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995B1 -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995B1
KR102528995B1 KR1020220138236A KR20220138236A KR102528995B1 KR 102528995 B1 KR102528995 B1 KR 102528995B1 KR 1020220138236 A KR1020220138236 A KR 1020220138236A KR 20220138236 A KR20220138236 A KR 20220138236A KR 102528995 B1 KR102528995 B1 KR 102528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skin
collagen
hexa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은
김혜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셀
Priority to KR1020220138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노화 억제 또는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세포 재생 또는 생장 촉진, 피부 주름 억제 또는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및 피부 항산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내 활성산소 제거능과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억제능이 우수하여, 피부 노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부상의 문제들을 근본적이며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CCHAROMYCES FERMENTATED PRODUCT OF HEXAPEPTIDE-11, HYDROLYSATE OF COLLAGEN AND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노화 억제 또는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세포 재생 또는 생장 촉진, 피부 주름 억제 또는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및 피부 항산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는 주로 유전 요인, 활성 산소를 포함한 세포 대사 및 호르몬 변화 등의 내재적 요인과 자외선(UV), 독소 등의 외인성 요인 등에 의해 유발된다. 상기의 요인들에 의해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의 생장이 둔화되고, 콜라겐과 엘라스틴 분비량이 감소하거나 분해되는 등의 이유로 피부의 노화가 진행된다. 또한,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분해는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 등에서 분비된 MMP(matrix metalloproteinases)의 활성에 의해 심화되는데, 콜라겐과 엘라스틴 수준 감소는 주로 주름 발생, 피부 처짐, 피부 건조화 등의 노화 현상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 노화에 대한 관심은 고대로부터 현재까지도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이에 피부 노화를 감추거나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은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예를들어, 메이크업 제품 등을 이용하여 노화된 피부를 가리는 방법은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방법이며, 최근 의학이 발달하며 보톡스 등을 이용한 시술도 성행하고 있다. 그러나, 메이크업은 단지 주름을 가리는 것에 불과하여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아니고, 시술은 일시적으로 드라마틱한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피부 부작용과, 주기적 시술을 요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결국, 아직까지 피부 노화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밝혀진 바 없다.
KR 10-2022-0118155 A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노화 현상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상의 주름 생성을 억제하거나, 생성된 주름을 개선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처짐 현상을 개선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항산화를 억제 또는 개선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건조화 현상을 개선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세포의 재생 또는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내 활성산소 제거능과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 억제능이 우수하여, 피부 노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부상의 문제들을 근본적이며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MMP-1 저해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 세포 재생 촉진 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열 안정성 및 광안정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 측면에서,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발효물"이란, 발효 공정을 통해 수득한 결과물(product)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발효물은, 특정 물질을 발효하여 발생한 물질, 그 추출물, 및 그 여과물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가수분해물"이란, 특정 물질을 가수분해한 결과 발생한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물은, 특정 물질을 가수분해한 결과물 자체, 그 추출물, 또는 그 여과물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일 수 있다. 피부 노화 억제 또는 개선이란, 피부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들, 즉, 피부 탄력 저하 및 피부 처짐 현상, 주름 발생 및 심화, 피지 분비 감소로 인한 건조 현상, 색소 침착 등의 진행 속도를 줄이거나, 노화 심화정도를 줄여 노화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억제 또는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일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항산화"란, 체내에서 발생하는 산화 현상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체내 산화 현상은 활성산소 등이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산화로 인한 스트레스는 유전체, 세포 내 기관 등의 노화 또는 변형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일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 재생 또는 피부 세포 생장 촉진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세포 재생"이란, 노화되거나 손상된 세포를 복원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피부 세포 생장 촉진"이란, 피부 세포의 분열(합성) 속도가 세포 분해 또는 사멸 속도보다 커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피부 세포의 증식 촉진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의 조합을 포함함으로써, 이 중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를 포함할 경우와 비교하여 개선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73~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또는 75~90 중량%, 또는 75~88 중량%, 또는 77~85 중량%, 또는 78~84 중량%, 또는 79~84 중량%, 또는 80~84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콜라겐의 가수분해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콜라겐의 가수분해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0.7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또는 0.0001~0.5 중량%, 또는 0.0001~0.3 중량%, 또는 0.0001~0.1 중량%, 또는 0.0001~0.05 중량%, 또는 0.0001~0.01 중량%, 또는 0.0001~0.005 중량%, 또는 0.0001~0.003 중량%, 또는 0.0001~0.001 중량%, 또는 0.0003~0.001 중량%, 또는 0.0003~0.0009 중량%, 또는 0.0003~0.000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상기 4차 암모늄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4차 암모늄 화합물은, 0.0001~0.7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또는 0.0001~0.5 중량%, 또는 0.0001~0.3 중량%, 또는 0.0001~0.1 중량%, 또는 0.001~0.05 중량%, 또는 0.003~0.05 중량%, 또는 0.007~0.05 중량%, 또는 0.009~0.05 중량%, 또는 0.0009~0.0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 포함되는 4차 암모늄 화합물은,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총 중량을 100으로 할 때, 500~5000 중량부, 또는 500~4000 중량부, 또는 1000~4000 중량부, 또는 1000~3000 중량부, 또는 1500~25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헥사펩타이드-11 효모 발효물은, 헥사펩타이드-11을 미생물로 발효하고 여과하여 추출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헥사펩타이드-11 효모 발효물은, 효모로 헥사펩타이드-11을 발효하고 여과하여 추출한 것을 포함하며, 예컨대, 효모/헥사펩타이드-11 발효여과추출물(CAS NO.161258-30-6)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측면에서, 상기 콜라겐의 가수분해물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hydrolyzed collage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측면에서, 상기 4차 암모늄 화합물은, 카르니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라디컬 소거능 또는 단백질분해효소 활성 억제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활성 라디컬 또는 자유 라디컬은, 체내에서 지질, 단백질, 핵산 성분 등의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예컨대, 막 지질의 불포화 지방산 내 이중결합은 활성 산소종(산소 라디컬)에 의해 불안정한 상태의 과산화물로 변환되며, 이로 인해 세포막은 세포막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활성 산소종은 단백질 효소의 활성부위를 손상시켜 구조 단백질의 기능을 변형시키는 결과, 해당 단백질이 본래의 기능을 잃게 한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단백질, 세포막, DNA 등의 활성 라디컬로 인한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이들 손상으로 유발되는 피부의 노화 현상을 억제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상의 주름 발생 및 심화, 탄력 저하, 및 피부 건조 현상을 제어할 수 있다.
진피를 이루는 세포들은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로 보호되고 있으며, 이들 세포 외 기질은 콜라겐,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리칸 등과 같은 단백질과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콜라겐은 결합조직의 탄력을 나타내며 진피 구성 단백질의 7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이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콜라겐은 연령의 증가 및/또는 피부상에 조사되는 자외선량 증가로 인해 활성이 증가하는 콜라게나아제에 의해 분해되게 된다. 콜라게나아제의 작용에 의해 콜라겐 분해가 증가함으로써, 피부는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고 피부 내 수분유지력도 잃게된다. 결국,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억제는 피부 상의 주름 발생 및 심화, 탄력 저하, 및 피부 건조 현상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제한되지 않고, 콜라게나아제,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펩타이드류를 다량 포함하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한 조성물이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광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하여, 혹독한 환경에서의 펩타이드류 등의 유효성분 석출량이 극소량이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경로는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경피 또는 피부 외용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제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 화장수(스킨로션 및 밀크로션), 영양 화장수, 에센스,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팩, 에센스,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져,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예컨대,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하이드록시 구아닌,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기능성 첨가물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예컨대, 비타민, 펩티드, 다당류, 기타 식물 추출물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된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된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조성물 (실시예 및 비교예)을 제조하였다. 헥사펩타이드-11 효모 발효물은, 맥주 효모균주의 배양액을 37℃에서 10일간 발효시켜 제조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Modified MS 배지에 접종하여 펩타이드를 유도한 후, 유도된 펩타이드는 Modified MS 배지에 증식시키고 2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면서 열풍 건조하여 건조시킨 후, 건조물 부피의 7 내 지 10배수의 정제수를 넣어 100 내지 121℃에서 10 내지 30분간 추출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효모/헥사펩타이드-11발효여과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 콜라겐 카르니틴
실시예(조합 1) 82 0.0005 0.01
비교예 1(조합 2) - 0.0005 0.01
비교예 2(조합 3) - - 0.01
비교예 3(조합 4) 82 - 0.01
비교예 4(조합 5) 82 - -
비교예 5(조합 6) 82 0.0005 -
비교예 6(조합 7) - 0.0005 -
비교예 7(조합 8) - - 0.01
* 단위 : 중량%(w/w)
[실험예]
[실험예 1] 활성라디컬 제거능 확인
[실험예 1-1] DPPH 소거능 실험
표 1의 조성을 활용하여, DPPH 소거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아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1) 시료(시험물질)를 농도에 맞게 stock solution을 만들어 준비하고, 양성 대조군으로 동일한 농도의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를 준비하였다.
(2) 시험에 사용할 지시약인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Sigma D9132) 5.9 mg을 에탄올에 녹여 100 ㎖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3) 깨끗한 신규의 96well Plate를 준비하고 각 웰에 상기 DPPH 용액을 100 ㎕씩 넣어주었다.
(4) 96well plate의 각 웰에 90 ㎕의 에탄올을 넣고, 준비한 시료를 각각 10 ㎕씩 처리하고, 실온에 약 30분동안 방치한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조합 1)의 조성을 처리하였을 때, 다른 조합의 조성을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한 DPPH 소거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실험예 1-2] Hydroxy radical 소거능 실험
표 1의 조성을 활용하여, Hydroxy radical 소거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아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1) 0.2 M sodium phosphate monobasic, dibasic을 각각 제조하고 monobasic을 47.5 ㎖, dibasic을 202.5 ㎖ 혼합하고 정제수로 500 ㎖로 맞춘 후 pH를 7.4로 조정하여 100 mM phosphate buffer를 제조한다, 제조한 phosphate buffer에 2-deoxy-D-ribose(sigma D5899)를 10 mM이 되도록 용해하여 준비하고, 0.5 mM Iron(III) chloride hexahydrate(aldrich 236489) 및 10 mM hydrogen peroxide(sigma H1009)도 buffer에 녹여 제조하였다. 10 mM ascorbic acid(aldrich A92902) 및 2.8% TCA(Trichloroacetic acid)(sigma T9159)는 수용액에 녹여 준 비하고, 1% TBA(4,6-dihydroxy-2-mercaptopyrimidine)(alfa aesar A12681)는 0.05 N NaOH 수용액에 녹여 제조하였다.
(2) 시료(시험물질)를 상기 표 1에 제시된 혼합액의 농도가 5%(v/v)가 되도록 에탄올에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3) 하기 표 2를 참조하여 상기 제조한 각각의 용액을 바이알에 분주하였다.
(4) 37℃에서 1시간 incubation 한 후, 2.8% TCA를 500 ㎕/vial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5) 1% TBS를 500 ㎕/vial 첨가한 후 100℃에서 15분간 가열하여 발색시켰다.
(6) 5분 동안 얼음물에 식혔다.
(7) 5,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250 ㎕/96well plate에 분주하였다.
(8)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Hydroxy radical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22112570071-pat00001
구분 DPPH소거능(%) Hydroxy Radical 소거능(%)
대조군(무처리군) 0 0
조합1 71.6 91.2
조합2 66.5 45.3
조합3 25.5 55.4
조합4 65.5 72.5
조합5 33.3 26.5
조합6 35.2 31.2
조합7 36.5 42.6
조합8 44.2 45.9
양성 대조군(EGCG 73.5 89.5
[실험예 2] 단백질분해효소 활성 저해능 확인
[실험예 2-1] MMP-1 생성 저해능 확인 실험
사람 각질형성세포 Human epithelial cell line (HaCat) 세포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Sigma)에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Sigma)을 첨가한 배지로 37℃및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웰 플레 이트에 2 Х 105 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뒤, 미처리 대조군(CTL)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용매만 넣었으며, 실험군에는 8종의 시료(조합 1 내지 8)와 양성 대조군으로 레티놀(Retinol)을 10 ㎍/㎖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세포에 상기 각각의 물질들을 처리한 후 2일 동안 배양하였다. 2일 후, 배지를 채취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Human, biotrak ELISA kit(GE healthcare RPN2610)을 통해 MMP-1의 생성 저해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실시예)를 처리하였을 때, 현저히 우수한 MMP-1 생성 저해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2]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 확인 실험
(1) 양성 대조군으로 EGCG를 같은 농도(0.1%(v/v))로 준비하였다.
(2) 시료(0.1%(v/v), 100 mM Tris-cl buffer, 100 mM CaCl2, 0.25 mg/㎖ 및 콜라게나아제가 포함된 혼합물을 준비하고 반응시켰다.
(2) 25 mM 시트르산을 400 ㎕/tube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3) 이후 에틸아세테이트를 1.5 ㎖/tube 첨가하고, 볼텍싱(vortexing)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황산나트륨 150 mg/ep-tube에 옮기고, 볼텍싱 후 원심분리(10,000 rpm, 3분)하였다.
(4) 상등액 300 ㎕/ep-tube를 취하여 석영 96well 플레이트에 옮긴 후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콜라게나아제 억제능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2]
Figure 112022112570071-pat00002
그 결과,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실시예)를 처리하였을 때, 현저히 우수한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콜라게나아제 억제능(%)
대조군(무처리군) 0
조합1 81.5
조합2 45.2
조합3 55.3
조합4 61.5
조합5 56.3
조합6 45.8
조합7 44.3
조합8 62.2
양성 대조군(EGCG) 77.5
[실험예 2-3] 프로콜라겐 생성량 확인 실험
아래 실험 방법에 따라 프로콜라겐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사람 각질형성세포 Human epithelial cell line (HaCat) 세포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Sigma)에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Sigma)을 첨가한 배지로 37℃및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24-웰 플레 이트에 2Х105 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세포 부착을 확인한 뒤, 미처리 대조군(CTL)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용매만 넣었으며, 시험군에는 8종의 시료(조합 1 내지 8)와 양성 대조군으로 TGF(Tumor growth factor)를 10 ㎍/㎖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실시예)를 처리하였을 때, 현저히 우수한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세포 재생 효과 확인
아래 실험 방법에 따라 표 1 조성의 피부 세포 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에 사용할 사람 각질세포(HACAT, Human Keratinocyte)는 DMEM 배지에 FBS를 10% 첨가한 배지로 37℃및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6 well plate에 100% 차도록 자란 인간 피부 각질 세포주의 중간을 tip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상처를 낸 후 PBS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하여 부유 세포를 제거하고, 배지에 실시예의 조성물을 각각 10, 5 및 2.5%(v/v)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실험 시간은 총 24 및 48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각각의 시간 동안 상처의 회복 정도를 이미지 장비를 통해 관찰하여 피부세포 재생 정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조성물을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성장이 활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피부세포의 상처 회복 (wound healing)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세포 재생 유도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조성의 열 및 광안정성 평가 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열 및 광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성물(조합1)이 10 mg/㎖의 농도가 되도록 50 mM Tris-HCl(pH 8.0) 완충용액에 용해하여 유리 바이알에 분주하여 넣은 후, 상온에서 7, 14, 21 및 28일간 보관하며 조성물 내 펩타이드와 성장인자 성분의 손실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4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지 10% 미만 수준의 낮은 펩타이드 손실을 나타내어 높은 광 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독성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각질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HACAT 세포를 24 well plate에 각 well당 4 X 104 cells/24well의 세포수가 되도록 seeding 한 후 24시간 동안 37℃및 5% CO2 조건으로 항온 배양하였다. PBS로 2회 세척 후 표 1의 조성을 농도별(20 내지 2.5%(v/v))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항온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 0.5% DPBS를 배양배지 와 1:9(v/v)로 혼합하여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CO2 incubator에서 배양한 후 생성된 formazan을 DMSO에 녹여 ELISA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5를를 참조하면, 각질세포주의 일종인 HaCat 세포에 대하여, 저농도에서 고농도까지 처리한 조성물에 의한 세포수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세포들의 현미경적인 관찰에서도 별 다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관련 세포에 독성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본 조성물을 피부에 처리하여도 큰 영향을 끼치지 않으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실시예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아래 표 4의 배합을 활용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B상과 D상을 별도로 제조한 후, A상, B상, C상, 및 D상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B상은 물을 가온하여 60 내지 70℃로 교반하면서 분말상 원료를 순차적으로 서서히 투입하여 점증될 때까지 디스퍼 믹서로 교반하여 고르게 풀어준 후 식혀주며, 공정 용이성을 위해 사전에 준비해두었다.
D상은 분말상 원료를 글리세린에 충분히 함침시킨 후, 물을 첨가하여 50 내지 60℃로 가온하여 디스퍼 믹서로 골고루 녹여 준비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A 실시예 1 82
Propanediol 5
1,2-Hexanediol 3
B Betaine 2
Water 3.45
Adenosine 0.04
Palmitoyl Tripeptide-5 0.0001
C Methyl Gluceth-20 2
Butylene Glycol 1
Ethylhexylglycerin 0.5
D Xanthan Gum 0.01
Glycerin 5

Claims (11)

  1.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9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콜라겐의 가수분해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4차 암모늄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인, 화장료 조성물.
  2.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9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콜라겐의 가수분해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4차 암모늄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억제 또는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인, 화장료 조성물.
  3.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9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콜라겐의 가수분해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4차 암모늄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용인, 화장료 조성물.
  4.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9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콜라겐의 가수분해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4차 암모늄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화장료 조성물.
  5.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70~9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콜라겐의 가수분해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4차 암모늄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 재생 또는 생장 촉진용인,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의 가수분해물은,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차 암모늄 화합물은, 카르니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활성 라디컬 소거능 또는 단백질분해효소 활성 억제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38236A 2022-10-25 2022-10-25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8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236A KR102528995B1 (ko) 2022-10-25 2022-10-25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236A KR102528995B1 (ko) 2022-10-25 2022-10-25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995B1 true KR102528995B1 (ko) 2023-05-03

Family

ID=8638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236A KR102528995B1 (ko) 2022-10-25 2022-10-25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9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888A (ko) * 2009-09-01 2012-07-24 아치 퍼스널 케어 프로덕츠, 엘.피. 세포성 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KR20200143515A (ko) * 2012-12-27 2020-12-23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8155A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병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888A (ko) * 2009-09-01 2012-07-24 아치 퍼스널 케어 프로덕츠, 엘.피. 세포성 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한 조성물
KR20200143515A (ko) * 2012-12-27 2020-12-23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8155A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병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3082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of the skin comprising phaseolus radiatus seed extracts by fermentation and enzyme treatment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7175B1 (ko) 녹차 유래의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40508B1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5989A (ko)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상처 재생 활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28995B1 (ko)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3307B1 (ko) 황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2666A (ko) 닥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30027942A (ko) 마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0366B1 (ko) 시아니딘글루코사이드 및 낫토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4479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80068904A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8661B1 (ko) 대나무 숯을 이용하여 저온 숙성된 천녀목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782B1 (ko) 갯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2B1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2419A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11491615A (zh) 包含槐树果实发酵液或其提取液作为有效成分的用于改善皮肤皱纹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31774B1 (ko) 옷솔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1067A (ko) 닥나무 및 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47998B1 (ko) 탱자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38112A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