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419A -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419A
KR20140072419A KR1020120139560A KR20120139560A KR20140072419A KR 20140072419 A KR20140072419 A KR 20140072419A KR 1020120139560 A KR1020120139560 A KR 1020120139560A KR 20120139560 A KR20120139560 A KR 20120139560A KR 20140072419 A KR20140072419 A KR 20140072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seng
composition
ferment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환
서인수
오좌섭
안은경
최경민
정미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2013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2419A/ko
Publication of KR2014007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6Salicaceae (Willow family), e.g. pop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콜라게네이즈와 엘라스타아제 억제 활성을 가지고, 더불어 섬유아세포에 처리될 때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도 가지는 산유자 잎 추출물, 돈나무 잎 추출물, 돈나무 열매의 추출물, 인삼 줄기 추출물, 인삼 홍국균 발효물, 홍삼 홍국균 발효물, 인삼 누룩균 발효물 또는 홍삼 누룩균 발효물을 이용한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주름 개선용 조성물{Anti-Wrinkle Composition}
본 발명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산유자 추출물 등을 이용한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와 진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주로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 멜라닌 세포(melanocytes), 랑게르한스 세포(Langerhans cells)로 구성되는 얇은 보호층이고, 진피는 표피 아래에 있는 결합조직으로 대부분 세포외 간질(extracellular matrix)이라 불리는 거대 분자의 망상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포외 간질은 진피 내의 섬유아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섬유상 단백질과 히알루론산 등의 산성 뮤코다당체라 불리는 다당류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진피 조직 내의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은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섬유 조직이다.
콜라겐은 진피 조직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요소로 피부 진피층에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세포와의 부착 및 세포 분화 등에 관여한다(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001, 17(4):610-613).
엘라스틴은 진피 조직의 약 2% 정도를 차지하지만 표피를 지탱하는 연결망 조직을 형성하고 있어 콜라겐과 함께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진피 조직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분해되거나 생성이 저하될 경우 피부 주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손상과 생성 저하의 원인은 내인성과 외인성으로 구분된다. 내인성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나타나는 자연 노화에 따른 것이며, 외인성은 외부 환경 요인에 따른 것으로 특히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을 들 수 있다.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게 되면 피부 주름뿐 아니라 피부 거칠어짐, 색소 침착 등도 발생한다.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분해에는 각각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와 엘라스타아제가 관여하므로, 이들 효소의 억제제가 피부 주름 개선 목적으로 화장품의 성분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컨대 카르바민산펩티드(Peptidylcarbamates), 티오카르바민산(Peptidylthiocar-bamates), 하이드록사메이트(Hydroxamates),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 설폰산염(Sulphonate salts) 등이 그러한 성분들이다.
본 발명도 콜라게네이즈와 엘라스타아제 억제 활성을 가지는 산유자 추출물 등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산유자(Xylosma congesta) 잎 추출물, 돈나무(Pittosporum tobira) 잎과 열매의 혼합 추출물, 인삼(Panax giseng) 줄기 추출물, 인삼 홍국균 발효물, 홍삼 홍국균 발효물, 인삼 누룩균 발효물 및 홍삼 누룩균 발효물을 제조하고 이들 추출물 또는 발효물이 모두 콜라게네이즈와 엘라스타아제 억제 활성을 가지고, 더불어 섬유아세포에 처리될 때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산유자 잎 추출물, 돈나무 잎 추출물, 돈나무 열매의 추출물, 인삼 줄기 추출물, 인삼 홍국균 발효물, 홍삼 홍국균 발효물, 인삼 누룩균 발효물 또는 홍삼 누룩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주름 개선"의 의미는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산유자 추출물 등이 콜라게네이즈와 엘라스타아제 억제 활성을 가지고, 또한 섬유아세포에 처리될 때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도 함께 가진다는 점에서 "콜라게네이즈 억제 활성", "엘라스타아제 억제 활성 촉진 활성" 및/또는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대상을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더 정제된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여기서 추출 방법은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방법과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로 증류시키는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침지를 통한 추출 방법에는 냉침, 가온, 초음파, 환류 등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그 추출 대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침지 또는 증류)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는 부피 백분율에 의한 농도(v/v) 표현으로서,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일정 부피의 용액 중에 녹아 있는 일정 부피의 용질을 의미한다. 예컨대 30%(v/v)는 용액 100㎖에 용질 30㎖가 용해되어 있다는 것이 된다. 또 본 명세서의 "추출물"의 의미에는 여과 등을 통하여 정제된 형태의 추출물, 추출 용매가 제거된 액상의 농축된 추출물 그리고 추출 용매가 제거된 분말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발효물"은 그 발효 대상인 인삼 또는 홍삼에 탄소원을 첨가하고 홍국균 또는 누룩균을 접종하여 배양시켜 얻어진 배양물을 의미한다. 이 배양물은 그대로 이용되거나,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시켜 액상 또는 분말상으로 이용되거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접종되는 미생물의 탄소원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통상은 올리고당,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당밀, 덱스트로스,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탄소원은 의도한 발효 시간, 발효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임의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통상 발효 대상인 인삼 또는 홍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것이다.
또 상기에서 접종되는 미생물로서 누룩균 및 홍국균은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컨대 누룩균으로서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소제(Aspergillus sojae)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홍국균(Monascus sp.)으로서는 모나스쿠스 루버(Monascus ruber), 모나스쿠스 퍼퍼레우스(Monascus purpureus), 모나스쿠스 루버반(Monascus rubervan), 모나스쿠스 풀리기노서스(Monascus fuliginosus), 모나스쿠스 필로수스(Monascus pilosus), 모나스쿠스 안카(Monascus anka), 모나스쿠스 바리케리(Monascus barykery), 모나스쿠스 퍼퓨렌스(Monascus purpurens), 모나스쿠스 알비두스(Monascus albidus Sato)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에서 미생물의 접종 후의 배양은 접종되는 미생물을 고려하여 15℃~45℃의 온도 조건 특히 25℃~4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양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발효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또한 원하지 않는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으며, 배양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도 발효 미생물의 사멸에 따라 마찬가지로 발효 속도가 느려지거나 원하지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다. 배양 시간의 경우는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최대에 이를 때까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종된 미생물이 생장이 최대에 이르는 시점은 배양 온도, 발효 원료의 양, 접종되는 미생물의 양 등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당업자는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배양 온도, 발효 원료의 양, 접종되는 미생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최대에 이르는 시점이 어느 시점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산유자 추출물 등을 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20.0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화장품의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 연화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비누 기재나 첨가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비누 기재는 일반적으로 비누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99.999 중량 % 내지 5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국소형 제형 예컨대 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로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예컨대 패치제, 붕대 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품, 비누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산유자 잎 추출물 등의 시료의 제조
<실시예 1> 산유자 잎 추출물의 제조
산유자 잎 분말에 3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산유자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돈나무 잎과 열매 혼합 추출물의 제조
돈나무 잎 분말과 돈나무 열매 분말의 동량의 혼합물에 3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산유자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인삼 줄기 추출물의 제조
인삼 줄기 분말에 3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인삼 줄기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인삼 누룩균 발효물의 제조
수분 함량이 14% 이하인 백삼 분말에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200 중량부의 물을 가하고 여기에 탄소원으로 당밀을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멸균기를 이용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였다. 여기에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준비한 누룩균(Aspergillus oryzae) 5%(v/v) 접종하여 30℃에서 4일 동안 발효시켜 백삼 누룩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 백삼 누룩균 발효물을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인삼 홍국균 발효물의 제조
수분 함량이 14% 이하인 백삼 분말에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200 중량부의 물을 가하고 여기에 탄소원으로 설탕과 텍스트로스(dextrose)의 1:1 중량비의 혼합물을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멸균기를 이용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였다. 여기에 PDB(Potato Dextrose Broth)배지에서 준비한 홍국균(Monascus pilosus) 균주 배양액을 10%(v/v) 접종하여 30~35℃의 조건에서 15일간 배양하여 백삼 홍국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 백삼 홍국균 발효물을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6> 홍삼 누룩균 발효물의 제조
백삼 분말 대신에 수분 함량이 15% 이하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발효 조건 및 발효 공정으로 홍삼 누룩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홍삼 홍국균 발효물의 제조
백삼 분말 대신에 수분 함량이 15% 이하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발효 조건 및 발효 공정으로 홍삼 홍국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주름 개선 활성 확인 실험
<실험예 1> 엘라스타아제( Elastase ) Assay
피부 탄력에 관여하는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는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이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엘라스타아제 assay를 수행하였다.
먼저 0.2M Tris-Cl 완충액(pH 8.0) 170 ㎕에 500ug/ml의 농도의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 20㎕를 첨가하였다. 혼합 용액에 기질 1mM N-succinyl-(Ala)3-p-nitroanilide 30㎕를 첨가한 후 25℃에서 10분 반응시키고 2.5U/ml porcine pancreas elastase (PPE)를 30㎕씩 첨가하였다. 잘 섞은 후 25℃에서 20분 반응시키고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음성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구분 엘라스타아제 활성(%)
음성대조군 100%
산유자 잎 추출물 79%
돈나무 잎/열매 추출물 79%
인삼 줄기 추출물 88%
인삼 홍국균 발효물 78%
홍삼 홍국균 발효물 75%
인삼 누룩균 발효물 82%
홍삼 누룩균 발효물 83%
상기 [표 1]의 결과는 산유자 추출물 등 실시예의 시료 모두 21% 내지 12% 범위로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실험예 2> 콜라게네이즈 ( collagenase I, MMP -1) 활성 억제 효과
콜라겐을 분해하여 주름생성을 촉진시키는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억제 실험을 수행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콜라게네이즈 활성 억제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콜라게네이즈의 항체를 이용하였고, 본 시험에서는 I형 콜라게네이즈 분석 키트(type I collagenase assay kit)를 이용하여 ELISA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주(CCD-986SK 세포)를 적합한 배지에서 37℃, 5% 이산화탄소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시험을 위해 48웰 플레이트에 5X104의 세포를 분주하고 일정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후, 무혈청 배양액에서 16시간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에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처리하고 콜라게네이즈를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TNF-α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의 배양액을 수집하여 100㎕를 분석 웰에 넣고, 각각의 웰에 검출시약으로 효소를 첨가하여 37℃에서 90분간 배양 후,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450㎚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TNF-α 처리군 대비 콜라게네이즈가 저해되는 정도를 백분율로 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콜라게네이즈 저해 활성
구분 콜라게네이즈 활성(%)
음성 대조군 37%
TNF-alpha 처리군 100%
산유자 추출물 67%
돈나무 추출물 68%
인삼 줄기 추출물 81%
인삼 홍국균 발효물 76%
홍삼 홍국균 발효물 72%
인삼 누룩균 발효물 77%
홍삼 누룩균 발효물 69%
상기 [표 2]의 결과는 실시예의 시료 모두 33% 내지 19%의 범위로 콜라게네이즈 저해 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콜라겐 생합성 실험( Collagen synthesis assay )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주(CCD-986SK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5X104개로 분주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무혈청 배양액으로 교체하고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50㎍/ml로 처리하였으며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에서 배양액으로 분비된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ELISA (Procollagen type C-peptide EIA kit, #MK101, TAKARA) 방법을 이용하였다.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첨가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으며 TGF-β를 첨가한 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생합성량
구분 콜라겐 생합성량(ng/ml)
Control 430.08
양성 대조군(TGF-beta 처리군) 647.16
산유자 추출물 522.56
돈나무 추출물 481.51
인삼 줄기 추출물 502.39
인삼 홍국균 발효물 472.05
홍삼 홍국균 발효물 497.67
인삼 누룩균 발효물 481.84
홍삼 누룩균 발효물 511.23
상기 [표 3]의 결과는 실시예의 시료 모두 콜라겐 생합성 촉진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Claims (4)

  1. 산유자 잎 추출물, 돈나무 잎 추출물, 돈나무 열매의 추출물, 인삼 줄기 추출물, 인삼 홍국균 발효물, 홍삼 홍국균 발효물, 인삼 누룩균 발효물 또는 홍삼 누룩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120139560A 2012-12-04 2012-12-04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40072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560A KR20140072419A (ko) 2012-12-04 2012-12-04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560A KR20140072419A (ko) 2012-12-04 2012-12-04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419A true KR20140072419A (ko) 2014-06-13

Family

ID=51126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560A KR20140072419A (ko) 2012-12-04 2012-12-04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24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5810A1 (de) 2014-06-13 2015-12-17 Hyundai Motor Company Kühler für ein Fahrzeug
KR20230011620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고상발효 앉은뱅이밀 누룩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5810A1 (de) 2014-06-13 2015-12-17 Hyundai Motor Company Kühler für ein Fahrzeug
KR20230011620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고상발효 앉은뱅이밀 누룩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1161B1 (fr) Utilisation de l&#39;acide ellagique et de ses derives en cosmetique et en dermatologie
KR100727743B1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및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피부 외용 화장료 조성물
JP4939766B2 (ja) 基底膜安定化剤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30390449A1 (en) Therapeutic compositions for enhanced healing of wounds and scars
KR100757175B1 (ko) 녹차 유래의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20210155989A (ko)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상처 재생 활성,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072419A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40105601A (ko) 화장료
KR20220141191A (ko) 닥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84154B1 (ko) 리보플라빈 5&#39;&#39;-포스페이트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28995B1 (ko) 헥사펩타이드-11의 효모 발효물, 콜라겐의 가수분해물 및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7701A (ko) 갈근초 및 아데노신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7113263A1 (zh) 木质醋酸菌发酵液作为化妆品组合物之新颖用途
KR20010035445A (ko)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KR102335682B1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3405B1 (ko) 스티풀레아노사이드 r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31774B1 (ko) 옷솔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801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