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332A -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332A
KR20180025332A KR1020160109936A KR20160109936A KR20180025332A KR 20180025332 A KR20180025332 A KR 20180025332A KR 1020160109936 A KR1020160109936 A KR 1020160109936A KR 20160109936 A KR20160109936 A KR 20160109936A KR 20180025332 A KR20180025332 A KR 20180025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anavalia
extract
spp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179B1 (ko
Inventor
김우리
오성화
이정노
박성민
윤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6010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1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해녀콩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MMP-1 발현 억제로 인한 주름 개선 효과와 AQP-3 발현 촉진으로 인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녀콩 추출물은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통해 뛰어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AQP-3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통하여 뛰어난 보습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anavalia lineata extract for moisturizing and anti-wrinkle effects on the skin}
본 발명은 해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해녀콩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MMP-1 발현 억제로 인한 주름 개선 효과와 AQP-3 발현 촉진으로 인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며, 내부의 수분 및 유용 성분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장벽기능, 체온조절, 배설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이러한 기능들이 점차 약화되고 피부의 노화가 진행되는데 특히, 피부 장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질층의 지질 조성과 함량이 변화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히 저하된다. 이때, 피부 수분 함량이 감소하면서 피부가 건조해지고 주름이 형성되며 기미, 주근깨, 색소 침착 및 다양한 피부 병변이 유발된다.
또한, 피부 수분량은 진피에서 70% 정도이나 표피로 갈수록 감소하여 최외각층인 각질층에서는 약 10-30%가 된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피부의 각질층은 약30 % 정도의 수분 또는 수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각질층에 수분이 적당히 유지되어야 피부의 탄력이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에는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 (Natural Mosituring Factors, NMF)가 존재하며, 이는 피부의 수분보유를 돕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피부의 이러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바람, 저기온, 오염된 대기 및 자외선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한 외인성 노화, 내인성 노화 및 마찰, 면도 및 세안 등의 물리화학적 자극에 따른 피부 구성성분의 탈락으로 인하여 수분 균형이 무너지게 되어 피부 건조가 유발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피부 유연제 및 보습제의 필요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보습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들이 다수 시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현재까지의 보습효능을 지니는 제품으로는 각질층에서 수분보유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인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성분, 필수지방산 및 지질복합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실정이다 (J. Invest. Dermatol., 5, pp731-740, 1994).
한편, 아쿠아포린 (Aquaporin, AQP)은 수분 전달 통로 단백질 (water channel proteins)의 일종으로 세포의 파열 (bursting)을 방지하고 이온이나 용질의 이동을 방해하면서 선택적으로 물 분자의 출입을 조절하는 수분통로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포유류에 13개의 AQP (AQP-0 내지 AQP-12)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AQP-3는 각질세포의 기저층막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표피층에서의 AQP-3을 활성화시켜 피부 깊숙이 수분을 전달하는 물질을 함께 사용하면 더욱 우수한 피부보습효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주름 형성에 관여하는 인자로 세포 외 기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섬유, 히알루론산 등의 성분이 있다. 금속단백분해효소인 MMP (matrix metalloproteinase)는 세포 외 기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로 특히 콜라겐 타입 1을 분해하는 효소로 알려져있다. 이중 MMP-1은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평소보다 체내에서 많이 생성되며 MMP-1이 콜라겐과 결합해 콜라겐을 절단하는 것을 통해 피부 노화를 유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콜라겐 단백질들은 'MMP-1 헤모펙신 도메인 (hemopexin domain)'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콜라겐의 3차 구조를 풀게 되고, MMP-1 촉매활성 도메인 (catalytic domain)의 아연이온과 결합 후, 절단되어진다.
한편, 최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 및 개선하기 위해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을 통하여 피부 장벽을 강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일시적으로 표피에만 작용하는 소재가 아닌 본질적인 해결방법으로 피부 속 보습 인자들을 활성화 시키는 소재를 발굴하려는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1980호 (공개일자: 2015.09.04)는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우수한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염증, 항균, 피부 노화 억제, 항산화, 여드름 피부 개선, 아토피 피부염 개선, 피부 자극 완화, 피부 항상성 유지, 피부 알러지 완화 또는 개선 효과 및 화장품 및 식품 분야를 예로 들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특징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08528호 (등록일자: 2005.08.08)는 작두콩과 금송전초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피부개선 효과 중, 특히 피부미백효과와 주름방지효과, 항산화효과, 육모효과, 항염효과, 여드름방지효과가 탁월한 피부화장료의 제조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작두콩과 금송전초를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실온에서 건조시켜 각각 준비하는 제1공정; 건조된 작두콩과 금송전초를 중량 대비 1:1의 비율로 혼합, 분쇄하여 혼합분말을 얻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서 얻어진 작두콩과 금송전초 혼합분말을 증류수/30-95%에탄올/메탄올/1,3-부틸렌글리콜/30%프로필렌글리콜/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되는 어떤 하나의 수용액에 중량 대비 1:2의 비율로 가하여, 60℃의 물중탕 조건하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하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에서 얻어진 가열물을 0.45㎛ 여과지로 여과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작두콩과 금송전초 추출물을 이용하는 특징을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 주름개선 및 보습에 효능이 뛰어난 천연물의 추출물을 발굴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녀콩 속 (Canavalia spp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은 바람직하게 해녀콩 (Canavalia lineata)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해녀콩 속 (Canavalia spp.) 식물에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90%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추출된 해녀콩 속 추출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면서도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01-3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의 증대 정도가 미미하고,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은 바람직하게 해녀콩 (Canavalia lineata)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해녀콩 속(Canavalia spp.) 식물에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90%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추출된 해녀콩 속 추출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면서도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01-3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보습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보습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고,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해녀콩 추출물은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통해 뛰어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AQP-3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통하여 뛰어난 보습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해녀콩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사람 정상 섬유 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HDFn)의 생존율 (꺽은선 그래프) 및 MMP-1의 발현 억제율 (막대그래프)을 나타낸 그래프로, 양성대조군으로는 100 μM의 아데노신 (adenosine, AD)를 사용하였다.
도 2는 해녀콩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각질형성세포 (HaCaT)에서의 AQP-3 발현 촉진율을 나타낸 그래프로, 도 2의 (A)는 AQP-3의 mRNA 발현 레벨을 측정한 결과이고, 도 2의 (B)는 AQP-3의 단백질 발현 레벨을 측정한 결과이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10 nM의 레티노산 (Retinoic acid, RA)을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해녀콩 추출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해녀콩 추출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건조된 해녀콩을 분쇄해 해녀콩 분쇄물을 제조하였으며, 건조 중량 1 kg의 해녀콩 분쇄물을 플라스크에 넣은 후, 70% (v/v) 에탄올 10 L을 첨가하여 3일간 상온에서 냉침하였다. 그 후, 여과지 (Whatman No.1 filter paper, Maidstone, UK)로 여과 및 농축하여 해녀콩 추출물 110.3 g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해녀콩 추출물이 세포 생존율 및 MMP -1 발현에 미치는 영향 확인]
(1) 해녀콩 추출물이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해녀콩 추출물이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람 정상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이하 HDFn)를 14 cells/well 농도로 96-웰 플레이트 (well plate)에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안정화시켰다. 그 후, 12.5, 25, 50 및 100 μg/mL 농도의 해녀콩 추출물을 각 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아데노신 (AD) 100 μM을 추가로 처리하였다. 그 후, 5 μg/mL의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시약을 각 세포에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시간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각 웰 (well) 당 DMSO 150 ㎕를 첨가하였으며, 형성된 포르마잔 (formazan)을 분광 광도계를 이용해 54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해녀콩 추출물은 세포 생존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 도 1은 해녀콩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사람 정상 섬유 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HDFn)의 생존율 (꺽은선 그래프) 및 MMP-1의 발현 억제율 (막대그래프)을 나타낸 그래프로, 양성대조군으로는 100 μM의 아데노신 (adenosine, AD)를 사용하였다.
(2) 해녀콩 추출물이 MMP -1 발현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해녀콩 추출물이 MMP-1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람 정상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HDFn)를 54 cells/well 농도로 24-웰 플레이트 (well plate)에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안정화시켰다. 그 후, 세포를 PBS로 2번 헹구었으며, PBS 존재 하에서 세포에 UVA를 6 J/cm2로 조사하였다. 조사 후, PBS를 제거하고 0.2% FBS가 첨가된 배양배지로 교환하였으며, 해녀콩 추출물 (12.5, 25, 50, 100 μg/mL) 및 양성대조군인 아데노신 (AD) 100 μM을 각 세포에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48시간 후, 상층액만을 수득하였으며 'human total MMP-1 ELISA kit (human total MMP-1 Cat.no. DY901, R&D systems)'를 이용해 분광광도계로 45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해녀콩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경우, 가장 낮은 농도인 12.5 μM 부터 양성 대조군인 아데노신과 거의 비슷한 정도로 MMP-1가 약 40%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해녀콩 추출물 100 μg/mL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MMP-1이 최대 80%까지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도 1은 해녀콩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사람 정상 섬유 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HDFn)의 생존율 (꺽은선 그래프) 및 MMP-1의 발현 억제율 (막대그래프)을 나타낸 그래프로, 양성대조군으로는 100 μM의 아데노신 (adenosine, AD)를 사용하였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해녀콩 추출물은 세포의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해녀콩 추출물이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 실시예 3: 해녀콩 추출물이 AQP -3 발현에 미치는 영향 확인]
(1) 해녀콩 추출물이 AQP -3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해녀콩 추출물이 AQP-3의 mRNA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질형성세포 (HaCaT)를 2x105 cells/mL로 6 well에 2 mL씩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해녀콩 추출물을 25, 50 및 100 μg/mL 의 농도로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DEPC를 처리한 차가운 PBS를 이용하여 세포를 수득하였으며, TRIZOL 시약을 이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RNA 0.3 μg을 이용하여 42℃에서 60분, 94℃에서 5분간 cDNA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cDNA 3 μl와 10 pM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의 기본 조건은 pre-denaturing phase: 94℃, 5분을 시작으로 30 cycle의 denaturing phase: 94℃ 30초, annealing phase: 72℃ 1분을 수행하고 post-elongation phase를 72℃에서 5분 조건으로 하여 프라이머 마다 annealing 온도를 54-58℃ 사이로 달리 하였다. 그 후, PCR 생성물을 2% 아가로스 젤에 7 μl씩 로딩한 후, 50 V로 전기 영동하였다.
실험 결과, 해녀콩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높은 세포일수록 AQP-3의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의 (A)).
도 2는 해녀콩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각질형성세포 (HaCaT)에서의 AQP-3 발현 촉진율을 나타낸 그래프로, 도 2의 (A)는 AQP-3의 mRNA 발현 레벨을 측정한 결과이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10 nM의 레티노산 (Retinoic acid, RA)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녀콩 추출물이 AQP-3의 mRNA 발현을 상승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해녀콩 추출물이 AQP -3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해녀콩 추출물이 AQP-3의 단백질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질형성세포 (HaCaT)를 배양용 페트리디쉬에 접종한 후, 세포가 배양용 페트리디쉬 면적의 80% 정도 자랄 때까지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해녀콩 추출물을 25, 50 및 100 μg/mL 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버퍼를, 양성 대조군으로는 10 nM의 레티노산 (Retinoic acid, RA)을 각각 처리하였다. 이후, 용균 버퍼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세포 내의 단백질을 용균 (lysis)하였으며 단백질 BCA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한 후, 20 ㎍의 단백질을 취하여 SDS-PAGE를 수행하였다. 그 후, PVDF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트랜스퍼 (transfer)한 후, PVDF 멤브레인에 anti-AQP-3을 1:1000으로 희석한 버퍼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단백질 발현 레벨을 측정한 결과는 수치화하여 하기 표 1 및 도 2의 B에 나타내었다.
도 2는 해녀콩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사람 유래 각질세포에서의 AQP-3 발현 촉진율을 나타낸 그래프로, 도 2의 (B)는 AQP-3의 단백질 발현 레벨을 측정한 결과이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10 nM의 레티노산 (Retinoic acid, RA)을 사용하였다.
샘 플 AQP -3 단백질 발현 양 ( % )
대조군 (완충용액) 100
양성 대조군 (10 nM Retinoic acid) 194.9
해녀콩 추출물 25 μg/mL 299.1
해녀콩 추출물 50 μg/mL 311.8
해녀콩 추출물 100 μg/mL 281.5
실험 결과, 놀랍게도 해녀콩 추출물 (25, 50, 100 μg/mL)을 처리한 모든 세포에서 양성대조군인 레티노산 (retinoic acid, RA)이 처리된 세포의 AQP-3 단백질 발현률 (194.9%) 보다 최소 1.5배 이상의 우수한 AQP-3 단백질 발현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299.1, 311.8, 281.5%).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해녀콩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AQP-3의 단백질 및 mRNA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해녀콩 추출물이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Claims (12)

  1.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은,
    해녀콩 (Canavalia line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은,
    해녀콩 속 (Canavalia spp.) 식물에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은,
    50-90%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01-3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은,
    해녀콩 (Canavalia linea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은,
    해녀콩 속(Canavalia spp.) 식물에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은,
    50-90%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녀콩 속 (Canavalia spp .)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01-3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09936A 2016-08-29 2016-08-29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936A KR101926179B1 (ko) 2016-08-29 2016-08-29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936A KR101926179B1 (ko) 2016-08-29 2016-08-29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332A true KR20180025332A (ko) 2018-03-09
KR101926179B1 KR101926179B1 (ko) 2018-12-07

Family

ID=6172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936A KR101926179B1 (ko) 2016-08-29 2016-08-29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1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291A (ko) 2017-12-10 2019-06-19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291A (ko) 2017-12-10 2019-06-19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179B1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4B1 (ko) 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7084A (ko)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 및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26179B1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8180B1 (ko) 조직배양한 라울리아 오스트라리스 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7101A (ko)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971257B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1387B1 (ko) 히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2616B1 (ko) 아토피 등 극건성 피부의 보습과 진정,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지니는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 함유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