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796A -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796A
KR20100006796A KR1020080067374A KR20080067374A KR20100006796A KR 20100006796 A KR20100006796 A KR 20100006796A KR 1020080067374 A KR1020080067374 A KR 1020080067374A KR 20080067374 A KR20080067374 A KR 20080067374A KR 20100006796 A KR20100006796 A KR 20100006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herbal
aging
sk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340B1 (ko
Inventor
이의정
류종성
김윤석
박문억
이정래
최수규
오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6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3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6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85Streptococc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911Microorganisms using fungi
    • Y10S435/94Saccharomy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생약에 효모 또는 유산균을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생약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은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 유발 문제가 없으며, 항산화 효과,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이러한 노화 방지 효과가 단시간 내 나타나서 오래 지속되어 화장품의 모든 형태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피부 노화 방지, 주름 개선, 생약 발효 추출물.

Description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ERB FERMENT EXTRACT}
본 발명은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 유발 문제가 없으며, 항산화 효과,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면역 강화 기능이 우수하여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이러한 효과가 단시간 내 나타나서 오래 지속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련된다.
사람의 피부는 끊임없이 변화를 겪게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변화가 노화에 의한 피부 기능 저하 및 시각적 아름다움의 감소이다. 따라서, 화장품에서 가장 관심을 갖고 연구하는 분야는 어떻게 피부 노화를 지연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피부 노화의 결과 나타나는 최종적인 피부 외관에서의 현상은 주름의 형성, 피부 탄력 저하, 노인성 반점 형성 등이 있으며, 주름의 형성이 가장 대표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체세포의 돌연변이설, 유전자 복제중 에러 발생설, 유전자 프로그램설, 자유 라디칼설, 자가면역반응설, 독성물 질의 축적설, 진피구성 단백질의 변형설 등(M. Rieger, C&T, 110, 94, 1994) 여러 가지 학설이 있는데, 이들 모두 어느 정도 피부 노화에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자유 라디칼 이론이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피부의 노화와 관련이 있는 자유 라디칼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물질로 피부가 자외선에 조사되었을 때나 피부내 세포의 호흡 과정에서도 발생된다. 자유라디칼의 대부분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그 종류로는 수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 등이 있다. 활성산소종들은 라디칼, 과산화물, 알데하이드(aldehyde), 에폭사이드(epoxide) 등의 다양한 활성종을 발생시키고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및 세포구조 손상, 암, 조직 손상, 노화 등의 주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Black HS, Photochem . photobiol ., 46(2), 213, 1987). 그러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변화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피부 외관의 주름살이 형성되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져 있지 않으며, 따라서 주름 형성 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진행중이다.
최근 피부 주름의 생성 원인에 관한 생리학적인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에 의한 주름 생성 방지는 우선 보습제에 의한 각질층의 수분 유지, 자외선 또는 환경으로부터 피부의 보호, 새로운 세포 활성 촉진에 의한 주름 방지 등의 방법이 응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피부 노화 억제를 목적으로 이용되는 물질로는 수퍼옥사이드 디스 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카탈레이즈(catalase) 등의 효소, α-토코페롤(α-tocopherol, vitamin E), β-카로틴(β-carote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vitamin C) 및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 그리고 라디칼 소거제들이 있다. 이들은 주로 피부 노화에 따른 주름의 형성을 억제하는 예방 효과가 있는 반면, 최근 항노화 물질로 각광받는 비타민 A, 알파 하이드록시산 등은 진피내 콜라겐 합성 증진을 통해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치유 효과가 있다. 특히 비타민 A 및 알파 하이드록시산은 주름 완화 효과가 항산화제보다 빠른 시일에 나타나며 피부 세포 재생, 미백 등의 부가적인 효과도 보고되어 있다 (R.Hermitte, C&T, 107, 63, 1992). 그러나, 이들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 비타민 A, 알파 하이드록시산 등은 화장료에 배합시 안정성 및 안전성 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화장품 분야에는 생약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보습력과 노화 개선 기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피부 노화 개선 효과 면에서 우수하다고 보고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한 생약 추출물을 사용하는 생약 조성물들은 원하는 미백, 주름 개선, 항산화 등의 효과가 미미할 뿐 아니라, 이러한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실용성이 높지 않았다.
한편, 생약 발효액 추출물은 다른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생약 속에 있는 당 성분이 알콜로 변화하여 발효와 숙성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생약 속에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비타민 P, 아미노산, 카테킨 등의 유효성분 함량 추출율 이 현저히 높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훨씬 뛰어난 노화 방지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즉, 생약 발효액 추출물에 의해 피부 자극 없이 안정하면서 주름 개선 효과가 극대화된 새로운 피부 노화 방지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자극성이고 피부질환 유발 문제가 없어 피부에 매우 안전하며, 항산화능,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능, 콜라겐 합성 증진, 면역 강화 기능이 우수하여 피부 노화 개선 효과, 특히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이러한 효과가 단시간 내 나타나서 오래 지속되는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생약에 효모 또는 유산균을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생약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생약을 발효시켜 수득한 생약 발효액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한 결과, 생약 속에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비타민 P, 아미노산, 카테킨 등의 유효성분 함량 추출율이 현저히 높아지고, 이에 따라 노화 방지 효과가 탁월해지는 한편, 이러한 추출물이 사람의 피부에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약 발효 추출물은 생약에 효모 또는 유산균을 첨가, 배양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sp.),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Schizosaccharomyces sp.), 토룰로프시스(Torulopsis sp.), 로도토룰 라(Rhodotorula sp.), 또는 칸디다(Candida sp.) 등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sp.), 류코노스톡(Leuconostoc sp.), 또는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sp.) 등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모 또는 유산균 발효에 사용되는 생약은 생강, 백지 및 탱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강, 백지 및 탱자를 4 내지 24:4 내지 12:4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다.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에서는 2500년 전에 생강이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우리 나라는 고려 현종 때 왕의 하사품으로 쓰였다는 기록이 있다. 중국 의학서에 의하면 생강은 건위, 토제, 진통해소에 효과적이며 헛배나 발열의 치료에 좋고 감기초기, 류머티종, 신경통, 좌상, 냉증에 끓여서 마시거나 외용으로 쓰면 효과가 있다고 되어있으며, "본초"에는 생강이 담이나 풍한과 습기도 없애고 소염제로 쓰인다고 되어있다. 동의치료에서는 주약으로 쓰는 경우는 적고 처방에 더운 약으로서 보조약으로 포함시켜 신진대사기능 촉진, 땀내기, 독풀이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밖에 생강은 염증을 치료하고 결장을 깨끗이 하며, 경련을 완화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한편, 강한 항산화제이며 염증이나 상처의 항생제로도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화장품 분야에서도 한약재의 사용이 두드러져, 보습력과 노화방지 기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면에서 우수하다고 보고된 후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백지(Angelica dahurica)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 또는 세해살이 풀인 구릿대의 뿌리를 말려 만든 생약재로서, 동의보감과 신농본초경에는 "고약과 분으로 만들어 얼굴에 바르면 따뜻한 기운을 얼굴 피부로 보내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안색을 기름지고 윤택하게 한다", "얼굴에 기미와 주근깨, 흉터를 없앤다"라고 기록되어있다. 전통 한의서인 방약합편에도 따뜻한 성질을 가지는 약으로 얼굴 독을 빼고 인체대사 능력을 높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탱자(Poncirus trifoliata)는 운향과의 낙엽관목으로 중국 원산이며 경기도 이남에서 재배된다. 탱자나무의 어린 과실을 지실이라 하고 성숙한 과실은 지각이라 하여 비슷한 효능을 갖는데, 탱자는 비장과 위에 작용하고, 지실은 정체된 기와 담, 음식물 등을 잘 통하게 하며 중초 소화기에 작용하여 기능을 원활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다. 기가 정체하여 가슴과 배가 그득하고 부푼 것, 가슴이 답답하고 누르면 아픈 것, 부종, 소화불량, 변비 등을 다스리며 근래에 위하수, 자궁하수, 탈항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리실험 결과 자궁수축 작용, 위장운동항진 작용, 강심 작용, 이뇨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항염, 항산화, 항알러지, 항과민 작용 등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생강, 백지 및 탱자를 4∼24:4∼12:4∼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분쇄한 분말 상태나, 물, 알코올, 에틸에테르 등의 용매에서 5∼40 중량%로 냉침 또는 온침하여 추출한 후 여과 분리하여 제조되는 추출물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 발효 추출물은, 이들 생약 혼합물에 효모 또는 유산균을 첨가, 배양 발효시켜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생약들은 기본 배지에 5 내지 15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미생물로 효모를 사용할 경우에는 생약 분말이 함유된 기본 배지에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효모를 접종하여, pH 5.5∼6.5, 온도 25∼35 ℃, 통기량 0.05∼0.5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배양한 후,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효모균체가 제거된 최종 생약 발효액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배양 시간은 30 내지 120 시간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생물로 유산균을 사용할 경우에는 생약 분말이 함유된 기본 배지에 일정한 농도(약 105∼107 cells/mL)로 유산균을 접종하여,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배양한 후, 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가 제거된 최종 생약 발효액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배양 시간은 24 내지 96 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생약 발효 추출물은 본 발명의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0.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실질적인 노화 방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90 중량% 보다 높으면 화장료 제조중 작업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생약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부외용연고는 본 발명의 생약 발효 추출물 이외에 바셀린 50∼97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의 생약 발효 추출물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의 생약 발효 추출물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의 생약 발효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크림은 본 발명의 생약 발효 추출물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팩은 본 발명의 생약 발효 추출물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 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의 생약 발효 추출물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은 위에 기재된 성분들 이외에도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각각의 제형에 적절히 배 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은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 유발 문제가 없으며, 항산화 효과,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이러한 효과가 단시간 내 나타나서 오래 지속되어 화장품의 모든 형태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생약 발효 추출물 제조
건조된 생강, 백지 및 탱자를 각각 4:4:4의 중량비로 혼합, 세절한 후 다시 호모믹서로 분쇄, 교반하여 미세 분말상으로 수득하였다. 이렇게 분말화된 생약을 다시 오토마이저(Atomizer, USA)로 분쇄하여 스크린(파이 0.8 ㎜, ROUND HALL)에 통과시켰다. 이 과정을 반복한 후 직경 0.3 ㎜의 스크린(ROUND HALL)에 통과시키고, 체(타일로 표준체, 200 메쉬)로 걸러 초미립 분말상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생약 분말을 1.5 L의 정제수에 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탄소원, 질소원, 인산염, 무기염류, 미량영양성분 등을 기본 조성으로 하고,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적절 한 pH(5.0∼7.5)로 맞추었다.
상기 생약 분말이 함유된 배양 배지에 Lactobacillus sp.(균주 제조원:두산바이오텍)를 106 cells/mL로 접종하고, pH 6.5∼7.5, 온도 35∼38 ℃, 통기량 1 VVM의 조건을 유지하면서 7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발효액을 10,000×g에서 30 분간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침전물과 유산균체가 제거된 최종 생약 발효액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생약 추출물 제조
위 실시예 1과 같은 비율의 생강, 백지 및 탱자를 건조 및 세절한 후, 추출 용매로 증류수를 넣어 생약 추출물이 3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이를 3 일간 냉침한 후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0.2 ㎛ 필터로 여과하고, 살균 효과를 위해 3 일간 UV 자외선을 쪼여 최종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효과 시험예 1: 자유라디칼 소거능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에 대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1,1-diphenyl-2-pycryl-hydrazyl(DPPH) 방법으로 측정하였다(Blois, M.S. Nature 181, 1190(1958)). DPPH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로, 라디칼 상태로 존재시 517 ㎚에서 최대 흡광을 보이며 소거되면 흡광성을 잃는다. DPPH는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0.15 mM의 농도로 메틸 알코올에 녹여 사용하였다.
먼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생약 추출물, 및 비타민 C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각 웰에 100 ㎕씩 넣었다. 여 기에 DPPH 용액을 100 ㎕씩 첨가하여 상온에서 30 분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 plate reader; BioTek EL-340)를 이용하여 517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생약 추출물 대신 메틸 알코올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 측정 후,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를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1-실험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100
물질 농도(%, w/v) 생약 추출물 (0.5%) 생약 발효 추출물 (0.5%) 비타민 E (0.025%) 메틸 알코올
자유라디칼 소거율(%) 59.25 % 72.46 % 80.26 % 7.15 %
위 표 1에서 보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은 비교예 1의 생약 추출물과 비교하여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과 시험예 2: 콜라겐 합성 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실험하였다. 생합성된 콜라겐 측정은 PO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 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생약 추출물의 최종 농도가 각각 10 ㎍/mL가 되도록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1 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취하여 PECP EIA Kit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에서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타민 C를 첨가한 배양액과,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시험하여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능은 대조군(무첨가)에 대한 상대적인 합성능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서 실험값은 6 회 반복하여 실시한 평균값이다.
구분 콜라겐 합성 증가율 (%)
대조군 (무첨가) -
비타민 C (최종 농도 52.8 ㎍/mL) 129.8
생약 발효 추출물(최종 농도 10 ㎍/mL) 146
생약 추출물(최종 농도 10 ㎍/mL) 109
위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 발효 추출물은 세포 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효과 시험예 3: 세포 증식 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의 섬유아 세포(human fibroblast cell)를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생약 추출물을 각각 10 중량%, 5 중량%, 1 중량%, 0.5 중량%, 0.01 중량%, 및 0.005 중량%의 농도로 2 일간 적용하고, MTT 시험 방법을 수행하여 세포증식을 평가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는 혈청(serum) 1 %를 부가하여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구분 2 일후 세포증식율 (%)
대조군(무혈청 배지) 100
혈청 1% 174
실시예 1의 생약 발효 추출물 10 % 154
5 % 142
1 % 118
0.5 % 109
0.01 % 103
0.005 % 101
비교예 1의 생약 추출물 10 % 123
5 % 119
1 % 116
0.5 % 105
0.01 % 102
0.005 % 101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 발효 추출물은, 비교예 1의 생약 추출물보다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및 3 & 비교예 2 및 3: 수중유형 유화물 제조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2 및 3에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생약 발효 추출물을 배합하였다. 비교예 2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 시료이고, 비교예 3은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 시료로, 수상과 유상을 각각 70∼75 ℃로 가열 용해한 후,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믹서 6,000 rpm 조건하에서 10 분간 유화시킨 후 30 ℃까지 냉각하여 수중유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표 4에서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비교예 3
수상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0.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1 15 15 15 15
농글리세린 6 6 6 6
프로필렌글리콜 4 4 4 4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0.2 0.2
생약 발효 추출물 1.0 5.0 - -
생약 추출물 - - - 5.0
유상 세토스테아릴알콜 1 1 1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1 1 1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2 1 1 1 1
POE(20)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0.1 0.1 0.1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5 5 5 5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3 5 5 5 5
스쿠알란 5 5 5 5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미국 비.에프.굿리치(B.F.Goodrich)사의 카보폴 941(Carbopol 941) 1 중량% 수용액
*2.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영국 아이시아이(ICI)사이 아라셀 60(Arlacel 60)
*3.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일본 니혼 고쿄 알코올(Nihon Kokyu Alcohol)사의 아이시이에이치(ICEH)
효과 시험예 4: 주름개선 효과
실시예 2, 3 및 비교예 2, 3에서 제조한 수중유형 유화물을 건강한 30∼50 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30∼50 세의 여성 30 명을 15 명씩 2 개의 군으로 나누어, 그룹 1은 오른쪽 눈가에 비교예 2, 왼쪽 눈가에 실시예 2를, 그룹 2는 오른쪽 눈가에 비교예 3, 왼쪽 눈가에 실시예 3 1 일 2 회씩 3 개월간 도포하도록 하였다.
3 개월 후 피시험자의 설문 및 주름의 영상분석을 통해 주름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시험자의 설문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에 관하여 사용 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및 상당한 개선의 3 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구분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
비교예 2 9 6 0
비교예 3 3 7 5
실시예 2 4 11 0
실시예 3 1 5 9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보다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과 시험예 5: 세포독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의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로서의 1차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V79-4 세포(차이니스 햄스터, 폐조직 섬유아세포의 연속 세포주)를 배양하여 MTT 시험법(Mossma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1983, 65, 55-63)을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시험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SLS(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와 안정성이 우수한 유용성 원료인 스쿠알란, 그리고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생약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시료 IC50 (%, w/v)
SLS 0.005
스쿠알란 0.05
생약 발효 추출물 10.00
생약 추출물 1.00
위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름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생약 발효 추출물의 IC50 값은 10.00 %로, SLS에 비하여 2,000 배 이상 세포독성이 낮고, 안전성이 우수한 유용성 원료인 스쿠알란에 비해서도 200 배 이상 낮으며, 비교예 1의 생약 추출물에 비해서도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여 세포독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과 시험예 6: 알러지 테스트( LLNA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의 알러지 유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운반매개물로 아세톤:올리브오일(4:1)을 사용하는 실험법(Kimber I(1990): Identification of contact allergens using the murine local lymph node assay, J. Appl . Toxicol . 10(3); 173-180)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을 각각 20 중량%, 40 중량%, 60 중량% 용액으로 제조하여, 생쥐(Balb/c)의 양쪽 귀에 50 ㎕씩 3 일간 발라준 후, 쥐로부터 이개임파절(Auricular lymph node)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임파절을 분쇄하여 단일세포 상태로 만들고, 방사성 동위원소 [3H]-메틸티미딘(methyl thymidine)을 첨가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β-신틸레이션 계수기(Beckman LS 6000 TA, USA)를 이용하여 평균(cmp) 및 세포의 증폭도(dpm, disintegrations per minute)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낸다.
구분 임파절세포 수 (107 세포/mL) cmp (평균) 증폭도
아세톤:올리브오일(4:1) 1.70 2870 운반매개물
생약 발효 추출물 20 % 1.71 2296 0.8
생약 발효 추출물 40 % 2.04 3157 1.1
생약 발효 추출물 60 % 3.23 4592 1.6
위 표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 발효 추출물은 증폭도가 2 이하로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 시험예 7: 피부 자극성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의 피부 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니아 피그(Guinea Pig)를 이용한 첩포 시험(Patch test)을 수행하였다[참고 문헌: ① Draize, J.H.(1959): Dermal toxicity. Assoc. Food and Drug officials, US. Appraisal of the safety of chemicals in Food, Drugs and Cosmetics, pp46-59, Texas State Dept of Health, Austin, Texas; ② Federal Register(1973): Method of testing primary irritant substances 38(187): pp1500-1541]. 시료는 증류수를 가지고 여러 농도로 희석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시료 도포 부위(등)의 털을 제거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24 시간 동안 환경에 적응시켰다. 다음에, 시료 도포 부위를 설정(1.5 ㎝×1.5 ㎝)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 발효 추출물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생약 추출물 각각 0.1 중량%, 5.0 중량%, 50.0 중량%와 거즈를 적용한 후, 시료의 증발 및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고형 재질의 박지로 밀봉하고, 탄력 붕대로 48 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48 시간 동안 고정한 후 폐쇄 첩포를 제거하고, 2 시간, 24 시간(첩포 후 48 시간, 72 시간)째 자극 정도를 판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구분 자극지수 (PII*) 자극도
대조군 0.46 미세자극
생약 발효 추출물 0.1 % 0.45 미세자극
5.0 % 0.50 미세자극
50.0 % 0.51 미세자극
생약 추출물 0.1 % 0.52 미세자극
5.0 % 0.68 미세자극
50.0 % 0.87 미세자극
* PII: Primary cutaneous Irritation Index
위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 발효 추출물은 매우 안전하며, 생약 추출물보다도 더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은 비자극성이고 피부에 안전하여 피부질환 유발 문제가 없으며, 항산화 효과,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 활성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이러한 노화 방지 효과가 단시간 내 나타나서 오래 지속되어 화장품의 모든 형태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생약에 효모 또는 유산균을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생약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이 생강, 백지 및 탱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이 생강, 백지 및 탱자를 4 내지 24:4 내지 12:4 내지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가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sp.),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Schizosaccharomyces sp.), 토룰로프시스(Torulopsis sp.), 로도토룰라(Rhodotorula sp.) 및 칸디다(Candida sp.)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sp.), 류코노스톡(Leuconostoc sp.) 및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sp.)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발효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67374A 2008-07-11 2008-07-11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1474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374A KR101474340B1 (ko) 2008-07-11 2008-07-11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374A KR101474340B1 (ko) 2008-07-11 2008-07-11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96A true KR20100006796A (ko) 2010-01-21
KR101474340B1 KR101474340B1 (ko) 2014-12-18

Family

ID=4181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374A KR101474340B1 (ko) 2008-07-11 2008-07-11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34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984B1 (ko) * 2011-06-17 2013-10-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킨 산수유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456655B1 (ko) * 2014-04-29 2014-11-06 주식회사 더네이처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15758A (ko) * 2015-07-31 2017-02-09 한국식품연구원 Schizosaccaromyces pombe를 이용한 생강 발효물 및 이의 용도
JP2017071594A (ja) * 2016-07-27 2017-04-13 株式会社東洋新薬 皮膚外用剤、抗糖化剤及びコラゲナーゼ阻害剤
JP2017141201A (ja) * 2016-02-12 2017-08-17 株式会社東洋新薬 糖化阻害剤
EP3744401A1 (fr) * 2019-05-28 2020-12-02 Chanel Parfums Beauté Procede d'extraction de vegetaux comprenant une étape de fermentation avec saccharomyces cerevisia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4945B2 (ja) 2006-08-28 2012-10-24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984B1 (ko) * 2011-06-17 2013-10-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킨 산수유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456655B1 (ko) * 2014-04-29 2014-11-06 주식회사 더네이처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15758A (ko) * 2015-07-31 2017-02-09 한국식품연구원 Schizosaccaromyces pombe를 이용한 생강 발효물 및 이의 용도
JP2017141201A (ja) * 2016-02-12 2017-08-17 株式会社東洋新薬 糖化阻害剤
JP2017071594A (ja) * 2016-07-27 2017-04-13 株式会社東洋新薬 皮膚外用剤、抗糖化剤及びコラゲナーゼ阻害剤
EP3744401A1 (fr) * 2019-05-28 2020-12-02 Chanel Parfums Beauté Procede d'extraction de vegetaux comprenant une étape de fermentation avec saccharomyces cerevisiae
JP2020193197A (ja) * 2019-05-28 2020-12-03 シャネル パフュームズ ビューテ 植物体抽出方法
US11304891B2 (en) 2019-05-28 2022-04-19 Chanel Parfums Beaute Process for extracting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340B1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042B1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825B1 (ko) 현미, 녹차 및 포공영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5871A (ko)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CN105362151A (zh) 含有香豆雌酚或包含香豆雌酚的豆提取物的、用于皮肤护理的化妆品组合物
KR10225309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KR101474340B1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2292975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26800A (ko) 화장료 조성물
KR101292274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31988A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371504B1 (ko)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2712A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CN115414308A (zh) 一种祛痘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KR20110121775A (ko)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8942A (ko) 발효된 부활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50139679A (ko) 콩 발효액으로 발효시킨 한방약재 추출물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JPH11158054A (ja) 皮膚外用剤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7578A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