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386B1 -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386B1
KR102353386B1 KR1020210080506A KR20210080506A KR102353386B1 KR 102353386 B1 KR102353386 B1 KR 102353386B1 KR 1020210080506 A KR1020210080506 A KR 1020210080506A KR 20210080506 A KR20210080506 A KR 20210080506A KR 102353386 B1 KR102353386 B1 KR 102353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owder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록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록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록키스
Priority to KR102021008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천연유래 물질을 사용하고 각 재료, 물질의 투입 순서와 숙성 공정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도 각질 제거율이 향상된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ng sk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무게를 기준으로 몸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각질화된 바깥쪽 표피와 혈관이 풍부하게 발단된 내부 결합조직인 진피, 그리고 가장 안쪽의 피하조직의 3 층으로 되어 있다. 오래된 표피세포의 세포질은 질긴 섬유성 방수물질인 케라틴(keratin)이라는 단백질로 채워지는 각질화(keratinization)를 거쳐 단단해지며, 서로 밀착된 죽은 세포들로 구성된 각질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각질층에서는 지속적으로 죽은 세포들이 각질로서 떨어져 나가는데, 각질은 섬유성 구조단백의 일종으로 피부, 모발, 손톱의 상피세포를 구성하는 주요한 구조 물질이다. 각질은 외상에 견딜 세포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중요하나, 각질이 과도하게 발생될 경우 미용상으로 좋지 않고 여성의 경우 화장이 피부에 흡수되거나 자리잡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각질층의 이상으로 인해 표피박리증, 홍색피부증 등의 질병이 발생될 수 있다.
각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약초 필링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6051호), 젤쿠어 약초 필링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0944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7863호) 등이 있다. 다만 각질 제거는 피부에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가하는 과정으로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피부 각질, 노폐물을 제거, 스크럽할 수 있는 천연 유래 필링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요구가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는 자극감이 낮으면서도 피부, 특히 안면 각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필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연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정제수,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셀룰로오스,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 카보머,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티트리잎 추출물, 에틸헥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베타인,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밀싹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콘민트 추출물, 및 다이소듐이디티에이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정제수,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셀룰로오스,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 카보머,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티트리잎 추출물, 에틸헥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베타인,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밀싹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콘민트 추출물, 및 다이소듐이디티에이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테놀, 레드팜오일, 로즈힙오일, 풍선덩굴꽃 추출물, 식이유황,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마카다미아넛 분말, 아몬드 분말, 동백나무씨 분말, 및 건조 바나나 껍질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마카다미아넛 분말, 아몬드 분말, 동백나무씨 분말, 및 건조 바나나 껍질 분말은 각각 10 : 5 : 5 : 3 : 7 : 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정제수,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 카보머,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에틸헥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베타인, 및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단계의 혼합물에 티트리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 혼합물을 10ml/분의 속도로 점적하여 추가하는 단계; 상기 추가 단계 이후의 혼합물을 45℃ 온도, 90% 습도의 항온 항습실에서 3시간 동안 보온 숙성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밀싹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콘민트 추출물, 다이소듐이디티에이, 판테놀, 레드팜오일, 로즈힙오일, 풍선덩굴꽃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마카다미아넛 분말, 아몬드 분말, 동백나무씨 분말, 및 건조 바나나 껍질 분말을 첨가한 후, 30분간 적외선 처리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75 : 3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마카다미아넛 분말, 아몬드 분말, 동백나무씨 분말, 및 건조 바나나 껍질 분말은 각각 10 : 5 : 5 : 3 : 7 : 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천연유래 물질을 사용하고 각 재료, 물질의 투입 순서와 숙성 공정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도 각질 제거율이 향상된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대략적인 흐름도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정제수,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셀룰로오스,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 카보머,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티트리잎 추출물, 에틸헥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베타인,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밀싹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콘민트 추출물, 및 다이소듐이디티에이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필링젤, 스크럽, 각질 제거 또는 노폐물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안면 피부 각질 제거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판테놀, 레드팜오일, 로즈힙오일, 풍선덩굴꽃 추출물, 식이유황,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마카다미아넛 분말, 아몬드 분말, 동백나무씨 분말, 및 건조 바나나 껍질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마카다미아넛 분말, 아몬드 분말, 동백나무씨 분말, 및 건조 바나나 껍질 분말은 각각 10 : 5 : 5 : 3 : 7 : 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싹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콘민트 추출물은 각각 2 : 4 : 10 : 3 : 5 : 5 : 1 : 1 : 1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제수,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 카보머,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에틸헥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베타인, 및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단계의 혼합물에 티트리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 혼합물을 10ml/분의 속도로 점적하여 추가하는 단계; 상기 추가 단계 이후의 혼합물을 45℃ 온도, 90% 습도의 항온 항습실에서 3시간 동안 보온 숙성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밀싹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콘민트 추출물, 다이소듐이디티에이, 판테놀, 레드팜오일, 로즈힙오일, 풍선덩굴꽃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마카다미아넛 분말, 아몬드 분말, 동백나무씨 분말, 및 건조 바나나 껍질 분말을 첨가한 후, 30분간 적외선 처리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75 : 3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마카다미아넛 분말, 아몬드 분말, 동백나무씨 분말, 및 건조 바나나 껍질 분말은 각각 10 : 5 : 5 : 3 : 7 : 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 카보머,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에틸헥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베타인, 및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를 준비한 후 혼합하여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티트리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 혼합물을 10ml/분의 속도로 점적하여 추가하였으며, 상기 베이스 조성물 대비 5중량%의 함량으로 추가하였다. 상기 추가된 혼합물을 45℃ 온도, 90% 습도의 항온 항습실에서 3시간 동안 보온 숙성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밀싹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콘민트 추출물, 다이소듐이디티에이, 판테놀, 레드팜오일, 로즈힙오일, 풍선덩굴꽃 추출물, 및 식이유황을 준비하여 혼합하였다. 이 때 밀싹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콘민트 추출물은 각각 2 : 4 : 10 : 3 : 5 : 5 : 1 : 1 : 10의 중량비로 혼합되도록 중량비를 조절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마카다미아넛 분말, 아몬드 분말, 동백나무씨 분말, 및 건조 바나나 껍질 분말을 각각 10 : 5 : 5 : 3 : 7 : 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 필링 분말을 첨가한 후, 30분간 적외선 처리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75 : 3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포도씨 오일과 유화제 및 아세틸 알코올을 추가하여 크림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항온 항습실에서의 보온 숙성 단계와 적외선 처리 단계를 생략하고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예 2),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등을 포함하는 혼합 필링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예 3), 티트리잎 추출물 및 셀룰로오스 혼합물을 점적하지 않고 최초의 베이스 조성물의 혼합 단계에 함께 첨가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제조예 4)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상기 제조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감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화장료 조성물을 3g씩 준비한 후, 40명의 패널들에게 제품의 세정력, 부드러움(각질 제거 정도), 자극성, 종합적인 선호도를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결과에 대한 40명의 패널 점수를 평균으로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항목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세정력 8.5 8.2 8.3 8.5
부드러움(각질 제거 정도) 9.1 9.0 7.5 8.9
자극성 9.4 8.5 8.3 8.6
종합적인 선호도 9.1 9.0 8.4 8.9
- 1점= 매우 나쁘다, 10점= 매우 좋다.
상기 표 1의 결과를 토대로, 제조예 1 내지 4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세정력, 각질 제거 정도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제조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예 2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자극성, 종합적인 선호도 항목에서 더욱 우수한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정제수,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셀룰로오스,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 카보머,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티트리잎 추출물, 에틸헥실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소듐 하이알루로네이트, 베타인,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밀싹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 추출물, 알로에베라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콘민트 추출물, 및 다이소듐이디티에이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판테놀, 레드팜오일, 로즈힙오일, 풍선덩굴꽃 추출물, 식이유황,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마카다미아넛 분말, 아몬드 분말, 동백나무씨 분말, 및 건조 바나나 껍질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깔라만씨 분말, 연꽃 분말, 마카다미아넛 분말, 아몬드 분말, 동백나무씨 분말, 및 건조 바나나 껍질 분말은 각각 10 : 5 : 5 : 3 : 7 : 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10080506A 2021-06-22 2021-06-22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53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506A KR102353386B1 (ko) 2021-06-22 2021-06-22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506A KR102353386B1 (ko) 2021-06-22 2021-06-22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386B1 true KR102353386B1 (ko) 2022-01-20

Family

ID=8005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506A KR102353386B1 (ko) 2021-06-22 2021-06-22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38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236A (ko) * 2004-04-22 2007-01-0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층상 구조화 액체 클렌저 조성물
KR101397498B1 (ko) * 2013-02-12 2014-05-27 문혜지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2865A (ko) * 2015-03-20 2016-09-28 전금옥 약산성 비누 조성물과, 이 조정물을 이용한 약산성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약산성 비누
KR20170086125A (ko) * 2014-12-23 2017-07-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피부 보호 유화액
KR20200143515A (ko) * 2012-12-27 2020-12-23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5578A (ko) * 2019-10-16 2021-04-27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각질 박리용 배니싱 크림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47203A (ko) * 2019-10-21 2021-04-29 장성순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가 있는 화장품 조성물
KR20210063533A (ko) * 2019-11-22 2021-06-02 황기철 천연 기능성 비누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236A (ko) * 2004-04-22 2007-01-0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층상 구조화 액체 클렌저 조성물
KR20200143515A (ko) * 2012-12-27 2020-12-23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498B1 (ko) * 2013-02-12 2014-05-27 문혜지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6125A (ko) * 2014-12-23 2017-07-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피부 보호 유화액
KR20160112865A (ko) * 2015-03-20 2016-09-28 전금옥 약산성 비누 조성물과, 이 조정물을 이용한 약산성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약산성 비누
KR20210045578A (ko) * 2019-10-16 2021-04-27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각질 박리용 배니싱 크림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47203A (ko) * 2019-10-21 2021-04-29 장성순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가 있는 화장품 조성물
KR20210063533A (ko) * 2019-11-22 2021-06-02 황기철 천연 기능성 비누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록키스 티트리 필링젤 (2020.12.28.) 1부.* *
씨메딕 떼르말 워터 바디 필링젤 (2021.03.12.)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30764B (zh) 一种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CN107536773B (zh) 后发泡洁面啫喱的生产工艺
KR102248733B1 (ko)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984010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27916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227915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
KR20210049609A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09300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9745A (ko)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53386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1764085A1 (de) Kosmetisches Mittel enthaltend Arganöl
KR102537397B1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3340B1 (ko)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45B1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9893B1 (ko) 김치 발효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1161A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1763736B1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JPH09315930A (ja) 皮膚化粧料
KR102333146B1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 명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29503A (ko) 예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5341A (ko)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230822B1 (ko) 표면 개질된 천연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7362A (ko) 아이리쉬모스, 마조람, 카룸 페트로셀리눔 및 둥근빗살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