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782B1 - 갯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갯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782B1
KR101926782B1 KR1020170073317A KR20170073317A KR101926782B1 KR 101926782 B1 KR101926782 B1 KR 101926782B1 KR 1020170073317 A KR1020170073317 A KR 1020170073317A KR 20170073317 A KR20170073317 A KR 20170073317A KR 101926782 B1 KR101926782 B1 KR 101926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esent
skin
ligula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환빈
이지영
김태양
이춘몽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7007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취(Ligularia taquetii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갯취 추출물은 함유하여 우수한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및 미백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갯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LIGULARIA TAQUETII NAKAI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갯취(Ligularia taquetii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 원인으로는 크게 내적인 노화(intrinsic aging)와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 상태, 환경 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유라디칼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의 주요 구성 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 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헤모글로빈, 카로틴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도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것 이외에도 자외선 흡수 작용, 자유 라디칼 소거제(free radical scavenger) 등과 같은 피부 보호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나, 자외선의 과다 노출, 대기 오염,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의 환경 변화에 의하여 멜라닌이 과다하게 생성되면 피부 내에서 색소 침착 현상을 일으켜 피부의 흑화 또는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이 된다. 피부의 흑화는 내적 및 외적 요인에 대한 피부 세포의 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요인은 자외선 노출로 인한 것이다. 즉,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가 활성화되는데, 상기 티로시나제가 피부조직에 존재하는 티로신에 작용하여 도파(DOPA) 및 도파퀴논을 생성시키는 산화 과정에 의하여, 피부 색소 세포인 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라노좀에서 멜라닌이라는 중합체가 합성되며, 이러한 멜라닌이 피부의 각질 형성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로 전달되고 각질화 과정에 의해 피부 표면에 도달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게 된다.
따라서, 멜라닌은 우리 인체에 없어서는 안 되는 자외선 방어제이며, 단백질, 지질, 핵산 등과 같은 생체성분을 변형시키는 다양한 라디칼을 제거하는 효과적인 자유 라디칼 소거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멜라닌 합성 과정은 멜라닌을 합성하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 quinone)을 거쳐 도파크롬 (DOPA chrome)을 생성시키는 자동산화 반응을 거쳐 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는 주머니를 통해 케라티노사이트로 옮겨지게 되고 케라티노사이트에서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표면으로 올라오게 된다.그러나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에 의해서 멜라닌이 과량 생성되고 각질화 과정의 주기가 생리적으로 길어지면서 각질과 함께 멜라닌이 피부에서 소실되지 않고 색소침착(Pigmentation)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색소 침착 현상을 막아주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과정에서의 일부 과정을 조절해 줌으로써 억제할 수가 있다.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기작은 여러 가지 존재한다. 대표적인 멜라닌 합성 저해과정은 멜라닌 생성의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상업화되어 있는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구리이온을 활성 부위로 갖고 있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코직산(Kojic acid)과 같은 킬레이트(chelator)나, 알부틴(Arbutin)과 같이 티로시나제의 기질인 티로신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티로시나제에 티로신과 더불어 경쟁적으로 반응하게 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들도 색소침착 억제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미백 원료들은 안정성이 낮아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제품에 적용하는데 있어 많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천연물을 이용하여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24595호는 국화과 식물인 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곰취 추출물은 주름 개선 효과 및 미백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244752호에는 국화과 식물인 구절초, 학슬, 희렴,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항산화, 항주름, 피부미백 효과를 갖는다고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천연 식물 성분들에 대한 다양한 피부 생리활성을 검색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보이는 천연물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피부 색상 개선 및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는 갯취(Ligularia taquetii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갯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 30.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갯취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갯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진다. 특히 갯취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갯취(Ligularia taquetii Nakai)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갯취(Ligularia taquetii Nakai)는 국화과(Compositae) 곰취속(Ligularia)에 속한다. 형태학적 특징으로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길이 25-50cm이며 엽신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15-25cm, 나비 12-15cm로서 밑부분이 흘러 엽병의 날개로 되고 회청색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파상으로서 거의 밋밋하다. 꽃은 6-7월에 피고 황색이며 두화는 길이 4-9mm의 화경 끝에 달리고 포는 피침형이며 길이 2-3mm이다. 수과는 원추형이고 털이 없으며 관모는 길이 7mm 정도로서 붉은빛이 돈다. 높이 1m에 달하고 밑부분의 지름이 1cm정도이며 전체가 분백색이고 가지가 없고 굵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져 땅속 깊이 들어간다.
갯취의 별명으로는 갯곰취, 섬곰취, 안쟈리쿨(제주)이 있고, 이명은 Ligularia taquetii (H.Lev. & Vaniot) Nakai, Senecio taquetii Lev. & Vaniot 이고, 속명 Ligularia는 ligula에서 유래한 것으로 작은 설상화가 달리는 다년초 식물이다. 갯취는 환경부에서 한국특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고(지정번호 식-122), 거제도와 제주도 서쪽 낮은 지대, 남부 다도해 지방에서 자란다.
본 발명의 갯취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갯취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갯취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및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하거나, 자연 상태나 각종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산물에 의한 추출, 또는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갯취 추출물은 발효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갯취의 발효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갯취의 전초를 100~500 메쉬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한 다음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을 1~50g/L를 첨가하고 효모 균주 또는 유산균 등의 미생물을 10,000~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배양온도는 30~37℃의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조건으로 배양한다. pH는 5~7로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으로 약 5 내지 10일간 배양한다. 이후 숙성 및 여과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갯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1 ~ 30.0 중량%로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갯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 ~ 1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미백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미백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갯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제조예 1 - 갯취 추출물 제조
음건한 갯취 전초를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24시간씩 3회 침지 추출하고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실험예 1 -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실험
기질로는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8)에 용해한 1.5 mmol/ℓ의 티로신(시그마사, 미합중국) 40㎕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0.05 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으로 희석하여 하기 표 1의 농도로 시료액을 제조하였다. 티로신 40 ㎕에 상기 시료액 240 ㎕을 첨가하고, 상기 용액에 티로시나제(시그마사, 1500 U/㎖) 20 ㎕을 첨가한 후 37℃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미백 효과를 갖는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티로시나제의 활성 저해도를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55798017-pat00001
시료명 처리농도(ppm)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
알부틴 500 51.34
갯취 추출물(제조예1) 500 61.88
상기 표 1을 보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알부틴(arbutin)과 비교하여 동일한 농도에서 보다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을 보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멜라닌 생성 저해 실험에 사용한 α-MSH는 10%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600μM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ATCC CRL 6323) 세포주는 10% 혈청 및 1% 항생제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60mm 플레이트에 5% CO2 및 37℃ 조건하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계대 배양한 멜라노마 세포주는 60mm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을 DMEM 배지에 희석시켜 최종 200nM의 농도로, 제조예 1의 추출물을 DMEM 배지에 희석시켜 최종 각각 1, 10, 50, 100㎍/㎖의 농도로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고 5% CO2 및 37℃에서 72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배지를 수득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생성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만을 첨가한 세포배양액의 흡광도 값을 대조 값으로 하여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55798017-pat00002
시료명 처리농도(㎍/㎖) 멜라닌 생성 억제율(%)
갯취 추출물(제조예 1) 1 29.22
10 38.71
50 59.12
100 69.23
상기 표 2을 보면, 본 발명의 갯취 추출물(제조예 1)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멜라닌 생성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제형예 1 - 화장수
갯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 표 3과 같다.
성분 함량
( 중량% )
갯취 추출물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피이지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옥틱도데세스-16
폴리솔베이트 20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5.0
3.0
1.0
0.1
0.3
0.02
0.04
5.0
10.0
0.2
0.2
미량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 크림
갯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 표 4와 같다.
성분 함량
( 중량% )
갯취 추출물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타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 에센스
갯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형예는 다음 표 5와 같다.
성분 함량
( 중량% )
갯취 추출물
글리세린
베타인
피이지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이.디.티.에이-2Na
벤조페논 - 9
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
소듐히아루로네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세스 -16
에탄올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10.0
5.0
2.0
0.1
0.3
0.02
0.04
0.1
8.0
0.2
0.18
0.3
0.4
6.0
미량
잔량
합계 100
실시예 1 -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
본 발명의 화장료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제형예 2의 크림을 이용하여 30 내지 40세 여성 20명에 대해 패널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비교예로서 갯취 추출물을 제외한 것 이외에는 제형예 2와 동일한 크림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각 군의 패널에 제형예 2의 크림과 비교예의 크림을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세안 후 적당량을 팔의 상박에 2개월간 연속적으로 바르게 하였다. 이에 앞서 각 피검자는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피부의 색소침착을 야기시켰다. 미백효과는 상박에서의 피부 미백 개선 효과를 육안으로 피부색을 관찰하여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미백 효과 우수 미백 효과 약간 있음 미백 효과 없음
제형예 2 12 5 3
비교예 3 3 14
상기 표 6을 보면, 본 발명의 갯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2가 추출물이 들어있지 않는 비교예보다 높은 미백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한 갯취(Ligularia taquetii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갯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 30.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KR1020170073317A 2017-06-12 2017-06-12 갯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317A KR101926782B1 (ko) 2017-06-12 2017-06-12 갯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317A KR101926782B1 (ko) 2017-06-12 2017-06-12 갯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782B1 true KR101926782B1 (ko) 2018-12-07

Family

ID=6466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317A KR101926782B1 (ko) 2017-06-12 2017-06-12 갯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369A (ko) * 2021-11-03 2023-05-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595B1 (ko) 2005-08-02 2008-04-23 한불화장품주식회사 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595B1 (ko) 2005-08-02 2008-04-23 한불화장품주식회사 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 Hi Park et.al., Cosmeceutical bioactivities of isolated compounds from Ligularia fischeri Turcz leaves, Appl Biol Chem, 59(3), pp.485-494(2016.03.29.)
네이버블로그,2014.08.1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369A (ko) * 2021-11-03 2023-05-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69246B1 (ko) 2021-11-03 2023-08-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9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8507B1 (ko) 효소처리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1716428B1 (ko) 해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6291B1 (ko) 엘루테로사이드 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7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6782B1 (ko) 갯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3310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8661B1 (ko) 대나무 숯을 이용하여 저온 숙성된 천녀목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8180B1 (ko) 조직배양한 라울리아 오스트라리스 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178B1 (ko) 주름제거 및 미백효과가 강화된 황칠나무 추출물 및 d-아스파라긴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5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4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4371A (ko)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64878B1 (ko)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8130B1 (ko) 큰옥매듭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5332A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