9점은 매우 개선됨으로 순차적으로 평가) 그리고 그 결과를 각 평균치로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6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보습 6.8 7.2 7.5 7.6 7.6 5.2
탄력 개선 6.7 6.9 7.2 7.5 7.4 5.1
주름 개선 7.1 7.2 7.5 7.7 7.6 4.6
색소침착 개선 6.8 7.0 7.4 7.6 7.5 5.2
피부톤 개선 6.5 6.9 7.1 7.4 7.3 5.8
각질 개선 6.9 7.6 7.8 7.8 7.6 6.2
전체적 만족도 6.8 7.2 7.5 7.7 7.6 5.6
상기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 모두 보습, 탄력개선, 주름개선, 색소침착 개선, 피부톤 개선, 각질 개선, 전체적인 만족도가 비교예 1에 비해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테트라펩타이드-4, 아미노산 복합물, 석류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뽕나무열매 추출물, 은행 추출물, 누에 추출물, 실크 아미노산 및 금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산 복합물은,
    글라이신, 세린, 글루타믹애씨드, 아스파틱애씨드, 류신, 알라닌, 라이신, 알지닌, 타이로신,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프롤린, 발린, 아이소류신, 히스티딘, 메티오닌 및 시스테인을 포함하며,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 모링가 잎의 발효 추출물 및 목서의 발효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인삼의 발효 추출물은,
    새싹인삼과 대추 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자색 옥수수 속대 추출물, 비타민 나무 추출물 및 자작나무 수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조성물.
KR1020190045529A 2019-04-18 2019-04-18 마스크 팩 조성물 KR102047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529A KR102047442B1 (ko) 2019-04-18 2019-04-18 마스크 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529A KR102047442B1 (ko) 2019-04-18 2019-04-18 마스크 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442B1 true KR102047442B1 (ko) 2019-11-22

Family

ID=6873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529A KR102047442B1 (ko) 2019-04-18 2019-04-18 마스크 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71A (ko) * 2021-10-13 2023-04-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모링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114A (ko) * 2012-03-13 2013-09-25 미원상사주식회사 테트라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항염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3138A (ko) * 2012-12-27 2015-09-09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6148A (ko) 2015-11-13 2017-05-23 성훈경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KR20180019599A (ko) * 2015-06-24 2018-02-26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스틱상 기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114A (ko) * 2012-03-13 2013-09-25 미원상사주식회사 테트라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항염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3138A (ko) * 2012-12-27 2015-09-09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9599A (ko) * 2015-06-24 2018-02-26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스틱상 기재
KR20170056148A (ko) 2015-11-13 2017-05-23 성훈경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71A (ko) * 2021-10-13 2023-04-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모링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612332B1 (ko) 2021-10-13 2023-12-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모링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88346A (zh) 一种植物蛋白与多肽配方的冻干粉活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00135871A (ko)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CN110664650A (zh) 多效护肤组合物和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13786362B (zh) 一种具有舒缓平衡护肤功效的化妆水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330954B (zh) 美白亮肤水及其制备方法和酪氨酸酶抑制剂
KR101375137B1 (ko)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0025547A (zh) 一种修复蓝光损伤的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825803B1 (ko) 마가목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6804B1 (ko) 버섯을 이용한 전복 버섯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981016B1 (ko) 피부보습,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성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24971B1 (ko) 함초캘러스 추출물 및 라미나리아 디지타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또는 피부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6B1 (ko) 상동나무 추출물과 미세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7442B1 (ko) 마스크 팩 조성물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CN113101256A (zh) 一种抗衰修复纳米乳及其应用
KR20160143003A (ko) 화장료 조성물용 아이스플랜트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0527A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5557B1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1771B1 (ko) 닥나무 또는 그 추출물의 발효방법, 그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55950A (ko)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6120420A (zh) 燕窝多肽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在抗衰老美白中的应用
KR102054100B1 (ko)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